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45453A1 -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45453A1
WO2022045453A1 PCT/KR2020/015812 KR2020015812W WO2022045453A1 WO 2022045453 A1 WO2022045453 A1 WO 2022045453A1 KR 2020015812 W KR2020015812 W KR 2020015812W WO 2022045453 A1 WO2022045453 A1 WO 20220454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rtual
guide
image
informa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58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060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3891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060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3593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CN202080103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056660A/zh
Publication of WO20220454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454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having improved dental restoration reliability.
  • a denture or a prosthesis is a dental restoration that artificially restores an appearance and function by replacing a missing natural tooth.
  • the denture or prosthesi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to restore the masticatory function and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
  • These dentures or prostheses may be divided into partial/complete dentures and partial/complete prosthe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ng teeth.
  • the denture is installed by applying a dental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side mold groove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gum. Because of this, direct occlus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gums, so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a feeling of foreign body and pain.
  • the prosthesis since the prosthesis is fixed to a fixtur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and pain in the gums due to occlusal pressure are reduced.
  • the prosthesis is substantially permanently fixed in the oral cav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ccordingly, an overdenture that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denture and the prosthesis has been disclosed.
  • the overdenture since the overdenture is detachable from the oral cavity like the denture while being fixed to a fixture to be placed on the alveolar bone like the prosthesis, it is easy to manage such as cleaning.
  • the overdenture includes a coupling means selectively coupled to an abutment or an attachment coupled to the fixture.
  • the conventional coupling means is provided as a ball type that is individually matched to attachment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dental arch of the alveolar bone to be placed and fixed, or provided as a bar type passing through the abutment.
  • the ball-type coupling mean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each attachment is individually coupled to a fixing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denture. That is, positional precision between each of the attachments and each fixing part is required, and if any one of the coupling means is not aligned with the attachment in an accurate pos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denture cannot be installed accurately.
  •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fixed via a fixing bar along each abutment, and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and a mount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bar is inserted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dentur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easier to mount the overdenture in the oral cavity than the ball-type coupling means.
  • the fixing bar is bent in response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fixture so as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abutments, and is provided with a rigid metal material that can minimize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such as masticating pressure after bending. do. Therefore, in order for the fixing bar to be firmly fixed to each of the abutments, the mounting heights of each of the fixtures and the abutments must be uniformly aligned, and for this purpose, a flattening operation of the alveolar bone is required. Moreover,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s different for each recipient requiring dental restoration, and the amount of cutting of the alveolar bone is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vertical dimension.
  • the operator cut / flattened the alveolar bone based on the experience value, and for this reason, when the amount of cutting is too large or small, the occlusion between the opposing tooth and the overdenture is undesir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omfort is increased.
  • the flattened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uld not be precise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at which the fixture was placed, so that the fixing bar could not be firmly fixed.
  • the overall dental restoration plan including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nd the design of the overdenture is designed based on the CT image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outer surface and density of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in which the dental resto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in which a scanning image is overlapped with a CT image to generate a matched,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i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is set in plurality along the dental arch, and the alveolar bone
  • a first step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n implanting guide device for guiding an instrument for planarization and implant placement a second step of being guided by the implanting guide device to flatten the alveolar bone and implant the implant, in which the holder device including the holder abutment and the fixing bar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 a third step of correcting occl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temporary dentures so that the temporary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holder devic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 a highly precise dental restoration plan is established for the patient ba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implant and sleeve device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 Guide devices and dental restorations can be mounted in the oral cavity with high precision and precision.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accurately set based on the CT image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oral cavity, but the image data for the actual design is the 3D implantation guide device ba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virtual data, which are surface data. It is easy to convert to a printable STL file, so the overall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precisely fix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implant is placed because it guides the implantation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universally provided jig base is individually coupled to each holder abutment,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jig base through the alignment coupling bar guides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crews while constrained in parallel with the preset bending path information. Since the bonding tolerance is formed substantially close to zero, the accuracy of implant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FIG. 1 is a flowchart for a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arrangement process of a virtual slee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etting process of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a) to 11 (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fixing process of the hold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a) to 12 (d)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bending angle confirmation process of a fixed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rrection process of a temporary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apping a corrected scann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overdenture and cutting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A and 16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ver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xing process of a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pla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placing an im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but also manufacturing the final dental restoration and mounting a series of processes for moun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ed fixtur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 the dental restoration final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verdenture.
  • the overdenture is detachably mounted from the oral cavity through a holder devic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cluding a holder abutment and a fixing bar.
