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97A -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 Google Patents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597A
KR20220027597A KR1020200108676A KR20200108676A KR20220027597A KR 20220027597 A KR20220027597 A KR 20220027597A KR 1020200108676 A KR1020200108676 A KR 1020200108676A KR 20200108676 A KR20200108676 A KR 20200108676A KR 20220027597 A KR20220027597 A KR 2022002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vertical
composite material
carbon composite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384B1 (ko
Inventor
신지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20010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384B1/ko
Priority to PCT/KR2021/011172 priority patent/WO2022045692A1/ko
Publication of KR2022002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2Collapsi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섬유로 구성되며 로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로부재, 한 쌍의 세로부재 및 적어도 4개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며, 물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이웃하는 가로부재, 세로부재, 수직부재 및 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캐스터;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종발이, 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trolley}
본 발명은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臺車)는 짐을 태워 운반 이동하기 위한 차륜이 붙은 받침대를 말하며, 소화물 등을 운반할 경우에 사용하는 손잡이가 붙어 있고, 작은 것에는 인력으로 끄는 것부터 큰 것으로는 철강재 구조물이나 제철소에 대한 무쇠를 탑재해 견인 이동하는 등의 용도의 대 하중용까지를 말한다.
이와 같은 대차는 제조/생산이 이루어지는 산업 현장 내지는 물류센터의 창고 등과 같이 산업용 물품(산업 생산품)과 물류이동이 많은 곳에서는 피이송물품을 작업자가 소량씩 직접 들고 이송/운반하지 않고 다량/과중량의 물품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반하고자 이송 대차에 적재하여 이송/운반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송 대차 또는 운반 대차로 명명되고 이를 대차로 통칭한다.
상기와 같이, 대차는 피이송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대차의 종래 구조를 살펴보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캐스터로 이루어지며, 수동일 경우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대차는 피이송물품 특히, 일정한 면적과 부피를 갖는 산업용 물품 내지는 산업 생산 물품을 적층시켜 다량 이송/운반 시, 대차의 흔들림에 의해 피이송물품이 요동치면서 상호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는 파손되거나 바닥으로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운송장비인 운송 대차, Steel case, Steel 파렛트 등의 주요 소재는 Steel, SUS 등이며, 해당 소재는 낮은 단가, 적정 강도, 비교적 쉬운 접합 방법의 특징을 갖고 있어 주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나 허용 중량의 향상, 경량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철강류의 소재를 이용한 운송 장비의 경우 경쟁력 있는 단가와 중량을 고려하였을 때, 부품을 적재할 수 있는 최대 허용 하중에는 한계가 있고,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해 원자재(소재)의 변경을 통한 물품 특성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한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는 탄소 섬유로 구성되며 로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로부재, 한 쌍의 세로부재 및 적어도 4개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며, 물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이웃하는 가로부재, 세로부재, 수직부재 및 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캐스터;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종발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재 및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수직부재 또는 이웃하는 세로부재와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이루는 내측 측면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1체결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체결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 상기 세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 상기 가로부재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 및 상기 세로부재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이루는 외측 측면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1체결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1체결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 상기 세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 상기 가로부재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 및 상기 세로부재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면접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 면접하는 주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관절 구조로 연결되고, 높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제1거치부재 및 상기 제1거치부재에 힌지 결합한 제2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부재 또는 상기 제2거치부재에는 자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캐스터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관절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발이는 상기 캐스터가 펼쳐진 상태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견인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외부 커버부재를 제거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2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2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외부 커버부재를 제거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2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는 내부에 물품(1)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100)를 제공하며, 적재부(100)의 외부를 덮는 커버(10), 적재부(100)의 각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00), 적재부(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적재부(100)를 지지하는 캐스터(300)와 종발이(400) 및 적재부(100)와 외부 동력을 연결하기 위한 견인 고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10)는 투과성 재질의 강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부(100)는 프레임(110), 거치부(120) 및 덮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가로부재(111), 세로부재(112) 및 수직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부재(111), 세로부재(112) 및 수직부재(113)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부재(111), 세로부재(112) 및 수직부재(113)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갖는 튜브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 체결부재(200) 중 제2체결부재(220, 230)를 통해, 상호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부재(220, 230)는 후술한다.
