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53B1 - 치열 교정기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53B1
KR102130753B1 KR1020187036633A KR20187036633A KR102130753B1 KR 102130753 B1 KR102130753 B1 KR 102130753B1 KR 1020187036633 A KR1020187036633 A KR 1020187036633A KR 20187036633 A KR20187036633 A KR 20187036633A KR 102130753 B1 KR102130753 B1 KR 102130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wire
tooth
bracket body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571A (ko
Inventor
준이치 니시시게
테츠야 시모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키리시마 세이코
메디컬 코퍼레이션 쿄우진-카이 시모다 오쏘돈틱 클리닉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키리시마 세이코, 메디컬 코퍼레이션 쿄우진-카이 시모다 오쏘돈틱 클리닉,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키리시마 세이코
Publication of KR2019000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Abstract

간단한 가공에 의해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장착시의 위화감을 줄일 수 있는 치아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치과 교정기(1a)는, 주로 브래킷 본체부(2a), 개폐 뚜껑부(3a), 치아 당접 판부(4a)로 구성되어 있다. 치아 당접 판부(4a)는, 일면 측에 치아(T)의 설측 표면에 접하는 제1의 면부(41)를 가지며, 제1의 면부(41)는 반대편에 브라켓 본체부(2a)가 고착되는 제2의 면부(42)를 가지고 있으며, 제1의 면부(41)로부터 제2의 면부(42)까지 관통하는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 구멍부(44)는, 제1의 면부(41) 측에 대응하여, 제2의 면부(42) 측 내벽면의 지름이 넓은 형성되는 것으로, 제1의 면부(41)에 도포 한 접착제(R)가 충전 구멍부(44)에 진입하여 경화함으로써, 접착제(R)가 치아 당접 판부(4a)의 설측 방향으로 빠져 멈추어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Description

치열 교정기
본 발명은,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간단한 가공에 의해 치아에 대한 설치를 공고히 하고,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보다,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치열 교정 치료로는, 각 치아의 표면인 치면에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장착하여, 인접한 각 치아의 교정용 브래킷의 아치 와이어의 기계적 같은 텐션 힘(가압, 후퇴, 비틀림 등의 복원력)을 치아에 부가하고, 치아의 위치를 서서히 적정한 치열 상태로 교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교정용 아치 와이어를 삽입 가능하게 한 단면 약 오목 홈이 형성되고, 이 홈 내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한 후, 아치 와이어를 홈에 고정하고,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고 있는 텐션 힘을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작용시켜, 이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통해 치아 교정을 위한 힘을 작용시키고 있다(특허 문헌 1).
그런데, 이러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일반적으로, 레진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피 치료자의 치아, 및 피 치료자의 치형 인상에서 채취한 설치 치형 모형의 모형 치아(이하, 총칭해서 "치아"라고 한다.)에 고정되어 있지만, 치열 교정 치료 중에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치면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치아가 맞닿는 면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분말과 결합 수지를 포함하는 혼련물을 사출 성형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사출 성형체에 언더컷을 형성한다. 이렇게 언더컷을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치아가 맞닿는 면에 형성하여, 접착면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접착제의 유지력을 향상시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시, 광중합 접착제를 사용하는 적절한 치열 교정용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치아에 접착된 치아가 맞닿는 면에 메쉬층을 갖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면에 고정 된 본체부를 갖고, 베이스부는 그 상면에 본체부가 고정되는 금속층이 형성되고, 금속층의 외주연은 베이스부의 메쉬층까지 돌출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 할 수 있는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접착제가 함유된 메쉬층을 향해 가시 광선을 조사하여, 접착제가 효율적으로 경화되고, 베이스부의 메쉬층이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562409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특개 2000-9610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공개특허 특개 2014-144200호 공보
그런데,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기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의 가공 성형이 고도하고, 정밀한 작업이 요구된다. 이 점,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언더컷을 성형하는 때에는, 그 작업 공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 및 제품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치열 교정기에 의하면, 접착제 유지층으로 메쉬층에 의해, 치아에 대한 접착력은 향상하지만, 메쉬층은 치열 교정기와는 다른 부재에 대한, 확산 접합 및 용접 등에 의해 메쉬층을 치열 교정기에 설치하는 설치 공정이 필요하며, 특허 문헌 2와 동일하게 제조 공수, 및 제품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접착제로 광중합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메쉬층에 함유된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 조사 장치 등의 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는 등, 반드시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가공에 의해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착시의 위화감을 줄일 수 있는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치열 교정기는, 아치 와이어가 삽입 가능하며 단면이 약 오목한 형상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가 형성된 브라켓 본체부와,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해 개폐 자재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 축를 통해 연결된 개폐 뚜껑부와, 일면 측에 치아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1의 면부, 제 1의 면부와는 반대 측면이고, 상기 브라켓 본체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를 포함하는 제 2의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면부 측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면부 측의 내벽면의 지름이 넓은 충전 구멍부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치열 교정기가, 단면 약 오목한 형상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가 형성된 브라켓 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내에 아치 와이어를 간단한 조작으로 삽통할 수 있다.
