KR20220035989A - 뚜껑체 - Google Patents

뚜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989A
KR20220035989A KR1020227008156A KR20227008156A KR20220035989A KR 20220035989 A KR20220035989 A KR 20220035989A KR 1020227008156 A KR1020227008156 A KR 1020227008156A KR 20227008156 A KR20227008156 A KR 20227008156A KR 20220035989 A KR20220035989 A KR 20220035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opening
canopy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019B1 (ko
Inventor
아키라 다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와이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와이세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케이와이세븐
Priority to KR102022704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8242A/ko
Publication of KR2022003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65D3/268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a contai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68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과제) 용기의 밀폐성을 확보함과 함께, 뚜껑체의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뚜껑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종이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천개를 구비하고, 상기 천개는, 상기 천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뚜껑편과,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뚜껑편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용부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뚜껑체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폐개 (閉蓋) 가능하게 형성된 뚜껑체에 관한 것이다.
편의점이나 슈퍼 마켓 등에서는, 각종 음료나 반찬 등, 음식료품을 간이 용기에 넣어 판매되고 있다. 종래부터, 이들 점포에서는, 음식료품을 미리 용기에 수용함과 함께 뚜껑체로 용기의 개구부를 폐개한 것을 매장에 진열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형태로의 판매에 더하여, 구입자가 커피 등의 각종 음료를 점포 내에서 컵 형상의 용기 내에 넣은 후에 뚜껑을 덮어 가지고 돌아간다는 형태의 판매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최근의 뚜껑체는, 종래보다 보다 용기의 내용물 (예를 들어 커피 등의 각종 음료) 이 손으로 들고 있을 때에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는 뚜껑체도 각종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뚜껑체는, 종래부터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성형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플라스틱 제품은 각종 환경 문제를 야기할 우려가 있는 점에서, 단시간에 한 번 쓰고 버려지는 음식품용의 간이 용기나 뚜껑체를 형성하기 위한 원재료로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양을 삭감할 것이 널리 주장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뚜껑체를 대신하여, 최근에는 펄프 재료나 종이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뚜껑체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85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16366호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이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에 비해 소재의 탄력성이나 성형성이 낮아,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뚜껑체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를 확실하게 폐개하여 폐개시의 용기 내부의 밀폐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나, 용기의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도, 용기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없는 형상이나 구조를 갖는 뚜껑체를 펄프 재료나 종이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종래부터, 종이 재료를 사용하여, 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뚜껑체에 대해, 구조상의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 에는, 종이제 용기의 원뿔상의 본체부의 내면에 걸어 맞춰지는 원뿔 형상의 외면을 갖는 벽면부와, 그 벽면부에 둘러싸인 천개부 (天蓋部) 를 갖고, 용기 개구부의 내측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뚜껑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음료 컵용으로서 펄프 성형지를 사용하여 형성된 뚜껑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는 뚜껑체는, 용기의 내용물 (예를 들어 커피 등의 음료) 을 폐개한 채의 상태에서도 용기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료 출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뚜껑체는, 폐개시에 용기 개구부와 뚜껑체의 벽면부 사이의 밀착성이 충분하다고는 하기 어려워, 용기 내의 액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종이제의 뚜껑체나 용기의 경우, 종이 재료의 특성상, 습도 등의 영향을 받아 뚜껑체나 용기 개구부에 치수의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 그 한편으로, 종래의 종이제의 뚜껑체는, 용기 개구부와 걸어 맞춰지는 부위가, 측벽과 천개와 겹친 구조로 형성되어 있거나, 측벽이 보강재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개구부에 끼워 맞춰지는 부분이 단단해져 탄력성이 부족하였다. 그 때문에, 뚜껑체나 용기 개구부의 치수에 미세한 편차가 발생한 경우, 확실하게 용기를 폐개할 수 없게 되어, 안정된 밀폐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뚜껑체와 같이, 예를 들어 용기의 내용물이 음료인 경우에는 뚜껑체에 음료 출구를 개구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료 출구를 형성하면, 용기와 뚜껑체의 밀폐성이 확보됐다고 해도, 운반시에 음료 출구로부터 갑자기 내용물이 나오거나 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료 출구도 운반시에는 폐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료 출구를 폐색하면, 이번에는 내용물을 마실 때 등에 폐색된 음료 출구를 개구시켜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번잡함이 늘어난다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류의 문제로는, 음료 출구를 폐색하고 있는 폐색체 (뚜껑편) 를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어 음료 출구를 개구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뚜껑편을 용기의 내부로 밀어 넣어 음료 출구를 개구시키는 것은 위생적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또, 뚜껑편을 외측으로 끌어올려 음료 출구를 개구시키려면, 뚜껑편을 끌어올리는 조작이 번잡해지거나, 또 뚜껑편을 끌어올리기 쉽게 하기 위해 뚜껑체 자체의 구조나 형상을 복잡하게 해야 한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의 밀폐성을 확보함과 함께, 뚜껑체의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뚜껑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 종이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천개를 구비한 뚜껑체로서, 상기 천개는, 상기 천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뚜껑편과,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뚜껑편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체,
(2) 상기 뚜껑편에는, 그 뚜껑편을 끌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구시키기 위한 시일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뚜껑체,
(3) 상기 유지부가 상기 시일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2) 에 기재된 뚜껑체,
(4) 상기 유지부가 클로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용부는, 상기 천개에 절입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유지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뚜껑체,
(5) 상기 천개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요상 (圍繞狀) 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지 수용부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뚜껑체,
(6) 상기 유지 수용부가 상기 측벽부인 상기 (5) 에 기재된 뚜껑체를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의하면, 종이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천개를 구비하고 있고, 이 천개는, 그 천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뚜껑편과,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뚜껑편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지부를 조작하여 뚜껑편을 끌어올림으로써 개구부가 개구되고, 천개의 내외가 연통된다. 그리고, 유지부는 유지 수용부에 의해 유지되므로,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부가 유지 수용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뚜껑편의 위치는 일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뚜껑체를 장착한 용기를 기울여, 용기의 내용물을 개구부로부터 꺼내는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음료를 마시는 경우 등) 에 있어서도, 뚜껑편이 개구부를 향하여 쓰러져 오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체를 장착한 용기를 기울인 경우에 뚜껑편이 사용자의 얼굴 (코 등) 에 닿거나 하지도 않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쾌적하게 내용물을 꺼내는 동작 (음료를 마시는 동작) 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의하면, 유지부를 조작하여 뚜껑편을 끌어올리므로, 뚜껑편의 이면측에 닿지 않고 개구부를 개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뚜껑편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내용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거나 하지도 않으므로, 개구부를 개구시킬 때에도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이 뚜껑체는, 유지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만 뚜껑편을 끌어올릴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뚜껑편을 끌어올리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의하면, 유지 수용부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유지부를 조작함으로써,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도 뚜껑편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부를 조작함으로써, 복수회의 뚜껑편의 개폐 동작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동안에 용기 내의 내용물, 예를 들어 음료를 다 마시지 않은 경우 등에도 뚜껑편을 간단하게 닫을 수 있고, 또 닫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환경 문제에도 배려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의 실시형태로서, 뚜껑편이 닫힌 상태의 뚜껑체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뚜껑편이 열린 상태의 뚜껑체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은, 뚜껑편이 닫힌 상태의 뚜껑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뚜껑편이 열린 상태의 뚜껑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있어서의 뚜껑체의 A-A 선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뚜껑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뚜껑체의 뚜껑편을 열 때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은, 뚜껑체를 용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뚜껑체를 용기에 장착할 때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은, 뚜껑체를 스태킹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 은, 음용구 형성부의 다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 는, 뚜껑편에 접속된 시일 부재의 다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 은, 뚜껑편에 접속된 시일 부재의 다른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 는, 시일 부재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및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를 사용하여 뚜껑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시일 부재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를 사용하여 뚜껑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시일 부재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를 사용하여 뚜껑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시일 부재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를 