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287A - 치과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287A
KR20210056287A KR1020207031379A KR20207031379A KR20210056287A KR 20210056287 A KR20210056287 A KR 20210056287A KR 1020207031379 A KR1020207031379 A KR 1020207031379A KR 20207031379 A KR20207031379 A KR 20207031379A KR 20210056287 A KR20210056287 A KR 20210056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ember
dental
ring
model
fixed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 베나루쉬
델핀 마지브뤼쉬
Original Assignee
디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앤디 filed Critical 디앤디
Publication of KR2021005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fixed to teeth with a band; Ban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0Devices for preventing finger-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치과용 확장기는,
- 환자의 치열궁의 제 1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1 브래킷 부재,
- 상기 환자의 치열궁의 제 2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2 브래킷 부재,
-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확장기가 상기 치열궁에 고정되는 서비스 위치에서 확장기가 상기 치열궁을 확장하는 작용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활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이하의 연속 단계들,
a) 고정 치아를 가진 치열궁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또는 "아치 모델" 을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캐너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아치 모델 및 환자에게 적용될 치료를,
- 제 1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갖는,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및/또는
- 제 2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갖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및/또는
- 상기 활성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의 모델을,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고, 및/또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의 모델을,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며, 및/또는 상기 활성 부재의 모델을, 상기 활성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디바이스
본 발명은 치과용 디바이스, 치과용 고정 링, 및 이러한 링 및 이러한 치과용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디바이스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하나, 두 개 또는 두 개 초과의 브래킷 부재들을 가지며, 각각의 브래킷 부재는 "고정 치아" 라고 하는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 예를 들어 접착 결합된다.
또한 브래킷 부재들에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정 치아들에 작용 (action) 을 가하는 기능을 가진 활성 부재를 가진다. 이러한 작용은, 예를 들어 당기는 작용일 수 있다.
브래킷 부재들은 통상적으로 치과용 고정 링들 및 교정용 브래킷들 중에서 선택된다.
치과용 고정 링은 종래에 접착제 또는 밀봉 시멘트를 사용하여 어금니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쉘이다. 이를 위해, 링은 종래에 탄성 변형성을 가져서 고정 치아에 클립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1) 은 고정 치아에 압입 결합 (force-fit engagement) 만을 허용하는 치수의 개구 (O) 를 규정한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치아에 결합하는 동안, 개구를 규정하는 에지는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 (Lmax) 을 통과할 때까지 상기 개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변형된다. 이 윤곽선을 통과한 후, 이 에지는 고정 치아의 언더컷 표면 (Scd) 상에 지지하면서 원래 위치로 탄성 복귀하여, 이 치아상의 위치에 링을 유지한다 (도 1c).
교정용 브래킷은, 링처럼, 치아에 고정, 종래대로 접착 결합되도록 의도된다. 링과 반대로, 교정용 브래킷은 고정 치아를 둘러싸는 쉘을 형성하지 않는다.
교정용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앞니, 송곳니 또는 소구치, 바람직하게는 치아의 전정 또는 설측 측면에 고정된다.
링은 후방 섹터들의 다중 브래킷 디바이스를 보완할 수 있다. 후방 섹터들에 가해지는 저작력은 분리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링이 교정용 브래킷들보다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후방 섹터에서의 링들과 소구치, 송곳니 및 앞니상의 교정용 브래킷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요구에 더 잘 맞추어져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치과용 디바이스에 대한 영구적인 필요성이 있다.
특히 브래킷 부재들, 특히 링들의 프로토타입들을 설계하고 시험하기 위해, 교정을 위한 방문 횟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치과용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치과용 디바이스를 준비하는 동안, 환자가 겪는 통증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치과용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를 가진 치과용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환자의 제 1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1 브래킷 부재;
-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된 활성 부재;
상기 방법은 이하의 연속 단계들을 가진다:
a) 고정 치아를 가진 치열궁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또는 "아치 모델" 이,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캐너, X 선 스캐너 또는 콘 빔 CT,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캐너에 의해 생성되는 단계;
b) 아치 모델 및 바람직하게는 환자에게 적용될 치료를:
- 제 1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갖는, 제 1 브래킷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및/또는
- 활성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단계;
c) 제 1 브래킷 부재의 모델을,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며, 및/또는 활성 부재의 모델을, 상기 활성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단계;
d) 브래킷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내부면이 외부면의 거칠기보다 더 큰 거칠기를 갖도록 처리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단계 c) 에서, 컴퓨터는, 이하를 규정하도록, 제 1 브래킷 부재의 모델 및/또는 활성 부재의 모델에 기초하여 제조된 치과용 디바이스의 작용을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된다.
- 제 1 브래킷 부재의 홈의 형상 및/또는 배향, 및/또는
- 활성 부재의 형상 및/또는 구성 재료, 및/또는
- 제 2 브래킷 부재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기저, 치조 또는 치아 교정이 환자에 대해 시뮬레이션된다.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프린팅된 제 1 브래킷 부재는, 제 1 고정 치아의 교합면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바닥 및 상기 제 1 고정 치아를 둘러싸도록 의도된 측벽을 갖는 교정용 브래킷 또는 치과용 고정 링일 수 있으며, 측벽은 설측 벽, 전정 벽 및 제 1 및 제 2 근위 벽들로 구성된다.