또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개폐 자재하도록 브라켓 본체부에 추축를 통해 연결된 개폐 뚜껑부를 구비함으로써, 아치 와이어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개폐 뚜껑부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하여,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내에서 아치 와이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면 측에 치아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 1의 면부, 제 1의 면부와는 반대쪽이며, 브라켓 본체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를 포함하는 제 2의 면부를 갖는 치아 당접 판부를 구비함으로써, 제 2의 면부로 있는 고착 면부에 브라켓 본체부를 고착하여 일체화 한 상태에서, 치열 교정기를 치아에 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치아 당접 판부가, 제 1의 면부 측에 대응하여 제 2의 면부 측의 내벽면의 지름이 넓은 충전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치아 당접면을 예를 들어 세트 업 치형 모형의 모형 치아에 접촉시켜 장착할 때, 치아 당접면에 도포 한 접착제의 일부가 충전 구멍부에 침입하여 충전되고, 그 후 충전 구멍부 내에서 접착제가 경화된다. 이 때, 충전 구멍부 내에서 경화된 접착제가, 치열 교정기의 바깥 방향으로 빠져 멈추어 방지 부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를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장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구멍부는, 내 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단차부를 갖는 경우에는, 충전 구멍부에 충전되어 경화된 접착제는, 이 단차부에 의해 치열 교정기의 바깥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장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구멍부는, 제2의 면부 측에서 제 1의 면부 측에 걸쳐 내벽면이 약 테이퍼 형상 인 경우에는, 충전 구멍부에 충전되어 경화된 접착제는, 이 단차 부에 의해 치열 교정기의 바깥 방향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는 방지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장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구멍부가, 고착 면부의 주변에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 구멍부에 충전된 접착제에 의한 빠짐을 방지하는 방지 부재로서의 효과가 치열 교정기 전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장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면부의 충전 구멍부의 주변에 다수의 볼록(凸) 조부를 갖는 경우에는, 제 1의 면부에 접착제를 도포 할 때, 접착제의 접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의 치아에 대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에는 단면상 약 오목한(凹) 형상의 결합 오목부가 형성되고, 개폐 뚜껑부에는 개폐 뚜껑부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해 열린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했을 때,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경우에는,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치 와이어에 의한 회전 토크가 치열 교정기에 작용 한 경우에도, 브라켓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뚜껑부가 열리거나 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내에서 아치 와이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와 개폐 뚜껑부를 아치 와이어 삽통 홈부에 삽통한 아치 와이어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끈 상체를 갖는 경우에는,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치 와이어에 의한 회전 토크가 치열 교정기에 작용 한 경우에도, 브라켓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뚜껑부가 열리거나 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내에서 아치 와이어의 탈락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끈 상체는, 브라켓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1 결합 홈부와,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 2의 결합 홈부에 계합하는 경우에는, 끈 상체에 브라켓 본체와 개폐 뚜껑부로 연결할 때는, 끈 상체를 브래킷 본체와 개폐 뚜껑부에 계합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끈 상체는, 브라켓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 1 결합 홈부와,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에 계합하는 경우에는, 끈 상체에 브라켓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로 연결할 때, 끈 상태를 관통 구멍부에 통과시킨 다음,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부에 계합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할 수 있으며, 끈 상체의 일부를 관통 공부에 통과시키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에서 더 큰 회전 토크가 치열 교정기에 작용해도,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가, 치아의 설측 표면을 따라 치아 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 반경에 배치된 앞니와 송곳니 치열 교정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브래킷 본체가 아치 와이어에 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잠금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치열 교정기 치아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이 R15 ~ R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 치료자의 치아의 평균적인 곡면에 부합 할 수 있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를 아치 와이어에 대해 더 매끄럽게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한, 상악에 설치되는 브래킷 본체부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이 R20인 경우, 예를 들어 피 치료자의 상악 중절 치아와 송곳니의 평균적인 곡면에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를 아치 와이어에 대응하여 가장 매끄럽게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한, 하악에 설치되는 브래킷 본체부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이 R15인 경우, 예를 들어 피 치료자의 하악 중절 치아와 송곳니의 평균적인 곡면에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치열 교정기를 아치 와이어에 가장 매끄럽게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가, 치아의 설측 표면을 따라 치아 열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는 소구치에 치열 교정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브래킷 본체가 아치 와이어에 접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잠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열 교정기의 치아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은,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를 삽입 통과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응하여 개폐 자재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 연결된 개폐 뚜껑부를 가지며, 상기 브라켓 본체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 측의 내벽면의 직경이, 상기 제 2의 면부와는 반대쪽인 제 1의 면부 측의 벽면의 지름보다 넓은 충전 구멍부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의 상기 제 1의 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면부 측을 세트 업 치형 모형의 혀 측면 표면에 접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상기 충진 구멍부로 침입시키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공정과,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아치 와이어를 삽통하는 공정과, 상기 브라켓 본체부와 상기 개폐 뚜껑부를 상기 아치 와이어와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를 삽통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응하여 개폐 자재하도록 브라켓 본체부에 연결된 개폐 뚜껑부를 가지며, 브라켓 본체부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 측의 벽면의 직경이, 제2의 면부와는 반대쪽인 제 1의 면부 측의 내벽면의 지름보다 넓은 충전 구멍부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 제1의 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제1의 면부에 도포한 접착제의 일부가 충전 구멍부에 효율적으로 침입되어, 충전 구멍부에 접착제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치열 교정기를 세트 업 치형 모형의 모형 치아의 설측 표면에 접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를 도포한 제1의 면부 측을 모형 치아의 설측 표면에 맞닿아 치열 교정기를 세트 업 치형 모형에 고정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충진 구멍부로 침입시키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제1의 면부 측에 도포 한 접착제는, 치열 교정기를 모형 치아에 접촉했을 때 충전 구멍부에 밀어져서 침입되어, 충전 구멍부에 충분한 양의 접착제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통 홈부에 아치 