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1640A1 -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 Google Patents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1640A1
WO2021251640A1 PCT/KR2021/006177 KR2021006177W WO2021251640A1 WO 2021251640 A1 WO2021251640 A1 WO 2021251640A1 KR 2021006177 W KR2021006177 W KR 2021006177W WO 2021251640 A1 WO2021251640 A1 WO 20212516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jig
teeth
bracket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61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ublication of WO20212516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16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wir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brackets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each coupled by a bridge and orthodontic appliance
  •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equipped with an orthodontic arc wire that can achieve maximum orthodontic efficiency by reducing the deviation of the orthodontic rat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operator's skill, as well as improving shortening and convenience.
  • Various methods provided as means for correcting teeth include crooked teeth, protruding mouth, and surgical correction to surgically compensate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skeletal gap. These methods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a balanced appearance and function.
  • Various devices and methods are used depending on the cause or treatment period. For example, it can be classified into a device for suppressing or enhancing the growth of the upper and lower jaw bones, a device for gradually moving teeth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 like.
  • the orthodontic method using a double bracket uses the property of using the property of teeth to move when they receive an external force. It is a fixed treatment that gradually moves teeth by using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 dragon wire or a rubber band, and is commonly used in various types of orthodontic treatment.
  • each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the wire is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and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are variously adjusted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
  • This gradually moves the orthodontic target teeth. Therefor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by gradually moving the orthodontic target teeth while their positions and postures are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 the orthodontic efficiency i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the operator. It can work accurately, but since the fixing position of the bracket varies according to the ability of the operator, the tension of the wire does not work accurately,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rthodontic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is displaced from the designed position.
  • the bracket is individually molded to correspond to each orthodontic tooth, the molded bracket is fixed to the orthodontic tooth through an adhesive, and then the wire is coupled to the bracket, and tension is applied while tightening or loosening the coupled wire. It is a process of regulating
  • the correction method using the bracket made through the above process ha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all procedures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s experience and ability, and the operator's discomfort and pain increase.
  • the labial side of teeth is generally flat, the lingual side has a lot of curvature and a lot of morphological variation. It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food is caught in the gap because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tooth surface and the tooth surface even in a fixed state, and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bracket is twisted or displaced during the orthodontic process, resulting in a negative effect on the treatment result.
  • the orthodontic efficiency is not affected by the operator's experience or ability,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bracket that can increase the orthodontic efficiency while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which is urgent required in the field, and a plurality of brackets having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arc is inserted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ji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that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a procedure by fixing to the orthodontic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arch wire is inserted into the molded bracke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that can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 a stabiliz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ji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a step between the orthodontic tooth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the adjacent non-orthodontic tooth from occurring, so as to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equipped with an orthodontic arch wire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problem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by a cutting tool when cutting the brid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jig that surrounds and combines the upper portions of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 brackets each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having through-holes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in a state integrally formed with the jig by the bridge.
  • a stabilize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tep between the orthodontic teeth and the non-orthodontic teeth disposed adjacent to the orthodontic teeth is further provided characterized.
  • the stabilizer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connected by the jig and the bridge, and a first area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orthodontic tee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area connected to the first area and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non-orthodontic tooth.
  • the bridge connects the bracket and the jig or the jig and the stabilizer, but the bridge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and after the bracket or the stabilizer is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art to be cut when the jig is separated from the tooth.
  • the integrally molded bracket and jig are combined with the orthodontic teeth, but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positioned precisely in the center of the toot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thereby reducing the discomfort and pain of non-operatives. There is a minimization effect.
  • the jig and the bracket or a stabilizer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non-orthodontic tooth is coupled through the bridge, and the bridge is spaced apart from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 the teeth are generally flat on the labial side, whereas the lingual side has many curves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are very diverse.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FIG. 1;
  •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having an orthodontic arch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orthodontic teeth.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ig is separated after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tooth.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b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 the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1 having an orthodontic arch is a jig 10 that surrounds and combines the upper portions of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 and a plurality of brackets 20 each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having through-holes 2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20
  • the bridge 30 connected to the jig 10 and the arc wire 40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brackets 20 to provide tension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40)
  • the jig 10 and the bracket 2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bridge 30, and the arc wire 40 is pre-inserted into the bracket 20 to the orthodontic teeth.
