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62220A1 -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62220A1
WO2021162220A1 PCT/KR2020/017583 KR2020017583W WO2021162220A1 WO 2021162220 A1 WO2021162220 A1 WO 2021162220A1 KR 2020017583 W KR2020017583 W KR 2020017583W WO 2021162220 A1 WO2021162220 A1 WO 20211622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ture
fastening
groove
coupled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5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희진
허중보
이현종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희진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1622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622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for an edentulous pati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vable denture comprising a denture detachable member that has a low degree of wear on the gums of an edentulous patient who has no teeth and can be replaced repeatedly, and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dentures are also referred to as dentures and refer to intraoral prostheses that artificially restore appearance and function by replacing missing natural teeth.
  • the dentures are provided to restore the masticatory function and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 and can be divided into partial/complete dentu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ng teeth, and can be divided into fixed and removable types according to the fixing method.
  • the partial dentures are installed in the partially edentulous area of the maxilla or mandible using residual tissues such as surrounding teeth, alveolar bone and gums, etc. It can be installed to completely enclose.
  • the denture includes an artificial gum part fixed by wrapping around the gum of the target jaw and an artificial tooth part replacing the missing tooth, but may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shape, and occlusal height of different teeth for each subject.
  • conventional dentures are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hydrogel or silicone harmless to the human body is filled inside the tray selected to suit the shape of the tooth along the alveolar bone. Then, an impression is obtained by installing a tray filled with the hydrogel or silicon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a model of the artificial gums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obtained impression.
  • paraffin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el for the artificial gum part, that is,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tooth defect, installed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the thickness of the paraffi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hewing sensitivity.
  •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tooth is set.
  • the first model when the first model is produced corresponding to the model for the artificial gum part and the set height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it can be reinstalled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finely adjusted to a height that can feel comfortable when masticating, and the adjusted 1
  • the dentures are manufactured based on the car model.
  • the measurement and adjustment step for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is performed on the operator's side, such as a dentist, but the direct manufacture of the denture is performed on the manufacturer's side, such as a dental laboratory. Therefore, the workpiece manufactured in each step is repeatedly cross-moved to the operator's side and the manufacturer's side.
  • the patien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model or dentures were properly manufactured in the oral cavity, the patient repeatedly visited the operator's side and installed directly in the oral cavity for adjustment. Due to this,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dentures,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frequent visits by the patient to the operator's side is increased.
  • the denture should be manufactured substantially thin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when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 a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wa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denture and manufactured to be provided.
  • the conventional dentures were manufactured by taking impressions of the target jaw, and by pressing the material for mold manufactu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del, the mold of the reinforcing member was molded.
  • th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mold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discomfort due to a foreign body feeling is aggravated when in direct contact with the gum soft tissue.
  • wax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de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manufactured and insert molded based on this to manufacture a final denture.
  • the existing dentures are maintained by the gums and surrounding mucous membranes, so there are cases where the dentures fall off the gums when masticating or speaking, and patients complain of discomfort.
  • a treatment method was introduced to help prevent dentures from falling out when living by using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implants fixed to the bone and the dentures.
  • the existing implant-denture connection structure used a resilient plastic cap with low wear resistance, it was easily worn and the function was deteriorat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for an edentulous patient who has no teeth, and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s for maintaining the denture by coupling an implant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ar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structures and processes.
  •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are to be placed on the gums 10 of edentulous patients, and the implant 100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implants are placed, and the implant 100 is coupled to the gums.
  • a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for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5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310 is forme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one side are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other side is a joint in which a coupling member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member 500 .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implant 10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 virtually determined. It includes an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nclude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member 310. It provides a denture for edentulous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 the coupling member 200, the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500, and the coupling member 310 and the housing 320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including a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 the denture-shaped part 400 for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320, one side is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other side is a coupling member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It includes a joint member 500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implant 10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 virtually determined. It includes an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the 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220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2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member 310, the coupling member 310 comprising: A fastening part 311 for being fitted into the denture attaching and detaching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housing 3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311 is a coupling member 310 and The housing support part 312 on which the housing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is as follows.
