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35071A1 -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 Google Patents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35071A1
WO2024035071A1 PCT/KR2023/011669 KR2023011669W WO2024035071A1 WO 2024035071 A1 WO2024035071 A1 WO 2024035071A1 KR 2023011669 W KR2023011669 W KR 2023011669W WO 2024035071 A1 WO2024035071 A1 WO 20240350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palatal
expander
clau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16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남기
최태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9948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21025A/ko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ublication of WO20240350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350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hospital projec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MSRI Project Number: 14-2017-0014, Research Project Title: 'Skeleton and tooth changes (expansion and posterior movement) using a mini-screw supported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its modified device. [Research] was accomplished through suppor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atal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posterior moving means for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and the posterior distal movement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 a posterior moving means for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and the posterior distal movement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 the posterior distal movement of the posterior teeth is possible and the movement is possible.
  • the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oral expansion device by assembling it without soldering or laser welding, and is designed to be connected by easil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latal ceiling that is different for each patient and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root branch according to the palatal slope.
  • Orthodontics refers to correcting the alignment of teeth, including occlusal abnormalities due to skeletal disharmony between the lower and upper jaws, narrowing of the upper jaw compared to the lower jaw arch, non-aesthetic phenomena on the face (such as protrusion), and vertical correction due to eruption of posterior teeth. It is a branch of dentistry that treats malocclusions, such as facial features with increased fixation, by moving teeth.
  • the human jaw bone consists of the maxilla (upper jaw) and the mandible (lower jaw), and upper teeth (maxillary teeth) and lower teeth (mandibular teeth) connected to the maxilla and mandible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nd are used for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 Accordingly, the upper (maxillary) and lower (mandibular) teeth occlude with each other to enable chewing of food.
  • the maxillary molars may indicate crossbite. You can.
  • maxillary arch expander is used to attempt expansion by opening the midpalatal suture of the maxilla.
  • maxillary arch expander In case of protruding maxillary dentition, the entire maxillary dentition, including the maxillary molars (posterior teeth), needs to be moved rearward. There is.
  • an expander is installed to expand the maxilla to the left and right, and after a maintenance period of about 3 to 4 months, during which bone formation occurs at the dilated suture area while the maxilla is expanded, the expander is removed, and the posterior teeth are placed posteriorly.
  • a distalizer a moving means for centrifugal movement, is installed to move the posterior teeth centrifugally backward.
  •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whose maxilla/maxillary arch is narrow and protruding or whose posterior teeth have moved forward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ceive treatment for a long time during the expansion period, maintenance period, and posterior tooth movement period, and inconvenience due to device replacement.
  • the medical staff must perform posterior tooth movement treatment in stages after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periods,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time-consuming and manpower-consuming for the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a palate equipped with a posterior movement means for the posterior teeth configured to move the posterior teeth centrifugally backward during the period of expanding and maintaining the maxilla using a palatal expansion devic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xpansion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late expansion device configured so that the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osterior teeth backward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osterior teeth by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root branch of the posterior teeth for each patient.
  • the purpose is to provid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atal expansion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posterior teeth with minimal tilt movement when the posterior teeth are moved backward by the posterior teeth moving means.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xpander that expands the posterior teeth on both sides by pressing them, and a moving means (distalizer) that is mounted on the expander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push the molars backward. It is a technical feature.
  • the expander is provided with arms extending to both posterior teeth, and is expanded by supporting both posterior teeth, and the moving means is mounted on the arm of the expander to extend the length of the arm of the expander. Can move in any direction.
  • the expander includes an expansion part that is located between both posterior teeth and can be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plurality of arms extending from the expansion part to the posterior teeth, and each arm surrounding the premolars and molars. It includes connected bands and an auxiliary wire connecting the premolar band surrounding the premolars and the molar band surrounding the molars.
  • the expansion part includes a pair of split bodies fastened and fixed to the maxilla by a screw, and the pair of split bodies extend whil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 both posterior teeth are located, respectively.
  • each divided body is formed with a front arm connected to the premolar band and a rear arm connected to the molar band.
  • the expansion portion includes a pair of divided bodies located between both posterior teeth, and the pair of divided bodies extends whil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re both posterior teeth are located, respectively,
  • Each divided body is formed with a front arm connected to the premolar band and a rear arm connected to the molar band.
  • the moving means includes a wire, a coil spring surrounding the wire, and a slide tube that is in contact with an end of the coil spring and allows the wire to pass through and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 the tip of the wire is fixed to the front arm, the slide tube is fixed to the molar band, and when the auxiliary wire is cut, the coil spring provides elastic force to centrifugally move the molar band backward.
  • the moving means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contacts the end of the coil spring and fixes it at a certain point along the length of the wire, and adjusts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according to the gap between the stopper and the slide tube. do.
  • a lever arm is formed on the slide tube along the palatal slope, and the lever arm is fixed to the molar band.
  • the wire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section, and a polygonal or circular hollow through which the wire penetrates is formed in the slide tube.
  •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is square or circular, and a square or circular hollow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in the slide tube.
  • the wire has a polygonal or circular cross-section, and a polygonal or circular hollow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in the stopper.
  •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is square, and a square or circular hollow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is formed in the stopper.
  • a head is formed at the tip of the wir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head is formed with a female hole through which the front arm penetrates, and a tab formed perpendicular to the arm hole, and the front arm penetrates the female hole.