사용하여 뚜껑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도 20 및 도 21 에 있어서 나타낸 시일 부재를 사용하여 뚜껑편을 열 때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 은, 유지 수용부의 다른 양태를 갖는 뚜껑체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4 는,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5 는,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6 은,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 은,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8 은,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 는,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0 은, 뚜껑체의 다른 양태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는, 커피 컵과 같은 각종 음료물을 넣는 용기 (컵) 에 대해 사용되는 뚜껑체를 예로서 들어 설명하지만, 음료물을 넣는 용기의 뚜껑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료물 이외의 식료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뚜껑체 (1) 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는, 음식물 이외의 각종 물품, 예를 들어 볼트나 너트 등과 같은 부품이나, 상기한 것 이외의 물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적용 가능한 뚜껑체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인 것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이 뚜껑체의 형상은 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 형상, 직사각 형상, 삼각 형상, 다각 형상, 모따기 직사각 형상, 모따기 다각 형상 등등, 원 형상 이외의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1) 는, 천개 (2) 와, 이 천개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요상으로 형성된 측벽 (3) 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3) 은, 종이계 소재의 양 단부를 위요상으로 접합하여 통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측벽 (3) 은,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끝이 가는 형상」이란, 측벽 (3) 의 외벽의 형상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끝이 가는 형상」에는, 측벽 (3) 의 외벽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 외에, 측벽 (3) 의 외벽의 일부에 팽출부나 돌출부 등이 있거나, 이들 팽출부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측벽 (3) 의 외벽이 전체적으로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형상도 포함한다. 또, 측벽 (3) 의 일부분이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트레이트의 통 형상이었다고 해도, 측벽 (3) 의 외벽이 전체적으로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형상도, 이「끝이 가는 형상」에 포함된다. 즉, 여기서의「끝이 가는 형상」이란, 측벽 (3) 의 외벽의 형상이 측벽 전체적으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형상이면, 외벽의 일부분이 끝이 가는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양태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천개 (2) 는, 둘레 가장자리에 상승부 (4) 가 굽힘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 (3) 은, 상부벽 (5) 과 하부벽 (6) 을 갖고 있다. 이들 천개 (2) 와 측벽 (3) 은, 천개 (2) 의 상승부 (4) 를 측벽 (3) 의 상부벽 (5) 의 내면측에 접합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측벽 (3) 의 하부벽 (6)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101) 에 형성되어 있는 용기 개구부 (102) 에 형성된 컬부 (103) 와 걸어 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환상 오목홈상의 걸어 맞춤부 (7) 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부 (7) 는, 환상 오목홈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101) 의 컬부 (103) 와 걸어 맞출 수 있으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측벽 (3) 의 하부벽 (6) 의 내주면을 압압 (押壓) 프레스하여 환상 오목홈상의 걸어 맞춤부 (7) 를 형성하면, 직사각 형상이나 부채 형상의 종이계 소재의 양 단부를 접합하여 형성한 측벽 (3) 의 하부벽 (6) 에 형성되는 걸어 맞춤부 (7) 에 있어서의 접합 부분의 단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뚜껑체 (1) 와 용기 (10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 폐개시에 있어서의 뚜껑체 (1) 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예에서는, 압압 프레스 등에 의해 형성한 환상 오목홈상의 걸어 맞춤부 (7) 의 외측면 (하부벽 (6) 의 외측면) 이 팽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하부벽 (6) 의 내면측에 환상 오목홈상의 걸어 맞춤부가 형성되고, 하부벽 (6) 의 외측면은 팽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된다. 측벽 (3) 의 접합 부분에 있어서의 단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측벽 (3) 을 형성하기 위한 직사각 형상이나 부채 형상의 종이계 소재의 양 단부를 접합하기 전에, 이들 양 단부의 부근을 단 가장자리부 방향 (측벽 (3) 의 둘레 방향) 을 향하여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압축한 후, 양 단부를 접합하여, 측벽 (3)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8 내지 도 10 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시일 부재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뚜껑체 (1) 에서는, 측벽 (3) 을 상단측의 호의 길이가 하단측의 호의 길이보다 긴 부채 형상의 양 단부를 접합하여 위요상으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 (3) 은, 측면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의 방향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끝이 가는 형상 (도 8 의 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상으로) 형성되고, 걸어 맞춤부 (7) 의 하단측의 내치수가 걸어 맞춤부 (7) 의 상단측 내치수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측벽 (3) 이 끝이 가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뚜껑체 (1) 를 겹쳐 쌓았을 때의 스태킹성이 우수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복수의 뚜껑체 (1) 를 상하로 서로 겹쳐 쌓음으로써, 적은 스페이스에서의 보관이나 운반이 가능해져, 보관시나 운반시의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측벽 (3) 은, 측면이 전체적으로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 (3) 의 일부분, 예를 들어 측벽 (3) 의 상단측 또는 하단측만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측벽 (3) 의 상단측과 하단측에서 상이한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측벽 (3) 을 직사각 형상의 종이계 소재로 위요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비경사상의 통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역부채 형상의 종이계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도 10 에 나타낸 경우와 반대의 경사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측벽 (3) 은 비경사상으로 하거나, 또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101) 의 측벽 (104) 의 경사각을 따르도록,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에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측벽 (3) 을, 측면을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이 되도록 경사진 통상으로 함으로써, 뚜껑체 (1) 의 스태킹성이 향상됨과 함께, 뚜껑체 (1) 의 용기 (101) 에 대한 폐지성, 밀폐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뚜껑체 (1) 에 있어서의 통상의 측벽 (3) 을 형성하는 종이계 부재의 양 단부의 접합, 천개 (2) 와 측벽 (3) 의 접합은, 종래부터 공지된 접합 방법에 의해 접합 일체화할 수 있다. 접합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접착제나 핫 멜트 접착제, 2 액형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천개 (2) 및 측벽 (3) 의 접합면을, 히트 시일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여,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제조 효율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8 은, 뚜껑체 (1) 를 용기 (101) 에 씌워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를 봉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는, 뚜껑체 (1) 를 용기 (101) 에 씌우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걸어 맞춤부 (7) 가 용기 (101) 의 컬부 (103) 에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부 (7) 는, 하부벽 (6) 의 내벽측에 있어서, 위요상의 오목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걸어 맞춤부 (7) 를 용기 (101) 의 컬부 (103) 에 걸어 맞추게 했을 때에, 하부벽 (6) 의 하단부 (8) 가 용기 (101) 의 측벽 (104) 과 접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용기 (101) 를 높은 밀폐성으로 폐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하부벽 (6) 이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용기 (101) 로부터의 분리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뚜껑체 (1) 는, 용기 (101) 에 장착했을 때에, 하부벽 (6) 의 하단부 (8) 가 용기 (101) 의 측벽 (104) 과 접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용기 (101) 로부터 뚜껑체 (1) 를 분리할 때에, 하부벽 (6) 의 하단부 (30) 등에 손가락 등을 걸어 하부벽 (6) 을 끌어올림으로써,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의 컬부 (103) 와 뚜껑체 (1) 의 걸어 맞춤부 (7) 의 걸어 맞춤이 풀린다. 그리고, 더욱 뚜껑체 (1) 를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용기 (101) 로부터 뚜껑체 (1) 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종이계 소재를 위요상으로 하여 형성된 측벽 (3) 의 하부벽 (6) 에,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 (7) 를 형성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 걸어 맞춤부 (7) 가 형성되어 있는 측벽 (3) 의 하부벽 (6) 은, 측벽 (3) 의 하부벽 (6) 을 되접어 천개 (2) 와 접합한 경우에 비해 탄력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뚜껑체 (1) 의 걸어 맞춤부 (7) 의 직경을 용기 (101) 의 컬부 (103) 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해도, 뚜껑체 (1) 를 용기 (101) 에 확실하게 걸어 맞추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걸어 맞춤부 (7) 의 직경을 용기 (101) 의 컬부 (103) 의 외경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용기 (101) 안에 형성된 공간부 (105) 에 커피 등의 액체 제품, 특히 뜨거운 액체 제품 등을 수납함으로써 공간부 (105) 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에도, 뚜껑체 (1) 가 용이하게 풀릴 우려가 없어, 높은 밀폐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용기 (101) 를 폐개할 수 있고, 측벽 (3) 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전체적으로 끝이 가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더불어, 높은 밀폐성으로 폐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측벽 (3) 의 하부벽 (6) 이 탄력성을 가짐으로써,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의 치수에 오차가 있어도, 확실하게 용기 (101) 의 용기 개구부 (102) 를 확실하게 폐지하여 높은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측벽 (3) 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지고, 이 측벽 (3) 의 상부벽 (5) 의 내면 (5a) 에, 확개 (擴開) 경사상으로 상승시켜 형성한 상승부 (4) 를 접합하여 천개 (2) 와 측벽 (3) 을 접합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천개 (2) 의 상승부 (4) 와, 측벽 (3) 의 상부벽 (5) 의 내면의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 특히, 도 1 등에 나타내는 뚜껑체 (1) 는, 측벽 (3) 의 상부벽 (5) 을 상승부 (4) 의 내면 (4a) 측으로 되접은 되접음부 (9) 를 형성하고, 상승부 (4) 의 내면 (4a) 과, 이 내면 (4a) 과 대향하는 되접음부 (9) 의 대향면 (9a) 이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천개 (2) 와 측벽 (3) 의 접합 강도는 보다 높아진다. 그 때문에, 뚜껑체 (1) 에 부하력이 가해졌을 때라도, 뚜껑체 (1) 에 비틀림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걸어 맞춤부 (7) 와 용기 (101) 의 컬부 (103) 의 걸어 맞춤이 풀릴 우려도 없고, 뜨거운 음료 등을 수납했을 때에 밀폐된 용기 (101) 의 내압이 높아져 있는 경우에도, 뚜껑체 (1) 가 용기 (101) 로부터 풀릴 우려가 매우 적다.
