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9046A -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9046A
KR20220029046A KR1020200110896A KR20200110896A KR20220029046A KR 20220029046 A KR20220029046 A KR 20220029046A KR 1020200110896 A KR1020200110896 A KR 1020200110896A KR 20200110896 A KR20200110896 A KR 20200110896A KR 20220029046 A KR20220029046 A KR 2022002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nnector
battery
guid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9046A/ko
Priority to CN202122079935.1U priority patent/CN216269631U/zh
Priority to EP21194032.5A priority patent/EP3960589B1/en
Priority to US17/462,717 priority patent/US11975761B2/en
Publication of KR2022002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de-hipped frame type, i.e. a wide box-shaped mid portion with narrower sections extending from said mid portion in both fore and aft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모듈이 결합되고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며 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며, 프레임부와 조립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며 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와,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부재들 사이, 또는 복수의 부재들과 연결부재를 연결하도록 프레임부와 제1 지지부에 조립되는 복수의 커넥터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커넥터부가 제1 지지부와 프레임부에 조립 시에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부재들과 연결부재는, 복수의 커넥터부재와 조립되는 면에 커넥터부재가 거치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 간 조립성이 형상된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 화석 연료의 연소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는 것이 아닌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구동에너지를 얻는 자동차를 말한다.
전기차는 주행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이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을 배출하지 않는 등 친환경적이며, 전기모터로만 구동할 경우 운행비용이 가장 저렴해 경제적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차량의 바디 하부에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량의 바퀴가 설치되는 전륜 섀시모듈과 후륜 섀시모듈도 차량의 바디의 하부에 설치된다. 배터리가 장착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전,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부는 압출재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부재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복수의 부재에 커넥터를 조립할 때 커넥터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기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한 손으로 커넥터를 부재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잡은 상태에서 볼트 부재 등을 체결하였다. 이 경우 작업자에 따라서 커넥터가 조립되는 위치의 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별도의 의치 고정용 지그를 제작하는 경우, 공정상 지그를 제작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9752호(2009.10.21.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섀시 프레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넥터부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부의 조립 위치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조립 시에 일관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품별 조립 산포를 축소시키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별로 동일한 내구성과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고, 섀시 플랫폼 모듈의 형상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하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은 배터리모듈이 결합되고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며 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조립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며 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부재들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조립되는 복수의 커넥터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조립 시에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상기 커넥터부재와 조립되는 면에 상기 커넥터부재가 거치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배터리 크로스부재와, 상기 배터리모듈의 폭 방향의 양 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연결되는 배터리 사이드부재와.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와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의 사이에 연결되고 경사지게 구비되는 코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은 상기 전륜 섀시모듈에 연결되며 상측은 차량의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몸체와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제1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는 크로스몸체와, 상기 크로스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크로스 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크로스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과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면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조립 시에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와 상기 크로스 가이드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되는 제1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부재는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1 조립면과,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면착되는 제2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본체에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크로스 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인 제2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 가이드면에 돌출되는 연결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과 상기 연결 가이드면에 면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지지부를 조립 시에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와 상기 연결 가이드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되는 제2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부재는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을 향하는 면인 제3 조립면과, 상기 연결 가이드면을 향하는 면인 제4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조립면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와, 상기 제2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4 조립면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연결 가이드돌기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 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제1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인 제2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와 상기 코너부재를 조립하고 조립 시에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와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코너부재와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3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커넥터부재는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5 조립면과,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의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6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5 결합부와, 상기 제3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6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은 프레임부와 이에 조립되는 제1 지지부에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커넥터부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의 조립 위치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조립 시에 일관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품별 조립 산포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품별로 동일한 내구성과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고, 섀시 플랫폼 모듈의 형상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Ⅰ-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Ⅱ-Ⅱ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Ⅲ-Ⅲ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와 제1 커넥터부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와 제1 커넥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부재가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부재가 연결부재와 코너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부재가 코너부재에 조립되는 과정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부재가 코너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Ⅰ-Ⅰ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Ⅱ-Ⅱ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 2의 Ⅲ-Ⅲ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와 제1 커넥터부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와 제1 커넥터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부재가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부재가 연결부재와 코너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부재가 코너부재에 조립되는 과정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넥터부재가 