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674B1 -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 Google Patents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74B1
KR100796674B1 KR1020060103453A KR20060103453A KR100796674B1 KR 100796674 B1 KR100796674 B1 KR 100796674B1 KR 1020060103453 A KR1020060103453 A KR 1020060103453A KR 20060103453 A KR20060103453 A KR 20060103453A KR 100796674 B1 KR100796674 B1 KR 10079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frame
side plate
frames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호
Original Assignee
코스텍유한회사
글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텍유한회사, 글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텍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 B65D71/0092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 B65D71/0096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oad, e.g.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05Large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e.g. with movable or adjustable walls or wall parts,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65D2519/0059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mean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파레트는 판상의 본체에 중량이 나가는 물품을 단순히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며, 최근들어서 적재되는 물품을 보다 안정성있게 보관할 수 있도록 외형상 박스형의 파레트가 개발되었으나, 구성상 절첩이 까다롭고 사용된 파레트를 재사용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예시도 3 내지 예시도 7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판부재(10)의 양측단에 힌지부(3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부재(20)로 파레트본체(100)는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부재(10)는 양측단의 메인프레임(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서브프레임(14)과, 메인프레임(12)및 서브프레임(14)과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크로스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부재(20)는 외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수직·수평프레임(22)(24)과, 한쌍의 수직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6)이 설치되며,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가 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힌지부(30)가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측판부재(20)의 각각의 수직프레임(22)과 밑판부재(10)의 각 메인프레임(12) 사이에는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됨으로서, 필요에 따라 파레트본체(100)를 간다하게 접어서 적층시킬 수 있으므로 적층된 파레트본체(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물품(57)을 운송한 후, 파레트본체(100)를 절첩시킨 상태로 적층시켜 회수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레트, 힌지부, 지지대, 메인프레임, 지지판.

Description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Folding Pallet}
도 1 은 종래 파레트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파레트의 절첩부분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요부를 부분 확대한 전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절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에 중량물이 적재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에 중량물이 적재되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레트본체,
10 - 밑판부재, 11 - 지지판,
12 - 메인프레임, 13 - 지지돌기,
14 - 서브프레임,
16 - 크로스프레임, 17 - 받침부,
20 - 측판부재, 21 - 적층지지편,
22 - 수직프레임,
24 - 수평프레임,
26 - 보강프레임,
30 - 힌지부,
40 - 지지프레임.
42 - 힌지보울트.
본 발명은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외형상 박스형을 이루고 있는 파레트의 밑판부재와 측면부재의 연결부분에 힌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파레트의 측면부재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된 파레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층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상하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판재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리프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레트의 상면에 물품을 일정량 적재한 후 지게차를 이용하여 한 번에 다량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보다 물류관리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판재이다.
상기와 같은 파레트에 적재되는 물품은 중량이 적은 생필품류(예를 들어 음료, 세제류, 과자류 등)가 적재되어 물품 이송과정에서 물품이 떨어지더라도 큰 문제가 없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중량물이라 할 수 있는 산업물품(예를 들어 자동차 의 엔진, 밋션, 등)이 적재되는 실정으로 이송과정에서 적재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파레트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중량물이 적재되는 파레트의 구조는 지게차의 포크리프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밑판부재와, 상기 믿판부재와 수직을 이루는 사면 또는 대향되는 양면에 설치되는 측판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측판부재의 상단에는 중량물이 적재된 상태로 적층되는 파레트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판부재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중량물을 적재하기 위한 파레트는 실용신안공보 제91-7808호, 제95-8460호, 실용신안등록 제399805호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실용신안공보 제91-7808호(이하 "종래 고안"이라고 함)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요입홈(3)을 갖춘 다리부(2)를 포함한 밑판부재(1)와, 망상의 측벽부재(4)로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부재(1)의 다리부(2)에는 유동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재(4)는 각채(6)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상기 각채(6)의 하부 일면에 고정돌기(7)와 돌출봉(8)을 형성시켜 다리부(2)의 요입홈(3)과 유동공간부(5)에 삽입하여 일체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레트는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판부재(1)의 다리부(2)에 형성된 요입홈(3)에는 측벽부재(4)의 각채(6)에 형성된 고정돌기(7)가 끼워지는 것으로 측판부재(4)는 밑판부재(1)와 직각상태를 이루며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측판부재(4)의 고정돌기(7)를 밑판부재(1)의 다리 부(2)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홈(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들어 