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158B1 -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 Google Patents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158B1
KR101466158B1 KR20140134759A KR20140134759A KR101466158B1 KR 101466158 B1 KR101466158 B1 KR 101466158B1 KR 20140134759 A KR20140134759 A KR 20140134759A KR 20140134759 A KR20140134759 A KR 20140134759A KR 101466158 B1 KR101466158 B1 KR 101466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maxillary
pai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락
백승진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정성락
백승진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락, 백승진, 김인수 filed Critical 정성락
Priority to KR2014013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분할체가 상악골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구개면에 위치되어 양쪽 상악 치열궁을 폭교정 하게 되는 구개면 확장부(100a):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단이 상기 구개면 확장부에 고정되는 서포트 와이어(200a)(200b); 각각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300);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400);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520)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레일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540)로 이루어진 구치 견인유닛(500);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와 상기 구치 견인유닛의 연결 와이어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에 각각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고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악골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치열궁의 폭을 빠르고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고 또한 밴드 고정된 구치를 중심으로 상악 구치 치열을 전후방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3-Dimensional Corrector for maxillary dentition}
본 발명은 상악구치부의 치아 이동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악골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람 얼굴을 정면으로 하였을때 상악 치열궁 폭(Maxillary arch expansion)을 확장할 수 있으며 더불어 치열의 전후방 간격(상악 구치부의 근심 및 원심 이동: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nd mesialization)이 조절 및 상악 구치부 치아의 수직적 조절(구치부 압하: Maxillary molar intrusion)을 함께 도모하며 좌우 독립적으로 치아 이동량을 달리 할 수 있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이라함은 치열을 바르게 하는 교정하는 것으로 아랫턱과 윗턱의 골격적 부조화로 인한 교합이상, 하악 악궁에 비해 상악이 협착되어 있는 상태, 얼굴의 비심미적 현상(돌출 등), 및 구치부 정출로 인한 수직 고정이 증가된 안모 등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을 치아 이동으로 치료하는 치과의 한 분야이다.
통상, 사람의 악골은 상악골(윗턱)과 하악골(아랫턱)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기 상악골 및 하악골과 연결된 상부 치아 및 하부 치아가 형성되고, 턱관절 운동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치아가 서로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부정교합 환자의 경우 상악골을 살펴볼 때, 상악골이 하악골 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입 돌출을 나타내거나 상악 악궁이 하악 악궁에 비해 좁은 경우 및 상악 어금니(구치부 치아)의 정출(하방으로 떨어진 경우)로 인한 개방 교합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상악 악궁이 좁은 경우 상악 확장기(Maxillary arch expander)를 사용하여 상악 확장을 시도하며 돌출된 상악 치열의 경우 상악 어금니(구치부)를 후방으로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상악 구치부의 정출로 인한 전방부 치아의 개방 교합이 있는 경우 상악 구치부 치아를 압하(intrusion)를 시행해야 된다.
이러한 환자의 경우 각각의 장치물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1111976호외 다수 건이 제시된 바 있지만 상기한 경우에도 장치물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1976호 공고일 2012. 02. 14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114107호 공개일 2007. 11. 29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8966호 공고일 2009. 09. 25 [문헌 4]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57198호 공고일 2011. 12. 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상악궁의 경우 입천정(구개면) 중앙을 양쪽 옆으로 넓혀주는 상악궁 확장을 도모하면서 상악 구치부 치아들을 전후방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돌출된 치아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악 어금니(구치)의 정출로 인한 전치부 개방교합의 경우 상악 어금니(구치)를 압하함으로써 전치부 개방 교합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면의 수직고경(vertical dimension)을 감소시켜 심미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구치를 중심으로 교정시 횡적(Transverse dimension), 전후방적(Anterioposterior), 수직적(vertical dimension)으로 상악 구치부(어금니)를 하나의 장치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분할체가 상악골을 중심으로 양쪽 구개면에 위치되는 구개면 확장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단이 상기 구개면 확장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서포트 와이어; 각각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레일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로 이루어진 구치 견인유닛;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 중 선택된 하나와 상기 구치 