  • the bolt is fastened to the tab, the bolt presses the front arm and secures the wire.
  • a tab is formed in the stopper, and the wire can be pressurized and fixed by tightening the bolt fastened to the tab, or the stopper can be moved along the wire by loosening the bolt.
  • an extension wire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tube and the molar band, one end of the extension wire is fixed to the slide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wire is fixed to the molar band.
  • the tip of the wire is fixed to the front arm
  • the slide tube is fixed to the rear arm
  • the coil spring exert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olar band moves centrifugally backward.
  • the cutting point of the rear ar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tween the point where the slide tube is fixed and the point where the split body is connected.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s previously explained, in the past, the maxilla was expanded, and after a maintenance period of 3 to 4 months,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was removed, a new distalizer was installed, and the molars were moved distally backward, but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and the maxilla and move the molars backwards distally during a maintenance period of 3 to 4 months, thus reducing patient discomfort and medical staff manpower.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expander and a moving means, so that the patient can us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talizer which is a moving means, can be moved along the front arm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of the expansion part, and by fixing the distalizer with a bolt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height of the palatal ceiling and the palate are different for each patient.
  • the position of the distalizer can be easily set and fixed with a bol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the destalizer because silver soldering or laser welding is not required as in the past.
  • the distalizer wire had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so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posterior teeth could be displaced to the buccal side as they moved backward.
  • the distalize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d a square cross-sectional structure, so the posterior teeth moved backward. When moving, the molars can be moved backward without displacement along each side of the wir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isting rapid palatal expander (RPE).
  • RPE rapid palatal expander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xisting MARPE (miniscrew assisted RPE).
  •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latal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posterior movement means for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rear moving means for the posterior teeth shown in Figure 3.
  •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means for moving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sterior tooth band.
  •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5 is mounted on the maxilla and posterior teeth.
  •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ar moving means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tooth root branch.
  •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vocal bone is expanded.
  •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erior teeth are moved distally backward while the maxilla is expanded.
  •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5.
  •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opper with a lock.
  •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5.
  • 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maxillary expansion and posterior centrifugal movement of the posterior teeth by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12.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n adjustable rearward moving means for the posterior teeth.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isting rapid palatal expander (RPE)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isting MARPE (miniscrew assisted RPE).
  •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alatal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means for moving the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means for moving the posterior teeth shown in Figure 3
  • Figure 5 is a rear moving means for the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late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means is connected to a posterior tooth band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alate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 5 being mounted on the maxilla and posterior teeth.
  •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ar moving means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palatal roof and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root branch of the posterior teeth according to the palatal slope
  •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axilla is expanded
  •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erior teeth are moved centrifugally in a state in which the maxilla is expanded
  •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5
  •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opper with a lock. .
  • the palate expansion device 100 largely includes an expander for expanding the maxilla and a distalizer 120, which is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osterior teeth centrifugally.
  • RPE 110A
  • MARPE 110B
  • the RPE (110A) is installed in the maxilla, and among the four arms (116FL, 116FR, 116BL, 116BR) extending on both sides, the two front arms (116FL, 116FR) are attached to the premolar band (3S) surrounding the premolar (1S). connected, and with the two rear arms (116BL, 116BR) connected to the molar band (3L) surrounding the molar (1L), when the expansion portion (111) of the RPE (110A) is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osterior teeth on both sides are directed outward. As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are pushed,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expand.
  • MARPE (110B) is in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part 111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maxilla by a mini screw 114, and four arms (116FL, 116FR, 116BL, 116BR) extending from the expansion part 111 on both sides are They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premolar band (3S) surrounding the premolar (1S) and the molar band (3L) surrounding the molar (1L), and as the expansion portion (111) is extended, the posterior teeth on both sides are pushed outward, expanding the maxilla.
  • the difference between the RPE (110A) and the MARPE (110B) configured in this way is that the expansion portion 111 of the RPE (110A) is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ands (3S, 3L) fixed to the premolars (1S) and molars (1L).
  • the expansion portion 111 of MARPE (110B)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expans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one by the mini screw 114. Therefore, in the case of RPE (110A), a reaction of forward movement of the premolars occurs while the posterior teeth move backward, whereas in the case of MARPE (110B), since the expansion part 111 is fixed to the maxilla, there is no reaction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premolars, and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olars occurs. The difference is that it can be moved.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100 can be applied to either the RPE (110A) or MARPE (110B) described above.
  • RPE (110A) and MARPE (110B)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xpander', and the palatal expander 100 is divided into RPE (110A), distalizer (120), or MARPE ( It is divided into 110B) and distalizer (120).
  • the expansion portion 111 of the MARPE (110B) includes a pair of divided main bodies 113L and 113R, and bolt hole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divided main body 113 ( 115), a mini screw 114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15 and fixed to the maxilla, a left front arm 116FL extending to the premolar 1S in the left split body 113L, and a left split body (115)
  • the left posterior arm (116BL) extends to the molar (1L), in the right split body 113R
  • the right anterior arm (116FR) extends to the premolar (1S), and in the right split body 113R
  • the right rear arm (116BR) extending to the right rear arm (116BR)
  • the bands (3S, 3L) that surround both premolars (1S) and both molars (1L)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arms extending from the divided bodies (113L, 113R
  • the divided bodies 113L and 113R of the extension 111 are fixed to the maxilla by the mini screws 114, and the arms extending from the divided bodies 113L and 113R are fixed to the bands 3S and 3L.