  •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to be described below is a jaw that requires dental restoration through the overdentur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 mandible in which the molars remain.
  • the opposing arch or the opposing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jaw that occludes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the maxilla, which is the deciduous jaw.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in the maxilla and/or mandible, and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overdenture in the case where the maxilla and/or mandible become denture jaws, but restoration is required after tooth extraction. .
  • the implanting guid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ncludes a bone reduction guide and a surgical guide.
  • the flattening guid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for guiding the cutting and flatt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in accordance with the implantation height of the fixture.
  • the mounting height of the fixtur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height between the overdenture and the opposing tooth and the height of the holder device.
  • the surgical guid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for guiding the fixture to be implanted in the correct placement position and direction in the cut and flattened alveolar bone.
  • temporary dentures to be described later are dentures manufactured primarily to be deformed by the impression model manufactured after taking an impression of the oral cavity or oral cavity in order to obtain design information for the dental restoration.
  • the temporary dentures can be used temporarily by the patient in the dental restoration process, so that us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dental restoratio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FIG. 1 is a flowchart of a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of an image dat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according to
  • the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is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generation and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setting 210, implanting guide device design and manufacturing 220, alveolar bone planarization and implant placement, Includes a series of steps such as holder device fixation (230), temporary denture correction (240), corrected scanning image swap (250), artificial teeth and artificial body parts manufacturing and clip fixation (260), final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270) do.
  • the image data processing process in the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is a scanning image and a CT image registration 110, a virtual implant virtual arrangement 120, and an erasure model extraction 130. , including a series of steps such as a virtual replacement of a virtual flat surface 140 and an implanting guide device and design information setting 150 of the dental restoration.
  •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ncludes a scanned image obtained by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which at least one side is a restoration target.
  • the scanning image is preferably obtained by scanning the surface of the oral cavity or impression model.
  • the scanning image includes an image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region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nd an opposing-side image m3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n the opposing side.
  •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and the occlusal side image (m3) may be obtained, respectively, virtual alignment based on a preset occlusal plane (op).
  • the upper and lower jaw images may be virtually arranged in correspondence to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 the CT image m1 is obtained by using the CT imaging device of the patient's head,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ternal tissue covered by the gum tissue.
  •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overlapped and matched based on a common part, and thus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can be generated.
  • the common part i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ilk tissue that is not covered by the gum tissue and the flow is minimiz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maining teeth or the interdental space can be understood.
  •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acquired after attaching a reference marker, and the reference marker image displayed in the same part of each image can be set as a common part to match.
  • the reference marker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alveolar bone preparation.
  •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nclude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the opposing side included in the scanning image, upper and lower jaw bone and residual teeth, and lower teeth included in the CT image m1.
  • Internal tissue information such as the manic nerve (K)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the contralateral image (m3), and the CT image (m1) are displayed overlapping based on the common part, but each image can be individually modified, and each image is selectively displayed It can be manipulated to flash or blink. That i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s not a state in which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bound, but merely overlaps and is virtually arranged.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set in plurality along the dental arch.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preferably set to at least one or more plural, and is preferably set to four anterior places or two anterior and two posterior so that the final dental restoration is stably mounted and supported. .
  • a virtual tooth m61 may be virtually dispos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 the virtual tooth m61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an artificial tooth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stored in a digital library, which is a storage of image data for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 This digital library is connected to the planning unit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 the planning unit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in which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loaded and displayed, and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s generated and each design information is set. That is, image data acquired through a scanner or CT imaging device and image data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r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to establish an overall plan for dental restoration, and design information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and the overdenture is provided. can be obtained.
  • the virtual tooth m61 is preferably set as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tooth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natomical deviations by gender and age.
  • the virtual tooth m61 may be pre-stored as standardized as a single size, or may be pre-stored as divided into large/medium/small.
  • it is preferable that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for each artificial tooth corresponding to each tooth is individually set, and is set and stored along the dental arch. That is, the virtual teeth m61 may be virtually arranged in the 3D planning image M at the same tim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ooth images for any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In this case, the virtual tooth m61 may be manipulated to selectively delete unnecessary tooth images from among each tooth image.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arrangement process of a virtual slee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rtual sleeve device includes a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and a virtual fixed guide sleeve to be described later.
  • a virtual implant mf sele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is virtually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information A.
  • the virtual implant mf may be virtually arranged based on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T image m1.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mf and virtually arranged concentrically, is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stored.