올리면서 내단으로 절첩시킬 수 있으므로 다수의 파레트를 적층시켜 보관함으로서 보관운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레트는 밑판부재(1)에 외주면에 수직으로 결합을 이루고 있는 측판부재(4)를 절첩 시키고자 할 경우에 측판부재(4)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파레트는 적재되는 중량물인 물품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제작되었으며, 따라서, 측판부재(4)를 들어 올리는 것은 작업상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측판부재(4)를 접어서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밑판부재(1)와 측판부재(4)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가 다리부(2)의 요입홈(3)과 각채(6)의 고정돌기(7), 그리고 측판부재(2)를 들어올릴 때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시켜 주는 돌출봉(8)이 형성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중량물(자동차의 엔진이나 트렌스밋션 등과 같은 부품)을 수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파레트일 경우, 현지에서 중량물을 하역한 후 중량물을 적재했던 파레트를 회수하여 재사용을 해야하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회수율이 낮아 필요한 만큼의 파레트를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지하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생산에 필요한 대부분의 원 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원자재의 수입을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범국민적으로 산업폐기물은 물론 일반 생활폐기물까지도 분리수거(금속재, 합성수지재, 종이재, 유리재 등)하여 재사용을 장려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에 부합되지 않아 물류산업에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파레트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형상 박스형을 이루고 있는 파레트의 밑판부재와 측면부재의 연결부분에 힌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파레트의 측면부재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된 파레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층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첩가능하도록 밑판부재와 측판부재로 이루어진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는 양측단의 메인프레임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서브프레임과, 메인프레임및 서브프레임과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크로스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부재는 외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수직·수평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보강프레임으로 파레트본체가 이루어 지되, 상기 밑판부재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지지편이 설치되고, 양단의 크로스프레임의 상부에는 등간격의 받침부가 설치되며, 측판부재의 상단 양단에는 적층지지편이 설치되고, 밑판부재와 측판부재가 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힌지부가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측판부재의 각각의 수직프레임과 밑판부재의 각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는 힌지보울트에 의해 수직프레임의 상부와 일체를 이루고, 지지프레임의 한단부는 메인프레임의 지지돌기에 걸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측면부재는 힌지보울트에 의해 상단부에 힌지결합을 이루고 있는 지지프레임에 의해 밑판부재와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때 측판부재를 밑판부재측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경우, 측판부재를 메인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편측으로 살짝 힘을 주면 메인프레임의 지지돌기에 걸려있던 지지프레임의 단부는 작은 힘으로도 지지돌기로부터 벗어나면서 측판부재는 절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측판부재가 수평상태로 절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파레트본체의 높이는 낮아짐으로 그 위에 절첩된 상태의 다른 파레트본체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요부를 부분 확대한 전체 사시도 이고, 예시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절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며, 예시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이고, 예시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에 중량물이 적재되는 상태의 사시도 이며, 예시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에 중량물이 적재되어 적층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첩가능하도록 밑판부재와 측판 부재로 이루어진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10)의 양측단에 힌지부(3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부재(20)로 파레트본체(100)는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부재(10)는 양측단의 메인프레임(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서브프레임(14)과, 메인프레임(12)및 서브프레임(14)과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크로스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부재(20)는 외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수직·수평프레임(22)(24)과, 한쌍의 수직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6)이 설치되며, 상기 밑판부재(10)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지지편(11)이 설치되고, 양단의 크로스프레임(16)의 상부에는 등간격의 받침부(17)가 설치되며, 측판부재(20)의 상단 양단에는 적층지지편(21)이 설치되고,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가 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힌지부(30)가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측판부재(20)의 각각의 수직프레임(22)과 밑판부재(10)의 각 메인프레임(12) 사이에는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상부는 힌지보울트(42)에 의해 수직프레임(22)의 상부와 일체를 이루고, 지지프레임(40)의 한단부는 메인프레임(12)의 지지돌기(13)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50과 50'은 밑판부재(10)의 메인프레임(12)과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2)에 설치되어 적층되는 파레트본체(100)의 하중을 받쳐주는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이며, 51은 밑판부재(10)의 메인프레임(12)에 부착된 브라켓(50)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ㄷ"자형 지지프레임이고, 52는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2)에 부착된 브라켓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받침프레임, 53 은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2)에 설치된 위치조정브라켓이고, 54는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2)에 부착된 위지조정브라켓(53)에 설치되어 적재된 물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물품고정프레임, 55는 측판부재(20)를 지지해 주는 지지프레임(40)의 단부에 부착되는 가이드편, 56은 물품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밑판부재(10)의 상면에 얹어지는 판재, 57은 판재(56)에 적재되는 자동차 엔진이나 트렌스밋션과 같은 중량물인 물품 이다.
