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214A -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214A
KR20220025214A KR1020227004599A KR20227004599A KR20220025214A KR 20220025214 A KR20220025214 A KR 20220025214A KR 1020227004599 A KR1020227004599 A KR 1020227004599A KR 20227004599 A KR20227004599 A KR 20227004599A KR 20220025214 A KR20220025214 A KR 20220025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bent
wire
orthodontic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539B1 (ko
Inventor
야수히로 이츠키
Original Assignee
야수히로 이츠키
오카다 메디컬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수히로 이츠키, 오카다 메디컬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야수히로 이츠키
Publication of KR20220025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4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plier-type, e.g. pin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치과 교정 수법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로서, 구개의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매립된 2개 이상의 스크류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및 치아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를 갖는 팔 형태의 아암 부재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견인부재는, 제2접속부에 고정되는 견인 베이스부와, 견인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견인 대상에 고정된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견인 고정부와, 견인 베이스부와 견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견인 고정부를 통해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 또는 전방으로의 견인력 및 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견인력 발생부를 가지며, 견인 고정부는,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브라켓에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굴곡부는 걸려 고정된다.

Description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본 발명은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plier)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교정에 있어서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대해 전후 좌우, 경사, 회전 등의 3차원적인 교정력을 부여함으로써 치열을 정돈하고 있다.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치아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기준으로 하는 치아의 브라켓과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브라켓 사이에 와이어 등을 설치하여, 와이어를 조여간다. 와이어의 라우팅, 조임 방법 등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의 교정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서는, 구강 내의 뼈에 스크류나 앵커를 매립하고, 이 스크류 등을 고정단으로 하여 원하는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한다. 매립된 스크류 등에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이 고정되고, 이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을 통해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치과 교정용 지지체로서 고정부를 턱뼈에 고정하고, 노출부를 구강 내로 노출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4 참조).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새로운 치과 교정 수법에 따라 치과 교정용 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6019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2004-17427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제2004-136134호 공보 특허문헌 4: 국제공개 제2018/135567호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제5566549호 공보
본 발명은 새로운 치과 교정 수법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 및 해당 치과 교정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이 치과 교정 장치의 설치에 적합한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양태로서, 구개의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매립된 2개 이상의 스크류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및 치아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를 갖는 팔 형태의 아암 부재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로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제2접속부에 고정되는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상기 견인 대상에 고정된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견인 고정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견인 고정부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 또는 전방으로의 견인력 및 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견인력 발생부를 가지며, 상기 견인 고정부는,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브라켓에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상기 굴곡부는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견인 베이스부는 제1대구치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력 발생부는 상기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굴곡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는, 상기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한쪽인 제1플라이어에서의 상기 작용부의 교합면이,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지는 제2방향을 따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작용부에서는, 상기 와이어재를 절곡하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와, 상기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상기 와이어재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조각을 홀딩하는 홀딩부가, 상기 절단부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제2방향을 따라 교합면에 늘어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는, 교합면이 제1플라이어가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도)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와이어의 돌출방향으로 제1방향을 맞추도록 제1플라이어의 작용부를 배치하여, 치근측에 배치된 제2플라이어의 작용부가 제1플라이어의 작용부에 근접하도록 파지부를 잡음으로써, 와이어의 선단의 일부를 절단하는 동시에, 절단부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에서 와이어의 선단부를 제2방향을 따르도록 절곡하는 것이 용이하게 구현된다.
통상, 구강 내에서, 와이어의 선단이 전방으로 돌출하면서 선단 근방에서 절곡된 상태로 배치되는 일은 없지만, 다음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에서는, 와이어가 상기의 상태에서 구강 내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는, 구개의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매립된 2개 이상의 스크류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및 어금니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를 갖는 팔 형상의 아암 부재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견인부재는 제1대구치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접속부에 고정되는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견인대상에 고정된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견인 고정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견인 고정부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견인력 발생부를 가지며, 상기 견인 고정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브라켓에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상기 굴곡부는 걸려 고정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견인 고정부는 브라켓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인장력과 전방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한다. 브라켓이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의 무게중심보다도 치관측에 위치함으로써, 브라켓을 통해 견인 대상에 대해 가해지는 견인력은 견인 대상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치아 자체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견인 고정부에서는 브라켓에 대해 전방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기 때문에, 견인력에 기인하는 후방 회전력이 상쇄되어,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는 후방으로의 이동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치과 교정 장치에서는, 브라켓에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견인 고정부가 탄성 변형되어, 후방측 및 치근측으로 바이어싱된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와이어의 선단을 브라켓의 전방측 및 치근측에 접촉시켜, 그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와이어의 선단부를, 와이어가 브라켓의 슬롯에 걸리도록 절곡하여, 절곡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의 굴곡부(브라켓의 슬롯에 접하고 있는 부분)보다 선단측의 적당한 위치에서 와이어를 절단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에서는,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와이어의 선단을 치근측으로 절곡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이면,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는 와이어의 일부를 치근측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의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의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측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작용부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교합 간극은 상기 홀딩부의 교합 간극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용부에서는, 상기 와이어의 절곡 기능과 상기 와이어 조각의 홀딩 기능을 갖는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교합면에 2개 늘어서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곡부가 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홀딩부가 되고,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홀딩부가 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곡부가 된다.