  • the virtual implant mf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real fixture.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ide sleeve coupled to a surgical guide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actual placement of the fixture.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may be pre-stored as a set with the virtual implant mf in the digital library.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preferably set to an offset distance (w3 in FIG. 6 )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virtual implant.
  • the offset distance (w3 in FIG. 6) is set in consideration of an adjacent residual value or interference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set as a set with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which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included in the surgical guide.
  •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includes a virtual coupling hole m53 to whic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virtually coupled.
  •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include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coupling hole to which an actual guide sleeve is coupled and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projection of the guide sleeve is rotationally coupled in the coupling hole.
  •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is virtually arranged.
  •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is preferably stored together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scanning image, preferably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except for size and lo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are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integrated and stored, and then can be used as design information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are set with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and stored in advance, the design process of the surgical guide is quickly and simplified, so the manufacturing convenience is remarkably can be improved
  • the process of erasing and correcting the inner image of the temporary deletion line m2a preset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superimposed state on the scanning image can be visually and clearly recognized, so that design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accurately set based on the CT image (m1) in which the cross-sectional image of the oral cavity is displayed as a whole, and the image data required for design is the surface data of each object. It is set ba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virtual data. Accordingly, it is easy to convert to a stereo lithography file (STL) fil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rapid 3D printing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verall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quickly performed.
  • STL stereo lithography file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is preferably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image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the same number.
  • a single erasing model m30 matching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s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 the erasure model m30 is standardiz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dentition and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 the rounded portion of the erasing model m30 corresponds to the mesial surface of the oral cavity, and the vertical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distal surface of the oral cavity.
  • a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matching the occlusal plane op may cross the central portion or may be set on the other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is set along the center of the erasing model m30. It can be set on the other surface of (m30).
  • the interval h between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and the one surface m33 may be virtual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and tooth restoration plan.
  •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corresponds to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ference surface (L1) by a preset clearance interval (w1) Virtually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is set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op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nd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That is, the virtual implant may be selected and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virtually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and may be virtually aligned so that the upper end position matches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 the clearance distance w1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ower end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protruding downwar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or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protruding below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clearance distance w1 may be set.
  • the clearance distance w1 may be set.
  • the portion overlapped with the erasing model m30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is erased to form the virtual flat surface E, and the upper end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is the virtual flat surface. It is virtually swapped with the face (E).
  • the overall design information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can be quickly and precisely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lat surface E. there is.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process of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modified examp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except for the process in which the cancellation model is virtually dispos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 the removal model m30 may be virtually disposed based on a matching virtual abutment m14 corresponding to the offset distance w3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
  • the virtual abutment m14 is virtually disposed betwee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implant spaced apart in consideration of the offset distance w3.
  •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abutment m1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atching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and the height w2 may be set according to the offset distance w3.
  • the length of the virtual abutment may be set to 4.5 mm when the offset distance w3 is 9 mm, 6 mm when the offset distance w3 is 10.5 mm, and 7.5 when the offset distance w3 is 12 mm.
  • one surface m33 of the erasing model m30 is virtually correc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abutment m14. That is, the erasing model m30 is virtual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butmen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ctual fixture.
  • the cutting and flattening range/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is set based on the virtual implant and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that is virtually placed as a set. That is, the cutting and flattening height of the alveolar bone may be set after considering the holder device and the height of the overdenture mounted through the holder device first. Through this, the occlusal precision between the overdenture and the opposing tooth to be finally manufactured and mounted in the oral cavity is improved, and the discomfort during mastication is minimized, so that the satisfaction of dental resto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FIG.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planarization guide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an inner contour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an open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flat surface E It is set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along the rim. And, as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planarization guid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a 3D printer, a real planarization guide is manufactured.
  • the virtual body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and outer surface surface information of the gum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based on the virtual flat surface E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interval.
  •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body portion based on the virtual flat surface (E) is set to be opened.
  •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is se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virtual body that matches the outer edge of the virtual flat surface E.
  • design information of a piece fixing part to which an anchor pin can be fixed may be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flattening guide.
  •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is designed by forming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t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body. And, as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manufactured.
  •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is included in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pre-stored as a set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has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design process. Information can be set immediately.
  •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learance w1, a virtual setting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and the flat guide surface The virtual cutting surfaces to be spaced apart can be set.
  • design information of the piece fixing unit may be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based on the virtual fixing guide sleeve m55.
