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513B1 -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513B1
KR102645513B1 KR1020210065963A KR20210065963A KR102645513B1 KR 102645513 B1 KR102645513 B1 KR 102645513B1 KR 1020210065963 A KR1020210065963 A KR 1020210065963A KR 20210065963 A KR20210065963 A KR 20210065963A KR 102645513 B1 KR102645513 B1 KR 10264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andle
wire
tooth portion
br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335A (ko
Inventor
전윤식
Original Assignee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513B1/ko
Priority to PCT/KR2021/015594 priority patent/WO2022250212A1/ko
Priority to CN202111304345.2A priority patent/CN115381568A/zh
Publication of KR2022015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는,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ORTHODONTIC DEVICES AND BRACES}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치아부의 교정을 하기 위해 연결부가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핸들로부터 브라켓을 분리시키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를 치아부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캐리어 디바이스를 가지는 치아 교정기가 개시된다.
치아 교정치료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장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일련의 치료술식을 의미한다. 치료 결과 건강한 구강 조직과 보다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불균일한 부정교합은 치아 자체의 발육 이상, 턱뼈의 발육 이상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갖는 사람들은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웃을 때 그 치열 상태로 인해 입을 가리게 되고 또한 대인 관계에 있어 소극적이 되어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음식물 섭취 시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며, 또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초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치아 교정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5801호에서는 치아 교정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와이어를 치아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연결부가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키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연결부가 브라켓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거나 브라켓에 탈착 되어 브라켓이 와이어를 수용하면서 치아부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의 목적은,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를 브라켓과 캐리어 디바이스로 치아부에 위치시키고 코팅제는 브라켓이 와이어를 수용한 후에 상기 와이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치아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는,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홈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의 중심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주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상부 표면과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에 따르면,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기는,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고 외면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탈착되고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캐리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팅제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한 후에 상기 와이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홈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들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의 중심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주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막대 형상인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단부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 지지부 상에 놓여 진 브라켓은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며 상기 치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에 따르면,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교정 디바이스는,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고 외면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 막대 형상인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단부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지지부 상에 올려지며, 상기 코팅제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한 후에 상기 와이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에 의하면, 와이어를 치아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연결부가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에 의하면, 연결부가 브라켓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거나 브라켓에 탈착 되어 브라켓이 와이어를 수용하면서 치아부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에 의하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를 브라켓과 캐리어 디바이스로 치아부에 위치시키고 코팅제는 브라켓이 와이어를 수용한 후에 상기 와이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의 제1 유형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의 제2 유형의 탈착 전후의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의 제3 유형의 탈착 전후의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가 치아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의 (a), (b) 및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의 캐리어 디바이스, 레진형 브라켓 및 레진형 브라켓이 올려진 캐리어 디바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의 적용 전후 모습을 각각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의 제1 유형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도 2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의 제2 유형의 탈착 전후의 도면을 각각 나타내며, 도 3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의 제3 유형의 탈착 전후의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가 치아부(T)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부(T)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는,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는 와이어(100)를 수용하고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200), 브라켓(200)을 지지하는 핸들(310), 및 브라켓(200)과 핸들(31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00)는 치아부(T)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형상을 기억하는 소재(예를 들어, 형상기억합금)로 구성되어 치아 표면에 부착된 후 치아부(T)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00)의 외면은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고 상기 코팅제는 와이어(100)가 브라켓(200)에 수용된 후에 녹아 제거되어 와이어(100)와 브라켓(200) 사이에는 약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상부 측 모서리는 곡선 형상이고, 브라켓(200)은 하부에 와이어(100)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부재(201)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200)의 상부 모서리는 구강 내의 피부와 맞닿기 때문에 상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 형상이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수용부재(201)는 와이어(100)를 수용하여 와이어(100)가 일정 공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고, 레진이 채워지도록 움푹 파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와이어 수용부재(201) 또한 도 1의 (c)에 도시된 와이어 수용부재(20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치아부(T)의 상부 및 하부 각각의 치아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20)는 브라켓(200)이 치아부(T)에 안착된 후 핸들(310)로부터 브라켓(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20)는, 외력에 의해 핸들(310)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재(321)는 작은 구멍들로 구비되어 절취선과 같이 보여 지며, 브라켓(200)이 와이어(100)를 수용하며 치아부(T)에 부착된 후에 핸들(310)에 외력을 가하면 절단부재(321)가 부서지게 되어 브라켓(200)과 핸들(310)이 분리될 수 있다. 절단부재(321)의 형상은 작은 구멍들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20)는, 브라켓(200) 또는 핸들(3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322), 및 브라켓(200) 또는 핸들(3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홈(322)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3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200)의 상부 측에 분리 바(323)가 끼워질 홈(322)이 구비되고 핸들(310)로부터 연장된 분리 바(323)가 홈(322)에 끼워 맞춤 되며 핸들(310)에 의해 브라켓(200)이 핸들링 되어 치아부(T)에 부착되면 홈(322)으로부터 분리 바(323)가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핸들(310)의 중심부에는 개구(311)가 형성되며, 개구(311) 주위에는 오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310)은 직접 사용자에게 잡히므로 핸들(310)에 개구(311)와 오목부(312)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미끄러지지 않고 잡히게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10)은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개구와 오목부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브라켓(200)의 상부 표면과 연결부(320)의 길이방향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예를 들어, 치과의)에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입을 피하여 수월하게 브라켓(200)이 치아부(T)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0)는 치아부 전반에 걸쳐 배치되고 각각의 치아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들(200)이 와이어(100)를 수용하며 잡아 놓을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이 치아에 부착될 때까지 핸들(310)이 브라켓(200)을 컨트롤하고(도 4에서 왼쪽 브라켓), 브라켓(200)이 치아에 부착되면 브라켓(200)으로부터 분리 바(323)가 분리될 수 있다(도 4에서 오른쪽 브라켓). 복수의 브라켓(200)은 각각의 치아에 부착되고, 상부 치아부 및 하부 치아부 모두에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 치아 교정기(2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a), (b) 및 (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20)의 캐리어 디바이스(300), 레진형 브라켓(210) 및 레진형 브라켓(210)이 올려진 캐리어 디바이스(300)를 각각 나타내고, 도 6의 (a),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20)의 적용 전후 모습을 각각 나타낸다.
