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319B1 -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 Google Patents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319B1
KR101859319B1 KR1020170016116A KR20170016116A KR101859319B1 KR 101859319 B1 KR101859319 B1 KR 101859319B1 KR 1020170016116 A KR1020170016116 A KR 1020170016116A KR 20170016116 A KR20170016116 A KR 20170016116A KR 101859319 B1 KR101859319 B1 KR 10185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lower frame
horizontal bar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희
Original Assignee
신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희 filed Critical 신용희
Priority to KR102017001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1Wheels,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복수개의 캐스터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측면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 사이에는 자동차 휠이 거치되는 다수의 가로바가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가로바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고정쿠션재가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2개의 제1보조프레임이 구비된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모서리부 상측에서 돌출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프레임은 중앙부에 종방향으로 2개의 제2보조프레임이 구비된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측과 상기 제2보조프레임에는 상기 가로바의 양단이 안착되도록 고정브라켓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측면 또는 제2보조프레임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판재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로바가 안착되는 수평부 및 수평부를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는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동차 휠 상호간에 부딪히거나 낙하되어 휠이 파손되거나 인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휠을 세워서 적재하여 눕혀서 적재하는 방법에 비해 동일 공간에서 보다 일시에 보다 많은 수의 자동차 휠을 이송시켜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대차의 측면프레임을 내측으로 접어 보관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Bogies for carrying car wheels}
본 발명은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캐스터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가로바의 양단이 고정되는 측면프레임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가로바에는 자동차 휠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자동차 휠을 지지하는 박스체의 고정쿠션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동 중 흔들림을 방지하여 자동차 휠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수의 자동차 휠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할 수 있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를 이용하여 자동차 휠을 운반하는 경우 별도의 지그에 다수개를 적층한 상태로 고정시켜 운반하였다.
그러나 자동차 휠을 적층시킬 경우 이동 중 흔들림으로 인해 림(rim)의 끝단이 상호 마찰되어 자동차 휠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차에 자동차 휠을 하나씩 눕혀 안정적으로 이송하였으나 이 역시 흔들림으로 인해 대차의 프레임과 마찰이 이루어지고, 대량의 자동차 휠을 운반하기 위해서 대차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짐으로써 운반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등록실용신안 제20-0440797호 '차량의 휠 운반용 캐리어'를 살펴보면 안내롤러를 구비한 캐리어 지지판과; 상기 캐리어 지지판의 하부면에 브라켓을 통해 체인축이 연결되어 있는 체인 컨베이어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설치 방향을 따라 체인 컨베이어의 양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을 갖춘 지지대를 구비한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지지판의 모서리측 상부면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체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캐리어 지지판 상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부면 중앙에 세워 고정되는 캐리어축과; 상기 캐리어축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캐리어축과 베어링부를 감싸는 원통상의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하단부 외주연에 끼워져 고정된 스프로킷과; 상기 캐리어축 상단부에 씌워져 캐리어축에 볼트로서 고정되는 캐리어축 캡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씌워져 베어링 하우징의 상단부에 볼트로서 고정되는 베어링 하우징 캡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 캡의 상부면 중앙에 고정된 튜브축과; 상기 튜브축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의 중앙에 세워져 상기 결합수단에 결합되는 원통상의 스프링 지지수단과; 상기 스프링 지지수단에 걸리어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원판의 테두리부에 볼트로서 체결 고정된 원통형 튜브 및; 상기 원통형 튜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면에 원판을 갖춘 사각뿔상의 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의 휠 운반용 캐리어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 비용이 고가이며, 체인 컨베이어와 안내레일을 갖춘 지지대가 갖춰진 경로로만 이동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휠을 원통형의 튜브에 삽입하여 고정할 시 휠과 튜브의 마찰로 인해 휠의 표면에 흠집이 생겨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 휠을 대량으로 이송할 수 있는 대차에 자동차 휠을 세워서 고정하되 고정쿠션재를 구비하여 자동차 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이동시 자동차 휠이 상호 부딪히거나 대차에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 휠을 세워서 고정함으로써 눕혀서 거치하는 방법에 비해 동일 공간에서 보다 많은 양을 일시에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측면프레임에 경첩이 구비되어 자동차 휠이 거치되는 가로바는 분리 가능하게 브라켓에 안착되어 가로바를 분리하고, 측면프레임을 내측으로 상호 포개지도록 접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틀체 형상의 하부프레임(10) 하부에 복수개의 캐스터(5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측면프레임(20)이 구비되고, 자동차 휠(2)이 거치되는 가로바(30)가 상기 측면프레임(20)에 일정간격을 갖고 연속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과 가로바(30)의 상부면에는 등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고정쿠션재(40)가 장착되어 거치된 자동차 휠(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에 입상형태로 