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418U - 접이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접이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418U
KR20200001418U KR2020190002543U KR20190002543U KR20200001418U KR 20200001418 U KR20200001418 U KR 20200001418U KR 2020190002543 U KR2020190002543 U KR 2020190002543U KR 20190002543 U KR20190002543 U KR 20190002543U KR 20200001418 U KR20200001418 U KR 202000014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ence
rod
tube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춘 린
Original Assignee
뉴 센츄리 프로덕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 센츄리 프로덕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 센츄리 프로덕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1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4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3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the wheel axes being moved from each other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고안의 접이식 유모차는 전륜부, 후륜부 및 폴딩부를 포함한다. 폴딩부는 2개의 측방 폴딩 홀더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방 폴딩 홀더는 상전방 펜스 튜브, 하전방 펜스 튜브, 상후방 펜스 튜브, 하후방 펜스 튜브 및 중간 홀더를 포함한다. 중간 홀더는 상부 폴딩 조인트, 하부 폴딩 조인트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유모차{FOLDABLE BABY STROLLER}
본 고안은 아기 또는 어린이를 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기 또는 어린이가 서 있을 수도 있고, 앉거나 누워 있을 수도 있는 접이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일반적으로 어린 아기들을 위해 디자인된다. 유모차의 크기가 대개 크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모차는 폴딩 가능하도록 디자인되는데, 그러나 대부분의 유모차는 폴딩 기능이 편리하지 않다. 게다가, 유모차의 사용자는 아기와 어린이들이며, 이들은 유모차 안에서 잠을 잘 수도 있으므로, 따라서 이러한 제품에 있어 안전과 관련된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유모차는 여전히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의 창작자는 이러한 시중에 나와 있는 유모차들의 결점을 주목하고 이러한 유모차를 개선하고 혁신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 왔다. 최종적으로, 본 고안자의 창작자는 이러한 결점들을 극복한 접이식 유모차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아기가 서 있을 수도 있고, 앉거나 누워 있을 수도 있는 접이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기의 몸 전체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접이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아기로 하여금 유모차 밖으로 손발을 내놓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을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접이식 유모차는 독창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로 편리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폴딩 상태에서 접이식 유모차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유모차를 보다 편리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펼쳐진 상태에서 접이식 유모차의 전체 구조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모차의 안전성이 높고 내구성도 우수하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유모차의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구조 안정성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 설계를 통해,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유모차의 낮은 구조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본고안의 접이식 유모차는 주로 전륜부, 후륜부 및 폴딩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륜부는 전륜 홀더, 전륜 홀더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전방 좌륜 및 전방 우륜을 포함한다. 후륜부는 후륜 홀더, 후륜 홀더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후방 좌륜 및 후방 우륜을 포함한다. 폴딩부는 그 우측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방 폴딩 홀더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방 폴딩 홀더는 상전방 펜스 튜브, 하전방 펜스 튜브, 상후방 펜스 튜브, 하후방 펜스 튜브 및 중간 홀더를 포함한다.
상전방 펜스 튜브 및 상후방 펜스 튜브는 각각 하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에 인접 배치된다. 중간 홀더는 상부 폴딩 조인트, 하부 폴딩 조인트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 폴딩 조인트를 하부 폴딩 조인트에 연결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상부 폴딩 조인트는 하부 폴딩 조인트의 전방에 인접 배치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후륜 홀더는 역 U 자 형태이며 푸시로드에 연결된다. 푸시로드는 후륜 홀더의 후방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륜 홀더와 후륜 홀더의 상부는 역 U 자형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며, 폴딩식의 유연한 차양판에 의해 전륜 홀더의 역 U 자형 프레임과 후륜 홀더의 역 U 자형 프레임을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지지봉의 중앙부는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지지봉의 중앙부의 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상단부는 상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지지봉의 중앙부의 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상단부는 상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지봉의 중앙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에 연결된다. 조인트 고정 베이스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지지봉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폴딩 조인트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며, 상부 폴딩 조인트의 바닥에는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상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각각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된다. 하부 폴딩 조인트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 폴딩 조인트의 상부에는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된다.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각각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륜 홀더는 수납 바스켓 로드에 연결되고, 수납 바스켓은 수납 바스켓 로드 상에 설치되거나 수납 바스켓 로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수납 바스켓 로드는 후륜 홀더의 후방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푸시로드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연결봉에 의해 하전방 펜스 튜브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후방 연결봉에 의해 하후방 펜스 튜브의 양측을 서로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연결봉 및 후방 연결봉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봉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역 U 자형 차양 프레임의 하단부는 그에 상응하는 전륜 홀더 및 후륜 홀더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이고,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은 자석을 구비한다.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는 자석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고안은 명백한 이점 및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접이식 유모차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유모차의 구조 설계는 합리적이고 독창적이다. 또한, 유모차의 크기는 폴딩 후 크게 줄어들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보관, 운반 및 이동 가능하다. 또한,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조는 펼쳐진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사용시 안전성이 우수하고 큰 내구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홀더의 구조 설계에 의해 유모차의 구조 안정성을 증강하는 한편, 유모차의 폴딩을 매끄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그 추가적인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의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참조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접이식 유모차에 대한 폴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접이식 유모차에 대한 폴딩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접이식 유모차에 대한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접이식 유모차에 대한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유모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접이식 유모차는 전륜부(10), 후륜부(20) 및 폴딩부(30)를 포함한다.