상기 연결부의 회동축에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1방향을 면 내에 포함하는 제1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작용부는 상기 교합면을 2개 갖고, 각각의 상기 교합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홀딩부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상기의 치과 교정 장치의 설치 방법으로서,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브라켓에 있어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걸림고정할 때에, 상기의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재를 소성 변형시키는 동시에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후방 회전의 영향을 억제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치과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치과 교정 장치의 설치 방법도 제공된다. 이 설치 방법에서 사용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는, 후방으로 변위하면서 치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바이어싱된 상태로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배치된 와이어에 대해, 치근측으로 절곡되는 굴곡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정면도이고, (b)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 (a)의 작용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작용부의 구조설명도, (b)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그 1), (c)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그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가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한번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적절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배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밴드 커터)는, 연결부(30)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제1플라이어(10), 제2플라이어(20))를 갖는다. 제1플라이어(10)의 일단부에는 제1작용부(11)가 위치하고, 타단부에는 제1파지부(12)가 위치한다. 제2플라이어(20)의 일단부에는 제2작용부(21)가 위치하고, 타단부에는 제2파지부(22)가 위치한다.
제1작용부(11)의 교합면(제1교합면(11A))은, 연결부(30)로부터 제1파지부(12)가 연장되는 제1방향(D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지는 제2방향(D2)을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에서는,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이 이루는 경사각(θ은 45도이다. 경사각(θ은 30도 내지 60도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교합면(11A)이 휘어져 있기 때문에, 도 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교합면(11A)을, 환자의 구강(M)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WM)에 근접시킬 때에, 제1파지부(12)가 구강(M)의 치아에 충돌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와이어(WM)를 절곡/절단하는 시술이 용이해진다.
제2작용부(21)는 상기의 제1작용부(11)의 형상에 따라, 제1방향(D1)보다도 파지부(제1파지부(12), 제2파지부(22))측으로 융기되어 있다. 제2작용부(21)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M)의 내부에서 와이어(WM)보다도 치근측에 위치하는 제2작용부(21)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용부(11)에서는, 와이어(WM)를 절곡하여 굴곡부(BP)를 형성하는 제1절곡부(111)와, 굴곡부(BP)보다도 선단측에서 와이어(WM)를 절단하는 제1절단부(112)와, 절단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조각(WC)을 홀딩하는 제1홀딩부(113)가, 제1절단부(112)를 중앙으로 하여 제2방향(D2)을 따라 제1교합면(11A)에 늘어선다.
제1작용부(11)에 대응하여, 제2작용부(21)에서도, 제2절곡부(211), 제2절단부(212) 및 제2홀딩부(213)가 이 순서로 제2방향(D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제2절단부(212)에 돌출된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제1절단부(112)는 오목부의 개구에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작용부(11)와 제2작용부(21)가 근접하면, 제2절단부(212)의 블레이드가 제1절단부(112)의 오목부에 수용되면서, 제1작용부(11)와 제2작용부(21)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WM)를 전단할 수 있다.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는 제1방향(D1)을 따라 위치하는 와이어(WM)를 제2방향(D2)을 향해 굴곡시키는 부분이며, 절곡할 때에는 제2플라이어(20)의 제2절곡부(211)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1플라이어(10)의 제1절곡부(111)를 작용점으로 한다.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의 교합 간극은 와이어(WM)의 직경에 대해 1.1배 내지 1.5배 정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WM)의 최대 직경이 0.9mm보다도 약간 큰 정도(예를 들면 0.036인치)인 경우에는,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의 교합 간극은 1.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WM)가 절곡되었을 때, 와이어(WM)는 이 교합 간극에서 다소 휜 상태가 된다.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는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에 의해 절단되어 생긴 와이어 조각(WC)이 구강(M) 내로 낙하하지 않도록, 와이어(WM)를 절곡하고 있는 동안에 와이어 조각(WC)을 홀딩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의 교합 간극은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의 교합 간극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와이어(WM)의 직경(예를 들면, 0.9㎜)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절단부(212)에 설치된 블레이드의 돌출 폭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의 교합 간극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에 의한 와이어(WM)의 절단이 완료되고 나서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에 의한 와이어(WM)의 홀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어(WM)의 절단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구강(M)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와이어(WM)의 돌출 방향과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제2방향(D2)이 일치하도록 하면서,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제1작용부(11)를 와이어(WM)의 상방(치열의 치관측)에 배치한다. 이때, 제1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파지부(12)가 치아에 충돌하는 일은 없다.
