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9892A1 -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9892A1
WO2021049892A1 PCT/KR2020/012256 KR2020012256W WO2021049892A1 WO 2021049892 A1 WO2021049892 A1 WO 2021049892A1 KR 2020012256 W KR2020012256 W KR 2020012256W WO 2021049892 A1 WO2021049892 A1 WO 202104989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direct attachment
dental orthodontic
jig body
dental
orthodon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2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863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23187A4/en
Priority to US17/641,620 priority patent/US20220323182A1/en
Priority to CN202080063560.5A priority patent/CN114364335A/zh
Publication of WO202104989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98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rect attachment device and an indirect attachment method for a dental orthodon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discharge excess bonding agent inside, and to allow the operator to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jig is fixed in the oral cavity. It relates to a device for indirect attachment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and an indirect attachment method.
  • a tooth orthodontic device made of a material harmless to the living body is attached to the teeth, and then the force of the orthodontic wire is applied to the device to treat the malocclusion teeth as normal occlusion.
  • the device for orthodontic teeth above is called a bracket, and the treatment of malocclusion using the bracket is called fixed orthodontic treatment or bracket orthodontic treatment.
  • the direct attachmen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operator directly attaches the bracket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target tooth that needs correction using tools such as tweezers.
  • the indirect attachment method is a method of attaching brackets more easily and accurately by making an arbitrary indirect bonding jig (hereinafter referred to as'IDB Jig') according to the individual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and then fastening it to the patient's teeth.
  • the application of the attachment method is gradually increasing.
  •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indirect attachment frame in the form of a general vacuum forming (Vacuum forming).
  • the conventional frame for indirect attachment is used in a form that simply covers the teet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 the amount of bonding agent used to attach the bracket may be large. At this time, the bonding agent spreads between the IDB Jig and the tooth surface and the bonding agent adheres excessively to the tooth surface.
  • the operator in order to remove the excess bonding agent in the corresponding part, the operator needs to separate the IDB Jig from the oral cavity and then remove the excess bonding agent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using a tool such as Bur.
  • a tool such as Bur.
  • the excessive bonding agent interferes with the fit of the jig and the tooth, and thus acts as an obstacle that makes it difficult to place the bracket in the correct position as planned by the operator.
  • the jig covers the naive (narrow) surface, the tongue surface, the mesial surface, etc. includ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ooth,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proper fastening state of the jig. This eventually interferes with the jig's stagnation,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erroneous fastening, and also makes it difficult to correctly arrange the bracket, which is a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cuum forming type dentistry having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excess bonding agent or a window for confirming whether a jig is fastened. It is to provide an indirect attachment device and an indirect attachment method for a correction device for us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jig body portion of the shape to cover the tooth surface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a tooth orthodontic bracket as an inner space of the jig body portion; And it is formed with one or more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the jig body portion, it provide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excessively injected bonding agent is discharg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jig body portion of the shape to cover the teeth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with a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a tooth orthodontic bracket as an inner space of the jig body portion; And it is formed in one or mo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portion, it provide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including a window portion to see the inside.
  • the jig body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 the jig body portion may be made of one or more elastic materials.
  • the jig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divided.
  • the window portion may be formed of a lens having a concave shape whose central portion is thinner than an edge.
  • the window portion may be formed of a convex lens having a central portion thicker than an edg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producing a cast model in the pattern of the teeth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emporarily attaching a tooth correction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of the cast model; Manufacturing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including a jig body portion having a shape to cover the tooth portion of the cast model and a receiving portion that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rthodontic bracket; Applying a bonding agent to the orthodontic bracket; Fasten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to the teet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it provide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indirect attachment device for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from the teeth of the subject.
  • the step of fasten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to the patient's teeth may include discharging the bonding agent excessively injected into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to the outside.
  • the step of removing the device for indirect attachment of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from the teeth of the subject includes a practitioner visually checking the inside of the device for indirect attachment of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and removing the orthodontic device for dentistry. I can.
