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706B1 - 운반용 랙 - Google Patents

운반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706B1
KR100582706B1 KR1020050008362A KR20050008362A KR100582706B1 KR 100582706 B1 KR100582706 B1 KR 100582706B1 KR 1020050008362 A KR1020050008362 A KR 1020050008362A KR 20050008362 A KR20050008362 A KR 20050008362A KR 100582706 B1 KR100582706 B1 KR 10058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helf
mounting
base fram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주 피앤비
Priority to KR102005000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지지대; 상기 마주하는 두 곳의 고정지지대를 한 쌍으로 하고, 각각의 한 쌍씩에 하단이 절첩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 절첩포스트;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 각각의 수평각봉 사이에 적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선반거치대; 상기 선반거치대가 형성된 각각의 좌/우측 절첩포스트 사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품거치용 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품거치용선반을 분해시켜 베이스 프레임 바닥에 보관되도록 하고, 동시에 좌/우측 절첩포스트가 베이스 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운반 시, 적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거치홈 형태를 갖는 부품거치용선반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바꾸어 착탈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용 랙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상황에 맞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과 더불어 운반용 랙의 기종 변경에 따른 대체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용 랙{Rack For Conveyance}
도 1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부품거치용 선반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을 적재 가능한 상태로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a 내지 8b는 좌/우측 절첩포스트와 고정지지대의 절첩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베이스 프레임 120: 고정지지대
121: 슬라이드홈 123: 회전방지홈
130: 절첩포스트 131: 수직각봉
131a: 회전축돌기 131b: 회전방지돌기
133: 수평각봉 135: 거치대용 착탈결합부
140: 선반거치대 141: 선반용 착탈결합부
141a: 횡방향 삽입홈 141b: 종방향 삽입홈
150: 부품거치용 선반 151: 부품거치부재
151a: 거치홈 151b: 분리벽
153: 압력보강대 153a: 착탈결합돌기
153b: 보강날개
본 발명은 부품을 조립생산라인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용 랙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베이스 프레임(20) 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 포스트(30)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30)의 마주보는 각봉(31) 사이에 적재 프레임(40)이 힌지 고정되는데, 상기 적재 프레임(40)은 사각의 틀로 형성되고, 그 후방 좌/우측 모서리가 각각 수직 포스트(30)의 힌지 고정부(41)에 고정되며, 전방 좌/우측 모서리 저면으로 버팀대(42)가 형성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적재 프레임(40)은 장변부 사이를 잇는 다수의 횡봉(43)이 형성되고, 다시 횡봉(43)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U"자형 홈을 갖는 부품 거치대(4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품 거치대(44)의 "U"자형 홈은 차축 등과 같은 부품의 외경 크기에 맞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을 이용한 부품 적재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최 상단 프레임(40)이 적정 각도 회동되어 고정바(50)에 의해 고정되고,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을 제외한 나머지 적재 프레임(40)들이 별도의 연결고리(60)를 이용해 바로 위 프레임(40)들과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부품 거치대(44)에 차량용 부품을 적재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최 하단 적재 프레임(40)에 대한 적재작업이 완료되면, 바로 위 적재 프레임(40)을 연결고리(6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용 부품을 적재토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운반용 랙의 최 상단 적재 프레임(40)까지 적재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생산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근거리의 경우 베이스 프레임(20) 저면에 형성된 캐스터(10)를 이용해서 이동시키게 되지만, 장거리의 경우에는 차량을 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운반용 랙으로부터 부품을 하역할 때에는 적재작업과 반대의 순서로 최 상단의 적재 프레임(40)으로부터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일률적으로 정해진 사이즈의 부품만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여서,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절첩되지 않는 구조여서, 보관 시, 넓은 적재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품이 적재되지 않는 운반용 랙 만을 운송할 때에도 운송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운반용 랙은 작업자의 머리 위에 적재프레임이 재치된 상태로 고정되고 있어, 적재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거치용 선반을 분해시켜 베이스 프레임 바닥에 보관되도록 하고, 동시에 좌/우측 절첩포스트가 베이스 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운반 시, 적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거치홈 형태를 갖는 부품거치용선반을 자유롭게 착탈결합시킴으로서,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적재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용 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지지대; 상기 마주하는 두 곳의 고정지지대를 한 쌍으로 하고, 각각의 한 쌍씩에 하단이 절첩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 절첩포스트;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 각각의 수평각봉 사이에 적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선반거치대; 상기 선반거치대가 형성된 각각의 좌/우측 절첩포스트 사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품거치용 선반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지대는 일면이 개구되고,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홈이 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이 천공된 상측 끝단에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수직각봉 사이를 복수 개의 수평각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각봉 하단의 좌우측면에 각각 회전축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 돌기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거치대는 수직면 상에 횡방향 삽입홈과 종방향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선반용 착탈결합부를 적정간격 이격시켜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거치용 선반은 거치부품의 외형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거치홈 제작이 가능하도록 된 부품거치부재와,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내부에 삽입결합되거나, 외부 하단에 결합되어 거치부품의 실제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압력보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상하측 길이방향에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거치부재는 우레탄 폼, 고무재, 압축 스폰지 또는 완충 및 내구성이 뛰어난 쿠션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I"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ㄷ"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보강대의 좌우측 끝단으로 연장되는 착탈결합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지지대(120); 상기 마주하는 두 곳의 고정지지대(120)를 한 쌍으로 하고, 각각의 한 쌍씩에 하단이 절첩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 절첩포스트(130);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130) 각각의 수평각봉(133) 사이에 적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선반거치대(140); 