제 1 브래킷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코발트-크롬 합금, 티타늄, 니켈-티타늄 합금 및 티타늄-니오븀 합금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된다.
활성 부재는 일반적으로 브래킷 부재의 고정 후에 제 1 브래킷 부재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이에 부착될 수 있다.
치과용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브래킷 부재, 및 2 개의 브래킷 부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활성 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활성 부재는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크로스피스 또는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즉, 연결 부재는 이에 고정되기 전에 브래킷 부재들과는 독립적이다. 크로스피스는 또한 고정되기 전에 브래킷 부재와는 독립적일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부재와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연결 부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브래킷 부재들이 각각 치아에 고정된 후에, 브래킷 부재들에 고정되도록 제자리에 놓일 수 있다. 그러면 연결 부재는 초기에 브래킷 부재들과는 독립적이다.
연결 부재는, 예를 들어 브래킷 부재들에 형성된 홈들 또는 외피들에서 슬라이드하는, 예를 들어 형상 기억을 갖는 교정용 아치와이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의 고정에 사용될 때, 브래킷 부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체결구를 가진다. 브래킷은 특히 고정되기 전에 연결 부재가 배열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또한 제 1 브래킷 부재에 용접될 수 있고, 이는 연결 부재가 측정하도록 형성될 때 특히 유리하다.
활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다:
- 환자의 제 2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2 브래킷 부재에 제 1 브래킷 부재를 연결하는 크로스피스;
- 제 1 브래킷 부재를 제 2 브래킷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 1 브래킷 부재, 특히 교정용 아치와이어, 예를 들어 Delaire 이중 아치와이어, 구개 횡단 아치와이어 또는 설측 아치와이어에 배치되고 고정되도록 의도되는, 상기 연결 부재.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는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는 액추에이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보철사에 의해 측정되도록 형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교정의사에 의해 미리 형성된 부재의 접힘에 의해 얻어진다.
활성 부재가 연결 크로스피스이면, 제 2 브래킷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브래킷 부재, 바람직하게는 연결 크로스피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즉 이들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동시에 제조되는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특히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다중 브래킷 치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브래킷 부재들 및 브래킷 부재들과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연결 크로스피스를 가지며, 이 디바이스내에서 브래킷 부재들 및 연결 크로스피스는 환자의 치아에 특별히 가해지는 작용에 따라 규정된다.
여러 치아를 서로 연결하면 치아 고정을 보장하고 치아의 임의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방지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치아 그룹의 견인 (retraction) 또는 상악간 트랙션 또는 치아 분리를 위해 의도된 종래의 다중 브래킷 치과용 디바이스들은, 치열궁의 레벨링을 종종 필요로 하는 큰 단면의 강 교정용 아치와이어들을 사용하여 고정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브래킷 치과용 디바이스로, 유리하게는 레벨링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치료 기간이 단축된다.
제 2 브래킷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단계 b) 에서 생성된 제 2 브래킷 부재의 모델에 기초하여 단계 c) 에서,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되고 그리고 제 2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가진다.
치과용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중에서 선택되는 부속품을 가질 수 있다:
- 연결 부재의 고정을 위한 제 1 고정 부재용 체결구; 및/또는
- 상악간 탄성 트랙션 디바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후크;
- 전정 또는 설측일 수 있는, 연결 부재의 통과를 위한 외피;
- 스페이서;
- 전정 지대치.
부속품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제 1 브래킷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주요 변형예에 따라서, 활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코발트-크롬 합금, 티타늄, 니켈-티타늄 합금 및 티타늄-니오븀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된다.
활성 부재의 형상 및 형상 기억 특성들은 바람직하게는 환자에게 적용될 치료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제 1 주요 변형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과용 디바이스가 환자의 필요에 완벽하게 맞는 작용을 허용함을 발견하였다.
3D 프린팅은 또한 신속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특정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부재의 형상 기억은, 활성 부재가 환자의 입에 고정되기 전에, 종래에 냉각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그 후에, 체온은 형상 기억을 재활성화하여, 치과용 디바이스가 의도된 작용,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이고 개별적으로 맞춰진 작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브래킷 부재들 및 활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형상 기억 합금을 사용하여 제조된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형상 기억을 억제하기 위해 브래킷 부재들에 열처리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2 주요 변형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단계 c) 에서, 활성 부재가 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 1 브래킷 부재에 홈을 형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배향은, 특히 활성 부재에 의해 환자의 치아에 가해지는 작용에 따라 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형상 및/또는 배향을 규정하기 위해 컴퓨터는 환자의 치조/치아 교정을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홈이 형성된 후, 상기 활성 부재는 상기 홈에 배치되고 그 후에 상기 홈에 고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제 2 주요 변형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치과용 디바이스가 환자의 필요에 완벽하게 맞는 작용을 허용함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활성 부재는 유리하게는 종래의 연결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 다중 브래킷 치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브래킷 부재들 및 활성 부재를 가지며, 이 디바이스에서, 브래킷 부재들은 활성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홈들을 가지며, 홈들은 특히 활성 부재에 의해 환자의 치아에 가해질 작용에 따라서 규정되고, 브래킷 부재들의 하나 이상은 대안으로 활성 부재와 동시에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브래킷 치과용 디바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브래킷 디바이스와 동일한 장점을 가진다. 추가로, 제거가능한 연결 부재 형태의 활성 부재를 사용하면, 브래킷 부재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다른 작용을 하는 다른 연결 부재로 교체하기 위해, 연결 부재의 작용이 완료되면 이 연결 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치과용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구개 확장의 작용과 치아 정렬의 작용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활성 부재들을 가질 때, 연결 부재의 변경은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부재들의 작용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활성 부재의 정렬 작용은, 유리하게는 구개 확장시 작용하는 연결 부재가 구개 확장에 대해 수동적인 연결 부재로 대체될 때,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주요 변형예에 따라서,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단계 b) 에서, 링 모델은 단계 c) 로 인한 링이:
- 링이 고정 치아에 고정되는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고정 치아와 인접한 치아의 접촉 영역상에서 연장되지 않도록; 그리고/또는
- 언더컷 표면을 가지 않고, 즉 서비스 위치에서 재 1 고정 치아의 언더컷 표면에서 지지되지 않도록; 그리고/또는
- 서비스 위치에서, 제 1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연장되지 않거나, 바람직하게는 언더컷 영역을 규정하지 않으면서 제 1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연장되지 않도록, 규정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제 3 주요 변형예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고정 치아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치아를 밀어 내지 않고 그리고 가장 큰 윤곽선에 근접한 제 1 고정 치아의 표면을 압축하지 않으면서, 링이 제 1 고정 치아상에 위치되도록 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링은 제 1 고정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잘 부합한다.