  •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of acquir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an edentulous patient is performed. Thereafter, a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of arranging virtual teeth on the gums acquir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is performed.
  •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 determination step (S3) of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will be placed on the gums of the edentulous patient obtained is performed.
  • a virtual denture fastening member manufacturing step (S5) of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o as to support the teeth in an optimal position is performe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is virtual for fasten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to the joint member 500.
  • a fastening step (S6) proceeds. After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virtual fastening step (S6), the denture-shaped additional fastening step (S7) of fastening the denture-shaped portion 400 coupled with the housing 320 of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300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7). ) and can manufacture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implant 10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virtually.
  • a predetermined number of implant fastening grooves 210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implant placement position,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member 310.
  • joint member 500 is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on one side, and the coupling member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who have no teeth, and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of the implants inserted into the gums by coupling the implant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en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FIG. 1 .
  •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gums of an edentulous patient.
  • FIG. 6 is a flowchart for the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10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the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joi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
  •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oint member is coupled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are to be placed on the gums 10 of edentulous patients, and the implant 100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implants are placed, and the implant 100 is coupled to the gums.
  • a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for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5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310 is forme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one side are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other side is a joint in which a coupling member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member 500 .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implant 10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 virtually determined. It includes an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nclude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member 310. It provides a denture for edentulous patients, characterized in that.
  • the coupling member 200, the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500, and the coupling member 310 and the housing 320 formed to be detachably formed including a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 the denture-shaped part 400 for being coupled to the housing 320, one side is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other side is a coupling member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It includes a joint member 500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implant 10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the position of the implant virtually determined. It includes an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and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the It include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220 of the frame coupling member 200 and a housing 320 tha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member 310, the coupling member 310 comprising: A fastening part 311 for being fitted into the denture attaching and detaching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housing 32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311 is a coupling member 310 and The housing support part 312 on which the housing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is as follows.
  •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of acquir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an edentulous patient is performed. Thereafter, a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of arranging virtual teeth on the gums acquir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is performed.
  •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 determination step (S3) of determining the position where the implant will be placed on the gums of the edentulous patient obtained is performed.
  • a virtual denture fastening member manufacturing step (S5) of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o as to support the teeth in an optimal position is performe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is virtual for fastening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to the joint member 500.
  • a fastening step (S6) proceeds. After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virtual fastening step (S6), the denture-shaped additional fastening step (S7) of fastening the denture-shaped portion 400 coupled with the housing 320 of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300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7). ) and can manufacture dentures for edentulous patient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for an edentulous dental patient and a method for fastening the same.
  • the den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gum 10 of a patient without any teeth. is comprised of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and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hereto.
  • the implant 100 is to be placed on the gum 10 of an edentulous patien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implants are pl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atient's tooth condition. Preferably, 4 to 6 implants are placed on the gum 10,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gum condition.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implant 10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m.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m, and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divided and formed, and on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seat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gum. can be formed to be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formed to include an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and a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
  • the implant fastening groove 210 is for the implant 100 to be accommodated and coupl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mplants 100 to be placed and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s that are virtually determined.
  •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s for the joint member 500 to be accommodated and coupled, and a predetermined number is formed.
  •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is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221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be separated when the joint member 500 is fastened.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ncludes a coupling member 310 coupled to the joint member 500 and a housing 320 that is detachably formed with the coupling member 310 . .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s (220).
  • the coupling member 310 includes a fastening part 311 , a housing support part 312 , a housing fixing part 313 , and a receiving groove 314 .
  • the fastening part 311 is for fitting in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nd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and rotates when it is fitted in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have.
  • the housing support part 312 is formed on the fastening part 311 and is a part on which the housing 320 is seated when the housing 3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310 .
  • the housing fixing part 313 is positioned above the housing support part 312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not to move when the housing 320 is fastened.