이어, 도 3(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2작용부(21)가 제1작용부(11)에 접근하도록, 제2파지부(22)를 회전시켜 제1파지부(12)에 접근시킨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단부(112)의 블레이드와 제2절단부(212)의 블레이드에 의해, 와이어(WM)는 절단되어, 와이어 조각(WC)이 생성된다. 생성된 와이어 조각(WC)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에 의해 홀딩되어, 구강(M) 내로 낙하하는 일은 없다.
이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에 위치하는 와이어(WM)를 절곡한다. 제2절곡부(211)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파지부(12)를 제2파지부(22)와 함께 내리누름(치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절곡부(111)가 작용점이 되어, 와이어(WM)는 치근측(혀측)으로 절곡된다. 와이어(WM)의 굴곡부(BP)는 제2절곡부(211)의 지지점에 접하는 부분에서부터 제1절곡부(111)에 접하는 부분까지가 된다. 와이어(WM)를 절곡했을 때(도 3(c))에서의 제1방향(D1)은, 정확히 도 3(a)에 도시된 상태의 제2방향(D2)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1파지부(12)가 치아에 충돌하는 것은 회피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구조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 4에서는 제2플라이어(20)에 대하여 해칭이 이루어져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는 연결부(30)의 회동축(Ox)과 직교하는 동시에 제1방향(D1)을 면 내에 포함하는 제1면(S1)을 대칭면으로 하여, 작용부는 교합면을 2개 갖는다.
제1면(S1)은 제1플라이어(10)에서의 연결부(30)가 위치하는 부분(제1연결부(31))과 제2플라이어(20)에서의 연결부(30)가 위치하는 부분(제2연결부(32))과의 슬라이딩면에 위치한다. 이 제1면(S1)을 사이에 끼고,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는 2개의 작용부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 한 쪽 작용부를 "우측 작용부(41)"라고 하고, 다른 쪽 작용부를 "좌측 작용부(42)"라고 한다. 우측 작용부(41)의 구조 및 좌측 작용부(42)의 구조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작용부(제1작용부(11), 제2작용부(21))의 구조와 본질적으로 공통이다. 즉, 우측 작용부(41)의 교합면에서도, 좌측 작용부(42)의 교합면에서도,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와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가 제2방향(D2)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이상의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의 구조를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구조와의 대비로 바꿔말하면,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작용부(제1작용부(11), 제2작용부(21))가 좌우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강(M) 내에서, 작용부(우측 작용부(41), 좌측 작용부(42))를 측방으로부터 와이어(WM)에 접근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에서는 와이어(WM)와 제2방향(D2)을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작용부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5(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그 1)이다. 도 5(c)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의 동작 설명도(그 2)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20)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와의 대비에서, 작용부의 상세 구조가 상이하였다. 즉, 상기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의 작용부(제1작용부(11), 제2작용부(21))에서는,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와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가 제2방향(D2)을 따라 늘어서 있는데,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20)의 작용부(제1작용부(11), 제2작용부(21))에서는,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를 사이에 끼고, 실질적으로 구조가 동등한 절곡 홀딩부가 2개 늘어서 있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 연결부(30)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곡 홀딩부를 "내측 절곡 홀딩부(51)"라 하며,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20)의 선단측에 위치하는(연결부(30)에 대해 먼 위치인) 절곡 홀딩부를 "외측 절곡 홀딩부(52)"라 한다.
내측 절곡 홀딩부(51) 및 외측 절곡 홀딩부(52)는 모두 와이어(WM)의 절곡 기능(절곡부가 갖는 기능)과 와이어 조각(WC)의 홀딩 기능(홀딩부가 갖는 기능)을 갖는다.
절단 전의 와이어(WM)의 선단이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보다도 연결부(30)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연결부(30)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절곡 홀딩부인 외측 절곡 홀딩부(52)가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가 된다. 그리고, 연결부(30)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곡 홀딩부인 내측 절곡 홀딩부(51)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가 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후의 와이어(WM)의 선단이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20)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내측 절곡 홀딩부(51)는 홀딩부로서 기능하고, 외측 절곡 홀딩부(52)는 절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한편, 와이어(WM)의 선단이 절단부(제1절단부(112), 제2절단부(212))보다도 연결부(30)에 대해 먼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30)로부터 먼 위치인 절곡 홀딩부(외측 절곡 홀딩부(52)가 홀딩부(제1홀딩부(113), 제2홀딩부(213))가 된다. 그리고, 연결부(30)에 가까이 위치하는 절곡 홀딩부(내측 절곡 홀딩부(51))가 절곡부(제1절곡부(111), 제2절곡부(211))가 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후의 와이어(WM)의 선단이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20)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측 절곡 홀딩부(52)는 홀딩부로서 기능하고, 내측 절곡 홀딩부(51)는 절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허문헌 1의 도 2 등을 베이스로 하여 환자의 구강을 그려, 종래 기술에 대한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300)는 제1베이스부(311), 제2베이스부(312), 제3베이스부(313) 및 제4베이스부(314)를 갖는다. 각 베이스부에는 걸어맞춤구멍(h)이 형성된다. 제1베이스부(311), 제3베이스부(313) 및 제4베이스부(314)의 걸어맞춤구멍(h)은 제3방향(D3)으로 뻗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구멍(h) 각각은 스크류(350)의 다각 기둥 헤드부에 대해 걸어맞춰진다. 도 7에서는 구개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4개의 스크류(350)의 나사부가 매립되어 있고, 걸어맞춤구멍(h)을 삽입관통하는 다각 기둥 헤드부의 중심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에 볼트가 조여짐으로써, 베이스 부재(300)는 스크류(350)에 대해 고정된다.