  • both maxilla bones receive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expand.
  • the isolator 120 is in contact with the wire 121,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23 surrounding the wire 121, and one end of the coil spring 123, and connects the wire 121.
  • a stopper 125 that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ide tube 127 through which the wire 121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123 and can be moved along the wire 12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 tube 127. It includes a lever arm 129 that is formed and soldered or laser welded to the molar band 3L.
  • the coil spring 123 located between the stopper 125, which can move along the wire 121, and the slide tube, 127, which can move along the wire 121 are pressed (re-pressed), the coil spring 123 contracts. And the contracted coil spring 123 provides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stopper 125 and the slide tube 127.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if the stopper 125 is forcibly fixed to a point on the wire 121 by changing its pos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3 pushes the slide tube 127 rearward and moves it.
  •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121 is polygonal or circular.
  • wire 121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 the stopper 125 and the slide tube 127 which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ire 121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also each have a square hollow, and the square hollow of the stopper 125 and the slide tube 127 is connected to the wire 121. ) is located through.
  • a head 12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distalizer 120, and a female hole 122H through which the front arms 116FR and 116FL penetrate is formed in the head 122, and a tab (122H)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emale hole 122H. 122T) is formed, and a bolt 122B is fastened to the tab 122T.
  • the head 122 which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rms 116FR and 116FL, is It is fixed to one point of the front arms (116FR, 116FL)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122B).
  • the end of the lever arm 129 formed above the slide tube 127 is fixed to the molar band 3L by silver soldering or laser welding.
  • the coil spring 123 surrounding the wire 121 is maintained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wire 121 is preferably extended rearwardly by passing between the rear arms 116BL and 116BR and the maxilla.
  • the height of the wire 121 of the distalizer 120 in order to fix the lever arm 129 to the molar band 3L by silver soldering or laser welding, the height of the wire 121 of the distalizer 120 must be appropriately positioned.
  • the front arms 116FR, 116FL extending on both sides from the divided body 113 of the extension 111 are fixed to the premolar band 3S, so that the palatal roof is located higher than the premolar 1S.
  • the front arms (116FR, 116FL) curve downward toward the left and right, as the head 122 of the distalizer 120 moves along the curved front arms (116FR, 116FL), the wire 121
  • the height (H1, H2) decreases as it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front arms (116FR, 116FL), and on the contrary, as it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front arms (116FR, 116FL), the height increases,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wire 121 to the molar band.
  • the split main bodies 113L and 113R of the expansion portion 111 are extend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to expand the maxilla. do.
  • an auxiliary wire (117) connecting the molar band (3L) and the premolar band (3S) is used to move the molar (1L) posteriorly and distally. Cut the rear arms (116BR, 116BL).
  • the front arms 116FL and 116FR to which the tip of the wire 121 is fixed are divided into the main bodies 113L and 113R. Because it is firmly fixed to the maxillary bone,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3 acts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slide tube 127, and the slide tube 127 is connected to the molar band 3L. The molar (1L) moves backward and centrifugally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3.
  • the stopper 125 is strongly pinched with pliers or a wrench type tool and plastically deformed to be fixed.
  • the stopper (125S) can be fixed to 121).
  • a tab 125T is formed in the stopper 125S through which the wire 121 penetrates, and the bolt 125B is fastened to the tab 125T, thereby tightening the bolt 125B to secure the bolt 125B.
  • the stopper (125S)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raw wire 121.
  • the wire 121 of the isolator 120 preferably has a square cross-section
  • the slide tube 127 also has a square hollow through which the wire 121 can pass.
  • the slide tube 127 is prevented from rotating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wire 121.
  • the slide tube is pushed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and rotates or twists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wire to move backwards.
  • the slide tube 127 is pushed back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3. Even so, it has a square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can be moved backwards to the patient's buccolingual side without displacement, that is, without being distorted.
  • Figure 3 the expander is shown as MARPE (110B), but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xpander is made up of RPE (110A).
  • the RPE (110A) is installed in the maxilla so that the four arms extending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premolar band (3S) and the molar band (3L).
  • the extension part 111 of the RPE (110A) is extended, both sides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terior teeth are pushed outward and the maxilla expands.
  • RPE (110A) or MARPE (110B) after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is completed, the posterior arm (116BR or 116BL) where the distalizer 120 is not installed and the auxiliary wire (117) are removed to move the molars backward. do.
  • the RPE shown in FIG. 10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RPE (110A) is supported by the premolars and molars, so when the molars move backward and centrifugally by the distalizer, there is a reaction of the premolars moving forward.
  • the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out the stopper 125.
  •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palate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5
  • Figure 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maxillary bone expansion and posterior centrifugal movement of the posterior teeth by the palate expansion device shown in Figure 12.
  • the slide tube 127 of the distalizer 120 is explained as being fixed to the molar band 3L via the lever arm 129 silver-soldered to the molar band 3L, but Figures 12 and 13 In this case, the slide tube 127 may be fixed to the rear arms 116BL and 116BR by being soldered.
  •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ase of posterior distal movement of the molar (1L), the rear arms (116BL, 116BR) to which the slide tube (127) is fixed by silver soldering are cut and the auxiliary wire (121) is cut. Cut.
