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801A -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801A
KR20220027801A KR1020217020561A KR20217020561A KR20220027801A KR 20220027801 A KR20220027801 A KR 20220027801A KR 1020217020561 A KR1020217020561 A KR 1020217020561A KR 20217020561 A KR20217020561 A KR 20217020561A KR 20220027801 A KR20220027801 A KR 2022002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olite
trypsin
hemostatic
blood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에 판
리샤 위
리핑 시아오
하오 천
시아오치앙 상
Original Assignee
저지앙 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지앙 대학 filed Critical 저지앙 대학
Publication of KR2022002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2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5Medicaments; Bi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3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47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4/0052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with an inorganic matrix
    • A61L24/0068Inorganic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A61L24/0057 or A61L24/006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8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10Polypeptides; Proteins
    • A61L24/108Specific proteins or polypeptides not covered by groups A61L24/102 - A61L24/10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61L2300/254Enzymes, pro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8Agents promoting blood coagulation, blood-clotting agents, embolis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4Materials for stopping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혈 조합물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트립신 및 제올라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은 미세공이다. 제올라이트는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고,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0 내지 4:10이다. 본 발명은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특이적 결합을 통해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트립신이 일정한 구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보다 높은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을 획득함으로써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한 지혈 조합물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낮으며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상처와 수술 지혈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혈우병 환자의 응급 지혈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생물의학 재료의 기술 분야에 속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동물 포함)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외상과 출혈이 경미할 경우 간단한 응급 처치 외에도 일반적인 혈액 응고 기능만으로도 정상적인 지혈이 가능하다. 그러나 불행히도 많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심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가 베인 상처나 관통창(칼이나 총알에 인한)은 대동맥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정상인의 혈액은 대부분 몇 분간 유실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 중 갑작스런 사고의 응급 처치, 병원에서의 환자 수술 과정 중의 외상 지혈, 특히 전쟁 중 부상병의 구조에서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환자를 지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많은 응급 지혈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탈수 제올라이트/접착제(US4822349), 부분 수합 제올라이트(US7858123), 고령토/거즈 복합물(US7604819) 및 제올라이트와 고령토의 조합물(US8703634)이 있다. 정상적인 기능의 혈액 응고이든 지혈 재료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하든지를 불문하고, 그 혈액 응고 과정은 반드시 혈액 응고 채널의 각 단계의 반응 프로세스를 엄격하게 준수하여 혈액 응고의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또한 혈액 응고 채널의 각 단계는 일정한 시간이 소모되며 그 상세한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혈액 응고 채널의 각 단계의 반응 프로세스는 혈액 응고 인자로부터 반응을 거쳐 활성화된 혈액 응고 인자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혈액 응고 인자 XII로부터 XIIa(XII의 활성화된 혈액 응고 인자)를 형성하고, XIa에서 혈액 응고 인자 IX를 활성화하여 IXa(IX의 활성화된 혈액 응고 인자)를 형성한다. 혈액 응고 채널 중 한 단계의 반응에 장애가 발생하면, 반드시 혈액 응고 채널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어 혈액 응고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 현재 제올라이트로 대표되는 무기 지혈 재료는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과정이 내인성 혈액 응고 채널(intrinsic pathway)을 준수해야 한다. 즉, 다음의 반응 프로세스를 엄격히 따라야 한다. 먼저, 제올라이트는 혈액 응고 인자 XII를 활성화하여 XIIa를 형성하므로 내인성 혈액 응고 연쇄 반응을 가동한다. 그 후 XIIa에서 혈액 응고 인자 XI를 활성화하여 XIa를 형성한 다음, XIa에서 혈액 응고 인자 IX를 활성화하여 IXa를 형성하며, 다시 IXa에서 혈액 응고 인자 X를 활성화하여 Xa를 형성한다. 혈액 응고 인자 Xa에서 혈액 응고 인자 II를 활성화하여 트롬빈을 형성한 후,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을 전단하여 피브린 단량체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혈액 응고 인자 XIIIa의 작용 하에서 가교된 피브린을 형성한다. 제올라이트에서 혈액 응고 인자 XII를 활성화하여 최종적으로 가교된 피브린의 다단계 반응을 형성하며, 총 2 내지 6분이 소요된다. 비록 제올라이트가 혈액 응고 과정을 촉진할 수 있으나, 혈액 응고 시간이 너무 길면 환자에게 너무 많은 출혈이 일어나고 일부 중요한 장기에 불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혈우병 환자는 혈액 응고 채널 중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가 선천적으로 결핍되어 혈액 응고 채널을 통해 혈액을 응고할 수 없다. 혈우병 환자에게 출혈이 발생하면 정상인보다 지혈하기가 훨씬 어렵다. 외부적인 생물학적 지혈제를 추가해야 혈액을 응고시킬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물학적 지혈제는 트롬빈, 피브린 접착제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롬빈의 혈액 응고 작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트롬빈이 직접 피브리노겐을 전단하여 피브린 단량체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혈액 응고 인자 XIIIa의 작용 하에서 가교된 피브린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혈액 응고 시간은 0.5 내지 1분이다. 피브린 접착제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혈액 응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혈액 응고 시간은 0.5 내지 1분이다. 