  • the planarization guide and the surgical guide are designed based on the substantially identical image data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and the anchor pin information (D).
  •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or the location of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is set. Accordingly, the contou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nally manufactured flattening guide and the surgical guide and the position of the piece fixing part may be se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tening guide surface is based on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so that the clearance gap for interference between the cut and flattened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taken into account. is set to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mounted on the alveolar bone, the inner surface portion to which the guide sleeve is couple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molded and fixed along the alveolar bone side portion. Through this, the implantation precis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because an implantation error that occurs when the surgical guide is not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is prevented in advance.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plant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ner contour of the design information m500A of the surgical guide may be formed based on an outer contour of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planarization guide. And, it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virtual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t the upper end of the design information (m500A) of the surgical guide.
  • the design information (m500A) outer side of the surgical guide may be set with a virtual alignment coupling groove (m54) that matches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sign information (m50b) of the piece fixing part.
  • the design information m50c of the fixing piece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500A of the surgical guide separately from the design information m50b of the piece fixing part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flattening guide. there is.
  • the surgical guide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is molded and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flattening guide and fixed. Accordingly, the surgical guide may be superimposed on the planarization guide fixed through the anchor pin to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fixed thereon.
  • a virtual guide in which an inner contour is form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is formed.
  • a body portion m9 is set.
  • a three-dimensional virtual cutout block m41 protruding to a thickness that one surface matches the first reference surface L1 and the other surface matches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is formed around the virtual guide body m9. Virtually arranged in plurality. Subsequently, when the overlapping region d1 of the virtual cutout block m41 and the virtual guide body m9 is erased, design information m500B of the surgical guide including design information of the cutout slot hole is generated.
  • the actual surgical guide 500B manufactured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m500B of the surgical guide is the first on the lower side with the cutout slot hole 57 formed based on the virtual cutout block m41 as a boundary. It is divided into a body part 501 and an upper second body part 502 .
  • a coupling hole 53 to which a guide sleeve 52 including a guide hole 51 is coupled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ortion 502 , and the guide sleeve 52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hole 53 .
  • the alignment-type portion 59 that is aligned with this may be further formed.
  • one surgical guide 500B may be transformed into a planarization guide by separating the upper side along the incision slot hole 57 .
  • the simplification and speed of the desig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lower surface 57c of the cut-out slot hole 57 is substanti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L2, when the second body part 502 is separated, the cut-out slot hole 57 The lower surface 57c may function as the flat guide surface.
  • FIGS. 12 (a) to 12 (d)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ending angle confirmation process of the fixed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alveolar bone is cut and flattened by being guided by the planarization guide, and the fixture f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1a that is cut and flattened by the surgical guide.
  • the holder device (1400 in FIG. 13)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f).
  • the holder device ( 1400 in FIG. 13 ) includes a holder abutment 1410 and a fixing bar 1430 .
  • the holder abutment 141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f) through a fastening screw (1420 in FIG. 13), and a diesel insert 1414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 the fixing bar 1430 is inserted into the light oil insertion part 1414, and the pressing means (1440 in FIG. 1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hole (1413 in FIG. 13) of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fastening screw 1420 passes.
  • the fixing bar 1430 is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inner lower end of the light oil insertion part 1414 and the pressing means (1440 in FIG. 13).
  • the fixing bar 1430 is bent so as to intersect the two implantation points A1 on the anterior side and the two implantation points A2 on the posterio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implantation information set along the dental arch.
  • the fixing bar 1430 may be provided in a trapezoidal shape by bending both ends based on a preset bending point.
  • the fixing bar 1430 is provided such that its central portion intersects the pair of anterior implantation points A1,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to intersect the posterior implantation points A2,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ending point position and the bending angle can be clearly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and the bent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alveolar bone due to the spring back after bending the fixed bar 1430 to be round in the prior art.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ncludes a pair of anterior implantation points (A1) that intersect the central line (B1) among the bending path information and a pair of posterior implantation points that cross both sides lines (B2) of the bending path information. It is set corresponding to (A2).
  • the fixing jig base 10 and the pivot guide jig base 20 for guiding the light inserting part 1414 of the holder abutment 1410 to be open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path information are prepared.
  • the fixture (f) is implanted at each implantation point (A1, A2), the fixture (f) is place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the anterior implantation point (A1)
  • the holder abutment 141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
  • the fixing jig base 10 is coupled to each upper end of the holder abutment 1410 .