  • the point at which the rear arms (116BL, 116BR) are cut is between the point where the split bodies (113L, 113R) are connected and the point where the slide tube (127) is fixed, and the auxiliary wire (121) is cut, thereby cutting the slide tube (127). ) and the molar band (3L) are still connected and remain separated from the divided bodies (113L, 113R).
  • the molar 1L can be configured to move backward and centrifugal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23 of the distalizer 120.
  • the palatal expansion device equipped with a rearward moving means for the posterior teeth can reduce the patient's discomfort and the medical staff's manp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골의 확장과 상악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을 위한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악골의 확장 이후 3~4개월의 유지 기간 동안에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이 가능하고 이동수단을 구강확장장치에 은땜이나 레이저 용접 없이 조립으로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환자들의 구치부 높이 차이에 따라 쉽게 높이 조정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양측 구치부로 연장된 암을 구비하며 양측 구치부를 가압하여 확장시키는 확장기와, 확장기의 암에 장착되어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구치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본 발명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원내과제 [MSRI 과제번호: 14-2017-0014, 연구과제명 '미니스크류 지지형 구개 확장장치 및 그의 변형된 장치를 이용한 골격 및 치아 변화 (확장과 후방이동)에 대한 연구]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악골의 확장과 상악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을 위한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악골의 확장 이후 3~4개월의 유지 기간 동안에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이 가능하고 이동수단을 구강확장장치에 은땜이나 레이저 용접 없이 조립으로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환자마다 상이한 구개 천정의 높이와 구개 경사면에 따른 치근 분지부 높이 차이에 따라 쉽게 높이 조정하여 연결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8월 9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99480호 및 2023년 7월 24일자로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3-009595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출원 내용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치열 교정이라함은 치열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으로 아래턱과 위턱의 골격적 부조화로 인한 교합이상, 하악 악궁에 비해 상악이 협착되어 있는 상태, 얼굴의 비심미적 현상(돌출 등), 및 구치부 정출로 인한 수직 고정이 증가된 안모 등을 나타내는 부정교합을 치아 이동으로 치료하는 치과의 한 분야이다.
통상, 사람의 악골은 상악골(위턱)과 하악골(아래턱)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악골 및 하악골과 연결된 상부 치아(상악 치아) 및 하부 치아(하악 치아)가 형성되고, 턱관절 운동에 따라 상부(상악) 및 하부(하악) 치아가 서로 교합되면서 음식물을 씹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부정교합 환자의 상악골을 살펴볼 때, 상악골이 하악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입돌출/ 뻐드렁니를 보이는 II급 부정교합을 나타내거나 상악 악궁이 하악 악궁에 비해 좁은 경우 상악 어금니(구치부 치아)가 반대교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상악 악궁이 좁은 경우 확장기(Maxillary arch expander)를 사용하여 상악골의 정중구개봉합을 이개하는 확장을 시도하며, 돌출된 상악 치열의 경우 상악 어금니(구치부)를 포함한 상악 치열 전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확장기를 장착하여 상악골을 좌우측으로 확장하고, 상악골이 확장된 상태에서 이개된 봉합 부위에 골형성이 이루어지는 약 3~4개월의 유지기간이 경과한 후에 확장기를 제거하고, 구치부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인 디스탈라이저(distalizer)를 설치하여 구치부를 후방 원심이동시킨다.
따라서 상악골/상악 악궁이 좁고 돌출되거나 구치부가 전방으로 이동된 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확장기간, 유지기간, 구치부 이동기간의 장시간 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장치 교체에 따른 불편함이 있으며, 의료진은 단계적으로 확장기간과 유지기간 후, 구치부 이동 치료를 하여야 함에 따라 치료에 따른 시간 소요와 인력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개확장장치를 이용하여 상악골을 확장하고 유지하는 기간 중에 구치부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치부를 후방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개확장장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고, 환자별 구치부의 치근 분지부 높이 차이에 따른 이동수단의 높낮이를 쉽게 조정하여 구치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구개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에 의해 구치부가 후방 이동함에 있어 경사 이동을 최소로 하며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구개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양측 구치부를 가압하여 확장시키는 확장기(expander)와, 확장기에 장착되어 구치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수단(distalizer)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기는, 양측 구치부로 연장되는 암들을 구비하며, 양측 구치부에 지지하여 확장시키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확장기의 암에 장착되어 상기 확장기의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기는, 양측 구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좌우측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확장부와, 확장부에서 구치부로 연장된 복수의 암들과, 소구치와 대구치를 감싸며 암이 각각 연결된 밴드들과, 소구치를 감싸는 소구치 밴드와 대구치를 감싸는 대구치 밴드를 연결하는 보조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는, 상악골에 스크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분할 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의 분할 본체는 양측 구치부가 위치하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신장되고, 각 분할 본체에는 소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전방 암과 대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후방 암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는, 양측 구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분할 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의 분할 본체는 양측 구치부가 위치하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신장되고, 각 분할 본체에는 소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전방 암과 대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후방 암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수단은 와이어, 와이어를 감싸는 코일스프링, 코일스프링의 단부에 접하며 와이어가 관통하여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선단은 