통상적인 실시와는 반대로, 링의 언더컷 표면이 없으면, 유리하게는 클립핑 없이, 즉 제 1 고정 치아의 언더컷 표면상에 링을 지지할 필요없이, 링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자들은, 최종적으로, 접착 결합 후, 링이 유리하게는 매우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됨을 확립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4 주요 변형예에 따라서,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단계 b) 에서, 링 모델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확장되는 바닥을 링이 가지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링의 바닥은 제 1 고정 치아의 교합면에 놓이도록 의도된다. 링의 바닥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유리하게는 고정 치아에 대한 링과 대합치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한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수단에 의해 링이 분리될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링은 환자에 의해 보다 잘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멍은, 서비스 위치에서, 구멍의 바닥이 고정 치아의 저작면을 부분적으로도 덮지 않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5 주요 변형예에 따라서,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방법은 단계 c) 이후, 링의 표면이 처리되는 단계 d)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d) 에서, 링의 내부면이 연마되지 않으면서 링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마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의 내부면의 거칠기가 외부면의 거칠기보다 크면, 고정 치아상에 링을 고정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킨다.
물론, 본 발명의 상이한 주요 변형예들의 상이한 특성들은, 선택이든지 아니든지, 결합될 수 있다.
고려중인 주요 변형예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다음의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활성 부재는, 자극의 영향하에서, 바람직하게는 확장기가 서비스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발생하는 온도 상승의 영향하에서 변형가능한 형상 기억 재료 또는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 재료를 갖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로 구성되고;
- 단계 c) 이후, 확장기가 환자의 입의 서비스 위치에 고정되기 전에 냉각에 의해 활성 부재의 형상 기억이 비활성화되고, 형상 기억 재료는 환자의 체온이 상기 형상 기억을 재활성화시키도록 선택되며;
- 단계 c) 에서, 활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및/또는 제 2 브래킷 부재와 일체로 제조되고;
- 단계 c) 에서, 활성 부재는 제 1 브래킷 부재 및/또는 제 2 브래킷 부재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 단계 d) 에서, 제 1 브래킷 부재의 내부면이 연마되지 않으면서 브래킷 부재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마되고;
-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단계 b) 에서, 링 모델은 설측 벽 및/또는 전정 벽의 높이가 제 1 근위 벽 및/또는 제 2 근위 벽의 높이보다 크도록 규정되며;
-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단계 b) 에서, 링 모델은 설측 벽 및/또는 전정 벽이 바닥에서부터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연장되는 방식으로 규정되고;
- 제 1 브래킷 부재는 링이고, 단계 b) 에서, 제 1 근위 벽은 서비스 위치에서 제 1 고정 치아와 접촉 영역을 통하여 이 제 1 고정 치아와 접촉하는 인접한 치아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의도될 때, 링 모델은 상기 서비스 위치에서, 제 1 근위 벽이 상기 접촉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 c) 에서, 치과용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되며, 이하를 가진다.
- 브래킷 부재들의 어셈블리,
-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셈블리의 브래킷 부재들을 연결하는 활성 부재, 및
- 상기 브래킷 부재들이 각각의 고정 치아에 고정되는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브래킷 부재들을 이들의 상대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체.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치과용 디바이스의 간접 접착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의 위치결정 및 접착 결합이 이에 의해 단순화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체는 브래킷 부재들이 치아에 고정된 후에 분리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의 치료 동안 분리가능하지 않으므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과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디바이스는, 특히 확장기, 견인기 및 엄지 보호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확장기에 맞춰진다. 특히, 확장기를 측방향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확장기의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람직하게는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된 활성 부재로 대체된다. 그러면 활성 부재가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구개의 확장은 개별적으로 맞춤화될 수 있고, 확장 정도는 이러한 확장 정도를 제공하도록 조정된 활성 부재를 제조하는 방식으로, 컴퓨터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확장기는 유리하게는 고정되고, 확장은 환자 일부에 대한 임의의 특별한 작용없이 수행된다.