여기에서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을 전단함과 동시에 활성화된 혈액 응고 인자 XIIIa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전단된 피브리노겐은 피브린 단량체를 형성하며, 이는 XIIIa 작용 하에서 서로 가교되어 안정적인 가교된 피브린 응고 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지혈 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트롬빈 또는 피브린 접착제의 제조가 어렵고 순도 요건이 높으며 보관 조건(-20℃)이 엄격하여 비용이 매우 높다(트롬빈의 시장 가격은 일반적으로 2,000위안/mg, 피브린 접착제의 시장 가격은 일반적으로 8,000위안/소형팩, 1회 용량). 따라서 실용적 가치와 상업적 가치가 낮다.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재료이다. 효소는 생물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생물학적 재료이다. 무기 재료와 생물학적 재료를 결합하는 것은 큰 도전 과제이다. 주된 이유는 제올라이트가“강성”의 무기 재료이고 효소는“연성”의 생물학적 거대 분자이기 때문이다. 효소가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접촉되면, 강성의 제올라이트 표면은 효소의“연성”특성에 의해 변화가 일어나기 쉽다. 즉 구성에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제올라이트와 결합된 효소는 효소의 일부분이 제올라이트에 접촉되어 반응물과의 접촉 가능성이 낮아진다. 즉,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효소와 제올라이트의 결합으로 인해 효소의 활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제올라이트 표면에 효소를 도입하면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효소가 상이한 정도로 비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는 무기 지혈 재료이며, 트롬빈은 고효율의 생물학적 지혈제이다. 그러나 두 가지를 결합하면 대부분의 트롬빈(94%)이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비활성화되고, 트롬빈의 혈액 응고 효과가 0.5분에서 2.2분으로 연장되므로(도 4), 지혈 효과가 좋지 않아 긴급 지혈 요건에 크게 도달하지 못한다. 현재 종래 기술에서는 지혈이 빠르고 비용이 낮으며 혈우병에 효과적인 무기 생물학적 효소 지혈 재료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감안하여 지혈이 빠르고 비용이 낮으며 혈우병에 효과적인 무기 생물학적 효소 지혈 조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발명자들은 특정 유형의 제올라이트, 특정 성능의 효소, 특정 제올라이트와 효소의 질량비의 선택, 및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대한 개질을 수행함으로써 제올라이트와 효소 간의 상호 작용 및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효소의 구성을 제어하여, 기존의 학문적 사고를 깨고 처음으로 지혈이 빠르고 비용이 낮으며 혈우병에 효과적인 무기 생물학적 효소 지혈 재료를 제조하였다. 발명자들은 기공 채널 크기, 제올라이트의 2차 금속 양이온의 분극화 작용,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가 1:200 내지 4:10인 구성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수단의 종합적인 작용을 통해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효소의 구성을“규범화”하였다. 발명자들은 예기치 않게 트립신이 제올라이트의 내부 프레임에 진입하지 않고 트립신이 규칙적인 구성과 배향으로 제올라이트 표면에 배열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도 2). 특히 트립신의 활성 부분은 제올라이트를 향하지 않아 반응물을“포착”하는 데 유리하였다. 이처럼 특수한 지혈 조합물을 설계함으로써, 무기와 생물학적 재료의 고효율 결합을 예기치 않게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올라이트 표면에서 효소가 비활성화되는 기술적 문제를 극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조합물은 트립신 활성이 낮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지혈 조합물의 지혈 효과가 트립신이나 제올라이트보다 모두 향상되어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감소한다(도 3). 본 발명에 따른 지혈 조합물은 트롬빈 등과 같은 고가의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단지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트립신과 미세공 및 2가 양이온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특정 비율로 조합하기만 하면, 신속한 지혈, 낮은 비용, 혈우병에 대한 효과적인 지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완전히 새로운 재료를 획득하였다. 지혈 조합물에 있어서, 상기 지혈 조합물은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은 미세공이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며,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0 내지 4:10이다(도 2).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에 속한다.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 음전하의 균형을 이루는 양이온이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channel)과 케이지(cage)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미세공은 제올라이트 기공 채널 크기가 2nm 이하이다.
더 나아가,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코발트 이온, 니켈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및 스트론튬 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100 내지 3: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60 내지 2.5: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50 내지 2: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40 내지 1.5: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 내지 1:10이다.
더 나아가,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0% 내지 95%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60% 내지 90%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65% 내지 85%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70% 내지 80%를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72% 내지 78%를 차지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올라이트의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 내지 2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2 내지 15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5 내지 4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2 내지 3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 캐버자이트, β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 ZSM-5형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1)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제조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은 미세공이고 상기 제올라이트 표면은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한다.
(2)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트립신과 접촉시킨다.
(3) 트립신을 제올라이트 표면에 흡착시켜 상기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5 내지 1:2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8 내지 1:10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 내지 1:5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5 내지 1:2.5이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1)에서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에 대해 초음파 처리를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초음파 처리의 시간은 0.5 내지 30분이며, 초음파 주파수는 20 내지 200kHz이고, 초음파 출력은 200 내지 5000W이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10 내지 37℃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15 내지 3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20 내지 25℃이다.
