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245A -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4245A
KR20220034245A KR1020227005941A KR20227005941A KR20220034245A KR 20220034245 A KR20220034245 A KR 20220034245A KR 1020227005941 A KR1020227005941 A KR 1020227005941A KR 20227005941 A KR20227005941 A KR 20227005941A KR 20220034245 A KR20220034245 A KR 20220034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film
blister
punching
blister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야하타
슈헤이 노무라
이타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2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with means for heating the material prior to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틀과 하부 틀의 온도 차를 작게 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블리스터 포장기(10)는 띠형상의 용기 필름(3)에 포켓부(2)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장치(13)와, 포켓부(2)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장치(14)와, 포켓부(2)에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 필름(3)에 대해,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커버 필름(4)을 장착하는 시일 장치(16)와,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이 장착된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는 펀칭 장치(19)와,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기 전의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에 세정수(H)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장치(18)와, 세정수(H)를 이용하여 펀칭 장치(19)의 상부 틀을 냉각 가능한 냉각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젤리, 잼, 요구르트, 커피용 우유, 검 시럽, 버터 등의 식료품을 비롯하여,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포장 용기로서, 포션팩 등으로 불리우는 필오픈식 블리스터팩이나, 디스펜팩(등록상표) 등의 절곡 개봉식 블리스터팩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리스터팩은, 내용물이 충진되는 포켓부가 형성된 용기 필름과,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장착되는 커버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블리스터팩은 띠형상의 용기 필름을 반송시키면서,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 상기 포켓부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공정, 상기 포켓부의 개구측을 밀봉하도록 용기 필름에 대해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시일 공정, 상기 양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띠형상 포장체(띠형상의 블리스터 필름)로 최종 제품인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펀칭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그러나, 포켓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의 용량이나 종류에 따라서는, 충진 공정에 있어서 포켓부로부터 내용물이 넘치거나, 그 후의 시일 공정까지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포켓부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등, 포켓부 외의 용기 필름 일반부까지 내용물이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그 후의 시일 공정에 있어서, 포켓부의 둘레 테두리부에 대해 커버 필름이 시일되어 제조된 띠형상 포장체는, 시일되어 있지 않은 용기 필름 일반부와 커버 필름 사이의 시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내용물을 끼워넣은 상태 그대로 다음 펀칭 공정으로 반송되어 가게 된다(도 4 참조).
상기 펀칭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펀칭 장치는, 띠형상 포장체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틀과, 띠형상 포장체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틀을 구비하고, 양 틀이 상하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틀에는 띠형상 포장체로부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기 위한 펀치와, 이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와, 블리스터팩을 펀칭할 때 띠형상 포장체를 위에서 누르기 위한 스트리퍼가 설치되고, 하부 틀에는 블리스터팩을 펀칭할 때 펀치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갖는 다이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 하에서, 펀칭 장치는 상부 틀(펀치 홀더)을 강하시킴과 동시에, 하부 틀(다이)을 상승시키고, 스트리퍼에 의해 띠형상 포장체를 다이에 누르면서, 펀치를 다이의 삽입구멍 내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때문에, 펀칭 공정에 있어서 블리스터팩을 펀칭할 때, 띠형상 포장체의 미시일 부분에 끼워진 내용물이 펀칭 장치(펀치나 다이 등)에 부착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펀칭 장치에 내용물이 부착된 채 방치하면, 부착된 내용물의 부패 등에 기인한 위생면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내용물의 고착이나 펀칭 장치의 부식 등, 펀칭 장치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각종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펀칭 장치의 청소 작업을 빈번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시일 공정 후, 펀칭 공정 전에 띠형상 포장체 상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세정수를 얹은 상태의 띠형상 포장체를 펀칭함으로써, 블리스터팩의 펀칭과 동시에,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띠형상 포장체의 미시일 부분에 끼워진 내용물이나, 펀칭 장치에 부착된 내용물을 씻어 없애고, 펀칭 장치에 부착·고착되기 어렵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151174호
그러나, 충진 공정에 있어서는, 내용물이 고온 상태로 충진되고, 시일 공정에 있어서는, 커버 필름 등이 가열되는 식으로 시일 공정을 마친 띠형상 포장체는 열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블리스터팩을 펀칭할 때, 띠형상 포장체에 접촉하는 펀치나 스트리퍼, 다이 등은 띠형상 포장체로부터의 열 전도에 의해 서서히 온도가 상승해 간다. 또한, 펀치 홀더에 관해서도, 펀치 등으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해 서서히 온도가 상승해 간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띠형상 포장체 상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펀칭 장치를 세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띠형상 포장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틀(다이)에 관해서는, 블리스터팩 펀칭 후의 펀칭 구멍을 통해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다량의 세정수에 의해 전체가 냉각되어,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기 쉽다.