여기서, 제1베이스부(311)와 제3베이스부(313) 사이, 및 제1베이스부(311)와 제4베이스부(314) 사이에는, 각각 가요성을 갖는 접속부(32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강의 내부에 미리 매립된 스크류(350)의 다각 기둥 헤드부(352)와 4개(제1베이스부(311) 내지 제4베이스부(314))의 걸어맞춤구멍(h)을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제3방향(D3)으로 늘어선 제1베이스부(311)의 걸어맞춤구멍(h) 및 제2베이스부(312)의 걸어맞춤구멍(h) 각각에 다각 기둥 헤드부(352)를 삽입관통시킨 후, 제3베이스부(313)의 걸어맞춤구멍(h) 및 제4베이스부(314)의 걸어맞춤구멍(h) 각각에 다각 기둥 헤드부(352)를 삽입관통시키면 된다. 2개의 접속부(32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3베이스부(313)의 걸어맞춤구멍(h) 및 제4베이스부(314)의 걸어맞춤구멍(h)의 위치를 구강(M) 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도 6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300)는 제1베이스부(311)의 바깥쪽(구강(M) 내의 전방)에 접속된 제1고정부(331), 제1베이스부(311)와 제2베이스부(312) 사이에 마련된 제2고정부(332), 및 제2베이스부(312)의 바깥쪽(구강(M) 내의 후방)에 접속된 제3고정부(333)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치과 교정 장치(1000)의 베이스 부재(300)에서는 제2고정부(332)에 아암 부재(360)가 장착되어 있다. 아암 부재(360)는 제3방향(D3)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본체부(360b)와, 제2고정부(332)에 대해 고정되기 위한 제1접속부(361)와, 어금니(제2대구치(T2))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362)를 갖는 팔 형상의 부재이다. 제1접속부(361)는 고정 나사(355)에 의해 회동 불가능하게 제2고정부(332)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제2접속부(370)에는 견인부재(370)가 장착되고, 견인부재(370)는 제2접속부(362)에서 고정되어 탄성 변형된다. 이 때문에, 이 탄성 변형의 응력이 아암 부재(360)의 제2접속부(362)에 발생하고, 베이스 부재(300)의 제2고정부(332)에는 베이스 부재(300)을 구강(M) 내에서 회전시키거나 비틀거나 하는 외력이 부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베이스 부재(300)는 3군데 이상, 구체적으로는 4군데에서 스크류(350)에 고정되고, 게다가, 제3베이스부(313) 및 제4베이스부(314)는 제1베이스부(311)의 걸어맞춤부 및 제2베이스(312)의 걸어맞춤부의 정열(제3방향(D3))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스크류(350)에 대해 걸어맞춰져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300)의 제2고정부(332)에 강한 외력이 부여되어도, 베이스 부재(300)가 변위될 가능성은 적절히 억제되어 있다.
견인부재(370)는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지며,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도 7에서는 제1대구치(T1))를 견인하는 것이다. 와이어재는 예를 들면 고무 메탈(등록상표)로 이루어지며, 아암 부재(360)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영률이 낮다. 구체적으로는, 아암 부재(360)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SUS316이며, 그 영률은 150GPa 이상(200GPa 정도)이다. 이에 반해, 견인부재(370)를 구성하는 와이어재의 일 예인 고무 메탈은 100GPa 이하(40GPa~80GPa)이다. 이 때문에, 견인부재(370)를 바이어싱한 상태로 고정하면, 아암 부재(360)는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견인부재(370)만이 탄성 변형된다.
