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071B1 - 교정미백장치 - Google Patents

교정미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071B1
KR102139071B1 KR1020190096126A KR20190096126A KR102139071B1 KR 102139071 B1 KR102139071 B1 KR 102139071B1 KR 1020190096126 A KR1020190096126 A KR 1020190096126A KR 20190096126 A KR20190096126 A KR 20190096126A KR 102139071 B1 KR102139071 B1 KR 10213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
whitening
whitening agent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원기
Original Assignee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정미백장치는, 환자의 치아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치아의 치열을 따라 배열되며 치아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 및 치아의 설측면을 감싸는 후면부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치아 포켓을 포함하는 장치 몸체; 및 장치 몸체가 치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치아 포켓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에 형성되며, 치아에 형성된 장착돌기가 수용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정미백장치{APPARATUS FOR TOOTH ORTHODONTIC AND WHITENING}
본 발명은 교정미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교정 시술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치아의 미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교정미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외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치열이 일정하며 정상적인 교합을 가진 치아를 원하는 동시에 하얀 치아를 선호하고 있다.
우선, 치아는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 치아 우식증, 구순구개열 등의 선천적인 영향이나 섭취하는 음식물, 생활습관 등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등 후천적인 영향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부정교합이 발생된다.
여기서, 부정교합이랑 어떠한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턱과 아래 턱의 맞물림의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은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기 쉽고, 정확한 칫솔질을 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질환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치아 파절 등의 치아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부정교합은 치아가 어떤 힘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데, 부정교합의 원인이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기, 연령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브라켓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와 고무줄의 탄력을 이용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식 치료법의 경우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 좋지 못하다. 또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될 경우 치아에 고정시켜놓은 브라켓에 음식물이 잘 끼이게 되는데 브라켓의 탈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칫솔질 등 구강 내를 청결하게 관리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투명 교정(orthodontics clear aligner)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투명 교정 방법은 교정 전 치아의 상태에서 교정 후 치아의 상태에 맞게 투명한 치아교정장치를 제작하고, 교정 단계에 맞게 치아교정장치를 갈아 끼우면서 치열을 교정하는 것이다.
투명 교정 방법은 치아 교정을 위한 치아교정장치가 투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에 좋고,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칫솔질과 같은 구강 관리가 쉬우며, 이물감도 적고 잇몸에 대한 자극도 브라켓, 와이어 및 고무줄을 이용하는 고정식 교정 방법 보다 훨씬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투명한 치아교정장치가 대체적으로 딱딱하기 때문에 교정장치에 의한 치아에 가해지는 고통이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아는 유기질과 무기질이 혼합된 법랑질과 상아질, 시멘트질로 이루어져 있다.
치아는 흡연이나 음식물 등으로 인한 색소들이 법랑질이나 상아질에 침착 됨으로써 치아의 색깔이 변화되거나 색소가 그대로 착색될 수 있다. 치아에 색소가 착색되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심한 경우 불결한 인상까지도 심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치아 미백에 관한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치아 미백을 하고 있다.