더 나아가, 상기 단계 (3)에서 트립신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흡착된 후 제올라이트의 현탁액과 트립신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0℃ 내지 -8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10℃ 내지 -6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20℃ 내지 -5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30℃ 내지 -45℃이다.
더 나아가,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0 내지 4:10이다.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100 내지 3: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60 내지 2.5: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50 내지 2: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40 내지 1.5:1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 내지 1:10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지혈 복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혈 복합 재료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지혈 조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첨가제는 캐리어, 항균 재료, 정전기 방지 재료, 고분자 다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상기 캐리어는 지혈 조합물을 상처의 기질에 접촉시키는 데 사용된다.
더 나아가, 상기 항균 재료는 자체적으로 살균 또는 미생물 억제 기능을 갖는 재료이다.
더 나아가, 상기 캐리어는 면, 잠사, 양모, 플라스틱, 셀룰로오스,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폼, 폴리아크릴산 폼, 저밀도 폴리에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상기 항균 재료는 나노은 입자, 바닐린 및 에틸바닐린류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키토산 및 아가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지혈 조합물 또는 지혈 분야에서 전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지혈 복합 재료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제올라이트 단독 또는 트립신 단독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고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으로 인해 큰 출혈이 일어나는 경우 매우 효율적으로 지혈하고 대동맥 출혈로 인한 사망 위험을 줄이며 중요 장기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지혈할 수 있다.
2. 현재 대동맥 출혈의 응급 상황 및 혈우병 환자 출혈의 특수 상황의 경우, 가장 효과적인 지혈 재료는 트롬빈으로 대표되는 혈액 제품이다. 그러나 트롬빈으로 대표되는 혈액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트롬빈의 가격은 2000위안/mg) 함량이 적으며(사람이나 동물의 혈액에서 추출해야 함) 보관이 어려운(저온 보관이 필요, 체내에서 비활성화가 일어나기 쉬움) 단점 등이 있다. 트립신(0.1위안/mg)과 제올라이트(300위안/톤=3×10-7위안/mg)는 모두 매우 저렴하다. 무기 재료와 생물학적 거대 분자의 특이적 결합을 통해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성능은 트롬빈의 성능과 같거나 그 이상이며, 지혈 재료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상업적 전망이 더욱 밝다. 특히 혈우병 환자의 경우, 지혈 조합물을 휴대용 응급 지혈 재료 사용하여 출혈이 멈추지 않는 위험을 줄이고 혈우병 환자 일생의 지혈제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혈액 응고 채널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혈 조합물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자연 혈액 응고 시간,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트롬빈 및 본 발명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의 혈액 응고 효과 비교도이다.
도 4는 자연 혈액 응고 시간, 트롬빈,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 트립신 및 본 발명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의 혈액 응고 효과 비교도이다.
도 5는 자연 혈액 응고 시간,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 본 발명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의 혈액 응고 효과 비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혈액 응고 효과의 측정
① 정상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
25mg 샘플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하며, 정상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상기 샘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한다.
② X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
25mg 샘플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X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하며, X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상기 샘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한다.
③ VIII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
25mg 샘플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VII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VII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하며, VII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상기 샘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한다.
④ IX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
25mg 샘플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IX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IX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하며, IX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상기 샘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한다.
⑤ XI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
25mg 샘플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하며,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상기 샘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한다.
비교예 1
자연 혈액 응고 시간은 정상인 출혈에서 혈액 응고에 필요한 시간이다.
자연 혈액 응고 효과의 측정: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진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의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체외 실험 시, 20μL의 0.2M CaCl2 용액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첨가한 후,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하며, 정상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자연 혈액 응고 시간(9.6분)으로 기록한다.
비교예 2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인 A형 제올라이트(Na형, 즉 1가 나트륨 이온이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100%를 차지, 미세공)은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함침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한다.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25mg A형 제올라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8분이다(표 1). 여기에서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A형 제올라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표 1). 여기에서 A형 제올라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① 25mg 트립신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트립신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4분). 여기에서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② 25mg 트립신을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은 각각 4, 4.6, 4, 4분이다. 여기에서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트롬빈 혈액 응고 효과의 측정:
① 트롬빈(Sigma T4648 트롬빈, 제조사 Sigma-Aldrich)을 취하여 1mg/mL 용액으로 제조하고, 50uL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첨가하며,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 후,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트롬빈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트롬빈의 혈액 응고 시간은 0.5분이다. 이는 혈액 응고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다(도 3).
② 트롬빈(Sigma T4648 트롬빈, 제조사 Sigma-Aldrich)을 취하여 1mg/mL 용액으로 제조하고, 50uL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첨가하며,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은 각각 0.5, 0.52, 0.51, 0.54분이다. 여기에서 트롬빈의 혈액 응고 효과가 비교적 우수함을 알 수 있다(표 1).