와이어를 삽입 통과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치열 교정기에 아치 와이어를 설치하여, 치아에 대응되게 일정한 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를 아치 와이어와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브라켓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의 체결 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치 와이어에서 회전 토크가 치열 교정기에 작용 한 경우에도, 브라켓 본체부에 대하여 개폐 뚜껑부가 열리거나 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내에서 아치 와이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를 아치 와이어와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공정은,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 1 결합 홈부와,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2의 결합 홈부에 끈 상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끈 상체에 브라켓 본체와 개폐 뚜껑부로 연결될 때는, 끈 상체를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에 계합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를 아치 와이어와 방해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공정은,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 1 결합 홈부와,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에 끈 상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끈 상체에 브라켓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로 연결할 때는, 끈 상태를 관통 구멍부에 통과시킨 다음, 브래킷 본체부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부에 계합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끈 상체의 일부를 관통 공부에 통과시키기 위해, 아치 와이어에서 더 큰 회전 토크가 치열 교정기에 작용해도, 브래킷 본체부와 개폐 뚜껑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은, 간단한 가공으로 치아에 대한 설치를 공고히 하고,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치열 교정기를 치아에 부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a)는 분해 된 상태의 정면측(설측)의 도면이고, 도 (b)는 조립 된 상태의 배면측(치아 측)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측면도이며, (a)는 개폐 뚜껑부를 연 상태, (b)는 개폐 뚜껑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요부 확대도이고, (a)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경우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b)는 선형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 충전 구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접착제를 충전하기 전의 상태, (b)는 접착제를 충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끈 상체를 장착 한 사시도이고, (a)는 치료 초기 단계의 상태, (b)는 치료 후기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a)는 분해 된 상태, (b)는 조립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측면도이며, (a)는 개폐 뚜껑부를 연 상태, (b)는 개폐 뚜껑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 충전 구멍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접착제를 충전하기 전의 상태, (b)는 접착제를 충전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a)는 분해 된 상태, (b)는 치료 초기 단계의 상태, (c)는 치료 후기 단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참고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a)는 분해 된 상태, (b)는 조립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에 제공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상, 치열 교정기(1)을 하악측의 치아(T)에 장착 한 상태에 따라 설명하고, 상악 방향을 상방, 하악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한다.
도 1은 피 치료자로부터 채취 한 치형 인상에 따라 제작 한 하악 측의 세트 업 치형 모형(M)에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기(1)을 설치 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치열 교정기(1)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세라믹 등을 원료로, 치아(T)의 종류(주로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견치 T3, 제1 소구치 T4, 제2 소구치 T5)에 따라 다른 형상을 한 치열 교정기(1)가 치아(T)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치열 교정기(1)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세라믹 등을 원재료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구강내에서 가혹한 사용 환경에도 열화, 부식, 및 파손의 우려가 없고 의학적으로 안전성이 확인 된 재료라면 어떤 재질이라도 좋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a)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치열 교정기(1a)는, 설명의 편의상,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설치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치열 교정기(1a)는 다른 치아(T) (예를 들면 제1 소구치 T4, 제2 소구치 T5 등)에 부착 할 수 있다.
치열 교정기(1a)는,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에 따른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세로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주로 브라켓 본체부(2a), 개폐 뚜껑부(3a), 치아 당접 판부(4a)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부(2a)는, 치아(T)에 장착했을 때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으로 비스듬히 위쪽을 향해 개구(상악 측의 치아(T)에 장착한 경우에는 경사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는, 아치 와이어(W)가 삽입된, 초기 형상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피 치료자의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브래킷 본체부(2a)을 피 치료자에 설치 한 상태에서, 비스듬히 위쪽(경사 하방)에 개구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어떤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형상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 내에 아치 와이어(W)를 설치 한 상태에서,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를 평면에서 볼 경우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배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 반경(R15 ~ R20)에서 부드러운 원호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즉,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피 치료자의 치열에 따라 아치 와이어(W)를 성형하면, 아치 와이어(W)의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해당 위치에 만곡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아치 와이어(W)의 만곡부에 따르도록,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부드러운 원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악 측의 치아의 곡률보다 상악 측의 치아의 곡률 쪽이 완만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악 측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a)에 형성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곡률 반경(R20)을, 하악 측에 설치되는 절치용 교정기(1a)에 형성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곡률 반경을 R15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치아 열 방향에 따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견치(T3)에 각각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a)가 아치 와이어(W)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며, 피 치료자에 장착시에 치열 교정기(1a)의 잠금 현상을 방지하고, 치열 교정기(1a)의 피 치료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곡률 반경을 R15 ~ R20의 범위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피 치료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자들이 검토를 거듭 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형성되는 아치 와이어(W)의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R15 ~ R20의 범위 내에 들어가, 특히 상악 측의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a)에 형성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곡률 반경을 R20, 하악 측의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a)에 형성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곡률 반경을 R15로 하는 것으로, 가장 부드럽게 치열 교정기(1a)를 아치 와이어(W)에 대응시켜 슬라이딩(습동)할 수 있었다.