한편,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교정 환자가 치아 미백을 하기 위해서는 치아 교정이 완료된 후에 치아 미백을 하거나, 치아 교정을 하기 전에 치아 미백을 먼저 수행하여야 한다. 즉,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을 위한 전체적인 시술 소요 기간이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치아 교정을 하기 전에 치아 미백을 하더라도 치아 교정 시 치아에 착색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치아 미백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치아 교정을 하면서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하여 치아 교정 및 치아 미백에 필요한 시술 소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정미백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 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10857호 (발명의 명칭: 투명교정장치, 등록일: 2015.04.03)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교정하면서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교정미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환자의 치아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치아의 치열을 따라 배열되며 치아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 및 치아의 설측면을 감싸는 후면부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치아 포켓을 포함하는 장치 몸체; 및 장치 몸체가 치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치아 포켓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에 형성되며, 치아에 형성된 장착돌기가 수용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 를 포함하는, 교정미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장치 몸체는 치아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그 일부는 치아의 잇몸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에 형성되어 미백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미백제가 치아에 작용되는 제2 공간을 제공하는 미백제 수용부; 를 포함하고, 미백제 수용부에 미백제를 주입할 때 치아 미백과 치아 교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미백제 수용부는, 치아와 미접촉된 상태로 마련되며 내부에 미백제가 수용 가능하도록 치아 포켓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미백제 작용부; 및 미백제 작용부에 주입되는 미백제와 잇몸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미백에 수용부의 하단부 일부분이 치아 쪽으로 인입 형성되는 미백제 접촉 방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미백제 수용부는 장착부가 형성되지 않는 치아 포켓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미백제 수용부의 제2 공간은 장착부의 제1 공간보다 큰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백제 수용부는 치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장착부는 치열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장치 몸체의 치아 포켓에는 교정미백장치를 치아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가 형성되며, 제거부는 치아 포켓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되 치아의 잇몸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장치 몸체의 내측면에는 오염물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부착되는 차단시트를 더 포함하고, 차단시트는 교정미백장치의 사용 시 교정미백장치로부터 제거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정미백장치는, 치아를 교정하면서 동시에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어서 하나의 장치로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고,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에 필요한 전체적인 시술 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기간의 단축에 따른 시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미백장치는, 장착부를 통해 교정미백장치가 치아에 장착되었을 때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교정미백장치의 제거가 필요할 때에는 제거부를 이용하여 치아로부터 편리하고 깔끔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교정미백장치가 치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에 차단시트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를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교정미백장치(10)가 하악의 치아에만 착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악의 치아뿐만 아니라 상학의 치아에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교정미백장치(10)가 상학의 치아 및 하악의 치아에 각각 착용할 수 있는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환자의 치아(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치아(1)의 치열을 따라 배열되며 치아(1)의 전면(1a)을 감싸는 전면부(102a) 및 치아(1)의 설측면(1b)을 감싸는 후면부(102b)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치아 포켓(102)을 포함하는 장치 몸체(100) 및 장치 몸체(100)가 치아(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복수개의 치아 포켓(102)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102)에 형성되며, 치아에 형성된 장착돌기(2)가 수용되는 제1 공간(미도시)을 제공하는 장착부(11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치 몸체(100)는 교정미백장치(10)의 본체(body) 부분이다.
장치 몸체(100)는 치아(1)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장치 몸체(100)는 치아의 전면(1a)을 감싸는 전면부(102a) 및 치아의 설측면(1b)을 감싸는 후면부(102b)를 구비하고 치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개의 치아 포켓(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장치 몸체(100)는 치아(1)의 치열을 감싸는 복수개의 치아 포켓(102)을 가지도록 마련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치아(1) 중에서 치아 교정 또는 치아 미백이 필요한 일 부분의 치아(1)에만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치아 포켓(102)의 개수는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몸체(100)는 교정을 필요로 하는 현재의 치아(1)의 크기 및 형태에서부터 치아 교정 완료 시의 치아(1)의 크기 및 형태에 이르기까지, 각 교정 단계별 치아(1)의 크기와 형태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치 몸체(100)는 치아(1)에 씌워 치아 교정 또는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치아(1)에 대해 완전히 밀착되도록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 몸체(100)를 치아(1) 부분 만을 덮도록 마련될 수 도 있으나, 장치 몸체(100)가 치아(1)에 대해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치아(1)는 물론 치아의 잇몸(3)의 일부분 까지 덥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장치 몸체(1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아에 대해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더욱이, 환자가 교정미백장치(10)를 착용하였을 때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장치 몸체(100)의 두께는 너무 두껍지 않은 두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자가 교정미백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치아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너무 얇은 두께로 형성되지 않아야 한다.