견인부재(370)는 견인 베이스부(371), 견인 고정부(372) 및 견인력 발생부(373)를 갖는다. 견인 베이스부(371)는 제1대구치(T1)보다도 후방에 위치하여 아암 부재(360)의 제2접속부(36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 위치에 견인 베이스부(371)가 배치됨으로써,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도 7에서는 제1대구치(T1))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7에서는 견인 베이스부(371)에서, 와이어재가 굴곡되어 제2접속부(262)에 걸어고정하여, 견인부재(37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견인 고정부(372)는 견인 베이스부(371)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견인 대상(도 7에서는 제1대구치(T1))에 고정된 브라켓(380)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제1대구치(T1)에 장착된 브라켓(380)은 아치 와이어(390)를 수용하여 아치 와이어(390)에 대한 상대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1슬롯(381)과, 견인부재(370)와 걸어맞춰 견인부재(370)에 대한 상대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슬롯(382)을 갖는다. 제2슬롯(382)에서 브라켓(380)에 대해 걸려 고정됨으로써 견인부재(370)의 견인력은 브라켓(380)에 전달되어, 제1대구치(T1)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동시에, 제1슬롯(381)에 고정된 아치 와이어(390)를 통해, 제1대구치(T1)보다도 전방의 치아(앞니)를 후방으로 견인한다.
견인력 발생부(373)는 견인 베이스부(371)와 견인 고정부(372) 사이에 위치하는 T 루프(374)를 갖는다. 도 7에서는, T 루프(374)가 열리는 동시에, T 루프(374)와 견인 고정부(372) 사이의 와이어재를 T 루프(374)로부터 멀어지도록 휘게 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견인력 발생부(373)는 견인 고정부(372)를 통해 브라켓(380)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다. 견인력 발생부(373)에서 견인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은 T 루프(374)에 한정되지 않는다. L 루프나 원형의 루프일 수도 있다.
이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이 적절히 브라켓(380)에 전달되도록, 견인 고정부(372)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BP)를 가지며, 브라켓(380)에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실질적으로 제2슬롯(382))에 대해, 굴곡부(BP)는 걸려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380)은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제1대구치(T1))의 치관에 장착된다. 이에 반해, 치아의 무게중심은 치관보다도 치근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브라켓(380)을 이용하여 치아를 단순히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만을 부여하면, 치관이 후방을 향하는 회전(후방 회전, 원심 회전)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견인력 발생부(373)는 T루프(374)가 닫히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의 견인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재의 휨이 복귀하는 힘에 의해 전방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제1대구치(T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생기는 후방 회전력을 캔슬하고, 견인대상이 되는 치아(제1대구치(T1))가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현하고 있다.
종래기술과 같이, 와이어를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로 견인할 경우에는, 연장된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가 원래의 길이로 돌아올 때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할 수 있는데, 브라켓(380)에 대하여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견인부재(370)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견인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의 힘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고, 그 결과,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치과 교정 장치(1000)에서는, 구강(M) 내에서 견인부재(370)를 구성하는 와이어재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와이어재의 전방의 선단 근방에 브라켓(380)에 대하여 걸어고정하는 굴곡부(BP)가 마련되어, 견인 고정부(3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견인 고정부(372)의 굴곡부(BP)에서 브라켓(380)에 대하여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이 가해져 있기 때문에, 치과 교정 장치(1000)가 적절히 기능하기 위해서는, 구강(M)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와이어재의 선단 근방을 치근측으로 굴곡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00, 110, 120)는, 이 목적을 이루는 관점에서 유효한 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치과 교정 장치(1000)는, 아암 부재가 구강(M) 내에서 좌우로 전개되며, 2개의 제2접속부(362)를 갖는데, 도 8에 도시된 치과 교정 장치(1001)는, 아암 부재(360)는 구강(M) 내에서 일측으로만 전개되고, 제2접속부(362)는 1개만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접속부(361)로부터 베이스 부재(300)에 대해 강한 회전력이 부여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0)는 3개 이상, 구체적으로는 4개의 스크류(3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300)의 헐거움은 잘 발생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치과 교정 장치(1001)는, 제2고정부(332)에 장착된 아암 부재(360)가 구강(M) 내에서 좌측으로 전개되며, 하나의 제2접속부(362)를 갖는데, 도 9에 도시된 치과 교정 장치(1002)는, 제2고정부(332)에 장착된 아암 부재(360)와, 제1고정부(331)에 장착된 아암 부재(360)를 갖는다.
제2고정부(332)에 장착된 아암 부재(360)에는 견인부재(370)가 장착되어 있다. 견인부재(370)는, 견인 베이스부(37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좌측의 제1대구치(T1)를 견인 대상으로 한다. 견인 고정부(372)는, 치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BP)를 갖는다. 견인력 발생부(373)가 갖는 T 루프(374)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견인 대상인 좌측의 제1대구치(T1)에 장착된 브라켓(380)에 있어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제2슬롯(382))에 굴곡부(BP)는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견인부재(370)는 브라켓(380)의 제2슬롯에 대해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 반력으로서, 아암 부재(360)의 제2접속부(362)에는, 견인부재(370)로부터 전방 및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부여된다(흰 화살표).