일반적으로, 천개 (2) 의 크기가 큰 뚜껑체 (1) 일수록, 뚜껑체 (1) 에 대한 부하에 의해 천개 (2) 가 비틀리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와 같이, 측벽 (3) 을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이 측벽 (3) 의 상부벽 (5) 의 내면에, 확개 경사상으로 상승시켜 형성한 상승부 (4) 를 접합한 구성으로 하고, 나아가서는 이 상승부 (4) 와 되접음부 (9) 를 접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형의 뚜껑체인 경우에도, 뚜껑체 (1) 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뚜껑체 (1) 가 용기 (101) 로부터 풀릴 우려가 적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천개 (2) 의 상승부 (4) 와 측벽 (3) 의 상부벽 (5) 의 접합 부분의 하측 접합점 (10) 사이의 크기 (원형의 천개 (2) 인 경우, 하측 접합점 (10) 의 직경) 가, 걸어 맞춤부 (7) 의 하단부 (8) 사이의 크기 (원형의 천개 (2) 인 경우, 걸어 맞춤부 (7) 의 하단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확실한 폐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뚜껑체 (1) 는, 천개 (2) 의 상측에, 측벽 (3) 의 상부벽 (5) 과 천개 (2) 의 상승부 (4) 의 접합부가 돌출벽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벽은, 용기 (101) 의 내용물이 커피 등의 음료인 경우, 음료를 마실 때의 입 접촉부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음료의 흘러넘침 방지벽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용기 (101) 는, 커피 컵이나 컵 누들의 용기와 같이 측벽 (104) 이 경사진 형상의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너트 캔 등의 원통상 용기여도 된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는, 종이 용기, 플라스틱 용기, 발포 플라스틱 용기, 금속 캔 등의 여러 가지 용기에 사용할 수 있고, 액체물을 수납하는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시킨 식품 등의 수납 용기나, 비식품 용기 등의 뚜껑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는, 커피 컵이나 컵 누들, 너트 캔 등의 용기 외에, 스프,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각종 반찬이나 도시락의 용기 등의 뚜껑체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음식품용의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용기의 뚜껑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측벽 (3) 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끝이 가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의 뚜껑체 (1) 는, 뚜껑체 (1) 의 측벽 (3) 의 경사각 : α 와, 용기 (101) 의 측벽 (104) 의 경사각 : β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상이한 경우에는 측벽 (3) 의 경사각 : α 가, 용기 (101) 의 측벽 (104) 의 경사각 : β 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되지만, 경사각 : α 가 경사각 : β 보다 작은 경우 (경사가 큰 경우) 에는, 뚜껑체 (1) 의 용기 (101) 에 대한 끼워 맞춤력이 보다 높아져, 보다 밀폐성이 높아진다. 뚜껑체 (1) 의 측벽 (3) 의 경사각 : α 의, 용기 (101) 의 측벽 (104) 의 경사각 : β 에 대한 크기는, 뚜껑체 (1) 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용기 (101) 의 크기 (뚜껑체 (1) 의 크기) 등의 차이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각 형상의 용기와 같은 비원형 용기인 경우에는, 뚜껑체 (1) 가 끼워 넣어지는 용기 부위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뚜껑체 (1) 의 측벽 (3) 의 경사각 : α 를 바꿈으로써, 용기의 부위의 차이에 의한 밀폐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뚜껑체 (1) 는, 측벽 (3) 의 상부벽 (5) 과, 천개 (2) 의 상승부 (4) 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측벽 (3) 의 상부벽 (5) 과, 천개 (2) 의 상승부 (4) 는, 높이는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 (3) 의 상부벽 (5), 천개 (2) 의 상승부 (4) 중 어느 일방이 타방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의 측벽 (3) 을 구성하는 종이계 소재로는, 섬유 원료의 슬러리를 망 상에 초취 (抄取) 하고, 건조 내지 압압 건조, 초지하여 시트상으로 하여 얻어지는, 이른바 종이나, 펄프계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료 시트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쇄 펄프 등의 개섬 섬유 원료를 공기류에 의해 적섬하고, 적섬체의 섬유 상호를 바인더로 고정시켜 얻어지는 이른바 에어 레이드 시트 등, 식물 섬유, 그 밖의 섬유를 교착시켜 제조되는 이른바 종이 외에, 화학 섬유지, 합성지, 내수지, 코트지, 대체지, 양피지, 양모지, 유리 섬유지, 스톤 페이퍼, 도지 (陶紙) 등이나, 이들을 복수장 적층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종이계 소재로는, 펄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비펄프계의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재생 섬유 등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펄프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8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펄프 100 질량%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계 소재는, 합성 수지나 천연 수지의 필름이나 부직포, 목박 등의 목질계 소재 등, 나아가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소재와의 복합 재료도 사용할 수 있지만, 복합 재료로 하는 경우, 복합 재료 전체로서 펄프를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질량% 이상의 펄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프 함유분이 높을수록, 종이계 소재가 생분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펄프로는,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고지 펄프, 합성 펄프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쇄목 펄프 (GP), 스톤 그라운드 펄프 (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 (RGP), 가압식 쇄목 펄프 (PGW), 서모 메카니컬 펄프 (TMP), 케미 서모 메카니컬 펄프 (CTMP), 블리치드 케미 서모 메카니컬 펄프 (BCTMP) 등의 기계 펄프 (MP), 화학적 기계 펄프 (CGP), 반화학적 펄프 (SC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LB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NBKP) 등의 크라프트 펄프 (KP), 소다 펄프 (AP), 술파이트 펄프 (SP), 용해 펄프 (DP) 등의 화학적 펄프 (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찌꺼기 펄프 (TP), 목면, 아마, 마, 황마, 마닐라마, 라미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 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버개스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의 경간 (莖稈) 펄프, 인피 펄프 등의 보조 펄프 등에서 1 종 또는 수종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펄프는, 적송,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미송, 헴록, 스프루스 등의 침엽수 펄프, 너도밤나무, 졸참나무, 카바, 유칼리, 포플러, 오리나무 등의 활엽수 펄프, 침엽수 펄프와 활엽수 펄프의 혼합물 등의 목재 펄프, 케나프, 버개스 펄프, 대나무 펄프, 시리얼 펄프, 짚 펄프, 아바카 펄프, 목면 펄프 등의 비목재 펄프, 고지 펄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침엽수 펄프는 활엽수 펄프에 비해 섬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침엽수 펄프 등의 섬유 길이가 긴 펄프를 사용한 종이 재료는, 섬유 상호의 낙합 정도가 높아지고, 또 침엽수 펄프 등을 사용한 원료 시트를 분쇄한 분쇄 펄프도, 활엽수 펄프로 이루어지는 원료 시트를 분쇄한 분쇄 펄프에 비해 섬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섬유 상호의 낙합에 의해 종이계 소재의 강도가 향상된다.