한편, 띠형상 포장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틀(펀치나 스트리퍼)에 관해서는, 블리스터팩 펀칭시에 세정수에 접촉할 정도로 세정수와의 접촉 시간도 짧고, 접촉 면적도 작기 때문에, 거의 냉각되지 않고, 서서히 온도가 상승해 가게 된다. 또한, 펀치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에 관해서도, 세정수에 접촉하지 않고, 냉각되지 않기 때문에, 서서히 온도가 상승해 가게 된다. 그 결과, 상부 틀과 하부 틀의 온도차가 커져, 상부 틀과 하부 틀(예를 들면, 다이와 펀치 홀더)에 열팽창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은 원활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펀치(91)와 다이(92)의 삽입구멍(93)의 사이에는, 소정의 클리어런스(95)(예를 들면, 5미크론 정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펀치 홀더(90)만이 열팽창된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91)와 다이(92)의 삽입구멍(93)의 위치가 어긋나고, 클리어런스(95)에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부위에 따라서는, 펀치(91)와 다이(92)가 간섭해버릴 우려도 있다.
클리어런스(95)가 커지면, 블리스터팩에 버 등이 발생하기 쉬워져, 제품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클리어런스(95)가 작아지면, 펀치(91)와 다이(92)가 서로 마찰되는 정도가 커져, 펀칭 장치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부 틀과 하부 틀의 온도 차를 작게 할 수 있는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각 수단에 대해 항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대응하는 수단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부기한다.
수단 1.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한 블리스터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수단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상기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시일 수단과,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된 띠형상 포장체(띠형상의 블리스터 필름)로부터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소정의 상부 틀 및 하부 틀을 갖는 펀칭 수단과,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기 전의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수단과,
상기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틀을 냉각 가능한 냉각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1에 의하면, 펀칭 수단(펀치나 다이 등)의 세정용으로 띠형상 포장체 상에 공급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부 틀(펀치 홀더 등)을 냉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띠형상 포장체로부터의 열전도에 기인한 상부 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블리스터팩의 펀칭시에,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다량의 세정수에 의해 냉각되기 쉬운 하부 틀(다이)과, 블리스터팩의 펀칭시에, 거의 세정수에 접촉하지 않고 냉각되기 어려운 상부 틀(펀치 홀더)의 온도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 품질의 저하나 펀칭 수단의 단명화 등, 상부 틀과 하부 틀의 온도차(다이와 펀치 홀더의 열팽창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수단에 의하면, 별도로 냉각 장치를 구비할 필요도 없고, 세정수를 냉각 매체로서 이용하여 상부 틀의 냉각을 실시함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2.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하부 틀(다이 등)로부터 흘러내리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 가능한 세정수 저류 수단과,
상기 세정수 저류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틀(펀치 홀더 등)측으로 상기 세정수를 보내는 송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에 기재된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2에 의하면, 일단, 하부 틀(다이)에 가해진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부 틀(펀치 홀더)을 냉각함으로써, 상부 틀과 하부 틀(다이와 펀치 홀더)의 온도 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수단 3. 상기 펀칭 수단은,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기 위한 (복수의) 펀치와, 상기 펀치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와, 상기 띠형상 포장체를 위에서 누르기 위한 스트리퍼를 갖고,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방에 배치된 상기 상부 틀과,
상기 펀치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갖고,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하부 틀과,
상기 상부 틀 및 상기 하부 틀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리퍼는,
소정의 탄성 수단(탄성 부재)을 통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펀치 홀더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송수 수단은,
상기 펀치 홀더와 상기 스트리퍼의 상대 변위 동작(상기 펀치 홀더에 대한 상기 스트리퍼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구동하는(송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2에 기재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3에 의하면, 펀칭 수단의 하부 틀(다이)에 가해진 세정수를 저류하고, 상기 세정수를 스트리퍼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송수 수단으로 퍼올려, 상부 틀(펀치 홀더)로 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별도로 구동원을 가진 송수 펌프 등을 구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포장기에 관련된 비용을 삭감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단 4. 상기 세정수를 유통시키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틀(스트리퍼나 펀치 홀더)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블리스터 포장기.
상기 수단 4에 의하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상부 틀을 내부에서 냉각시킬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수단 5.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한 블리스터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공정과,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상기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시일 공정과,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된 띠형상 포장체(띠형상의 블리스터 필름)으로부터, 소정의 상부 틀 및 하부 틀을 갖는 소정의 펀칭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펀칭 공정과,
상기 시일 공정의 후 공정 및 상기 펀칭 공정의 전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공정과,
상기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틀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상기 수단 5에 의하면, 상기 수단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블리스터 포장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a는 블리스터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블리스터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블리스터 필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냉각기구를 구비한 펀칭 장치 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c)는 펀칭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기구를 구비한 펀칭 장치 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통상시의 펀치 홀더와 다이(펀치와 삽입구멍)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열팽창된 펀치 홀더와 다이(펀치와 삽입구멍)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제조 대상이 되는 블리스터팩(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블리스터팩(1)은 1개의 포켓부(2)를 구비한 용기 필름(3)과, 포켓부(2)의 개구부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장착된 커버 필름(4)을 갖고 있다.