정의
"저작면" 은 링 없이 저작 동안 고정 치아가 대합치궁 (antagonist arch) 의 하나 이상의 치아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고정" 은 "명확한" 연결, 즉 예를 들어 교정기 (orthodontic aligner) 와는 반대로, 환자에 의한 고의적인 분리를 허용하지 않는 연결이다.
"아치 모델" 은 상기 아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나타내는 모델로 이해된다.
"가장 큰 윤곽선" 은 치아의 가장 큰 윤곽을 규정하는 선에 대해 종래에 사용되는 표현이고, 윤곽은 치아의 X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치아의 외부면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치아를 둘러싸는 선이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선행 기술에 따라 링을 고정하는 것과 관련된 여러 단계들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원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 은 본원에 따른 링의 고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 ~ 도 4e 는 본원에 따른 링을 갖는 치과용 디바이스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 은 서두에 설명되었으므로, 이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한다.
본원에 따른 링 (2) 은 연결 부재의 고정을 허용하는 링 체결구 (4) 가 제공된 쉘 (3) 을 가지고, 이 링 체결구는, 서비스 위치에서 고정 링 (2) 이 부착되는 고정 치아 (Df) 에 힘을 가한다.
링 (2) 은 고정 치아의 교합면상에 지지하도록 의도된 바닥 (10) 또는 "교합 벽", 및 서비스 위치에서 바닥 (10) 에서부터 잇몸 (G) 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 (12) 을 가진다. 바닥 (10) 은 이를 관통하는 구멍 (16) 을 가지고, 이 구멍 (16) 은 서비스 위치에서 고정 치아의 저작면이 대합치 (Dg) 와 접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구멍 (16) 은,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 링의 바닥이 고정 치아의 저작면을 부분적으로도 덮지 않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구멍 (16) 의 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치아의 저작면의 표면적의 0.5 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0.8 배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배 초과 및/또는 1.2 배 미만, 바람직하게는 1.1 배 미만이다. 구멍의 표면적의 이러한 제한은, 유리하게는 링의 내부면이 고정 치아에 대한 효과적인 고정을 보장하도록 한다.
측벽 (12) 은, 서비스 위치에서 혀 반대측에서 연장되는 설측 또는 구개 벽 (121), 설측 벽 (121) 반대측에 그리고 서비스 위치에서 볼 및/또는 입술에 대면하는 전정 벽 (122), 및 제 1 근위 벽 및 제 2 근위 벽 (123 및 124) 으로 구성되고, 이 근위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비스 위치에서 고정 치아와 및 인접한 치아 (Da) 를 분리시킨다.
벽의 "높이" 는 링의 바닥 (10) 으로부터 링의 Y 축을 따라 측정된 이러한 벽의 치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설측 벽 (121) 및/또는 전정 벽 (122) 의 높이는 제 1 근위 벽 및/또는 제 2 근위 벽의 높이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설측 벽 (121) 및/또는 전정 벽 (122) 의 높이는 1 mm 초과 및/또는 15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근위 벽 및/또는 제 2 근위 벽의 높이는 0.5 mm 초과 및/또는 10 mm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설측 벽 및 전정 벽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근위 벽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지만, 설측 벽 (121) 및/또는 전정 벽 (122) 은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위치에서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 (Lmax) 을 넘어 연장되지 않는 방식으로 바닥 (10) 으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근위 벽이 고정 치아 (Df) 와 접촉 영역 (Zc) 을 통하여 고정 치아와 접촉하는 인접 치아 (Da)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의도되면, 이러한 근위 벽의 높이는 서비스 위치에서 접촉 영역 (Zc) 에 도달하지 않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링 (2) 의 고정은 고정 치아 (Df) 와 인접한 치아 (Da) 사이의 통로를 강제할 필요가 없다.
바닥 (10) 과 측벽 (12) 은 함께 분지 (basin) 를 형성하는데, 이 분지는 분지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 링의 내부면 (14i) 및 분지의 외부를 향해 배향된 외부면 (14e) 을 규정하는 한다.
내부면 (14i) 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촉감이 거칠어, 링 (2) 의 접착 결합 효과를 최적화시킨다.
외부면 (14e) 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촉감이 매끄럽고, 바람직하게는 연마되어, 링의 외관을 개선시킨다.
링 체결구 (4) 는 임의의 원하는 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동 위치에서 연결 부재 (20) 를 수용할 수 있고 활성 위치에서 연결 부재를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연결 부재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등자 형상을 가진다.
종래에, 교정 치료 동안, 연결 부재 (20) 는 2 개의 링들에 고정된다. 이는 활성일 수 있고, 특히 2 개의 링들을 더 가깝게 하거나 서로 이격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은 연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 치아 중 하나 및/또는 둘 다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고정 치아의 상대 위치들을 유지하기 위해 수동적일 수도 있다.
연결 부재는, 특히 형상 기억을 갖는 교정용 아치와이어 또는 형상 기억을 갖는 스프링 또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은, 특히 전술한 단계들에 따라서, 특히 후술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에는 또한 다음이 제공될 수 있다:
- 다른 링 또는 교정용 브래킷에 연결하기 위한 크로스피스;
- 상악간 탄성 트랙션 디바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후크;
- 교정용 아치와이어의 통과를 위한 외피;
- 스페이서;
- 링을 배치하는 동안 유용한 전정 지대치.