한편, 탄소 복합체는 탄소 섬유 시트와 수지를 복합화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수지는 열강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열강화성 포리이미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요소수지 및 멜라닌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 수지, 염화 비닐 수지, 염화 비닐리덴 수지,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열가소성 포리이미도 수지,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여기서, 열강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는 탄소 섬유의 바인더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탄소 섬유는 장섬유 또는 단섬유로 이루어져, 직포, 부직포, 편직포, 다축 세로 짜 옷감, 한 방향 배열옷감, 웹 또는 촙트 등의 직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가로부재(111)는 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질 수 있고, 세로부재(112)는 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재(113)는 Z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20)는 연결부재(121), 제1완충부재(122), 제1거치부재(123), 제2거치부재(124), 제2완충부재(125) 및 제3완충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120)는 프레임(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거치부(120)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복수의 층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층은 3개 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최하단의 1층에 물품(1) 적재하는 동안은 2층 및 3층은 접혀서 존재할 수 있고, 2층에 물품(1) 적재하는 동안은 3층은 접혀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21), 제1거치부재(123) 및 제2거치부재(124)는 경량의 금속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자성을 갖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21)는 체결부재(200) 중 제1체결부재(210)를 통해, 프레임(1110)에 물리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부재(210)는 후술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연결부재(121)가 세로부재(11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부재(121)는 가로부재(111) 또는 수직부재(11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완충부재(122)는 연결부재(121)에 연결되며,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품(1)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거치부재(123)는 프레임(110)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부재(121)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거치부재(124)는 제1거치부재(123)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제1거치부재(123)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2거치부재(124)는 물품(1) 적재 시 제1거치부재(12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물품(1)이 적재되지 않거나 아래 층의 물품(1)을 인출하는 경우는 제1거치부재(123)에서 접혀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거치부재(123) 또는 제2거치부재(124)에는 자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제2거치부재(124)가 접히는 경우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거치부재(123)에는 제1극성을 갖는 제1자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고, 제2거치부재(124)에는 제1극성과 반대인 제2극성을 갖는 제2자성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제2거치부재(124)가 접히는 경우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의 인력으로 인해 접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완충부재(125)는 제2거치부재(124) 상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물품(1)을 정렬하고 물품(1)의 하단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완충부재(126)는 제2거치부재(124)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품(1)의 상단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물품(1)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부(130)는 프레임(110)에 일단이 경첩(131)으로 연결되어, 열고 닫힐 수 있다.
프레임(110) 내부에 물품(1)을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덮개부(130)는 프레임(110)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130)의 하부에는 거치부(120)의 최상단에 배치된 물품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며, 물품(1)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3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캐스터(300)와 종발이(400)가 연결되기 위한 체결 플레이트(14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300)와 종발이(400)는 체결 플레이트(140)의 하면에 연결되어, 적재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캐스터(300)는 체결 플레이트(140)에 관절 구조로 연결되어, 접히고 펴지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캐스터(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종발이(400)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는 종발이(400)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재(200)는 제1체결부재(210)와 제2체결부재(220, 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 복합체 또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210)는 프레임(110) 중 가로부재(111), 세로부재(112) 및 수직부재(11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일 예에서, 제1체결부재(210)는 가로부재(111)와 연결부재(121)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체결부재(210)는 삽입홈(211)과 주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11)은 가로부재(111)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가로부재(111)의 일면과 양측면이 면접할 수 있다.
삽입홈(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211a)이 형성되며, 체결홀(211a)을 관통한 볼트가 가로부재(111)를 관통하여, 가로부재(111)를 제1체결부재(21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주변부(212)는 삽입홈(211)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주변부(212)의 일면에 연결부재(121)가 배치될 수 있다.
주변부(2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212a)이 형성되며, 체결홀(212a)을 관통한 볼트가 연결부재(121)를 관통하여, 연결부재(121)를 제1체결부재(210)에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부재(210)에서 삽입홈(211)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도 연결부재(121)가 배치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체결부재(220, 230)는 제2-1체결부재(220) 및 제2-2체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체결부재(220)는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가 수직하게 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2-1체결부재(220)는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의 내측 측면에 배치되어, 이웃한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1체결부재(220)는 가로부재(111)의 하면(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221), 세로부재(112)의 하면(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222), 가로부재(111)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223) 및 세로부재(112)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2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 영역(221)과 제2체결 영역(222)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1체결 영역(221)과 제3체결 영역(22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3체결 영역(223)과 제4체결 영역(22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체결 영역(222)과 제4체결 영역(22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 영역(221), 제2체결 영역(222), 제3체결 영역(223) 및 제4체결 영역(224)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20a)을 관통한 볼트가 가로부재(111) 및 세로부재(112)를 관통하여,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체결할 수 있다.