비교예 5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제조: 5g의 A형 제올라이트를 30ml 증류수에 분산시킨다. 트롬빈을 pH 7.0의 인산완충액에 용해시켜 질량 농도가 0.1%인 트롬빈(Sigma T4648 트롬빈, 제조사 Sigma-Aldrich) 용액 10mL를 수득한다. 그 후 이 둘을 3: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A형 제올라이트와 트롬빈의 중량 비율이 10:1인 혼합액 40mL를 제조한다. 교반 조건 하에서 0.5g의 글리세롤과 1g의 만니톨을 넣고, 질량 농도 5%의 염화칼슘 용액 50uL를 점적하여 균일하게 교반한다. 다시 교반 상태 하에서 부피 농도가 1%인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 250uL를 점적하여 가교한다. 그 후 적당한 형상의 다이에 붓고 2시간 거치하여 겔이 형성되도록 기다린 후 -20℃에서 24시간 동안 동결한다. 다시 -40℃에서 36시간 진공 냉동 건조한 후 다이에 붓고 분쇄하고 패키징하여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를 수득한다.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혈액 응고 효과의 측정:
① 25mg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2.2분). 트롬빈을 고정한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저하되었다.
② 25mg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은 각각 4, 3.6, 4, 4분이다. 트롬빈을 고정한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저하되었다(도 4).
트롬빈 A형 제올라이트 복합재료 2의 제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인 A형 제올라이트(Na형, 즉 1가 나트륨 이온이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100%를 차지, 미세공)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상기에서 제조한 A형 제올라이트를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트롬빈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롬빈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A형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롬빈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롬빈을 분산시켜 트롬빈 A형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 2를 수득한다.
트롬빈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의 혈액 응고 시험과 함께, 트롬빈 A형 제올라이트 복합 재료 2에 대해 정상 혈액, X, VIII, IX 및 XI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효과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2, 5, 5, 5.5, 5.2분이다.
비교예 4와 비교예 5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롬빈과 제올라이트 결합에 의해 형성된 복합물의 혈액 응고 시간이 트롬빈 단독의 혈액 응고 시간보다 길다. 즉, 대응하는 혈액 응고 효과는 단독의 트롬빈보다 낮으며, 두 지혈 재료 복합 성능이 단독 지혈 재료보다 우수하도록 구현하지 못했다(표 1).
실시예 1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인 A형 제올라이트(Na형, 즉 1가 나트륨 이온이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100%를 차지, 미세공)은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함침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한다.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A형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4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5, 0.4, 0.4, 0.4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내며,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A형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표 1).
실시예 1과 비교예 2 및 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A형 제올라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고(도 3),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혈 조합물 중 제올라이트(기공 채널 구조 및 금속 양이온)는 트립신의 공간적 배향을 긍정적으로 제어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의 트립신이 혈액 응고 채널(clotting cascade)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키는 활성이 향상된다. 이의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은 단독 트립신의 활성보다 우수하며, 단독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촉진 활성보다 더욱 우수하다.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매우 높은 효율로 지혈할 수 있으며 대동맥 출혈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추고 중요한 장기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지혈 조합물의 지혈 효과는 트롬빈이 일으키는 작용에 상당하며, 지혈 재료의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상업화 전망이 더욱 밝다.
표 1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 트립신 및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상이한 2가 양이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Na형)을 각각 5M 농도의 염화코발트, 염화니켈,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또는 염화스트론튬 용액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각각 상이한 2가 양이온을 포함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상이한 2가 양이온을 함유한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상이한 2가 양이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상이한 2가 양이온(코발트, 니켈,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표 2)과 비교예 1 내지 3의 혈액 응고 효과, 2가 양이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자연 혈액 응고, 트립신 및 A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의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표 2 상이한 2가 양이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시간
Figure pct00002
각주: 1) 트립신 Co-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는 코발트 이온을 포함하는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 조합의 지혈 조합물을 나타낸다. 2) 트립신 Co-A형/Ni-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는 코발트 이온과 니켈 이온을 포함하는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 조합의 지혈 조합물을 나타낸다. 3) 표에서 1가 양이온은 나트륨 이온이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올라이트 1가 양이온도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리튬 이온, 암모늄 이온, 수소 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 1가 양이온이 칼륨 이온, 리튬 이온, 암모늄 이온, 수소 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치환될 경우, 대응하는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트립신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도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응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이한 트립신과 제올라이트 질량 비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각각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200, 1:100, 1:60, 1:50, 1:40, 1:20, 1:10, 1.5:10, 2:10, 2.5:10, 3:10, 4: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상이한 비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표 3).
표 3 상이한 비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시간
Figure pct00003
상이한 비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각각 1:200, 1:100, 1:60, 1:50, 1:40, 1:20, 1:10, 1.5:10, 2:10, 2.5:10, 3:10, 4:10의 질량비에 따라 제조)과 비교예 1 내지 3의 혈액 응고 효과는,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가 1:200 내지 4:10인 범위 내에서, 상이한 비율의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표 3)가 자연 혈액 응고, 트립신,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의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6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은 Na의 A형 제올라이트이고(즉 4A형 제올라이트),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100%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4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4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4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4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5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6.5, 6, 6, 6.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은 정상 혈액과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이상적이지 않다.