예시도 3 내지 예시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면상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크로스프레임(16)이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상태에서 크로스프레임(16)의 양단에 메인프레임(12)이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상기 크로스프에임(16)의 양단에 부착된 메인프레임(12)의 사이에는 평철형상의 서브프레임(14)이 등간격으로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파레트본체(100)의 밑판부재(10)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단면상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크로스프레임(16)은 메인프레임(12)과 서브프레임(14)의 하부에 부착됨으로 등간격으로 부착되는 크로스프레임(16)의 사이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도면상 미 도시되었으나 리프트카의 포크를 공간에 원활하게 끼워 넣을 수 있어 파레트본체(100)를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밑판부재(10)의 양단에는 측판부재(20)가 힌지부(30)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측판부재(20)는 한쌍의 수직프레임(22)과 수평프레임(24)으로 이루어져 직사각틀을 이루게 되며, 한 쌍의 수직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30)는 경첩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날개면은 밑판부재(10)의 크로스프레임(16)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받침부(17)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의 날개면은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4)에 부착되어 결과적으로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는 절첩가능한 상태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받침부(17)는 밑판부재(10)의 양측면을 이루고 있는 크로스프레임(16)에 설치되는데, 크로스프레임(16)의 양단에 부착된 받침부(17)에는 "ㄱ"자형상의 지지편(11)이 부착되어 측판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측판부재(20)의 하단부를 지지해 주게되며, 상기 크로스프레임(16)의 중앙에 부착된 받침부(17)에는 평판형의 지지편이 부착되어 측판부재(20)를 지지해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 사이에는 힌지보울트(4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일단부가 접해지는 밑판부재(10)의 메인프레임(12) 상면에 지지돌기(13)가 형성되어 있어 측판부재(20)가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면 지지프레임(40)의 일단부가 지지돌기(13)에 걸린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측판부재(20)와 밑판부재(10)는 직각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측판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상단부에는 또 다른 파레트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적층 시킬 수 있는 "ㄱ"자형상의 적층지지편(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측판부재(20)를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24) 중 상측의 수평프레임(24)에 브라켓(50')과 위치조정브라켓(53)이 부착되어 있다.(예시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파레트본체(100)를 절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보울트(42)에 의해 측판부재(20)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지지프레임(40)을 들어올리면 측판부재(20)는 힌지부(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절첩되어 지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상태를 이루고 있는 측판부재(20)를 지지편(11)측으로 힘을 가하면 측판부재(20)를 지지해 주고 있는 지지프레임(40)의 일단부는 메인프레임(12)의 지지돌기(13)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0)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면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프레임(40)의 하중에 의해 측판부재(20)는 자연스럽게 힌지부(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접어지게 되며, 이때 지지브레임(40)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편(55)이 메인프레임(1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측판부재(20)는 밑판부재(10)와 동일한 수평상태를 이루어 절첩되어 진다.(예시도 4 참조)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본체(100)의 사용상태를 예시도 5 내지 예시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중량물인 물품(57)을 적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40)의 일단부를 메인프레임(12)의 지지돌기(13)에 걸어 놓는 것으로 측면부재(20)는 밑판부재(10)와 직각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량물인 물품(57)을 안정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는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판재(56)를 밑판부재(10)에 얹어 놓는 것으로 중량물인 물품(57)을 적재시키는 파레트본체(100)가 갖춰지게 된다.