코너부재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100)은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와, 제2 지지부(400) 및 커넥터부(5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00)는 배터리모듈이 결합되고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는 복수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비되고 프레임부(200)에 배터리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00)는 프레임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며 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며, 프레임부(200)와 조립되는 연결부재(330)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400)는 프레임부(20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며 후륜 섀시모듈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300)는 프레임부(200)의 길이방향의 일측인 차량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400)는 프레임부(200)의 길이방향의 타측인 차량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륜 섀시모듈은 제1 지지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고, 후륜 섀시모듈은 제2 지지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100)은 배터리모듈과 전륜 섀시모듈 및 후륜 섀시모듈이 조립된 상태로 차량의 바디부(차체)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승객 공간확보 및 차체 마운팅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부(500)는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부재들 사이, 또는 복수의 부재들과 연결부재(330)를 연결하도록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에 조립되는 복수의 커넥터부재(510,520,53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부(500)는 복수의 커넥터부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커넥터부재들은 연결부재(330)와 프레임부(200)의 부재 사이, 또는 프레임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부재는, 연결부재(330) 및 프레임부(200)에 접착 및/또는 볼트 등의 결합부재(B)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 및 제2 지지부(400)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500)는 프레임부(200)와 연결부재(330)의 각 부분의 연결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알루미늄 압출재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 및 커넥터부(500)의 재질과 성형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넥터부(500)가 제1 지지부(300)와 프레임부(200)에 조립 시에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부재들과 연결부재(330)는, 복수의 커넥터부재와 조립되는 면에 커넥터부재가 거치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부재들과 연결부재(330)는 커넥터부재와 조립되는 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는 각 부재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부는 커넥터부재의 조립위치를 고려하여 각 부재들의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가 각 부재들에 조립될 때, 커넥터부재들은 각 부재들의 조립되는 면에 면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정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부는 커넥터부재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100)은 프레임부(200)와 이에 조립되는 제1 지지부(300)에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커넥터부(500)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500)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500)의 조립 위치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조립 시에 일관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품별 조립 산포를 축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에 가이드돌기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커넥터부(500)의 위치를 한정하는 구성이 없고 커넥터부(500)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5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요소가 없으므로, 작업자에 따라 커넥터부(500)가 조립되는 위치의 산포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 별도의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이드돌기부가 구비된 형상을 반영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품별로 동일한 내구성과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고, 섀시 플랫폼 모듈의 형상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와, 코너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크로스부재(210)는 배터리모듈(미도시)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1 지지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크로스부재(210)는 배터리모듈의 전방 측에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200)는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평행하고 제2 지지부(400)에 결합되는 후륜 측 크로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300)는 하측은 전륜 섀시모듈에 연결되며 상측은 차량의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몸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제1 지지몸체(310)와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사이드부재(220)는 배터리모듈의 폭 방향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코너부재(230)는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의 사이에 연결되고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코너부재(230)는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후륜 측 크로스부재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 및 코너부재(230)에 의해 배터리모듈의 가장자리와 결합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부재는 커넥터부(500)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모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의 좌우방향 즉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의 길이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하고, 차량의 전후 방향 즉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을 제2 방향(D2)방향이라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 즉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3)이라 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코너부재(230)는 코너몸체(231)와,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 및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몸체(231)는 코너부재(23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에 경사지게 조립될 수 있다. 코너몸체(231)는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제1 코너가이드면(232)과, 제1 코너가이드면(232)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인 제2 코너가이드면(2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는 제1 코너가이드면(232)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돌출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는 제2 코너가이드면(23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고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크로스부재(210)는 크로스몸체(211)와, 크로스몸체(211)의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크로스 가이드면(21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크로스 가이드돌기(21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로스몸체(211)는 제1 방향(D1)으로 배치되고, 배터리모듈과 마주하는 크로스 가이드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가이드돌기(213)는 크로스 가이드면(212)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배터리모듈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고,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30)는 연결몸체(331)와, 연결몸체(3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 가이드면(332)에 돌출되는 연결 가이드돌기(3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몸체(331)는 제2 방향(D2)으로 배치되되, 제1 지지몸체(310)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의 양 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 가이드면(332)은 연결몸체(331)의 외측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커넥터부(500)는 제1 커넥터부재(510)와, 제2 커넥터부재(520)와, 제3 커넥터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부재(510)는 제1 코너가이드면(232)과 크로스 가이드면(212)에 면착되고 프레임부(200)에 조립 시에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와 크로스 가이드돌기(213)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부재(510)는 제1 본체(511)와, 제1 결합부(513)와, 제2 결합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511)는 코너몸체(231)의 배터리 크로스부재(210)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1 조립면(511a)과, 크로스 가이드면(212)에 면착되는 제2 조립면(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조립면(511a)과 제2 조립면(511b)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코너몸체(231)를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결합부(513)는 제1 본체(511)에서 코너몸체(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코너가이드면(232)에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시에 제1 결합부(513)가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제1 커넥터부재(510)가 제3 방향(D3)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 제1 결합부(513)의 일측면이 제1 코너가이드면(232)에 면착됨으로써, 제1 커넥터부재(510)가 제1 코너가이드면(232)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후 코너몸체(231)의 단부면에 제1 조립면(511a)을 안착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부재(510)가 코너몸체(23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몸체(231)의 단부면에 제1 조립면(511a)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접착부재 및 결합부재(B)를 이용하여 코너부재(230)와 제1 커넥터부재(510)를 조립할 수 있다.