전방 암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튜브는 대구치 밴드에 고정되며, 보조 와이어의 절단 시 코일스프링은 대구치 밴드를 후방 원심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수단은 코일스프링의 단부와 접하며 와이어의 길이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스토퍼와 슬라이드 튜브 사이의 간격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튜브에는 구개 경사면을 따라 레버 암이 형성되고, 레버 암이 대구치 밴드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혹은 원형이며, 슬라이드 튜브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 혹은 원형 이며, 슬라이드 튜브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사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혹은 원형이며, 스토퍼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스토퍼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사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수단의 와이어 선단에는 헤드가 형성되며, 헤드에는 전방 암이 관통하는 암공과, 암공과 수직하게 형성된 탭이 형성되며, 암공을 전방 암이 관통한 상태에서 탭에 볼트를 체결하면 볼트가 전방 암을 가압하여 와이어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에는 탭이 형성되고, 탭에 체결된 볼트를 조여 와이어를 가압 고정하거나 볼트를 풀어 와이어를 따라 스토퍼가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튜브와 대구치 밴드의 사이에 연장 와이어가 개재되고, 연장 와이어의 일단은 슬라이드 튜브에 고정되며, 연장 와이어의 타단은 대구치 밴드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와이어의 선단은 전방 암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튜브는 후방 암에 고정되며, 보조 와이어와 후방 암의 절단에 의해 코일스프링은 대구치 밴드가 후방 원심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암의 절단 지점은 슬라이드 튜브가 고정된 지점과 분할 본체가 연결된 지점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악골을 확장시키고 3~4개월의 유지기간이 경과한 후에 구개 확장 장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디스탈라이저를 장착하고 대구치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켰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상악골을 확장시키고 3~4개월의 유지기간 동안에 대구치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킬 수 있어 환자의 불편감 및 의료진의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악골 확장 시 그리고 대구치 후방 원심이동 시마다 해당하는 장치를 환자에게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확장기와 이동수단이 함께 구성되어 있어 환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를 한 번 장착함으로써, 상악골 확장 및 대구치의 후방 원심이동까지 치료 진행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확장부의 본체에서 연장된 전방 암을 따라 이동수단인 디스탈라이저가 이동할 수 있으며 적정 위치에서 볼트로 디스탈라이저를 고정함에 따라 환자마다 다른 구개 천정의 높이와 구개 경사면의 각도에 따른 구치부의 치근 분지부 높이차를 고려하여 볼트로 쉽게 디스탈라이저의 위치를 설정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은땜 또는 레이저 용접이 필요치 않아 디스탈라이저의 장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디스탈라이저의 와이어가 원형 단면 구조를 갖고 있어 구치부가 후방 이동하면서 협측으로 변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으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탈라이저의 와이어가 사각 단면 구조를 갖고 있어 구치부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있어 와이어의 각면을 따라 변위없이 대구치부를 후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 RPE(rapid palatal expander)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기존 MARPE (miniscrew assisted RPE)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를 구치 밴드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를 상악골과 구치부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치근 분지부 높이차에 따라 후방 이동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성악골을 확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상악골이 확장된 상태에서 구치부를 후방 원심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락이 달린 스토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에 의한 상악골 확장과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는 조정식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기존 RPE(rapid palatal expander)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기존 MARPE (miniscrew assisted RPE)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나타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를 구치 밴드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를 상악골과 구치부에 장착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구개 천정의 높이와 구개 경사면에 따른 구치부의 치근 분지부 높이차를 고려하여 후방 이동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상악골을 확장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는 상악골이 확장된 상태에서 구치부를 후방 원심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은 락이 달린 스토퍼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100)는 크게 상악골을 확장시키는 확장기와 구치부를 후방 원심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인 디스탈라이저(distalizer)(120)를 포함한다.
확장기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 종류로서 도 1에 도시된 RPE(110A), 그리고 다른 한 종류로서 도 2에 도시된 MARPE(110B)로 구분된다.
RPE(110A)는 상악골에 설치됨에 있어 양측으로 뻗어나온 4개의 암(116FL, 116FR, 116BL, 116BR)들 중에서 2개의 전방 암(116FL, 116FR)이 소구치(1S)를 감싼 소구치 밴드(3S)에 연결되고, 2개의 후방 암(116BL, 116BR)이 대구치(1L)를 감싼 대구치 밴드(3L)에 연결된 상태에서, RPE(110A)의 확장부(111)를 좌우방향으로 신장시키면 양측 구치부가 바깥방향으로 밀리면서 상악 구치부가 확장된다.
MARPE(110B)는 확장부(111)가 상악골에 미니 스크루(114)에 의해 체결 고정된 상태로, 확장부(111)에서 양측으로 뻗어나온 4개의 암(116FL, 116FR, 116BL, 116BR)들이 양측 소구치(1S)를 감싼 소구치 밴드(3S)와 대구치(1L)를 감싼 대구치 밴드(3L)에 각각 연결 고정되며, 확장부(111)가 신장되면서 양측 구치부가 바깥방향으로 밀려 상악골이 확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RPE(110A)와 MARPE(110B)의 차이점은 RPE(110A)의 확장부(111)는 소구치(1S)와 대구치(1L)에 고정된 밴드(3S, 3L)에 연결되어 지지되지만, MARPE(110B)의 확장부(111)는 미니 스크루(114)에 의해 확장력이 골에 전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RPE(110A)의 경우 구치부를 후방이동 하는 동안 소구치부의 전방이동의 반작용이 나타나는 반면, MARPE(110B)의 경우에는 확장부(111)가 상악골에 고정되기 때문에 소구치의 전방이동 반작용 없이 대구치의 후방이동이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RPE(110A) 또는 MARPE(110B)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RPE(110A)와 MARPE(110B)를 통칭하여 '확장기'라 하며, 구개확장장치(100)는 상악골을 확장시키는 확장기의 종류에 따라 RPE(110A)와 디스탈라이저(120) 또는 MARPE(110B)와 디스탈라이저(120)로 구분된다.