치아의 전면(1a) 및 설측면(1b)을 감싸는 장치 몸체(100)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구강 내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장치 몸체(100)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장치 몸체(100)를 착용한 환자를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 교정미백장치(1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아 교정 환자가 사회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크게 불편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몸체(100)는 치아 교정과 미백을 위한 것이므로 치아 배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환자의 구강을 3차원 스캐닝하고, 스캐닝 한 데이터를 근거로 제작된다. 환자의 구강을 3차원 스캐닝 할 때에는 예컨대, 컨빔 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장치나, 파노라마 X-ray(panoramic radiograph) 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장치 몸체(100)는 이러한 3D 장치를 이용하여 스캐닝하여 형성되는데, 교정 단계별로 장치 몸체(100)의 형상이 달라진다. 왜냐하면, 치아(1)의 배열을 한 번에 원하는 자리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고 단계별로 점진적으로 치아(1)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장치 몸체(100)는 치아(1) 교정 단계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장치 몸체(100)를 치아(1)에 그냥 씌우거나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만약, 치아(1)에 장치 몸체(100)를 그냥 씌울 경우에는 치아 교정 환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치아(1)로부터 장치 몸체(100)가 이탈될 위험성이 있다. 또한, 치과용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장치 몸체(100)를 치아(1)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치아 교정 환자가 자유롭게 장치 몸체(100)를 착탈 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구강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몸체(100)에는 장착부(110)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장착부(110)는 장치 몸체(100)가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었을 때 장치 몸체(100)가 치아(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필요 시 장치 몸체(100)의 이탈을 가능하도록 한다.
장착부(110)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치아 포켓(10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102)에 형성된다.
장착부(110)는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 또는 후면부(102b) 중 어느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돌출 형성되는 장착부(110)는 치아의 전면(1a) 또는 설측면(1b)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는 장착돌기(2)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로 마련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장착부(110)가 장착돌기(2)에 대응되는 돌출홈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돌기(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장착부(110)는 치아 교정을 위한 것으로, 장치 몸체(100)를 치아 교정 환자의 치아(1)에 씌우기 전에 치아의 전면(1a)또는 설측면(1b) 중에서 어느 일면에 형성된 장착돌기(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공간을 제공한다.
장착부(110)의 제1 공간은 장착돌기(2)가 수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장착돌기(2)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장착돌기(2) 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착돌기(2)를 수용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110)는 치아포켓(102)의 일 측면에 대해서는 함몰 형성되고, 치아포켓(102)의 타 측면에 대해서는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치 몸체(100)가 씌워진 치아(1)에 별도로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착부(110)에 의해 장치 몸체(100)가 치아(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에는 미백제가 수용되는 미백제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미백제 수용부(120)는 치아 미백을 위한 미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미백제 수용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 또는 후면부(102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며 미백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미백제가 치아에 작용되도록 한다. 치아 미백 환자는 미백제 수용부(120)에 미백제를 주입하여 치아 미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미백장치(10)를 이용하여 치아 교정과 동시에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미백제 수용부(120)의 제2 공간은 장착부(110)의 제1 공간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10)의 제1 공간은 치아(1)에 형성된 장착돌기(2)가 수용되어 교정미백장치(10)를 환자의 치아(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반면, 미백제 수용부(120)의 제2 공간은 환자의 치아 미백을 위하여 주입되는 미백제가 수용되고 작용하는 공간이다.
이때, 미백제 수용부(120)의 제2 공간은 치아(1)와 닿는 면적이 가능한 한 커야 하기 때문에 큰 크기, 즉 적어도 장착부(110)의 제1 공간보다는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미백제 수용부(120)의 제2 공간과 장착부(110)의 제1 공간은 각각의 용도 및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미백제 수용부(120)의 제2 공간과 장착부(110)의 제1 공간은 그 크기 및 모양 들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백제 수용부(120)는 미백제 작용부(122) 및 미백제 접촉 방지부(124)를 포함한다.