  • the fixing jig base 10 is formed with an alignment protrusion 12a that is engaged with the light oil insertion part 1414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12 into which the holder abutment 1410 is inserted at the upper end.
  • an alignment groove 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parallel to the alignment protrusion 12a to cross, and a through hole 13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12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alignment grooves 15 of each of the fixing jig base 10 are aligned to communicate in a straight line,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iesel insert 1414 fitted to the alignment protrusion 12a also communicates in a straight line. It can be rotationally aligned as possible.
  • the alignment fixing bar (u) In a state in which each of the alignment grooves 15 communicate in a straight line, the alignment fixing bar (u)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 the rotationally aligned state, thereby constraining the rotationally aligned state. And, when a rotation means such as a screwdriver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hrough holes 13 of the fixing jig base 10, the rotation of which is restricted, and the fastening screw 1420 is fastened to the fixture (f), the holder A butt 1410 is fixed to the anterior side.
  • a rotation means such as a screwdriver
  • the pivot guide jig base 20 is alternately coupled to the holder abutment 1410 fixed to the anterior side.
  • the jig base 20 for the pivot guide has an alignment groove 25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cylindrical receiving groove 22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butment 141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pivot guide jig base 20 may be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older abutment 1410 in a state coupled to the holder abutment 1410 .
  • the holder abutment 1410 is disposed above the fixture f implanted at the posterior implantation point A2, and the fixing jig base 10 is provided on the holder abutment 1410. are combined Then, the alignment grooves 15 of the fixing jig base 10 disposed on the posterior side and the alignment grooves 25 of the pivot guide jig base 20 disposed on the anterior side are rotationally aligned so that they communicate in a straight line. . Then, the alignment fixing bar (u) is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the alignment groove (15) of the fixing jig base (10) and the alignment groove (25) of the pivot guide jig base (20) so that the rotational alignment state is constrained do. Accordingly, in the holder abutment 1410 on the posterior side, the light oil insertion portion 1414 may be aligned and fixed to correspond to the both sides line B2.
  • the fixing jig base 10 and the pivot guide jig base 20 have the inner periphery diameter of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12 and 22, the receiving grooves 12 and 22 and the alignment grooves 15 and 25, respectively. ) is standardized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holder abutment 1410 and the bending angle unit of the fixed bar 1430, so that it is preferably prepared for general use.
  •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jig base guides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screws in a state in which the alignment direction is constrained parallel to the preset bending path information. Accordingly, since the coupling tolerance between the holder abutment 1410 and the fixing bar 1430 is substantially close to zero, the accuracy of implant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fixing jig base 10 is recombined to each upper end of the holder abutment 1410 fixed to the fixture (f).
  • a curable resin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simultaneously cover each upper end of the fixing jig base 10 .
  • the curable resin is cured to form an alignment support portion 10A as a bridge for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xing jig bases 10 .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xing jig base 10 and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alignment protrusion 12a may be fixed through the alignment support portion 10A.
  • the holder analog 4 is inserted into each receiving groove 12 of the fixing jig base 10 fixed through the alignment support portion 10A.
  • the holder analog 4 is formed with an angular alignment portion 4a corresponding to the light oil insertion portion (1414 in FIG. 13) at the upper end thereof. Accordingly, when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nalog 4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 , the angular alignment portion 4a is fitted to the alignment protrusion 12a.
  • the lower ends of the holder analogs 4 aligned and inserted into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12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curable material such as gypsum. And, when the curable material is cured, it has rigidity to maintain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holder analog 4 . Accordingly, the holder analog 4 may be formed as an angle confirmation model 10B constrained in a state in which it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point. Furthermor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der analog 4, a constraint alignment surface 4b formed as a discontinuous surface such as a decut surface is formed. Accordingly, rotation of the holder analog 4 is restrained while the curable material fills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holder analog 4 and hardens.
  • a curable material such as gypsum
  • the bending angle of the fixed bar 1430 is confirmed through the angle confirmation model 10B. That is, when the fixing bar 1430 is inserted into the angle aligning part 4a without interfere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ixed bar 1430 is bent at a desired bending ang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bar 1430 is inserted into the angle alignment part 4a, if it interferes or is not properly inserted, it is determined that a bending error has occurred and the fixing bar 1430 can be corrected.
  • the fixing bar 1430 corresponds to the actual oral environment. This can be precisely calibrated.