지지된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의 상부에 경첩(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회동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2)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세로바(22b)에 상기 가로바(30)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브라켓(60)이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되,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21b)은 입상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상기 우측 고정프레임(21b)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상기 가로바(30)를 분리한 고정브라켓(60)의 일단이 하부프레임(10)의 상면에 지지되게 접혀지고, 다른 하나의 좌측 고정프레임(21a)은 입상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좌측 고정프레임(21a)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상기 가로바(30)를 분리한 고정브라켓(60)의 일단이 상기 접혀진 고정프레임(21b)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사각틀체 형상의 하부프레임(10)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2개의 제1보조프레임(12)이 구비되고, 사각틀체 형상의 회동프레임(22)에는 상기 제1보조프레임(12)과 동일한 수직선 방향으로 2개의 제2보조프레임(22a)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제1보조프레임(12) 및 회동프레임(22)의 세로바(22b)와 제2보조프레임(22a)에 구비된 가로바(30)에 자동차 휠(2)이 거치된다.
또한, 고정브라켓(60)은,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수직부(61)와, 상기 수직부(61)에서 가로바가 위치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62)와, 상기 수평부(62)를 연결하면서 가로바(30)가 안착되는 연결판(6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부(62)는 하부프레임(10)에 입상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b)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한편, 고정쿠션재(40)는 박스체롤 형성되며 자동차 휠(2)을 수직으로 세워 림의 오목부(2b)를 지지하도록 일측에 사면(斜面)(41)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자동차 휠(2)의 양측 돌출부(2a)가 삽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는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자동차 휠 상호간에 부딪히거나 낙하되어 휠이 파손되거나 인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휠을 세워서 적재하여 눕혀서 적재하는 방법에 비해 동일 공간에서 보다 일시에 보다 많은 수의 자동차 휠을 이송시켜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대차의 측면프레임을 내측으로 접어 보관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의 측면프레임이 접힌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중 브라켓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의 고정쿠션재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이하 '대차'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1)는 주조 또는 단조에 의해 가공이 완료된 자동차 휠(2)을 적재하기 위해 이송하거나 각 공정과 공정에 자동차 휠(2)을 이송할 시 대량의 자동차 휠(2)을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에 복수개의 캐스터(5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0)의 양측에 측면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 사이에는 자동차 휠(2)이 거치되는 다수의 가로바(30)가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기 가로바(30)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고정쿠션재(40)가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로바(3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2~3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송이 용이하도록 2단으로 구비되어 하부프레임(10)을 포함하여 3단으로 자동차 휠(2)이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쿠션재(40)는 상기 자동차 휠(2)의 하부를 지지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러버 스폰지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쿠션재(4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면 및 가로바(30)의 상부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쿠션재(40)가 자동차 휠(2)과 마찰되어 일부가 찢어지는 등 훼손될 경우 교체가 용이하도록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2개의 제1보조프레임(12)이 구비된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 상측에서 입상형태로 돌출된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의 상부에 경첩(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회동프레임(2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프레임(22)에는 상기 제1보조프레임(12)과 동일한 종방향으로 2개의 제2보조프레임(22a)이 구비된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2)의 세로바(22b)와 상기 제2보조프레임(22a)에는 상기 가로바(30)의 양단이 안착되는 고정브라켓(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제1보조프레임(12)의 상부면 및 회동프레임(22)의 세로바(22b)와 제2보조프레임(22a)에 장착된 고정브라켓(60)에 상술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고정쿠션재(40)가 각각 형성된 가로바(30)를 안착시켜 상호 마주보는 제1보조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0)의 사이에 자동차 휠(2)이 적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휠(2)의 림(rim) 양단에 돌출부(2a)가 상기 고정쿠션재(40)의 양측에 위치되고, 림의 오목부(2b)에 상기 고정쿠션재(40)가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쿠션재(40)는 상기 돌출부(2a)가 하부프레임(10)의 모서리나 가로바(30)의 모서리에 닿지 않도록 오목부(2b)의 높이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보조프레임(12)과 하부프레임(10)의 일측 사이의 간격은 자동차 휠(2)의 대략 4~5시 방향과 7~8시 방향이 상기 제1보조프레임(12)상의 고정쿠션재(40)와 하부프레임(10)의 고정쿠션재(40)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상기 2개의 제1보조프레임(12)은 자동차 휠(2)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가로바(3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과 제1보조프레임(12)의 상부에 이격되어 상기 회동프레임(22)의 양측과 2개의 제2보조프레임(22a)에 양단이 고정브라켓(60)에 안착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4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가로바(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씩 2단으로 형성되어 자동차 휠(2)이 3단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쿠션재(40)는 마주보는 가로바(30) 및 하부프레임(10)의 일측과 제1보조프레임(12)에 5쌍이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자동차 휠(2)이 하나의 단에 10개씩 총 30개가 적재될 수 있다.