코너부재(230)와 제1 커넥터부재(510)가 조립된 조립체는, 제1 지지부(300)의 연결부재(330)와 조립된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부(514)는 제1 본체(511)에서 돌출되고 한 쌍의 크로스 가이드돌기(213)에 끼워진 상태로 크로스 가이드면(212)에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시에 제2 결합부(514)가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제2 커넥터부재(520)가 제3 방향(D3)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 제2 결합부(514)의 일측면과 제2 조립면(511b)이 크로스 가이드면(212)에 면착되므로, 제1 커넥터부재(510)가 크로스 가이드면(212)에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코너부재(230)와 제1 커넥터부재(510)가 조립된 조립체는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허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1 커넥터부재(510)는 코너몸체(231)와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의 정해진 위치에 조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코너몸체(231)와 배터리 크로스부재(210)의 조립 형상을 일관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부재(520)는 제2 코너가이드면(234)과 연결 가이드면(332)에 면착되고 프레임부(200)와 제1 지지부(300)를 조립 시에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와 연결 가이드돌기(333)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부재(520)는 제2 본체(521)와, 제3 결합부(523) 및, 제4 결합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521)는 제2 코너가이드면(234)을 향하는 면인 제3 조립면(521a)과, 연결 가이드면(332)을 향하는 면인 제4 조립면(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조립면(521a)과 제4 조립면(521b)은, 연결부재(330)와 코너부재(230)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를 이루며 구비될 수 있다.
제3 결합부(523)는 제2 본체(521)에서 돌출되고 제3 조립면(521a)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제2 코너가이드면(234)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시에 제3 결합부(523)가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제2 커넥터부재(520)가 제3 방향(D3)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에 제2 결합부(514)의 일측 면이 제2 코너가이드면(234)에 면착됨으로써 제2 커넥터부재(520)가 제2 코너가이드면(234)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결합부(524)는 제2 본체(521)에서 돌출되고 제4 조립면(521b)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연결 가이드돌기(333)에 거치된 상태로 연결 가이드면(33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몸체(331)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연결 가이드돌기(333) 또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가이드돌기(333)에 하단부가 거치되는 제4 결합부(524)는, 하단부가 연결 가이드돌기(333)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재(520)는 제4 결합부(524)가 연결 가이드면(332)에 면착됨으로써 챠량의 좌우방향인 제1 방향(D1)으로의 유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부재(520)는 연결 가이드돌기(333)에 의해 차량의 전후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유동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2 커넥터부재(520)는 코너몸체(231)와 연결부재(330)의 정해진 위치에 조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코너부재(230)와 연결부재(330)의 조립 형상을 일관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커넥터부재(530)는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와 코너부재(230)를 조립하고 조립 시에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와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코너부재(230)와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커넥터부재(530)는 제3 본체(531)와, 제5 결합부(532) 및 제6 결합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체(531)는 코너몸체(231)의 배터리 사이드부재(220)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5 조립면(531a)과,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의 코너몸체(231)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6 조립면(5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결합부(532)는 제3 본체(531)에서 코너몸체(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코너가이드면(232)에 결합될 수 있다. 제6 결합부(533)는 제3 본체(531)에서 코너몸체(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에 끼워진 상태로 제2 코너가이드면(23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5 결합부(532)와 제6 결합부(533)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각각 제1 코너가이드면(232)과 제2 코너가이드면(234)에 면착될 수 있다. 조립 시에 제5 결합부(532)는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233)의 사이에 끼워지고, 제6 결합부(533)는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235)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커넥터부재(530)의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3 커넥터부재(530)는 코너몸체(231)의 정해진 위치에 조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코너부재(230)와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의 조립 형상을 일관되게 할 수 있다. 배터리 사이드부재(220)에도 가이드돌기 형상이 마련되도록 제작되어 제3 커넥터부재(530)가 조립되는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은 프레임부와 이에 조립되는 제1 지지부에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커넥터부를 조립할 때 커넥터부가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의 조립 위치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조립 시에 일관된 접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품별 조립 산포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품별로 동일한 내구성과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고, 섀시 플랫폼 모듈의 형상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200: 프레임부