종이계 소재는 내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수지 등의 미리 내수성이 부여된 소재를 사용하거나, 적어도 종이계 소재의 용기측에 위치하는 표면에 코트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코트층은, 필름을 첩착하거나, 도공제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산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수지,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락트산, 에스테르화 전분 등의 전분계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글리콜산, 키토산/셀룰로오스/전분,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카프로락톤/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천연 분해성 수지나 천연 분해성 수지 혼합물 ; 천연 분해성 바이오매스 수지나 천연 분해성 바이오매스 수지의 혼합물 ;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자외선 경화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 상기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 천연 수지, 파라핀, 젤라틴, 셀로판, 폴리메틸펜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트층은,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전분계 수지 등의 천연 분해성 수지, 천연 분해성 바이오매스 수지, 천연 수지 등의 천연 분해성 수지나 이들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분해성 수지로는, 천연 수지, 천연 분해성 플라스틱이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분해성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락트산, 에스테르화 전분 등의 전분계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글리콜산, 키토산/셀룰로오스/전분,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카프로락톤/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천연 분해성 수지나 천연 분해성 수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천연 분해성 수지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유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활제 ; 트리페닐포스페이트, 무수 프탈산, 트리스디부틸포스페이트, 무수 아세트산 등의 안정제 ; 이산화티탄, 카올린, 마이카, 벤토나이트, 규조토, 산화마그네슘, 규사알루미늄, 탄산칼슘, 수산화칼심, 패각 분말 등의 무기 재료 ; 고급 지방산 아미드, 비이온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계면 활성제 ; 시트르산, 탄산수소나트륨, 부탄 등의 발포제 ; 대전 방지제, 핫 멜트 접착제 등의 그 밖의 재료 등, 일본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의 포지티브 리스트에 게재되어 있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천연 분해성」이란, 공중, 토중, 수중 중 어느 것에 있어서, 미생물, 자외선, 기후의 변화 등에 의해 분해되어, 환경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는, 그 뚜껑체를 장착하는 용기의 내용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종류의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용기를 폐지하는 뚜껑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에 있어서의 천개 (2) 는, 측벽 (3) 과 동일한 종이계 소재로 구성할 수 있지만, 종이계 소재 외에, 필름 내지 시트재로 구성할 수 있다. 천개 (2) 를 필름이나 시트재로 구성하면, 천개 (2) 가 종이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굴곡성이 높기 때문에, 뚜껑체 (1) 의 용기 (101) 에 대한 끼워 넣음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투명한 필름이나 시트재로 구성하면, 용기 (101) 에 장착했을 때에, 용기 (101) 내의 수납물을 용이하게 목시 확인할 수 있다. 필름이나 시트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계 수지인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셀로판, 나일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메틸펜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전분계 수지나, 이들의 복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락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전분계 수지 등의 생분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종이 등에 증착 등에 의해 알루미늄층을 형성한 것이나, 또한 종이 등의 표면에 알루미늄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그 편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라미네이트층이나 코트층을 형성한 적층체도 사용할 수도 있다. 천개 (2) 를 필름이나 시트재로 구성하는 경우, PET 등의 히트 시일이 곤란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측벽 (3) 과 접합하는 면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OPP, CPP 등) 이 코트되어 있으면, 히트 시일에 의한 접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는, 천개 (2) 를 종이계 소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필름이나 시트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천개 (2) 의 용기 (101) 의 개구부와 접하는 측이 히트 시일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천개 (2) 를 용기 (101) 의 개구부 (도 3 에 나타내는 양태에서는 용기 (101) 의 컬부 (103)) 와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해 두어도 되고, 사용시에 시일을 떼면서 뚜껑체 (1) 를 용기 (101) 로부터 분리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 (101) 의 내용물을 사용할 때까지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천개 (2) 를 필름이나 시트재로 구성하는 경우, 내통기성이나 내투습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면, 외기에 대한 차단성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에 의해 용기 (101) 를 폐개하는 경우, 먼저, 도 1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1) 의 일단측의 걸어 맞춤부 (7) 를, 용기 (101) 의 컬부 (103) 에 끼워 넣고, 이어서,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1) 의 반대측을 향하여 걸어 맞춤부 (7) 를 순차적으로 컬부 (103) 에 끼워 넣어 나가, 천개 (2) 를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여, 뚜껑체 (1) 의 타단측의 걸어 맞춤부 (7) 를 용기 (101) 의 컬부 (103) 에 끼워 넣음으로써, 용기 (101) 에 뚜껑체 (1) 를 끼워 넣어 폐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는 전체로서의 가요성을 갖고, 또한 측벽 (3) 의 하부벽 (6) 은 두께 방향으로 탄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기 (101) 의 개구부의 외치수보다, 하부벽 (6) 의 하단부의 내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용기 (101) 에 뚜껑체 (1) 를 끼워 넣을 수 있고, 용기 개구부 (컬부 (103)) 와 뚜껑체 (1) 의 하부벽 내면 및 천개 하면측이 밀착되어 높은 밀폐성으로 확실하게 용기 (101) 를 폐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뚜껑체 (1) 는, 컬부를 갖는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개구부에 끼워 넣어 높은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천개 (2) 에 있어서의 개구부 형성부 (11) 등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형성부 (11) 는, 개구부 (12) 및 뚜껑편 (13) 을 갖고 있고,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편 (13) 이 개구부 (12) 를 닫고 있는 상태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편 (13) 이 열려 개구부 (12) 가 개구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형성부 (11) 를 구성하는 개구부 (12) 는, 천개 (2) 의 내외를 연통하고, 천개 (2) 의 표면 (2a) 및 이면 (2b) 사이를 관통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12) 는, 예를 들어 뚜껑체 (1) 를 용기 (101) 에 장착한 경우에는, 용기 (101) 의 공간부 (105) 에 있는 내용물 (예를 들어 음료물이나 음식물 등) 의 출입구를 개구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형성부 (11) 는, 천개 (2) 에 있어서, 천개 (2) 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의 소정 위치까지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천개 (2) 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편 (13) 은, 천개 (2) 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일단부 (13a) 가 자유단이 되고, 일단부 (13a) 보다 중앙 가까이에 위치하는 타단부 (13b) 가 고정단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타단부 (13b) 에는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부 (14) 를 통하여 뚜껑편 (13) 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개구부 형성부 (11) 는, 뚜껑편 (13) 의 타단부 (13b) 에 있어서의 힌지부 (14) 를 지지점으로 하여, 일단부 (13a) 가 천개 (2) 에 대해 여는 동작이나 닫는 동작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 형성부 (11) 는, 뚜껑편 (13) 이 열렸을 때에 개구부 (12) 가 개구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뚜껑편 (13) 이 개폐 동작함에 있어서, 힌지부 (14) 에는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절곡선 (15) 은 천개 (2) 의 표면 (2a) 측 및/또는 이면 (2b) 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절곡선 (15) 을 힌지부 (14) 에 형성함으로써, 이 절곡선 (15) 을 기준으로 하여 뚜껑편 (13) 의 개폐 동작을 하기 쉽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는 지점에서 뚜껑편 (13) 의 타단부 (13b) 가 절곡되므로, 힌지부 (14) 에서 절곡됐을 때, 즉 뚜껑편 (13) 이 열렸을 때에 절곡되기 쉽고, 또한 깔끔하게 절곡되도록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절곡선 (15) 을 형성함으로써, 그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는 지점 이외의 장소가 지지점이 되어 뚜껑편 (13) 이 절곡되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절곡선 (15) 은,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선상으로 압압할 수 있다. 즉, 프레스 성형기 등에 의해 절곡선 (15) 을 형성하는 소정의 지점에 선상의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절곡선 (15)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곡선 (15) 을 형성한 특정한 장소에 있어서만 뚜껑편 (13) 이 절곡되므로, 그 뚜껑편 (13) 이 절곡되는 위치의 편차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선 (15) 의 형성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개구부 형성부 (11) 는, 용기 (101) 에 뚜껑체 (1) 를 장착한 상태에서 뚜껑편 (13) 을 열면, 용기 (101) 의 공간부 (105) 를 개구부 (12) 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 (12)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은, 용기 (101) 에 뚜껑체 (1) 를 장착한 상태일 때에, 개구부 (12) 의 일단측 단부 (12a) (뚜껑편 (13) 의 일단부와 동일한 측의 단부) 가 용기 (101) 의 내측벽 (106)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장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 형성부 (11)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에 있어서는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 이외의 지점에 있어서는, 절입선 (16) 이 형성됨과 함께, 이 절입선 (16) 과 절입선 (16) 사이에 형성된 점상 접합부 (17) 에 의해 천개 (2) 에 접합되어 있다. 