견인유닛의 연결 와이어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에 걸림되어 해당 방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고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개면 확장부는, 상기 분할체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상악골의 폭을 넓혀 양측 상악골을 밀어내는 푸싱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분할체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며 둘레를 따라 회전용 공구 삽입홈이 형성된 중심 회전구와, 상기 중심 회전구의 좌우 양쪽에 대칭되게 위치되고 각각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체에 나사결합되는 제1및 제2회전체, 상기 중심 회전구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체의 대응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체는 구개면에 밀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패드로 피복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 또는 연결 와이어의 양측에 이웃한 구치를 상면에서 누름 및 걸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치 누름 와이어와 구치 걸림 와이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튜브에 상기 와이어 레일과 직교되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 안내홀이 형성되는 수직튜브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 안내홀에 상기 연결 와이어의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튜브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외측에 고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리에 탄성고무의 양단이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레일이 상하 한 쌍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 튜브에 수평 방향의 상하 수평 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레일이 상기 상하 수평 안내홀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튜브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개면 고정부에 설치된 견인 유닛 및 푸싱 유닛을 통해 좁은 상악궁의 경우 입천정(구개면) 중앙을 양쪽 옆으로 넓혀주는 상악궁 확장을 도모함과 아울러 상악 구치부 치아들을 전후방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동시에 돌출된 치아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악 어금니(구치)의 정출로 인한 전치부 개방교합의 경우 상악 어금니(구치)를 압하함으로써 전치부 개방 교합을 개선함과 동시에 안면의 수직고경(vertical dimension)을 감소시켜 간편한 설치를 통해 심미감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치를 중심으로 교정시 횡적(Transverse dimension), 전후방적(Anterioposterior), 수직적(vertical dimension)으로 상악 구치부(어금니)를 하나의 장치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의 상악 저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다른 예로서 구치 전방 이동 상태를 도시한 상악 저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의 제2실시예로 횡적 측면, 전후방적 측면, 수직적 측면에서 적어도 2-3의 조건이 조합되면서 교정 가능함을 도시한 상악 저면 구성도,
도 6은 도 5에서 폭 확장을 위해 분할체를 밀어내는 푸싱유닛을 도시한 것으로 작동전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푸싱유닛이 동작되어 치열궁이 양쪽으로 벌어진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푸싱유닛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도 9에서 구치 견인유닛을 통한 구치 후방 이동 작동상태도,
도 11은 도 9에서 구치 견인유닛을 통한 구치 전방 이동 작동상태도,
도 12는 도 9에서 구치 견인유닛을 통한 구치 수직 이동 및 와이어레일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은 상악골 구개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 치열궁 중 선택된 구치의 원심 이동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몸체의 일면이 상악골 중심 구개면에 위치되는 구개면 고정부(100)와, 중간부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지지되는 서포트 와이어(support wire:200)와, 상기 몸체로부터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며 끝단부가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wire rail:300)과, 양쪽 구치 중 어느 하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band:400)와, 상기 밴드(400)에 연결되며 슬라이딩 튜브(sliding tube)를 통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구치 견인유닛(500)과, 탄성력을 통해 상기 구치 견인유닛(500)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견인 탄성고무(600)(610)를 포함한다.
상기 구개면 고정부(100)는, 레진 또는 아크릴 소재로 패드 형태를 취하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가 상악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110)를 통해 상악골 중심에 고정된다.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는, 좌우 한 쌍으로 일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구개면 고정부(100)를 이루는 몸체에 고정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는 호 형상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중간 융기부가 상기 몸체의 표면에 누름 형태로 지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레일(300)은, 상기 상악골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위치되며 각각 치열궁을 따라 위치된다. 그리고 일단이 각각 절곡되며 절곡된 일단이 각각 상기 구개면 고정부(100)을 이루는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며 끝단부가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의 끝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따라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의 일측 단부는 각각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의 타측 단부는 각각 상기 몸체의 양쪽에 지지 고정된다.
상기 밴드(400)는,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된다.