  • the bending error of the fixing bar 1430 is determined and corrected outside the oral cavity after fixing the holder abutment 1410 to the oral cavity, inconvenience caused by frequent visits to the patient or repeated confirmation operations can be minimized.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rrection process of a temporary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wap process of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mporary denture 30 can be corrected by occlu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to which the holder device 1400 is actually fixed, or the holder analog and the impression model to which the fixed bar is fixed. What is corrected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 a temporary denture 30 that is softened during heating to a preset softening temperature range is prepared, and between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2 and the opposing arch 3 to which the holder device 1400 is fixed.
  • the temporary denture 30 is disposed.
  • the temporary denture 30 is occlusal correction so that the de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tient through the occlusal pressure of the patient.
  • the temporary mounting part 35 into which the holder device 14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30 is formed under pressure.
  • the temporary denture 30 may be manufactured by 3D printing a base resin including an acrylic oligom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emporary denture 30 .
  • the temporary denture 30 is formed to include an allowance groove 33a recessed to have a space exceeding the volume of the holder device 1400 on the inner surface side.
  • the temporary denture 30 may be occlusal cor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s in a state in which the relining resin 34 is filled in the spare groove 33a.
  • the temporary mounting part 35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holder device 1400 is formed in an intaglio on the relining resin 34, and the temporary gum part 33 side is the actual dental arch and gum of the patient. It may be correct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inor outer surface. Moreover, as the corrected temporary denture 30 is photocured, it can be completely hardened to a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the masticatory press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use the temporary denture 30 until the initial produc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 a temporary denture image m300 is obtained by scanning the entir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emporary denture 30 in which the temporary mounting part 35 is corrected on the inner surface. And, from the temporary denture image (m300),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m35) of the temporary mounting part and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m33) of the inner part of the temporary gum part corrected in response to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re exposed to the outside. A corrected corrected scanning image m30A is acquired.
  • a boundary line X is set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gum part and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tooth part. Then, unnecessary image data except for the inner surface of the boundary line X is set as the erasing area m39 and erased. Through this,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m35) of the temporary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temporary denture is swapp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obtained as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m30A).
  •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m30A is replaced with a virtual holder device m40 previously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 the virtual holder device m40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holder abutment 1410, and includes a virtual fixing bar m43 and a virtual clip m67 that is virtually engaged with the virtual fixing bar m43. It is preferable to That is, as the surface irregularities, notch, machining, or the distortion or noise that may occur during the scanning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30 generated during occlusion of the temporary denture 30 are swapped with the virtual holder device m40, design accuracy and The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overall scanning image including the temporary denture image m300 is stored as face information without thickness.
  • the virtual data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is pre-stored as data that itself can be used as desig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scanning image or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m30A can be easily utilized as design information of the overdenture, and the difficulty of image processing is lowered and the speed is increased, so that design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 FIGS. 16A and 16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overdenture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tting guide 7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to fit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tient is preferably designed and manufactured Do.
  • the virtual tooth m61 is virtually disposed between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and the opposing side image m3 including the virtual flat surface E, and the virtual tooth (
  • the virtual artificial gum part m62 is set so as to overlap the root side of m61).
  • the virtual artificial gum unit m62 may select and extract data pre-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nd place it in the scanned image, or may be set based on the restoration target gum unit image m2.
  •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is standardized and provided as a ready-made product, and the virtual tooth m61 is a 3D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prepared as a ready-made product that is pre-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rough this, the inconvenience of complexly designing and separately manufacturing each artificial tooth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can be minimiz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period of the overdenture 60 can be shortened.
  • the occlusal end m61d of the virtual tooth m61 is aligned to virtual occlusion with the occlusal side image m3 based on the occlusal plane op.
  • the root end m61c of the virtual tooth m61 protrudes below the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 a virtual base gum part m62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part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image m2 is virtually dis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the virtual tooth m61 and the virtual base gum part m62 overlap each other.
  • the deleted area is set as the deletion area u2.
  • the intersecting lines e1 and e2 are set along the edge formed by intersecting the inner and outer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base gum part m62 and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virtual tooth m61, and the intersecting lines e1, The image of the virtual base gum part m62 located inside the e2) is erased.
  • the virtual tooth image m61 the image located outside the intersection lines e1 and e2 is erased, but the image located inside the intersection lines e1 and e2 is the virtual base gum portion m62 ) is integrated with Accordingly, the virtual merging surface u1 may be set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deletion region u2.
  •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cutting guide includes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cutting hole formed through the virtual mating surface u1.