실시예 1과 비교예 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에 훨씬 못 미친다(도 5). 트립신 4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은 심지어 4A형 제올라이트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떨어지며, 이는 트립신이 4A형 제올라이트(2가 양이온이 없음)에서 활성이 감소하며 심지어 모두 비활성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촉진 효과를 저하시킨다.
여기에서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이 1가 양이온일 때(함량은 100%),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이 형성하는 조합물의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낮으며 이는 본 발명의 지혈 조합물에 속하지 않는다.
상기 1가 양이온은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리튬 이온, 암모늄 이온, 수소 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비교예 7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암모늄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1가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60%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40%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A형 제올라이트(NH4 +)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NH4 +)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NH4 +)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NH4 +)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5.2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6.1, 6.4, 6.4, 6.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NH4 +)은 정상 혈액과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이상적이지 않다.
실시예 1과 비교예 7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에 훨씬 못 미친다(도 5).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은 심지어 A형 제올라이트(NH4 +, 2.8분)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못하다. 이는 트립신이 A형 제올라이트(NH4 +, 2가 양이온이 없음)에서 활성이 감소하며 심지어 모두 비활성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저하된다.
비교예 8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5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β 제올라이트(Na형)를 0.1M 농도의 암모늄 수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β 제올라이트는 1가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40%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60%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β 제올라이트(NH4 +)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β 제올라이트(NH4 +)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β 제올라이트(NH4 +)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β 제올라이트(NH4 +)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β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β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5.6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6.1, 6.4, 6.3, 6.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조합물(NH4 +)은 정상 혈액과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이상적이지 않다. 트립신 β 제올라이트(NH4 +)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에 훨씬 못 미친다. 트립신 β 제올라이트(NH4 +, 2.8분) 조합물은 심지어 β 제올라이트(NH4 +)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못하다. 이는 트립신이 β 제올라이트(NH4 +, 2가 양이온이 없음)에서 활성이 감소하며 심지어 모두 비활성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저하된다.
비교예 9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0.83mg의 트립신을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300),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을 수득한다(1:300).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1:300)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2.8분이다.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은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1:300)에 첨가한 후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의 비율을 특정해야만 비교적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트립신과 제올라이트 비율이 1:200보다 낮을 때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떨어진다.
비교예 10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A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5: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을 수득한다(5:10).
정상 혈액과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은 트립신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5:10)을 첨가한 후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의 비율을 특정해야만 비교적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트립신과 제올라이트 비율이 4:10보다 높을 때 혈액에 항응고 현상이 나타나 혈액의 대량 유실을 격화시킨다.
실시예 1과 비교예 3, 9, 10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 중의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의 질량비는 특정한 질량비 범위(1:200 내지 4:10)를 충족시켜야 한다. 이 둘의 질량비가 상기 특정한 질량비 범위 이외에 있는 경우(비교예 9, 비교예 10), 형성되는 제올라이트와 트립신 복합물의 혈액에 대한 응고 시간이 단독 트립신의 혈액 응고 시간보다 길어진다. 즉,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단독 트립신의 혈액 응고 활성보다 낮아 본 발명의 고효율의 지혈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비교예 11
메조세공 실리카 MCM-41(기공 채널은 2.8 내지 4.5nm)을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메조세공 실리카 MCM-41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메조세공 실리카 MCM-41과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킨다(트립신과 메조세공 실리카 MCM-41의 질량비는 1:10으로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며,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트립신 MCM-41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MCM-41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5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5.5, 6.3, 6.2, 6.1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MCM-41 조합물은 정상 혈액과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이상적이지 않다. 트립신 MCM-41 조합물은 심지어 MCM-41(3분)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떨어진다.
비교예 12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인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Na형, 기공 채널은 5nm)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A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상기에서 제조한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한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트립신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5.5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5.6, 5.3, 5.2, 5.1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은 정상 혈액과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이상적이지 않다. 트립신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 조합물은 심지어 메조세공 A형 제올라이트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떨어진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1 및 12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메조세공 제올라이트 조합물의 혈액 응고 촉진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립신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보다 낮고, 트립신 메조세공 제올라이트 조합물은 단독의 메조세공 제올라이트 또는 단독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떨어진다. 동일한 제올라이트와 트립신 질량비, 동일한 2가 금속 양이온의 조건 하에서, 제올라이트 공경의 크기는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으로 구성되는 지혈 조합물의 지혈 성능에 핵심적인 작용을 한다. 이는 트립신이 메조세공 제올라이트의 메조세공으로 진입하여 생물학적 거대 분자가 제올라이트의 메조세공 기공 채널 내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혈액과 접촉할 때, 메조세공 기공 채널 내의 트립신이 혈액 내 혈액 응고 채널의 혈액 응고 인자와 접촉하지 못하여, 혈액 응고 채널 반응을 신속하게 활성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의 메조세공의 제올라이트 기공 채널 크기는 50nm 이하아며 미세공의 크기보다 크다.