  • the excess bonding agent can be easily discharged, so that damage to the teeth can be prevented and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 the operator can visually recognize the fastening state of the indirect attachment device to the target tooth, thereby preventing erroneous fastening, and it is easy to remove the indirect attachment device after the procedur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side of the ji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a ji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discharge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ho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window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3 and 4 are a top view looking outside and inside of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detailed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has a jig body part 100 and a receiving part 200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hole 300 ) And/or a window uni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jig body portion 100 i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indirect attachment frame, and may be configured in a shape that covers the oral cavity of the person to be treated. That is, it is selected from the shape of the upper jaw or the lower jaw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ccording to the need for the procedure, and formed in a shape that covers each tooth surface.
  • the accommodation part 200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jig body part 100 and may be formed as a groove in which a tooth correction bracket for attaching to a tooth surface of a person to be treated is accommodated.
  • the receiving portion 200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ingual side and/or the labial side of the tooth surfac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tooth correction brackets to be inserted.
  • the indirect attachment devic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manufactured by first placing the orthodontic bracket on a cast model obtained by drawing the pattern of the teeth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and inserting the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t model.
  • the process of drawing a pattern on the tooth may include a method of reproducing the negative shape of the tooth by pouring alginate into a frame and biting the patient, and a method of placing an oral scanner in the mouth and scanning the patient's mouth as it is and monitoring it.
  • the receiv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s a negative-shaped groove corresponding to the tooth surface to which the tooth correction bracket is to be attached, based on the cast model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oral structur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I can.
  • the jig body part 100 and the accommodating part 200 formed inside the jig body part 100 are precisely attached to the teeth of the object to be corrected in the form of vacuum forming. It serves as an IDB Jig for indirect attachment.
  • the jig body portion 1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jig body portion 1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0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accommodate the bracket for teeth correction.
  • the jig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divided. That is, the operator may appropriately divide and use the jig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tooth surfaces and oral structures of patients.
  • the jig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side is transparent,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colors in addition to that.
  •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hole (300).
  • 6 and 7 are a detailed view showing an enlarged discharge ho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various embodiments, respectively.
  • the discharge hole 300 may be formed as one or more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jig body 100.
  • the discharge hole 30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bonding agent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when the bonding agent (resin) is excessively injected into the orthodontic bracket.
  • th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for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s a receiving part in which the discharge hole 300 passes through the jig body part 100 so that the tooth surfac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he orthodontic bracket contact
  • the part 200 By connecting the part 200 with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unnecessarily excessively injected bonding agen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 the discharge hole 3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hape of the jig body 100. At this time,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holes 30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grooves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200 in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is located.
  • the discharge hole 300 has a cross section penetrating to the outside of the jig body part 100 from the internal receiving part 200 in which the orthodontic bracket is accommodated. It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 the discharge hole 300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cross-sectional area.
  • the discharge hole 30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narrows as it goes from the receiving part 200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jig body part 100 Can be.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hole 300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utside, so that the excess bonding agent inside the discharge hole 300 can be easily guided to gather into the discharge hole 300 along the cross-sectional area.
  • the device for indirect attachment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indow part 400.
  • FIGS. 8 and 9 are detailed views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window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ross-sectional views of various embodiments, respectively.
  • the window part 4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jig body part 100, and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sees the inside, and serves as a lens showing the inside of the device. That is, the window unit 400 allows the operator to visually check the inside of the jig body unit 100 during the procedure.
  • the indirect attachment frame In the case of using the indirect attachment frame, it makes it difficult to confirm the conformity of the indirect attachment frame because the frame covers the labial (narrow) surface includ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eeth, the tongue surface, and the mesial surface. This, in turn, interferes with the static fastening of the indirect attachment frame,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ncorrect fastening, and acts as an obstacle that makes it difficult to attach the correct orthodontic bracket.
  •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hile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teeth surfac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e window unit 400.
  • this is the same in the case of attaching a cast model and a device made by modeling the tooth surfac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 the practitioner can visually confirm the release state of the fastening, so that it can be removed more easily.
  • the window unit 40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hape of the jig body unit 100.
  • the window part 400 may be formed of a lens having a central portion and an edg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 the window unit 400 may be formed of a lens having a concave shape whose central portion is thinner than an edge.
