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590B1 - 상악 치열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상악 치열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590B1
KR101726590B1 KR1020160175715A KR20160175715A KR101726590B1 KR 101726590 B1 KR101726590 B1 KR 101726590B1 KR 1020160175715 A KR1020160175715 A KR 1020160175715A KR 20160175715 A KR20160175715 A KR 20160175715A KR 101726590 B1 KR101726590 B1 KR 10172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resent
moving shaft
tee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16017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590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89 priority patent/WO2018117582A1/ko
Priority to JP2019534262A priority patent/JP2020501837A/ja
Priority to US16/471,758 priority patent/US2020008553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1Pain-alleviat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구개부와 비중격, 비강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는 교정장치와 다르게 구치와 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악 구치와 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악의 잇몸 저면에 부착되는 몸체(10); 일단이 상기 몸체(10)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구치에 끼워지는 구치고정부(30); 및 상기 몸체(10)의 하면 일측에 연결되는 고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는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가 상악의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근접됨으로써 간격이 조정되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악 치열 교정장치{AN ORTHODONTIC DEVICE FOR MOVING MAXILLARY TEETH}
본 발명은 종래의 구개부와 비중격, 비강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는 교정장치와 다르게 구치와 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악 구치와 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악의 잇몸 저면에 부착되는 몸체(10); 일단이 상기 몸체(10)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구치에 끼워지는 구치고정부(30); 및 상기 몸체(10)의 하면 일측에 연결되는 고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는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가 상악의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근접됨으로써 간격이 조정되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래턱이 돌출된 주걱턱에서 상대적으로 왜소하고 좁은 위턱의 좌우양측 확장과 치아의 교정 및 재정리를 위해 교정장치를 구강 내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으로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교정장치는, 2개의 마주하는 베이스(몸체)가 조작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되, 앞니를 전방으로 기준하여 뺨 쪽의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악구개부와 비중격, 비강을 벌려 주걱턱을 교정하거나 치열을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은 치열궁이 협소한 환자에서 틈을 만들거나 빈틈이 많은 환자에서 틈을 폐쇄하는 치아 이동을 할 수 없으며 뻐드렁니 턱 등에서 전체 치열을 앞니방향 또는 기도 방향으로 움직여 공간을 만들어 줄 수 없다. 이로서 교정시 공간을 확보하기위하여 발치(치아를 뽑는 것) 교정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고통이 따르거나 치아이동 기간이 많이 연장됨으로써 불편과 비효율성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479967호에는 치열교정부재(선행기술 1)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설측교정시 발치공간을 폐쇄할 때 과도한 쓰러짐을 방지하고, 교정되는 치아의 형태에 따라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후크를 설치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치아이동을 얻을 수 있어, 발치공간 및 치아를 효과적으로 교정치료 할 수 있는 치열교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205632호에는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선행기술 2)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치조골 돌출에서 치아머리뿐 아니라 치아뿌리도 후방으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교정장치를 개발하여서 수술을 동반하지 않고도 좋은 안모와 건강한 치열을 얻고자 하는 목적'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교정장치와 동작관계 및 이에 따른 효과가 일부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발명과 일부 관련있는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11976호에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선행기술 3)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3은, '상악 치열궁의 폭교정을 위한 교정력을 발생시키는 폭교정 몸체유닛; 그리고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상악 치열궁이 양측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좌우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악골에 확장력을 가하는 푸싱유닛(Pus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66158호에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선행기술 4)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4는, '좌우 한 쌍의 분할체가 상악골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구개면에 위치되어 양쪽 상악 치열궁을 폭교정 하게 되는 구개면 확장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단이 상기 구개면 확장부에 고정되는 서포트와이어; 각각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레일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로 이루어진 구치 견인유닛;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와 상기 구치 견인유닛의 연결 와이어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에 각각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 3 및 선행기술 4 역시, 모두 측방향으로 교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과 교정 치료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종래에 측방향으로 움직이던 교정장치를 전방향 및 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발치와 통증이 수반되고 치료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다소 극복하고, 아울러 돌출입의 교정 외에도 함몰된 치열에서 인위적으로 치아를 돌출시키는 교정도 진행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79967호(2005.04.07.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205632호(2012.11.27.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111976호(2012.02.14.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66158호(2014.12.0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구개부와 비강, 비중격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는 교정 장치와 다르게 구치와 전치를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확고하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악 전체 치열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통과 치료기간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는, 상악의 잇몸 저면에 부착되는 몸체(10); 일단이 상기 몸체(10)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구치에 끼워지는 구치고정부(30); 및 상기 몸체(10)의 하면 일측에 연결되는 고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는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가 상악의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근접됨으로써 간격이 조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와,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의 일측에서 일방향에서 다른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동홈(13);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의 다른 일측에서 일방향에서 다른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홈(14); 