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267A -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 Google Patents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267A
KR20180001267A KR1020160080181A KR20160080181A KR20180001267A KR 20180001267 A KR20180001267 A KR 20180001267A KR 1020160080181 A KR1020160080181 A KR 1020160080181A KR 20160080181 A KR20160080181 A KR 20160080181A KR 20180001267 A KR20180001267 A KR 20180001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
guide member
mandible
large m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박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수 filed Critical 박영수
Priority to KR102016008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267A/ko
Publication of KR2018000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되어 상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윗니와 하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아랫니 사이에 물리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윗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외측부, 체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윗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내측부, 본체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아랫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외측부 및 본체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아랫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내측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상부면에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상악교정부, 상부면에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상악교정부, 하부면에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하악교정부 및 하부면에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하악교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구치아 맹출유도기{PREMANENT DENTITION DEVELOPMENT GUIDE DEVICE}
본 발명은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들의 구강 내에 물리도록 형성되어 윗니와 아랫니 치아를 교정시킬 수 있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에 관한 것이다.
치아교정은 고르지 못한 치아 및 턱의 교합 상태 이상을 진단하여 치료하는 치과의학의 한 분야이다.
치아교정은 치아를 고르게 배열하여 음식물 등이 잘 씹히도록 할 뿐 아니라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치아교정은 얼굴 윤곽을 예쁘게 개선함과 잇몸병이나 충치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위 아래 턱의 윗니와 아랫니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맞물림의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이나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요인, 잘못된 습관이나 자세, 치아 우식증 및 구순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잇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 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또한,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도 커진다.
이러한 부정교합의 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부정교합의 치료는 나이가 어릴수록 효과가 크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생후 6개월부터 만 24개월 전후까지 유치가 자라난다.
그 다음 6세 이후부터 평생 쓰는 영구치가 자라나면서, 12살에서 14살 사이에 윗니 14개와 아랫니 14개가 나오면서, 모두 28개의 치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올바른 치아배열을 위한 치아교정장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영구치가 나오는 순서에 따라 치아를 교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치아교정 장치는 교정용 브라켓 및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브라켓은 금속으로 된 것이 일반적인데, 치료 기간 동안 눈에 잘 띄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린이들이 영구치가 나오는 순서 중 가장 중요한 순번에 해당하는 치아의 치아교정을 위한 장치에 대한 개발이 모색되었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40628호(발명의 명칭 : 유동 가능한 보조와이어를 가진 치아교정장치)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어린이들의 영구치가 생성될 때 6번 치아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게끔 구강 내에 물리도록 형성되어 윗니와 아랫니 치아를 교정시킬 수 있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되어 상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윗니와 하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아랫니 사이에 물리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윗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외측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윗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내측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외측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에 상기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상악교정부; 상부면에 상기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상악교정부; 하부면에 상기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하악교정부; 및 하부면에 상기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하악교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6번 상악교정부는, 상기 윗니의 첫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상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번 하악교정부는, 상기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의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1 하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악가이드부재와 제1 하악가이드부재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번 상악교정부는, 상기 윗니의 둘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상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번 하악교정부는, 상기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하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상악가이드부재와 제2 하악가이드부재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또는 TPR(Thermoplastic Rubb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는 윗니와 아랫니 각각의 치아의 위치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는 어린이들의 영구치가 생성되는 시기에 발생될 수 있는 부정교합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정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사용하지 않은 치아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의 치아 배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에서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는 본체부(10), 전치부(11), 구치부(12), 상부외측부(20), 상부내측부(30), 하부외측부(40), 하부내측부(50),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는 본체부(10), 전치부(11), 구치부(12), 상부외측부(20), 상부내측부(30), 하부외측부(40), 하부내측부(50),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은 의료용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은 TPR(Thermoplastic Rubber)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로 액상실리콘고무(Liquid Silicone Rubb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로 투명 레진, 라텍스, 폴리우레탄 및 치과용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레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 전치부(11), 구치부(12), 상부외측부(20), 상부내측부(30), 하부외측부(40), 하부내측부(50),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의료용 실리콘, TPR(Thermoplastic Rubber) 및 액상실리콘고무(Liquid Silicone Rubb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는 의료용 실리콘과 TPR(Thermoplastic Rubber)이 혼합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는 실리콘 재질 또는 신축성이 있는 연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재질 또는 연성의 재질은 은나노 입자가 포함됨으로써, 구강 내에 삽입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표면에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상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윗니와 하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아랫니 사이에 물리도록 'U'자 형상 또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전치부(11) 및 구치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치부(11)는 착용자의 전치가 맞닿는 부위일 수 있다. 