  • the receiving groove 314 is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10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ball 323 of the housing 320 .
  • the housing 320 i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member 310 and includes an outer case 321 , an inner case 322 , a receiving ball 323 , and an elastic member 324 .
  • the outer case 321 is to be combined with the denture-shaped portion 400 to form the outer surface.
  • the inner case 322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ase 321.
  • a groove 322a is formed on one side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ball 323, and the coupling member 310 is accommodated.
  • a coupling member accommodating space 322b is formed.
  • the receiving ball 323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viewing groove 322a of the inner case 322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viewing groove 322a.
  • the elastic member 324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321 and the inner case 322 and has one side open so that a part of the receiving ball 323 is accommodated.
  • the elastic member 324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the portion open to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ng ball 323 repeats widening and narrowing.
  • the denture-shaped portion 4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320 and includes a gum-shaped portion 410 and a tooth-shaped portion 420 .
  • the gum-shaped portion 410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is accommodated, and the housing 3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tooth-shaped part 4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gum-shaped part 410 .
  • FIG 11 is a view of the joint member 500, the joint member 500 is fastened to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so that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astened.
  • a member receiving groove 510 is formed.
  • the coupling member accommodating groove 51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thread, and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310 of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to be screwed, but there are various other fastening methods. Of course, it may be formed as much as possible.
  • the joint member 500 further includes a body part 520 and a seating part 530 , the body part 520 is form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member fastening groove 220 , and the seating part 530 is the body part 520 . ), but is formed to be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221 of the joint member fastening groove 220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
  • the joint membe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as shown in FIG. 13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as shown in FIG. 12, and is strongly connected through laser welding or resin cementation to separate make sure it doesn't happen
  • the reason why the joint member 500 is needed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precisely process when forming a groove in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o that the denture attaching and detaching member 300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 Figure 5 is a view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use of den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ure is located in the upper tooth portion.
  • Figure 6 is a view of the denture manufacturing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implant placement positioning step (S3), implant virtual placement step (S4), denture fastening member It proceeds including the virtual production step (S5) and the like.
  •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is a step of acquiring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facial information, edentulous information, and the like.
  • 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is a step of arranging virtual teeth on the gums acquir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S1).
  • FIG 8 is a view of 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in which virtual teeth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ient's gums.
  •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 determination step (S3) is a step of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will be placed on the gums of the edentulous patient obtained after the virtual tooth arrangement step (S2).
  • FIG. 9 is a view of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ing step (S3).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implant can be placed in the four regions (a1, a2, a3, a4).
  • the virtual implant placement step (S4) is a step of virtually placing the implant at the position determined through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ing step (S3).
  •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virtual manufacturing step (S5) is a step of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so as to support the teeth in an optimal position after the virtual implant placement step (S4).
  • FIG. 10 is a view of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virtual manufacturing step (S5), arbitrarily arrang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as shown in FIG. have.
  •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virtual fastening step (S6) is after coupling the joint member 500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produced through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virtual manufacturing step (S5), and then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to the joint member 500.
  • (300) is a step of fastening.
  • soldering method solder
  • it can be coupled by various other coupling methods.
  • solder soldering method
  • the joint member 500 is formed, when the denture is worn out due to repeated use, only a portion of the joint member 500 is separated and replaced with the denture,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gums and shortening the treatment time. There is this.
  • the denture-shaped additional fastening step (S7) is after the denture removable member virtual fastening step (S6), the denture-shaped portion 400 coupled with the housing 320 of the denture detachable member 300 to the denture fastening member 200. This is the contracting step.