  • the jig-integrated orthodontic appliance 1 having an orthodontic arch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jig 10 that surrounds and couples the upper part of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 and 2 .
  • a plurality of brackets 20 each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having through-holes 21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2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 respectively formed in the bridge 30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20 for connecting the to the jig 10 to provide a tension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40 to include, wherein the jig 10 and the bracket 20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bridge 30, and the orthodontic tooth in the state in which the arc wire 40 is pre-inserted into the bracket 20
  • the jig 10 surrounds and combines the upper portions of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orthodontic teeth on one side ( A fitting groove 11 to be fitted on the upper surface of T) is formed.
  • the jig 10 and the fitting groove 11 formed in the jig 1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rthodontic teeth, and the length and shape of the jig 10 and the fitting groove 11 are After the orthodontic teeth are photographed through an imaging device such as an X-ray or a scanner, they are read through a reading program and determined by the calculated result.
  • the fitting groove 11 has a shap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characteristic chewing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for fixing the bracket 20 to the tooth surface of the teeth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can be shorten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bracket 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the program for reading are well-known used in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method, and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jig 10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from the jig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as a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jig 10 is configured to couple all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the conventional jig is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 the ji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s the treatment process only by coupling it once to the orthodontic teeth, the treatment time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the treatment time required to couple the conventional jig to each orthodontic tooth. As a result, the jig 10 can be coupled to the orthodontic teeth.
  • the material, thickness, and width constituting the jig 10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condition of orthodontic teeth, orthodontic time, etc. Of course,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as long as this material is available.
  • the bracket 20 is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through an adhesive, and is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respectively. is placed on
  • the bracket 20 is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so that the tension provided by the arc line 40 to be described later acts on the orthodontic teeth, and is fixed to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through an adhesive and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Removed after completion.
  • the shape and size of the bracket 20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rthodontic teeth, and preferably, the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has a flat plate shape as a basis and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abutting tooth surface. transformed into shape.
  •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is widened so that the fixed position is not displaced, but the gap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tooth surface to prevent food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 a through hole 21 is form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orthodontic teeth are arranged, and an arc line 4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21. ) is inserted.
  • a plurality of brackets 20 made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to individuall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and are coupled to one jig 10 through a bridge 30 to attach the jig 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By fitting to the surface, a plurality of brackets 20 can be arranged at a designed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 the bracke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relatively compared to the process of fixing a plurality of brackets independently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teeth to each orthodontic tooth through an adhesive.
  • the bracket since the jig and the bracket are formed by scanning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orthodontic teeth, just by combining the jig on the upper part of the orthodontic teeth, the bracket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Because it can be arrang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hange in corre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fixing position of the bracket, which wa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r ability of the operator.
  • bracket 20 is bond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in a state coupled to the jig 10 and then adhered by an adhesiv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heck whether it is exactly the same at the position specified on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surface.
  • the adhesive position of the bracket is determined by the operator's experience or ability, the arc line cannot be leveled even by a minute position change and is arranged diagonally upwards or downwards, which causes the tension to act in an unintentional diagonal direction.
  • the calibration efficiency is lowered or the displacement to the designed calibration position is not achieved.
  • the bracke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10) simply by coupling the jig 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he brackets 20 are coupled to one jig 10 by a bridge 30 to be described later. 20) can be positioned at the designed position, and the bracket 20 can be fixed using an adhesive after final confirmation of the adhesion position while moving the bracket 20 up and down using the bridge 30 before adhesion. As well as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the arc lin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racket 2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tension, that is, the corre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 the bridge 30 connects the jig 10 and the bracket 20, and the bracket 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jig 10, but the bracket 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ooth with an adhesive. After being fixed by the, it is cut from the bracket 20 through a cutting device such as a dental drill.
  • the bridge 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number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bracket 20 .
  • the arc line 4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racket 20 to integrally connect a plurality of brackets 20 and push the bracket 20 using the tension formed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r By pulling, the position of the fixed tooth to which the bracket 20 is coupled is displaced.