상기 이동홈(13)에 삽입되는 이동축(15);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지지축(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홈(13)은 그 내면에 나사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15)은 이동축(15)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축(15)을 회전시키고, 그의 외면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회전부(15a) 및 이동축(15)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3a)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15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부(15a)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간격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4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중, 상악의 앞니방향 및 기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의하면, 구개부와 비강, 비중격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는 종래의 교정장치와는 다르게 구치와 전치를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확고하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악 전체치열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열을 배열할 때 공간 확보를 위해 시행하는 발치 교정을 피할 수 있고 빈틈이 많은 환자에서 빈틈을 원하는 위치로 확고하고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사용자의 고통과 치료기간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의 착용상태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서 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개부와 비강, 비중격을 좌우방향으로 넓히는 교정장치와 다르게 구치와 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악 구치와 전치를 교정할 수 있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의 착용상태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악의 하부방향에서 상악을 바라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는 몸체(10), 연결다리(20), 구치고정부(30) 및 고리부(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악의 잇몸 저면에 부착되는 몸체(10)와, 일단이 상기 몸체(10)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다리(20)와, 상기 연결다리(2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구치(어금니)에 끼워지는 구치고정부(3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고리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위의 연결은 용접에 의한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최초 제품으로 출시되는 경우, 몸체(10), 연결다리(20), 구치고정부(30) 및 고리부(40)가 선택적으로 별개의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의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치아형태에 맞도록 연결다리(20)와 구치고정부(30)를 형성한 뒤, 연결다리(20)의 형태를 변경하여 몸체(10)를 상악 구개부(입천장)의 저면에 설치한다.
이후, 고정원인 나사를 고리부(40)의 내측에 식립하여 몸체(10)를 고정한다.
이때 구치고정부(30)는 일부가 구치(어금니)에 끼워지고, 나머지 일부가 다른 치아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구치(어금니)가 몸체(10)의 이동방향에 따라 힘을 받도록 하여, 상악 구치를 후방 기도방향으로 이동하여 교정하도록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의하면, 고리부(40)가 앞니 방향에 형성되어 나사로 고정되기 때문에 몸체(10)는 앞니 방향의 반대편인 기도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앞니가 후방으로 이동 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돌출된 상악치열 전체가 후방 이동되어 교정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반면, 고리부(40)는 도 1과 다르게 몸체(10)의 일측 중, 기도 방향에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10)가 기도 방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앞니 방향으로 이동될 것이고, 이로 인해 상악치아의 전방이동 교정 또는 상악을 전방 돌출시키는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몸체(10)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에서 몸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른 몸체(10)는,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몸체(10) 즉,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의 각각에는 일방향에서 다른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2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며, 이동축(15)과 지지축(16)이 상기 2개 이상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를 연결한다.
즉, 2개 이상의 홈 중 1개는 이동홈(13)으로서, 이동축(15)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이동홈(13)의 내면에는 나사부(1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축(15)의 외면에도 나사부(15b)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는 이동축(15)이 1회전됨에 따라 서로 일정간격씩(0.25mm) 이격되어 사이가 벌어지거나 또는 장치의 몸체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여 이동축 홈을 반대로 회전시 몸체사이는 근접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축(15)의 일측에는 회전부(15a)가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부(15a)는 상기 이동축(15)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이는 회전부(15a)의 외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은 바람직하게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홈에 소정의 막대를 끼워 상기 회전부(15a)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동축(15)이 회전되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일정간격씩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4개의 홈을 통해 회전부(15a)를 회동시키게 되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는 그 나사의 직경과 나사산의 간격, 개수에 따라 1회전당 다양한 거리가 이격 또는 근접되어 총 10mm(1cm)전후의 다양한 거리만큼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된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홈 중 나머지 1개 이상은 지지홈(14)으로서, 지지축(16)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축(16)은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가 이격 또는 근접되기 위해 움직일 때 이동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는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앞니방향과 이의 반대편인 기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특히 이동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몸체부가 이격되거나 근접될 때 이동축이 몸체부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축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이동축 풀림 방지부(15c)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서 이동축이 과다하게 이격되는 경우 끝단부에서는 나사산이 없는 이동축 부위에서 헛도는 현상으로 이탈 방지하기 위해 이동축 끝단부가 더 넓은 형태 또는 이동축내에 핀 구조가 삽입되는 이탈 방지 구조를 구비하였다.
연결다리(20)는 몸체(1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각각에 소정의 개수씩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다리(20)의 일단에는 구치고정부(30)가 연결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 연결다리(20)는 구치고정부(30)를 통해 구치(어금니)에 끼우기 위한 2개와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다른 치아에 끼울 수 있도록 다양한 개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다리(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인력(人力)으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스덴, 알루미늄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고리부(40)는 몸체(10)의 내측이나 하측하면 측의 몸체 근접부의 가능한 지지축과 근접한 부위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필요성은, 이동되는 몸체부의 반대측에 고정되는 몸체부에 설치되는 고리부는 내부에 지지도를 높이는 나사못을 식립하는 구조로써 이동되는 몸체부의 반작용으로 나타나는 힘을 확고하게 상쇄하기위해 회전모멘트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몸체 근접부에 설치한다.