전치부(11)는 1mm~3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치부(11)의 두께가 1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치아 교합 시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에 의해 전치부(11)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전치부(11)의 두께가 3mm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구치부(12)는 착용자의 구치가 맞닿는 부위일 수 있다. 또한, 구치부(12)는 전치부(11)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치부(12)의 두께가 1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치아 교합 시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에 의해 구치부(12)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구치부(12)의 두께가 5mm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상부외측부(20)는 본체부(10)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외측부(20)는 윗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외측부(20)는 윗니가 본체부(10)에 안착 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윗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외측부(20)는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내측부(30)는 본체부(10)의 상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내측부(30)는 윗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부내측부(30)는 윗니가 본체부(10)에 안착 시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윗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내측부(30)는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외측부(40)는 본체부(10)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외측부(40)는 아랫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외측부(40)는 아랫니가 본체부(10)에 안착 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랫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외측부(40)는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내측부(50)는 본체부(10)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내측부(50)는 아랫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내측부(50)는 아랫니가 본체부(10)에 안착 시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랫니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내측부(50)는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번 상악교정부(60)는 본체부(10) 상부면에 형성되고,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6번 상악교정부(60)는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번 상악교정부(60)는 사용자 치아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번 상악교정부(60)는 영구치가 생성될 때, 해당하는 영구치가 올바르게 맹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상악가이드부재(61)는 윗니의 첫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악가이드부재(61)는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악가이드부재(61)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7번 상악교정부(70)는 본체부(10) 상부면에 형성되고,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7번 상악교정부(70)는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7번 상악교정부(70)는 사용자 치아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7번 상악교정부(70)는 영구치가 생성될 때, 해당하는 영구치가 올바르게 맹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상악가이드부재(71)는 윗니의 둘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상악가이드부재(71)는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악가이드부재(71)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6번 하악교정부(160)는 본체부(10) 하부면에 형성되고,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6번 하악교정부(160)는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6번 하악교정부(160)는 사용자 치아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번 하악교정부(160)는 영구치가 생성될 때, 해당하는 영구치가 올바르게 맹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는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의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는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7번 하악교정부(170)는 본체부(10) 하부면에 형성되고,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7번 하악교정부(170)는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7번 하악교정부(170)는 사용자 치아의 형상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7번 하악교정부(170)는 영구치가 생성될 때, 해당하는 영구치가 올바르게 맹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정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는 제1 상악가이드부재(61)와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I)을 기준으로 제1 상악가이드부재(61)와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I)을 기준으로 제2 상악가이드부재(71)와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상의 일직선은 가상선(I)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상악가이드부재(61)와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상악가이드부재(71)와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른 효과는 후술할 도면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사용하지 않은 치아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의 치아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의 치아가 어떤 원리에 의해 맹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사용하지 않은 치아 배열은 윗니(U)와 아랫니(L) 사이에 공간(E)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구치아 맹출유도기를 착용한 상태의 치아 배열은 윗니(U)의 서습(S)과 아랫니(L)의 포사(P)가 서로 엇갈리게 맹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윗니(U)의 서습(S)과 아랫니(L)의 포사(P)가 서로 올바르게 맹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윗니(U)는 치아 외측으로 맹출되고, 아랫니(L)는 치아 내측으로 맹출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치아 내측은 혀가 위치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3~5 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료용 실리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배합량은 3~5 중량부가 좋다. 그래파이트 옥사이드의 배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옥사이드의 배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의료용 실리콘과의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의 재질은 TPR(Thermoplastic Rubb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3~5 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TPR(Thermoplastic Rubb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배합량은 3~5 중량부가 좋다. 