  • This arc line 40 is a lin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before the bracket 20 enters the oral cavity of the recipient, which is a relatively treatment compared to connecting a plurality of brackets using a conventional arc lin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and not causing discomfort and pain to the recipient.
  • the conventional arc wire inserts the wire into the fixed bracket after individually adhering the bracket to the orthodontic teeth. Inconvenience and pain are high, and when multiple brackets are connected using a single arch,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is not uniform,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arch to the bracket because the arch has high elasticity to form tension.
  • the bracket 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At the same time coupled to the position of the line 40 is also set.
  • the arc line even if the arc line is deformed convexly or concave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it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so that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tension provided by the arc line can be guided in the designed direction, thereby maximizing orthodontic efficiency.
  • the jig 10 has a stabilizer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tep between the orthodontic teeth and the non-orthodontic teeth disposed adjacent to the orthodontic teeth when the position of the orthodontic teeth is corrected by the tension of the arc line 40 .
  • 50 is further provided, wherein the stabilizer 50 i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10, is connected by the jig 10 and the bridge 30, and is the most It consists of a first area 51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disposed outside, and a second area 52 connected to the first area 51 and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non-orthodontic tooth.
  • the stabilizer 50 made as described above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orthodontic tooth T and the adjacent non-orthodontic tooth when the position is displaced by the tension of the arch line 40 .
  • the stabilizer 50 includes a first area 51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orthodontic teeth and a second area 52 connected to the first area 51 and fixed to the tooth surface of an adjacent non-orthodontic tooth. .
  •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formed to surround the tooth surface of the fixed orthodontic or non-orthodontic teeth, and are fixed to the orthodontic or non-orthodontic teeth through an adhesive.
  • the portion where the first region 51 and the second region 52 are in contact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region 51 is displaced, the second region 52 becomes the first region 51 .
  • the degree of this displac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tep between the orthodontic and non-orthodontic teeth.
  • the number of the second region 52 may increase as the overlap of the orthodontic or non-orthodontic teeth increases. ) to increase the number of
  • a plurality of bracke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rthodontic teeth are respectively molded, but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molding the bracket and the jig are reduced by integrally molding the plurality of brackets on one jig through a bridge. It can reduce the cost of the non-operator and shorten the operator's time, so that relatively more non-operatives can perform the procedure for the same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 the integrally molded bracket and jig are combined with the orthodontic teeth, but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positioned precisely in the center of the tooth surface of the plurality of orthodontic teeth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thereby reducing the discomfort and pain of non-operatives. Convenience is improved by minimizing
  • a stabiliz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jig and the bracket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ig to prevent a step between the jig and the non-orthodontic tooth from being formed is coupled through the bridge, and the bridge is spaced apart from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 the teeth are generally flat on the labial side, whereas the lingual side has a lot of curvature and morphological variation is very diverse. And by providing a bracket and in particular, by enabling the bracket to be accurately fixed at the se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 high calibration success rate can be expected, so that industrial applicability is suffic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 개의 브라켓과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이 각각 브릿지에 의해 결합되며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지그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치아 교정용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을 선(先)삽입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교정용 치아에 고정함으로서 시술 시간의 단축 및 편의성의 향상은 물론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해 좌우되던 교정율의 편차를 줄임으로서 극대화된 교정효율을 얻을 수 있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 개의 브라켓과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이 각각 브릿지에 의해 결합되며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지그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에 치아 교정용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을 선(先)삽입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교정용 치아에 고정함으로서 시술 시간의 단축 및 편의성의 향상은 물론 시술자의 숙련도에 의해 좌우되던 교정율의 편차를 줄임으로서 극대화된 교정효율을 얻을 수 있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 다양한 방법으로는 치열이 비뚤어진 치아, 돌출입, 상하악골격차를 외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수술교정 등이 있고, 이러한 방법은 균형 잡힌 안모와 기능의 회복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는데, 예컨대 위아래 턱뼈이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치아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이중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이 있는데, 이중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은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하여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브라켓을 교정 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하고, 와이어를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정하여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 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킨다. 