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549B1 -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 Google Patents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549B1
KR102570549B1 KR1020220171080A KR20220171080A KR102570549B1 KR 102570549 B1 KR102570549 B1 KR 102570549B1 KR 1020220171080 A KR1020220171080 A KR 1020220171080A KR 20220171080 A KR20220171080 A KR 20220171080A KR 102570549 B1 KR102570549 B1 KR 10257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attachment device
zirconia
gum
partial den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중보
곽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Priority to KR102022017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02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 A61K6/818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ceramics comprising zirconium ox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져 잇몸에 고정되고 구강세정기에 의해 세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는, 반대편 치아와 치합되는 인공치아부; 및 밀드 바를 매개로 상실치아 부분에 잇몸을 덮도록 고정되는 인공치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은부에는 상기 밀드 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은부가 상기 밀드 바를 매개로 잇몸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측에서는 세정수가 밀드 바와 잇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고, 상기 안착 홈의 협측도 상기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잇몸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Zirconia partial dentures fixed using an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틀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져 잇몸에 고정되고 구강세정기에 의해 세정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분 틀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는 의치라고도 하며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 및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내 인공삽입물을 의미한다.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의 치열 뒤틀림으로 인한 안면 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인공치주조직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틀니는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 또는 완전틀니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고정 방법에 따라 고정식 및 가철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분 틀니는 상악 또는 하악의 부분적인 무치악 영역에 주변치아, 주변치아 사이의 치조골 및 잇몸 등과 같은 잔여조직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상기 완전틀니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체적인 무치악 영역에 잇몸을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틀니는 대상치악의 잇몸을 감싸 고정되는 인공잇몸부와 결손된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되, 대상자별로 상이한 치아의 배열, 형태 및 교합높이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존에는 레진이라는 플라스틱을 이용한 틀니 제작이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심미적으로 우수하고 치석 부착이 잘되지 않는 견고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가철성 틀니의 구성과 내원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적용한 제작 방법을 개시한다.
종래의 틀니는 도 1을 참고하면, 5 단계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인상을 채득하는 단계, 교합체로 상하악 수직 고경을 확인하는 단계, 밀드 바(milled bar)를 구강 내 시적하는 단계, 임시 틀니를 시적하는 단계, 그리고 최종 틀니에 어태치먼트 부착 후 시적을 완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틀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술방법이 발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시술자인 환자가 적어도 5회 이상 실제 방문하여 시술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비용 또한 과다 소요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틀니는 밀드 바에 소프트한 움직임에 유격이 생길 수 있는 로케이터(locator)를 매개로 잇몸을 완전히 덮어 고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틀니와 잇몸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이를 세척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하루에도 여러 번 착탈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로케이터의 마모가 심하여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 장착하는 형태의 틀니는 만약 사용자가 세척하기를 원하면 가정에서 틀니를 분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 병원을 방문하여 분리하고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틀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이들의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여 일정 시간이 흐르면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재시술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 후 틀니를 분리하지 않아도 스스로 구강세정기 등을 이용하여 세정이 가능하며 환자가 필요시에만 가끔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고정형 보철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가철성 보철물의 장점을 도입한 새로운 개념의 지르코니아 도재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저작감을 더욱 확실하게 느낄 수 있고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므로 재시술이 필요 없는 부분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병원을 5번 이상을 방문하여 시술을 진행하는 것을 3번 방문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과 사용자의 편의 증대시킬 수 있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대편 치아와 치합되는 인공치아부; 및 밀드 바를 매개로 상실치아 부분에 잇몸을 덮도록 고정되는 