비교예 13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5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캐버자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캐버자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캐버자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캐버자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캐버자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캐버자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분이다. 여기에서 캐버자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하여 획득한 25mg 캐버자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캐버자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캐버자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트립신 캐버자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5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캐버자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캐버자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캐버자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캐버자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캐버자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캐버자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캐버자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캐버자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35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45, 0.35, 0.35, 0.4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캐버자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캐버자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4와 비교예 13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캐버자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단독의 캐버자이트나 단독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14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5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β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β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β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β 제올라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β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β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3분이다. 여기에서 β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β 제올라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β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β 제올라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5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β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β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β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β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β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β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52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55, 0.55, 0.5, 0.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β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5와 비교예 14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β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β 제올라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15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모데나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모데나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모데나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모데나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모데나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모데나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5분이다. 여기에서 모데나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모데나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모데나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모데나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트립신 모데나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모데나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모데나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모데나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모데나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모데나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모데나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모데나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모데나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45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45, 0.45, 0.5, 0.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모데나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모데나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6과 비교예 15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모데나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모데나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16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X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X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X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X형 제올라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X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X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1분이다. 여기에서 X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X형 제올라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X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X형 제올라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트립신 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X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X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X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X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X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X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48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48, 0.45, 0.5, 0.5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X형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7과 비교예 1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X형 제올라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17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3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Y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Y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Y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Y형 제올라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Y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Y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분이다. 여기에서 Y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Y형 제올라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Y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Y형 제올라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트립신 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3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Y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Y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Y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Y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Y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Y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3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33, 0.4, 0.3, 0.3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Y형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8과 비교예 17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Y형 제올라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비교예 18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ZSM-5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ZSM-5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 제조하여 수득한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 측정: 25mg ZSM-5형 제올라이트를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하며, 정상 혈액을 미리 37℃ 수욕에서 30분간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정상 혈액을 첨가한다. 정상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은 2분이다. 여기에서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효과가 일반적임을 알 수 있다.
25mg ZSM-5형 제올라이트를 취하여 2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37℃에서 체외 혈액 응고 실험을 수행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미리 37℃ 수조에서 30분 동안 항온 처리한다. 그 후 20uL의 0.2M CaCl2를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1mL 항온의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을 첨가한다. X, VIII, IX 또는 XI 인자 결핍 혈액이 응고될 때의 시간을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혈액 응고 시간으로 기록하였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함이 있는 혈액은 장시간 동안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서 ZSM-5형 제올라이트가 혈우병 환자에 대해 혈액 응고 촉진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트립신 ZSM-5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ZSM-5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ZSM-5형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ZSM-5형 제올라이트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ZSM-5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ZSM-5형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ZSM-5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ZSM-5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ZSM-5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4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43, 0.42, 0.4, 0.4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ZSM-5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ZSM-5형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혈액이 장시간 응고되지 않는다. 실시예 9와 비교예 18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ZSM-5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ZSM-5형 제올라이트나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은 크게 단축된다.
실시예 10
트립신 ZSM-5형/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ZSM-5형 제올라이트(Na형)과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4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Y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ZSM-5형 제올라이트와 Y형 제올라이트(1:1)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ZSM-5형 제올라이트와 Y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ZSM-5형 제올라이트와 Y형 제올라이트를 트립신과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ZSM-5형 제올라이트와 Y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ZSM-5형/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ZSM-5형/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34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33, 0.32, 0.4, 0.34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ZSM-5형/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트립신 ZSM-5형/Y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제올라이트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실시예 11
트립신 모데나이트/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제조:
①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20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모데나이트(Na형)과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이 1.2이고 기공 채널이 미세공인 X형 제올라이트(Na형)를 5M 농도의 염화마그네슘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수득한 제올라이트는 2가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하며,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 함량의 95%를 차지하고, 1가 나트륨 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를 차지한다.
② 상기에서 제조한 25mg의 모데나이트와 X형 제올라이트(1:1)를 1mL 수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모데나이트와 X형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형성한다. 모데나이트와 X형 제올라이트를 트립신과 충분히 접촉시키고(트립신과 모데나이트와 X형 제올라이트의 질량비 1:10에 따라 첨가), 25℃에서 30분간 혼합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흡착시킨다. 또한 상기 용액을 -20℃에서 5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에 트립신을 분산시켜 트립신 모데나이트/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을 수득한다.