포켓부(2)에는 내용물(5)이 충진되어 있다(도 2(b) 등 참조). 내용물(5)로서는, 예를 들면, 젤리, 잼, 요구르트, 커피용 우유, 검 시럽, 버터 등의 식료품을 들 수 있다. 물론, 예시한 식료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식료품이 포켓부(2)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식료품에 한정되지 않고,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포켓부(2)에 충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 필름(3)은, 예를 들면 PVC(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필름(3)에는, 포켓부(2)의 개구부 둘레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부(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 필름(4)은, 알루미늄 증착 합성수지 필름에 타종의 합성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용기 필름(3)(플랜지부(3a))에 대해 박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블리스터팩(1)에서는, 그 둘레 테두리부 중의 1개소에 있어서, 용기 필름(3)(플랜지부(3a))과, 커버 필름(4)이 접착되지 않도록 제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부분의 커버 필름(4)이 블리스터팩(1)을 개봉할 때의 손잡이부(4a)가 된다.
여기서, 블리스터팩(1)의 개봉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한 손으로 용기 필름(3)측을 잡고, 또 다른 손으로 커버 필름(4)의 손잡이부(4a)를 잡는다. 계속해서, 손잡이부(4a)를 잡으면서, 용기 필름(3)으로부터 커버 필름(4)을 박리해간다. 이에 의해, 블리스터팩(1)의 개봉이 완료되고, 포켓부(2)에 충진된 내용물(5)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블리스터팩(1)은, 띠형상의 용기 필름(3)과 띠형상의 커버 필름(4)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띠형상 포장체로서의 블리스터 필름(35)[도 3 참조]으로부터 최종 제품인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된다. 또한, 도 3에서는, 편의상, 블리스터 필름(35) 부분에 산점 모양을 부여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블리스터팩(1)을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 포장기(10)에서는, 롤형상의 원단으로부터 인출된 띠형상의 용기 필름(3)이 체인 클립 컨베이어(11) 등에 의해 하류측을 향해 간헐 반송되어 간다. 또한, 체인 클립 컨베이어(11)의 클립부(11a)(도 3 참조)는, 용기 필름(3)이나 블리스터 필름(35)의 필름폭 방향(Y 방향) 양 단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필름(3) 원단의 하류측에는, 우선 가열 장치(12) 및 포켓부 형성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가열 장치(12) 및 포켓부 형성 장치(13)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포켓부 형성 수단이 구성된다.
가열 장치(12)는, 용기 필름(3)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배치되는 상부 틀(12a) 및 하부 틀(12b)을 구비하고, 용기 필름(3)의 포켓부(2)의 형성 범위를 부분적으로 가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포켓부 형성 장치(13)는, 포켓부(2)의 형상과 대략 유사하고 작은 플러그(도시 생략)를 갖는 상부 틀(13a)과, 포켓부(2)의 형상에 대응한 성형 오목부(도시 생략)를 갖는 하부 틀(13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우선 용기 필름(3)이 가열 장치(12)에 의해 가열되어 비교적 유연해진 상태에 있어서, 상부 틀(13a) 및 하부 틀(13b)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계속해서, 상부 틀(13a)로부터 플러그가 돌출되어, 포켓부(2)의 대략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틀(13a)로부터 에어를 분사하고, 용기 필름(3)을 하부 틀(13b)의 성형 오목부에 누름으로써, 용기 필름(3)의 소정 위치에 포켓부(2)가 성형된다. 이 포켓부(2)의 성형은, 용기 필름(3)의 반송 동작간의 인터벌시에 실시된다.
또한, 포켓부 형성 장치(13)의 하류측에는, 포켓부(2)에 내용물(5)을 충진하는 충진 수단으로서의 충진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필름(4)의 원단은, 상기 용기 필름(3)과는 별도로 롤형상으로 감겨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단으로부터 인출된 커버 필름(4)은, 충진 장치(14)의 하류측에 설치된 받이롤러(15)로 안내되어 있다. 커버 필름(4)은 받이롤러(15)까지 안내됨으로써, 포켓부(2)를 막도록 하여 용기 필름(3)에 겹쳐지게 된다.
받이롤러(15)의 하류측에는, 시일 수단으로서의 시일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장치(16)는, 자신의 하면이 소정의 시일 온도로 가열되는 상부 틀(16a)과, 포켓부(2)에 대응하는 오목부(부호 생략)가 형성된 하부 틀(16b)을 구비하고 있고, 양 틀(16a, 16b)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 압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틀(16a) 및 하부 틀(16b) 사이에, 용기 필름(3) 및 커버 필름(4)이 보내지고, 양 필름(3, 4)이 양 틀(16a, 16b)에 의해 압접됨으로써, 용기 필름(3)에 대해 커버 필름(4)이 장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5)이 충진된 포켓부(2)를 커버 필름(4)으로 밀봉한 상태의 띠형상의 블리스터 필름(35)이 제조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부(2) 주위의 플랜지부(3a) 상당 부분만이, 커버 필름(4)이 장착(시일)된 시일부(4b)(도 3의 사선부 참조)가 되고, 다른 부위는 커버 필름(4)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미시일부(4c)가 된다.