개구부 형성부 (11) 를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점상 접합부 (17) 가 존재함으로써 뚜껑편 (13) 이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시일 부재 (21) 에 의해 끌어당겨지거나, 또는 시일 부재 (21) 에 의해 끌어올려졌을 때에, 점상 접합부 (17) 가 절단되어, 이 점상 접합부 (17) 에서의 접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 형성부 (11)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입선 (16) 과 점상 접합부 (17) 에 의해 형성하는 것 외에, 뚜껑편 (13) 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따라 (바꾸어 말하면 개구부 (12) 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따라) 절단 가능 라인을 형성한, 하프 컷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하프 컷부 (H) (도 18 참조) 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입선 (16) 이나 점상 접합부 (17) 는 없고, 뚜껑편 (13) (또는 개구부 (12)) 의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프 컷부에 있어서의 절입의 깊이는, 천개 (2) 의 전체적인 두께보다 얇고, 또한 절입선 (16) 과 같이 천개 (2) 의 표면 (2a) 및 이면 (2b) 사이를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절입선 (16) 및 점상 접합부 (17) 와, 하프 컷부 (H) 를 사용할 때에는, 이들 뚜껑체 (1) 에 있어서 절입선 (16) 및 점상 접합부 (17) 를 대신하여 하프 컷부 (H) 를 형성하는 경우 외에, 절입선 (16) 및 점상 접합부 (17) 와 하프 컷부 (H) 를 각각 사용하고 있어도 된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편 (13) 에는,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타단부 (13b) 에, 뚜껑편 (13) 을 끌어올렸을 때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 발생하는 응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응력 경감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응력 경감부 (18) 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에 있어서 뚜껑편 (13) 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서로의 절입선 (1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응력 경감부 (18) 는, 절입선 (16) 의 타단부측의 단부가,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직경 방향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 즉, 그 직경 방향의 위치보다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응력 경감부 (18) 에 있어서 절입선 (16) 의 타단측의 단부의 위치를 상기한 위치로 함으로써, 힌지부 (14) 에 인접하는 위치에서의 절입선 (16) 이 형성됨으로써 당해 위치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당해 위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과 동일한 지점에 절입선 (16) 의 타단측의 위치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과는 다른 상이한 지점에 절입선의 타단측 단부의 위치가 위치하도록 형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응력 경감부 (18) 를 형성함으로써, 뚜껑편 (13) 을 열었을 때에, 절입선 (16) 의 타단측 단부측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뚜껑편 (13) 을 여는 것과 더불어 천개 (2) 에 파괴나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입선 (16) 은,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개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이면 (2b) 과 수직으로 절입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개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이면 (2b) 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입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개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이면 (2b) 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입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절입선 (16) 을 따라 비교적 뚜껑편 (13) 을 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선 (16) 을 절입 형성한 경우에는, 천개 (2) 측에 형성되어 있는 사면상 (斜面狀) 으로 형성된 절입면과, 뚜껑편 (13) 측에 형성되어 있는 사면상으로 형성된 절입면이 서로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뚜껑편 (13) 을 끌어올리려고 했을 때나, 용기 (101) 를 뚜껑체 (1) 로 폐개한 경우에, 공간부 (105) 내의 증기압의 변화 등에 의해 천개 (2) 의 이면 (2b) 측으로부터 표면 (2a) 측을 향하여 압압됐을 때라도, 뚜껑편 (13) 측의 절입면과 천개 (2) 측의 절입면이 서로 맞닿아, 뚜껑편 (13) 을 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뚜껑편을 형성하면, 갑자기 뚜껑편 (13) 이 열리거나 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개 (2) 측과 뚜껑편 (13) 측에서 서로 사면상의 절입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천개 (2) 측의 절입면은, 표면측의 절입면 단부가 이면 (2b) 측의 절입면 단부보다 중앙 가까이에 형성된 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게다가 뚜껑편 (13) 측의 절입면은, 이면 (2b) 측의 절입면의 단부가 표면 (2a) 측의 절입면의 단부보다 직경 방향 외방 가까이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 형성부 (11) 는, 이른바 빅토리아 펀칭이라고 불리는 방법이나, 빅토리아 펀칭에 상당하는 종래부터 공지된 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빅토리아 펀칭에 있어서 개구부 형성부 (11) 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펀칭 가공을 실시할 때에 사용되는 펀칭날의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7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0.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날의 두께가 0.4 ㎜ 이하인 경우에는, 절입선 (16) 이 형성되면서도, 절단 후에 있어서의 종이 재료의 특성에 의해, 그 절입선 (16) 으로부터의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이 절입선 (16) 으로부터의 누출을 크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구부 (12) 는,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음료물을 넣는 용기의 뚜껑체 (1) 인 경우에는 용기 (101) 내의 음료물을 이용자가 마실 때에 용기 (101) 내의 음료물을 용기 (101)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음용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개구이다. 또, 개구부 (12) 는, 스트로와 같은 것을 용기 (101) 의 공간부 (105) 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편 (13) 에는, 시일 부재 (21)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 (21) 의 일단부 (21a) 에는 접합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부 (22) 는 초음파 접합이나 히트 시일, 접착제에 의한 접합 등과 같은 각종 방법에 의해, 뚜껑편 (13) 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접합부 (22) 에 있어서의 접합의 방법으로는, 상기한 것 중 접합의 용이성이나 접합의 강도 등과 같은 관점에서, 초음파 접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뚜껑편 (13) 에 대해 시일 부재 (21) 가 장착되어 있는 일단부 (21a) 측의 지점은, 뚜껑편 (13) 의 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 나아가서는 그 뚜껑편 (13) 에 있어서 천개 (2) 의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위치, 나아가서는 그 천개 (2) 의 중앙부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즉, 시일 부재 (21) 는, 뚜껑편 (13) 에 있어서, 일단부 (13a) 측에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뚜껑편 (13) 에 있어서, 시일 부재 (21) 가 천개 (2) 의 일단측과 접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뚜껑편 (13) 및 시일 부재 (21) 가 접합되는 접합부 (22) 는, 뚜껑편 (13) 에 있어서 힌지부 (14) 와는 떨어진 일단부 (13a)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뚜껑편 (13) 에 있어서, 시일 부재 (21) 가 힌지부 (14) 보다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으면, 힌지부 (14) (지지점) 에 대한 역점까지의 거리를 벌릴 수 있다. 이로써, 시일 부재 (21) 를 들어올리거나 하고 있을 때에, 시일 부재 (21) 를 통하여 뚜껑편 (13) 에 힘이 부여되고, 점상 접합부 (17) 나 하프 컷부에 있어서의 접합을 해제하여, 뚜껑편 (13) 을 보다 개폐하기 쉽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일 부재 (21) 는, 뚜껑편 (13) 에 장착되어 있는 일단부 (21a) 와, 이 일단부 (21a) 와 대향하는 타단부 (21b) 를 갖고 있다. 이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에는, 시일 부재 (21) 에 절입선을 넣음으로써 클로상으로 형성된 유지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 (23) 는, 시일 부재 (21) 에 있어서 타단부 (21b) 에 근접하는 위치로서 소정 범위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부 (23) 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상태일 때에는, 시일 부재 (21) 에 대해 절입선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천개 (2) 에 형성된 유지 수용부 (26) 에 의해 유지될 때,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로상으로 형성된 유지부 (23) 가 유지 수용부 (26) 로서 형성된 절입선에 삽입될 때에는, 시일 부재 (21) 로부터 천개 (2) 의 표면 (2a) 을 향하여 돌출되는 클로상으로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지부 (23) 의 형상은 삼각 형상으로 끝이 뾰족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 유지부 (23) 의 형상은 삼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 (23) 를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클로상의 유지부 (23) 를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함으로써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 유지부 (23) 의 형상은 이들 이외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 수용부 (26) 에 의해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2 및 도 4 등에 있어서 부호 27 로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의 손잡이부 (24) 를 잡고 유지부 (23) 를 천개 (2) 를 향하여 돌출 형성시켰을 때에 형성되는 접음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앞서 예시한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타단부 (23b) 를 천개 (2) 에 접착해 두어도 된다. 그것에 의해, 사용 전에 시일 부재 (21) 가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일 부재 (21) 를 형성하는 소재는, 천개 (2) 나 측벽 (3) 을 형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것, 예를 들어 상기한 종이계 소재나 그 이외의 상기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시일 부재 (21) 를 형성 가능한 소재로는, 예를 들어 목편이나 필름상의 부재, 금속제의 부재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이들 부재를 사용할 때에는, 유지부 (23) 를 형성 가능할 것과, 유지부 (23) 가 유지 수용부 (26) 에 있어서 유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일 것이 필요하게 된다. 요컨대, 시일 부재 (21) 는, 사용자가 손잡이부 (24) 를 잡고 조작함으로써 뚜껑편 (13) 을 끌어올릴 수 있고, 나아가서는 유지부 (23) 가 유지 수용부 (26) 에 유지되고, 게다가 유지부 (23) 가 피유지부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개구부 (12) 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임의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에 있어서, 개구부 형성부 (11) 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 (1) 에 있어서 시일 부재 (21) 의 손잡이부 (24) 를 사용자가 잡고,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를 들어올린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단부 (21b) 가 천개 (2) 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를 잡을 때에 그 시일 부재 (21) 를 천개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벗김으로써 이들의 접합을 해제하여,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에 있어서의 손잡이부 (24) 를 잡고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 (24) 를 잡으면서 시일 부재 (21) 를 B 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시일 부재 (21) 의 일단부 (21a) 에 있어서의 접합부 (22) 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뚜껑편 (13) 이, 힌지부 (14) 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 중 C 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이 때, 시일 부재 (21) 는 뚜껑편 (13) 의 일단부 (13a) 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으므로, 힌지부 (14) 를 지지점으로 하고, 접합부 (22) 를 역점으로 하여 생각한 경우에, 접합부 (22) 를 통하여 사용자가 가하는 B 방향의 힘에 의해, C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때에 힌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에 절곡선 (15) 이 형성되어 있으면, 보다 뚜껑편 (13) 이 C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기 쉬워진다. 