제2-2체결부재(230)는 가로부재(111) 또는 세로부재(112)와 수직부재(113)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2체결부재(230)는 세로부재(112)와 수직부재(113)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2체결부재(230)는 수직부재(113)의 제1측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231), 수직부재(113)의 제2측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232), 가로부재(111)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233) 및 세로부재(112)의 하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2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부재(113)의 제2측면은 제1측면에 이웃한 측면이다.
여기서, 제1체결 영역(231)과 제2체결 영역(232)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1체결 영역(231)과 제3체결 영역(23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3체결 영역(233)과 제4체결 영역(23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체결 영역(232)과 제4체결 영역(23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4체결 영역(234)은 제2-1체결부재(220)와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단차영역(225)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영역(225)에는 제2-1체결부재(220)의 제3체결 영역(223) 중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체결 영역(234)은 제2-1체결부재(220)의 간섭에 상관없이, 세로부재(112)의 하면에 직접 면접할 수 있어,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체결 영역(231), 제2체결 영역(231), 제3체결 영역(233) 및 제4체결 영역(234)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230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30a)을 관통한 볼트가 수직부재(113) 및 세로부재(112)를 관통하여, 수직부재(113)와 세로부재(112)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제2-2체결부재(230)의 제4체결 영역(234)과 단차영역(225)에 형성된 체결홀(230a)은 제2-1체결부재(220)의 체결홀(220a)과 대응되어 각각 하나의 볼트에 의해 함께 관통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1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서 제2-2체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에 대해 설명한다.
제2체결부재(240, 250)는 제2-1체결부재(240) 및 제2-2체결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체결부재(240)는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가 수직하게 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2-1체결부재(240)는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의 외측 측면에 배치되어, 이웃한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1체결부재(240)는 가로부재(111)의 하면(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241), 세로부재(112)의 하면(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242), 가로부재(111)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243) 및 세로부재(112)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2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 영역(241)과 제2체결 영역(241)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1체결 영역(241)과 제3체결 영역(24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3체결 영역(243)과 제4체결 영역(24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체결 영역(242)과 제4체결 영역(24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 영역(241), 제2체결 영역(242), 제3체결 영역(243) 및 제4체결 영역(244)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240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40a)을 관통한 볼트가 가로부재(111) 및 세로부재(112)를 관통하여,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체결할 수 있다.
제2-2체결부재(250)는 가로부재(111) 또는 세로부재(112)와 수직부재(113)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2체결부재(250)는 세로부재(112)와 수직부재(113)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2체결부재(250)는 수직부재(113)의 제1측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251), 수직부재(113)의 제2측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252), 제2-1체결부재(240)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253) 및 제2-1체결부재(240)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2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부재(113)의 제2측면은 제1측면에 이웃한 측면이다.
또한, 제3체결 영역(253)은 제2-1체결부재(240)의 제3체결 영역(243)에 면접하고, 제4체결 영역(254)은 제2-1체결부재(240)의 제4체결 영역(244)에 면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 영역(251)과 제2체결 영역(252)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1체결 영역(251)과 제3체결 영역(253)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3체결 영역(253)과 제4체결 영역(25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체결 영역(252)과 제4체결 영역(254)은 서로 수직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체결 영역(253)과 제4체결 영역(254) 각각은 제2-1체결부재(240)와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해, 제1체결 영역(251)과 제2체결 영역(252)에 비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3체결 영역(253)과 제4체결 영역(254) 각각에는 제2-1체결부재(240)의 제3체결 영역(243) 및 제4체결 영역(244) 중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2체결부재(250)는 제2-1체결부재(240)의 간섭에 상관없이, 세로부재(112)의 하면과 외측면에 직접 면접할 수 있어,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체결 영역(251), 제2체결 영역(251), 제3체결 영역(253) 및 제4체결 영역(254) 각각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250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250a)을 관통한 볼트가 수직부재(113) 및 세로부재(112)를 관통하여, 수직부재(113)와 세로부재(112)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제2-2체결부재(250)의 제3체결 영역(253)과 제4체결 영역(254)에 형성된 체결홀(250a)은 제2-1체결부재(240)의 체결홀(240a)과 대응되어 각각 하나의 볼트에 의해 함께 관통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적재부
110: 프레임
120: 거치부
130: 덮개부
200: 체결부재
300: 캐스터
400: 종발이
500: 견인 고리

Claims (12)

