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824B1 -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824B1
KR101929824B1 KR1020170011099A KR20170011099A KR101929824B1 KR 101929824 B1 KR101929824 B1 KR 101929824B1 KR 1020170011099 A KR1020170011099 A KR 1020170011099A KR 20170011099 A KR20170011099 A KR 20170011099A KR 101929824 B1 KR101929824 B1 KR 10192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air
posts
rear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977A (ko
Inventor
공덕규
김선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1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8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81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for moving on a surface, e.g. wheels,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수평한 받침 플레임 및 상기 받침 플레임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 플레임에 수직한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는 제1지지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전방 포스트와 상기 후방 포스트는 제2지지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수납 플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Transportation case for car component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여러가지 자동차용 부품에 범용으로 사용가능하고 편리하게 적재 및 반출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매우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자동차용 부품은 그 부품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춤 제작된 고유의 운반용기에 의해 운반된다.
즉, 자동차용 부품은 수개월간 선박에 의하여 운송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운반용기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운반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의 종류 및 크기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용기 역시 운반의 대상이 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운반용기의 사용이 필요하였다. 나아가, 차량의 모델이 변경되어 부품의 형상 및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 종전에 사용하던 운반용기는 더이상 사용될 수 없고, 새로운 부품에 맞추어 운반용기도 다시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용 부품의 수가 매우 많은 점을 고려하면, 이렇게 버려지는 운반용기의 수도 매우 많아져 낭비가 초래된다.
또한, 자동차용 부품을 옆에서 끼워넣는 방식으로 적재되므로 적재 및 반출시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고 작업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2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한 자동차 부품의 수납에 적합하도록 자동차 부품 수납 공간을 3차원적으로 설정 가능한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자동차용 부품의 형상 및 크기가 달라져도 버리지 않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한 받침 플레임 및 상기 받침 플레임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 플레임에 수직한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는 제1지지대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전방 포스트와 상기 후방 포스트는 제2지지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수납 플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부품을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 공간의 너비 및 높이를 사용자가 손쉽게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납되는 자동차 부품의 크기에 따라 맞춤형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에 있어서 편의성이 증대된 운반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동차 모델이 변경되고 그에 따라 적용되는 부품의 종류, 크기, 형상이 바뀜에 따라 자동차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종전 운반용기를 다시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기 중 전방 및 후방 포스트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플레임에 있어서 메인 플레임과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이상의 수납선반이 적층된 운반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수납 플레임(300)이 구비된 자동차용 운반용기(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상기 수납 플레임(300)을 구비시키기 전의 운반용기의 골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100)는 수평한 받침 플레임(110) 및 상기 받침 플레임(110)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 플레임에 수직한 한 쌍의 전방 포스트(210)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220)는 제1지지대(23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전방 포스트(210)와 상기 후방 포스트(220)는 제2지지대(240)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260)된 수납 플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받침 플레임(110)은 다수의 종축 및 횡축 지지대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격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받침 플레임(110)은 상기 전방 포스트(210) 및 후방 포스트(2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운반용기(100) 전체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받침 플레임(110)의 하부 모서리부에 완충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운송부재, 예를 들어 바퀴(1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구조의 구성으로부터 상부의 다수의 수납선반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용기(100) 내에 수납된 자동차 부품을 손쉽게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받침 플레임(110)의 네 개의 모서리부의 각각에는 상기 받침 플레임(110)과 수직한 한 쌍의 전방 포스트(210)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의 길이는 전체적으로 운반용기(100)의 높이를 이루며, 수납선반(300) 및 이에 수납된 자동차 부품 등의 하중을 받침 플레임(110)에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용기(100)의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는 내부에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이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연속적인 볼트 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볼트 홈을 통하여 제1지지대(230) 및 제2지지대(240)가 나사결합, 예를 들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볼트 홈에 있어서, 상기 볼트 홈은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의 하단부부터 상단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230, 240)이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제공하며, 수납되는 자동차 부품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고 용이하게 제1 및 제2 지지대(230, 240)의 설치 및 이에 따른 수납 플레임(300)의 결합이 가능하게 한다.
인접하는 볼트 홈 사이의 간격은 자동차 부품 수납을 위하여 10 내지 30 mm 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트 홈은 설계 자유도를 위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전방 포스트(210)의 내측면(한 쌍의 전방 포스트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측면)에는 상기 수납 플레임(300)이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대(230)의 상측면에는 상기 수납 플레임(300)과 힌지(260) 결합을 위한 힌지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후방 포스트(220)의 내측면 및 후술할 수납 플레임(300)의 제1서브 플레임(320)의 외측면과 각각 나사 결합된 쇼크업 소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은 수납선반에서 부품이 수납되는 내부쪽을 바라보는 측면을 말하고, 외측면은 그 반대쪽 측면을 말한다. 상기 쇼크업 소버(270)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자동차 부품의 적재 및 반출이 가능하며, 특히 수납 플레임(300)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경우에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에 가하여 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지지대(240)는 양 끝단부가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의 일부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ㄷ' 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가 상기 제2지지대(240)의 'ㄷ' 자 형태의 끝단부를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지지대(240)의 'ㄷ' 자 형태의 끝단부에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에 형성된 볼트 홈과 대응되는 볼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홈을 통하여, 상기 제2지지대(240)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는 볼트-너트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대(240)는 전방 포스트(210)와 후방 포스트(22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이들 양 포스트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납 플레임(300)이 2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 이들 수납 플레임(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는 상기 제2지지대(240)도 수납 플레임(300)의 수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납 플레임(300)은 한 쌍의 메인 플레임(310), 상기 메인 플레임(310) 각각의 양 끝단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서브 플레임(320), 및 상기 한 쌍의 제1서브 플레임(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플레임(310)과 결합되는 제2서브 플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플레임(300)은 자동차 부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획, 즉 수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플레임(310)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은 이러한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은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 사이에 차례로 배열되어 적재될 수 있으며, 또는 자동차 부품이 적재된 트레이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으로 이루어진 구획 위에 얹혀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임(310) 및 상기 제1/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은 각각 내부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이 형성된 지지체일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플레임(310)의 전, 후 측면 및 상기 제1/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의 좌, 우 측면에는 각 플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볼트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임(310), 제1서브 플레임(320), 및 제2서브 플레임(33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 홈 사이의 간격은 자동차 부품 수납을 위하여 10 내지 30 mm 일 수 있고, 이들 볼트 홈은 설계의 자유도를 위하여 각 플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메인 플레임(31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볼트 홈 중 일부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의 양 끝단은 나사결합, 예를 들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플레임(310)과 결합되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의 위치를 자동차 부품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하고 간편하게 설정 및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 중 큰 부품의 수납을 위하여 보다 큰 너비를 갖는 수납공간이 필요한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제2 서브 플레임(330)을 보다 내측에 구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에 의하여 구획되는 수납 공간의 너비가 보다 커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너비가 보다 작은 부품을 수납시키는 경우에 효율적인 수납 공간 활용을 위하여는 도 6에서와 같이, 제1 및 제 2 서브 플레임(320, 330)의 간격을 줄이면서, 제2 서브 플레임(330) 사이에 별도의 제3 서브 플레임(340)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운반용기에 수납되는 부품의 수량의 증가가 가능하다.
이처럼, 수납되는 부품의 너비에 따라 적절하게 수납공간을 설계할 수 있으며, 메인 서브 플레임(310)과 볼트/너트 결합에 의한다는 점에서 다수의 서브 플레임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자동차 부품용 선반의 설계 자유도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기(100)는 2 이상의 수납선반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층 수납선반(300)과 하층 수납선반(400)이 각각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2개의 제1지지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지지대에 형성된 스톱퍼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2 이상의 다단 수납선반이 구비된 운반용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수납선반(300, 400)에 수납되는 부품의 높이에 따라 전방 및 후방 포스트(210, 220)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230)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되는 부품의 너비에 따라 수납선반(300, 400)의 제1 및 제2 서브 플레임(320, 330)의 간격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110: 받침 플레임
210: 전방 포스트
220: 후방 포스트
230: 제1지지대
240: 제2지지대
300: 수납 플레임