상기 구치 견인유닛(500)은,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4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520) 및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 레일(300)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 튜브(54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는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안내홀(542)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542)에 상기 와이어 레일(300)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탄성고무(600)(610)는, 상기 밴드(400)를 선택된 방향으로 견인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고무(600)는,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는 고리(320)와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522)에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고무(610)은,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고리(320a)와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522)에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탄성고무(600)(610)의 선택된 하나의 복원력을 통해 슬라이드 튜브(540)를 당기게 되고 이때 슬라이드 튜브(540)가 밴드(400) 고정된 구치를 해당 탄성고무(600)(610)의 복원력 방향으로 당기는 형태 즉, 원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은 구개면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악골 양쪽 구치의 원심 이동 교정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구개면을 중심으로 한 상악골 양쪽 구치의 폭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의 도시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분할체가 상악골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구개면에 위치되어 양쪽 상악 치열궁을 폭교정 하게 되는 구개면 확장부(100a)와,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와이어(200a)(200b)와, 좌우 한 쌍으로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며 단부가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양쪽 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와이어 레일(300)과,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400)와, 일단이 연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밴드(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슬라이드 튜브(540)를 통해 상기 와이어 레일(3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치 견인유닛(500)과,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튜브(540)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탄성고무(600)(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개면 확장부(100a)는, 상악골의 구개면 중심에 위치되어 상악 치열궁을 폭교정 하게 되는 것이며, 몸체가 상악골 중심을 기준으로 분할되어 구개면에 좌우 한 쌍으로 위치되어 각각 고정나사(102)를 통해 상악골에 고정되는 분할체(110a)(120a)와, 상기 분할체(110a)(120a)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상악골의 폭을 넓혀 양측 상악골을 밀어내는 푸싱유닛(8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싱유닛(800)은, 상기 분할체(110a)(120a)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며 둘레를 따라 회전용 공구 삽입홈(812)이 형성된 중심 회전구(810)와, 상기 중심 회전구(810)의 좌우 양쪽에 대칭되게 위치되고 각각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체(110a)(120a)에 나사결합되는 제1및 제2회전체(820)(830), 상기 중심 회전구(810)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체(110a)(120a)의 대응면에 형성된 가이드홈(842)(85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840)(850)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공구를 공구 삽입홈(812)에 끼워서 고정한 후 회전시키게 되면 양쪽 제1 및 제2회전체(820)(8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820)(830)에 형성된 나사산의 각도에 의해 상기 분할체(110a)(120a)가 각각 벌어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840)(850)가 상기 가이드홈(842)(852)의 안내로 슬라이드 되면서 비틀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할체(110a)(120a)는, 레진 또는 아크릴 소재의 패드로 이루어져 상기 구개면에 밀착되어 고정나사(102)를 통해 상악골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a)(200b)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분할체(110a)(120a)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될 한 쌍의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 레일(300)은, 상기 상악골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쪽에 위치되며 각각 치열궁을 따라 위치된다. 그리고 일단이 각각 절곡되며 절곡된 일단이 각각 상기 분할체(110a)(120a)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며 끝단부가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a)(200b)의 끝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따라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a)(200b)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서포트 와이어(200a)(200b)의 단부가 상기 분할체(110a)(120a)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밴드(4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링 형태로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된다.
상기 구치 견인유닛(500)은,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4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520) 및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 레일(300)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5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고무(600)는, 복원력이 있는 탄성소재로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320)와 상기 구치 견인유닛(500)의 연결 와이어(520)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522)에 각각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밴드(400)를 중심으로 한 양측에 이웃한 양쪽 구치를 상면에서 누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치 누름 와이어(524) 및 구치 걸림 와이어(525)가 구비된다.
상기 구치 누름 와이어(524) 및 구치 걸림 와이어(525)는 상기 밴드(400) 또는 상기 연결 와이어(52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에 상기 와이어 레일(300)과 직교되는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수직 안내홀(544)이 형성된 수직튜브(540a)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 안내홀(544)에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수직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 튜브(540a)와 상기 연결 와이어(520)의 외측에 고리(320c)(320d)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리(320c)(320d)에 탄성고무(620)의 양단이 걸림되어 상기 구치를 탄성 복원력을 통해 당기게 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라 구개면 확장부(100a)와 구치 견인유닛(500)의 조립 및 적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300)에 각각 슬라이딩 튜브(540)를 조립하여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가 수평으로 슬라이드 될 있도록 한다. 그런다음 구개면 확장부(100a)를 이루며 중심 위치에 푸싱유닛(800)이 설치된 분할체(110a)(120a)와 각각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서포트 와이어(200a)(200b)가 각각 상기 와이어 레일(300)의 후단과 상기 분할체(110a)(120a)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설치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개면 확장부(100a)를 이루는 상기 분할체(110a)(120a)를 상악골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양쪽에 고정나사(102)로 고정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밴드(400)를 선택된 구치에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밴드(400)와 일체를 이루며 구치 견인유닛(500)에 포함되는 연결 와이어(520)의 수직단이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의 수직튜브(540a)에 형성된 수직 안내홀(544)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면 된다.