또 몸체의 중심부에 설치된 이동축의 연장선상에서 최근접하게 설치하는데 이로써 입천장 구개부의 가장 강한 뼈가 존재하는 정중선에 위치되는 이동축의 연장선상에서 가장 확고한 지지력을 보장할 수 있다.
이렇게 고리부는 180°이상이 폐쇄된 원형 형태로 설정함으로써 이동 몸체부의 반작용으로 나타나는 수직, 수평 이탈력에 효율적으로 저항 할 수 있는 형태를 지닌다.
또한, 고리부(40)가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몸체(10)를 교체해야 하더라도 잇몸에 삽입된 나사를 제거하지 않아도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만, 종래의 교정장치는 몸체가 양 뺨쪽의 구치(어금니)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나사가 양 방향으로 삽입되어 몸체를 고정하기 때문에, 상악 구조가 본래의 형태를 유지하려는 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몸체(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리부(40)가 앞니 방향 또는 기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만 설치되고, 또한 이동되는 몸체(10)가 여러 치아를 움직이는 동안 앞니 방향과 기도 방향으로 반작용의 힘을 받아 생기는 상악 구조의 저항에 의해 교정을 위해 이동축(15)을 통해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간격을 이격시켜도 다시 좁아지거나, 좁혀놓더라도 다시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더 제안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따른 상악 치열 교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본 발명은, 하나의 몸체 일측에 구비된 고정핀(18)을 통해 연결되는 고정바(17)와, 다른 하나의 몸체 일측에 구비된 고정부재(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17)의 고정핀(18)이 삽입되는 홀(hole, 도면부호 미도시)은 고정핀(18)의 헤드(Head)보다 크기가 작도록 구성되고, 고정바(17)는 고정핀(18)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고정핀(18)을 따라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고정바(17)의 일단에는 오목과 볼록이 연속되는 "^^^^"의 형태의 요철 구성이 마주보록 구성된 요철부(17a)가 홈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9)의 헤드(Head)는 상기 요철부(17a)의 구성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되, 이 헤드의 하부방향으로 기둥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9)의 기둥은 몸체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홈(19b)에 끼워지되, 상기 기둥의 외면에 토션스프링이 고정삽입되어 상기 고정홈(19b)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부재(19)는 고정홈(19b)에서 인력(人力)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인력(人力)이 제거되면 다시 본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토션스프링의 구성이 부재됨에 따라 인력(人力)에 의한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고정바(17)의 요철부(17a)에 고정부재(19)의 헤드가 상기 요철부(17a)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고정부재(19)의 헤드가 요철부(17a)와 수직된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바(17)가 고정부재(19)에 고정연결되도록 한다. 이때의 요철부(17a) 구성이 오목과 볼록이 연속됨에 따라 다양한 길이에 맞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요철부(17a)의 오목한 부분의 간격이 2.5m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는 일측에 단일 개만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복수 개가 양측에 구성될 수도 있고, 중간부분에 단일 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바(17)와 고정부재(19)가 몸체(10)에 전달되는 상악의 힘을 분산 받기 때문에 몸체(10)의 조정된 간격이 변경될 우려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몸체
11 : 제1 몸체
12 : 제2 몸체
13 : 이동홈
14 : 지지홈
15 : 이동축
15a : 회전부
15b, 13a : 나사부
15c : 이동축 풀림 방지부
16 : 지지축
20 : 연결다리
30 : 구치고정부
40 : 고리부

Claims (4)

  1. 상악의 잇몸 저면에 부착되는 몸체(10);
    일단이 상기 몸체(10)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다리(20);
    상기 연결다리(20)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구치에 끼워지는 구치고정부(30); 및
    상기 몸체(10)의 하면 일측에 연결되는 고리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는,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로 구분되어,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가 상악의 앞니방향과 기도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좁아짐으로써, 간격이 조정되고,
    상기 고리부(40)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몸체(10) 교체시 잇몸에 삽입된 나사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10)의 일측 중, 상악의 앞니방향 및 기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와,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의 일측에서 일방향에서 다른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이동홈(13);
    상기 제1 몸체(11) 및 제2 몸체(12)의 다른 일측에서 일방향에서 다른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지지홈(14);
    상기 이동홈(13)에 삽입되는 이동축(15); 및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지지축(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13)은 그 내면에 나사부(13a)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축(15)은,
    이동축(15)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이동축(15)을 회전시키고, 그의 외면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회전부(15a) 및
    이동축(15)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3a)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15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부(15a)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몸체(11)와 제2 몸체(12)의 간격이 조정되며, 이동축(15)의 끝단부에 형성된 이동축 풀림 방지부(15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치열 교정장치.