  • the optimal denture shape can be manufactured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denture and making 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ure for an edentulous patient comprising a denture detachable member that can be replaced repeated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it is possible to achieve epoch-making technological improvement by solving the problem of poor function due to easy wear and low wear and repeatable repla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아가 하나도 없는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마모도가 적고 반복적으로 교체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틀니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가 하나도 없는 무치악환자를 위한 틀니에 관한 것으로, 틀니체결부재에 임플란트를 결합시킴으로 잇몸으로 삽입되는 임플란트들의 각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치아가 하나도 없는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마모도가 적고 반복적으로 교체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틀니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는 의치라고도 하며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 및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내 인공삽입물을 의미한다.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의 치열 뒤틀림으로 인한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인공치주조직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는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고정 방법에 따라 고정식 및 가철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분틀니는 상악 또는 하악의 부분적인 무치악 영역에 주변치아, 주변치아 사이의 치조골 및 잇몸등과 같은 잔여조직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상기 완전틀니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체적인 무치악 영역에 잇몸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틀니는 대상치악의 잇몸을 감싸 고정되는 인공잇몸부와 결손된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되, 대상자별로 상이한 치아의 배열, 형태 및 교합높이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틀니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치조골을 따라 치아의 형태에 적합하게 선정된 트레이의 내부에 인체에 무해한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이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이 충진된 트레이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하여 인상이 채득되며, 채득된 인상을 기반으로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이 제작된다.
이때, 상기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의 상면 즉, 치아결손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두께로 파라핀이 부착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되며, 환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상기 파라핀의 두께가 조절되면서 인공치아부의 높이가 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 및 설정된 인공치아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1차 모형이 제작되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재설치하여 저작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미세조절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절된 1차 모형을 기반으로 상기 틀니가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틀니 제조방법은, 환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측정 및 조절단계는 치과와 같은 시술자측에서 수행되지만 상기 틀니의 직접적인 제조는 치기공소와 같은 제조자측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제작되는 가공품이 시술자측과 제조자측으로 반복적으로 교차 이동된다.
또한, 상기 모형 또는 틀니가 구강 내부에 적합하게 제작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환자는 시술자측으로 반복적으로 방문하고 구강 내부에 직접 설치하여 조절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틀니를 제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며 환자가 시술자측으로 자주 방문함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더욱이, 상기 틀니는 구강 내부에 설치시 이물감이 최소화되도록 실질적으로 얇게 제조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세척을 위한 분리 또는 세척 후 구강 내 재설치 과정 중 부주의로 떨어트려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상기 틀니의 내부에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가 인서트 드되어 구비되도록 제작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틀니는 대상치악의 인상을 채득하여 모형을 제조하고, 상기 모형의 외면에 금형제조용 재료를 가압하여 보강부재의 금형을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금형제조용 재료가 금속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잇몸 연조직에 직접 접촉시 이물감으로 인한 불편감이 가중된다. 따라서, 상기 금형제조용 재료가 상기 모형의 외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공간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모형의 외면에는 소정의 두께로 왁스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용 금형이 제작되면 이를 기반으로 보강부재가 제조 및 인서트 몰드되어 최종 틀니가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부재가 실질적으로 상기 틀니의 내측에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성형하기 어려우므로 제조기간이 길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틀니와 상기 보강부재가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상호 간의 접착성이 낮으므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저작압력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 및 상기 틀니의 접합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거나 파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치악 환자에서 기존 틀니는 잇몸과 주변 점막으로 인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저작하거나 말을 할 때 잇몸에서 떨어져서 환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생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잇몸내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수 개 식립한 후, 뼈에 고정되어 있는 임플란트와 틀니를 연결시키는 구조물을 활용하여 생활할 때 틀니가 잘 빠지지 않게 도움을 주는 치료방법도 소개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임플란트-틀니 사이의 연결구조물은 마모저항성이 낮은 resilient 한 플라스틱 캡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쉽게 마모되어 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가 하나도 없는 무치악환자를 위한 틀니에 관한 것으로, 틀니체결부재에 임플란트를 결합시킴으로 틀니를 유지하기 위한 틀니 착탈부재들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조 및 공정이 제시된다.
먼저, 무치악환자를 위한 틀니는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한다.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공한다.