물론, 자동차 휠(2)의 무게와 대차(1)의 무게에 따라 대차(1)의 길이와 단수를 가감하여 적재되는 자동차 휠(2)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의 모서리부 상측에서 돌출된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의 상부에 경첩(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프레임(22)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첩(70)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프레임(22)을 내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바(30)는 상기 회동프레임(22)의 양측과 상기 제2보조프레임(22a)에는 상기 가로바(30)의 양단이 안착되도록 고정브라켓(60)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60)에서 가로바(30)를 모두 분리한 후 상기 경첩(70)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회동프레임(22)이 상,하로 포개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21b)은 입상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상기 도면 상 우측 고정프레임(21b)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되게 하고, 도면 상 좌측 고정프레임(21a)은 입상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좌측 고정프레임(21a)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우측 고정프레임(21b)의 상부에 절첩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의 상부단과 회동프레임(22)의 하부단을 연결하는 경첩(70)의 높이가 달라져 양측의 회동프레임(22)을 내측으로 접었을 시 상,하로 포개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라켓(60)은,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수직부(61)와, 상기 수직부(61)에서 가로바가 위치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62)와, 상기 수평부(62)를 연결하면서 가로바(30)가 안착되는 연결판(6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부(62)는 하부프레임(10)에 입상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b)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부(61)에는 고정브라켓(60)이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에 고정볼트(3)에 의해 고정되도록 볼트삽입공(61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에는 상기 볼트삽입공(61a)과 대응되어 고정볼트(3)가 삽입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3)와 너트(4)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에는 상기 볼트관통공이 상,하로 복수개 관통되어 상기 고정브라켓(6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여 가로바(3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평부(62)에는 상기 가로바(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5)가 삽입되는 볼트조임공(6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바(3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62a)의 경우 상기 볼트조임공(62a)을 통해 단부가 상기 가로바(30)의 측면을 가압하는 방식은 물론 상기 수평부(62)가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에 고정되는 방식과 같이 상기 가로바(30)의 단부에 고정볼트(5)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너트(6)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의 고정쿠션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상기 고정쿠션재(40)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자동차 휠(2)을 수직으로 세워 림의 오목부(2b)를 지지하도록 일측에 사면(斜面)(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c와 같이 자동차 휠(2)의 양측 돌출부(2a) 일부가 삽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42)에는 상기 자동차 휠(2)의 림 양단의 돌출부(2a)가 삽입되어 자동차 휠(2)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고정쿠션재(40)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자동차 휠(2)이 대차(1)에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대차 2: 자동차 휠
3: 고정볼트 4: 너트
10: 하부프레임 12: 제1보조프레임
20: 측면프레임 21: 고정프레임
22: 회동프레임 22a: 제2보조프레임
30: 가로바 40: 고정쿠션재
50: 캐스터 60: 고정브라켓
61: 수직부 62: 수평부
63: 연결판 70: 경첩

Claims (5)

  1. 사각틀체 형상의 하부프레임(10) 하부에 복수개의 캐스터(50)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 상부에 측면프레임(20)이 구비되고, 자동차 휠(2)이 거치되는 가로바(30)가 상기 측면프레임(20)에 일정간격을 갖고 연속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과 가로바(30)의 상부면에는 등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고정쿠션재(40)가 장착되어 거치된 자동차 휠(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에 입상형태로 지지된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과,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의 상부에 경첩(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틀체 형상의 회동프레임(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2)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세로바(22b)에 상기 가로바(30)의 양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브라켓(60)이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되,