따라서 교정 대상 치아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면서 서서히 이동함으로써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은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교정 효율이 크게 바뀌는데, 먼저 교정용 치아에 브라켓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교정용 치아의 중앙에 브라켓을 정확하게 고정해야만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작용할 수 있는데 시술자의 능력에 따라서 브라켓의 고정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와이어의 장력이 정확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교정용 치아의 교정 위치가 설계된 위치에서 변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장력을 조절하면서 치열을 미세 조정하는데, 반복적인 와이어의 장력 조절 과정에 의해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브라켓은 교정용 치아 각각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브라켓을 성형하고, 성형한 브라켓을 교정용 치아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한 이후 와이어를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고, 결합된 와이어를 조이거나 풀어주면서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방법은 모든 과정이 시술자의 경험과 능력에 의해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결정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아는 일반적으로 순측면은 평탄한데 반해 설측면은 굴곡이 많고 형태학적인 변이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데, 종래 브라켓은 굴곡이 많고 형태학적인 변이가 매우 다양한 설측면의 치표면에 고정하기가 매우 어렵고, 고정된 상태에서도 치표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함으로써 음식물이 틈새에 끼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교정 과정에서 브라켓의 위치가 비틀리거나 변위되어 치료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이중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에서 시술자의 경험이나 능력에 교정 효율이 좌우되지 않고,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브라켓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호선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브라켓이 하나의 지그에 일체로 성형되고, 성형된 브라켓에 상기 호선을 선(先)삽입한 상태로 교정용 치아에 고정함으로써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교정용 치아를 스캔한 이후 상기 브라켓과 지그를 일체로 성형하고, 성형한 브라켓과 지그를 교정용 치아에 고정함으로써 시술자의 경험, 능력 등에 의해 달라지던 교정 효율을 균일하면서도 높은 교정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 중 최외측에 배치된 교정용 치아와 인접한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가 구비되어 치열의 교정에 의한 부가적인 문제 발생을 방지한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상기 지그와 브라켓 및 상기 지그와 스테빌라이져가 각각 브릿지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브릿지가 치아의 치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스테빌라이져가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된 이후 지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브릿지를 절단할 때 절단 공구에 의한 치아의 치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하는 지그;
상기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브라켓;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을 상기 지그에 연결하는 브릿지; 및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교정용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릿지에 의해 상기 지그에 일체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에는, 상기 교정용 치아가 상기 호선의 장력에 의해 위치 교정될 때 교정용 치아와 이웃하게 배치된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테빌라이져는,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그와 상기 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치아 중 최외측에 배치된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와 연결되어 비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브릿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 또는 상기 지그와 상기 스테빌라이져를 연결하되, 상기 브릿지는 치아의 치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가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된 이후 상기 지그를 치아에서 분리할 때 절단하는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를 스캔한 이후 해당 교정용 치아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브라켓을 각각 성형하되 다수 개의 브라켓을 하나의 지그에 브릿지를 통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브라켓과 지그의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체로 성형된 브라켓과 지그를 교정용 치아에 결합하되, 다수 개의 브라켓을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 치표면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비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그와 브라켓 또는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를 브릿지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브릿지가 치아의 치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가 치아에 고정된 이후 상기 지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브릿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 공구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는 치아가 일반적으로 순측면은 평탄한데 반해 설측면은 굴곡이 많고 형태학적인 변이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인이 치아 표면에 맞는 맞춤형 지그 및 브라켓을 제공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교정 성공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가 교정용 치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이 치아에 결합된 이후 지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빌라이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하는 지그(10)와, 상기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브라켓(20)과,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을 상기 지그(10)에 연결하는 브릿지(30) 및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1)에 관통 삽입되어 교정용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4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지그(10)와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브릿지(30)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여기에 상기 호선(40)이 상기 브라켓(20)에 선삽입된 상태에서 교정용 치아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하는 지그(10)와, 상기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브라켓(20)과,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을 상기 지그(10)에 연결하는 브릿지(30) 