  • the concave lens serves to spread light, so instead of making a large object appear small, a large area can be seen at onc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internal fastening state of the jig body unit 100 through the window unit 400 in a wider range.
  • the window unit 400 may be formed of a convex lens having a central portion thicker than an edge.
  • the convex lens serves to collect light, so instead of showing a small area, a small object can be made larger.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tooth surface to be treated inside the jig body unit 100 in an enlarged state through the window unit 400.
  • the operator can more efficiently fasten and remove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by selecting and using any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window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eed for the procedure. I can.
  • the window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ens as described above, and is formed in a penetrating state without including a material such as a separate lens,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device. have.
  • 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a method of indirect attachment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 Indirect attachment method of a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reating a cast model by sculpting a tooth pattern of a person to be treated; Manufacturing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comprising a jig body portion having a shape to cover the tooth portion of the cast model and a receiving portion that i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rthodontic bracket; Temporarily attaching a tooth orthodontic bracket on the receiving part; Applying a bonding agent to the orthodontic bracket; Fasten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to the teet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remov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from the teeth of the subject.
  •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applied to the indirect attachment method of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hole 300 and/or the window part (
  • the main feature is that it is a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further comprising 400).
  • the step of fasten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to the patient's teeth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agent excessively injected into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 the step of removing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from the teeth of the subje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visually checks and removes the inside of the dental orthodontic device indirect attachment device 1. have.
  • the indirect attach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ttached to the externally manufactured frame, not the mouth of a moving patient, and the whole tooth correction bracket is transferred and attached.
  • the whole tooth correction bracket is transferred and attached.
  • the difficulty of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uth opening or the size of the teeth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e bracket for orthodontics can be attached without difficulty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This can save you a lot of ti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본 발명은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과잉된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구강 내에 지그의 정체결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부정교합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작된 치아교정용 장치를 치아에 부착한 후, 장치에 교정용 와이어의 힘(force)를 부여하여 부정교합의 치아를 정상교합으로 치료한다. 이때, 위 치아교정용 장치를 브라켓(Bracket)이라고 하며, 해당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것을 고정식 교정치료 또는 브라켓 교정치료라고 한다.
위와 같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정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브라켓을 교정이 필요한 대상 치아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때 적용되는 부착법은 크게 직접부착법과 간접부착법이 구분된다. 직접부착법은 핀셋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시술자가 교정이 필요한 대상 치아의 원하는 위치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이다. 간접부착법은 피시술자 개개인의 구강 구조에 맞게 임의의 간접부착용 틀(InDirect Bonding Jig, 이하 'IDB Jig')을 만든 이후, 이를 그대로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시킴으로써 브라켓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부착하는 방법으로, 최근 간접부착법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도1은 기존의 일반적인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의 간접부착용 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간접부착용 틀은 단순히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기존의 간접부착용 틀을 이용하는 경우에 브라켓 부착에 사용되는 본딩제의 양이 많을 수 있는데, 이때 IDB Jig와 치면 사이로 본딩제가 퍼지면서 치면에 본딩제가 과잉으로 달라붙게 된다.