시일 장치(16)의 하류측에는, 역류 규제 수단(에어 분사 수단)으로서의 에어 분사 장치(17)와, 세정수 공급 수단으로서의 세정수 공급 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공급 장치(18)는,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기 전의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커버 필름(4)측)에 세정수(H)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에어 분사 장치(17)는,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에 공급된 세정수(H)를 향해 에어(공기 등의 기체)(E)를 분사하고, 세정수(H)가 시일 장치(16)측으로 흐르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세정수 공급 장치(18)의 하류측에는,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는 펀칭 수단으로서의 펀칭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펀칭 장치(19)에 대해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펀칭 장치(19)의 하방에는,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펀칭되는 각 블리스터팩(1)이 낙하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컨베이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21)에 의해, 블리스터팩(1)은 완성품용 호퍼(22)로 이송된다.
또한, 컨베이어(21)의 하방에는, 블리스터팩(1)의 펀칭시에, 상기 블리스터팩(1)과 동시에 펀칭 장치(19)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H)를 받기 위한 세정수 저류 수단으로서의 받이접시(23)가 설치되어 있다.
펀칭 장치(19)의 하류측에는, 블리스터팩(1)의 펀칭 후에 남은 스크랩부(35a)를 재단하는 재단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랩부(35a)는, 재단 장치(25)에 있어서 소정 치수로 재단되어, 스크랩용 호퍼(27)에 저류된다.
블리스터 포장기(10)의 개략은 이상과 같지만, 이하에 있어서 펀칭 장치(19)에 대해 도 4,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펀칭 장치(19)는, 대략 수평 방향(X 방향)을 따라서 반송되는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방(커버 필름(4)측)에 배치된 상부 틀(38)과, 블리스터 필름(35)의 하방(용기 필름(3)측)에 배치된 하부 틀(39)과, 양 틀(38, 39)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구동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로서는 모터, 유체압 실린더, 캠 전달 기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양 틀(38, 39)은, 상하 방향(Z 방향)을 따라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틀(38)은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기 위한 펀치(41)와, 이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42)와, 블리스터팩(1)을 펀칭할 때 블리스터 필름(35)을 위에서 누르기 위한 스트리퍼(43)를 구비하고 있다.
스트리퍼(43)는 탄성 수단(탄성 부재)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4)을 통해 펀치 홀더(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하부 틀(39)은, 블리스터팩(1)을 펀칭할 때, 펀치(4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45a)이 형성된 다이(4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틀(38)(주로 펀치 홀더(42))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으로서 냉각 기구(5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냉각 기구(50)는, 상기 받이접시(23)(도 1 참조)로부터 세정수(H)를 퍼올리고, 상기 세정수(H)를 냉각 매체(냉각수)로서 이용하여 펀치 홀더(42)를 냉각하는 구조로되어 있다. 이하, 도 4 등을 참조하여 냉각기구(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펀치 홀더(42) 내에는, 세정수(H)를 냉각수로서 유통시키기 위한 냉각 유로(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수(H)가 냉각 유로(51)를 통과해 가는 것에 의해, 펀치 홀더(4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펀치 홀더(42)가 항상 적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펀치 홀더(42)의 하면(스트리퍼(43)측)에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의 장착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오목부(5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통부(53)가 장착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 통부(53)의 상단측은, 접속 유로(54)를 통해, 냉각 유로(51)의 일단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냉각 유로(51)의 타단측은, 펀치 홀더(42)의 측부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냉각 유로(51)의 타단측에 대해, 이음매 부재(56)를 통해 배수용 호스(57)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수용 호스(57)의 타단측은, 도시하지 않은 배수부에 연결되어 있고, 냉각 기구(50)를 통과한 세정수(H)가, 여기서 폐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트리퍼(43)의 상면(펀치 홀더(42)측)에는, 피스톤 통부(53)의 하단측이 삽입되는 삽입구멍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부(60)는 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이 원형상인 구멍부로서, 그 내부직경이 피스톤 통부(53)의 외부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 통부(53)는, 삽입구멍부(6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스톤 통부(53)의 외주면에는 그 하단부 부근에 있어서, 끼워맞춤 홈부(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끼워맞춤 홈부(61)에 원고리 형상의 패킹(62)이 끼워져 있다. 상기 패킹 (62)에 의해, 피스톤 통부(53) 및 삽입구멍부(60)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피스톤 통부(53) 및 삽입구멍부(60) 및 이들을 상대 변위시키는 각종 기구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송수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 통부(53)의 내주부는, 그 상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63)와, 하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64)로 구성되어 있다. 대직경부(63) 내에는, 소직경부(64) 및 상기 접속 유로(54)보다 직경이 큰 구형상의 볼 역지밸브(67)가 수용되어 있다. 볼 역지밸브(67)는, 대직경부(63) 내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삽입구멍부(60)의 하단부의 흡입구에는, 접속 유로(68)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 유로(68)의 타단측은 스트리퍼(43)의 측부에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접속 유로(68)의 타단측에 대해, 이음매 부재(69)를 통해 급수용 호스(70)의 일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급수용 호스(70)의 타단측은 상기 받이접시(23)에 연결되어 있고, 받이접시(23)로부터 냉각기구(50)로 세정수(H)를 냉각수로 하여 공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블리스터 포장기(10)에 의해 블리스터팩(1)을 제조하는 순서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 특히 포켓부(2)에 내용물(5)이 충진되고, 밀봉된 블리스터 필름(35)이 형성된 후의 주요 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포켓부(2)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 포켓부(2)에 내용물(5)을 충진하는 충진 공정, 용기 필름(3)에 커버 필름(4)을 장착하는 시일 공정 등을 거쳐 형성된 블리스터 필름(35)은, 에어 분사 장치(17) 및 세정수 공급 장치(18)로 반송되어, 세정수 공급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충진 공정에 있어서 포켓부(2)로부터 내용물(5)이 넘치거나, 그 후의 시일 공정까지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포켓부(2)로부터 내용물(5)이 흘러내리는 등, 포켓부(2) 외의 용기 필름(3)의 일반부까지 내용물(5)이 부착되어 버린 경우에는, 블리스터 필름(35)은, 그 후의 시일 공정에 있어서 시일되지 않은 용기 필름(3)의 일반부와 커버 필름(4) 사이의 미시일부(4c)에 내용물(5)을 끼워넣은 상태 그대로(도 4 참조), 다음의 세정수 공급 공정으로 반송되어 가게 된다.