전륜부(10)는 전륜 홀더(11), 전륜 홀더(11)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전방 좌륜 및 전방 우륜을 포함한다. 후륜부는 후륜 홀더(21), 후륜 홀더(21)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후방 좌륜 및 후방 우륜을 포함한다. 폴딩부(30)는 그 우측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방 폴딩 홀더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방 폴딩 홀더는 상전방 펜스 튜브(31), 하전방 펜스 튜브(32), 상후방 펜스 튜브(33), 하후방 펜스 튜브(34) 및 중간 홀더를 포함한다. 상전방 펜스 튜브(31) 및 상후방 펜스 튜브(33)는 각각 하전방 펜스 튜브(32) 및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전방에 인접 배치된다. 중간 홀더는 상부 폴딩 조인트(35), 하부 폴딩 조인트(36)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 폴딩 조인트(35)와 하부 폴딩 조인트(36)를 연결하는 지지봉(37)을 포함한다. 상부 폴딩 조인트(35)는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전방에 인접 배치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31) 및 하전방 펜스 튜브(32)의 전방 단부는 전륜 홀더(11)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31) 및 하전방 펜스 튜브(32)의 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35) 및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33) 및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후방 단부는 후륜 홀더(21)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후방 펜스 튜브(33) 및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35) 및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 연결봉에 의해 하전방 펜스 튜브(32)의 양측을 서로 연결한다. 후방 연결봉에 의해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양측을 서로 연결한다. 전방 연결봉 및 후방 연결봉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봉이다.
후륜 홀더(21)는 역 U 자 형태이며 푸시로드(41)에 연결된다. 푸시로드(41)는 후륜 홀더(21)의 후방 측으로부터 연장된다. 후륜 홀더(21)는 수납 바스켓 로드(42)에 연결되고, 수납 바스켓 로드(42)는 후륜 홀더(21)의 후방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푸시로드(41)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전륜 홀더(11)와 후륜 홀더(21)의 상부는 역 U 자형 프레임(43)에 각각 연결되며, 폴딩식의 유연한 차양판에 의해 전륜 홀더와 후륜 홀더의 역 U 자형 프레임(43)을 서로 연결한다. 역 U 자형 차양 프레임(43)의 하단부는 그에 상응하는 전륜 홀더(11) 및 후륜 홀더(2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봉(37)의 중앙부는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1)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2)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1)의 하단부는 지지봉(37)의 중앙부의 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1)의 상단부는 상전방 펜스 튜브(31)의 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2)의 하단부는 지지봉(37)의 중앙부의 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2)의 상단부는 상후방 펜스 튜브(33)의 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봉(37)의 중앙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383)에 연결된다. 조인트 고정 베이스(383)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지지봉(37)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된다.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1)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382)의 하단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383)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폴딩 조인트(35)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며, 상부 폴딩 조인트(35)의 바닥에는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된다. 상전방 펜스 튜브(31)의 후방 단부 및 상후방 펜스 튜브(33)의 전방 단부는 각각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된다.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상부에는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된다. 하전방 펜스 튜브(32)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전방 단부는 각각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된다. 또한,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 유모차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하전방 펜스 튜브(32)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34)의 전방 단부는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391)로 구성되며, 하부 폴딩 조인트(36)의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은 자석(392)을 구비한다.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391)는 자석(392)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전륜 홀더(11) 및 후륜 홀더(21)의 외측에는 작은 물품을 걸기 위한 후크(44)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유모차는 독창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를 가지므로, 편리하게 폴딩 가능하다. 또한, 폴딩 상태에서 접이식 유모차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유모차를 편리하게 보관하고 휴대할 수 있다. 또한, 펼친 상태에서 접이식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조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안전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중간 홀더의 구조 설계에 의해 유모차의 구조 안정성을 증강하는 한편, 유모차의 폴딩을 매끄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납 바스켓 및 후크의 디자인에 의해 유모차의 기능을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고 유모차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개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적 내용 및 고안의 특징에 관한 것으로서, 당업자는 상술된 본 고안의 개시 및 제안에 기초하여 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대체 실시예를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및 대체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에 완전히 개시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첨부된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0)

  1. 접이식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는 전륜부, 후륜부 및 폴딩부를 포함하고,
    전륜부는 전륜 홀더, 전륜 홀더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전방 좌륜 및 전방 우륜을 포함하며,
