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81B1 -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81B1
KR101723781B1 KR1020170019808A KR20170019808A KR101723781B1 KR 101723781 B1 KR101723781 B1 KR 101723781B1 KR 1020170019808 A KR1020170019808 A KR 1020170019808A KR 20170019808 A KR20170019808 A KR 20170019808A KR 101723781 B1 KR101723781 B1 KR 10172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olar
opening
closing memb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이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희 filed Critical 이태희
Priority to KR102017001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발치 치아교정을 위한 치열확장 및 치열원심이동을 동시적으로 이룩하여 빠른 치열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는 확장시키고자 하는 구치와 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로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구치와 구치 사이의 구강에 배치되어 상기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도록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 복수의 확장편으로 이루어지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상기 구치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구치와 체결되는 복수의 밴드와, 일단이 상기 확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치아체결부와; 상기 구치와 전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부를 치열의 원심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를; 포함함으로써,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치와 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여 발치하지 않고서도 구치와 구치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열의 원심 방향으로도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구치가 치열의 원심측으로도 견인됨으로써 전치와 구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A hybrid orthodontic appliance for non-extraction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치열확장 및 원심이동을 동시에 이룩하기 위한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구치 사이의 거리를 확장시키고 구치를 후방 이동시켜 총생이 있는 전치부위 배열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비발치 치아교정을 위한 치열확장 및 치열원심이동을 동시적으로 이룩하여 빠른 치열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교정용 확장장치는 횡단 방향으로 치열궁(dental arch)의 폭을 넓히기 위해 힘을 제공함으로써 횡단방향의 최대 성장 결핍증(maxillary growth deficiency)의 부정적인 영향을 교정하도록 사용되는 경구내 장치(intraoraldevice)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교정용 확장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는, 한 쌍의 본체(10)와, 본체(10)에 고정된 암(20)과, 한 쌍의 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확장 스크류(30)와, 본체(10)의 간격 조절 시 본체(10)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0)과, 확장 스크류(30)에 형성되며 회전용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확장 스크류(30)가 회전되게 하는 키 홀(50) 및 암(20)과 결합하며 환자의 치아(B)에 고정되는 고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한 쌍의 본체(10)를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키 홀(50)에 별도의 회전용 키를 삽입하여 스크류(30)를 회전구동시키면, 한 쌍의 본체(10) 사이의 확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확장력을 환자의 치아(B) 측으로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치아(B)와 치아(B) 사이의 공간이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악골의 양측유합부위가 벌어지면서 치아가 배열되는 기저골 및 치조골의 너비가 넓어진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경과후에는 스크류(30)를 더욱 회전시켜 한 쌍의 본체(10) 사이의 간격이 더욱 멀어지도록 하면 치아(B)와 치아(B) 사이의 공간이 더욱 확장됨으로써 총생( Teeth crowding)이 있는 전치부가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치열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에 설치되어 어금니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여 앞니와 앞니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할 수는 있으나, 치열의 원심측 방향으로도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어금니가 치열의 원심측으로도 견인됨으로써 앞니와 어금니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는 없으므로 치아를 배열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데는 한계가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24245호,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115721호, "치과교정 확장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치와 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구치 측으로 확장력 및 원심력을 가하여 발치하지 않고서도 구치와 구치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열의 원심측 방향으로도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구치가 치열의 원심측 방향으로도 견인됨으로써 전치와 구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비발치 치아교정을 위한 치열확장 및 치열원심이동을 동시적으로 이룩하여 빠른 치열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위한 치열확장 및 치열원심이동을 동시적으로 이룩하여 빠른 치열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는 확장시키고자 하는 구치와 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로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구치와 구치 사이의 구강에 배치되어 상기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도록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 복수의 확장편으로 이루어지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상기 구치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구치와 체결되는 복수의 밴드와, 일단이 상기 확장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치아체결부와; 상기 구치와 전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부를 치열의 원심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에는 요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요홈에 체결되는 복수의 가변후크와, 상기 확장부를 견인하고자 하는 방향의 구강에 식립되는 미니스크류와, 상기 가변후크의 일측과 상기 