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91B1 -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91B1
KR102242491B1 KR1020190112469A KR20190112469A KR102242491B1 KR 102242491 B1 KR102242491 B1 KR 102242491B1 KR 1020190112469 A KR1020190112469 A KR 1020190112469A KR 20190112469 A KR20190112469 A KR 20190112469A KR 102242491 B1 KR102242491 B1 KR 10224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ody
indirect attachment
dental orthodontic
pres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821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91B1/ko
Priority to EP20863330.5A priority patent/EP4023187A4/en
Priority to CN202080063560.5A priority patent/CN114364335A/zh
Priority to PCT/KR2020/012256 priority patent/WO2021049892A1/ko
Priority to US17/641,620 priority patent/US20220323182A1/en
Publication of KR2021003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DENTAL ORTHODONTIC APPLIANCE INDIRECT BONDING DEVICE}
본 발명은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과잉된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시술자가 구강 내에 지그의 정체결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부정교합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작된 치아교정용 장치를 치아에 부착한 후, 장치에 교정용 와이어의 힘(force)를 부여하여 부정교합의 치아를 정상교합으로 치료한다. 이때, 위 치아교정용 장치를 브라켓(Bracket)이라고 하며, 해당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것을 고정식 교정치료 또는 브라켓 교정치료라고 한다.
위와 같이 브라켓을 이용하여 교정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브라켓을 교정이 필요한 대상 치아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때 적용되는 부착법은 크게 직접부착법과 간접부착법이 구분된다. 직접부착법은 핀셋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시술자가 교정이 필요한 대상 치아의 원하는 위치에 직접 부착하는 방법이다. 간접부착법은 피시술자 개개인의 구강 구조에 맞게 임의의 간접부착용 틀(InDirect Bonding Jig, 이하 'IDB Jig')을 만든 이후, 이를 그대로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시킴으로써 브라켓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부착하는 방법으로, 최근 간접부착법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도1은 기존의 일반적인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의 간접부착용 틀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간접부착용 틀은 단순히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기존의 간접부착용 틀을 이용하는 경우에 브라켓 부착에 사용되는 본딩제의 양이 많을 수 있는데, 이때 IDB Jig와 치면 사이로 본딩제가 퍼지면서 치면에 본딩제가 과잉으로 달라붙게 된다.
이 경우, 해당 부분의 과잉 본딩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시술자가 IDB Jig를 구강에서 분리한 후 해당 치면에 붙어 있는 과잉 본딩제를 버(Bur)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치아의 손상가능성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잉 본딩제는 지그와 치아의 적합을 방해하게 되어 시술자가 계획한대로 정확한 위치에 브라켓을 배치시키는 것(Bracket Placement)을 어렵게 만드는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IDB Jig를 사용할 시 지그가 치아의 교합면을 포함하는 순(협)면, 설면, 근원심면 등을 피개하기 때문에, 지그의 적합한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결국 지그의 정체결을 방해하여 오체결 가능성을 증가시키게 되고, 역시 정확한 브라켓 배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어 문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04333호 (2002.01.1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잉 본딩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공 또는 지그의 체결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를 구비하는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한가지 이상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뜬 캐스트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면에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임시적으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 부분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및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 및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내부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단계는,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라켓 본딩 시 사용하는 본딩제이 과잉된 경우에 과잉된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의 손상을 예방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대상 치아에 간접 부착기기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오체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시술 이후 간접 부착기기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본체부 외부의 상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본체부 내부의 상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출공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사시도를,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외부와 내부를 바라보는 상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수용부(20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지그본체부(100), 수용부(200)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공부(300) 및/또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본체부(100)는 간접부착용 틀의 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피시술자의 양형의 구강을 피개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시술 상의 필요에 따라 피시술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형상 중에 선택되어, 각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200)는 지그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피시술자의 치아면에 부착되기 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수용되는 홈(Groo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00)는 피시술자의 치아면 중 설측면 및/또는 순측면에 대응하여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투입되어야 하는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치아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기기는, 먼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떠 채득한 캐스트(Cast) 모형에 치아 교정용 브라켓을 위치시키고, 위 캐스트 모형을 상부면에 대하여 소재를 투입하여 제작된다. 