및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1)에 관통 삽입되어 교정용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4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지그(10)와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브릿지(30)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여기에 상기 호선(40)이 상기 브라켓(20)에 선삽입된 상태에서 교정용 치아에 결합되는 것으로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비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시술자의 경험, 능력에 의해 좌우되던 교정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지그(10)는 서로 이웃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T)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 교정용 치아(T)의 상부면에 끼워지는 끼움홈(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10)와 상기 지그(10)에 형성된 끼움홈(11)은 교정용 치아의 위치 및 형태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그(10)와 끼움홈(11)의 길이 및 형태는 교정용 치아를 X-ray, 스캐너와 같은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한 이후 이를 판독용 프로그램을 통해 판독하여 산출된 결과값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끼움홈(11)은 교정용 치아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교정용 치아의 저작면이 끼움홈(11)에 일치하는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후술하는 브라켓(20)을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하는 시술 공정의 편의성 및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브라켓(20)의 설명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상기 촬영 장치 및 판독용 프로그램은 종래 치열 교정 방법에 사용하던 공지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지그(1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로서 종래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구성하는 지그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지그(10)는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 전체를 하나의 지그(10)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고 종래 지그는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에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지그(10)는 교정용 치아에 한 번 결합하는 것만으로 시술 공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종래 지그를 각각의 교정용 치아에 결합하는데 소요되는 시술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술 시간으로 지그(10)를 교정용 치아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그(10)를 구성하는 소재, 두께, 폭은 교정용 치아의 상태, 교정시기 등의 원인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인체에 무해하며 가공이 가능한 소재라면 다양한 소재가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
상기 브라켓(20)은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에 각각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20)은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호선(40)에서 제공된 장력이 교정용 치아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접착제를 통해서 고정되고 교정이 완료된 이후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20)의 형상 및 크기는 교정용 치아의 형태에 따라 변경 되되, 바람직하게는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과 맞닿는 일면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를 기본으로 가지되 맞닿는 치표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된다.
즉,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맞닿는 면적을 넓혀 고정된 위치가 변위되지 않도록 하되, 브라켓과 치표면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이 틈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브라켓(20)에는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 즉, 교정용 치아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에는 후술하는 호선(40)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브라켓(20)은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도록 다수 개가 성형되되, 하나의 지그(10)에 브릿지(30)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지그(10)를 교정용 치아의 상부면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다수 개의 브라켓(20)을 교정용 치아의 설계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브라켓(20)은 종래 교정용 치아 각각에 대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성형된 다수 개의 브라켓을 각각의 교정용 치아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하는 과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와 브라켓은 교정용 치아의 위치 및 형태를 스캔하여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그를 교정용 치아의 상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브라켓이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시술자의 경험 또는 능력에 의해 좌우되던 브라켓의 고정 위치에 따른 교정 효율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은 지그(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맞대어진 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데, 이때 접착제를 통해 고정하기 이전에 각각의 브라켓(20)이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종래 브라켓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각각의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하기 전 예상 위치를 시술자가 직접 브라켓을 이동시키면서 매칭하고, 매칭된 부위를 마킹수단을 통해 마킹하거나 바로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브라켓 및 이를 시술하는 방법은 각각의 브라켓을 교정용 치아에 접착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피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초래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각각의 브라켓을 연결하며 치아 위치 변화를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이 사선으로 배치됨으로서 교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 브라켓은 시술자의 경험 또는 능력에 의해 브라켓의 접착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미세한 위치 변화에 의해서도 호선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사선으로 배치되며, 이로 인해 장력이 의도하지 않은 사선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교정 효율이 떨어지거나 설계된 교정 위치로 변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본 발명의 브라켓(20)은 다수 개가 하나의 지그(10)에 후술하는 브릿지(3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지그(10)를 교정용 치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브라켓(20)이 설계된 위치에 정위치할 수 있고, 접착 전 브라켓(20)을 브릿지(30)를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접착 위치를 최종 확인한 이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브라켓(20)을 고정할 수 있어 시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단축은 물론 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삽입되는 호선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장력의 작용 효율 즉,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브릿지(30)는 상기 지그(10)와 상기 브라켓(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20)을 지그(10)에 일체로 결합하되 브라켓(20)이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이후 치과용 드릴과 같은 절단 장치를 통해 브라켓(20)으로부터 절단된다.