세정수 공급 공정에서는,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기 전의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에 대해 세정수 공급 장치(18)로부터 세정수(H)를 공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필름폭 방향 양 단부를 클립부(11a)에 의해 파지된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에 세정수(H)가 공급된 경우, 상기 블리스터 필름(35)은 세정수(H)의 무게에 의해, 그 필름폭 방향 중앙 부근이 오목하도록, 필름폭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상태가 되므로, 필름폭 방향 양단측으로부터 세정수(H)가 흘러내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정수 공급 장치(18)로부터 세정수(H)를 공급하는 동시에, 세정수 공급 장치(18)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에어 분사 장치(17)로부터,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의 세정수(H)를 향해 에어(E)를 분사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H)의 공급이나 에어(E)의 분사가, 블리스터 필름(35)의 간헐 동작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실시되지 않고, 항상 연속해서 실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정수(H)의 공급이나 에어(E)의 분사가 블리스터 필름(35)의 간헐 동작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실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후, 블리스터 필름(35)은 펀칭 장치(19)로 반송되어, 펀칭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블리스터 필름(35)이 펀칭 장치(19)로 반송될 때, 펀칭 장치(19)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세정수 공급 장치(18)에 있어서 블리스터 필름(35) 상에 공급된 세정수(H)도 아울러 펀칭 장치(19)로 반송되게 된다.
펀칭 장치(19)에서는, 통상시, 즉 블리스터 필름(35)의 반송 중에 있어서는, 상부 틀(38)(펀치(41), 펀치 홀더(42), 스트리퍼(43)))이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대기 위치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부틀(39)(다이 (45))은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간된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간헐 반송되는 블리스터 필름(35)이 소정 위치에 정지되면, 상부 틀(38)이 강하함과 동시에, 하부 틀(39)이 상승하고, 스트리퍼(43)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35)이 다이(45)에 가압된 상태가 된다[도 5(a) 참조].
이 때, 블리스터 필름(35) 자체는 정지하지만, 그 상면에 높인 세정수(H)는 관성에 의해 강하게 펀칭 장치(19)측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블리스터 필름(35)을 누른 스트리퍼(43)에 의해, 세정수(H)의 흐름이 막힘과 동시에, 상기 세정수(H)의 일부가 역방향으로 튀어올라, 상류측으로 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상류측으로 향하는 세정수(H)가 시일 장치(16)까지 이르는 것을 에어 분사 장치(17)로부터 분사되는 에어(E)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그 후, 펀치(41)가 더 강하하고, 블리스터 필름(35) 상에 세정수(H)를 얹은 상태 그대로, 펀치(41)가 다이(45)의 삽입구멍(45a)에 들어간다[도 5(b) 참조]. 그리고, 또한 펀치(41)를 삽입구멍(45a) 내로 밀어 넣어가는 것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블리스터팩(1)이 펀칭된다[도 5(c) 참조]. 펀칭된 블리스터팩(1)은, 삽입구멍(45a) 내를 낙하하여 컨베이어(21) 상에 안내되어, 완성품용 호퍼(22)로 이송된다.
동시에, 블리스터 필름(35)의 미시일부(4c)에 끼워진 내용물(5)이나, 펀칭 장치(19)(펀치(41)나 다이(45) 등)에 부착된 내용물(5)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내용물(5)이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H)에 의해 씻겨내린다.
그 후, 상부 틀(38) 및 하부 틀(39)이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이간됨과 동시에, 블리스터 필름(35) 상에 잔존한 세정수(H)가, 블리스터팩(1)의 펀칭 후에 블리스터 필름(35)에 형성된 펀칭 구멍(35b) 등을 통해 흘러내리고, 다이(45)의 상면을 씻겨내면서, 다이(45)의 주위나 삽입구멍(45a)을 통해, 한층 더 하방으로 흘러내리고, 블리스터팩(1)의 펀칭시에 흘러내린 세정수(H)와 함께 컨베이어(21)의 측방 등을 통과하여, 받이접시(23)에 모인다.