사용시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푸싱유닛(800)을 이루는 중심 회전구(810)의 공구 삽입홈(812)에 공구를 삽입시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중심 회전구(810)를 중심으로 한 양쪽 제1 및 제2회전체(820)(830)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나사산의 반대방향 성형에 따라 상기 분할체(110a)(120a)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가이더(840)(850)가 가이드홈(842)(852)을 슬라이드 되어져 비틀림 현상 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와이어 레일(300)이 각각 상하 한 쌍의 와이어 레일(300)(300a)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에 상하 수평 안내홀(542)(542a)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레일(300)(300a)이 상기 상하 안내홀(542)(542a)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튜브(540)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푸싱유닛(800)과 구치 견인유닛(500)을 통해 환자의 치열 치악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탄성고무(600)의 양단을 고리(320)와 연결 와이어(520)의 고리홈(522)에 걸림시키게 되면 상악골을 중심으로 구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도 11에서와 같이 탄성고무(610)를 고리(320a)와 연결 와이어(520)의 고리홈(522)에 걸림시키게 되면 상악골을 중심으로 구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동시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고무(620)를 고리(320a)와 고리(320d)에 걸림시키게 되면 구치를 상악골 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100a: 구개면 확장부 102: 고정나사
110a,120a: 분할체
200,200a,200b: 서포트 와이어
300: 와이어 레일
320,320a,320b,320c,320d: 고리
400: 밴드
500: 구치 견인유닛
520: 연결 와이어 522: 고리홈
540: 슬라이드 튜브
600,610.620: 탄성고무
800: 푸싱유닛

Claims (11)

  1. 몸체가 상악골 중심 구개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구개면 고정부;
    각각 일단이 상기 몸체의 후방에 지지 고정되는 한 쌍의 서포트 와이어;
    각각 절곡된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며 끝단부가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레일;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
    절곡된 일단이 각각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 레일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로 이루어진 구치 견인유닛;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의 후방단에 구비되는 고리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에 걸림되어 탄성복원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는 후방 탄성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치아 이동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레일의 전방단에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측에 형성된 고리홈에 양단이 걸림되어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전방 탄성고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치아 이동 구조물.
  3. 좌우 한 쌍의 분할체가 상악골을 중심으로 양쪽 구개면에 위치되는 구개면 확장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일단이 상기 구개면 확장부의 후방에 고정되는 서포트 와이어;
    각각 일단이 상기 분할체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양쪽 치열궁을 따라 위치되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와이어 레일;
    양쪽 치열궁 중 각각 어느 하나의 구치를 감싸며 고정되는 밴드;
    절곡된 일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레일을 감싸며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슬라이딩 튜브로 이루어진 구치 견인유닛;
    양단이 상기 와이어 레일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 중 선택된 하나와 상기 구치 견인유닛의 연결 와이어 일측에 절곡 형성된 고리홈에 걸림되어 해당 방향으로 당김력을 제공하는 탄성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개면 확장부는,
    상기 양쪽 분할체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상악골의 폭을 넓혀 양측 상악골을 밀어내는 푸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분할체와 분할체의 대응면 중심에 위치되며 둘레를 따라 회전용 공구 삽입홈이 형성된 중심 회전구와, 상기 중심 회전구의 좌우 양쪽에 대칭되게 위치되고 각각 나사산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체에 나사결합되는 제1및 제2회전체, 상기 중심 회전구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분할체의 대응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체는 구개면에 밀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패드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또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일측에 이웃한 전방 구치를 상면에서 누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치 누름 와이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또는 상기 연결 와이어의 타측에 이웃한 후방 구치에 걸림된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구치를 누를 수 있도록 구치 걸림 와이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튜브에 상기 와이어 레일과 직교되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 안내홀이 형성되는 수직튜브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 안내홀에 상기 연결 와이어의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튜브와 상기 연결 와이어의 외측에 고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리에 탄성고무의 양단이 걸림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11.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레일이 상하 한 쌍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딩 튜브에 수평 방향의 상하 수평 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레일이 상기 상하 수평 안내홀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튜브의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20140134759A 2014-10-07 2014-10-07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10146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759A KR101466158B1 (ko) 2014-10-07 2014-10-07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759A KR101466158B1 (ko) 2014-10-07 2014-10-07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158B1 true KR101466158B1 (ko) 2014-12-01