  • the virtual artificial gum portion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virtual mating surface (u1)
  • the inner periphery is formed on the inner contour of the virtual base gum portion (m62), that is, a preset seating interval (w4) from the virtual flat surface (E).
  • the virtual artificial gum portion may be set to be shielded by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information m62c of the coupling groove on the virtual mating surface u1.
  •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cutting guide and the virtual artificial gum part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are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ed into the real cutting guide 70 and the real artificial gum part 62 .
  • each of the artificial teeth 61b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A prepared for general use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cutting holes 72 of the cutting guide 70 .
  • the root end 61c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A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utting guide 70.
  • the apical end portion 61c of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61A protruding in this way may be cut and corrected based on the inner edge 72a of the cutting hole 72 . Through this,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can be corrected in response to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 each artificial tooth 61bb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 that has been cut and corrected is fitted to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62a formed in the artificial gum part 62.
  • the final dental restoration is The overdenture 60 is manufactured.
  • the inner surface portion 62b of the artificial gum portion 62 is fitted to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 a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62c of the coupling groove 62a and the inner surface 62b of the artificial gum part 6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ating distance w4.
  • each of the artificial teeth 61bb is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compensate for the seating interval w4 set in the .
  •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61A is standardized without a complicated design process, and manufacturing convenience is improved, while each tooth apical end portion 61c is a cutting guide manufactur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 70), cutting correction is appropriate for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Accordingly, since it is corrected appropriately for the vertical diameter of each patient, economical efficiency and precis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 the index jig 80 for aligning each artificial tooth 61b of the artificial tooth part 61A at the same time is further manufactured.
  • the index jig 80 has an alignment jig groove 81 formed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occlusal end m61d of the virtual tooth displayed i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xing process of a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rtificial gum part 62 includes a fixing hole 66 communicating with the mounting part 65 in which a mounting part 6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part based on the virtual holder device m40. is manufactured by
  • the mounting portion 65 includes a first molded portion 65a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older abutment 1410 and a second molded portion 65b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fixing bar 1430 to be stepped. Accordingly, when the artificial gum portion 62 is coupled to the holder device 1400, the position may be aligned. And, the end of the clip 67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66 and fixed through the resin r that is filled and cured in the fixing hole 66 .
  • the artificial gum part 62 and/or the overdenture 60 is the holder device 1400 . It is supported on the oral cavity and can be maintained in a mounted state.
  • the clip 67 is engaged at a preset position of the fixing bar 1430 , and when the artificial gum part 62 is mounted so that the holder device 14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65 , the clip 67 )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66 . In addition, when the resin r is filled and cured into the fixing hole 66 , the clip 67 may be fixed to the artificial gum portion 62 .
  • the artificial gum part 62 is mounted so that the holder device 14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65 and the clip 67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hole 66 to the fixing bar 1430. can be bitten
  • the end of the clip 67 may be embedded and fixed in the fixing hole 66 .
  • the fixing hole 66 is penetrated to have an inner circumference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ip 67 , and the clip 67 is attached to the clip holder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xing hole 66 .
  • the resin (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ame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gum portion (62). Therefore, when the resin r is filled in the fixing hole 66 and then cured, the fixing force can be improved through a high degree of fusion between materials of the same type.
  •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clip 67 may be treated with fine concavo-convex. Accordingly, as the contact area with the resin r increases, the adhesive force may further increase.
  • a rubber dam covering the surface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2 is covered to prevent the resin r from flowing toward the gum tissue before harden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dental restoration products.