인공치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은부에는 상기 밀드 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은부가 상기 밀드 바를 매개로 잇몸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측에서는 세정수가 밀드 바와 잇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고, 상기 안착 홈의 협측도 상기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잇몸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진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분 틀니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안착 홈의 설측은 상기 밀드 바가 일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밀드 바에 형성된 단턱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와 잇몸 사이의 간격은 2mm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와 잇몸 사이의 간격이 상기 안착 홈의 협측과 잇몸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 홈의 협측 단부는 노출되지 않도록 잇몸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에는 부착장치의 본체가 고정되고,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부착장치의 본체와 체결되는 어태치먼트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장치의 본체와 어태치먼트는 스냅 버튼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벤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 상부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고정되되, 상기 틀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밀드 바의 부착장치의 본체와 어태치먼트가 배치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 상단부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는 잇몸에 대면하는 면이 라운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분 틀니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지고 세정제가 설측으로부터 공급된 다음 협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세정수 순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평상 시에도 부착장치에 의한 고정형임에도 불구하고 틀니를 구강세정기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는 환자가 병원을 방문 횟수를 5회에서 3회 정도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환자와 시술자에게 시술과 시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시술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시술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시술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시술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시술되는 부분의 밀드 바의 정면 모형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밀드 바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밀드 바의 우측면 모형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는, 도 2를 참고하면, 3번 병원 방문으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방문 시(S1), 구강 인상 채득과 동시에 시술자가 대략적인 환자의 수직 고경을 설정한다. 이때 이를 바탕으로 그 후 제조회사에서 대략적인 디지털 밀드 바와 디지털 임시치아를 제작하게 된다. 그 다음, 두 번째 방문 시(S2), 제작된 디지털 밀드 바와 디지털 임시치아를 구강내 시적하고 정확한 수직 고경을 확인한다. 그리고 임시치아 외형 확인 및 수정을 진행하고,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청소 용이성을 확인한다. 그 후 수정 사항이 반영된 디지털 임시치아와 구강 스캔 정보를 제조회사로 제공하고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게 된다. 세번째 방문 시(S3),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최종 보철물인 부분 틀니에 부착 장치인 어태치먼트를 부착 후 시적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시술이 3번 방문으로 완료될 수 있는 것은 후술하는 기술적 특징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는, 도 2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인공치아부(12)와 인공치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치아부(12)는, 반대편 잇몸(1b)의 치아(1a)와 치합될 수 있다.
이때, 인공치아부(12)는 인공치은부(11)와 형태와 색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치아 형태와 색감으로 형성될 뿐이고 인공치은부(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치은부(11)는, 도 4를 참고하면, 밀드 바(20)를 매개로 상실치아 부분에 잇몸(2b)을 덮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치은부(11)에는,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밀드 바(20)가 안착되는 안착 홈(10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홈(10a)의 설측(11a)은 상기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잇몸(2b)과 이격되고, 상기 안착 홈(10a)의 협측(11b)도 상기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잇몸(2b)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 홈(10a)의 설측(11a)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밀드 바(20)가 일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밀드 바(20)에 형성된 단턱부(20a)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의 간격(D)은, 도 4를 참고하면, 2mm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의 간격(D)이 상기 안착 홈(10a)의 협측(11b)과 잇몸(2b)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 홈(10a)의 협측(11b)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협측(11b)은 잇몸(2b)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20)에는 부착장치(30)의 본체(31)가 고정되고, 상기 안착 홈(10a)에는 상기 부착장치(30)의 본체(31)와 체결되는 어태치먼트(32)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착장치(30)의 본체(31)와 어태치먼트(32)는 스냅 버튼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에는 상기 어태치먼트(32)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벤트 홀(10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20) 상부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고정되되, 상기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밀드 바(20)의 부착장치(30)의 본체(31)와 어태치먼트(32)가 배치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 상단부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드 바(20)는 잇몸(2b)에 대면하는 면이 라운드 면(2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치은부(11)는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시술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악의 상실 치아 부분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시술되어 있다. 