(예시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파레트본체(100)가 갖춰진 상태에서 중량물인 물품(57)을 적재하고, 그 위에 새로운 물품(57)이 적재된 파레트본체(100)를 적층을 시키게 되면 적층된 파레트본체(100)의 하중이 측판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집중되어 밑에 있는 파레트본체(10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와는 별개로 부수적인 구성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판부재(10)의 구성요소인 메인프레임(12)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50)에 "ㄷ"자형지지프레임(51)을 설치하고, 측판부재(20)의 수평프레임(24)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50')에 받침프레임(52)을 설치하면, 상측에 적층된 파레트본체(100)의 하중은 "ㄷ"자형지지프레임(51)을 통해 메이프레임(12)에 전달되고, 특히 받침프레임(52)을 통해 상측에 적층된 파레드본체(100)의 하중은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보강브레임(26)을 통해 크로스프레임(16)에 전달되는 등 상측에 적층된 파레트본체(100)의 하중이 분산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파레트본체(100)에 중량물인 물품(57)는 적재된 상태에서 파레트본체(100)를 적층시키게 되면, 예시도 7에 표현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파레트본체(100)는 밑판부재(10)의 양측면을 이루는 크로스프레임(16)이 하측의 파레트본체(100)인 측판부재(20)의 상단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적층지지편(21)에 안착됨으로 안정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특히, 파레트본체(100)에 적재된 중량물인 물품(57)은 그 하단부가 판재(56)의 홈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횡방향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대한 지지력을 갖추고 있으나 종방향의 흔들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파레트본체(100)를 화물선에 선적하여 해로로 운송중이거나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육로로 운송중일 경우, 파고의 널현상과 도로의 사정에 따라 파레트본체(100)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57)이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종방향의 흔들림이나 충격에 대한 지지력을 갖추기 위하여 측판부재(20)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조정브라켓(53)에 물품고정프레임(54)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위치조정브라켓(53)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홀이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 물품고정프레임(54)의 설치위치를 물품(56)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파레트본체(100)에 적재된 물품(57)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예시도 3 내지 예시도 7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밑판부재(10)의 양측단에 힌지부(3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부재(20)로 파레트본체(100)는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부재(10)는 양측단의 메인프레임(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서브프레임(14)과, 메인프레임(12)및 서브프레임(14)과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크로스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부재(20)는 외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수직·수평프레임(22)(24)과, 한쌍의 수직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6)이 설치되며,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가 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힌지부(30)가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측판부재(20)의 각각의 수직프레임(22)과 밑판부재(10)의 각 메인프레임(12) 사이에는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됨으로서, 필요에 따라 파레트본체(100)를 간단하게 접어서 적층 시킬 수 있으므로 적층된 파레트 본체(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물품(57)을 운송한 후, 파레트본체(100)를 절첩시킨 상태로 적층시켜 회수률을 높일 수 있으며, 파레트본체(100)의 회수률을 높임으로써 자원을 절약할 수 있어 물류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절첩가능하도록 밑판부재와 측판부재로 이루어진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재(10)의 양측단에 힌지부(30)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판부재(20)로 파레트본체(100)는 이루어지되, 상기 밑판부재(10)는 양측단의 메인프레임(12)과, 등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서브프레임(14)과, 메인프레임(12)및 서브프레임(14)과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다수의 크로스프레임(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부재(20)는 외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수직·수평프레임(22)(24)과, 한쌍의 수직프레임(22) 사이에는 수직방향과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6)이 설치되며, 상기 밑판부재(10)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지지편(11)이 설치되고, 양단의 크로스프레임(16)의 상부에는 등간격의 받침부(17)가 설치되며, 측판부재(20)의 상단 양단에는 적층지지편(21)이 설치되고, 밑판부재(10)와 측판부재(20)가 접하는 부분에 복수의 힌지부(30)가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측판부재(20)의 각각의 수직프레임(22)과 밑판부재(10)의 각 메인프레임(12) 사이에는 지지프레임(4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지지프레임(40)의 상부는 힌지보울트(42)에 의해 수직프레임(22)의 상부와 일체를 이루고, 지지프레임(40)의 한단부는 메인프레임(12)의 지지돌기(13)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KR1020060103453A 2006-10-24 2006-10-24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KR10079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3A KR100796674B1 (ko) 2006-10-24 2006-10-24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453A KR100796674B1 (ko) 2006-10-24 2006-10-24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674B1 true KR100796674B1 (ko) 2008-01-23