본 발명에 따른 링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치과용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속품들과 함께 제조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디바이스의 일예를 도시하고, 이 경우에 확장기는 치열궁의 형상을 따르는 2 개의 연결 크로스피스들 (21) 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링들 (2) 을 가진다. 링들은 후크 (22) 를 보유한다. 도 4b 는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c 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이 경우에 설측 아치와이어는 아치의 윤곽을 따르는 연결 크로스피스 (21) 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링들 (2) 을 가진다. 이 디바이스는 하부 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d 는 엄지 보호대 (24) 를 보유하는 연결 크로스피스 (21) 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링들 (2) 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4e 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이 경우에 견인기는 고정 치아 (Df) 에 고정된 링 (2) 을 가지고 그리고 고정 치아와 지지 치아를 서로 이격하여 유지하도록, 동일한 아치의 지지 치아 (D') 상에 지지되는 스페이서 (26) 를 구비한다. 스페이서 (26) 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형상을 가진다.
스페이서는 치아의 형성 (eruption) 을 위한 추후의 공간인 무치아 영역에 인접한 모든 버전의 치아들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들 모두는 일체형 디바이스들이고 각각 3D 프린팅에 의해 단일 작업으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교정용 브래킷들은 바람직하게는 링과 동시에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된다.
교정용 브래킷은, 링, 연결 크로스피스 및 교정용 브래킷의 어셈블리가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면서, 연결 크로스피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링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특히 앞니/송곳니 블록의 치아들의 견인과 관련하여 치아 고정을 개선하거나, 종래의 다중 브래킷 어플라이언스를 사용하지 않고 특히 치아를 미리 레벨링하고 정렬하지 않고도 상악간 탄성체들을 사용하는데 유용하다. 그 결과 시간 절약이 상당하다.
교정 브래킷은 연결 부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링에 연결될 수 있다. 다중 브래킷 어플라이언스에서, 연결 부재는 교정용 아치와이어이다.
본 방법은 링의 제조와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단계 a) 에서, 교정의사는 "아치 모델" 을 생성하기 위해 고정 치아 (Df) 를 포함하는 치열궁을 스캔한다. 종래의 모든 광학 스캐너들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치아 (Df) 를 포함하는 치열궁의 모델은 그 후에 고정 치아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또는 "치과 모델" 을 생성하기 위해 분할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아치 모델은 치과용 모델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교정의사는 또한 대합치 (Da) 를 스캔하고, 바람직하게는 교합 위치를 결정하여 고정 치아의 저작면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대합치 아치를 스캔한다. 저작면은 또한 교합시 치열궁들의 광학적 인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저작면은 또한 동적 모델링 시스템들 (예를 들어 Modjaw 회사) 을 사용하여 개별화될 수 있다.
단계 b) 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링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또는 "링 모델" 을 설계하기 위해 치과용 모델이 분석되어, 고정 치아의 외부면과 동일한 내부면을 규정한다.
조작자는 바람직하게는 링들의 설계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교정의사들, 바람직하게는 100 명 초과, 1,000 명 초과 또는 10,000 명 초과의 교정의사들과 작업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자가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 (Lmax) 을 결정한다. 아치 모델은 또한 고정 치아가 인접한 치아와 함께 있는 하나 이상의 가능한 접촉 영역들 (Zc) 을 조작자가 결정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접촉 영역 (Zc),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 (Lmax) 및 저작면을 파악하면, 조작자는 그 후에 링 (2) 을 모델링하여, 서비스 위치에서, 이의 내부면 (14i) 이, 가장 큰 윤곽선 (Lmax) 을 넘어 연장하지 않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접촉 영역들 (Zc) 에 도달하지 않으면서, 고정 치아의 표면과 밀접하게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자는 구멍을 포함하는 링 모델을 생성하고, 이 구멍의 치수 및 위치는 링이 고정 치아의 저작면을 덮지 않도록 규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임의의 종래의 모델링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링 모델은 단계 c) 에서 제조된 링이 고정 치아에 클립핑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서비스 위치에 배치한 다음 환자가 수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링 모델은 링의 설측 및 전정 벽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이들 벽들 각각이 서비스 위치에서 잇몸을 향해 실질적으로 가장 큰 윤곽선까지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이를 넘어, 바람직하게는 잇몸/치아 접합부까지 연장되지만 언더컷 표면을 규정하지 않도록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벽들은 하나 이상의 인접한 치아와의 접촉 영역을 넘어 연장된다. 따라서, 접착 결합면을 유리하게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링 모델의 설계는, 특히 링의 서비스 위치에서 기계적 응력에 적합한 재료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보조된다.
단계 c) 에서, 조작자는 단계 b) 에서 생성된 링 모델을 따르도록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터에 의해 링 (2) 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쉘의 재료의 두께 및 성질은 링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방식으로, 특히 손으로 변형될 수 없는 방식으로 규정된다. 특히 합금들 코발트-크롬, 티타늄, 니켈-티타늄, 티타늄-니오븀 또는 모든 생체적합성 금속 합금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링은 고정 치아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교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심지어 일시적이지 않다. 그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링의 바닥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그 중심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구멍 (16) 의 에지에서 실질적으로 0 이 되는 방식으로 가변적이다.