제1고정부(331)에 장착된 아암 부재(360)에도 견인부재(370)가 장착되어 있다. 견인부재(370)는, 견인 베이스부(37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우측의 제1대구치(T11)를 견인 대상으로 한다. 견인 베이스부(371)가 장착되는 아암 부재(360)의 제2접속부(362)는 우측의 제1대구치(T11)보다도 전방의 치아의 구개측에 배치된다. 견인 고정부(372)는, 치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BP)를 갖는다. 견인력 발생부(373)가 갖는 T 루프(374)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견인 대상인 우측의 제1대구치(T11)에 장착된 브라켓(380)에 있어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제2슬롯(382))에 굴곡부(BP)는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견인부재(370)는 브라켓(380)의 제2슬롯(382)에 대해 전방으로의 견인력 및 후방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 반력으로서, 아암 부재(360)의 제2접속부(362)에는 견인부재(370)로부터, 후방 및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부여된다(흰 화살표).
이와 같이, 치과 교정 장치(1002)에서는, 2개의 아암 부재(360)를 통하여, 베이스 부재(300)에는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00)는 4개의 스크류(3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300)의 헐거움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 본 실시예 및 그 구체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1절단부(112)는 오목부를 가지며, 제2절단부(212)는 돌출된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1절단부(112)가 돌출된 블레이드를 가지며, 제2절단부(212)가 오목부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또는 그 구체예에 대해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실시예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110)는, 대칭면인 제1면(S1)의 법선에 따른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2개의 작용부(우측 작용부(41), 좌측 작용부(42))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면(S1)의 법선에 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진 선을 따르도록, 2개의 작용부의 각각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작용부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와이어를 구부리는 시술이 용이해지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장착방법은 다음의 치과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구개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매립된 2개 이상의 스크류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및 치아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를 갖는 팔 형상의 아암 부재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로서, 견인부재는 제2접속부에 고정되는 견인 베이스부와, 견인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견인 대상에 고정된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견인 고정부와, 견인 베이스부와 견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견인 고정부를 통해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 또는 전방으로의 견인력 및 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견인력 발생부를 가지며, 견인 고정부는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브라켓에 있어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굴곡부는 걸려 고정된다. 여기서, 견인 베이스부는 제1대구치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견인력 발생부는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고, 굴곡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에 굴곡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장착방법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브라켓에 있어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걸림고정할 때에, 연결부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를 갖고,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일단부에는 작용부가 위치하고 타단부에는 파지부가 위치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와이어재를 소성 변형시키는 동시에 절단한다. 이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는,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한쪽인 제1플라이어에서의 작용부의 교합면은 연결부로부터 파지부가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지는 제2방향을 따르도록 마련되고, 작용부에서는 와이어재를 절곡하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와,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와이어재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조각을 홀딩하는 홀딩부가, 절단부를 중앙으로 하여 제2방향을 따라 교합면에 늘어서는 것이다.
10: 제1플라이어(플라이어 본체) 11: 제1작용부
11A: 제1교합면 12: 제1파지부
20: 제2플라이어(플라이어 본체) 21: 제2작용부
22: 제2파지부 30: 연결부
31: 제1연결부 32: 제2연결부
41: 우측 작용부 42: 좌측 작용부
51: 내측 절곡 홀딩부 52: 외측 절곡 홀딩부
100, 110, 120: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111: 제1절곡부
112: 제1절단부 113: 제1홀딩부
211: 제2절곡부 212: 제2절단부
213: 제2홀딩부 300: 베이스 부재
311: 제1베이스부 312: 제2베이스부
313: 제3베이스부 314: 제4베이스부
320: 접속부 331: 제1고정부
332: 제2고정부 333: 제3고정부
350: 스크류 355: 고정 나사
360: 아암 부재 360b: 본체부
361: 제1접속부 362: 제2접속부
370: 견인부재 371: 견인 베이스부
372: 견인 고정부 373: 견인력 발생부
374: T 루프 380: 브라켓
381: 제1슬롯 382: 제2슬롯(돌출부)
390: 아치 와이어 1000, 1001, 1002: 치과 교정 장치
BP: 굴곡부 D1: 제1방향
D2: 제2방향 D3: 제3방향
M: 구강 Ox: 회동축
S1: 제1면 T1, T11: 제1대구치
T2: 제2대구치 WC: 와이어 조각
WM: 와이어 h: 걸어맞춤구멍
θ: 경사각

Claims (6)

  1. 구개의 뼈의 정중구개봉합 근방에 매립된 2개 이상의 스크류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 및 치아의 구개측 근방에 위치하는 제2접속부를 갖는 팔 형태의 아암 부재와,
    탄성을 갖는 와이어재로 이루어져, 견인 대상이 되는 치아를 견인하는 견인부재를 구비하는 치과 교정 장치로서,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제2접속부에 고정되는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상기 견인 대상에 고정된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견인 고정부와,
    상기 견인 베이스부와 상기 견인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견인 고정부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 또는 전방으로의 견인력 및 후방 회전력을 부여하는 견인력 발생부를 가지며,
    상기 견인 고정부는, 치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갖고, 상기 브라켓에서 구개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상기 굴곡부는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베이스부는 제1대구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견인력 발생부는 상기 브라켓에 후방으로의 견인력 및 전방 회전력을 부여하고,
    상기 굴곡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재가 소성 변형되어 치근측으로 굴곡된 것인, 치과 교정 장치.