또한, 견치(T3)는, 피 치료자에 의해 아치 와이어(W)을 치열에 따라 형성할 때, 치아(T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만곡부가 형성되지 않고 직선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열 교정기(1)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원호 형상이 아닌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들은, 피 치료자 치열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하부 측에는, 후술하는 관지핀(22)이 삽통 가능한 본체측 관축구멍(23)이 형성된 한 쌍의 본체측 관축부(24)가 혀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의 상부 측에는, 후술하는 끈 상체(5)의 일부가 결합 가능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1 결합 홈부(25)가 브라켓 본체부(2a)의 치아 열 방향에 따라 윗쪽으로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어 있다.
개폐 뚜껑부(3a)는, 그 외측 면이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 본체부(2a)의 본체측 관축 구멍부(23)에 중합하는 뚜껑측 관축 구멍부(31)가 형성된 뚜껑측 관축부(32)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개폐 뚜껑부(3a)를 브래킷 본체부(2a)에 설치시에는, 개폐 뚜껑부(3a)의 뚜껑측 관축 구멍부(31)와, 브래킷 본체부(2a)의 본체측 관축 구멍부(23)을 중합하여, 관지핀(22)을 삽입시켜 고정하여, 개폐 뚜껑부(3a)가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대응하여 개폐 자재가 되도록 설치된다.
즉, 브라켓 본체부(2a)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아치 와이어(W)를 설치할 때,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a)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대응되게 열린 상태로, 아치 와이어(W)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설치 한 후,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a)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대응하여 닫힌 상태로, 아치 와이어(W)가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개폐 뚜껑부(3a)의 외부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단, 개폐 뚜껑부(3a)의 외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치열 교정기(1a)를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 설치 한 경우에도, 피 치료자의 혀가 개폐 뚜껑부(3a)에 접촉했다고 해도, 피 치료자는 통증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개폐 뚜껑부(3a)의 외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개폐 뚜껑부(3a)는 관지핀(22)을 통해 브래킷 본체부(2a)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개폐 뚜껑부(3a)가 브래킷 본체부(2a)에 형성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 설치 방법은 공지의 수단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뚜껑부(3a)의 일단 측이며, 뚜껑측 관축 구멍부(31)의 근방에는, 후술하는 끈 상체(5)가 결합 가능한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2의 결합 홈부(33)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개폐 뚜껑부(3a)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개폐 뚜껑부(3a)의 단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공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치아 당접 판부(4a)는, 도 2와 같이 접하는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의 형상을 따라 휨 가동되고, 일면 측에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1의 면부 (41)를 가지며, 제1의 면부 (41)와 반대측인 타면측(브라켓 본체 측)의 대략 중앙 영역에 일체 적으로 성형되는 브래킷 본체부(3a)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43)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42)를 가지고있다.
여기서, 반드시, 치아 당접 판부(4a)는 접하는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의 형상을 따라 절곡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치아 당접 판부(4a)가 휨 가공 되어있는 것으로, 치아 당접 판부(4a)의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대한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간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브라켓 본체부(3a)와 치아 당접 판부(4a)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브라켓 본체부(3a)와 치아 당접 판부(4a)는 별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치아 당접 판부(4a)는, 브라켓 본체부(2a)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 4 개, 위쪽에 2 개, 아래쪽에 1 개의 총 11개의 충전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아 당접 판부(4a)의 제1의 면부(41) 측인 충전 구멍부(44)의 주위에는 제1의 면부(41)로부터 치아(T) 측을 향해 복수의 돌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충전 구멍부(44)는 총 11 개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충전 구멍부(44)의 수는 치아 당접 판부(4a)의 면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충전 구멍부(44)는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상 위치, 및 고착 면부(43)의 상방, 하방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고착 면부(43)의 주변이면 어느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적어도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칭으로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접착제(R)에 의한 빠짐을 방지하는 방지 부재로서의 효과가 치열 교정기(1)의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충전 구멍부(44)는 도 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으로, 제2의 면부(42) 쪽 내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단차부(46)를 가지고 있으며, 제1의 면부(41) 쪽 지름에 대해 제2의 면부(42) 쪽의 지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면부(42)쪽에는, 한 쌍의 충전 구멍부(44)의 약 중심을 통과하도록 단면상 약 V 자 모양의 V자 홈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이 충전 구멍부(44)의 제1의 면부(41) 쪽 지름에 대응되게 제2의 면부(42) 쪽의 지름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5 (b)와 같이 충전 구멍부(44) 내에서 경화된 접착제(R)가 치아 당접 판부(4a)의 외측 방향으로 빠져 정지되어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반드시, 단차부(46)는 충전 구멍부(44)의 내 벽면의 제2의 면부(42) 측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충전 구멍부(44)의 구성으로, 제1의 면부(41) 쪽 지름에 대응하여 제2의 면부(42) 쪽의 지름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단차부(46)는 충전 구멍부(44)의 벽면 어떤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치아 당접 판부(4a)의 제1의 면부(41)는 돌출부(45)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단, 충전 구멍부(44)의 배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45)를 가짐으로써, 제1의 면부(41)에 도포 한 접착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돌출부(45)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제2의 면부(42)쪽에는, V 자형 홈부(47)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단, V 자형 홈부(47)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충전 구멍부(44)로부터 침입 한 접착제(R)의 제2의 면부(42)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V 자 홈부 (47)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4a)를 포함한 치열 교정기(1a)를, 예를 들면 피 치료자의 치형 인상에서 제작 한 세트 업 치형 모형(M)의 중절 치아(T1), 측면 전환 치아(T2) 및 견치(T3)에 고정할 때에는, 먼저 치아 당접 판부(4a)의 제1의 면부(41)에 접착제(R)을 도포한다. 이 때, 제1의 면부(41)에 도포 된 접착제(R)의 일부는, 도 5 (b)와 같이 충전 구멍부(44)에 침입 한 후 경화한다.