미니스크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확장부 측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와이어는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변후크는 일측에 개구면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이 체결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요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재의 일단에는 체결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타단에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판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이 상기 체결구에 체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삽입부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힌지 결합 영역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구의 단부는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체결구의 단부가 초기 삽입되는 원형공과, 상기 원형공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원형공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공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시에 상기 연장공이 상기 체결구의 단부에 걸림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삽입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에 상기 삽입부재의 외면과 접촉되는 구속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은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후크를 원하는 위치의 요홈에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치와 구치 사이에 설치되어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여 발치하지 않고서도 구치와 구치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치열의 원심측 방향으로도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구치가 치열의 원심측 방향으로도 견인됨으로써 전치와 구치 사이의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효율적인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교정용 확장장치가 구강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와이어와 가변후크가 분리된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가변후크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의 (a) 내지 (c)는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와이어에 가변후크를 체결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치아교정용 확장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와이어와 가변후크가 분리된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가변후크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의 (a) 내지 (c)는 도 2의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의 와이어에 가변후크를 체결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는, 확장시키고자 하는 구치(1)와 구치(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치(1)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는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로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구치(1)와 구치(1) 사이의 구강에 배치되어 상기 구치(1)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도록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 복수의 확장편(110, 120)으로 이루어지는 확장부(100)와; 상기 확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상기 구치(1)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구치(1)와 체결되는 복수의 밴드(210)와, 일단이 상기 확장부(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밴드(2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220)로 이루어지는 치아체결부(200)와; 상기 구치(1)와 전치(2)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부(100)를 치열의 원심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확장부(100)는 구강에 배치되는 복수의 확장편(110, 120)과, 복수의 확장편(110, 120)을 상호 연결하며 구치 측으로 확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확장편(110, 12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킬 수 있는 스크류(1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130)의 양측에는 확장편(110, 120)이 이동시에 확장편(110, 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레일(140)에 의하여 확장편(110, 120)은 일직선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치아체결부(200)는 일측이 확장편(110, 12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치아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복수의 확장편(110, 1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면서 발생되는 확장력을 치아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치아체결부(200)는 구치(1)의 외면에 삽입되어 구치(1)와 체결되는 복수의 밴드(210)와, 일단이 확장편(110, 120)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밴드(2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와이어(220)로 이루어진다.
밴드(210)는 구치(1)에 삽입되어 구치(1)와 체결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치(1)의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치(1)의 외면에 삽입되도록 한다.
와이어(220)는 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후술할 가변후크(310)를 와이어(220)에 체결한 후에 가변후크(310)와 미니스크류(320) 사이에 탄성밴드(330)를 체결하여 가변후크(310) 측으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할 경우에 가변후크(310) 측으로 전달되는 장력을 와이어(220) 측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와이어(220)에는 와이어(220)에 체결된 가변후크(310)가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변후크(31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 요홈(22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홈(221)은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어 가변후크(310)를 원하는 위치의 요홈(221)에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는, 가변후크(310)를 치아 쪽에 위치시킬수록 미니스크류(320)와 탄성밴드(330)로 연결할 경우 치아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보다 상방을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견인력이 상방을 향하게 되면 밴드(210)와 연결된 구치(1)가 상방으로 함입되기 때문에 하악치아와 교합되는 지점이 보다 상방으로 옮겨가게 되고 그리하여 하악골이 상방으로 따라 올라가게 된다.