  4. 삭제
KR1020160175715A 2016-12-21 2016-12-21 상악 치열 교정장치 KR10172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5A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6-12-21 상악 치열 교정장치
PCT/KR2017/014989 WO2018117582A1 (ko) 2016-12-21 2017-12-19 상악 치열 교정장치
JP2019534262A JP2020501837A (ja) 2016-12-21 2017-12-19 上顎歯列矯正装置
US16/471,758 US20200085538A1 (en) 2016-12-21 2017-12-19 Maxillary teeth orthodon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15A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6-12-21 상악 치열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590B1 true KR101726590B1 (ko) 2017-04-13

Family

ID=5857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15A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6-12-21 상악 치열 교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85538A1 (ko)
JP (1) JP2020501837A (ko)
KR (1) KR101726590B1 (ko)
WO (1) WO201811758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82A1 (ko) * 2016-12-21 2018-06-28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CN109044542A (zh) * 2018-08-06 2018-12-21 上海精功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上颌骨发育不足的矢状向扩弓矫治器及制造方法
KR102087256B1 (ko) *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US11389274B2 (en) * 2019-06-04 2022-07-19 Bernhard Foerster Gmbh Orthodontic expansion screw
KR20230072813A (ko) * 2021-11-18 2023-05-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7081A1 (en) 2018-10-26 2020-04-30 Kelleher Robert Orthodontic distalization and mesi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6835322B1 (ja) * 2020-06-19 2021-02-24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プライヤ
CN114391987B (zh) * 2022-02-28 2023-04-11 南昌大学附属口腔医院(江西省口腔医院) 一种实现精准化治疗的可调节型正畸加速器
KR20230141284A (ko) * 2022-03-31 2023-10-10 (주)오스테오닉 악궁 확장 장치 및 악궁 확장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485A (en) * 1989-10-02 1991-03-26 Aagesen Larry K Orthopedic appliance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5-04-07 임갑선 치열교정부재
US20090130620A1 (en) * 2007-11-19 2009-05-21 Mohamadreza Yazdi Bone supporte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KR101111976B1 (ko) 2010-05-17 2012-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KR101205632B1 (ko) 2011-09-23 2012-11-27 임중기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KR101466158B1 (ko)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101671730B1 (ko) * 2015-09-01 2016-1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시술용 구개 확장장치 및 이를 위한 골정착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590B1 (ko) * 2016-12-21 2017-04-13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485A (en) * 1989-10-02 1991-03-26 Aagesen Larry K Orthopedic appliance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5-04-07 임갑선 치열교정부재
US20090130620A1 (en) * 2007-11-19 2009-05-21 Mohamadreza Yazdi Bone supporte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KR101111976B1 (ko) 2010-05-17 2012-02-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KR101205632B1 (ko) 2011-09-23 2012-11-27 임중기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KR101466158B1 (ko)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101671730B1 (ko) * 2015-09-01 2016-11-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시술용 구개 확장장치 및 이를 위한 골정착 브라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82A1 (ko) * 2016-12-21 2018-06-28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CN109044542A (zh) * 2018-08-06 2018-12-21 上海精功齿科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上颌骨发育不足的矢状向扩弓矫治器及制造方法
US11389274B2 (en) * 2019-06-04 2022-07-19 Bernhard Foerster Gmbh Orthodontic expansion screw
KR102087256B1 (ko) *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KR20230072813A (ko) * 2021-11-18 2023-05-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102649595B1 (ko) 2021-11-18 2024-03-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582A1 (ko) 2018-06-28
JP2020501837A (ja) 2020-01-23
US20200085538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590B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US20210153981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herapy
US10363161B2 (en) Sleep apnea oral appliance for use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US20200261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ES2409280T3 (es) Dispositivo para avance mandibular
KR101466158B1 (ko)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US4637796A (en) Office fabricated, adjustable function regulator
US20140060549A1 (en)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
JP6941601B2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JP2018531059A6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GR1009833B (el) Εξωστοματικη ορθοπεδικη συσκευη αμεσης ελξης της ανω γναθου κι εμμεσης της κατω
KR102087727B1 (ko) 설측 치아교정 장치
US7121824B2 (en) Protraction headgear
JP2017532159A (ja) 下顎骨の成長を促す又は矯正する装置
JP6557637B2 (ja) 歯科用矯正器具
WO2015132406A1 (en) Removable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US8435030B2 (en) Orthodontic braces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0497728Y1 (ko) 확장이 가능한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
KR20180001267A (ko)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TW202145976A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20150119609A (ko)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BRPI0902556B1 (pt) dispositivo reposicionador odontológico e método de confecção do me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