통상 치아에 본을 뜨는 작업은 틀에 알지네이트를 붓고 환자가 이를 물고 있는 방식으로 치아의 음형을 재현하는 방법과, 구강스캐너를 입속에 넣고 피시술자의 구강을 그대로 스캔하여 모니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부(2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피시술자의 구강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캐스트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피시술자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부착되어야 하는 치아면에 대응하는 음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구성으로서 지그본체부(100)와, 상기 지그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00)는 진공성형(Vacuum forming) 형태로 교정 대상의 치아에 정확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시키기 위한 간접부착용 틀(IDB Jig)로서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지그본체부(100)와 수용부(200)는 한 가지 이상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신축성(Flexbility) 있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는 용이하게 분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환자들의 다양한 형태의 치아면 및 구강구조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본체부(100)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배출공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배출공부(3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및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부(300)는 지그본체부(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레진)가 과잉 투입된 경우에, 위 본딩제가 기기 내부에서 배출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간접부착용 틀을 사용하는 경우에,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헤 투입되는 본딩제가 필요 이상으로 과다한 경우가 빈번하다. 이 경우, 과잉 투입되어 브라켓의 부착에 사용되지 않는 본딩제는 간접부착용 틀과 피시술자의 치면 사이로 퍼지면서, 치면에 달라붙게 되어 문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배출공부(300)가 지그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피시술자의 치아면과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접촉하는 수용부(200) 부분을 외부와 연결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기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배출공부(300)는 지그본체부(100)의 형상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위치하는 수용부(200)의 홈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이 수용되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로 관통하는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공부(300)는 단면적이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내부에 과잉된 본딩제가 좁아지는 단면적을 따라 배출공부(300)로 모이도록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부(300)는 내부의 수용부(200)로부터 지그본체부(100)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진 이후, 다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과잉 본딩제는 점차 좁아지는 단면적을 따라 배출공부(300)로 모인 이후, 상대적으로 점차 넓어지는 단면을 통과하게 되어 기기 외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및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부(400)는 지그본체부(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기기 내부를 보여주는 렌즈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윈도우부(400)는 시술자가 시술과정에서 지그본체부(10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간접부착용 틀을 사용하는 경우에, 틀이 치아의 교합면을 포함한 순(협)면, 설면, 근원심면 등을 피개하기 때문에, 간접부착용 틀의 적합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결국 간접부착용 틀의 정체결을 방해하여 오체결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고, 정확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부착을 어렵게 만드는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윈도우부(400)를 통해 시술자가 육안으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아면과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며 시술할 수 있다. 또한, 이는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본 떠서 만든 캐스트 모형과 기기를 채결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더불어, 체결 이후에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캐스트 모형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도, 시술자가 체결의 해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윈도우부(400)는 지그본체부(100)의 형상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과 가장자리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형태의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큰 물체를 작아 보이게 하는 대신에 넓은 면적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시술자는 윈도우부(400)를 통하여 지그본체부(100)의 내부의 체결 상태를 보다 넓은 범위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400)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볼록렌즈는 빛을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좁은 면적을 보이게 하는 대신, 작은 물체를 크게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윈도우부(400)를 통하여 지그본체부(100) 내부에 시술대상이 되는 치아면을 보다 확대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술자는 시술 상의 필요에 따라서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의 일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체결 및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윈도우부(400)는 위와 같이 렌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렌즈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지 않고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시술자가 기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방법은, 피시술자의 치아의 본을 떠서 캐스트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캐스트 모형의 치아 부분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및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 상에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임시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본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 및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치과용 교정장치의 간접 부착방법에 적용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출공부(300) 및/또는 윈도우부(400)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인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피시술자의 치아에 체결하는 단계는,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 내부에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술자의 치아로부터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를 제거하는 단계는,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간접부착법은 움직이는 환자의 입이 아니라 외부에서 제작한 틀에 붙이고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통째로 옮겨 붙이게 된다. 그 결과, 직접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정된 위치와 방향에 맞춰 정확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입이 벌어지는 크기 또는 치아 크기와 무관하게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붙이는 난이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시술자의 숙련도 불문하고 어려움 없이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붙일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부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아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간접 부착기기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과잉 본딩제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의 손상을 예방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대상 치아에 간접 부착기기(1)의 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오체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시술 이후 지그를 제거하는 것이 현저하게 수월해 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100: 지그본체부