두번째 실시예는,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상기 하우징(320)과 결합되기 위한 틀니형상부(4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틀니착탈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11)와, 상기 체결부(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이 결합부재(310)와 결합될 때 하우징(320)이 안착되는 하우징받침부(312)와, 상기 하우징받침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고정부(313)와, 결합부재(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의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314)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공한다.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치악환자의 3차원 정보를 채득하는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진행한다. 그 후 상기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통해 채득된 3차원 정보를 토대로 채득된 잇몸에 가상치아를 배열하는 가상치아배열단계(S2)를 진행한다.
상기 가상치아배열단계(S2) 이후 채득된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결정하는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진행한다. 상기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가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를 진행한다. 상기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이후 최적의 위치에서 치아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틀니체결부재(200)의 형태를 제작하는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진행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통해 제작된 틀니체결부재(200)에 이음부재(50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이음부재(500)에 틀니착탈부재(300)를 체결하는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를 진행한다. 상기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 이후, 틀니착탈부재(300)의 하우징(320)과 결합된 틀니형상부(400)를 틀니체결부재(200)에 체결하는 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S7)를 포함하여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조할 때의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500)는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가 하나도 없는 무치악환자를 위한 틀니에 관한 것으로, 틀니체결부재에 임플란트를 결합시킴으로 잇몸으로 삽입되는 임플란트들의 각도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틀니에 관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틀니착탈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틀니착탈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본 발명의 틀니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틀니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틀니 제조방법에 관한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음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틀니체결부재에 이음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무치악환자를 위한 틀니는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한다.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공한다.
두번째 실시예는,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상기 하우징(320)과 결합되기 위한 틀니형상부(4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틀니착탈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11)와, 상기 체결부(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이 결합부재(310)와 결합될 때 하우징(320)이 안착되는 하우징받침부(312)와, 상기 하우징받침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고정부(313)와, 결합부재(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의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314)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공한다.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치악환자의 3차원 정보를 채득하는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진행한다. 그 후 상기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통해 채득된 3차원 정보를 토대로 채득된 잇몸에 가상치아를 배열하는 가상치아배열단계(S2)를 진행한다.
상기 가상치아배열단계(S2) 이후 채득된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결정하는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진행한다. 상기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가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를 진행한다. 상기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이후 최적의 위치에서 치아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틀니체결부재(200)의 형태를 제작하는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진행한다. 상기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통해 제작된 틀니체결부재(200)에 이음부재(50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이음부재(500)에 틀니착탈부재(300)를 체결하는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를 진행한다. 상기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 이후, 틀니착탈부재(300)의 하우징(320)과 결합된 틀니형상부(400)를 틀니체결부재(200)에 체결하는 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S7)를 포함하여 무치악 환자용 틀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무치악 치과환자용 틀니 및 이의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틀니는 이가 하나도 없는 환자의 잇몸(10)에 체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틀니는 임플란트(100), 틀니체결부재(200), 틀니착탈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임플란트(100)는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된다. 바람직하게는 4~6개의 임플란트를 잇몸(10)에 식립하며 이는 환자의 잇몸상태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틀니체결부재(200)는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틀니체결부재(200)가 나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틀니체결부재(200)가 잇몸의 상부면 전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이음부재체결홈(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임플란트체결홈(210)은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된다.
이음부재체결홈(220)은 이음부재(5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재체결홈(220)은 소정 높이에 단턱부(221)가 형성되어 이음부재(500)가 체결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틀니착탈부재(300)는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틀니착탈부재(300)는 이음부재체결홈(220)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10)는 체결부(311), 하우징받침부(312), 하우징고정부(313), 수용홈(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부(311)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이음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될 때 회전시키어 끼움결함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받침부(312)는 상기 체결부(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이 결합부재(310)와 결합될 때 하우징(32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하우징고정부(313)는 상기 하우징받침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우징(320)이 체결될 때 움직이지 않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홈(314)은 결합부재(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의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하우징(320)은 상기 결합부재(310)에 탈착되기 위한 것으로, 외부케이스(321), 내부케이스(322), 수용볼(323), 탄성부재(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케이스(321)는 겉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틀니형상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내부케이스(322)는 상기 외부케이스(32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일측에 볼수용홈(32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가 수용되기 위한 결합부재수용공간(322b)이 형성된다.