210: 배터리 크로스부재 211: 크로스몸체
212: 크로스 가이드면 213: 크로스 가이드돌기
220: 배터리 사이드부재 230: 코너부재
231: 코너몸체 232: 제1 코너가이드면
233: 제1 코너가이드돌기 234: 제2 코너가이드면
235: 제2 코너가이드돌기 300: 제1 지지부
310: 제1 지지몸체 330: 연결부재
331: 연결몸체 332: 연결 가이드면
333: 연결 가이드돌기 400: 제2 지지부
500: 커넥터부 510: 제1 커넥터부재
511: 제1 본체 511a: 제1 조립면
511b: 제2 조립면 513: 제1 결합부
514: 제2 결합부 520: 제2 커넥터부재
521: 제2 본체 521a: 제3 조립면
521b: 제4 조립면 523: 제3 결합부
524: 제4 결합부 530: 제3 커넥터부재
531: 제3 본체 531a: 제5 조립면
531b: 제6 조립면 532: 제5 결합부
533: 제6 결합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B: 결합부재

Claims (9)

  1. 배터리모듈이 결합되고 서로 조립되는 복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며 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조립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며 후륜 섀시모듈이 장착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부재들 사이, 또는 복수의 상기 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조립되는 복수의 커넥터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조립 시에 정위치에 조립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복수의 상기 부재들과 상기 연결부재는, 복수의 상기 커넥터부재와 조립되는 면에 상기 커넥터부재가 거치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배터리 크로스부재;
    상기 배터리모듈의 폭 방향의 양 측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연결되는 배터리 사이드부재; 및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와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의 사이에 연결되고 경사지게 구비되는 코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하측은 상기 전륜 섀시모듈에 연결되며 상측은 차량의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지지몸체와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제1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는 크로스몸체와, 상기 크로스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크로스 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크로스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과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면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조립 시에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와 상기 크로스 가이드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되는 제1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재는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 크로스부재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1 조립면과,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면착되는 제2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본체에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크로스 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크로스 가이드면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와,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인 제2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연결 가이드면에 돌출되는 연결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과 상기 연결 가이드면에 면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지지부를 조립 시에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와 상기 연결 가이드돌기에 의해 지지되어 정위치되도록 안내되는 제2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재는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을 향하는 면인 제3 조립면과, 상기 연결 가이드면을 향하는 면인 제4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3 조립면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상기 제2 본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4 조립면에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고 연결 가이드돌기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 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는
    코너몸체;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인 제1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에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코너가이드돌기; 및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모듈을 향하는 면의 반대 면인 제2 코너가이드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코너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와 상기 코너부재를 조립하고 조립 시에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와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코너부재와 결합되게 구비되는 제3 커넥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부재는
    상기 코너몸체의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5 조립면과, 상기 배터리 사이드부재의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단부에 면착되는 제6 조립면을 포함하는 제3 본체;
    상기 제3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1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5 결합부; 및