위에 전술된 내용을 참조하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치아부(T)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기(20)는,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고 외면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100), 와이어(100)를 수용하고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며 와이어(100)를 와이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200), 및 브라켓(200)에 탈착되고 브라켓(200)을 이동시키는 캐리어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팅제는 브라켓(200)이 와이어(100)를 수용한 후에 와이어(100)로부터 제거되어 와이어(100)와 브라켓(2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캐리어 디바이스(300)는, 브라켓(200)을 지지하는 핸들(310), 및 브라켓(200)과 핸들(31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20)는, 외력에 의해 핸들(310)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321)를 포함하며, 브라켓(200)이 치아부(T)에 안착된 후 핸들(310)로부터 브라켓(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디바이스(300)는, 브라켓(200)을 지지하는 핸들(310), 및 브라켓(200)과 핸들(310)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320)는, 브라켓(200) 또는 핸들(3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322), 및 브라켓(200) 또는 핸들(31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홈(322)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3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320)는 브라켓(200)이 치아부(T)에 안착된 후 핸들(310)로부터 브라켓(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3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핸들(310)의 중심부에는 개구(311)가 형성되며, 개구(311) 주위에는 오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디바이스(300)는, 막대 형상인 핸들(330), 및 핸들(330)의 단부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지지부(340) 상에 놓여 진 레진형 브라켓(210)은 캐리어 디바이스(300)에 의해 컨트롤 되어 와이어(100)를 수용하며 치아부(T)에 배치될 수 있다. 레진형 브라켓(210)은 와이어 수용부재(201)를 포함하고 레진형 브라켓(210)이 치아부(T)에 부착되어 배치되면서 와이어 수용부재(201)는 와이어(100)를 수용할 수 있다. 레진형 브라켓(210)이 치아부(T)에 배치될 때 사용자가 막대 형상인 핸들(330)을 잡고 컨트롤하여 레진형 브라켓(210)을 치아부(T)에 배치할 수 있다.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교정 디바이스(20)는,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고 외면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100), 와이어(100)를 수용하고 치아부(T)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며 와이어(100)를 와이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210), 막대 형상인 핸들(330) 및 핸들(310)의 단부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지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진형 브라켓(210)은 브라켓 지지부(340) 상에 올려지며, 코팅제는 레진형 브라켓(210)이 와이어(100)를 수용한 후에 와이어(100)로부터 제거되어 와이어(100)와 레진형 브라켓(21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에 의하면, 와이어(100)를 치아부(T)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브라켓(200)이 치아부(T)에 안착된 후 연결부(320)가 핸들(310)로부터 브라켓(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10)에 의하면, 연결부(320)가 브라켓(200)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거나 브라켓(200)에 탈착 되어 브라켓(200)이 와이어(100)를 수용하면서 치아부(T)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20)에 의하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100)를 브라켓(200)과 캐리어 디바이스(300)로 치아부(T)에 위치시키고 코팅제는 브라켓(200)이 와이어(100)를 수용한 후에 와이어(100)로부터 제거되어 와이어(100)와 브라켓(2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20: 치아 교정기
100: 와이어 200: 브라켓
210: 레진형 브라켓 201: 와이어 수용부재
300: 캐리어 디바이스 310: 핸들
311: 개구 312: 오목부
320: 연결부 321: 절단부재
322: 홈 323: 분리 바
330: 막대형상인 핸들 340: 브라켓 지지부
T: 치아부

Claims (11)

  1.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키고,
    상기 브라켓은 하부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수용부재는 레진이 채워지도록 상기 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움푹 파인 공간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 수용부재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공간 내에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홈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
    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의 중심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주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부 표면과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6. 치아부의 교정을 위한 치아 교정기에 있어서,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고 외면이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고 상기 치아부의 외부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탈착되고 상기 브라켓을 이동시키는 캐리어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제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한 후에 상기 와이어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상기 브라켓은 하부에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와이어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수용부재는 레진이 채워지도록 상기 브라켓의 하부로부터 움푹 파인 공간을 가지고, 상기 와이어 수용부재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공간 내에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키는,
    치아 교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는 핸들;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핸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홈; 및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핸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홈에 끼워 맞춰지는 분리 바;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부에 안착된 후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분리시키는,
    치아 교정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의 중심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 주위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치아 교정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는,
    막대 형상인 핸들; 및
    상기 핸들의 단부와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지지부 상에 놓여 진 브라켓은 상기 캐리어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어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며 상기 치아부에 배치되는,
    치아 교정기.