그러므로 얼굴이 긴 환자에서 이러한 치아 이동과 하악골의 반응은 얼굴이 보다 짧아지는 쪽이므로 심미적, 외모적으로 유리하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얼굴이 짧아서 교합고경을 높이고자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가변후크(310)를 치아의 반대편 방향으로 위치시켜서 구치(1)에 정출력이 가해지도록 하면 하악골이 후하방으로 회전되므로 얼굴이 보다 길어지고, 턱 끝이 후방으로 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요홈(221)이 형성되는 깊이는 0.2 mm 내지 0.4 mm 가 되도록 하고, 미니스크류(320)가 배치되는 위치와 반대측 방향의 와이어(220)의 전면에 형성되ㄷ도록 하여 탄성밴드(330)에 의하여 장력이 가변후크(310)에 작용시에 와이어(220)에 체결된 가변후크(310)가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견인부(300)는 치아체결부(200)가 구치(1)에 체결된 상태에서 구강에 설치된 확장부(100) 측으로 견인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치(1)와 전치(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치열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견인부(300)는 요홈(221)에 체결되는 복수의 가변후크(310)와, 확장부(100)를 견인하고자 하는 방향의 구강에 식립되는 미니스크류(320)와, 가변후크(310)의 일측과 미니스크류(320) 사이에 체결되어 확장부(100) 측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밴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변후크(310)는 일측에 개구면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요홈(221)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1)와, 삽입부재(3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탄성밴드(330)의 일측이 체결되는 돌출부재(312)와, 삽입부재(311)가 요홈(2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는 개폐부재(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부재(311)는 일측에 개구면이 형성된 'ㄷ'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개구면을 통하여 와이어(220)의 요홈(221)에 삽입되어 와이어(220)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개구면의 높이는 와이어(2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삽입부재(311)의 폭은 요홈(2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삽입부재(311)를 요홈(221)에 삽입시에 삽입부재(311)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재(311)의 상측 일단에는 체결구(311a)가 돌출 형성되는데, 체결구(311a)의 단부는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폐부재(313)에 형성된 관통공(313a)에 삽입시에 임의로 개폐부재(313)가 체결구(311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돌출부재(312)는 삽입부재(311)의 상면 일측에서 삽입부재(3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탄성밴드(330)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재(313)는 삽입부재(311)의 타단에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판면에는 관통공(313a)이 형성되어 개폐부재(313)의 회전에 의하여 관통공(313a)이 체결구(311a)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가변후크(310)가 와이어(220)에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삽입부재(311)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개폐부재(3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폐부재(313)의 힌지 결합 영역 가이드공(313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공(313d)에 의하여 개폐부재(313)를 회전시켜 체결구(311a)에 관통공(313a)이 삽인된 상태에서 개폐부재(313)를 삽입부재(3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켜 개폐부재(313)의 단부가 체결구(311a)에 억지끼움되어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관통공(313a)은 체결구(311a)의 단부가 초기 삽입되는 원형공(313b)과, 원형공(313b)에서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원형공(313b)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공(313c)으로 구성되어 개폐부재(313)가 가이드공(313d)을 따라 이동시에 연장공(313c)이 체결구(311a)의 단부에 걸림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삽입부재(31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부재(3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313)의 단부에는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에 삽입부재(311)의 외면과 접촉되는 구속부재(313e)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속부재(313e)에 의하여 개폐부재(313)가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90도 내지 100도 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개폐부재(313)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부재(313)는 삽입부재(311)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돌출된 개폐부재(313)의 단부를 그립하여 용이하게 개폐부재(313)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311)를 와이어(220)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삽입부재(311)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와이어(220)의 상면과 하면과 접촉되어 상하부가 지지되고 있으므로 와이어(220)를 완전히 탈거시키지 않고서도 가변후크(310)를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미니스크류(320)는 확장부(100)에 견인력이 제공되는 방향의 구강에 식립되는 부재로서 미니스크류(320)에는 탄성밴드(330)의 타단이 체결되고 탄성밴드(330)의 일단이 가변후크(310)의 돌출부재(312)에 체결됨으로써 와이어(220)에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탄성밴드(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가변후크(310)의 돌출부재(312)에 체결되고 타단이 미니스크류(320)에 체결되어 와이어(220)에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치(1)와 전치(2) 사이에 공간이 확장되도록 하여 전치(2)의 치열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탄성밴드(330)는 명칭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가변후크(310)와 미니스크류(320) 사이에 체결된 상태에서 장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견인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확장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는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치(2)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전치(2)와 전치(2) 사이 및 전치(2)와 구치(1)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도록 해야하므로, 이를 위하여 확장부(100)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밴드(210)를 구치(1)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확장부(100)를 구성하는 확장편(110, 1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스크류(130)를 회전구동시키면, 확장편(110, 120) 사이의 확장력이 구치(1) 측으로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전치(2)와 전치(2) 사이의 공간(A)이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일정 기간이 경과후에는 스크류(130)를 더욱 회전시켜 학장편(110, 120) 사이의 간격이 더욱 멀어지도록 하면 전치(2)와 전치(2) 사이의 공간(A)이 더욱 확장됨으로써 치아가 배열될 수 있는 기저골, 치조골이 넓어지므로 치열이 고르게 배열될 수 있다.