    상기 제3 본체에서 상기 코너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코너가이드돌기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코너가이드면에 결합되는 제6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KR1020200110896A 2020-09-01 2020-09-01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KR20220029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96A KR20220029046A (ko) 2020-09-01 2020-09-01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CN202122079935.1U CN216269631U (zh) 2020-09-01 2021-08-31 用于电动车辆的底盘平台模块
EP21194032.5A EP3960589B1 (en) 2020-09-01 2021-08-31 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17/462,717 US11975761B2 (en) 2020-09-01 2021-08-31 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896A KR20220029046A (ko) 2020-09-01 2020-09-01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46A true KR20220029046A (ko) 2022-03-08

Family

ID=7756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896A KR20220029046A (ko) 2020-09-01 2020-09-01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75761B2 (ko)
EP (1) EP3960589B1 (ko)
KR (1) KR20220029046A (ko)
CN (1) CN2162696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0834B2 (ja) * 2019-07-12 2023-10-13 メルセデス・ベンツ グループ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電動トラック
US11584448B2 (en) * 2020-11-12 2023-02-21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joining a vehicle structure
FR3141429A1 (fr) * 2022-10-26 2024-05-03 Renault S.A.S Châssis modulair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307B2 (ja) 1998-09-30 2005-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KR20090109752A (ko) 2008-04-16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섀시 프레임
JP2011111141A (ja) 2009-11-30 2011-06-09 Hitachi Ltd 電気自動車のシャーシフレームおよび電気自動車
FR2989053B1 (fr) 2012-04-05 2014-03-21 Renault Sa Chassis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absorption d'un choc frontal
EP2786920A1 (de) * 2013-04-04 2014-10-08 MAGNA STEYR Engineering AG & Co KG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e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10300948B2 (en) * 2015-10-30 2019-05-28 Faraday&Future Inc. Webbing devices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US10131381B2 (en) * 2015-06-30 2018-11-20 Faraday & Future Inc. Joint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JP6642402B2 (ja) 2016-12-09 2020-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JP6772975B2 (ja) * 2017-07-05 2020-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US10661840B1 (en) * 2018-11-28 2020-05-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rlocking body and floor pan assembly for below floor energy stored vehicles
KR20210039672A (ko) * 2019-10-02 2021-04-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용 샤시 플랫폼 모듈
KR20220005752A (ko) * 2020-07-07 2022-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용 샤시 플랫폼 모듈
KR20220010886A (ko) * 2020-07-20 2022-0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모듈
KR20220019434A (ko) * 2020-08-10 2022-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자동차의 사이드실 어셈블리
US11713079B2 (en) * 2021-02-19 2023-08-01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11801741B2 (en) * 2021-08-26 2023-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including internal battery compartments
KR20230125947A (ko) * 2022-02-22 2023-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bv의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0589B1 (en) 2024-02-28
CN216269631U (zh) 2022-04-12
EP3960589A1 (en) 2022-03-02
US11975761B2 (en) 2024-05-07
US20220063725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9046A (ko) 전기차용 섀시 플랫폼 모듈
CN104925142B (zh) 用于安置在机动车车身上的车尾底部模块
JP2005537182A (ja) 大型の部分モジュールから構成された支持構造物を具備する自動車のボディ
CN105835696A (zh) 用于车辆的辊杆
CN216140084U (zh) 车身和底盘框架的联接结构
WO2005095192A1 (en) Modular vehicle
KR20110116718A (ko) 버스용 복합소재 플로어
CN210258705U (zh) 板式可拆装自行车及拼接模块对接结构
CN211102630U (zh) 一种电动汽车后桥结构装配校准支架
KR100854539B1 (ko) 이종재질로 구성된 차량용 샤시 프레임 조인트 캐스팅 구조및 그의 제작방법
KR20220036654A (ko) 전기차량용 샤시 프레임
CN217320604U (zh) 一种电动车的头部罩壳连接结构
WO2018199010A1 (ja) ストラドルドビークル
KR20210029385A (ko) 차량의 리어플로어 어셈블리
CN220948208U (zh) 汽车车头及汽车
CN220830048U (zh) 电池托盘、电池包及车辆
CN215851439U (zh) 碳纤维汽车方向盘骨架
CN217554094U (zh) 摩托车
KR100423332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CN213534860U (zh) 翼子板装饰件安装件、翼子板总成和车辆
CN215474814U (zh) 一种碳纤维增强汽车后视镜壳
CN210101220U (zh) 汽车后横向控制臂
CN218463536U (zh) 前大灯结构及汽车
CN216580732U (zh) 一种汽车底板总成
CN219029548U (zh) 车辆及其后纵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