그래파이트 옥사이드의 배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영구치아 맹출유도기(1)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옥사이드의 배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TPR(Thermoplastic Rubber)과의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 전치부(11), 구치부(12), 상부외측부(20), 상부내측부(30), 하부외측부(40), 하부내측부(50), 제6번 상악교정부(60),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7번 상악교정부(70),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6번 하악교정부(160),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제7번 하악교정부(170)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의료용 실리콘 100 중량부 또는 TPR(Thermoplastic Rubb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그래파이트 옥사이드(GRAPHITE OXIDE) 3~5 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는 의료용 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료용 티타늄으로 ASTM F167, ASTM F136(Ti-6Al-4V ELI TAV ELI), ASTM F1108(Cast Ti-6Al-4V TAV Castings), ASTM F1295(Ti-6Al-7Nb TAN), F1341, F1472(Ti-6Al-4V TAV bar) 및 Ti-6Al-4V ELI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티타늄100 중량부에 대하여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 1~3 중량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의료용 티타늄100 중량부에 대하여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 배합량은 1~3 중량부가 좋다.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의 배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제1 상악가이드부재(61), 제2 상악가이드부재(71), 제1 하악가이드부재(161) 및 제2 하악가이드부재(171)의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MWCNT(MULTI WALL CARBON NANO TUBE)의 배합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의료용 티타늄과의 혼합성이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치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10 : 본체부
11 : 전치부
12 : 구치부
20 : 상부외측부
30 : 상부내측부
40 : 하부외측부
50 : 하부내측부
60 : 제6번 상악교정부
61 : 제1 상악가이드부재
70 : 제7번 상악교정부
71 : 제2 상악가이드부재
160 : 제6번 하악교정부
161 : 제1 하악가이드부재
170 : 제7번 하악교정부
171 : 제2 하악가이드부재
I : 가상선
U : 윗니
S : 서습
L : 아랫니
P : 포사
E : 공간

Claims (6)

  1. 구강 내에 삽입되어 상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윗니와 하악의 유치에 해당하는 아랫니 사이에 물리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윗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외측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윗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내측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 각각의 치아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외측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 각각의 치아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부면에 상기 윗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상악교정부;
    상부면에 상기 윗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상악교정부;
    하부면에 상기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6번 하악교정부; 및
    하부면에 상기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안착되는 제7번 하악교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번 상악교정부는,
    상기 윗니의 첫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1 상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번 하악교정부는,
    상기 아랫니의 첫째큰어금니의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1 하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악가이드부재와 제1 하악가이드부재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7번 상악교정부는,
    상기 윗니의 둘째큰어금니의 서습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상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번 하악교정부는,
    상기 아랫니의 둘째큰어금니가 포사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제2 하악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윗니의 서습과 아랫니의 포사가 서로 엇갈리게 교정되도록 가상의 일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상악가이드부재와 제2 하악가이드부재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치아 맹출유도기의 재질은 의료용 실리콘 또는 TPR(Thermoplastic Rubber)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KR1020160080181A 2016-06-27 2016-06-27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KR20180001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81A KR20180001267A (ko) 2016-06-27 2016-06-27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181A KR20180001267A (ko) 2016-06-27 2016-06-27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67A true KR20180001267A (ko) 2018-01-04

Family

ID=6099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181A KR20180001267A (ko) 2016-06-27 2016-06-27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2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802B1 (ko) 2018-10-05 2020-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소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 회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802B1 (ko) 2018-10-05 2020-01-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소 매복된 영구치의 맹출 회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KR102162586B1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Quinn Extraction of four second molars
Prakash et al. Anterior crossbite correction in early mixed dentition period using catlan's appliance: a case report
US115174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Yaseen et al. Hexa helix: modified quad helix appliance to correct anterior and posterior crossbites in mixed dentition
CN210095946U (zh) 多功能隐形矫治器
CN105310787A (zh) 固定式不对称牙合垫联合铸造冠解除锁牙合装置
Zawawi Orthodontic treatment of a mandibular incisor extraction case with invisalign
CN106344185B (zh) 辅助下颌前伸及内收上前牙的矫正装置
CN105310788A (zh) 一种剌激下颌前导、抑制上颌生长的矫形装置
CN108294837B (zh) 一种矫治开牙合畸形的矫治器、制备方法及其应用
İlisulu et al. Early interceptive orthodontic treatments: case series
Achmad et al. Increased overjet in growing child, problem solving in pediatric dentistry
de Araújo Gurgel et al.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using a lever arm and mini-implant.
KR20180001267A (ko) 영구치아 맹출유도기
RU152244U1 (ru) Ап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глубокого прикуса
Singh et al. Habit Breaking Appliance For Tongue Thrusting-A Modification.
CN219461460U (zh) 颌间关系调整矫治器
Paul et al. GREARTA: A posterior bite plane
Shekarian et al. Treatment of a horizontally impacted permanent incisor in a 9-year-old girl: A Case Report
Prakash et al. Slow expansion in cleft patient with quad-helix
Irmawati et al. The role of Function Generating Bite (FGB) devices on changes of chewing patterns and muscle activity in deep bite malocclusion
JP2023033212A (ja) 上顎拡大および下顎後方移動に用いる歯列矯正装置
Schupak et al. Esthetics and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