    후륜부는 후륜부는 후륜 홀더, 후륜 홀더의 맨 아래쪽에 배치된 후방 좌륜 및 후방 우륜을 포함하고, 후륜 홀더는 역 U 자 형태이며 푸시로드에 연결되고, 푸시로드는 후륜 홀더의 후방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폴딩부는 그 우측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측방 폴딩 홀더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방 폴딩 홀더는 상전방 펜스 튜브, 하전방 펜스 튜브, 상후방 펜스 튜브, 하후방 펜스 튜브 및 중간 홀더를 포함하며, 상전방 펜스 튜브 및 상후방 펜스 튜브는 각각 하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고, 중간 홀더는 상부 폴딩 조인트, 하부 폴딩 조인트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 폴딩 조인트를 하부 폴딩 조인트에 연결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부 폴딩 조인트는 하부 폴딩 조인트의 전방에 인접 배치되고,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전방 펜스 튜브 및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는 후륜 홀더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후방 펜스 튜브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상응하는 상부 폴딩 조인트 및 하부 폴딩 조인트의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전륜 홀더와 후륜 홀더의 상부는 역 U 자형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며, 폴딩식의 유연한 차양판에 의해 전륜 홀더의 역 U 자형 프레임과 후륜 홀더의 역 U 자형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봉의 중앙부는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에 연결되고,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지지봉의 중앙부의 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상단부는 상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지지봉의 중앙부의 후방 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상단부는 상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봉의 중앙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에 연결되고, 조인트 고정 베이스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지지봉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되며, 전방 보조 지지 경사봉 및 후방 보조 지지 경사봉의 하단부는 조인트 고정 베이스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폴딩 조인트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부 폴딩 조인트의 바닥에는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되며, 상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상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각각 상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되고, 하부 폴딩 조인트의 단면은 역 U 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 폴딩 조인트의 상부에는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이 제공되고,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각각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후륜 홀더는 수납 바스켓 로드에 연결되고, 수납 바스켓 로드는 후륜 홀더의 후방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푸시로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7.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연결봉에 의해 하전방 펜스 튜브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후방 연결봉에 의해 하후방 펜스 튜브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 연결봉 및 후방 연결봉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9. 제1항에 있어서,
    역 U 자형 차양 프레임의 하단부는 그에 상응하는 전륜 홀더 및 후륜 홀더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10. 제1항에 있어서,
    하전방 펜스 튜브의 후방 단부 및 하후방 펜스 튜브의 전방 단부는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이고, 하단부 위치 결정 슬롯은 자석을 구비하며, 금속성 자기 흡착식 단부는 자석의 상응하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모차.
KR2020190002543U 2018-12-18 2019-06-20 접이식 유모차 KR2020000141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217133 2018-12-18
TW107217133U TWM579607U (zh) 2018-12-18 2018-12-18 Baby folding 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418U true KR20200001418U (ko) 2020-06-29

Family

ID=6770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543U KR20200001418U (ko) 2018-12-18 2019-06-20 접이식 유모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1418U (ko)
TW (1) TWM57960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9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200495263Y1 (ko) * 2020-10-29 2022-04-12 선경신 절첩식 카트
CN114454947A (zh) * 2020-11-09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车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92A1 (ko) * 2020-08-27 2022-03-03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20220027597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200495263Y1 (ko) * 2020-10-29 2022-04-12 선경신 절첩식 카트
CN114454947A (zh) * 2020-11-09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车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79607U (zh) 201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588B1 (en) Foldable baby stroller
JP5698312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TWI235122B (en) Stroller
KR20200001418U (ko) 접이식 유모차
US2993702A (en) Twosome walker-stroller
US6378892B1 (en) Foldable stroller with detachable supplemental seat
US8840133B2 (en) Stroller frame
US20100282800A1 (en) Tandem stroller frame
CN202345741U (zh) 折叠式婴儿车
US20080088115A1 (en) Wheeled tail platform for a stroller
US3692359A (en) Playseat with stabilizer
CN108146488A (zh) 用于儿童推车且在躺卧状态和至少一个坐立状态之间进行转换的可转换支撑件及相应的推车
US20020093177A1 (en) Stroller capable of carrying a baby basket
US9090302B2 (en) Bicycle
EP2700559B1 (en) Foldable stroller frame
RU2005130456A (ru)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имеющая складной верх
CN210149402U (zh) 一种多功能宝宝推车
CN109606452B (zh) 一种儿童推车
CN108674550B (zh) 一种车架及儿童三轮车
KR20110050410A (ko) 요람 겸용 유모차
KR920009592B1 (ko) 절첩가능한 유모차
GB2579891A (en) Foldable baby stroller
CN110341781B (zh) 背包式童车
CN219289057U (zh) 一种摇椅
CN211001526U (zh) 一种新型双人婴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