그리고, 더욱 사용자가 B 방향으로 시일 부재 (21) 를 끌어당기면, 뚜껑편 (13) 은 타단부 (13b) 를 중심으로 C 방향으로 계속 회동하여, 개구부 (12) 가 개구 형성된다. 또한, 이 때에, 사용자는 손잡이부 (24) 를 잡으면서, 유지부 (23) 를 천개 (2) 의 표면 (2a)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를 절곡시켜도 되고, 유지 수용부 (26) 의 근방에 도달할 때까지 타단부 (21b) 를 절곡시키지 않고 있고, 유지부 (23) 를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하여 유지부 (23) 가 유지되기 직전에, 시일 부재 (21) 의 타단부 (21b) 를 절곡시켜 그 유지부 (23)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유지부 (23) 를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유지부 (23) 와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함으로써, 시일 부재 (21) 의 위치 및 뚜껑편 (13) 의 개구되는 위치가 물리적으로 고정된다. 즉, 예를 들어 점착성을 갖는 시일을 사용하여 뚜껑편 (13) 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면, 뚜껑편 (13) 의 이면측은, 특히 내용물이 음료이거나 뜨거운 것이거나 하면 수증기나 음료가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시일해도 곧바로 벗겨져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점착성을 갖는 시일로 뚜껑편 (13) 을 고정시키려고 해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점착력이 점차 약해지고, 언젠가는 벗겨져 뚜껑편 (13) 이 개구부 (12) 를 닫고 있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뚜껑편 (13) 의 동작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천개 (2) 의 표면 (2a) 을 얼굴에 가까이 대고 있을 때에 발생하면, 사용자의 코나 얼굴에 뚜껑편 (13) 이 닿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시일 부재 (21) 를 유지부 (23) 를 유지 수용부 (26) 에 의해 유지시킴으로써 물리적으로 고정시키므로, 시간의 경과와 함께 뚜껑편 (13) 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동작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개구부 (12) 가 개구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 (101) 의 공간부 (105) 에 있는 내용물을 입에 대려고 하는 경우에도, 뚜껑편 (13) 이 얼굴에 닿지 않고, 쾌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에 의하면, 사용자는 유지부 (23) 를 조작하여 뚜껑편 (13) 을 끌어올리므로, 뚜껑편 (13) 의 이면측에 닿지 않고 개구부 (12) 를 개구시키거나, 개구부 (12) 를 닫도록 뚜껑편 (13) 을 조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뚜껑편 (13) 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내용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거나 하지도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또한 개구부 (12) 를 개구시킬 때에도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의하면, 유지 수용부에 의해 유지된 상태의 유지부를 조작함으로써,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도 뚜껑편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부를 조작함으로써, 복수회의 뚜껑편의 개폐 동작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동안에 용기 내의 내용물, 예를 들어 음료를 다 마시지 않은 경우 등에도 뚜껑편을 간단하게 닫을 수 있고, 또 닫은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에 의하면, 종이계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경 문제에도 배려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a) 내지 (f) 에 나타내는 것은, 개구부 형성부 (11) 의 예이다. 또한, 도 11(d) 의 양태는 앞서 설명한 뚜껑체 (1) 에 형성한 개구부 형성부 (11) 의 예이지만, 여기서도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이 개구부 형성부 (11) 는, 구체적으로는 뚜껑편 (13) 의 형상과 동일하고, 또한 뚜껑편 (13) 이 열린 경우에는 개구부 (12) 도 동일한 형상이 된다. 여기서는, 개구부 형성부 (11) 의 형상으로서 설명하지만, 뚜껑편 (13) 및 개구부 (12) 도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개구부 형성부 (11) 는, 앞서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변형예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의로 선택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a)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는, 그 개구부 형성부 (11) 에 있어서의 일단부 (13a) 측이 되는 일단부측에 1 개 지점, 그리고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 (13b) 측이 되는 타단부측에 이르는 도중에 있어서, 좌우 각각에 1 개 지점씩의 합계 3 개 지점에 있어서 점상 접합부 (17) 를 형성하고 있다. 또, 타단부 (13b) 측이 되는 타단부측에서는, 개구부 형성부 (11) 를 형성하는 절입선 (16) 이 타단부측으로부터 일단부측을 향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절입선 (16) 의 타단부 (13b) 측에 응력 경감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응력 경감부 (18) 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입선 (16) 의 타단부 (13b) 측 단부가 개구부 형성부 (11) 에 있어서의 타단부 (13b) 측 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응력 경감부 (18) 는, 개구부 형성부 (11) 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응력 경감부 (18) 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개구부 (12) 를 개구시키기 위해 뚜껑편 (13) 을 이동시킬 때 등에, 그 뚜껑편 (13) 등에 대해 가해지고 있던 힘에 의한 천개 (2) 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b)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는, 상기한 도 11(a) 에 있어서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다. 그리고, 도 11(b)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에서는, 절입선 (16) 에 더하여, 기단부측에 절곡선 (15) 을 형성하고 있는 양태이고, 또 도 11(c) 에 나타내는 것은 절입선 (16) 에 더하여, 뚜껑편 (13) 의 선단부측에 절곡선 (31) 을 형성하고 있는 양태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절곡선 (15) 및 절곡선 (31) 은, 개구부 형성부 (11) 인 뚜껑편 (13) 이 누워 있는 상태 (즉 개구부 (12) 를 폐색하고 있는 상태) 로부터 일어나는 상태 (즉 개구부 (12) 를 열고 있는 상태) 가 될 때에, 그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의 타단부 (13b) 측 단부가 절곡되는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곡선 (15) 이 개구부 형성부 (11) 의 기단부측에 형성됨으로써,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이 일어나는 상태가 될 때의 일어나는 방식이나 일어났을 때의 편차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절곡선 (31) 은, 개구부 형성부 (11) 의 일단부 (13a) 측 단부에 형성됨으로써, 그 개구부 형성부 (11) 가 형성되어 있는 천개 (2) 가 절곡되는 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구부 형성부 (11) 가 누워 있는 상태로부터 일어난 상태로 이동할 때에, 개구부 형성부 (11) 의 일단부 (13a) 측 단부에 대한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1(d)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에서는, 상기한 도 11(a) 에 있어서의 형상과는 타단부 (13b) 측의 폭 치수보다 일단부 (13a) 측의 폭 치수 쪽이 크게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와 같이 개구부 형성부 (11) 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용기 (101) 내의 내용물에 얼음 등과 같은 고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자가 이용에 제공하고 있을 때에, 그 얼음 등과 같은 고체는 본 예의 개구부 형성부 (11) 에서는 이와 같은 고체 등이 이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간다는 우려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1(e)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에서는, 도 11(d) 에 있어서의 형상과는 반대의 폭 치수를 갖고 있다. 즉, 이 개구부 형성부 (11) 는, 타단부 (13b) 측의 폭 치수가 일단부 (13a) 측의 폭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와 같이 개구부 형성부 (11)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용기 (101) 내의 내용물에 얼음 등과 같은 고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용자가 이용에 제공하고 있을 때에, 그 얼음 등과 같은 고체는 본 예의 개구부 형성부 (11) 에서는 이와 같은 고체 등이 이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간다는 우려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1(f) 에 나타내는 개구부 형성부 (11) 는, 응력 경감부 (18) 가 내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양태이다. 이와 같이, 응력 경감부 (18) 를 내향으로 해도, 힌지부 (14) 와는 상이한 위치에 절입선 (16) 의 단부가 위치하므로,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천개 (2) 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상 접합부 (17) 는, 적어도 일단부 (13a) 측의 단부인 일단측 단부의 최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개구부 형성부 (11) 는 시일 부재 (21) 를 통하여 사용자의 힘이 부여되는 바, 상기한 지점에 점상 접합부 (17) 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힘이 부여된 곳에서 들어올려짐이 발생하여, 용기 (101) 의 내용물이 개구부 (12) 로부터 누출될 우려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 에 나타내는 양태에 있어서도,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을 형성함에 있어서 절입선 (16) 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도 되고, 하프 컷부 (H) 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도 된다. 또, 이들 이외의 양태로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을 형성해도 된다.
도 12 내지 도 23 에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의 양태이다.