Family

ID=3921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453A KR100796674B1 (ko) 2006-10-24 2006-10-24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6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34B1 (ko) * 2011-10-28 2013-07-23 박혜경 자동차 엔진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20170142351A (ko) * 2016-06-17 2017-12-28 박세진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101929824B1 (ko) 2017-01-24 2018-12-19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KR101929823B1 (ko) 2017-01-24 2018-12-19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자동차 부품용 수납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용기
KR102143090B1 (ko) * 2019-12-17 2020-08-10 김진만 다목적 커팅기 테이블
KR20200109455A (ko) * 2019-03-13 2020-09-23 (주)제이케이오토메이션코리아 팔레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598U (ja) * 1998-05-19 1999-02-26 三友工業株式会社 物品の収納装置
KR200209042Y1 (ko) 2000-06-30 2001-01-15 주식회사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200399814Y1 (ko) 2005-08-03 2005-10-31 주식회사 기성 파레트 적재용 브라켓
KR200404122Y1 (ko) 2005-10-05 2005-12-19 금강기계공업(주) 조립식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598U (ja) * 1998-05-19 1999-02-26 三友工業株式会社 物品の収納装置
KR200209042Y1 (ko) 2000-06-30 2001-01-15 주식회사기성 수송용 조립식 팔레트
KR200399814Y1 (ko) 2005-08-03 2005-10-31 주식회사 기성 파레트 적재용 브라켓
KR200404122Y1 (ko) 2005-10-05 2005-12-19 금강기계공업(주) 조립식 박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34B1 (ko) * 2011-10-28 2013-07-23 박혜경 자동차 엔진 적재용 접이식 팔레트
KR20170142351A (ko) * 2016-06-17 2017-12-28 박세진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KR101929825B1 (ko) * 2016-06-17 2018-12-17 박세진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KR101929824B1 (ko) 2017-01-24 2018-12-19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KR101929823B1 (ko) 2017-01-24 2018-12-19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자동차 부품용 수납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용기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KR20200109455A (ko) * 2019-03-13 2020-09-23 (주)제이케이오토메이션코리아 팔레트
KR102218708B1 (ko) 2019-03-13 2021-02-22 (주)제이케이오토메이션코리아 팔레트
KR102143090B1 (ko) * 2019-12-17 2020-08-10 김진만 다목적 커팅기 테이블
WO2021125743A1 (ko) * 2019-12-17 2021-06-24 김진만 다목적 커팅기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674B1 (ko)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KR100987869B1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EP2390198A1 (en) Transport pallet
EP3098136B2 (en) Dolly
KR101096120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JP5492014B2 (ja) 搬送用パレットおよびその集合体
KR200399805Y1 (ko) 절첩과 분리가 가능한 파레트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0932062B1 (ko)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JP4015141B2 (ja) 重量物用パレット
JP4734064B2 (ja) 梱包装置
KR101366511B1 (ko) 랫치형 절곡기둥을 이용한 농기계 보관용 팔레트
KR102268567B1 (ko) 확장형 파렛트
KR100899250B1 (ko) 폐비닐 재활용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팔레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12520179A (zh) 玻璃板运输容器
KR200438174Y1 (ko) 회전식 철제 포장박스
KR0117246Y1 (ko) 포장 및 운반용 상자
CN201737358U (zh) 一种可折叠曲轴集装箱
JP4064171B2 (ja) 梱包装置
CN101875425A (zh) 一种可折叠曲轴集装箱
JP4154489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5292203B2 (ja) 搬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