전치(2)와 구치(1)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확장부(100)에 치열의 원심측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가해지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구강의 내부 양측에는 미니스크류(320)를 식립한다.
그리고, 와이어(220)의 요홈(221)에 가변후크(31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가변후크(310)를 요홈(221)에 고정시키는 과정은 우선,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후크(31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요홈(221)을 선택한 후에 요홈(221)의 내부로 가변후크(310)의 삽입부재(311)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재(311)의 전방에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재(313)를 회전시켜 개폐부재(313)의 원통공(313b)이 삽입부재(311)의 체결구(311a)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 후,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13)를 하측으로 눌러 이동시키면 원통공(313b)과 연통되어 있는 연장공(313c)이 체결구(311a)와 억지끼움되어 개폐부재(313)의 회전이 구속되어 개폐부재(313)의 움직임이 고정됨으로써 가변후크(310)가 와이어(220)의 요홈(221)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와이어(220)에 형성된 요홈(221) 중 양측 두 개의 요홈(221)에 각각 가변후크(310)가 고정되면, 가변후크(310)의 돌출부재(312)와 미니스크류(320) 사이에 탄성밴드(330)를 체결하여 확장부(100)에 구강의 내측으로 견인되는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전치(2)와 구치(1) 사이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구치(1)와 전치(2) 사이의 공간(B)이 점진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일정 기간이 경과후에는 장력이 더 큰 탄성밴드(330)를 체결하여 구치(1)와 전치(2) 사이의 공간(B)이 더욱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상에 치아가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치열을 고르게 교정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확장부 110, 120 : 확장편
130 : 스크류 200 : 치아체결부
210 : 밴드 220 : 와이어
221 : 요홈 300 : 견인부
310 : 가변후크 311 : 삽입부재
311a : 체결구 312 : 돌출부재
313 : 개폐부재 313a : 관통공
313b : 원통공 313c : 연장공
313d : 가이드공 313e : 구속부재
320 : 미니스크류 330 : 탄성밴드

Claims (8)

  1.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구치(1)와 구치(1) 사이의 구강에 배치되어 상기 구치(1) 측으로 확장력을 가하도록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는 복수의 확장편(110, 120)으로 이루어지는 확장부(100)와;
    상기 확장력을 가하고자 하는 상기 구치(1)의 외면에 삽입되어 상기 구치(1)와 체결되는 복수의 밴드(210)와, 일단이 상기 확장부(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밴드(2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와이어(220)로 이루어지는 치아체결부(200)와;
    상기 구치(1)와 전치(2)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부(100)를 치열의 원심측으로 견인시키는 견인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220)는 사각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요홈(221)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견인부(300)는 상기 요홈(221)에 체결되는 복수의 가변후크(310)와, 상기 확장부(100)를 견인하고자 하는 방향의 구강에 식립되는 미니스크류(320)와, 상기 가변후크(310)의 일측과 상기 미니스크류(320)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확장부(100) 측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밴드(330)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후크(310)는 일측에 개구면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1)와, 상기 삽입부재(3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밴드(330)의 일측이 체결되는 돌출부재(312)와, 상기 삽입부재(311)가 상기 요홈(2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는 개폐부재(313)를 포함한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11)의 일단에는 체결구(311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313)는 상기 삽입부재(311)의 타단에 상기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판면에는 관통공(313a)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3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313a)이 상기 체결구(311a)에 체결되는 포함한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11)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상기 개폐부재(3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313)의 힌지 결합 영역에는 가이드공(313d)이 형성된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11a)의 단부는 확장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3a)은 상기 체결구(311a)의 단부가 초기 삽입되는 원형공(313b)과, 상기 원형공(313b)에서 상기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원형공(313b)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 연장공(313c)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폐부재(313)가 상기 가이드공(313d)을 따라 이동시에 상기 연장공(313c)이 상기 체결구(311a)의 단부에 걸림되는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311)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상기 개폐부재(3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313)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부재(3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정 각도 회전시에 상기 삽입부재(311)의 외면과 접촉되는 구속부재(313e)가 구비된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21)은 상기 