Claims (6)

  1. 수평한 받침 프레임 및 상기 받침 프레임의 모서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 프레임에 수직한 한 쌍의 전방 포스트 및 한 쌍의 후방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후방 포스트는 제1지지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전방 포스트와 상기 후방 포스트는 제2지지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대의 상측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수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는 내부에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의 측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연속적인 볼트 홈을 구비하는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프레임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각각의 양 끝단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서브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서브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홈은 인접하는 볼트 홈과 10 내지 30 mm의 이격거리를 갖고 연속적으로 배열된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의 양 끝단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의 일부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ㄷ' 자 형태이고,
    상기 제2지지대 및 상기 전방 및 후방 포스트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수납 프레임이 적층된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KR1020170011099A 2017-01-24 2017-01-24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KR10192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099A KR101929824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099A KR101929824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77A KR20180086977A (ko) 2018-08-01
KR101929824B1 true KR101929824B1 (ko) 2018-12-19

Family

ID=6322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099A KR101929824B1 (ko) 2017-01-24 2017-01-24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05B1 (ko) * 2018-11-27 2019-02-20 이경재 자동관수 및 무인방제 장치용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74B1 (ko) 2006-10-24 2008-01-23 코스텍유한회사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106B1 (ko) 2010-12-21 2011-04-21 주식회사 세명오토테크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파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74B1 (ko) 2006-10-24 2008-01-23 코스텍유한회사 절첩이 용이한 파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77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718B2 (ja) 板状物梱包用具
KR101929824B1 (ko) 자동차 부품용 운반용기
KR101929823B1 (ko) 자동차 부품용 수납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용기
JP2016517832A (ja) コンテナ保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ようなコンテナ保管システムの支柱と横桟
EP3524536A1 (en) Pallet
KR101929825B1 (ko)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JP3225848U (ja) 折り畳み式ラック
DK178791B1 (en) GROUND FRAME FOR A TRANSPORT CONTAINER
JP2007186220A (ja) コンテナ用リターナブルケース
CN211582445U (zh) 一种折叠式区域仓库
CN205525506U (zh) 包装箱托盘加强结构
JP6651296B2 (ja) 車両の輸送方法、その輸送装置
KR200368649Y1 (ko) 수송용 컨테이너박스의 화물 적재대
CN108188996B (zh) 一种可防磕碰的皮带轮减振器工装车
KR200298837Y1 (ko) 운반 카트
EP3286107B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a plurality of glass sheets
JP3209660U (ja) トラック
KR200241710Y1 (ko) 차량운송용 쇼링장치
KR860002693Y1 (ko) 조립식 음식물 운반구
EP3397573B1 (en) Support frame for carrying glass plate and glass transport frame
JPH0554411U (ja) 中間棚等の支承装置
KR970002010Y1 (ko) 파렛트 지지장치
KR200267812Y1 (ko) 철재 파렛트 조립식 적재대
JP2004018069A (ja) 板状物搬送具
JPH06227539A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