수용볼(323)은 상기 내부케이스(322)의 볼수용홈(322a)에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볼수용홈(322a)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324)는 상기 외부케이스(321)와 내부케이스(322) 사이에 형성되되 수용볼(323)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24)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수용볼(323)의 움직임에 개방된 부분이 넓어졌다 좁아졌다를 반복한다.
틀니형상부(400)는 상기 하우징(320)과 결합되는 것으로 잇몸형상부(410)와 치아형상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잇몸형상부(410)는 틀니체결부재(20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일측에 하우징(320)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치아형상부(420)는 잇몸형상부(41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도 11은 이음부재(500)에 관한 도면으로 이음부재(500)는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수용홈(510)은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틀니착탈부재(300)의 결합부재(310)의 일측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 다양한 체결방법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음부재(500)는 몸통부(520)와 안착부(530)를 더 포함하며 몸통부(520)는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안착부(530)는 몸통부(520)의 상부에 위치하되,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의 단턱부(221)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음부재(500)는 도 12과 같이 틀니체결부재(200)와 분리된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체결되며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또는 레진 시멘테이션(resin cementation)을 통하여 강하게 연결시키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음부재(500)가 필요한 이유는 틀니체결부재(200)에 바로 틀니착탈부재(3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틀니체결부재(200)에 홈을 형성시 정밀한 가공이 쉽지가 않기 때문에 이음부재(500)를 미리 정밀가공으로 제작함으로써 가공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틀니의 사용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은 상부 치아 부분에 틀니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틀니 제조순서에 관한 도면으로 3차원정보채득단계(S1), 가상치아배열단계(S2),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 등을 포함하여 진행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 3차원정보채득단계
3차원정보채득단계(S1)는 무치악환자의 3차원 정보를 채득하는 단계이다.
도 7은 상기 3차원정보채득단계(S1)에 관한 도면으로, 3차원 정보는 안면정보, 무치악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S2) 가상치아배열단계
가상치아배열단계(S2)는 상기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통해 채득된 3차원 정보를 토대로 채득된 잇몸에 가상치아를 배열하는 단계이다.
도 8은 상기 가상치아배열단계(S2)에 관한 도면으로 환자의 잇몸형태에 따라 가상치아를 배열할 수 있다.
S3)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는 상기 가상치아배열단계(S2) 이후 채득된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도 9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4개의 부위(a1,a2,a3,a4)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S4)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는 상기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가상으로 식립하는 단계이다.
S5)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는 상기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이후 최적의 위치에서 치아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틀니체결부재(200)의 형태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상기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에 관한 도면으로 도 10(a)와 같이 임의로 치아의 위치를 배열한 다음 틀니체결부재(200)의 형태를 조정해가며 최적의 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S6)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는 상기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통해 제작된 틀니체결부재(200)에 이음부재(50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이음부재(500)에 틀니착탈부재(30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에 이음부재(500)를 연결시 납땜방법(solder)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외에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재(500)가 형성됨으로써 반복된 사용으로 인한 틀니의 마모시 전체를 빼내지 않고 이음부재(500) 부분만 분리하여 틀니를 교체함으로써 잇몸에 부담을 줄이고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7)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
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S7)는 상기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 이후, 틀니착탈부재(300)의 하우징(320)과 결합된 틀니형상부(400)를 틀니체결부재(200)에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S7)를 통해 가상으로 체결된 틀니의 형태가 최적의 형태가 아닌 경우 이의 형태를 수정하여 제작해봄으로써 최적의 틀니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임플란트-틀니 사이의 연결구조물은 마모저항성이 낮은 탄성력을 가진(resilient) 플라스틱 캡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쉽게 마모되어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마모도가 적고 반복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획기적인 기술향상을 이룰 수 있다.