도 12(a) 에 나타내는 것은, 앞서 설명한 시일 부재 (21) 의 예이고, 도 12(b) 에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에 있어서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과 접합부 (22) 에 있어서 접합시키면서, 추가로 접합부 (22) 보다 선단측으로까지 연장 돌출시킨 예이다. 또, 도 12(c) 에 나타내는 것은, 개구부 형성부 (11) 를 전체적으로 시일 부재 (21) 로 덮도록 하여 접합한 예이다. 예를 들어, 이 도 1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부재 (21) 에 의해 개구부 형성부 (11) 로서의 뚜껑편 (13) 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하면, 뚜껑편 (13) 의 주위를 형성하는 절입선 (16) 등과 같은 간극으로부터 내용물로서의 음료물 등이 천개 (2) 의 표면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시일 부재 (21) 에 상기한 간극을 덮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딜리버리시나 테이크 아웃시와 같은, 비교적 뚜껑체 (1) 를 장착한 용기 (101) 가 흔들리기 쉬운 상황에 있거나, 또는 뚜껑체 (1) 를 장착한 용기 (101) 가 기울어지기 쉬운 상황에 있었다고 해도, 천개 (2) 의 외부로 누출되려고 하는 내용물로서의 음료물을 시일 부재 (21) 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누출이 없는 뚜껑체 (1)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d) 에 나타내는 것은, 개구부 형성부 (11) 를 덮도록 형성함과 함께, 상기한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가늘게 하도록 형성한 예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한 내용물로서의 음료물의 누출을 보다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타단부 (21b) 를 이용자가 잡기 쉽고, 조작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e) 에는, 시일 부재 (21) 의 선단 부분을 개구부 형성부 (11) 의 선단부와 면일 (面一) 로 한 예이다. 이와 같이 해도 시일 부재 (21) 로서의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3 에 나타내는 시일 부재 (21) 는, 개구부 형성부 (11) 를 전체적으로 덮음과 함께, 그 시일 부재 (21) 의 일단부 (21a) 의 접합부 (22) 를 뚜껑편 (13) 의 일단부 (13a) 보다 비어져 나온 위치에 형성한 예이다. 이와 같은 위치에 접합부 (22) 를 형성하면, 뚜껑편 (13) 과 시일 부재 (21) 의 접합뿐만 아니라, 천개 (2) 의 표면 (2a) 과 시일 부재 (21) 도 접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시일 부재 (21) 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 (예를 들어 뚜껑체 (1) 가 미사용 상태일 때) 인 경우에는, 개구부 형성부 (11) 에 있어서의 밀폐 상태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도 13(b) 에 나타내는 양태도 마찬가지이며, 역시 시일 부재 (21) 를 뚜껑편 (13) 과 천개 (2) 의 양방에 접합함으로써, 개구부 형성부 (11) 에 있어서의 밀폐 상태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 에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의 다른 형태이다. 이 시일 부재 (21) 는, 지금까지 예시한 시일 부재 (21) 와는 달리, 유지부 (23) 의 형상이 상이하다. 즉, 도 14(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시일 부재 (21) 의 유지부 (23) 는, 시일 부재 (21) 의 장변 (32) 에,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오목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는 타단부 (21b) 측의 단부가 걸림부 (34) 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시일 부재 (21) 는, 폭 방향의 타단부 (21b) 가까이에 절곡 가능한 접음선 (35)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시일 부재 (21)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음선 (35) 을 산 접기하면, 장변 (32) 에 형성되어 있던 2 개의 오목부 (33) 가 유지부 (23) 가 된다. 그리고, 뚜껑편 (13) 을 끌어올려 개구부 (12) 를 개구시킨 상태에서는, 시일 부재 (21) 의 유지부 (23) 에 있어서의 오목부 (33) 가 측벽 (3) 의 상단부에 끼이고, 그리고 걸림부 (34) 가 측벽 (3) 의 외벽측과 걸어 맞춰져 유지된다. 이 때의 유지 수용부 (26) 는 측벽 (3) 이 된다. 즉, 유지 수용부 (26) 는, 천개 (2) 에 형성될 뿐만 아니라, 측벽 (3) 에 형성해도 되고, 또 측벽 (3) 자체를 유지 수용부 (26) 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의 다른 예이다. 이 시일 부재 (21) 는, 유지부 (23) 가 도면 중의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열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수용부 (26) 는, 그 열쇠상으로 형성된 유지부 (23) 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지부 (23) 의 선단부 (23a) 의 삽입이 가능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지부 (23) 는, 선단부 (23a) 를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함으로써, 뚜껑편 (13) 을 연 상태, 나아가서는 개구부 (12) 를 개구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것은, 시일 부재 (21) 의 다른 예이다. 이 예에서는, 유지부 (23) 가 천개 (2) 에 형성되어 있고, 유지 수용부 (26) 가 시일 부재 (21) 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부 (23) 및 유지 수용부 (26) 를 형성한 경우, 천개 (2) 에 있어서의 유지부 (23) 를 천개 (2) 의 표면 (2a) 보다 상향이 되도록 미리 해 두고, 그리고 시일 부재 (21) 에 형성되어 있는 유지 수용부 (26) 에 삽입함으로써, 유지부 (23) 가 유지된 상태가 된다. 즉, 뚜껑편 (13) 이 열려 있고, 개구부 (12) 가 개구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23 에 나타내는 것은, 유지 수용부 (26) 의 다른 예이다. 이 예에서는, 유지 수용부 (26) 가 천개 (2) 의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 지금까지의 예와는 상이하다. 이와 같이 유지 수용부 (26) 를 복수 지점에 단계적으로 형성하면, 유지부 (23) 를 삽입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유지 수용부 (26) 를 복수 지점에 형성하면, 뚜껑편 (13) 의 여는 방식을 조절하는 것, 바꾸어 말하면 개구부 (12) 의 개구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예를 들어, 용기 (101) 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소량의 내용물을 개구부 (12) 로부터 꺼낼 때에는 유지 수용부 (26a) 에 유지부 (23) 를 삽입하고, 대량의 내용물을 개구부 (12) 로부터 꺼낼 때에는 유지 수용부 (26b) 에 유지부 (23) 를 삽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내용물을 꺼내는 양 등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4 내지 도 30 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의 천개 (2) 및 측벽 (3) 에 있어서의 다른 예이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는 것은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다른 구성의 천개 (2) 및 측벽 (3) 을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도 24 내지 도 27 은, 설명의 편의상, 시일 부재 (21) 의 기재를 생략한다.
도 24 에 나타내는 뚜껑체 (1) 는, 천개 (2) 의 상승부 (4) 와 측벽 (3) 의 상단이 면일로 되어 있는 양태이다. 이 경우, 도 2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 (4) 와 측벽 (3) 의 상단이 면일로 되어 있는 양태뿐만 아니라, 도 2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 (4) 를 내측에 집어 넣고, 상승부 (4) 의 상단이 되는 굴곡 부분의 높이 위치와 측벽 (3) 의 상단의 위치를 면일로 해도 된다. 또, 도 2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부 (4) 의 굴곡 부분의 높이 위치와 측벽 (3) 의 상단의 위치를 면일로 하면서, 상승부 (4) 의 되접음부를 천개 (2) 까지 도달시키지 않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4(d),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3) 을 외측으로 되접은 되접음 부분의 상단 위치와 상승부 (4) 의 상단 위치를 맞춰 면일로 해도 된다.
도 25 에 나타내는 것은, 뚜껑체 (1) 의 상단부에 장출부로서의 컬부 (41) 를 형성한 예이다. 이 컬부 (41) 의 형상은, 도 25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컬상으로 형성한 것을 찌부러뜨려 플랜지상으로 한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의 장출부는, 측벽 (3) 보다 외측을 향하여 장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5(a) 에서는, 상승부 (4) 와 측벽 (3) 이 면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측벽 (3) 에 컬부 (41) 가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또, 도 25(b) 는, 측벽 (3) 에 컬부 (41)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도 25(a) 와 동일하지만, 상승부 (4) 가 측벽 (3)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25(c) 에 나타내는 것은, 측벽 (3) 에 컬부 (41)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승부 (4) 가 측벽 (3) 의 상단 위치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는 예이다. 또한, 도 25(d) 에 나타내는 것은, 상승부 (4) 의 상단 부분이 측벽 (3) 의 상단 위에 위치하고, 나아가 측벽 (3) 보다 외측으로 장출되어 컬부 (41) 를 형성하고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이 하여 컬부 (41) 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컬부 (41) 를 형성하면, 측벽 (3) 이나 천개 (2) 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작용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뜨거운 음료를 마실 때 등에 있어서는, 이 컬부 (41)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입술에 불쾌한 뜨거움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거나, 입에 닿는 느낌을 좋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6 에 나타내는 것은, 상승부 (4) 가 측벽 (3)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양태이다. 예를 들어, 도 26(a) 에서는, 상승부 (4) 가 측벽 (3)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도 26(b) 및 도 26(c) 에서는, 상승부 (4) 가 내측으로 되접어 형성되어 있고, 그 되접음 단부의 위치가 측벽 (3) 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어 있다. 도 26(d) 및 도 26(e) 에서는, 측벽 (3) 이 외측으로 되접어 형성되어 있고, 그 되접음 단부의 위치보다 상승부 (4) 의 상단의 위치가 위로 돌출되어 있다.
도 27 에 나타내는 것은, 도 26 과는 반대로, 상승부 (4) 의 상단이 측벽 (3) 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양태이다. 도 27(a) 에서는, 측벽 (3) 의 상단의 위치가 상승부 (4) 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도 27(b) 및 도 27(c) 에서는, 상승부 (4) 가 내측으로 되접어 형성되어 있고, 그 되접음 부분의 상단 위치보다 측벽 (3) 의 상단 위치 쪽이 위에 위치하는 예이다. 또, 도 27(d) 및 도 27(e) 에서는, 측벽 (3) 이 외측으로 되접어 형성되어 있고, 그 되접음 부분의 높이 위치가 상승부 (4) 의 상단 위치보다 위에 있는 예이다.
도 28(a) 및 도 28(b) 에 나타내는 것은, 천개 (2) 에 경사부 (51) 가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이, 천개 (2) 에 경사부 (51) 가 형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음료 등을 다 마시고 용기 (101) 나 용기 (101) 에 장착한 뚜껑체 (1) 를 기울인 상태로부터 천개 (2) 가 수평이 되는 상태로 되돌렸을 때에, 상승부 (4) 의 내면에 남은 음료가 경사부 (51) 를 타고 개구부 (12) 로 되돌아오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경사부 (51) 를 형성함으로써, 천개 (2) 의 표면 (2a) 등에 음료가 남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부 (51) 를 천개 (2) 에 형성한 경우에는, 개구부 (12) 의 위치는, 도 2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 (51) 를 피한 위치에 형성해도 되고, 도 2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 (51) 의 일부에 개구부 (12) 가 형성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도 28(c) 에 나타내는 것은, 지금까지 설명한 뚜껑체 (1) 로서, 하부벽 (6) 의 하단부에 유도부 (52) 를 형성한 예이다. 이 유도부 (52) 는, 용기 (101) 에 장착할 때에, 뚜껑체 (1) 를 용기 (101) 에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유도부 (52) 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101) 에 대해 보다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29 에 나타내는 것은, 지금까지 설명한 뚜껑체 (1) 로서, 하부벽 (6) 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부 (7) 의 형태의 다른 예이다. 이들 도 29(a) 에 나타내는 것은, 지금까지 설명한 뚜껑체 (1) 의 양태이고, 걸어 맞춤부 (7) 가 외방향을 향하여 팽출되지 않고, 직선상으로 끝이 가는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9(b) 내지 (e) 에 나타내는 것은, 걸어 맞춤부 (7) 의 형상은 도 29(a) 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직선상으로 끝이 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상승부 (4) 를 형성하지 않고, 천개 (2)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하강시켜 형성한 하강부 (61) 를 갖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뚜껑체 (1) 여도 된다.