200: 수용부
300: 배출공부
400: 윈도우부

Claims (10)

  1. 피시술자의 치아면을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과잉 투입된 본딩제가 배출되는 배출공부을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2. 피시술자의 치아를 피개하는 형상의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내부공간으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외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내부를 투시하는 윈도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한가지 이상의 탄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부는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얇은 오목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는 중앙부분이 가장자리보다 두꺼운 볼록한 형태의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12469A 2019-09-10 2019-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24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69A KR102242491B1 (ko) 2019-09-10 2019-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EP20863330.5A EP4023187A4 (en) 2019-09-10 2020-09-10 INDIRECT BONDING INSTRUMENT AN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
CN202080063560.5A CN114364335A (zh) 2019-09-10 2020-09-10 牙科用矫正装置间接粘接设备及间接粘接方法
PCT/KR2020/012256 WO2021049892A1 (ko) 2019-09-10 2020-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US17/641,620 US20220323182A1 (en) 2019-09-10 2020-09-10 Indirect bonding device an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69A KR102242491B1 (ko) 2019-09-10 2019-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21A KR20210030821A (ko) 2021-03-18
KR102242491B1 true KR102242491B1 (ko) 2021-04-20

Family

ID=7486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69A KR102242491B1 (ko) 2019-09-10 2019-09-10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23182A1 (ko)
EP (1) EP4023187A4 (ko)
KR (1) KR102242491B1 (ko)
CN (1) CN114364335A (ko)
WO (1) WO202104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982B1 (ko) * 2021-06-04 2022-05-24 정중희 기능성 투명 교정장치와 이를 포함한 맞춤형 치아 교정시스템 및 치아 교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44B1 (ko)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101701256B1 (ko)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333A (ko) 2000-07-05 2002-01-16 경희문 치아교정용 브라켓 간접접착용 트레이
US8439671B2 (en) * 2007-03-22 2013-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s using photocurable adhesive material
JP5323586B2 (ja) * 2009-06-01 2013-10-23 株式会社ジーシー 位置決めガイド付き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製方法
JP2011004833A (ja) * 2009-06-24 2011-01-13 Dento Shoji:Kk 間接歯科矯正法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トレーの製作方法
KR101100540B1 (ko) * 2010-04-14 2011-12-29 김재훈 고정성 교정장치의 간접부착방법
KR101680430B1 (ko) * 2014-10-28 2016-11-29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4991B1 (ko) * 2016-03-04 2017-12-0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KR20180124329A (ko) * 2017-05-11 2018-11-21 대유디케어 주식회사 치열교정용 브라켓 고정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트레이 생성 방법
KR102090381B1 (ko) * 2018-05-21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44B1 (ko) 2015-07-09 2015-12-28 홍경재 포지셔너 및 이에 적합한 포지셔너 제조 방법
KR101701256B1 (ko) 2015-08-21 2017-02-03 주식회사 디덴탈 치아교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892A1 (ko) 2021-03-18
EP4023187A4 (en) 2023-08-16
CN114364335A (zh) 2022-04-15
KR20210030821A (ko) 2021-03-18
US20220323182A1 (en) 2022-10-13
EP4023187A1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368A (en)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US20160302889A1 (en) Individualized Jig for Orthodontic Braces, Assembly Formed by that Jig, a Base and a Bracket, and its Design Methods
JP4694453B2 (ja) 治癒支台柱
US6368106B1 (en)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180119521A (ko)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WO2020033528A1 (en) Dental restoration molds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101717681B1 (ko)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 장치
JP2006341067A (ja) 医療用ガイド部材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KR20210056287A (ko) 치과용 디바이스
KR102130753B1 (ko) 치열 교정기
JP2004523290A (ja) ピン保持インレーブリッジ及びその製造及び装着方法
KR102242491B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WO2018126150A1 (en) Polymer dental dam clamp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20210109542A (ko) 치과교정용 간접 접합 장치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JPWO2020033528A5 (ko)
KR100698931B1 (ko) 치과용 보철물
KR20210035866A (ko) 구강 수술 개입 용 드릴 지그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210119601A (ko) 치아수복용 식립가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용 식립물의 식립방법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KR101699498B1 (ko) 덮개형 임플란트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4600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