Family

ID=5267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4759A KR101466158B1 (ko) 2014-10-07 2014-10-07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15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904A1 (en) * 2015-04-02 2016-10-06 Isman Nurettin Eren A novel dental mask system for upper jaw treatment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7-04-13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KR101954017B1 (ko) * 2018-04-20 2019-05-22 임재일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102076634B1 (ko) * 2019-04-05 2020-02-12 (주)오스테오닉 악궁 확장 장치
TWI728744B (zh) * 2020-03-13 2021-05-21 台灣創新生醫股份有限公司 多功齒顎矯正器之調整構造
KR20230032529A (ko) * 2021-08-31 2023-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확장 장치
US11596500B2 (en) * 2019-01-07 2023-03-07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US20230091022A1 (en) * 2020-02-06 2023-03-23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WO2024035071A1 (ko) * 2022-08-09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KR20240021025A (ko) 2022-08-09 2024-02-16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987A (ko) * 2003-04-02 2004-10-08 임갑선 치열교정부재
JP2011045530A (ja) 2009-08-27 2011-03-10 Kiyohiko Yanagisawa 歯科用顎位矯正装置
KR20110126318A (ko) * 2010-05-17 2011-11-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987A (ko) * 2003-04-02 2004-10-08 임갑선 치열교정부재
JP2011045530A (ja) 2009-08-27 2011-03-10 Kiyohiko Yanagisawa 歯科用顎位矯正装置
KR20110126318A (ko) * 2010-05-17 2011-11-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904A1 (en) * 2015-04-02 2016-10-06 Isman Nurettin Eren A novel dental mask system for upper jaw treatment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7-04-13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WO2018117582A1 (ko) * 2016-12-21 2018-06-28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KR101954017B1 (ko) * 2018-04-20 2019-05-22 임재일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US11596500B2 (en) * 2019-01-07 2023-03-07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KR102076634B1 (ko) * 2019-04-05 2020-02-12 (주)오스테오닉 악궁 확장 장치
US20230091022A1 (en) * 2020-02-06 2023-03-23 Shuji Yamaguchi Tooth moving device
TWI728744B (zh) * 2020-03-13 2021-05-21 台灣創新生醫股份有限公司 多功齒顎矯正器之調整構造
KR20230032529A (ko) * 2021-08-31 2023-03-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확장 장치
KR102631583B1 (ko) * 2021-08-31 2024-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확장 장치
KR20240016387A (ko) * 2021-08-31 2024-0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확장 장치
KR102659744B1 (ko) * 2021-08-31 2024-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개 확장 장치
WO2024035071A1 (ko) * 2022-08-09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KR20240021025A (ko) 2022-08-09 2024-02-16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158B1 (ko)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CA3047629C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CN107072806B (zh) 用于在正畸治疗中使用的睡眠呼吸暂停症口腔矫治器
US5919042A (en) Mandibular and maxillary arch expander and jaw repositioner
KR101726590B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CA2498137C (en)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20130252195A1 (en) Orthodontic expander system and method
JP2016182337A (ja) 正顎矯正装置と正顎矯正法
US20020172909A1 (en) Mandibular and maxillary arch expander having polygonal or ovoid rod and tube expanding elements
US6361315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herbst therapy and arch development
EP1330205A2 (en) Orthodontic distallizing appliance
JP6942689B2 (ja) 歯列矯正装置
KR101268646B1 (ko) 구개장치
CN110063802B (zh) 下颌前导隐形矫治器
KR101723781B1 (ko)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KR20190080789A (ko)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KR200457198Y1 (ko)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US5697781A (en) Functional regulatin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
CN217828109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套组
US6244862B1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0952423B1 (ko) 자석을 이용한 치아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1655307B1 (ko) 하악 돌출형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상악 교합 장치
CN211381875U (zh) 一种治疗早期反牙合的定制式lr型矫治器
Nanda et al. Nonextraction class II correction
ITFI980054A1 (it) Apparecchio modulare polifunzionale per ortodonzia e ortopedia dento maxillo facci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