    상기 좌,우측 고정프레임(21a,21b)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프레임(21b)은 입상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상기 우측 고정프레임(21b)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상기 가로바(30)를 분리한 고정브라켓(60)의 일단이 하부프레임(10)의 상면에 지지되게 접혀지고, 다른 하나의 좌측 고정프레임(21a)은 입상길이를 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좌측 고정프레임(21a)에 연결된 회동프레임(22)이 하부프레임(10) 방향으로 90도 회동하여 상기 가로바(30)를 분리한 고정브라켓(60)의 일단이 상기 접혀진 고정프레임(21b)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각틀체 형상의 하부프레임(10)은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2개의 제1보조프레임(12)이 구비되고, 사각틀체 형상의 회동프레임(22)에는 상기 제1보조프레임(12)과 동일한 수직선 방향으로 2개의 제2보조프레임(22a)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제1보조프레임(12) 및 회동프레임(22)의 세로바(22b)와 제2보조프레임(22a)에 구비된 가로바(30)에 자동차 휠(2)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브라켓(60)은, 상기 회동프레임(22) 및 제2보조프레임(22a)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수직부(61)와, 상기 수직부(61)에서 가로바가 위치하는 일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부(62)와, 상기 수평부(62)를 연결하면서 가로바(30)가 안착되는 연결판(63)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평부(62)는 하부프레임(10)에 입상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고정프레임(21b)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쿠션재(40)는 박스체롤 형성되며 자동차 휠(2)을 수직으로 세워 림의 오목부(2b)를 지지하도록 일측에 사면(斜面)(41)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자동차 휠(2)의 양측 돌출부(2a)가 삽입되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1020170016116A 2017-02-06 2017-02-06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10185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116A KR101859319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116A KR101859319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319B1 true KR101859319B1 (ko) 2018-05-17

Family

ID=6248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16A KR101859319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4088A (zh) * 2021-05-25 2021-07-13 江苏众联祥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电机端盖的运输架
KR20220027597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102403822B1 (ko) * 2020-11-27 2022-05-30 주식회사 라지 차량 흡차음재용 이동대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706B1 (ko) * 2005-01-29 2006-05-22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운반용 랙
KR100796674B1 (ko) * 2006-10-24 2008-01-23 코스텍유한회사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706B1 (ko) * 2005-01-29 2006-05-22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운반용 랙
KR100796674B1 (ko) * 2006-10-24 2008-01-23 코스텍유한회사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97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102420384B1 (ko) 2020-08-27 2022-07-13 주식회사 케이에스 탄소복합소재가 적용된 운송 대차
KR102403822B1 (ko) * 2020-11-27 2022-05-30 주식회사 라지 차량 흡차음재용 이동대차
CN113104088A (zh) * 2021-05-25 2021-07-13 江苏众联祥博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电机端盖的运输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319B1 (ko)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US7832745B2 (en) Single caster wheel assembly for trailer towable at high speeds
US9873445B2 (en) Vehicle transport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assemblies and methods
US5468008A (en) Low deck trailer
US3090331A (en) Pallet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US5873585A (en) Self-levelling wafer-lot cart
CN211309514U (zh) 带货物防护功能的载物货箱
CN219774696U (zh) 一种具有柔性防护运载机构的agv小车
CN216036938U (zh) 用于智能搬运车的减震机构及具有其的智能搬运车
CN212709484U (zh) 一种现代化物流中使用的转运推车
KR100575076B1 (ko)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이동장치
KR20170133993A (ko) 무인운반차량용 캐스터
KR100441165B1 (ko) 캐스터 완충장치
CN209505820U (zh) 一种减震物流台车
CN113306608A (zh) 三向减振转运箱及其应用的转运手推车
JP2008100560A (ja) キャスタ及びキャスタ付き物品
KR101404049B1 (ko) 화차용 무동력 회전장치
JP4188051B2 (ja) 複数のコンテナが搭載可能な車両用のシャシ構造
KR101765418B1 (ko) 차량용 캐리어장치
CN219214843U (zh) 一种用于货物运输的车载固定支架
TW205024B (en) Suspension device for cargo handling vehicles useful in carrying semiconductor products
KR100654815B1 (ko) 전자기기 이송장비
KR101529545B1 (ko) 롤테이너용 충격하중 내성 롤테이너 바퀴장치
CN218021662U (zh) 一种用于运输汽车零件的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