상악의 잇몸(1b)에는 치아(1a)가 상실되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고, 하악에는 상실된 치아 부분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시술되어 있는 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는 상악의 치아와 물리는 인공치아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인공치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공치아부(12)와 인공치은부(11)는 모든 동일한 재질인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는 하악의 치아 상실 부위에 밀드 바(20)를 매개로 고정되고, 밀드 바(20)를 수용하기 위한 안착 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에서 봤을 때에는 안착 홈(10a)의 전면부인 협측(11b)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물론 안착 홈(10a)의 협측(11b) 단부 부분은 실제로 고의적으로 노출하고자 하는 경우 외에 웃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환자가 구강세정기를 이용하여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 내부를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 간격(D)로 공급되는 세정수는 그 압력에 의해 협측(11b)을 세척하고 잇몸(2b)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원활하게 세정수가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를 집에서 쉽게 환자가 주기적으로 원할 때마다 세정이 가능해진다. 이때, 병원에서 분리하지 않더라도 부착장치가 있기 때문에 환자가 집에서 손쉽게 보철물을 제거할 수 있으나, 다만 보철물의 잦은 탈부착은 어태치먼트(32)의 마모를 유발하기에 환자가 구강 내에서 보철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설계한 구조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시술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니 부분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는 인공치아부(12)와 인공치은부(11)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지르코니아로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종래 경우보다 단단하다. 기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철물은 대합치에 의하여 마모되는 경우가 빈번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지르코니아를 사용하면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디지털 개인 맞춤된 상태로 변형없이 오랜 사용이 가능하다.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는 내측으로 안착 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 홈(10a) 내부에는 밀드 바(20)가 설치되어 있는 바, 밀드 바(20)는 복수개의 픽스쳐에 의해 잇몸(2b) 내측의 치조골(2c)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밀드 바(20)는 픽스쳐들에 의해 잇몸(2b) 외측에 고정되고 인공치은부(11)는 밀드 바(20)에 부착장치(3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부착장치(30)는 스냅 버튼 방식으로 인공치은부(11)를 밀드 바(20)에 체결할 수 있다. 부착장치(30)는 부착장치 본체(31)와 어태치먼트(32)를 포함하고, 밀드 바(20)에는 부착장치(30)의 본체(31)가 고정되고, 안착 홈(10a)에 위치한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에는 부착장치(30)의 본체(31)와 체결되는 어태치먼트(32)가 고정될 수 있다.
밀드 바(20)에는 부착장치 본체(31)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 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 홈(10a)에는 어태치먼트(32)가 접착되는 부분에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에 어태치먼트(32)가 접착되는 부분에는 벤트 홀(10c)이 형성되어 접착제의 일부가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태치먼트(32)가 정확한 위치와 높이로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스냅 버튼 방식의 부착장치(30)는 현재 출원인이 'ADD-TOC'이라는 제품명으로 실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이 부착장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시술 시에는 밀드 바(20)에 본체(31)를 30N 이상의 토크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어태치먼트(3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안착부(10b)에는 치과용 접착제로 어태치먼트(32)를 고정한다.
즉, 밀드 바(20)의 상부에 형성한 부착장치인 본체(31)를 위한 체결 홈(나사 홀)(22)에 틀니(10)를 잡는 부착장치 본체(31)를 30~35N의 토크로 체결하고, 상부 지르코니아 내면의 어태치먼트 안착부(10b)에는 레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하우징)(32)가 접착됨으로써 보철물이 장착될 때 밀드 바(20)에 체결한 부착장치 본체(31)와 틀니(10) 내면에 접착된 어태치먼트(하우징)(32)가 결합하여 틀니(10)가 밀드 바(20)에 결합되는 방식이다. 이는 평소에는 고정형으로 사용하되, 환자가 청소의 필요성을 느껴 빼고자 할 때 뺄 수 있도록 가철식으로 고안한 것이고, 지르코니아 보철물인 틀니(10)과 밀드 바(20) 자체의 디자인으로 평소에도 빼지 않고 청소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보철물이다.
그 다음 각각의 부재를 서로 압력을 가하여 스냅 버튼 방식으로 체결하면 된다. 반대로 어느 정도 이상의 분리하려는 힘을 가하게 되면 본체(31)와 어태치먼트(32)가 분리될 수 있다. 고령의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요령과 힘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분리가 가능하고 보호자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다. 여기서 이러한 밀드 바(20)와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분리는 일상적인 경우는 아니고 특이한 상황에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에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를 밀드 바(2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 여기서, 보철물(10)의 잦은 탈부착은 어태치먼트(30)의 빠른 마모를 유발하고 탈부착시에 환자의 부주의로 보철물이 깨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구강 내에서 보철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세정이 가능하도록 세정수의 흐름 구조(D,11b)를 설계한 것이다.