이러한 브릿지(30)는 도면 중 도시된 형태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브라켓(2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호선(40)은 상기 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관통 삽입되어 다수 개의 브라켓(20)을 일체로 연결하며 탄성복원력을 통해 형성되는 장력을 이용하여 브라켓(2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브라켓(20)이 결합된 고정용 치아의 위치를 변위시킨다.
이러한 호선(40)은 상기 브라켓(20)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로 진입하기 이전에 관통공(21)에 선(先)삽입되는 것으로 이는 종래 호선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브라켓을 연결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피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호선은 교정용 치아에 브라켓을 개별적으로 접착한 이후 고정된 브라켓에 호선을 삽입하기 때문에 호선을 삽입하는 시술 공정 전체에서 피시술자는 입을 벌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피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이 높고, 다수 개의 브라켓을 하나의 호선을 이용하여 연결하는데 교정용 치아의 위치가 고르지 못하고 호선이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높은 탄성력을 가진 상태이기 때문에 호선을 브라켓에 결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호선(40)은 브라켓(20)이 교정용 치아에 결합되기 이전에 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1)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브라켓(20)을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결합함과 동시에 호선(40)의 위치도 설정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시술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시술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선이 교정용 치아의 위치에 따라 볼록 또는 오목하게 변형되더라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호선에서 제공하는 장력의 작용 방향을 설계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어 교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지그(10)에는 기 교정용 치아가 상기 호선(40)의 장력에 의해 위치 교정될 때 교정용 치아와 이웃하게 배치된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테빌라이져(50)는,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그(10)와 상기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치아 중 최외측에 배치된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1영역(51)과, 상기 제1영역(51)와 연결되어 비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2영역(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스테빌라이져(50)는 교정용 치아(T)가 호선(40)의 장력에 의해 위치가 변위될 때 인접한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져(50)는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1영역(51)과 상기 제1영역(51)과 연결되며 인접한 비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2영역(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영역(51)과 제2영역(52)은 고정되는 교정용 치아 또는 비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접착제를 통해 교정용 치아 또는 비교정용 치아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51)과 제2영역(52)이 접하는 부위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영역(51)의 위치가 변위되더라도 제2영역(52)이 제1영역(51)이 변위되는 정도를 제한함으로써 교정용 치아와 비교정용 치아 사이에 단턱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영역(52)은 교정용 치아 또는 비교정용 치아의 겹침이 심할수록 개수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교정용 치아가 바로 인접한 비교정용 치아와의 겹침이 심한 경우 제2영역(52)의 개수를 증가시킨다.
이는 겹침이 심한 교정용 치아가 있는 경우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강한 장력이 교정용 치아에 작용하고, 이로 인해 교정용 치아의 위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남으로서 비교정용 치아와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2영역(52)의 개수를 증가시켜 제1영역(51)이 설계된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정도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정용 치아와 인접한 비교정용 치아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를 스캔한 이후 해당 교정용 치아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브라켓을 각각 성형하되 다수 개의 브라켓을 하나의 지그에 브릿지를 통해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브라켓과 지그의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비시술자의 비용을 절감하고 시술자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동일시간동안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비시술자의 시술이 가능하고,
그리고 일체로 성형된 브라켓과 지그를 교정용 치아에 결합하되, 다수 개의 브라켓을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 치표면의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비시술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또한 지그와 브라켓 또는 상기 지그의 길이 방향 양측단에 각각 구비되어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를 브릿지를 통해 결합하고, 상기 브릿지가 치아의 치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가 치아에 고정된 이후 상기 지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브릿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 공구에 의한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는 치아가 일반적으로 순측면은 평탄한데 반해 설측면은 굴곡이 많고 형태학적인 변이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인이 치아 표면에 맞는 맞춤형 지그 및 브라켓을 제공하고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교정 성공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

Claims (3)

  1. 서로 이웃하게 배열된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상부를 둘러싸며 결합하는 지그(10);
    상기 다수 개의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브라켓(20);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을 상기 지그(10)에 연결하는 브릿지(30); 및
    상기 다수 개의 브라켓(20)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21)에 관통 삽입되어 교정용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호선(40);을 포함하되,
    상기 지그(10)에는,
    상기 교정용 치아가 상기 호선(40)의 장력에 의해 위치 교정될 때 교정용 치아와 이웃하게 배치된 비교정용 치아와의 사이에 단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테빌라이져(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50)는,