  3. 연결부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일단부에는 작용부가 위치하고 타단부에는 파지부가 위치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로서,
    상기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한쪽인 제1플라이어에서의 상기 작용부의 교합면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지는 제2방향을 따르도록 마련되고,
    상기 작용부에서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와, 상기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조각을 홀딩하는 홀딩부가, 상기 절단부를 중앙으로 하여 상기 제2방향을 따라 교합면에 늘어서며,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측에 상기 홀딩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4. 연결부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일단부에는 작용부가 위치하고 타단부에는 파지부가 위치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로서,
    상기 한 쌍의 플라이어 본체의 한쪽인 제1플라이어에서의 상기 작용부의 교합면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제1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휘어지는 제2방향을 따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작용부에서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굴곡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와, 상기 굴곡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절단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 조각을 홀딩하는 홀딩부가, 상기 절단부를 중앙으로 하여 제2방향을 따라 상기 교합면에 늘어서고,
    상기 작용부에서는, 상기 와이어의 절곡 기능과 상기 와이어 조각의 홀딩 기능을 갖는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교합면에 2개 늘어서며,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인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곡부가 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홀딩부가 되고,
    상기 와이어의 선단이 상기 절단부보다도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인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홀딩부가 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상기 절곡 홀딩부가 상기 절곡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교합 간극은 상기 홀딩부의 교합 간극보다 넓은,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1방향을 면 내에 포함하는 제1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상기 작용부는 상기 교합면을 2개 갖고, 각각의 상기 교합면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상기 절단부 및 상기 홀딩부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늘어서는,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KR1020227004599A 2020-06-19 2021-05-18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KR102383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6351A JP6835322B1 (ja) 2020-06-19 2020-06-19 歯科矯正用プライヤ
JPJP-P-2020-106351 2020-06-19
JPJP-P-2020-204729 2020-12-10
JP2020204729A JP6925002B1 (ja) 2020-06-19 2020-12-10 歯科矯正装置
PCT/JP2021/018855 WO2021256148A1 (ja) 2020-06-19 2021-05-18 歯科矯正装置および歯科矯正用プラ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214A true KR20220025214A (ko) 2022-03-03
KR102383539B1 KR102383539B1 (ko) 2022-04-08

Family

ID=7466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599A KR102383539B1 (ko) 2020-06-19 2021-05-18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52580B2 (ko)
EP (1) EP3973913B1 (ko)
JP (2) JP6835322B1 (ko)
KR (1) KR102383539B1 (ko)
AU (1) AU2021291481B2 (ko)
BR (1) BR112022003416B1 (ko)
CA (1) CA3145629C (ko)
TW (1) TWI762307B (ko)
WO (1) WO2021256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3709S1 (en) * 2022-06-13 2024-04-23 Georgia D. Londos Punch plier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91Y2 (ko) 1984-02-13 1991-01-21
JPH08275960A (ja) * 1995-04-03 1996-10-22 Sankin Kogyo Kk 歯列矯正具
US20010005575A1 (en) * 1999-12-28 2001-06-28 Sankin Kogyo Kabushiki Kaisha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JP2004174278A (ja) 2004-02-16 2004-06-24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WO2012099439A2 (ko) * 2011-01-21 2012-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JP5566549B1 (ja) 2013-12-02 2014-08-06 大樹 平林 歯科矯正用ワイヤー、歯科矯正用ワイヤーの製造方法、歯科矯正用セットおよび歯科矯正用ワイヤー製造用プライヤー
WO2018135567A1 (ja) * 2017-01-19 2018-07-26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に用いられるベース部材
JP2018135567A (ja) 2017-02-22 2018-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造形物の製造装置及び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JP2018526181A (ja) * 2015-09-22 2018-09-13 ハン、ビョン ジュHAN,Byeong−Ju 歯列矯正用口蓋アンカプレート
JP6601991B1 (ja) * 2019-06-24 2019-11-06 敬一 石川 接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歯列矯正器具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4606A (en) * 1955-09-19 1960-10-04 Rocky Mountain Metal Products Orthodontic band forming plier