상기 선반거치대(140)가 형성된 각각의 좌/우측 절첩포스트(130) 사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품거치용 선반(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지지대(120)는 일면이 개구되고,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 홈(121)이 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121)이 천공된 상측 끝단에 회전방지홈(123)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130)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수직각봉(131) 사이를 복수 개의 수평각봉(133)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각봉(131) 하단의 좌우측면에 각각 회전축 돌기(131a)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 돌기(131a)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회전방지돌기(131b)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반거치대(140)는 수직면 상에 횡방향 삽입홈(141a)과 종방향 삽입홈(141b)으로 이루어진 선반용 착탈결합부(141)를 적정간격 이격시켜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거치용 선반(150)은 거치 부품의 외형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거치홈(151a) 제작이 가능하도록 된 부품거치부재(151)와, 상기 부품거치부재(151)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거나, 외부 하단에 결합되어 거치 부품의 실제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압력보강대(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품거치부재(151)의 좌우측 길이방향에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151a)이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거치부재(151)의 상하측 길이방향에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151a)이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부품거치부재(151)는 우레탄 폼, 고무재, 압축 스폰지 또는 완 충 및 내구성이 뛰어난 쿠션재질을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도 3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부품거치용 선반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도 3은 압력보강대(153)를 "I"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프레임의 폭방향 좌우측에 각각 부품거치부재(151)가 접합되도록 하며, 프레임의 길이 방향 좌우측 끝단에 착탈결합돌기(153a)를 연장형성시켜, 선반거치대(140)의 선반용 착탈결합부(141)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착탈결합돌기(153a)가 선반거치대(140)의 측면 횡방향 삽입홈(141a)으로 삽입되고, 다시 종방향 삽입홈(141b) 내로 수직하강시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는 압력보강대(153)를 "┼"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하되, 부품거치부재(151)의 사출 시, 내부에 삽입형성 되도록 하고, 부품거치부재(151)의 면적에 따라 내부에서 확장되도록 한 보강날개(153b)와 부품거치부재(151)의 길이방향 좌우측 끝단으로 더 연장형성되는 착탈결합돌기(153a)를 형성시켜 선반거치대(140)의 선반용 착탈결합부(141)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와 같은 "┼"자형 압력보강대(153)를 제작하되, 부품거치부재(151)의중앙을 분리벽(151b)으로 나누고, 상기 분리벽(151b) 좌우측에 길이방향으로 거치홈(151a)들을 비대칭으로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ㄷ"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된 압력보강대(153)를 홈부가 상면을 향하도록 배치시켜 부품거치부재(151)가 삽입되어 접합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보강대(153)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착탈결합돌기(153a)를 형성시켜 선반거치대(140)의 선반용 착탈결합부(141)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운반용 랙은 부품 하역이 끝난 후, 다시 부품을 적재하기 위해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되는데, 보다 많은 수량의 운반용 랙을 적재시켜 운반하기 위해 도 7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절첩시켜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랙을 적재 가능한 상태로 절첩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8a 내지 8b는 좌/우측 절첩포스트와 고정지지대의 절첩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 작동상태도 이다.
우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거치대(140)로부터 부품거치용 선반(150)을 분해시켜 베이스 프레임(110) 바닥에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부품거치용 선반(150)은 착탈결합돌기(153a)가 선반거치대(140)의 종방향 삽입홈(141b)으로부터 수직 상승된 다음, 다시 회방향 삽입홈(141a)으로 수평 이동되어 분리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좌/우측 절첩포스트(130)를 절첩시키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도 8a에서와 같이 좌/우측 절첩포스트(130)를 고정 지지대(120)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려 회전축돌기(131a)가 고정 지지대(120)의 슬라이드 홈(121)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방지돌기(131b)가 회전방지홈(123)으로부터 이격되고 이후, 도 8b에서 와 같이 좌/우측 절첩포스트(130)를 베이스 프레임(110)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절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부품거치용선반을 분해시켜 베이스 프레임 바닥에 보관되도록 하고, 동시에 좌/우측 절첩포스트가 베이스 프레임 내측 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운반 시, 적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거치홈 형태를 갖는 부품거치용선반을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바꾸어 착탈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용 랙의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기종의 부품을 상황에 맞게 적재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과 더불어 운반용 랙의 기종 변경에 따른 대체비용이 발생되지 않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지지대;
    상기 마주하는 두 곳의 고정지지대를 한 쌍으로 하고, 각각의 한 쌍씩에 하단이 절첩 가능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 절첩포스트;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 각각의 수평각봉 사이에 적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선반거치대;
    상기 선반거치대가 형성된 각각의 좌/우측 절첩포스트 사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부품거치용 선반;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대는 일면이 개구되고, 마주하는 양측면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홈이 천공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이 천공된 상측 끝단에 회전 방지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절첩포스트는 마주 보는 한 쌍의 수직각봉 사이를 복수 개의 수평각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각봉 하단의 좌우측면에 각각 회전축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 돌기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거치대는 수직면 상에 횡방향 삽입홈과 종방향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선반용 착탈결합부를 적정간격 이격시켜 다수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거치용 선반은 거치부품의 외형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거치홈 제작이 가능하도록 된 부품거치부재와,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내부에 삽입결합되거나, 외부 하단에 결합되어 거치부품의 실제 하중이 지지되도록 한 압력보강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거치부재의 상하측 길이방향에 대칭 또는 비대칭형상의 거치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거치부재는 우레탄 폼, 고무재, 압축 스폰지 또는 완충 및 내구성이 뛰어난 쿠션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I"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ㄷ"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강대는 "┼"자형 금속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12. 제 9항, 10항, 11항 또는 12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보강대의 좌우측 끝단으로 연장되는 착탈결합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랙.