이 경우, 해당 부분의 과잉 본딩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시술자가 IDB Jig를 구강에서 분리한 후 해당 치면에 붙어 있는 과잉 본딩제를 버(Bur)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치아의 손상가능성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잉 본딩제는 지그와 치아의 적합을 방해하게 되어 시술자가 계획한대로 정확한 위치에 브라켓을 배치시키는 것(Bracket Placement)을 어렵게 만드는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IDB Jig를 사용할 시 지그가 치아의 교합면을 포함하는 순(협)면, 설면, 근원심면 등을 피개하기 때문에, 지그의 적합한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결국 지그의 정체결을 방해하여 오체결 가능성을 증가시키게 되고, 역시 정확한 브라켓 배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잉 본딩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공 또는 지그의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한가지 이상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뜬 캐스트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면에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 부분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및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 및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내부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라켓 본딩 시 사용하는 본딩제이 과잉된 경우에 과잉된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의 손상을 예방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대상 치아에 간접 부착기기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오체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시술 이후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본체부 외부의 상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본체부 내부의 상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출공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사시도를,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외부와 내부를 바라보는 상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수용부(20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지그본체부(100), 수용부(20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공부(300) 및/또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본체부(100)는 간접부착용 틀의 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피시술자의 양형의 구강을 피개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시술 상의 필요에 따라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형상 중에 선택되어, 각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200)는 지그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피시술자의 치아면에 부착되기 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수용되는 홈(Groo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00)는 피시술자의 치아면 중 설측면 및/또는 순측면에 대응하여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투입되어야 하는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치아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기기는, 먼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떠 채득한 캐스트(Cast) 모형에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위치시키고, 위 캐스트 모형을 상부면에 대하여 소재를 투입하여 제작된다. 통상 치아에 본을 뜨는 작업은 틀에 알지네이트를 붓고 환자가 이를 물고 있는 방식으로 치아의 음형을 재현하는 방법과, 구강스캐너를 입속에 넣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그대로 스캔하여 모니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부(2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캐스트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피시술자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부착되어야 하는 치아면에 대응하는 음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지그본체부(100)와, 상기 지그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00)는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로 교정 대상의 치아에 정확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시키기 위한 간접부착용 틀(IDB Jig)로서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지그본체부(100)와 수용부(200)는 한 가지 이상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Flexbility) 있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는 용이하게 분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환자들의 다양한 형태의 치아면 및 구강구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배출공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공부(3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및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부(300)는 지그본체부(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레진)가 과잉 투입된 경우에, 위 본딩제가 기기 내부에서 배출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간접부착용 틀을 사용하는 경우에,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헤 투입되는 본딩제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경우가 빈번하다. 이 경우, 과잉 투입되어 브라켓의 부착에 사용되지 않는 본딩제는 간접부착용 틀과 피시술자의 치면 사이로 퍼지면서, 치면에 달라붙게 되어 문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배출공부(300)가 지그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피시술자의 치아면과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접촉하는 수용부(200) 부분을 외부와 연결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기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배출공부(300)는 지그본체부(100)의 형상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위치하는 수용부(200)의 홈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수용되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로 관통하는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공부(300)는 단면적이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내부에 과잉된 본딩제가 좁아지는 단면적을 따라 배출공부(300)로 모이도록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진 이후, 다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잉 본딩제는 점차 좁아지는 단면적을 따라 배출공부(300)로 모인 이후, 상대적으로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통과하게 되어 기기 외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및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400)는 지그본체부(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기기 내부를 보여주는 렌즈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윈도우부(400)는 시술자가 시술과정에서 지그본체부(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간접부착용 틀을 사용하는 경우에, 틀이 치아의 교합면을 포함한 순(협)면, 설면, 근원심면 등을 피개하기 때문에, 간접부착용 틀의 적합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결국 간접부착용 틀의 정체결을 방해하여 오체결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고, 정확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부착을 어렵게 만드는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윈도우부(400)를 통해 시술자가 육안으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아면과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며 시술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본 떠서 만든 캐스트 모형과 기기를 채결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더불어, 체결 이후에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캐스트 모형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도, 시술자가 체결의 해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윈도우부(400)는 지그본체부(100)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과 가장자리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형태의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큰 물체를 작아 보이게 하는 대신에 넓은 면적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시술자는 윈도우부(400)를 통하여 지그본체부(100)의 내부의 체결 상태를 보다 넓은 범위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볼록렌즈는 빛을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좁은 면적을 보이게 하는 대신, 작은 물체를 크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윈도우부(400)를 통하여 지그본체부(100) 내부에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면을 보다 확대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시술 상의 필요에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체결 및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는 위와 같이 렌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렌즈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지 않고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시술자가 기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방법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떠서 캐스트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 부분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및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 상에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임시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 및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방법에 적용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공부(300) 및/또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인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 내부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거하는 단계는,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간접부착법은 움직이는 환자의 입이 아니라 외부에서 제작한 틀에 붙이고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통째로 옮겨 붙이게 된다. 그 결과, 직접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정된 위치와 방향에 맞춰 정확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입이 벌어지는 크기 또는 치아 크기와 무관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붙이는 난이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시술자의 숙련도 불문하고 어려움 없이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붙일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아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간접 부착기기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과잉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의 손상을 예방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대상 치아에 간접 부착기기(1)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오체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시술 이후 지그를 제거하는 것이 현저하게 수월해 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2.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한가지 이상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8.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뜬 캐스트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면에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 부분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및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 및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내부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방법.