이때, 인공치은부(11)의 안착 홈(10a)의 설측(11a) 단부는 밀드 바(20)에 형성된 단턱부(20a)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울 등을 이용하여 설측(11a)에서 바라보게 되면 설측(11a) 단부는 밀드 바(20)에 밀착되어 있고 밀드 바(2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즉 설측(11a) 단부가 밀드 바(20)를 덮는 형태를 아니다. 또한 밀드 바(20)가 픽스쳐에 의해 치조골(2c)에 고정되는데, 밀드 바(20)와 잇몸(2b) 표면 사이에는 간격(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D)을 구강세정기의 세정수가 통과하게 된다. 이 간격은 2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드 바(20)의 하단부인 잇몸(2b)과 마주보는 라운드 면(20b)은 그 단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잇몸(2b) 쪽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라운드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세정수의 공급과 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공치은부(11)의 협측(11b)의 잇몸(2b)과 밀착되는 부분도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격으로 물론 세정수가 순화하면서 세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로 고압 세정수가 들어가면 이물질과 함께 잇몸(2b)과 협측(11b) 단부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치은부(11)의 협측(11b)의 잇몸(2b)과 밀착되는 부분의 간격은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의 간격(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공치은부(11)의 협측(11b) 단부는 웬만해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잇몸(2b)을 약간 덮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시술되는 부분의 밀드 바의 정면 모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밀드 바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밀드 바의 우측면 모형도가 도시되어 있다. 밀드 바(20)에는 복수개의 픽스쳐와 밀드 바(20)를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 홀(21)과 복수개의 부착장치 본체(31)가 체결되는 체결 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밀드 바(20)는 설치되는 위치와 상실 치아 개수에 따라 이러한 관통 홀(21)과 체결 홀(22)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밀드 바(20) 상부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고정되되, 상기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밀드 바(20)의 부착장치(30)의 본체(31)와 어태치먼트(32)가 배치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 상단부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를 시술하기 위한 임시치아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임시치아(110)는 최종 보철물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를 완성하여 교체하기 전까지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바, 거의 대부분이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밀드 바(20)와의 결합 부분, 안착 홈(110a)의 설측(111a)이 밀드 바(20)의 단턱부(20a)에 밀착되고, 협측(111b)은 잇몸과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잇몸 전면을 덮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임시치아(110)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와 형태가 동일하고 다만 임시치아(110)의 구치부에 상하악 치아 간에 교합 관계를 기록하기 위한 바이트(bite) 인상재 혹은 왁스(wax)를 적용할 부위에 인덱스(index) 역할을 위한 홈(111d)을 형성한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임시치아(110)의 구치부에 상하악 치아 간에 교합 관계를 기록하기 위한 바이트(bite) 인상재 혹은 왁스(wax)를 적용할 공간을 확보 위해 평편한 면(111c)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출원인이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상하악 치아 간에 교합 관계 정보 인기를 위한 ADD POP BOW plate(120)가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 삽입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임시치아(110)는 소위 플라스틱으로 불리는 합성수지를 적용하여 아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임시치아(110)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와 평편한 면(111c), 홈(111d), 체결 삽입부(113)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공치아부(112)는 일정 부분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인공치은부(111) 부분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즉 밀드 바(20)에 대응하는 설측(111a) 단부, 협측(111b) 단부의 형태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 홈(110a) 내부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 안착부(110b)도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보철물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보철물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인공치아부(12)를 기준으로 앞니 전체 부분과 한쪽 어금니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잇몸 색감의 인공치은부(11) 또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의 내측을 살펴보면 밀드 바(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안착 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안착 홈(10a)의 어태치먼트 안착부(10b)에는 밀드 바(20)와 체결되기 위한 어태치먼트(32)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 안착부(10b)에는 벤트 홀(10c)이 형성되어 잉여 접착제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종 보철물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가 완성되고 어태치먼트(32)가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에 접착 고정되면, 밀드 바(20)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10)를 부착장치(30)를 매개로 스냅 버튼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 상태는 전술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 후 구강세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즐을 설측(11a)의 밀드 바(20)와 잇몸(2b) 사이의 간격(D)에 맞추고 세정수를 공급하면 세정수가 이물질과 함께 협측(11b) 단부와 잇몸(2b)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a : 치아
1b, 2b : 잇몸 2c : 치조골
10 :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10a : 안착 홈
11 : 인공치은부 11a : 설측
11b : 협측 12 : 인공치아부