US3555677A (en) * 1968-03-01 1971-01-19 Anthony J Cusato Wire cutting tool
JPS59101174A (ja) 1982-12-02 1984-06-11 株式会社 藤商事 雀球機
WO1992014417A1 (en) * 1991-02-25 1992-09-03 Michael Block Bone anchor
US5820369A (en) * 1991-02-25 1998-10-13 Nobel Biocare Ab Subperiosteal bone anchor
US5769630A (en) * 1991-02-25 1998-06-23 Louisiana State University, Subperiosteal bone anchor
US6358255B1 (en) * 2000-03-06 2002-03-19 Micerium S.R.L. Distraction osteogenesis device and method
CN2768709Y (zh) * 2005-03-11 2006-04-05 万义华 加强型末端切断钳
IT1392605B1 (it) * 2008-12-31 2012-03-09 Hdc S R L Dispositivo di fissaggio per apparecchi ortodontici
ITVI20090191A1 (it) * 2009-07-27 2011-01-28 Hdc S R L Dispositivo ortodontico con un sistema di fissaggio auto-legante per apparecchi ortodontici con una parte filiforme
US10595971B2 (en) * 2012-05-23 2020-03-24 Justin Parker Orthodontic system anchoring method and apparatus
TWM495832U (zh) * 2014-06-19 2015-02-21 Densmart Dental Co Ltd 牙科矯正裝置
US10646308B2 (en) * 2015-03-19 2020-05-12 Joseph Yousefian Dual expanding palatal distractor
KR101726590B1 (ko) * 2016-12-21 2017-04-13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RU187152U1 (ru) 2018-02-26 2019-02-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ра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И. Разумовск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елетной небной опоры
CN109044542A (zh) * 2018-08-06 2018-12-21 上海精功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上颌骨发育不足的矢状向扩弓矫治器及制造方法
TWM576448U (zh) * 2018-12-10 2019-04-11 羅秋美 Tooth correction fixed ankle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91Y2 (ko) 1984-02-13 1991-01-21
JPH08275960A (ja) * 1995-04-03 1996-10-22 Sankin Kogyo Kk 歯列矯正具
US20010005575A1 (en) * 1999-12-28 2001-06-28 Sankin Kogyo Kabushiki Kaisha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JP2004136134A (ja) 2004-02-16 2004-05-13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JP2004174278A (ja) 2004-02-16 2004-06-24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支持体
WO2012099439A2 (ko) * 2011-01-21 2012-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JP5566549B1 (ja) 2013-12-02 2014-08-06 大樹 平林 歯科矯正用ワイヤー、歯科矯正用ワイヤーの製造方法、歯科矯正用セットおよび歯科矯正用ワイヤー製造用プライヤー
JP2018526181A (ja) * 2015-09-22 2018-09-13 ハン、ビョン ジュHAN,Byeong−Ju 歯列矯正用口蓋アンカプレート
WO2018135567A1 (ja) * 2017-01-19 2018-07-26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に用いられるベース部材
JP2018135567A (ja) 2017-02-22 2018-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三次元造形物の製造装置及び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
JP6601991B1 (ja) * 2019-06-24 2019-11-06 敬一 石川 接続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歯列矯正器具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02536A1 (en) 2022-06-30
WO2021256148A1 (ja) 2021-12-23
BR112022003416B1 (pt) 2023-01-17
JP2022001246A (ja) 2022-01-06
EP3973913A4 (en) 2023-02-01
AU2021291481A1 (en) 2022-01-20
TWI762307B (zh) 2022-04-21
CA3145629A1 (en) 2021-12-23
KR102383539B1 (ko) 2022-04-08
JP6835322B1 (ja) 2021-02-24
JP2022001098A (ja) 2022-01-06
US11452580B2 (en) 2022-09-27
BR112022003416A8 (pt) 2022-11-22
BR112022003416A2 (pt) 2022-05-10
EP3973913A1 (en) 2022-03-30
EP3973913B1 (en) 2023-11-22
CA3145629C (en) 2022-06-07
TW202200087A (zh) 2022-01-01
JP6925002B1 (ja) 2021-08-25
AU2021291481B2 (en)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5375B2 (ja) 舌側ブラケット
JP370651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JP3928173B2 (ja) 歯科矯正用支持体
EP2087851A1 (en) Orthodontic device
JP5651166B2 (ja) 歯列矯正用ワイヤとの制御係合を提供する歯列矯正用連結器
US6558160B2 (en) Attachment device for intra-oral orthodontic appliance
US7033171B2 (en) Molar tube lock
TWI773956B (zh) 牙齒移動器具
US20120135365A1 (en) Intraoral orthodontic corrector
JP2015160023A (ja) 顎位矯正装置
KR102383539B1 (ko)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US6733287B2 (en) Molar tube lock
US20230091022A1 (en) Tooth moving device
JPH07265333A (ja) 歯列矯正用頬側矯正具
US20100151401A1 (en) Orthodontic implant cap and orthodontic treatment assembly including same
RU2775942C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мещения зуба
WO2009044974A1 (en) Connection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of straightening irregular teeth
KR20230134381A (ko) 자가 사용에 적합한 형태의 교정용 와이어 커터
JP2020146224A (ja) 歯列矯正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