아래에서는 MARPE(110B)과 디스탈라이저(120)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RPE(110B)의 확장부(111)는 한 쌍으로 분할된 분할 본체(113L, 113R)와, 각 분할 본체(113)의 전후단에 형성된 볼트공(115)과, 볼트공(115)에 삽입되어 상악골에 박혀 고정되는 미니 스크루(114)와, 좌측 분할 본체(113L)에서는 소구치(1S)로 연장된 좌측 전방 암(116FL)과, 좌측 분할 본체(113L)에서는 대구치(1L)로 연장된 좌측 후방 암(116BL)과, 우측 분할 본체(113R)에서는 소구치(1S)로 연장된 우측 전방 암(116FR)과, 우측 분할 본체(113R)에서는 대구치(1L)로 연장된 우측 후방 암(116BR)과, 양측 소구치(1S)와 양측 대구치(1L)를 각각 감싸며 분할 본체(113L, 113R)에서 연장된 암들에 각각 연결 고정된 밴드(3S, 3L)들과, 소구치 밴드(3S)와 대구치 밴드(3L)를 연결하는 보조 와이어(117)를 포함한다.
확장부(111)의 분할 본체(113L, 113R)가 미니 스크루(114)에 의해 상악골에 고정되고, 분할 본체(113L, 113R)에서 연장된 암들이 밴드(3S, 3L)에 고정됨에 따라 분할 본체(113L, 113R)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양측 상악골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서 확장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탈라이저(120)는 와이어(121)와, 와이어(121)를 감싸는 압축 코일스프링(123)과, 코일스프링(123)의 일단과 접하며 와이어(1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125)와, 코일스프링(123)의 타단과 접하며 와이어(12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와이어(121)가 관통하는 슬라이드 튜브(127) 및 슬라이드 튜브(127)의 상방에 형성되어 대구치 밴드(3L)에 은땜 또는 레이저 용접되는 레버 암(129)을 포함한다.
와이어(1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스토퍼(125)와 와이어(12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튜브(127)로 그들 사이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23)을 가압(재압박)하면 코일스프링(123)은 수축하고, 수축된 코일스프링(123)은 스토퍼(125)와 슬라이드 튜브(127)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도 9에 보이듯이 스토퍼(125)의 위치를 변경하여 와이어(121)의 한 지점에 강제 고정시키면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은 슬라이드 튜브(127)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121)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이다. 특히 다각형 중에서도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와이어 혹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아래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와이어(121)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사각 단면을 갖는 와이어(1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토퍼(125)와 슬라이드 튜브(127) 또한 사각 중공이 각각 형성되고, 스토퍼(125)와 슬라이드 튜브(127)의 사각 중공을 와이어(121)가 관통해 위치한다.
또한 디스탈라이저(120)의 선단에는 헤드(122)가 형성되는데, 헤드(122)에는 전방 암(116FR, 116FL)이 관통하는 암공(122H)이 형성되고, 암공(122H)과 수직하게 탭(122T)이 형성되며, 탭(122T)에는 볼트(122B)가 체결된다.
따라서 암공(122H)에 전방 암(116FR, 116FL)이 관통해 있는 상태에서 탭(122T)에 볼트(122B)를 체결하면, 전방 암(116FR, 116FL)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헤드(122)는 볼트(122B)의 체결력에 의해 전방 암(116FR, 116FL)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튜브(127)의 상방에 형성된 레버 암(129)의 단부는 대구치 밴드(3L)에 은땜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121)를 감싸는 코일스프링(123)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와이어(121)는 후방 암(116BL, 116BR)과 상악골의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레버 암(129)을 대구치 밴드(3L)에 은땜 또는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디스탈라이저(120)의 와이어(121) 높이가 적절하게 위치하여야 하는데, 환자마다 구개 천정의 높이와 구개 경사면, 구치부의 치근 분지부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디스탈라이저(120) 와이어(121)의 높이 조정이 필요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11)의 분할 본체(113)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전방 암(116FR, 116FL)은 소구치 밴드(3S)에 고정됨에 있어 구개 천장이 소구치(1S)보다 높게 위치함에 따라 전방 암(116FR, 116FL)은 좌우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낮아지게 만곡되며, 만곡된 전방 암(116FR, 116FL)을 따라 디스탈라이저(120)의 헤드(122)가 이동함에 있어서 와이어(121)의 높이(H1, H2)는 전방 암(116FR, 116FL)의 바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반대로 전방 암(116FR, 116FL)의 안쪽으로 이동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면서 와이어(121)의 높이를 대구치 밴드(3L) 하방 대구치의 치근 분지부의 적정 높이에 맞출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디스탈라이저(120)가 전방 암(116FR, 116FL)을 따라 이동하면서 환자마다 다른 구개 천정의 높이와 구개 경사면, 구치부의 치근 분지부의 개인차를 보상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100)를 상악골과 구치부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도 8에 보이듯이 확장부(111)의 분할 본체(113L, 113R)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시켜 상악골을 확장한다.