미백제 작용부(122)는 치아 포켓(102)의 내부에 위치된 치아(1)와 미접촉된 상태로 내부에 미백제가 수용 가능하도록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에 대해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미백제 수용부(120)가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치아 포켓(102)의 후면부(102b)에 형성될 경우에는 미백제 작용부(122)도 치아 포켓(102)의 후면부(102b)에 대해 돌출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므로,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치아 미백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미백제가 주입되는 미백제 작용부(122)는 최대한 치아(1)와 넓게 접촉되도록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에 대해 최대한 넓은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에 미백제 작용부(122)가 형성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치아의 전면(1a)과 접촉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교정미백장치(10)는 치아 교정을 수행하면서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아 포켓(102)에 미백제 작용부(122)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은 치아의 전면(1a)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치아(1)를 지지하여 견인하는 치아 교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미백제 접촉 방지부(124)는 미백제 작용부(122)에 수용되는 미백제가 치아의 잇몸(3)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미백제 접촉 방지부(124)는 미백제 작용부(122)의 하단부 일부분이 치아(1) 쪽으로 인입 형성되어, 미백제 작용부(122)에 주입된 미백제가 치아의 잇몸(3)과 접촉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백제 작용부(122)에 주입되는 미백제는 일반적으로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겔(gel), 페이스트(paste)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사용된다. 이때, 미백제의 도포량이나 도포 위치에 따라 미백제가 치아(1)가 아닌 치아의 잇몸(3)에 닿을 경우에는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치아(1)에만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백제 작용부(122)에 주입된 미백제가 치아에만 접촉되도록 하고 잇몸(3)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백제 작용부(122)에 주입되는 미백제는 통상적으로 치아 미백 시술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백제 작용부(122) 내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치아 표면에 접촉하여 치아에 침착 된 색소를 분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으로든 바뀔 수 있다.
또한, 치과에서 지급받은 미백제나 사용자 개인이 구매한 미백제를 미백제 작용부(122)에 주입한 후에 사용자가 구강 내에 착용함으로써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치 몸체(100)는 치아 교정 단계별로 치아 배열과 대응되도록 치아 포켓(102)의 위치 및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미백제 수용부(120)는 치아 교정 단계에 따라 치아 포켓(102)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치아(1)를 교정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때, 치아(1)를 교정할 때 처음부터 치아 미백을 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치아 교정을 하는 중에 어느 단계가 되면 치아 미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치아 교정을 시작하는 단계의 장치 몸체(100)에는 미백제 수용부(120)가 형성되지 않고, 장착부(110) 만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치아 교정을 위한 치아(1) 상태에 따라 장치 몸체(100)에 미백제 수용부(120)가 형성되더라도 치아 포켓(102)의 전체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교정미백장치(10)를 사용하는 사람의 판단에 따라 미백제 수용부(120)가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치아 교정이 어떠한 단계 까지 진행되어 치아 미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장치 몸체(100)에 미백제 수용부(120)와 장착부(110)를 모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백제 수용부(120)는 장착부(110)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100)의 치아 포켓(102)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지만, 장착부(110)가 형성되지 않는 장치 몸체(100)의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 또는 후면부(102b) 중에서 한곳에만 형성된다.
또한, 미백제 수용부(120)는 치아(1)의 치열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장착부(110)는 치아(1)의 치열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된다.
이때, 미백제 수용부(120)는 치아(1)의 전면의 미백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외부로 보이는 치아(1)의 치열 중앙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110)는 교정미백장치(10)가 치아(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굳이 치아(1)의 중앙 영역에 마련될 필요는 없고, 치아 교정 환자의 미관상 좋도록 치아(1)의 치열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도 2 및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몸체(100)에는 제거부(130)가 형성된다.
제거부(130)는 환자가 필요할 때 장치 몸체(100)를 치아(1)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거부(130)는 치아 포켓(102)의 전면부(102a) 또는 후면부(102b)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부(130)는 치아(1)의 설측면을 덮는 후면부(102b)에 형성되되, 장치 몸체(100)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치아의 잇몸(3)과 접촉되는 위치에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거부(130)는 장치 몸체(100)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태 및 크기가 크게 형성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장치 몸체(100)의 크기에 맞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제거부(130)를 크게 형성할 경우에는 장치 몸체(100)를 환자가 착용하게 될 경우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고 그에 따라 일상생활에 있어 불편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차단시트를 더 포함한다.