이 때, 충전 구멍부(44)의 제1의 면부(41) 쪽의 지름이 제2의 면부(42) 쪽 지름에 대해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경화된 접착제(R)가 치아 당접 판부(4a)의 설측 방향으로 빠져 멈추어 방지 부재로써 기능한다. 따라서, 세트 업 치형 모형(M)에서 분리되어,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 장착 한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끈 상체(5)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a)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대해 닫힌 위치로 한 상태에서, 아치 와이어(W)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개폐 덮개부(3a)의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끈 모양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탄성의 수지 부재(이하, "탄성 끈 상체(51)"라 한다.)과 스테인레스 부재 (이하 "스테인레스 끈 상체(52)"라 한다)를 사용한다. 이러한 끈 상체(5)는, 피 치료자의 치료 단계에 따라 탄성 끈 상체(51)와 스테인레스 끈 상체(52)가 구분된다.
먼저,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는, 도 6(a)와 같이 탄성 끈 상체(51)를 브래킷 본체부(2a)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부(25)와, 개폐 뚜껑부(3a)에 형성된 제2 결합 홈부(33)의 각각에 계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브래킷 본체부(2a)와 개폐 뚜껑부(3a)가 일체화 된다.
한편, 치료가 진행되어, 치료의 후기 단계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끈 상체(52)을 브래킷 본체부(2a)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부(25)와, 개폐 뚜껑부(3a)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34)에 계합하여 연셜시킴으로써, 브래킷 본체부(2)와 개폐 뚜껑부(3a)가 일체화 된다.
여기서, 반드시,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 끈 상체(5)로 탄성 끈 상체(51)를 사용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끈 상체(52)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단,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는, 직경이 작은 아치 와이어(W)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W)에서 치열 교정기(1a)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는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탄성 끈 상체(51)을 사용했다고 해도 아치 와이어(W)에서 발생하는 회전 토크에 의해 탄성 끈 상체(51)가 손상 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탄성 끈 상체(5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드시, 치료 후기 단계에서, 끈 상체(5)로 스테인레스 끈 상체(52)를 사용하지 않아도, 예를 들어 탄성 끈 상체(51)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단, 치료 후기 단계에서는, 초기에 비해 큰 직경의 아치 와이어(W)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W)에서 치열 교정기(1a)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스테인레스 끈 상체(52) 대신 탄성 끈 상체(51)를 사용하는 경우, 아치 와이어(W)에서 발생하는 회전 토크에 의해 탄성 끈 상체(51)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치료의 후기 단계에서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끈 상체(5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b)에 대하여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소구치(제1 소구치(T4), 제2 소구치(T5))에 설치 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치열 교정기(1b)는 다른 치아(T)(예를 들어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견치(T3))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의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b)에 대해서도, 주로 브라켓 본체부(2b), 개폐 뚜껑부(3b), 및 치아 당접 판부(4b)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 본체부(2b)는,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으로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소구치(T4), 제2 소구치(T5)의 설측 표면 형상은, 기본적으로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직선이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치열에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치 와이어(W)에 대응하여 치열 교정기(1b)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브래킷 본체부(2c)를 치아(T)에 설치 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어떤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브라켓 본체부(2b)는, 후술하는 개폐 덮개부(3b)의 뚜껑측 관축부(32)에 형성된 돌출부(35)가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 맞춤 오목부(26)가 설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동시에, 이 끼워 맞춤 오목부(26)에 인접하여 관지핀(22)이 삽통 가능한 본체측 관축 구멍부(23)가 형성된 한 쌍의 본체측 관축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뚜껑부(3b)는, 그 외측면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라켓 본체부 (2b)의 본체측 관축 구멍부(23)에 중합하는 뚜껑측 관축 구멍부(31)가 형성된 뚜껑측 관축부(32)에, 관지핀(22)을 통해 개폐축이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뚜껑부(3b)의 뚜껑측 관축부(32)의 소정의 위치에는, 브래킷 본체부(2b)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26)가 결합 가능하며, 좌우로 돌출되는 돌출부 (35)를 가지고 있다.
즉, 브라켓 본체부(2b)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아치 와이어(W)를 설치하는 경우는, 도 8(a)와 같이 개폐 뚜껑부(3b)를 열린 상태로, 아치 와이어(W)을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장착 한 후,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b)를 닫힘 상태로, 아치 와이어(W)가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 때, 개폐 뚜껑부(3b)의 돌출부 (35)가 브라켓 본체부(2b)의 끼워 맞춤 오목부(26)에 결합하여, 브라켓 본체(3b) 및 개폐 뚜껑부(4b)를 일체화 할 수 있다.