Claims (7)

  1.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2.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상기 하우징(320)과 결합되기 위한 틀니형상부(4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11)와,
    상기 체결부(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이 결합부재(310)와 결합될 때 하우징(320)이 안착되는 하우징받침부(312)와,
    상기 하우징받침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고정부(313)와,
    결합부재(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의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314)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3. 무치악환자의 잇몸(10)에 식립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고 소정갯수가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상기 임플란트(100)와 결합되되 잇몸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틀니체결부재(200)와,
    이음부재(5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틀니착탈부재(300)와,
    상기 하우징(320)과 결합되기 위한 틀니형상부(400)와,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이음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이음부재(8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이음부재(500)의 결합부재수용홈(510)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20)은
    겉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틀니형상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외부케이스(321)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일측에 볼수용홈(32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가 수용되기 위한 결합부재수용공간(322b)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322)와,
    상기 내부케이스(322)의 볼수용홈(322a)에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볼수용홈(322a)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볼(323)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와 내부케이스(322) 사이에 형성되되 수용볼(323)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324)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20)은
    겉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틀니형상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외부케이스(321)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일측에 볼수용홈(32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가 수용되기 위한 결합부재수용공간(322b)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322)와,
    상기 내부케이스(322)의 볼수용홈(322a)에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볼수용홈(322a)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볼(323)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와 내부케이스(322) 사이에 형성되되 수용볼(323)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324)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5. 합부재수용홈(510)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31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끼움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11)와,
    상기 체결부(311)의 상부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이 결합부재(310)와 결합될 때 하우징(320)이 안착되는 하우징받침부(312)와,
    상기 하우징받침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고정부(313)와,
    결합부재(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우징(320)의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314)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20)은
    겉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틀니형상부(400)와 결합되기 위한 외부케이스(321)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수용볼(323)이 수용되기 위해 일측에 볼수용홈(32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가 수용되기 위한 결합부재수용공간(322b)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322)와,
    상기 내부케이스(322)의 볼수용홈(322a)에 수용되기 위한 것으로 볼수용홈(322a)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볼(323)와,
    상기 외부케이스(321)와 내부케이스(322) 사이에 형성되되 수용볼(323)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탄성부재(324)를 포함하고,
    상기 틀니형상부(400)는
    틀니체결부재(200)가 수용되도록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일측에 하우징(3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잇몸형상부(410)와,
    잇몸형상부(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치아형상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6. 무치악환자의 3차원 정보를 채득하는 3차원정보채득단계(S1);
    상기 3차원정보채득단계(S1)를 통해 채득된 3차원 정보를 토대로 채득된 잇몸에 가상치아를 배열하는 가상치아배열단계(S2);
    상기 가상치아배열단계(S2) 이후 채득된 무치악환자의 잇몸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결정하는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
    상기 임플란트식립위치결정단계(S3)를 통해 결정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가상으로 식립하는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상기 임플란트가상식립단계(S4) 이후 최적의 위치에서 치아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틀니체결부재(200)의 형태를 제작하는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
    상기 틀니체결부재가상제작단계(S5)를 통해 제작된 틀니체결부재(200)에 이음부재(50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이음부재(500)에 틀니착탈부재(300)를 체결하는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
    상기 틀니착탈부재가상체결단계(S6) 이후, 틀니착탈부재(300)의 하우징(320)과 결합된 틀니형상부(400)를 틀니체결부재(200)에 체결하는 틀니형상부가상체결단계(S7)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체결부재(200)는 잇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임플란트(1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식립될 임플란트(100)의 갯수와 가상으로 위치를 결정한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대응되도록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체결홈(210)과,
    틀니착탈부재(300)가 수용되어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갯수가 형성되는 이음부재체결홈(220)를 포함하고,
    틀니착탈부재(300)는
    상기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10)와 상기 결합부재(310)와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320)을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재(500)는
    일측이 틀니체결부재(200)의 이음부재체결홈(220)에 체결되며, 타측은 틀니착탈부재(300)가 체결되도록 결합부재수용홈(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의 제조방법.