차단시트(200)는 장치 몸체(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장치 몸체(100)의 내측면 전체 면을 덮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차단시트(200)는 장치 몸체(100)의 냄새 및 오염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치 몸체(100)를 치아 형태에 맞게 가공하여 유통되는 과정에서 장치 몸체(100) 자체에 불쾌한 냄새나 오염물 등의 접촉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장치 몸체(100)는 치아에 대한 밀착성이 감소될 수 있고, 치아에 대한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몸체(100)의 내측면에 차단시트(200)를 부착하여 장치 몸체(100)에 대하여 유통 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한편, 차단시트(200)는 교정미백장치(10)로부터 제거되도록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차단시트(200)는 교정미백장치(10)를 사용하기 전에 제거한 후에, 치아 교정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단시트(200)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차단시트(200)을 형성하는 소재에 따라 별도로 제거할 필요없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차단시트(200)는 장치 몸체(100)에 부착되기 전에, UV 살균을 한 후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장치 몸체(100)의 청결도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3D 스캐너 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을 3차원 스캐닝하여, 현재 치아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 다음, 획득한 데이터를 근거를 통해 장치 몸체(100)를 형성한다. 장치 몸체(1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장착부(110) 및 제거부(130)도 함께 형성한다.
그 다음, 장치 몸체(100)의 내측면에 UV 코팅을 실시하고, 유통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시트(200)를 부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미백장치(10)는 치아(1)를 교정하면서 동시에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어서 하나의 교정미백장치(1)로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을 수행할 수 있고, 치아 교정과 치아 미백에 필요한 전체적인 시술 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기간의 단축에 따른 시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교정미백장치
100: 장치 몸체 102: 치아 포켓
102a: 치아 포켓의 전면부 102b: 치아 포켓의 후면부
110: 장착부 120: 미백제 수용부
122: 미백제 작용부 124: 미백제 접촉 방지부
130: 제거부 200: 차단 시트
1: 치아 1a: 치아의 전면
1b: 치아의 설측면 2: 장착돌기
3: 치아의 잇몸

Claims (9)

  1. 환자의 치아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치아의 치열을 따라 배열되며 치아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 및 치아의 설측면을 감싸는 후면부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치아 포켓을 포함하며, UV 살균되는 장치 몸체; 및
    장치 몸체에 형성된 복수개의 치아 포켓 중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에 형성되어 장치 몸체가 치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아에 형성된 장착돌기가 수용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부;
    를 포함하고,
    장치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포켓에 형성되어 미백제를 수용함과 동시에 미백제가 치아에 작용되는 제2 공간을 제공하며, 치아와 미접촉된 상태로 마련되고 내부에 미백제가 수용 가능하도록 치아 포켓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미백제 작용부; 및 미백제 작용부에 주입되는 미백제와 잇몸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미백에 수용부의 하단부 일부분이 치아 쪽으로 인입 형성되는 미백제 접촉 방지부;를 포함하는 미백제 수용부;
    장치 몸체가 구강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치아의 잇몸과 접촉되는 치아 포켓의 후면부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는 제거부; 및
    오염물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장치 몸체의 내측면을 덮도록 부착되되,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차단시트; 를 더 포함하며,
    미백제 수용부 및 장착부는 치아 포켓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미백제 수용부는 장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치열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고 장착부는 치열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며,
    미백제 수용부의 제2 공간은 장착부의 제1 공간보다 큰 공간으로 형성되고,
    장치 몸체는, 치아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치아에 대해 밀착되도록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일부는 치아 잇몸의 일부분 까지 덮도록 마련되고, 3D 장치를 이용하여 스캐닝(scannig)하여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치아의 배열을 교정 단계별로 점진적으로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치아 교정 단계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게 형성되며,
    차단시트는, 장치 몸체를 환자가 착용하기 전에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환자의 치아에 착용 시 장치 몸체로부터 제거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되 착용 시에는 미백제 수용부에 미백제를 주입하여 치아 미백과 치아 교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교정미백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96126A 2019-08-07 2019-08-07 교정미백장치 KR10213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26A KR102139071B1 (ko) 2019-08-07 2019-08-07 교정미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126A KR102139071B1 (ko) 2019-08-07 2019-08-07 교정미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071B1 true KR102139071B1 (ko) 2020-07-30