    상기 지그(1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지그(10)와 상기 브릿지(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교정용 치아 중 최외측에 배치된 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1영역(51)과, 상기 제1영역(51)과 연결되어 비교정용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되는 제2영역(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영역(51)과 상기 제2영역(52)이 접하는 부위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영역(51)의 위치가 변위되더라도 상기 제2영역(52)이, 상기 제1영역(51)이 변위되는 정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브릿지(30)에 의해 상기 지그(10)에 일체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용 치아의 내측 치표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30)는
    상기 브라켓(20)과 상기 지그(10) 또는 상기 지그(10)와 상기 스테빌라이져(50)를 연결하되,
    상기 브릿지(30)는 치아의 치표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20) 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50)가 치아의 치표면에 고정된 이후 상기 지그(10)를 치아에서 분리할 때 절단하는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PCT/KR2021/006177 2020-06-08 2021-05-18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WO202125164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86 2020-06-08
KR1020200068986A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06-08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640A1 true WO2021251640A1 (ko) 2021-12-16

Family

ID=7339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6177 WO2021251640A1 (ko) 2020-06-08 2021-05-18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8090B1 (ko)
WO (1) WO2021251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513B1 (ko) * 2021-05-24 2024-03-11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89B1 (ko) * 2009-11-26 2011-10-21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US20160346063A1 (en) * 2015-06-01 2016-12-01 Orthodontec Inc. System for producing a one-piece orthodontic jig and brackets
US20180071057A1 (en) * 2017-09-12 2018-03-15 Robert T Rudman Programmable orthodontic indexing guide and bracket pin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9002409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00344B1 (ko) * 2017-09-08 2019-07-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58Y1 (ko) 2001-12-07 2002-03-20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KR101016416B1 (ko) * 2008-12-29 2011-02-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20140144044A (ko) * 2013-06-10 2014-12-18 김기수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685606B1 (ko) * 2016-03-17 2016-12-20 (주)덴토스 3d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구조
KR101883943B1 (ko) 2016-08-09 2018-07-31 주식회사 디오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170034803A (ko) 2017-03-09 2017-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881472B1 (ko) * 2017-12-28 2018-07-24 정현석 치아 교정용 와이어 시술을 위한 보조기구
KR102090381B1 (ko) 2018-05-21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7727B1 (ko) 2020-02-11 2020-03-12 이노범 설측 치아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989B1 (ko) * 2009-11-26 2011-10-21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열교정용 원피스 지그
US20160346063A1 (en) * 2015-06-01 2016-12-01 Orthodontec Inc. System for producing a one-piece orthodontic jig and brackets
KR2019002409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00344B1 (ko) * 2017-09-08 2019-07-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제조 방법, 식립 방법 및 치아 교정 브래킷 식립 가이드
US20180071057A1 (en) * 2017-09-12 2018-03-15 Robert T Rudman Programmable orthodontic indexing guide and bracket pin assembly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090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183A2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US5816799A (en) Intraoral orthopedic appliance adjustment apparatus
WO2016060413A1 (ko) 치열 교정장치
WO2011145863A2 (ko)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
US6227861B1 (en) Preformed mandibular splint
EP0265039B1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dental arch expansion
WO2018117582A1 (ko) 상악 치열 교정장치
WO2020218638A1 (ko) 치과 교정용 브라켓
WO2017007288A1 (ko)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WO2020111443A1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WO2011139030A2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WO2021251640A1 (ko)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WO2012070916A2 (ko)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WO2012099439A2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21172828A2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치열 교정 장치
WO2021096086A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WO2018101784A1 (ko)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18941A2 (ko)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CN212326619U (zh) 一种用于矫治上颌骨性宽度不调的矫治器
WO2012067401A2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WO2021049892A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WO2011122866A2 (ko) 치열교정기구
WO2011129647A2 (ko) 치과교정기구
WO2020122565A1 (ko) 접착식 리테이너
WO2017122871A1 (ko) 치아의 이동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1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15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