  11. 삭제
KR1020210065963A 2021-05-24 2021-05-24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KR10264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63A KR102645513B1 (ko) 2021-05-24 2021-05-24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PCT/KR2021/015594 WO2022250212A1 (ko) 2021-05-24 2021-11-01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CN202111304345.2A CN115381568A (zh) 2021-05-24 2021-11-05 牙齿矫正用装置及牙齿矫正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63A KR102645513B1 (ko) 2021-05-24 2021-05-24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35A KR20220158335A (ko) 2022-12-01
KR102645513B1 true KR102645513B1 (ko) 2024-03-11

Family

ID=8411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963A KR102645513B1 (ko) 2021-05-24 2021-05-24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45513B1 (ko)
CN (1) CN115381568A (ko)
WO (1) WO2022250212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411B2 (ja) 1998-03-27 2001-01-09 株式会社スタンレー滋賀製作所 エッジライトパネルの光源装置
KR100917062B1 (ko) 2009-02-11 2009-09-11 주식회사 오솔루션 치아 교정구의 탄성부재 지지 장치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565801B1 (ko) 2015-02-12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KR101803235B1 (ko) * 2017-06-02 2017-11-30 차소 치아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883943B1 (ko) 2016-08-09 2018-07-31 주식회사 디오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US10945816B1 (en) * 2020-07-08 2021-03-16 King Saud University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411U (ja) * 2005-12-22 2006-06-15 有限会社 オーラルアカデミー ブラケット取付具
US7674110B2 (en) * 2006-03-23 2010-03-09 Ormco Corporatio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KR101478497B1 (ko) * 2014-11-14 2014-12-31 김중한 게이지 일체형 트위저
KR20170034803A (ko) * 2017-03-09 2017-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411B2 (ja) 1998-03-27 2001-01-09 株式会社スタンレー滋賀製作所 エッジライトパネルの光源装置
KR100917062B1 (ko) 2009-02-11 2009-09-11 주식회사 오솔루션 치아 교정구의 탄성부재 지지 장치
KR101565801B1 (ko) 2015-02-12 2015-11-05 장상건 치아 교정 장치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883943B1 (ko) 2016-08-09 2018-07-31 주식회사 디오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1803235B1 (ko) * 2017-06-02 2017-11-30 차소 치아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US10945816B1 (en) * 2020-07-08 2021-03-16 King Saud University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81568A (zh) 2022-11-25
KR20220158335A (ko) 2022-12-01
WO2022250212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640B2 (en) Orthodontic wire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4820157A (en) Dental bridge
JP5131978B2 (ja) 歯科用アプライアンスの埋め込み機能および方法
US20070292821A1 (en) Dental Prostheses
JP5570365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KR101565801B1 (ko) 치아 교정 장치
US20030003415A1 (en) Apparatus for precisely locating an orthodontic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surface of a tooth
US4915630A (en) Dental splint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KR101994519B1 (ko)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JP2022516982A (ja) 解剖学的自己把持歯科用バリアデバイス
KR102645513B1 (ko)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US20200188074A1 (en) Method for Using Sheet for Preventing Inflammation Caused by Excess Dental Cement and Inflammation Prevention Sheet
US8323022B2 (en) Instant dental bridge
Chaushu et al. Orthosurgical treatment with lingual orthodontics of an infraoccluded maxillary first molar in an adult
ES2936818T3 (es) Conjunto para la colocación de un bráket ortodóncico y método para fabricar tal conjunto
KR200497568Y1 (ko) 치아 교정용 캐리어 디바이스
JP381692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TWI607740B (zh) 齒槽膜
KR200373807Y1 (ko) 치아 교정기
KR102178904B1 (ko)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한 인공치표면에 치아 교정 유지장치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치아를 보호하는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장치
KR200210731Y1 (ko)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Kate et al. Chairside Fabrication of Biomometic Riding Pontic: A Case Report
KR20060037889A (ko) 치아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