KR1020050008362A 2005-01-29 2005-01-29 운반용 랙 KR100582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62A KR100582706B1 (ko) 2005-01-29 2005-01-29 운반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362A KR100582706B1 (ko) 2005-01-29 2005-01-29 운반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706B1 true KR100582706B1 (ko) 2006-05-22

Family

ID=3718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362A KR100582706B1 (ko) 2005-01-29 2005-01-29 운반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7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27Y1 (ko) 2009-11-11 2010-01-25 김길동 가변형 파레트
KR200456368Y1 (ko) 2010-03-24 2011-10-27 주식회사 달성공영 이젤 보관대
KR101450835B1 (ko) 2013-07-15 2014-10-15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트랜스미션 적재용 팔레트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CN108750635A (zh) * 2018-08-06 2018-11-06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通用型pcba搬运装置及使用方法
KR102065738B1 (ko) * 2018-11-16 2020-01-13 아진산업(주) 자동차 부품 운반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167U (ko) 1975-01-29 1976-07-30
JPH02139343A (ja) * 1988-11-15 1990-05-29 Natl House Ind Co Ltd 面状物体運搬具
JPH0293226U (ko) * 1989-01-12 1990-07-24
KR960007920U (ko) * 1994-08-05 1996-03-15 김상회 파레트 사이드바의 절첩장치
KR200365606Y1 (ko) 2004-07-29 2004-10-22 주식회사 오텍 화물 운반용 팔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167U (ko) 1975-01-29 1976-07-30
JPH02139343A (ja) * 1988-11-15 1990-05-29 Natl House Ind Co Ltd 面状物体運搬具
JPH0293226U (ko) * 1989-01-12 1990-07-24
KR960007920U (ko) * 1994-08-05 1996-03-15 김상회 파레트 사이드바의 절첩장치
KR200365606Y1 (ko) 2004-07-29 2004-10-22 주식회사 오텍 화물 운반용 팔레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27Y1 (ko) 2009-11-11 2010-01-25 김길동 가변형 파레트
KR200456368Y1 (ko) 2010-03-24 2011-10-27 주식회사 달성공영 이젤 보관대
KR101450835B1 (ko) 2013-07-15 2014-10-15 주식회사 아이피엔엘 트랜스미션 적재용 팔레트
KR101859319B1 (ko) * 2017-02-06 2018-05-17 신용희 자동차 휠 운반용 대차
CN108750635A (zh) * 2018-08-06 2018-11-06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通用型pcba搬运装置及使用方法
KR102065738B1 (ko) * 2018-11-16 2020-01-13 아진산업(주) 자동차 부품 운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706B1 (ko) 운반용 랙
JP3224918U (ja) バックル式組合カート
KR100582705B1 (ko) 운반용 랙
US6142589A (en) Combination storage rack
US20070187561A1 (en) Mounting systems, brackets, and methods related to soft storage products
CN110934428A (zh) 可折叠储物架
KR100706392B1 (ko)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US3841728A (en) Collapsible bar
KR101613689B1 (ko) 접이식 선반
US20030178381A1 (en) Collapsible article holder
US20040144606A1 (en) Foldable wheeled traveling case assembly
US20230380588A1 (en) Folding unit cabinet
CA2540745A1 (en) Transport apparatus for piece goods
KR20070107919A (ko) 다단선반의 높이간격에 관계없이 다양한 높이를 갖는물품의 전시가 가능한 조립선반
US20140263114A1 (en) Shelf structure for a merchandiser
CN112056821A (zh) 一种折叠组合柜
GB2369351A (en) A Collapsible Container with an Internal Storage Arrangement
US327592A (en) Shelving
KR101396518B1 (ko) 롤테이너
JP2562035Y2 (ja) 折畳み式収容箱
CN211833415U (zh) 可折叠储物架
CN218009011U (zh) 液压床
KR20220000507U (ko) 조립가능한 수납 선반
JP2000325163A (ja) ボトルラック及びボトル収納棚
CN217533839U (zh) 一种组合式露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