여기서, 반드시, 개폐 뚜껑부(3b)는 관지핀(22)을 통해 브래킷 본체부(2b)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개폐 뚜껑부(3b)가 브래킷 본체부(2b)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 설치 방법은 공지의 수단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개폐 뚜껑부(3b)의 형상은 약 반구 면상일 필요는 없고, 부드러운 곡선 모양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반드시, 브라켓 본체부(2b)와 개폐 뚜껑부(3b)는, 개폐 뚜껑부(3b)에 마련된 돌기부(35)가 브래킷 본체(2)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26)에 감합됨으로써 일체화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전술한 탄성 끈 상체(51)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치아 당접 판부(4b)는, 일면 측에 제1 소구치(T4), 및 제2 소구치(T5)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평활한 제1의 면부(41)를 가지며, 타면측의 약 중앙 영역에 브라켓 본체부(2b)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43)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4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치아 당접 판부(4b)는, 제1 소구치(T4), 제2 소구치(T5)의 설측 표면의 형상을 따라 볼록하게 가공되어 있다.
치아 당접 판부(4b)의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상 위치에, 각 3개(총 6개)의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충전 구멍부(44)는, 도 9 (a)와 같이 치아 당접 판부(4b)의 제2의 면부(42) 측에서 제1의 면부(41) 측에 걸쳐 약 끝이 가는 형상(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충전 구멍부(44)는 총 6개가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치아 당접 판부(4b)의 치아(T)에 대한 설치 면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충전 구멍부(44)는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고착 면부(43)의 둘레면 치아 당접 판부(4b)의 어떤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고착 면부(43)를 사이에 두고 치아 열 방향으로 대상이 되는 위치에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접착제(R)에 의한 빠짐을 방지하는 방지 부재로써의 효과가 치열 교정기(1b) 전체에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치아 당접 판부(4b)의 제1의 면부(41)는 평활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a)의 제1의 면부(41)와 같이, 돌출부(45)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충전 구멍부(44)의 형상으로, 제2의 면부(42) 측에서 제1의 면부(41) 측에 걸쳐 약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실시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구멍부(44)의 내벽면에 단차부를 형성시켜 충전 구멍부(44)의 제1의 면부(41) 쪽의 지름이 제2의 면부(42) 측의 직경에 대해 광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구멍부(44)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4b)를 포함한 치열 교정기(1)b를 제1 소구치(T4), 또는 제2 소구치(T5)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치아 당접 판부(4b)의 제 1의 면부(41)에 접착제(R)을 도포한다. 제1의 면부 (41)에 도포한 접착제(R)의 일부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구멍부(44)에 침입 한 후, 경화한다.
이 때, 충전 구멍부(44)가 제2의 면부(42)로부터 제1의 면부(41)까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경화된 접착제(R)가 치아 당접 판부(4b)의 설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세트 업 치형 모형(M)에서 분리하여,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 장착 한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c)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소구치(제1 소구치(T4), 제2 소구치(T5))에 설치 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치열 교정기(1c)는 다른 치아(T)(예를 들어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견치(T3))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1c)에서는, 도 10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c)의 형상이 제2 실시 예와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1c)의 개폐 뚜껑부(3c)에서는, 개폐 뚜껑부(3c)에 관통 공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공부(3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 교정기 (1a)의 관통 공부(34)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먼저,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는, 도 10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뚜껑부(3c)의 뚜껑측 관축 구멍부(31)에 형성된 돌출부(35)가, 브래킷 본체부(2c)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26)에 감합되는 것으로, 브래킷 본체부(2c)와 개폐 뚜껑부(3c)가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는, 사용하는 아치 와이어(W)로, 지름이 작은 아치 와이어(W)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W)에서 치열 교정기(1c)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는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돌출부(35)와 끼워 맞춤 오목부(26)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치료가 진행되어, 치료의 후기 단계에서는,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끈 상체(52)을 브래킷 본체부(2c)에 형성된 제1 결합 홈부(25)와, 개폐 뚜껑부(3c)에 형성된 관통공부(34)에 계합시켜 연결시킴으로써, 브래킷 본체부 (2c)와 개폐 뚜껑부(3c)가 일체화된다.
이 때, 치료의 후기 단계에서는, 사용하는 아치 와이어(W)로, 치료 초기에 비해 큰 직경의 아치 와이어(W)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치 와이어(W)에서 치열 교정기(1c)에 대해서는, 치료 초기보다 큰 회전 토크가 작용한다. 따라서, 돌출부 (35)와 끼워 맞춤 오목부(26)의 결합뿐만 아니라 브래킷 본체부(2c)와 개폐 뚜껑부(3c)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없다. 이 점, 스테인레스 끈 상체 (52)를 제 1의 결합 홈부(25)와 관통 구멍부(34)에 계합시켜 연결함으로써, 아치 와이어(W)에서 치열 교정기(1c)에 큰 토크가 작용 한 경우에도, 브래킷 본체부(2c)와 개폐 뚜껑부(3c)의 일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반드시, 끈 상체(5)로 스테인레스 끈 상체(52)를 사용하지 않아도, 예를 들어 탄성 끈 상체(51)을 사용해도 좋다. 단, 아치 와이어(W)에서 작용하는 일정한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끈 상체(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참고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d)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참고 예에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에 설치 한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치열 교정기(1d)는 다른 치아(T)(예를 들면 제1 소구치(T4), 제2 소구치(T5)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동시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참고 예에 따른 치열 교정기(1d)는,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에 따른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수직 형상을 하고 있으며, 주로 브라켓 본체부(2d), 개폐 뚜껑부(3d), 및 치아 당접 판부(4d)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중절 치아(T1), 및 측면 절치(T2)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d)는, 치아 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 반경(R15 ~ R20)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치열 교정기(1d)가 아치 와이어(W)에 습동(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송곳니(T3)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기(1d)는, 피 치료자의 치열 상태에 따라, 소정의 곡률 반경(R15 ~ R20)에서 원호 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 뚜껑부(3d)는, 그 외측면이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끈 상체(5)가 계합하는 단면상 약 오목한 형상의 제2의 결합 홈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치아 당접 판부(4d)는, 일면 측에 중절 치아(T1), 측면 절치(T2), 및 견치(T3)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평활한 제1의 면부(41)를 가지며, 제1의 면부(41)와 반대측인 타면측(브라켓 본체부(2d) 측)의 약 중앙 영역에 브라켓 본체부(3d)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43)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42)를 가지고 있다.
