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256B1 - 치아교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아교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256B1
KR101701256B1 KR1020150117833A KR20150117833A KR101701256B1 KR 101701256 B1 KR101701256 B1 KR 101701256B1 KR 1020150117833 A KR1020150117833 A KR 1020150117833A KR 20150117833 A KR20150117833 A KR 20150117833A KR 101701256 B1 KR101701256 B1 KR 101701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resent
adhesive
orthodontic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송영준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덴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덴탈
Priority to KR102015011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은, 치열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고정되는 몸체부와 치아와 대면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치아와 상기 몸체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수용 및 상기 접착제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교정 브라켓{Orthodontic brackets}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접착 압력에 의해 브라켓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이다.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치열교정장치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브라켓(Bracket)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각 브라켓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wire)와,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결속시키는 결속타이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치열교정 방법은, 치아의 표면에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고정한 후 각 치아에 고정된 치열교정용 브라켓들을 치열교정용 와이어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해 발생되는 힘으로 고르지 못한 치열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을 치아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통해 상기 브라켓을 접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해,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열교정을 마칠 때까지 치아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치열교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브라켓이 치아의 표면에 견고히 접착되어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브라켓을 치아에 견고하게 접착시킨 경우, 상기 브라켓을 치아로부터 탈거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시술자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탈거 후에도 접착제의 흔적이 남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브라켓 접착부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높은 접착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용이한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접착부의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접착부의 면적이 최소화될 경우에는, 시술자가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 시 압착에 따른 느낌을 판단하기가 어려워 브라켓이 치아 측으로 충분히 밀착되었는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브라켓이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접착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착부에 형성된 홈 사이로 접착제가 유동되어 외측으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고, 외관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395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써, 시술자가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 시 발생하는 접착압력에 의해 접착제가 브라켓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 브라켓은, 치열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고정되는 몸체부와 치아와 대면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치아와 상기 몸체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수용 및 상기 접착제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개방부의 외측에 상기 개방부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보조누설방지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형성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브라켓을 치아에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브라켓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 시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정량 이상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접착제의 확산 방향을 제어하여 시술자가 의도한 방향으로만 확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브라켓의 외부로 확산된 접착제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에서 돌기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접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에서 돌기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부 내측에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 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에서 돌기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은 몸체부(100), 수용부(200) 및 개방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치열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0)에 와이어가 고정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의 몸통을 관통하며 고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체결장치로 고정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부(100)에는 와이어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홈에 와이어가 안착되고 별도의 체결장치로 고정을 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치아와 대면하는 몸체부(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00)는 일실시예로 몸체부(100)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용부(200)는 몸체부(100)에서 치아와 대면하는 일면의 둘레를 따라 몸체부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져 접착제가 몸체부(100)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넓은 지지 면적을 제공하며, 수용부(2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치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00)는 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치아(T)와 접촉하는 일면이 치아(T)의 굴곡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부(200)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돌기부(270)를 포함한다. 돌기부(270)는 브라켓이 치아(T)와 접착 시 접착제와 브라켓의 접착면적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270)가 치아(T)와 접촉 가능한 높이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치아(T)와 접착제의 접촉 면적은 감소하기 때문에 브라켓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브라켓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270)의 개수, 형상 및 위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00)의 일측에는 개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부(200)에 개방부(250)가 형성되는 이유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 시 수용부(200) 내측의 공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충분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개방부(250)는 접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는 경우, 브라켓이 치아(T)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량 이상의 접착제가 수용부 외부로 접착제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정량 이상의 접착제는 개방부(25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시술자는 외부로 배출된 접착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25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250)는 수용부(20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수용부(200)는 전체적으로 치아에 접촉되도록 동일한 높이를 가지나, 일부에 함몰된 개방부(250)가 형성되어 개방부(250) 부분이 치아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치아에 접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이 치아(T)에 접착 시에는 수용부(20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수용부(200)를 치아에 대면하도록 압착시키게 되며, 이때 수용부(200)에 형성된 개방부(250)를 통해 공기 및 정량 이상의 접착제가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수용부(200) 내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 및 정량 이상의 접착제에 의해 치열교정 브라켓이 치아에 충분히 압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에서 돌기부를 포함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브라켓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수용부(20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의 경우, 수용부(200)는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수용부(200)는 몸체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둘레부를 가지는 격벽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면, 본 실시예의 함몰 형성된 수용부(200)는 몸체부(100) 내측의 공간에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는 홈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돌기부(270)를 포함하며, 함몰되어 있는 수용부(200) 일측에 개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돌기부(270)와 개방부(250)의 효과와 형태의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지 않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부 내측에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수용부(200)의 개수가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수용부(200)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로 구비되는 수용부(200)에는 각각 개방부(250) 및 돌기부(270)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수용부(200)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수용부(200)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치아는 각각 다른 모양과 곡률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각각 다른 치아 곡면에 따라 접착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수용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5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4 실시예의 경우, 개방부(250)는 수용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홈(210)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개방부(250)는 함몰 형성되어 치아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가지는 반면, 본 실시예의 관통홈(210)은 수용부(20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치아에 대면하는 수용부(200)는 치아에 전체 영역이 접촉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치아교정 브라켓을 치아에 접착 시 접착면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접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5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브라켓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수용부(200)에 보조누설방지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보조누설방지부재(230)는 개방부(250)의 외측에 개방부(25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개방부(250)를 통해 확산되는 접착제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수용부(200)에 의해 접착제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나, 소량이 개방부(250)를 통해 확산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보조누설방지부재(230)가 더 구비되어, 2차적으로 접착제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보조누설방지부재(230)의 형상 및 높이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몸체부 200 : 수용부
210 :관통홀 230 : 보조누설방지부재
250 :개방부 270 : 돌기부

Claims (10)

  1. 치열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고정되는 몸체부; 및
    치아와 대면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치아와 상기 몸체부를 접착시키는 접착제의 수용 및 상기 접착제가 상기 몸체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상기 수용부 내측의 공기 및 과수용된 상기 접착제가 배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외측에 상기 개방부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보조누설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배출된 접착제의 확산이 방지되는 치아교정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 형태로 형성되는 치아교정 브라켓.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교정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브라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교정 브라켓.