링을 제조하기 위해 3D 프린팅을 사용하면, 유리하게는 임의의 다른 처리 작업없이, 효율적인 접착 결합에 적합한 내부면의 거칠기를 얻을 수 있다.
3D 프린터에 의한 제조는 유리하게 매우 빠르다. 일 실시형태에서, 링은 단계 a) 및 단계 b) 직후에 생성되며, 이는 교정 치료의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연결 크로스피스는 링과 동시에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크로스피스 및 여러 개의 치과용 링들 및/또는 후크들은 3D 프린터에 의해 동시에 제조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치열궁상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부속품들이 또한 링과 동시에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연결 부재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링에 홈이 기계가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홈은 환자에게 적용될 치료에 따라 규정된다. 특히, 홈의 배향은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치아에 특별히 가해지는 작용에 따라 규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조는 링에 대한 추가 프린팅 후, 홈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기계가공에 의해 감산 제조 (subtractive manufacture) 를 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배향은 홈의 단면,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실질적으로 보완하는 단면을 가진 교정용 아치와이어에 의해 표현될 3 차 정보를 포함한다. 교정용 아치와이어의 단면이 홈의 단면과 비슷할수록, 3 차 정보가 보다 더 명확해진다.
단계 d) 에서, 조작자는 바람직하게는 링의 외부면 (14e) 을 연마한다. 유리하게는, 외부면 (14e) 은 이에 따라서 내부면 (14i) 보다 덜하고, 치아의 거칠기에 보다 근접한 거칠기를 가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내부면은 연마되지 않는다. 따라서, 3D 프린팅으로 인한 내부면 (14i) 의 거친 미세조직이 보존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미세 릴리프들을 생성하여 거칠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면에 레이저 방사선을 인가함으로써 거칠기를 증가시킨다.
링을 고정하기 위해, 교정의사는 종래에 링의 내부면 (14i) 및/또는 고정 치아에 접착제 또는 밀봉 시멘트를 도포한다. 종래에 교정에 사용되는 모든 접착제 또는 밀봉 시멘트을 사용할 수 있다.
링이 내부적으로 언더컷 표면을 규정하지 않으면서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연장될 때, 링의 내부면은 (잇몸의 방향으로) 이 선을 넘어 고정 치아의 언더컷 표면으로부터 거리를 둔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링의 내부면과 고정 치아의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언더컷 영역을 채우기 위해 접착제 또는 밀봉 시멘트의 양을 조정한다.
그 후, 교정의사는 고정 치아에 링을 적용한다. 고정 치아의 형상과 동일한 내부면 (14i) 의 형상은 고정 치아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정확하고 신속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면 (14i) 의 거칠기는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제 2 고정 치아상에 도시되지 않은 제 2 링 (또는 교정용 브래킷) 을 배치한 후, 교정의사는 2 개의 링들의 체결구들에 연결 부재 (20) 를 위치시킨 후, 연결 부재 (20) 와 2 개의 링들 각각 사이의 견고한 연결을 보장하도록 이러한 링 체결구들을 활성화시킨다.
임상 상황에 따라서, 제 2 링을 교정용 브래킷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 후, 연결 부재 (20) 는 원하는 교정 치료에 따라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링들에 의해 고정 치아들상에 인장 또는 압축력이 가해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링이 인접한 치아에 의해 압축되지 않고 고정 치아의 언더컷 표면에 지지되는 벽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링이 고정 치아에 매우 효과적인 고정을 허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상세하게 설명된 방법은 또한 활성 부재, 특히 연결 부재 또는 크로스피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은 적용될 치료에 따라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환자의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설계되며, 이러한 힘은 환자의 치아의 특정 형상에 따른다.
활성 부재는, 특히 종래의 확장기의 액추에이터를 대체할 때, 형상 기억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4D" 재료라고 하는 폴리머 재료, 즉 서비스 위치에서 발생하는 온도 상승, 즉 20 ℃ (주변 온도) 또는 20 ℃ 미만의 온도와 약 37 ℃ 사이의 온도 상승을 적용하여 변형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재료로도 제조될 수 있다.
확장기의 경우에, 활성 부재의 재료, 바람직하게는 확장기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자극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활성화된 후, 확장기의 종래의 기능인 치열궁을 확장시키는 경향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부재는 상기 온도 상승의 영향하에서 견인가능하거나 팽창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를 가지거나 심지어 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온도 증가의 영향하에서 활성 부재의 부피 변형은 상기 온도 상승 이전의 초기 부피의 1 %, 2 %, 5 %, 8 %, 10 %, 20 % 또는 심지어 50 % 보다 크다.