트립신 모데나이트/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정상 혈액 응고 시간은 0.4분이고, X, VIII, IX 및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의 혈액 응고 시간은 각각 0.43, 0.37, 0.4, 0.36분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트립신 모데나이트/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은 정상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X, VIII, IX, XI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혈액에 대한 혈액 응고 효과도 매우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혈우병 환자에 대해서도 매우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트립신 모데나이트/X형 제올라이트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제올라이트 또는 트립신의 혈액 응고 효과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5 내지 1:2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8 내지 1:10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 내지 1:5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5 내지 1:2.5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은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에 대해 초음파 처리를 수행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초음파 처리의 시간은 0.5 내지 30분이며, 초음파 주파수는 20 내지 200kHz이고, 초음파 출력은 200 내지 5000W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의 트립신과 제올라이트가 접촉하는 온도는 10 내지 37℃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가 접촉하는 온도는 15 내지 3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가 접촉하는 온도는 20 내지 25℃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에서 상기 트립신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흡착된 후 제올라이트의 현탁액과 트립신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0℃ 내지 -8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10℃ 내지 -6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20℃ 내지 -5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30℃ 내지 -45℃이다.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혈 복합물의 혈액 응고 촉진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특정한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의 질량비(1:200 내지 4:10), 특정한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2가 금속 양이온), 특정한 제올라이트 기공 크기(미세공)의 시너지 효과가 나야 하며, 3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만 본 발명에 따른 지혈 성능이 우수한 지혈 조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무기 재료와 생물학적 거대 분자의 특이적 결합을 통해,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성능이 단독의 트롬빈의 혈액 응고 성능과 같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지혈 재료의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상업화 전망이 더욱 밝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편견을 극복하였으며, 예기치 않게 처음으로 지혈이 빠르고 비용이 낮으며 혈우병에 효과적인 무기 생물학적 효소 지혈 재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지혈 조합물의 혈액 응고 효과는 제올라이트 또는 트립신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의 혈액 응고 성능보다 훨씬 우수하며, 혈액 응고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출혈량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본 발명의 지혈 조합물 중 제올라이트(미세공의 기공 채널 구조, 2가 금속 양이온, 특정한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의 질량비)의 트립신의 공간 구성, 공간 배향성에 대한 긍정적인 제어를 수행하여, 제올라이트 표면의 트립신의 공간 구조가 혈액 응고 채널(clotting cascade) 중의 프로트롬빈과 접촉하기에 더욱 유리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혈액 응고 채널(clotting cascade) 과정에서 프로트롬빈이 트롬빈으로 전환되도록 촉진하는 활성이 향상되고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향상된다.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시너지 효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지혈 조합물의 전체적인 효과는 트립신 단독 또는 제올라이트 단독보다 훨씬 우수하다. 또한 그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은 트립신 단독 사용 시보다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훨씬 우수하고, 제올라이트 단독 사용 시보다도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훨씬 우수하며, 심지어 트롬빈 단독 사용 시보다 혈액 응고 촉진 활성이 훨씬 우수하다.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으로 인해 큰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지혈 조합물은 고효율로 지혈할 수 있으며 대동맥 출혈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추고 중요한 장기의 손상을 줄여 혈우병 환자에게도 우수한 혈액 응고 촉진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내용을 읽은 후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등한 형식의 변경 또는 수정은 모두 본 출원의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된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9)

  1. 지혈 조합물에 있어서,
    상기 지혈 조합물은 적어도 제올라이트와 트립신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은 미세공이며, 상기 제올라이트는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며,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0 내지 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코발트 이온, 니켈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및 스트론튬 이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100 내지 3: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60 내지 2.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50 내지 2: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40 내지 1.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50% 내지 95%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60% 내지 90%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65% 내지 85%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70% 내지 80%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가 금속 양이온은 제올라이트 골격외 금속 양이온의 72% 내지 78%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의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 내지 2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2 내지 15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1.5 내지 4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알루미늄 비율은 2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 캐버자이트, β 제올라이트, 모데나이트,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 ZSM-5형 제올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
  7.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기 단계,
    (1)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올라이트의 기공 채널은 미세공이고 상기 제올라이트 표면은 2가 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단계;
    (2)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을 트립신과 접촉시키는 단계;
    (3) 트립신을 제올라이트 표면에 흡착시켜 상기 지혈 조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5 내지 1:2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0.8 내지 1: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 내지 1:5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의 제올라이트와 탈이온수의 질량비는 1:1.5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제올라이트의 현탁액에 대해 초음파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의 시간은 0.5 내지 30분이며, 초음파 주파수는 20 내지 200kHz이고, 초음파 출력은 200 내지 5000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10 내지 37℃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15 내지 30℃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접촉되는 온도는 20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트립신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흡착된 후 제올라이트의 현탁액과 트립신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0℃ 내지 -8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10℃ 내지 -6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20℃ 내지 -5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의 온도는 -30℃ 내지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0 내지 4:10이고;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100 내지 3: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60 내지 2.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50 내지 2: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40 내지 1.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신과 제올라이트의 질량비는 1:2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조합물의 제조방법.
  14. 지혈 복합 재료에 있어서,
    상기 지혈 복합 재료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혈 조합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복합 재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캐리어, 항균 재료, 정전기 방지 재료, 고분자 다당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복합 재료.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면, 잠사, 양모, 플라스틱, 셀룰로오스,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폼, 폴리아크릴산 폼, 저밀도 폴리에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복합 재료.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재료는 나노은 입자, 바닐린 및 에틸바닐린류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복합 재료.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다당류는 셀룰로오스, 리그닌, 전분, 키토산 및 아가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 복합 재료.
  19. 지혈 분야에서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혈 조합물 또는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혈 복합 재료의 용도.