20 : 밀드 바 21 : 관통 홀
22 : 체결 홀 30 : 부착장치
31 : 본체 32 : 어태치먼트

Claims (10)

  1. 반대편 치아와 치합되는 인공치아부; 및
    밀드 바를 매개로 상실치아 부분에 잇몸을 덮도록 고정되는 인공치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치은부에는 상기 밀드 바가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공치은부가 상기 밀드 바를 매개로 잇몸에 고정된 상태에서 설측에서는 세정수가 밀드 바와 잇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고, 상기 안착 홈의 협측도 상기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잇몸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 홈의 협측 단부는 잇몸 상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잇몸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구강 세정기의 세정수는 설측에서는 상기 밀드 바와 잇몸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과하고, 협측에서는 협측 단부와 잇몸 사이의 간격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배출되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의 설측은 상기 밀드 바가 일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밀드 바에 형성된 단턱부에 밀착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드 바와 잇몸 사이의 간격은 2mm이상인,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드 바와 잇몸 사이의 간격이 상기 안착 홈의 협측과 잇몸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드 바에는 부착장치의 본체가 고정되고,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부착장치의 본체와 체결되는 어태치먼트가 고정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의 본체와 어태치먼트는 스냅 버튼 방식으로 체결되는,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어태치먼트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벤트 홀이 형성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드 바 상부에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가 고정되되, 상기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밀드 바의 부착장치의 본체와 어태치먼트가 배치되는 부분은 그 주위보다 상단부가 낮게 형성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드 바는 잇몸에 대면하는 면이 라운드 면으로 형성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KR1020220171080A 2022-12-09 2022-12-09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KR10257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080A KR102570549B1 (ko) 2022-12-09 2022-12-09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080A KR102570549B1 (ko) 2022-12-09 2022-12-09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549B1 true KR102570549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080A KR102570549B1 (ko) 2022-12-09 2022-12-09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64B1 (ko) * 2023-10-18 2024-02-05 양재민 치아 무삭제가 가능한 라미네이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라미네이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62B1 (ko) * 2002-12-27 2011-02-25 버나드 와이즈만 제거 및 조절 가능한 영구 의치 및 브리지의 향상된구성요소
JP2012075619A (ja) * 2010-09-30 2012-04-19 Shiken:Kk 有床義歯とこれに使用される人工歯
US20180000568A1 (en) * 2015-01-14 2018-01-04 Bio Dental Solutions Ltd Dental bridge system
US20180250102A1 (en) * 2014-05-08 2018-09-06 Drew Schulter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5492A (ko) * 2021-05-13 2022-11-23 주식회사 디오 치아수복용 임시보철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임시보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62B1 (ko) * 2002-12-27 2011-02-25 버나드 와이즈만 제거 및 조절 가능한 영구 의치 및 브리지의 향상된구성요소
JP2012075619A (ja) * 2010-09-30 2012-04-19 Shiken:Kk 有床義歯とこれに使用される人工歯
US20180250102A1 (en) * 2014-05-08 2018-09-06 Drew Schulter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US20180000568A1 (en) * 2015-01-14 2018-01-04 Bio Dental Solutions Ltd Dental bridge system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5492A (ko) * 2021-05-13 2022-11-23 주식회사 디오 치아수복용 임시보철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임시보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D-TOC Attachment System, PNU ADD, [online], 2020년 6월 2일,<https://pnuadd.com/bbs/board.php?bo_table=sub0205&wr_id=1&sst=wr_num%2Cwr_reply&page=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264B1 (ko) * 2023-10-18 2024-02-05 양재민 치아 무삭제가 가능한 라미네이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라미네이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3055C (en) Dental appliance
US9044296B2 (en) Dental bridge
KR102105919B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182318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70549B1 (ko)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지르코니아 부분 틀니
AU2002236309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200178291Y1 (ko) 치과용 보철물
US20080193901A1 (en) Dental Prosthe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5228624U (zh) 一种新型牙齿保持器
JP2007125113A (ja) 化粧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11088B2 (ja) 局部床義歯
JP5061257B2 (ja) 即時継続加工義歯
CN116269844A (zh) 一次性极薄牙贴面的制作方法
CN112386344B (zh) 一种弹性贴面桥及其制备方法
KR102139071B1 (ko) 교정미백장치
JP2003126121A (ja) 挟持型有床義歯
JP2018175735A (ja) ミールマウスピース
JP4155762B2 (ja) 有床義歯
KR101890884B1 (ko) 결손치아 보충형 치아보철물
JP5442567B2 (ja) 局部床義歯
JP6561306B1 (ja) 入れ歯
JP6494003B2 (ja) ミールマウスピース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JP2007289645A (ja) 有床部分義歯
JPH02167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