  1. 탄소 섬유로 구성되며 로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로부재, 한 쌍의 세로부재 및 적어도 4개의 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부재에 연결되며, 물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이웃하는 가로부재, 세로부재, 수직부재 및 거치부를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캐스터;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종발이, 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1체결부재 및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수직부재 또는 이웃하는 세로부재와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이루는 내측 측면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1체결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체결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
    상기 세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
    상기 가로부재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 및
    상기 세로부재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을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이웃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이루는 외측 측면에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1체결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2-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체결부재는,
    상기 가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1체결 영역,
    상기 세로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면접하는 제2체결 영역,
    상기 가로부재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3체결 영역 및
    상기 세로부재의 외측면에 면접하는 제4체결 영역을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면접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 면접하는 주변부를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관절 구조로 연결되고, 높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층을 이루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제1거치부재 및
    상기 제1거치부재에 힌지 결합한 제2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부재 또는 상기 제2거치부재에는 자성부재가 배치된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스터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관절 구조로 연결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발이는 상기 캐스터가 펼쳐진 상태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견인 고리를 더 포함하는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1020200108676A 2020-08-27 2020-08-27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10242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76A KR102420384B1 (ko) 2020-08-27 2020-08-27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PCT/KR2021/011172 WO2022045692A1 (ko) 2020-08-27 2021-08-23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676A KR102420384B1 (ko) 2020-08-27 2020-08-27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97A true KR20220027597A (ko) 2022-03-08
KR102420384B1 KR102420384B1 (ko) 2022-07-13

Family

ID=8035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676A KR102420384B1 (ko) 2020-08-27 2020-08-27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0384B1 (ko)
WO (1) WO202204569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05U (ko) * 1992-04-11 1993-11-26 야자끼 카코오 가부시끼가이샤 대차차체
KR930023504U (ko) * 1992-04-08 1993-11-26 야자끼 카코오 가부시끼가이샤 대차차체의 코너 조인트
US20030030239A1 (en) * 2001-07-31 2003-02-13 Woerner Axel G. Industrial transportation and storage cart
JP2004130866A (ja) * 2002-10-08 2004-04-30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台車
KR20110066309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금창 가변식 이동대차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20200001418U (ko) * 2018-12-18 2020-06-29 뉴 센츄리 프로덕츠 리미티드 접이식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238A (ja) * 1996-01-25 1997-08-05 Masashige Ariyama 運搬台車
KR200391394Y1 (ko) * 2005-03-08 2005-08-05 오정록 물건운반용 대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04U (ko) * 1992-04-08 1993-11-26 야자끼 카코오 가부시끼가이샤 대차차체의 코너 조인트
KR930023505U (ko) * 1992-04-11 1993-11-26 야자끼 카코오 가부시끼가이샤 대차차체
US20030030239A1 (en) * 2001-07-31 2003-02-13 Woerner Axel G. Industrial transportation and storage cart
JP2004130866A (ja) * 2002-10-08 2004-04-30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台車
KR20110066309A (ko) * 2009-12-11 2011-06-17 주식회사 금창 가변식 이동대차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20200001418U (ko) * 2018-12-18 2020-06-29 뉴 센츄리 프로덕츠 리미티드 접이식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384B1 (ko) 2022-07-13
WO2022045692A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26B1 (ko) 레일형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조립식 받침브라켓
KR102420384B1 (ko)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CN103373513B (zh) 装载结构件
KR20210041934A (ko) 롤테이너 및 이에 적용되는 체결구조
US20070227406A1 (en) Pallet table
KR200440927Y1 (ko) 상자 운반용 이동 대차
KR200446496Y1 (ko) 프레스가공 부품용 이동대차
CN206456457U (zh) 一种自动搬运机器人驱动单元结构
CN216036938U (zh) 用于智能搬运车的减震机构及具有其的智能搬运车
KR100336212B1 (ko) 절첩형 물품운반대차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KR101451342B1 (ko) 플라스틱 파레트 조립체
CN209863044U (zh) 仓储货架背档杆
JP3240577U (ja) 組立式搬送台車
CN207450563U (zh) 一种组合式物流托盘
JP2020100443A (ja) 載置台部材、載置台及び載置方法
KR20170000772U (ko) 트롤리
JP3986784B2 (ja) 梱包装置および緩衝材
CN214426943U (zh) 三轴振动冲击试验装置及超导磁体
CN216364191U (zh) 一种便于运输的折叠收纳式金属中型仓储货架
CN212100251U (zh) 集装器
JPH0223490Y2 (ko)
CN216035846U (zh) 一种防撞货物运输筐
CN211002395U (zh) 一种堆垛式托盘
CN209683748U (zh) 板车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