끈 상체(5)는, 개폐 뚜껑부(3d)를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21)에 대해 닫힌 위치로 한 상태에서, 아치 와이어(W)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개폐 뚜껑부(3d)의 개방 위치로 이동을 규제하는 끈 형상의 부재이며, 탄성 끈 상체(51)와 스테인리스 끈 상체(52)를 사용할 수 있다. 끈 상체(5)는, 도 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결합 홈부(25)와 제2 결합 홈부(33)에 계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브래킷 본체부(2d)와 개폐 뚜껑부(3d)가 일체화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기, 및 치열 교정기의 설치 방법에서는, 간단한 가공에 의해 치아에 대한 설치를 공고히 하고, 피 치료자의 구강 내에서 장기에 걸쳐 충분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1,1a, 1b, 1c, 1d 치열 교정기
2a, 2b, 2c, 2d 브라켓 본체부 21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
22 관지핀 23 본체측 관축 구멍부
24 본체측 관축부 25 제1 결합 홈부
26 끼워 맞춤 오목부 3a, 3b, 3c, 3d 개폐 뚜껑부
31 뚜껑측 관축 구멍부 32 뚜껑측 관축부
33 제2 결합 홈부 34 관통 구멍부
35 돌기부 4a, 4b, 4c, 4d 치아 당접 판부
41 제 1의 면부 42 제 2의 면부
43 고착 면부 44 충전 구멍부
45 돌출부 46 단차부
47 V 자형 홈부 5 끈 상체
51 탄성 끈 상체 52 스테인레스 끈 상체
T 치아 T1 중절 치아
T2 측면 절치 T3 견치
T4 제1 소구치 T5 제2 소구치
M 세트 업(set-up) 치형 모형 R 접착제
W 아치 와이어

Claims (16)

  1. 아치 와이어가 삽통 가능하며 단면상 오목한 형상의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가 형성된 브라켓 본체부와,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해 개폐 자재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 관축를 통해 연결된 개폐 뚜껑부와,
    일면 측에 치아의 설측 표면에 접촉되는 제1의 면부, 제1의 면부와는 반대측이고, 상기 브라켓 본체부가 고착되는 고착 면부를 포함하는 제2의 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면부 측에 상기 제2 면부 측의 내벽면의 지름이 넓은 충전 구멍부가 형성된 치아 당접 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치아 당접 판부의 상기 제1의 면부에는, 상기 충전 구멍부의 배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치아 당접 판부의 상기 제2의 면부에는, 상기 충전 구멍부의 배열 방향을 따라 단면상 V자 모양의 V자 홈부가 형성된
    치열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부는,
    내벽면의 소정의 위치에 단차부가 형성된
    치열 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부는,
    상기 제2의 면부 측에서 상기 제1의 면부 측에 걸쳐 내벽면이 테이퍼진 형상인
    치열 교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구멍부는, 상기 고착 면부의 주변에 복수로 형성된
    치열 교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는 단면상 오목한 형상의 끼워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뚜껑부에는, 상기 개폐 뚜껑부를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대해 열린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됐을 때,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치열 교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부와 상기 개폐 뚜껑부를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에 삽통한 아치 와이어와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하는 끈 상체를 갖는
    치열 교정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끈 상체는,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오목한 형상의 제1 결합 홈부와, 상기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단면상 오목한 형상의 제2 결합 홈부에 계합되는
    치열 교정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끈 상체는, 상기 브라켓 본체부에 형성된 단면상 오목한 형상의 제1 결합 홈부와, 상기 개폐 뚜껑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부에 계합되는
    치열 교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는, 치아의 설측 표면을 따라 치아 열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시켜 형성된
    치열 교정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은 R15 ~ R2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치열 교정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악에 설치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부의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이 R20이며,
    하악에 설치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부의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의 곡률 반경이 R15인,
    치열 교정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 와이어 삽통용 홈부는, 치아의 설측 표면을 따라 치아 열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된
    치열 교정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7036633A 2016-11-24 2017-11-22 치열 교정기 KR102130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7451 2016-11-24
JP2016227451 2016-11-24
PCT/JP2017/042095 WO2018097209A1 (ja) 2016-11-24 2017-11-22 歯列矯正具、および歯列矯正具の取付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571A KR20190008571A (ko) 2019-01-24
KR102130753B1 true KR102130753B1 (ko) 2020-07-06

Family

ID=6219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633A KR102130753B1 (ko) 2016-11-24 2017-11-22 치열 교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5284B2 (ko)
EP (1) EP3449866B1 (ko)
JP (1) JP6684363B2 (ko)
KR (1) KR102130753B1 (ko)
CN (1) CN109310486B (ko)
WO (1) WO2018097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513B1 (ko) 2019-05-15 2021-04-12 이도훈 치아교정용 와인더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379277B1 (ko) * 2021-11-16 2022-03-29 주식회사 임진과학 무선주파수 발생기를 내장한 치아 부착용 브래킷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79A (ja) 2001-02-28 2002-09-10 Tomii Kk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2006297052A (ja) * 2005-03-22 2006-11-02 Tetsuya Shimoda 歯列矯正具