이와 같이 하여, 블리스터팩(1)의 펀칭 공정이 종료되면, 블리스터팩(1)의 제조가 완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펀칭 공정이 실시됨과 동시에 냉각 공정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는, 펀칭 공정에 있어서, 스트리퍼(43)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35)이 다이(45)에 눌려진 상태[도 5(a) 참조]에서 코일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펀치(41)가 더 강하하고, 다이(45)의 삽입구멍(45a)에 들어가 블리스터팩(1)이 펀칭되면[도 5(b), (c) 참조], 펀치 홀더(42)와 스트리퍼(43)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되므로, 냉각 기구(50)에 있어서는, 피스톤 통부(53)가 스트리퍼(43)의 삽입구멍부(60)의 더 안쪽으로 삽입되어 간다.
이에 의해, 삽입구멍부(60) 내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H)가 피스톤 통부(53)의 소직경부(64) 내로 유입되고, 그 수압에 의해 볼 역지밸브(67)를 상부 이동시켜, 또한 대직경부(63)로 유입된다.
그리고, 새로 대직경부(63)에 유입된 세정수(H)에 압출되도록 하여, 그때까지 대직경부(63), 접속 유로(54), 냉각 유로(51), 이음매 부재(56) 및 배수용 호스(57)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H)가 하류측으로 흘러내려가고, 그만큼 배수부로 배출된다.
계속해서, 피스톤 통부(53)의 대직경부(63)에 있어서는, 볼 역지밸브(67)가 내려가 소직경부(64)를 막아, 세정수(H)의 역류가 방지된 상태가 된다.
그 후, 블리스터팩(1)의 펀칭이 종료되고, 상부 틀(38) 및 하부 틀(39)이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 이간될 때는, 코일 스프링(44)의 부세력에 의해, 펀치 홀더(42)와 스트리퍼(43)가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기 때문에, 피스톤 통부(53)는 스트리퍼(43)의 삽입구멍부(60)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에 의해, 삽입구멍부(60) 하단부의 흡입구로부터 삽입구멍부(60) 내로 세정수(H)가 흡입된다. 그리고, 그때까지 접속 유로(68), 이음매 부재(69) 및 급수용 호스(70)에 체류하고 있던 세정수(H)가 하류측으로 흐르고, 그만큼 세정수(H)가 받이접시(23)로부터 빨아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블리스터팩(1)의 펀칭 공정(냉각 공정)이 간헐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조금씩 세정수(H)가 받이접시(23)로부터 급수용 호스(70), 이음매 부재(69), 접속 유로(68), 삽입구멍부(60), 피스톤 통부(53)(소직경부(64), 대직경부(63)), 접속 유로(54), 냉각 유로(51), 이음매 부재(56), 배수용 호스(57), 배수부로 순차적으로 흘러 가고, 상부 틀(38)(펀치 홀더(42))이 냉각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수 공급 장치(18)를 구비하고, 블리스터팩(1)을 펀칭하기 전의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에 세정수(H)를 공급함으로써, 블리스터 필름(35) 상에 세정수(H)를 놓은 상태에서 블리스터팩(1)의 펀칭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리스터팩(1)의 펀칭과 동시에,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H)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35)의 미시일부(4c)에 끼워진 내용물(5)이나, 펀칭 장치(19)(펀치(41)나 다이(45) 등)에 부착된 내용물(5)을 씻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펀칭 장치(19)(펀치(41)나 다이(45) 등)의 세정용으로 블리스터 필름(35) 상에 공급되는 세정수(H)를 이용하여, 상부 틀(38)(펀치 홀더(42) 등))을 냉각하는 냉각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블리스터 필름(35)으로부터의 열전도에 기인한 상부 틀(38)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블리스터팩(1)의 펀칭시에, 블리스터 필름(35)의 상면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다량의 세정수(H)에 의해 냉각되기 쉬운 하부 틀(39)(다이(45))과, 블리스터팩(1)의 펀칭시에, 거의 세정수(H)에 접촉하지 않고 냉각되기 어려운 상부 틀(38)(펀치 홀더(42))과의 온도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단 하부 틀(39)(다이(45))에 가해진 세정수(H)를 이용하여 상부 틀(38)(펀치 홀더(42))을 냉각시킴으로써, 상부 틀(38)과 하부 틀(39)(다이(45)와 펀치 홀더(42))의 온도 차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품 품질의 저하나 펀칭 장치(19)의 단명화 등, 상부 틀(38)과 하부 틀(39)의 온도차(다이(45)와 펀치 홀더(42)의 열팽창차)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별도로 냉각 장치를 구비할 필요도 없고, 세정수(H)를 냉각 매체로서 이용하여 상부 틀(38)의 냉각을 실시함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펀칭 장치(19)에 있어서, 펀치 홀더(42)와 스트리퍼(43)의 상대 변위 동작(펀치 홀더(42)에 대한 스트리퍼(43)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받이접시(23)로부터 세정수(H)를 끌어올려, 상부 틀(38)(펀치 홀더(42))로 보내는 송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별도로 송수 펌프 등을 구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블리스터 포장기(10)에 따른 비용을 삭감함과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시해도 된다. 물론, 이하에 있어서 예시하지 않은 다른 응용예, 변경예도 당연히 가능하다.