상악골이 확장된 상태에서, 3~4개월 유기기간을 보내게 되는데, 이때 대구치(1L)를 후방 원심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구치 밴드(3L)와 소구치 밴드(3S)를 연결하는 보조 와이어(117)와 후방 암(116BR, 116BL)을 절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와이어(117)와 후방 암(116BR, 116BL)을 절단하게 되면, 와이어(121)의 선단이 고정된 전방 암(116FL, 116FR)은 분할 본체(113L, 113R)를 통해 상악골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은 슬라이드 튜브(127)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슬라이드 튜브(127)는 대구치 밴드(3L)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대구치(1L)가 후방 원심이동하게 된다.
대구치(1L)가 후방 원심이동하게 되면 코일스프링(123)은 신장되면서 탄성력이 약해지게 되는데, 이때 코일스프링(123)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스토퍼(125)의 위치를 변경하고 위치 변경된 지점에서 스토퍼(125)를 와이어(121)에 고정함으로써, 대구치(1L)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25)를 와이어(12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스토퍼(125)를 플라이어 또는 랜치 종류의 공구로 강하게 집어 소성변형시켜 고정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스토퍼(125)를 소성변형시켜 와이어(121)에 고정하는 방식 외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lock) 기능이 구비된 스토퍼(125S)를 이용하여 와이어(121)에 스토퍼(125S)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21)가 관통하는 스토퍼(125S)에는 탭(125T)이 형성되고, 탭(125T)에 볼트(125B)가 체결됨으로써, 볼트(125B)를 조여 볼트(125B)로 와이어(121)를 가압하여 스토퍼(125S)를 고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스토퍼(125)의 경우에는 스토퍼(125)를 소성변형시켜 와이어(121)에 한 번 고정한 후에는 스토퍼(125)의 위치 변경이 어렵지만, 도 11에 도시된 락이 달린 스토퍼(125S)의 경우에는 볼트(125B)를 풀고 스토퍼(125S)의 위치를 변경한 후 볼트(125B)를 조임으로써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3~4개월의 유지기간이 경과한 후에 구개 확장 장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디스탈라이저를 장착하고 대구치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켰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유지기간 중에 대구치(1L)를 후방으로 원심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탈라이저(120)의 와이어(121)는 사각 단면을 가지며 슬라이드 튜브(127) 또한 와이어(121)가 관통할 수 있는 사각 중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디스탈라이저(120)의 와이어(121)와 슬라이드 튜브(127)의 중공이 각각 사각 단면을 갖게 됨에 따라 와이어(1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튜브(127)가 회전하지 않게 차단된다.
종래에는 와이어가 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슬라이드 튜브가 원형 중공을 갖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튜브가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면서 와이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즉 틀어지면서 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튜브가 틀어지면서 후진할 경우 대구치가 교정하고자 하는 정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튜브(127)가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더라도 환자의 협설측으로 변위없이 즉 틀어지지 않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각 단면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로부터 변형 가능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는 확장기가 MARPE(110B)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 10은 확장기를 RPE(110A)로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개확장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RPE(110A)는 상악골에 설치됨에 있어 양측으로 뻗어나온 4개의 암이 소구치 밴드(3S)와 대구치 밴드(3L)에 연결된 상태로 위치하며, RPE(110A)의 확장부(111)를 신장시키면 양측 구치부가 바깥방향으로 밀리면서 상악골이 확장시키는 구조이다.
RPE(110A)나 MARPE(110B)의 경우 상악골의 확장이 완료된 후에는 디스탈라이저(120)가 설치되지 않은 후방암과(116BR 혹은 116BL) 보조 와이어 (117)을 제거하여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도모한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RPE는 소구치와 대구치에 의해 RPE(110A)가 지지됨에 따라 디스탈라이저에 의해 대구치가 후방 원심이동할 때 소구치부가 전방이동하는 반작용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수단에는 스토퍼(125)가 제외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개확장장치에 의한 상악골 확장과 구치부의 후방 원심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디스탈라이저(120)의 슬라이드 튜브(127)가 대구치 밴드(3L)에 은땜된 레버 암(129)을 매개로 대구치 밴드(3L)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12 및 도 13에서는 슬라이드 튜브(127)가 후방 암(116BL, 116BR)에 은땜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악골의 확장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진행되며, 대구치(1L)의 후방 원심이동의 경우 슬라이드 튜브(127)가 은땜 고정된 후방 암(116BL, 116BR)을 절단하고 보조 와이어(121)를 절단한다.