WO2011004031A1 (fr) 2009-07-10 2011-01-13 Pascal Baron Support ameliore pour collage sur surface dentaire
KR101008742B1 (ko) * 2003-07-22 2011-01-14 오거스타 디베럽먼츠 인코퍼레이티드 아치 와이어와 사용되는 치과교정장치
JP2013121367A (ja) * 2010-03-23 2013-06-20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構成体とその移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091A (en) * 1972-07-31 1973-10-16 M Northcutt Orthodontic onlay for light-wire technique
JPS5624094B2 (ko) 1974-04-20 1981-06-04
JPS51131198A (en) * 1975-04-30 1976-11-15 Gac Int Inc Tooth row reforming bed
JPS5982013U (ja) * 1982-11-25 1984-06-02 藤田 欣也 歯科矯正装置
JPS6066739A (ja) * 1983-09-22 1985-04-16 菅野 米雄 保持力を強化した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4547153A (en) * 1984-12-13 1985-10-15 Taylor Robert F Orthodontic appliance
US4659309B1 (en) * 1985-04-25 1993-05-18 American Orthodontics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with rhomboidal profile
US5474448A (en) * 1990-01-19 1995-12-12 Ormco Corporation Low profile orthodontic appliance
US5435720A (en) * 1994-01-18 1995-07-25 Riebschleger; Ronald P. Retentive orthodontic dental bracket
JPH10155812A (ja) * 1996-12-04 1998-06-16 Kenjiro Yamada 歯列矯正用ワイヤー支持具
JP2000096103A (ja) 1998-09-18 2000-04-04 Injex Corp 金属粉末射出成形品のアンダーカットの形成方法およびアンダーカットを備える金属粉末射出成形品
CN201333102Y (zh) * 2009-01-21 2009-10-28 东红岗 一种外伤脱位牙三维固定托槽
CN101502449B (zh) * 2009-03-12 2012-02-22 高翔宇 可调口腔正畸托槽定位装置及其定位方法和应用
WO2011040050A1 (ja) * 2009-09-30 2011-04-07 Shimoda Tetsuya 歯列矯正用具
WO2012020810A1 (ja) * 2010-08-12 2012-02-16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ポリアミド製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US20130261153A1 (en) 2012-04-03 2013-10-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Use of ccr3-inhibitors
KR101433302B1 (ko) * 2012-07-11 2014-08-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교정용 브라켓 어셈블리
JP5624094B2 (ja) 2012-08-28 2014-11-12 哲也 下田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CN202960801U (zh) * 2012-12-31 2013-06-05 烟台毓璜顶医院 底板带有网孔及裂沟的托槽
JP2014144200A (ja) 2013-01-30 2014-08-14 Tomii Kk 歯列矯正用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79A (ja) 2001-02-28 2002-09-10 Tomii Kk 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101008742B1 (ko) * 2003-07-22 2011-01-14 오거스타 디베럽먼츠 인코퍼레이티드 아치 와이어와 사용되는 치과교정장치
JP2006297052A (ja) * 2005-03-22 2006-11-02 Tetsuya Shimoda 歯列矯正具
WO2011004031A1 (fr) 2009-07-10 2011-01-13 Pascal Baron Support ameliore pour collage sur surface dentaire
JP2013121367A (ja) * 2010-03-23 2013-06-20 Dentsply Sankin Kk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構成体とその移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9866B1 (en) 2021-10-20
US11045284B2 (en) 2021-06-29
JP6684363B2 (ja) 2020-04-22
WO2018097209A1 (ja) 2018-05-31
EP3449866A4 (en) 2019-12-04
CN109310486A (zh) 2019-02-05
JPWO2018097209A1 (ja) 2019-10-17
KR20190008571A (ko) 2019-01-24
EP3449866A1 (en) 2019-03-06
US20190209271A1 (en) 2019-07-11
CN109310486B (zh)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105B1 (ko)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KR102130753B1 (ko) 치열 교정기
CA3018850C (en) Orthodontic bracket
US3510946A (en) Orthodontic appliance
US7226287B2 (en) Kits comprising a plurality of bite ramps having different angles for orthodontic treatment
US6368106B1 (en)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20160296303A1 (en) Orthodontic System Anchoring Method and Apparatus
TWI663964B (zh) 咀嚼式牙齒矯正裝置
US7404404B2 (en) Anterior sextant dental bite tray apparatus
US10045836B2 (en) Flexible orthodontic splint
US20160206404A1 (en) Hybrid bioadaptative self-ligating bracket
US7293987B2 (en) Adjustable bite ramps for deep bite correction and kits incorporating bite ramps
JP5394593B1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US10932889B2 (en) Orthodontic bracket
KR102242491B1 (ko)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JP2022532858A (ja) 歯列矯正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20050244779A1 (en) Method of correcting a deep bite condition using adjustable bite ramps
JP2021527493A (ja) 歯科矯正治療の方法、歯科矯正器具用の保持要素としてのパールの使用法、および歯科矯正治療用のパール
JP6746294B2 (ja) 遺体用臼歯接着用器具
Halabi Retainers: A Comparative Guide
Shastri et al. Correction of minor crowding using thermoformed appliance with selective tri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