부재는 상기 온도 상승의 영향하에서 점진적으로 또는 즉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부재를 활성화하기 위한 자극은 방사선, 특히 광선, 적외선, 자외선 또는 음향 방사, 부재 환경의 습도 및/또는 산도 및/또는 온도 및/또는 화학적 조성의 변경, 전류 및/또는 전압 및/또는 자기장의 인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자극은 1 시간 미만, 30 분 미만, 60 초 미만, 30 초 미만, 10 초 미만, 5 초 미만, 1 초 미만의 기간 동안 인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디바이스의 배치는 임의의 특별한 어려움도 제기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치과용 디바이스는 3D 프린팅에 의해 모든 브래킷 부재들을 이들의 상대적인 서비스 위치들에 대응하는 상대적인 위치들에 유지하는 지지체와 함께 제조된다. 따라서, 브래킷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접착 결합에 의해 동시에 그리고 매우 정밀하게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체는 브래킷 부재와 동일한 재료로 프린트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과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치아에 고정한 후, 지지체와 브래킷 부재들 사이의 접합부를 연마함으로써 브래킷 부재로부터 지지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지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접합부는 가요성이고, 이는 특히 브래킷 부재가 언더컷 치아 표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압력 표면을 규정하면, 치과용 디바이스의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가요성은 접합부들의 단면을 수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속한 교정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특히 분리기들을 장착한 후 링들을 시험하기 위해, 교정의사를 방문하는 횟수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맞춤형 치과용 디바이스, 특히 조합된 다중 브래킷 정렬 및 레벨링 디바이스 (교정용 브래킷들 + 링들) 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치과용 디바이스의 개별 맞춤화는 또한 마무리 시간을 줄여 전체 치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브래킷 부재들의 형상 및 장착은 고통이 없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고, 이는 설명 목적으로만 제공된다.
특히, 브래킷 부재, 특히 링은 특히 연결 부재의 부착을 위한 실질적으로 고정 지점을 규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고정 치아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치과용 디바이스는 각각의 외피들 또는 홈들에 고정된 여러 개의 활성 부재들 (크로스피스들 및/또는 연결 부재들) 을 가질 수 있고, 외피들 또는 홈들은 전정 또는 설측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는 구개 확장을 생성하거나 구개 확장을 유지하기 위해, 구개의 레벨에서 제 1 브래킷 부재에 고정된 제 1 활성 부재 및 치아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 제 2 브래킷 부재들, 바람직하게는 홈들에 고정된 교정용 아치와이어 형태의 제 2 활성 부재를 가진다. 따라서, 구개 확장 및 치아 정렬의 두 가지 치료 작용들을 결합할 수 있다.

Claims (15)

  1.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치과용 확장기는,
    - 환자의 치열궁의 제 1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1 브래킷 부재,
    - 상기 환자의 상기 치열궁의 제 2 고정 치아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제 2 브래킷 부재,
    -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상기 확장기가 상기 치열궁에 고정되는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확장기가 상기 치열궁을 확장하는 작용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활성 부재
    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이하의 연속 단계들,
    a) 고정 치아를 가진 치열궁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또는 "아치 모델" 을 바람직하게는 광학 스캐너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아치 모델 및 환자에게 적용될 치료를,
    - 상기 제 1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갖는,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및/또는
    - 상기 제 2 고정 치아의 표면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재현하는 내부면을 갖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및/또는
    - 상기 활성 부재의 3 차원 디지털 모델
    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의 모델을,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고, 및/또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의 모델을,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며, 및/또는 상기 활성 부재의 모델을, 상기 활성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하기 위한 기초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부재는 자극의 영향하에서 변형가능한 형상 기억 재료 또는 폴리머 및/또는 세라믹 재료를 갖거나 바람직하게는 이 재료로 구성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부재를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자극은 방사선, 특히 광선, 적외선, 자외선 또는 음향 방사, 부재 환경의 습도 및/또는 산도 및/또는 온도 및/또는 화학적 조성의 변경, 전류 및/또는 전압 및/또는 자기장의 인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부재를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자극은 상기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확장기로 인한 온도 상승인,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이후, 상기 활성 부재의 형상 기억은 상기 확장기가 환자의 입에 고정되기 전에 냉각에 의해 비활성화되고, 상기 형상 기억 재료는 환자의 체온이 상기 형상 기억을 활성화시키도록 선택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상기 활성 부재는 일체형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또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와 일체로 제조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상기 활성 부재는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또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또는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는 상기 제 1 고정 치아 (Df) 의 교합면상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바닥 (10) 및 상기 제 1 고정 치아를 둘러싸도록 의도된 측벽 (12) 을 갖는 치과용 고정 링이고, 상기 측벽은 설측 벽 (121), 전정 벽 (122) 및 제 1 근위 벽 (123) 및 제 2 근위 벽 (124) 으로 구성되며,
    단계 b) 에서, 상기 링 모델은 단계 c) 에서 발생하는 링이,
    - 상기 링이 상기 고정 치아에 고정되는 서비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 치아 (Df) 와 인접한 치아 (Da) 의 접촉 영역상에서 연장되지 않도록, 그리고/또는
    - 언더컷 영역을 가지지 않도록, 그리고/또는