와이어(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후크(310)를 원하는 위치의 요홈(221)에 설치가능하도록 한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KR1020170019808A 2017-02-14 2017-02-14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KR10172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08A KR101723781B1 (ko) 2017-02-14 2017-02-14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08A KR101723781B1 (ko) 2017-02-14 2017-02-14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781B1 true KR101723781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08A KR101723781B1 (ko) 2017-02-14 2017-02-14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7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8954A (zh) * 2017-09-15 2017-12-2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牵张成骨装置
KR102001034B1 (ko) * 2018-02-21 2019-07-17 (주)오스테오닉 풀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악궁 확장 장치
KR102087256B1 (ko)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KR20200046360A (ko) 2018-10-24 2020-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
KR102341063B1 (ko) * 2021-07-13 2021-12-20 이상순 맞춤형 어금니 이동 교정장치
WO2024035071A1 (ko) * 2022-08-09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532A (ja) * 2003-02-06 2004-09-24 Mitsuo Okano 高生着性再生角膜上皮細胞シート、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方法
US7074036B1 (en) * 2005-05-16 2006-07-11 Ahmet Ozlem Keles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methods
KR20140140684A (ko) * 2013-05-29 2014-12-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150024245A (ko)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KR20150115721A (ko) 2013-02-09 2015-10-14 레오네 에스.피.에이. 치과교정 확장기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532A (ja) * 2003-02-06 2004-09-24 Mitsuo Okano 高生着性再生角膜上皮細胞シート、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方法
US7074036B1 (en) * 2005-05-16 2006-07-11 Ahmet Ozlem Keles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methods
KR20150115721A (ko) 2013-02-09 2015-10-14 레오네 에스.피.에이. 치과교정 확장기
KR20140140684A (ko) * 2013-05-29 2014-12-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
KR20150024245A (ko) 2013-08-26 2015-03-06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미니 스크류를 이용한 악궁 확장 장치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8954A (zh) * 2017-09-15 2017-12-2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牵张成骨装置
CN107518954B (zh) * 2017-09-15 2023-03-24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牵张成骨装置
KR102001034B1 (ko) * 2018-02-21 2019-07-17 (주)오스테오닉 풀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악궁 확장 장치
KR20200046360A (ko) 2018-10-24 2020-05-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기구
KR102087256B1 (ko) 2019-10-10 2020-03-10 임영일 설치가 용이한 치아교정 장치
KR102341063B1 (ko) * 2021-07-13 2021-12-20 이상순 맞춤형 어금니 이동 교정장치
WO2024035071A1 (ko) * 2022-08-09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구치부 후방 이동수단을 겸비한 구개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781B1 (ko) 빠른 비발치 치아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치아교정장치
US5645420A (en) Multi-racial preformed orthodontic treatment applicance
US5002485A (en) Orthopedic appliance
US5203695A (en)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EP3586791B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Ngan et al.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n the primary dentition
RU24677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KR101466158B1 (ko)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TWI679006B (zh) 牙齒矯正空間關閉裝置
KR20170105429A (ko)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JP6942689B2 (ja) 歯列矯正装置
KR20050004256A (ko) 부착가능한 상하 절반부를 갖는 치과기구, 및 부정교합치료용 시스템 및 방법
JPH021257A (ja) 歯列押し拡げおよび頬保護用の矯正器具
JP6649999B2 (ja) 歯列矯正装置
US20200085538A1 (en) Maxillary teeth orthodontic device
KR100641402B1 (ko) 골격에 직접 고정하여 상악골을 측방 확대하는 장치
KR200457198Y1 (ko)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EP0322527A1 (en) Muscular expansion bumper for orthodontic purposes
US20220226075A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expansion of dentition
JP2014113241A (ja) リップバンパー
Nanda et al. Nonextraction class II correction
KR102649595B1 (ko) 상악골 확장 기능을 포함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KR200211697Y1 (ko) 치열교정용 고정판
KR0178104B1 (ko) 치과 교정용 악 정형장치
CN209751253U (zh) 一种配合唇挡的下颌扩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