PCT/KR2020/012256 2019-09-10 2020-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WO202104989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63330.5A EP4023187A4 (en) 2019-09-10 2020-09-10 INDIRECT BONDING INSTRUMENT AN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
US17/641,620 US20220323182A1 (en) 2019-09-10 2020-09-10 Indirect bonding device an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aratus
CN202080063560.5A CN114364335A (zh) 2019-09-10 2020-09-10 牙科用矫正装置间接粘接设备及间接粘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69A KR102242491B1 (ko) 2019-09-10 2019-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019-0112469 2019-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892A1 true WO2021049892A1 (ko) 2021-03-18

Family

ID=7486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256 WO2021049892A1 (ko) 2019-09-10 2020-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3182A1 (ko)
EP (1) EP4023187A4 (ko)
KR (1) KR102242491B1 (ko)
CN (1) CN114364335A (ko)
WO (1) WO202104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982B1 (ko) * 2021-06-04 2022-05-24 정중희 기능성 투명 교정장치와 이를 포함한 맞춤형 치아 교정시스템 및 치아 교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333A (ko) * 2000-07-05 2002-01-16 경희문 치아교정용 브라켓 간접접착용 트레이
US20100300615A1 (en) * 2009-06-01 2010-12-02 Gc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oning guide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101701256B1 (ko) *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KR20170103417A (ko) * 2016-03-04 2017-09-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9671B2 (en) * 2007-03-22 2013-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using photocurable adhesive material
JP2011004833A (ja) * 2009-06-24 2011-01-13 Dento Shoji:Kk 間接歯科矯正法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トレーの製作方法
KR101100540B1 (ko) * 2010-04-14 2011-12-29 김재훈 고정성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
KR101680430B1 (ko) * 2014-10-28 2016-11-29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24329A (ko) * 2017-05-11 2018-11-21 대유디케어 주식회사 치열교정용 브라켓 고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트레이 생성 방법
KR102090381B1 (ko) * 2018-05-21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333A (ko) * 2000-07-05 2002-01-16 경희문 치아교정용 브라켓 간접접착용 트레이
US20100300615A1 (en) * 2009-06-01 2010-12-02 Gc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of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oning guide
KR101580444B1 (ko) *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101701256B1 (ko) *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KR20170103417A (ko) * 2016-03-04 2017-09-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23182A1 (en) 2022-10-13
EP4023187A1 (en) 2022-07-06
CN114364335A (zh) 2022-04-15
EP4023187A4 (en) 2023-08-16
KR102242491B1 (ko) 2021-04-20
KR20210030821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281A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WO2012150843A2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WO2010021478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8012735A1 (ko)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 장치
WO202121585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WO2011078475A2 (en) Dental implant having plate
WO2020197133A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WO2019151740A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172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16024681A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WO2020111443A1 (ko)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WO2020218638A1 (ko) 치과 교정용 브라켓
WO2021162220A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49892A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WO2018074683A1 (ko) 치과용 견인장치
WO2011040687A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WO2016143978A2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및 볼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쳐의 제작방법
WO2021006701A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 및 이를 이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방법
WO2023229109A1 (ko) 치과용 스텐트
WO2020197151A2 (ko) 치과 교정용 앵커링 장치 및 시스템
WO2016093505A1 (ko) 임플란트 보철물 구멍 형성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3027379A1 (ko)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WO2011118941A2 (ko) 치열 교정용 구개 고정원
WO2015178616A1 (ko) 가이드라인이 구비된 치과 보철 제작용 템플레이트
WO2021251640A1 (ko)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33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633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