(a) 제조 대상이 되는 블리스터팩(1)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블리스터팩(1)은, 1개의 포켓부(2)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블리스터팩에 복수의 포켓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블리스터팩(1)이나 포켓부(2)의 크기나 형상 등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플랜지부(3a))과 커버 필름(4)의 일부를 접착하지 않고, 개봉할 때의 손잡이부(4a)가 되도록 구성된 필오픈식의 블리스터팩(1)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필름(3)(플랜지부(3a))과 커버 필름(4)이 접착되지 않는 부위를 없애, 손잡이부(4a)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플랜지부(3a)의 일부에 미리 하프컷선 등의 파단선을 형성해두고, 개봉 시에는, 상기 파단선을 따라서 플랜지부(3a)를 절곡하여, 그 외부 테두리부의 일부를 파단하고, 상기 일부분을 잡아 커버 필름(4)을 박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필오픈식 블리스터팩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펜팩(등록상표) 등의 절곡 개봉식의 블리스터팩을 채용해도 된다.
(b) 용기 필름(3)이나 커버 필름(4)의 재질 등에 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필름(3)이 PVC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CPP(무연신 폴리프로필렌)나 PET 등의 수지 재료는 물론,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c) 블리스터 필름(35)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블리스터팩(1)을 블리스터 필름(35)의 필름 반송 방향 및 필름폭 방향으로 각각 2개씩, 합계 4개를 동시에 제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블리스터 필름(35)의 필름 반송 방향 또는 필름폭 방향으로 1개 또는 3개 이상 제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d) 세정수 공급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세정수 공급 장치(18)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 공급 장치(18)가 펀칭 장치(19)의 상류측(시일 장치(16)와 펀칭 장치(19)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정수 공급 수단을 펀칭 장치(19)와 동일 위치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펀칭 장치(19)와 일체로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e) 냉각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냉각 기구(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세정수(H)를 이용하여 펀칭 장치(19)의 상부 틀(38)(펀치 홀더(42))을 냉각 가능한 구성이면,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구(50) 대신에, 펀칭 장치(19)의 외부에 설치된 냉각기구(8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냉각 기구(80)는 송수 수단을 구성하는 송수 펌프(81)와, 송수 펌프(81)의 하단부에 접속된 급수용 호스(82)와, 송수 펌프(81)의 상단부에 접속된 방수 파이프(83)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용 호스(82)의 타단측은, 상기 실시형태의 받이접시(23)(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이접시(23)로부터 냉각 기구(80)에 세정수(H)를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방수 파이프(83)의 타단측은, 펀치 홀더(42)의 상방으로 안내되어 있고, 상기 부분에 있어서, 상부 틀(38)(펀치 홀더(42))의 상면에 대해 세정수(H)를 살수 가능한 복수의 샤워 헤드(8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각 기구(80)는 받이접시(23)로부터 세정수(H)를 퍼올리고, 펀치 홀더(42)의 상면에 대해 위에서 세정수(H)를 살수함으로써, 펀치 홀더(42)를 냉각한다.
여기서, 송수 펌프(81)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전달 기구를 통해, 펀치 홀더(42)와 스트리퍼(43)의 상대 변위 동작(펀치 홀더(42)에 대한 스트리퍼(43)의 상하 이동)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물론, 그대신에 송수 펌프(81)를 움직이는 전원 장치 등의 구동원을 별도로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냉각기구(50, 80)에 있어서, 송수 수단이 펀치 홀더(42)와 스트리퍼(43)의 상대 변위 동작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구성 대신에 예를 들면, 펀치 홀더(42)(상부 틀(38))의 상하 동작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냉각 기구(80)에 있어서는, 세정수(H)를 유통시키는 유로가 상부 틀(38)의 내부에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정수(H)를 유통시키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틀(38)의 내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원 장치 등의 구동원을 별도로 구비한 송수 펌프(81) 등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펀치 홀더(42)의 냉각 유로(51)에 세정수(H)를 흐르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블리스터팩
2: 포켓부
3: 용기 필름
4: 커버 필름
4b: 시일부
4c: 미시일부
5: 내용물
10: 블리스터 포장기
12: 가열 장치
13: 포켓부 형성 장치
14: 충진장치
16: 시일장치
17: 에어 분사장치
18: 세정수 공급 장치
19: 펀칭 장치
23: 받이접시
35: 블리스터 필름
38: 상부 틀
39: 하부 틀
41:펀치
42: 펀치 홀더
43: 스트리퍼
44: 코일 스프링
45: 다이
45a: 삽입구멍
50: 냉각 기구
51: 냉각 유로
53: 피스톤 통부
57: 배수용 호스
60: 삽입구멍부
67: 볼 역지밸브
70: 급수용 호스
E: 에어
H: 세정수

Claims (5)

  1.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한 블리스터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 포장기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수단,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수단,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상기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시일 수단,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된 띠형상 포장체로부터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소정의 상부 틀 및 하부 틀을 갖는 펀칭 수단,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기 전의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수단, 및
    상기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틀을 냉각 가능한 냉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하부 틀로부터 흘러내리는 상기 세정수를 저류 가능한 세정수 저류 수단, 및
    상기 세정수 저류 수단으로부터 상기 상부 틀측으로 상기 세정수를 보내는 송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수단은,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기 위한 펀치와, 상기 펀치를 유지하는 펀치 홀더와, 상기 띠형상 포장체를 위에서 누르기 위한 스트리퍼를 갖고,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방에 배치 상기 상부 틀,
    상기 펀치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갖고,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하방에 배치된 상기 하부 틀, 및
    상기 상부 틀 및 상기 하부 틀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리퍼는,
    소정의 탄성 수단을 통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펀치 홀더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송수 수단은,
    상기 펀치 홀더와 상기 스트리퍼의 상대 변위 동작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를 유통시키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 포장기.