KR1020217020561A 2018-12-01 2020-01-28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7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461203.5A CN111249518B (zh) 2018-12-01 2018-12-01 一种止血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CN2020/074061 WO2020108670A2 (zh) 2018-12-01 2020-01-28 一种止血组合物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801A true KR20220027801A (ko) 2022-03-08

Family

ID=7085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561A KR20220027801A (ko) 2018-12-01 2020-01-28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1228B2 (ko)
EP (1) EP3991760A2 (ko)
JP (1) JP7016049B2 (ko)
KR (1) KR20220027801A (ko)
CN (1) CN111249518B (ko)
IL (1) IL283596A (ko)
WO (1) WO20201086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9765B (zh) * 2021-11-29 2022-08-16 张君华 一种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2349A (en) 1984-04-25 1989-04-18 Hursey Francis X Method of treating wounds
US6500799B2 (en) * 1999-04-09 2002-12-31 Vladimir N. Filatov Wound dressing
UA68506A (en) * 2003-05-29 2004-08-16 Valentyna Vasylivna Trach Method for manufacturing dressing material
MX2007012231A (es) 2005-04-04 2007-12-07 Univ California Materiales inorganicos para modulacion hemostatica y curacion terapeutica de heridas.
US7604819B2 (en) 2006-05-26 2009-10-20 Z-Medica Corporation Clay-based hemostatic agent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thereof
US9017664B2 (en) * 2006-12-15 2015-04-28 Lifebond Ltd. Gelatin-transglutaminase hemostatic dressings and sealants
WO2008127497A2 (en) 2007-02-21 2008-10-2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mosta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01104080B (zh) * 2007-04-24 2011-06-22 深圳市鸿华投资有限公司 沸石止血敷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09153751A2 (en) * 2008-06-18 2009-12-23 Lifebond Ltd A method for enzymatic cross-linking of a protein
CN102112162B (zh) * 2008-06-20 2014-12-24 库克生物科技公司 复合细胞外基质材料及由其形成的医疗产品
CN102049239A (zh) * 2010-12-07 2011-05-11 浙江大学 天然沸石离子交换改性制备的氮氧化物吸附剂
WO2014145271A1 (en) * 2013-03-15 2014-09-18 Stb, Ltd. Compositions having cylindrical volume, methods, and applicators for sealing injuries
CN107233614A (zh) * 2017-06-28 2017-10-10 常州武城服饰有限公司 一种促愈合型急救止血粉及其制备方法
CN108159476A (zh) * 2017-12-11 2018-06-15 江苏金秋弹性织物有限公司 一种医用抗菌绷带的制备方法
CN108785735B (zh) * 2018-09-10 2020-09-08 中山大学 止血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49518A (zh) 2020-06-09
IL283596A (en) 2021-07-29
US20220062496A1 (en) 2022-03-03
EP3991760A4 (en) 2022-05-04
CN111249518B (zh) 2021-03-05
EP3991760A2 (en) 2022-05-04
JP2021500936A (ja) 2021-01-14
WO2020108670A2 (zh) 2020-06-04
WO2020108670A3 (zh) 2020-08-13
US11951228B2 (en) 2024-04-09
JP7016049B2 (ja)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743B2 (ja) 吸着剤を含む止血装置
EP1810697A2 (en) Devices for the delivery of molecular sieve materials for the formation of blood clots
Hu et al. Antibacterial hemostatic dressings with nanoporous bioglass containing silver
Li et al. Emerging materials for hemostasis
CN104189941B (zh) 一种壳聚糖凝胶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
WO2009061575A1 (en) Adsorbent-containing hemostatic devices
CN102526794B (zh) 钙络合型淀粉基微孔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20824A (zh) 一种高效抗菌复合止血海绵的制备方法
CN112972749A (zh) 基于壳聚糖纤维的高效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837143A (zh) 一种药物缓释止血组合物及制备方法
KR20220027801A (ko) 지혈 조합물 및 그 제조방법
Cheng et al. Facile and green approach towards biomass-derived hydrogel powders with hierarchical micro-nanostructures for ultrafast hemostasis
CN101590288A (zh) 一种药物缓释可吸收止血海绵及其制备方法
CN107412843B (zh) 一种具有抗菌性能的淀粉基微孔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172857A (zh) 一种外创用复合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
Qiu et al. N‐dodecylated chitosan/graphene oxide composite cryogel for hemostasis and antibacterial treatment
US20210283298A1 (en) Hemostatic fabric containing tryps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5327383A (zh) 一种胶原蛋白/海藻酸钙/壳聚糖复合止血海绵及制备方法
CN112791223B (zh) 一种抗菌壳聚糖基止血贴
US8389498B2 (en) Spinning solu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iomaterial fibers
CN104784742A (zh) 一种止血敷料及其制备方法
CN105107006A (zh) 一种可降解淀粉基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320078B2 (ja) バイオセルロース繊維、それを含む止血用被覆材及び関連応用
CN112553883B (zh) 生物纤维素纤维、包含所述纤维的止血敷料与相关应用
CN113616847A (zh) 基于y分子筛载体的炉甘石止血复合物及其制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