도 30 에 나타내는 것은, 천개 (2) 의 둘레 가장자리가 하강하는 하강부 (61) 를 갖고, 그 하강부 (61)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측벽 (3) 이 형성되고, 또한 이들 하강부 (61) 와 측벽 (3) 이 접합되어 형성된 뚜껑체 (1) 의 예이다. 도 30(a) 는 걸어 맞춤부 (7) 가 직선상으로 형성된 끝이 가는 테이퍼상이고, 도 30(b) 의 뚜껑체 (1) 는, 걸어 맞춤부 (7) 가 외방향으로 팽출되는 형태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 (1) 는, 이와 같은 많은 양태의 뚜껑체 (1) 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것 이외의 양태의 뚜껑체 (1) 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한 것은 본 발명에 관련된 뚜껑체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 상기한 뚜껑체의 구성은, 각각의 예의 뚜껑체의 구성을 독립적으로 사용해도 되고, 각각의 예의 뚜껑체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해도 된다.
1 : 뚜껑체
2 : 천개
3 : 측벽
4 : 상승부
5 : 상부벽
6 : 하부벽
7 : 걸어 맞춤부
11 : 개구부 형성부
12 : 개구부
13 : 뚜껑편
21 : 시일 부재
23 : 유지부
26 : 유지 수용부

Claims (6)

  1. 종이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천개를 구비한 뚜껑체로서,
    상기 천개는,
    상기 천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뚜껑편과,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뚜껑편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가 개구된 상태로 상기 유지부를 유지하는 유지 수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편에는, 그 뚜껑편을 끌어올려 상기 개구부를 개구시키기 위한 시일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뚜껑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시일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클로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용부는, 상기 천개에 절입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유지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뚜껑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개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요상으로 형성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지 수용부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용부가 상기 측벽부인 뚜껑체.
KR1020227008156A 2020-01-10 2021-01-12 뚜껑체 KR10248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5711A KR20230008242A (ko) 2020-01-10 2021-01-12 뚜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12012 2020-01-10
JP2020012012 2020-01-10
PCT/JP2021/000737 WO2021141139A1 (ja) 2020-01-10 2021-01-12 蓋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711A Division KR20230008242A (ko) 2020-01-10 2021-01-12 뚜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989A true KR20220035989A (ko) 2022-03-22
KR102483019B1 KR102483019B1 (ko) 2022-12-29

Family

ID=767880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711A KR20230008242A (ko) 2020-01-10 2021-01-12 뚜껑체
KR1020227008156A KR102483019B1 (ko) 2020-01-10 2021-01-12 뚜껑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711A KR20230008242A (ko) 2020-01-10 2021-01-12 뚜껑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685576B2 (ko)
EP (1) EP4005940A4 (ko)
JP (1) JP6942285B1 (ko)
KR (2) KR20230008242A (ko)
CN (3) CN115416991A (ko)
AU (2) AU2021206361A1 (ko)
CA (1) CA3164181C (ko)
MX (1) MX2022002896A (ko)
MY (1) MY194494A (ko)
TW (2) TWI792844B (ko)
WO (1) WO2021141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8932A1 (en) * 2019-07-30 2022-08-18 Kikuo Yamada Lid
AU2021284100A1 (en) * 2020-06-04 2023-02-02 Ky7 Inc. Lid body
JP1679936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09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3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11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78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1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0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79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80013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4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82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JP1679510S (ja) * 2020-07-16 2021-02-22 包装用容器の蓋
TWI734639B (zh) * 2020-11-03 2021-07-21 統奕包裝股份有限公司 杯蓋
TW202417345A (zh) * 2022-09-26 2024-05-01 日商Ky7股份有限公司 蓋體、附蓋體的容器、蓋體與容器的組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411A (en) * 1975-04-21 1976-11-30 Anna J. Elfelt Container lid with foldback drink opening
US5090584A (en) * 1991-02-27 1992-02-25 Scott Paper Company Multi-function cup lid
JP2006219154A (ja) * 2005-02-09 2006-08-24 Toppan Printing Co Ltd アルミレス蓋材
JP2006248530A (ja) 2005-03-08 2006-09-21 Pic:Kk 紙製容器用の紙製蓋
WO2011082486A1 (en) * 2010-01-07 2011-07-14 Amhil Enterprises Beverage cup lid and beverage cup combination
WO2016069755A1 (en) * 2014-10-29 2016-05-06 Westrock Mwv, Llc Paperboard cup li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20116366A (ja) 2019-01-28 2020-08-06 ゴールデン アロー プリンティング テクノロジー(クンシャ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飲料コップ用のパルプ成形紙蓋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3582A (en) * 1980-01-14 1981-03-03 Shields Michael R Easy-open container end
US4759478A (en) * 1982-05-03 1988-07-2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Hinged plug type lid
US4433808A (en) 1982-05-03 1984-02-2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ourable, recloseable lid
JPH068224U (ja) * 1992-07-02 1994-02-01 勝美 森本 写真等の整理容器
CN1029106C (zh) * 1993-04-29 1995-06-28 范国伟 容器罐盖封口
JPH0717554A (ja) * 1993-06-30 1995-01-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再封性を有する蓋材
JP3596684B2 (ja) * 1994-05-31 2004-12-02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用プルタブ
IT1280461B1 (it) * 1995-09-11 1998-01-20 Cesare Mongarli Contenitore, particolarmente per bevande.
JP3942285B2 (ja) 1998-09-25 2007-07-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間圧延方法および熱間圧延設備
US6471122B1 (en) * 1999-02-13 2002-10-29 Stone Container Corporation Paperboard can with an integrated paperboard lid having a slide closure
JP2008062952A (ja) * 2006-09-06 2008-03-21 Ko Kodama 飲料用カップ蓋
ITUD20070159A1 (it) * 2007-09-07 2007-12-07 Internat Patents And Brands Co Contenitore per una sostanza, in particolare una bevanda, con elemento di chiusura apribile a strappo
JP5145061B2 (ja) * 2008-01-31 2013-02-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蓋付カップ容器
KR101518667B1 (ko)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TWM505462U (zh) * 2015-02-10 2015-07-21 South Plastic Industry Co Ltd 杯蓋
GB2540343B (en) * 2015-07-03 2017-12-20 Pocket Enterprises Ltd A reusable cup
CN209777222U (zh) * 2018-12-26 2019-12-13 刘文钦 一种具可盖合易撕纸杯盖
TWI734639B (zh) * 2020-11-03 2021-07-21 統奕包裝股份有限公司 杯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411A (en) * 1975-04-21 1976-11-30 Anna J. Elfelt Container lid with foldback drink opening
US5090584A (en) * 1991-02-27 1992-02-25 Scott Paper Company Multi-function cup lid
JP2006219154A (ja) * 2005-02-09 2006-08-24 Toppan Printing Co Ltd アルミレス蓋材
JP2006248530A (ja) 2005-03-08 2006-09-21 Pic:Kk 紙製容器用の紙製蓋
WO2011082486A1 (en) * 2010-01-07 2011-07-14 Amhil Enterprises Beverage cup lid and beverage cup combination
WO2016069755A1 (en) * 2014-10-29 2016-05-06 Westrock Mwv, Llc Paperboard cup lid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2020116366A (ja) 2019-01-28 2020-08-06 ゴールデン アロー プリンティング テクノロジー(クンシャン)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飲料コップ用のパルプ成形紙蓋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13610A2 (pt) 2022-09-13
CA3164181A1 (en) 2021-07-15
MX2022002896A (es) 2023-02-21
TWI792844B (zh) 2023-02-11
CN115477091A (zh) 2022-12-16
KR20230008242A (ko) 2023-01-13
US11685576B2 (en) 2023-06-27
WO2021141139A1 (ja) 2021-07-15
US20220281650A1 (en) 2022-09-08
CN114423686A (zh) 2022-04-29
EP4005940A4 (en) 2022-11-30
MY194494A (en) 2022-11-30
CA3164181C (en) 2023-06-27
TW202233486A (zh) 2022-09-01
NZ791181A (en) 2023-11-24
KR102483019B1 (ko) 2022-12-29
CN115416991A (zh) 2022-12-02
JPWO2021141139A1 (ko) 2021-07-15
JP6942285B1 (ja) 2021-09-29
AU2021206361A1 (en) 2022-09-08
AU2023266265A1 (en) 2023-12-07
CN114423686B (zh) 2022-08-26
TW202323150A (zh) 2023-06-16
EP4005940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019B1 (ko) 뚜껑체
TWI834021B (zh) 蓋體
CN216425426U (zh) 盖体
JP6886068B1 (ja) 蓋体
JP2022035997A (ja) 蓋体
WO2021246488A1 (ja) 蓋体
CN112707030A (zh) 盖体
WO2022181737A1 (ja) 蓋体
RU2776438C1 (ru) Крышка
JP7120393B2 (ja) 蓋体
JP7162391B1 (ja) 蓋体、容器と蓋体の組み合わせ、及び蓋体付き容器
BR112022013610B1 (pt) Tam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