PCT/KR2020/017583 2020-02-11 2020-12-04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622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49A KR102105919B1 (ko) 2020-02-11 2020-02-11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016049 2020-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20A1 true WO2021162220A1 (ko) 2021-08-19

Family

ID=7046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583 WO2021162220A1 (ko) 2020-02-11 2020-12-04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5919B1 (ko)
WO (1) WO20211622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3626A1 (de) * 2022-10-21 2024-04-25 Snap-Cone-Prosthetics Ug (Haftungsbeschränkt) Teleskopkrone, zahnprothese mit einer solchen teleskopkro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thetischen versorgung mit einer zahnprothe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842240B (zh) * 2021-09-28 2023-07-25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牙科用活动义齿更换设备
KR102570549B1 (ko) * 2022-12-09 2023-08-2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643A (ko) * 2007-10-10 2009-04-15 이창택 이보캡 시스템을 이용한 틀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고경체득부터 배열까지의 오차 수정방법
KR20140025309A (ko) * 2010-10-13 2014-03-04 카밀 테크 엘티디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19027108A1 (ko) * 2017-08-01 2019-02-07 서울대학교병원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
KR20190069600A (ko) * 2016-11-08 2019-06-19 덴카, 인크. 치아 보철물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162B1 (ko) 2019-04-22 2019-09-20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 폴리 멀티왁스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치
KR102084570B1 (ko) 2019-09-19 2020-03-04 주식회사 큐브세븐틴 틀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틀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643A (ko) * 2007-10-10 2009-04-15 이창택 이보캡 시스템을 이용한 틀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고경체득부터 배열까지의 오차 수정방법
KR20140025309A (ko) * 2010-10-13 2014-03-04 카밀 테크 엘티디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190069600A (ko) * 2016-11-08 2019-06-19 덴카, 인크. 치아 보철물
WO2019027108A1 (ko) * 2017-08-01 2019-02-07 서울대학교병원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전틀니의 제조 방법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3626A1 (de) * 2022-10-21 2024-04-25 Snap-Cone-Prosthetics Ug (Haftungsbeschränkt) Teleskopkrone, zahnprothese mit einer solchen teleskopkro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thetischen versorgung mit einer zahnproth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919B1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62220A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30576A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150843A2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WO2019151740A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US5915962A (en) Dental implant and prosthesis positioning
WO2011087259A2 (ko) 맞춤형 제작을 위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소재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어버트먼트 제조 방법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7105117A2 (ko) 투명교정시스템
WO2013025017A2 (ko)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와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조방법 및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1872448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22045453A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WO2014185622A1 (ko) 틀니 제작용 상하트레이 장치
WO2016122013A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WO2020162730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의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 및 평면 분석과 병합이 가능하도록 기준선이 있는 치과용 시스템
WO2020197133A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WO2019172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15008893A1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WO2015056857A1 (ko) 일회용 무치악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총의치 제작방법
WO2010036045A2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WO2020091115A1 (ko) 디지털 삼차원 치아모형시스템
US20090017421A1 (en) Method of Preparing an Artificial Dental Prosthetic and Seating Thereof
WO2016143978A2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및 볼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쳐의 제작방법
JP2017538480A (ja) 咬合採得ツール、咬合採得ツールセット、およびこれらに適した咬合採得方法
WO2022075698A2 (ko) 상하악 치열의 악궁 형태 및 교합 양상을 분류한 빅데이터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악궁 형태, 교합양상을 분석할 수 있고, 해부학적 이상적인 위치에 상하악 치열이 병합될 수 있는 시스템
WO2018135673A1 (ko)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188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188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