  5. 내용물을 충진하기 위한 포켓부를 구비한 용기 필름과,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상기 용기 필름에 장착된 커버 필름을 구비한 블리스터팩을 제조하기 위한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띠형상의 상기 용기 필름을 반송하면서,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포켓부를 형성하는 포켓부 형성 공정,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을 충진하는 충진 공정,
    상기 포켓부에 상기 내용물이 충진된 상기 용기 필름에 대해, 상기 포켓부를 막도록 하여 띠형상의 상기 커버 필름을 장착하는 시일 공정,
    상기 용기 필름에 상기 커버 필름이 장착된 띠형상 포장체로부터, 소정의 상부 틀 및 하부 틀을 갖는 소정의 펀칭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블리스터팩을 펀칭하는 펀칭 공정,
    상기 시일 공정의 후 공정 및 상기 펀칭 공정의 전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포장체의 상면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 공정, 및
    상기 세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틀을 냉각하는 냉각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KR1020227005941A 2019-10-29 2020-07-01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KR20220034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5953A JP6944984B2 (ja) 2019-10-29 2019-10-29 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JP-P-2019-195953 2019-10-29
PCT/JP2020/025870 WO2021084799A1 (ja) 2019-10-29 2020-07-01 ブリスター包装機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245A true KR20220034245A (ko) 2022-03-17

Family

ID=7571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5941A KR20220034245A (ko) 2019-10-29 2020-07-01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944984B2 (ko)
KR (1) KR20220034245A (ko)
CN (1) CN114466797B (ko)
NZ (1) NZ786787A (ko)
TW (1) TWI757779B (ko)
WO (1) WO2021084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4272B (zh) * 2023-06-03 2023-08-11 河北通络药业有限公司 一种通络开痹片铝塑包装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174A (ja) 2014-02-18 2015-08-24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7677U (en) * 1998-05-27 2001-01-01 Wong Chi Kin Tommy One-piece molded packing machine for continuous large area plural blocks
JP3917070B2 (ja) * 2002-12-24 2007-05-23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ptpシートの製造装置
ES2366214T5 (es) * 2006-05-05 2020-03-19 Multivac Haggenmueller Kg Máquina de envasado que comprende particularmente una máquina de embutición profunda
JP6325935B2 (ja) * 2014-07-31 2018-05-16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
JP6040295B1 (ja) * 2015-08-04 2016-12-07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シート及びブリスタ包装機
CN206939212U (zh) * 2017-05-19 2018-01-30 重庆康刻尔制药有限公司 一种药用铝塑泡罩包装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1174A (ja) 2014-02-18 2015-08-24 Ckd株式会社 ブリスター包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66797B (zh) 2023-11-03
JP2021070477A (ja) 2021-05-06
WO2021084799A1 (ja) 2021-05-06
JP6944984B2 (ja) 2021-10-06
CN114466797A (zh) 2022-05-10
TWI757779B (zh) 2022-03-11
NZ786787A (en) 2023-06-30
TW202116626A (zh) 202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31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aging by heat sealing
AU2007242802B2 (e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a sealing member for water tightness attached thereto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611013B1 (en) Bag sealing system and method
RU2359882C2 (ru) Контр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388523B1 (ko) 체크밸브와 그 체크밸브가 부착된 포장자루와 그 제조장치
KR100364516B1 (ko) 패키징 시이트상에 개방 장치를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7065807A (ja) 分注システム
EP3612449B1 (en) Tray sealer and operating method
KR20220034245A (ko)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TWI647157B (zh) 製造撕開蓋的方法及設備及撕開蓋
EP2173528A1 (en) Device for mixing and dispensing fluids
EP2533966A2 (en) Apparatus for forming and labeling an object and object so obtained
JP6710681B2 (ja) 事前形成された開封デバイスを包装材料のウェブに取り付けるためのユニットおよび方法
KR20220034909A (ko) 블리스터 포장기 및 블리스터팩의 제조 방법
JPS6021536B2 (ja) 密封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4350384B2 (ja) 製袋充填装置
JP2010095305A (ja) 深絞り型包装機および深絞り型包装システム
KR19990028363A (ko) 튜브 용기의 가공방법과 가공장치
KR20150005363A (ko) 공기배출구조를 갖는 사료용 포대
US20240189848A1 (en) Dosing device, container, product dispenser and system
KR100786380B1 (ko) 유체 주입팩 제조장치
JP6379522B2 (ja) 開口機構、及び開口機構を備えた成形加工機
JP6259248B2 (ja) 深絞り包装機
KR20140004256U (ko) 일자형 파우치 겸용 형상 파우치 커팅장치
CN115605399A (zh) 包装方法及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