후방 암(116BL, 116BR)을 절단하는 지점은 분할 본체(113L, 113R)가 연결된 지점과 슬라이드 튜브(127)가 고정된 지점의 사이를 절단하고 보조 와이어(121)를 절단함으로써, 슬라이드 튜브(127)와 대구치 밴드(3L)가 여전히 연결된 상태이면서 분할 본체(113L, 113R)와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럼으로써, 디스탈라이저(120)의 코일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대구치(1L)가 후방 원심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에 의하면 환자의 불편감 및 의료진의 인력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8)

  1. 양측 구치부를 가압하여 확장시키는 확장기와,
    확장기에 장착되어 구치를 후방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는, 양측 구치부로 연장되는 암들을 구비하며, 양측 구치부에 지지하여 확장시키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확장기의 암에 장착되어 상기 확장기의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확장기는,
    양측 구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좌우측 방향으로 신장 가능한 확장부와,
    확장부에서 구치부로 연장된 복수의 암들과,
    소구치와 대구치를 감싸며 암이 각각 연결된 밴드들과,
    소구치를 감싸는 소구치 밴드와 대구치를 감싸는 대구치 밴드를 연결하는 보조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확장부는,
    상악골에 스크루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분할 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의 분할 본체는 양측 구치부가 위치하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신장되고, 각 분할 본체에는 소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전방 암과 대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후방 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확장부는,
    양측 구치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분할 본체를 포함하며,
    한 쌍의 분할 본체는 양측 구치부가 위치하는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면서 신장되고, 각 분할 본체에는 소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전방 암과 대구치 밴드에 연결되는 후방 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와이어, 와이어를 감싸는 코일스프링, 코일스프링의 단부에 접하며 와이어가 관통하여 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와이어의 선단은 전방 암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튜브는 대구치 밴드에 고정되며, 보조 와이어의 절단 시 코일스프링은 대구치 밴드를 후방 원심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코일스프링의 단부와 접하며 와이어의 길이 어느 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스토퍼와 슬라이드 튜브 사이의 간격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튜브에는 구개 경사면을 따라 레버 암이 형성되고, 레버 암이 대구치 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혹은 원형이며, 슬라이드 튜브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 혹은 원형 이며, 슬라이드 튜브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사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 혹은 원형이며, 스토퍼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와이어의 단면은 사각형이며, 스토퍼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사각형 혹은 원형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와이어 선단에는 헤드가 형성되며,
    헤드에는 전방 암이 관통하는 암공과, 암공과 수직하게 형성된 탭이 형성되며, 암공을 전방 암이 관통한 상태에서 탭에 볼트를 체결하면 볼트가 전방 암을 가압하여 와이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스토퍼에는 탭이 형성되고, 탭에 체결된 볼트를 조여 와이어를 가압 고정하거나 볼트를 풀어 와이어를 따라 스토퍼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튜브와 대구치 밴드의 사이에 연장 와이어가 개재되고, 연장 와이어의 일단은 슬라이드 튜브에 고정되며, 연장 와이어의 타단은 대구치 밴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와이어의 선단은 전방 암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튜브는 후방 암에 고정되며, 보조 와이어와 후방 암의 절단에 의해 코일스프링은 대구치 밴드가 후방 원심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후방 암의 절단 지점은 슬라이드 튜브가 고정된 지점과 분할 본체가 연결된 지점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개확장장치.
PCT/KR2023/011669 2022-08-09 2023-08-08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WO202403507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480 2022-08-09
KR1020220099480A KR20240021025A (ko) 2022-08-09 2022-08-09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KR10-2023-0095958 2023-07-24
KR20230095958 2023-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5071A1 true WO2024035071A1 (ko) 2024-02-15

Family

ID=8985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1669 WO2024035071A1 (ko) 2022-08-09 2023-08-08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3507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101723781B1 (ko) * 2017-02-14 2017-04-06 이태희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JP2020108668A (ja) * 2019-01-07 2020-07-16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US20210196432A1 (en) * 2019-12-31 2021-07-01 Joseph Yousefian Pharyngorofacial expander appliance and protocol
US20210244504A1 (en) * 2018-10-26 2021-08-12 Robert Kelleher Orthodontic distalization and mesi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101723781B1 (ko) * 2017-02-14 2017-04-06 이태희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US20210244504A1 (en) * 2018-10-26 2021-08-12 Robert Kelleher Orthodontic distalization and mesi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20108668A (ja) * 2019-01-07 2020-07-16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US20210196432A1 (en) * 2019-12-31 2021-07-01 Joseph Yousefian Pharyngorofacial expander appliance and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183A2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US4382783A (en) Intraoral dental appliance to correct retrusive mandibles orthopedically in the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s
US4886451A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dental arch expansion
WO2016060413A1 (ko) 치열 교정장치
US8662889B2 (en) Arch bars for use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s
WO2018117582A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US4741696A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dental arch expansion
US4618324A (en) Centri-lever orthodontic appliance
US6227861B1 (en) Preformed mandibular splint
WO2020111443A1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US5829971A (en) Osteodistraction device for use i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a method of making the device
WO2012070916A2 (ko)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5911574A (en) Jaw fixation and release system for use in orthognathic surgery and in the treatment of fractured jaws
WO2022225341A1 (ko) 상악 전치부 순측 잇몸 두께 확보가 가능한 치과용 앵글형 어버트먼트
US6168430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CN210144771U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WO2024035071A1 (ko)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WO2011118941A2 (ko)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21251640A1 (ko)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EP0791337A1 (en) Device for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WO2011129647A2 (ko) 치과교정기구
US20210267721A1 (en) Orthodontic appliance utilizing unilateral bite block and expansion screw assembly
WO2012067401A2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CN212326619U (zh) 一种用于矫治上颌骨性宽度不调的矫治器
KR20240021025A (ko)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29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