    - 언더컷 영역을 규정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을 넘어 연장되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모델은 상기 링 (2) 의 바닥 (10) 이 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16) 을 갖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16) 은 상기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링의 바닥이 상기 제 1 고정 치아의 저작면을 부분적으로도 덮지 않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c) 이후, 상기 브래킷 부재의 내부면은 연마되지 않으면서 상기 브래킷 부재의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연마되는 단계 d) 를 가지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상기 링 모델은 상기 설측 벽 (121) 및/또는 상기 전정 벽 (122) 의 높이가 상기 제 1 근위 벽 및/또는 상기 제 2 근위 벽의 높이보다 크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상기 링 모델은 상기 설측 벽 (121) 및/또는 상기 전정 벽 (122) 이 상기 바닥 (10) 에서부터 상기 고정 치아의 가장 큰 윤곽선 (Lmax) 을 넘어 연장되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상기 제 1 근위 벽은 상기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제 1 고정 치아 (Df) 와 접촉 영역 (Zc) 을 통하여 상기 제 1 고정 치아와 접촉하는 인접한 치아 (Da)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의도될 때, 상기 링 모델은 상기 서비스 위치에서, 상기 제 1 근위 벽이 상기 접촉 영역에 도달하지 않도록 규정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서, 상기 제 1 브래킷 부재 및 상기 제 2 브래킷 부재 및 상기 활성 부재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조되는, 치과용 확장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07031379A 2018-04-09 2019-04-09 치과용 디바이스 KR20210056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3065A FR3079737B1 (fr) 2018-04-09 2018-04-09 Dispositif dentaire
FR1853065 2018-04-09
PCT/EP2019/058945 WO2019197399A1 (fr) 2018-04-09 2019-04-09 Dispositif denta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87A true KR20210056287A (ko) 2021-05-18

Family

ID=6372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379A KR20210056287A (ko) 2018-04-09 2019-04-09 치과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37644A1 (ko)
EP (1) EP3773319A1 (ko)
KR (1) KR20210056287A (ko)
CN (1) CN112702973A (ko)
AU (1) AU2019253130A1 (ko)
CA (1) CA3096294A1 (ko)
FR (1) FR3079737B1 (ko)
WO (1) WO2019197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7995A1 (en) 2012-10-30 2021-07-1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EP3576667B1 (en) 2017-01-31 2023-12-0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20220061963A1 (en) * 2020-09-01 2022-03-03 Dean UltraThin Retainer, LLC Patient specific dental appliances
EP4000554A1 (en) * 2020-11-23 2022-05-25 Dean UltraThin Retainer, LLC Patient specific dental bands for dental appliances
CN114601578B (zh) * 2022-03-11 2024-04-19 上海爱乐慕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预激活扩弓器制造方法、制造系统及预激活扩弓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7499A (en) * 1991-02-27 1992-12-01 Arndt Wendell V Ni-ti orthodontic palatal expansion arch
DE69417650T2 (de) * 1993-01-28 1999-10-07 American Orthodontics Corp Orthodontisches band
US20030124480A1 (en) * 2001-09-24 2003-07-03 Peacock James Clayton Adjustable orthodontic band
US20050186524A1 (en) * 2004-02-24 2005-08-25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er
US20060093982A1 (en) * 2004-11-02 2006-05-04 Huafeng W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a dental aligner
CH709687B1 (de) * 2014-05-23 2018-03-29 Digital Smile Gmbh Kieferorthopädische Apparatu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ieferorthopädischen Apparatur.
US9610141B2 (en) * 2014-09-19 2017-04-04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ing appliance
US10449016B2 (en) * 2014-09-19 2019-10-22 Align Technology, Inc. Arch adjustment appliance
US10959810B2 (en) * 2015-07-07 2021-03-30 Align Technology, Inc. Direct fabrication of aligners for palate expansion and other applications
FR3051352B1 (fr) * 2016-05-18 2021-08-27 D & D Ruban a memoire de forme
US10945818B1 (en) * 2016-10-03 2021-03-16 Myohealth Technologies LLC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US11273011B2 (en) * 2016-12-02 2022-03-15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s and methods of expanding a palate
WO2019100022A1 (en) * 2017-11-17 2019-05-23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re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02973A (zh) 2021-04-23
EP3773319A1 (fr) 2021-02-17
FR3079737A1 (fr) 2019-10-11
WO2019197399A1 (fr) 2019-10-17
US20210137644A1 (en) 2021-05-13
CA3096294A1 (fr) 2019-10-17
AU2019253130A1 (en) 2020-10-29
FR3079737B1 (fr)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6287A (ko) 치과용 디바이스
CN109069227B (zh) 促进牙齿协调移动的正畸器具
JP6968230B6 (ja) 咀嚼式歯列矯正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20210378796A1 (en) Orthodontic tooth movement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314673B2 (en) System for producing a one-piece orthodontic jig and brackets
JP5857041B2 (ja) 歯列矯正装具用の個別化された治具及びその治具と基部とブラケットとにより形成されるアセンブリ
KR20220004150A (ko) 치과 기기 및 관련 제작 방법
KR102434934B1 (ko) 치과교정 장치 및 치과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60346064A1 (en) System for producing a one-piece orthodontic jig and attachments
US11446117B2 (en) 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positioning member
CN115916101A (zh) 设计牙科矫治器的方法
JP2015510425A (ja) 歯科用補綴物を支持する歯支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2312B2 (ja) 歯科矯正ブラケット及び歯科矯正装置
US20220061962A1 (en) Removable dental appliance including spring member
JP2024512591A (ja) 歯科矯正治療計画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109542A (ko) 치과교정용 간접 접합 장치
US20190223984A1 (en) Dental apparatus for bonding orthodontic appliance to dental arch and process thereof
JP2021527493A (ja) 歯科矯正治療の方法、歯科矯正器具用の保持要素としてのパールの使用法、および歯科矯正治療用のパール
WO2023175642A1 (en) Dental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