KR1020150117833A 2015-08-21 2015-08-21 치아교정 브라켓 KR10170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33A KR101701256B1 (ko) 2015-08-21 2015-08-21 치아교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33A KR101701256B1 (ko) 2015-08-21 2015-08-21 치아교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256B1 true KR101701256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33A KR101701256B1 (ko) 2015-08-21 2015-08-21 치아교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2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35B1 (ko) * 2017-06-02 2017-11-30 차소 치아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9578A (ko) 2017-08-18 2019-02-27 권순성 치아교정용 브라켓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WO2021049892A1 (ko) * 2019-09-10 2021-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KR20230064779A (ko) 2021-11-04 2023-05-11 권지용 지지 면적 가변형 치아 교정용 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8B1 (ko) * 2008-09-08 2010-08-24 문승수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0989407B1 (ko) * 2010-02-04 2010-10-25 문성혜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019290B1 (ko) * 2010-11-18 2011-03-07 문성혜 치열 교정용 버칼 튜브
KR20120003694U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03952A (ko) 2011-03-11 2012-09-20 이동연 치아 교정 장치 커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708B1 (ko) * 2008-09-08 2010-08-24 문승수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0989407B1 (ko) * 2010-02-04 2010-10-25 문성혜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019290B1 (ko) * 2010-11-18 2011-03-07 문성혜 치열 교정용 버칼 튜브
KR20120003694U (ko) * 2010-11-18 2012-05-29 휴비트 주식회사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용 브래킷
KR20120103952A (ko) 2011-03-11 2012-09-20 이동연 치아 교정 장치 커버 어셈블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235B1 (ko) * 2017-06-02 2017-11-30 차소 치아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9578A (ko) 2017-08-18 2019-02-27 권순성 치아교정용 브라켓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WO2021049892A1 (ko) * 2019-09-10 2021-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및 간접 부착방법
KR20210030821A (ko) * 2019-09-10 2021-03-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242491B1 (ko) 2019-09-10 2021-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교정장치 간접 부착기기
KR102118302B1 (ko) * 2020-05-08 2020-06-02 주식회사 지앤드아이 자가 결찰 치열 교정 브래킷 조립체
US11452582B2 (en) 2020-05-08 2022-09-27 Gni Co., Ltd.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230064779A (ko) 2021-11-04 2023-05-11 권지용 지지 면적 가변형 치아 교정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56B1 (ko) 치아교정 브라켓
US4180912A (en) Orthodontic light wire appliance
WO2005096984A3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JP5871261B2 (ja) 歯列矯正治療用チューブ
KR101019290B1 (ko) 치열 교정용 버칼 튜브
US4919615A (en) Orthodontic band cap
US6565355B2 (en) Apparatus for precisely locating an orthodontic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surface of a tooth
KR101489625B1 (ko) 치열 교정기구
US4889485A (en) Orthodontic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tooth
WO2006083524A3 (en) Dental tray system with releasable hold inner and outer dental trays
WO2007133518A3 (en) Modulating agents for antimicrobial coatings
WO2009150634A3 (en) Orthodontic devices
JP5314809B1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EP3449866B1 (en) Orthodontic appliance
DE60214145D1 (de) An einer rückschicht gebundenes hydrog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2163283B1 (ko) 치과 교정용 앵커링 장치 및 시스템
EP1655000A4 (en) MEDICAL LIGHTING DEVICE
FI3613380T3 (fi) Hammassuojus ja tarjotin ja menetelmä sen muodostamiseksi
JP5394593B1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JP2006297052A (ja) 歯列矯正具
JP2007050030A (ja) 歯列矯正用キャップおよび歯列矯正用アタッチメント
WO2006118834A3 (en) Exoskeleton support for placement of a dental treatment strip
US20120129125A1 (en) Dental matrix band
JP6044011B1 (ja) 爪矯正具
KR101192710B1 (ko) 인조손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