Family

ID=7183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126A KR102139071B1 (ko) 2019-08-07 2019-08-07 교정미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17B1 (ko) * 2020-12-02 2021-04-09 유정은 마우스피스
US20230144730A1 (en) * 2021-11-08 2023-05-11 Sprintray Inc.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custom bleaching tray with trench and material reservoi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7434A1 (en) * 2000-09-21 2007-09-06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tooth repositioning and substance delivery
JP2008531234A (ja) * 2005-03-07 2008-08-14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様々な歯科用アライナー
JP2013063243A (ja) * 2011-09-02 2013-04-11 Tomokazu Ued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458120B1 (ko) * 2013-07-08 2014-11-17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아 미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6584B1 (ko) *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CN106137764A (zh) * 2015-03-27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具有储药结构的牙科器械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07434A1 (en) * 2000-09-21 2007-09-06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current tooth repositioning and substance delivery
JP2008531234A (ja) * 2005-03-07 2008-08-14 アライ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様々な歯科用アライナー
JP2013063243A (ja) * 2011-09-02 2013-04-11 Tomokazu Ued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KR101458120B1 (ko) * 2013-07-08 2014-11-17 주식회사 이우소프트 치아 미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137764A (zh) * 2015-03-27 2016-11-23 上海时代天使医疗器械有限公司 具有储药结构的牙科器械及其制造方法
KR101676584B1 (ko) * 2015-12-18 2016-11-15 이민정 투명교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417B1 (ko) * 2020-12-02 2021-04-09 유정은 마우스피스
US20230144730A1 (en) * 2021-11-08 2023-05-11 Sprintray Inc.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custom bleaching tray with trench and material reservoirs
US11998415B2 (en) * 2021-11-08 2024-06-04 Sprintray, Inc.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custom bleaching tray with trench and material reservoi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8226C (en) Periodontal medicament delivery tray
KR20050053676A (ko)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Sener et al. Bilateral geminated teeth with talon cusps: A case report
Dursun et al. Chairside CAD/CAM composite onlays for the restoration of primary molars
KR102139071B1 (ko) 교정미백장치
JP2016214817A (ja) 歯科用マウスピースセット及びマウスピース
Ravishankar et al. Management of Black Triangles and Gingival Recession: A Prosthetic Approach.
WO2016007085A1 (en) Orthodontic aligners
CN113662687A (zh) 一种无托槽隐形矫治器
CN114052950B (zh)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Sakamuri et al. An unusual mandibular second molar mimicking maxillary first molar–a Rare occurrence
Nanda et al. Maxillary Hollow Obturator for Rehabilitation of Palatal Defect: A Case Report.
CN219397836U (zh) 一种导下颌向前的齿用装置
CN216318099U (zh) 隐形牙套的矫正结构
WO2023045731A1 (zh) 正畸矫治器
WO2023250048A1 (en) Oral appliance for delivering medicaments
DJAIS et al. Gingival Mask as A Non-Surgical Treatment in Gingival Recession: A Literature Review.
Jain et al. Evalu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the upper lip length and philtrum length to size of the upper incisors
Ahmed et al. Neutral Zone Technique: Patient with a Severely Atrophic Mandibular Ridge
Srivastava et al. Aesthetic Removable Orthodontic Alternative-Invisalign
Sevekar et al. Primary Zirconia Crowns: An Era of Esthetic Management in Early Childhood Caries Affected Children
Yehya Hybrid Removable Essix Appliance for Molar Uprighting: A Case Report
JP2023101863A (ja) マウスピース製造方法、マウスピースキット、及びマウスピース
WO2023033764A1 (en) A novel anterior segmented-anatomical matrix system
KR20220057154A (ko) 레진 치료용 끼움장치 제작시스템(100) 및 그에의해 제작된 레진 치료용 끼움장치(1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