Abstract

치아수복신뢰도가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스캐닝이미지가 CT이미지와 중첩되어 정합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에 임플란트의 식립정보가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설정되고, 임플란팅 가이드장치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에 안내되어 치조골이 평탄화되고 임플란트가 식립되되, 홀더 어버트먼트 및 고정바를 포함하는 홀더장치가 상기 임플란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2단계; 내면부에 상기 홀더장치가 삽입되는 임시장착부가 형성되도록 임시틀니가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 보정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의 스캐닝이미지로부터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보정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되,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가상 홀더장치로 대체 스왑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에 상기 가상 홀더장치를 기반으로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바에 물림되는 클립이 고정된 인공잇몸부에 인공치아부가 고정되어 최종 치아수복물이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본 발명은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수복 신뢰도가 개선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 또는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치아수복물(dental restoration)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지므로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므로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구강에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overdenture)가 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처럼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처럼 구강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 또는 어태치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여기서, 종래의 결합수단은 상기 치조골의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식립 및 고정되는 어태치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볼타입의 결합수단은 각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단부가 상기 오버덴쳐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개별 결합되는 구조이다. 즉, 각 상기 어태치먼트와 각 고정부 간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되며, 상기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어태치먼트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못하면 상기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타입의 결합수단은 각 상기 어버트먼트를 따라 고정바가 경유되어 고정되며, 상기 오버덴쳐의 내면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및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타입의 결합수단보다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이 상기 오버덴쳐를 구강에 장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는 복수개의 상기 어버트먼트를 경유하도록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되어 구비되되, 절곡 후 저작압력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가 각 상기 어버트먼트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각 상기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식립높이가 일정하게 정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치조골의 평탄화작업이 요구된다. 더욱이,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피시술자마다 수직고경(occlusal vertical dimension)이 상이한데, 이러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치조골의 절삭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술자가 경험치를 토대로 치조골을 절삭/평탄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절삭량이 너무 많거나 혹은 적은 경우 대합치아와 오버덴쳐 간의 교합이 바람직하지 못하여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된 외면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상기 고정바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식립정보 및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치아수복 계획이 피시술자의 치조골 외면 및 밀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CT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된다.
이때, CT이미지의 경우 치조골에 대한 정보는 획득이 용이하나 연조직인 잇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CT이미지 데이터를 실제 오버덴쳐 및 임플란팅을 가이드하는 각 장치의 설계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CT이미지를 상기 오버덴쳐 및 각종 가이드장치를 3차원 프린팅하거나 밀링하기 용이한 STL파일로 변환시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각종 가이드장치의 제조시간 및 제조된 각종 가이드장치를 이용한 일련의 임플란팅 과정, 즉 치조골 절삭 및 픽스츄어 식립 등과 같은 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면서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기간이 증가하여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수복 신뢰도가 개선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캐닝이미지가 CT이미지와 중첩되어 정합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에 임플란트의 식립정보가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설정되고, 치조골 평탄화 및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구를 가이드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에 안내되어 치조골이 평탄화되고 임플란트가 식립되되, 홀더 어버트먼트 및 고정바를 포함하는 홀더장치가 상기 임플란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2단계; 내면부에 상기 홀더장치가 삽입되는 임시장착부가 형성되도록 임시틀니가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 보정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의 스캐닝이미지로부터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보정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되,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가상 홀더장치로 대체 스왑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에 상기 가상 홀더장치를 기반으로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바에 물림되는 클립이 고정된 인공잇몸부에 인공치아부가 고정되어 최종 치아수복물이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강에 대한 스캐닝이미지 및 CT이미지와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임플란트 및 슬리브장치의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고도로 정밀한 치아수복 계획이 수립되며, 이러한 계획에 따라 설계 및 3차원 프린팅된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및 치아수복물이 구강에 고도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장착될 수 있다.
둘째, 구강의 횡단면이 표시되는 CT이미지를 기반으로 식립정보가 정확하게 설정되되 실제 설계를 위한 이미지데이터는 표면정보(surface data)인 스캐닝이미지 및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임플란팅 가이드장치를 3차원 프린팅이 가능한 STL파일로 전환이 용이하여 전반적인 설계 및 제조공정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셋째, 치조골의 평탄 및 절삭시 기준이 되는 가상 평탄면 위치가 서지컬 가이드을 장착시 치조골과의 간섭에 대한 여유간격이 고려되어 보정 설정됨에 따라 실제 서지컬 가이드가 구강에 정밀하게 고정되어 임플란트의 식립을 가이드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환자의 교합평면(occlusal plane) 및 수직고경이 고려된 가상 임플란트 및 가상 슬리브장치의 위치가 먼저 고려된 후 가상 평탄면이 설정됨에 따라 대합치와의 교합정밀성이 향상된 치아수복물 및 그의 임플란팅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에 대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범용으로 구비되는 지그베이스가 각 홀더 어버트먼트에 개별 결합되되, 정렬결합바를 통해 이웃하는 지그베이스의 정렬 방향이 기설정된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구속된 상태로 체결나사의 체결을 가이드하므로 결합공차가 실질적으로 0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임플란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치열궁을 따라 넓은 원호 면적으로 고정되는 홀더장치를 통해 최종 치아수복물이 장착 고정되므로 교합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고정바에 실질적으로 단일의 클립이 물림되므로 장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슬리브장치의 가상 배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평탄면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평탄면의 설정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장치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바의 절곡각도 컨펌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틀니의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스캐닝이미지의 스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 및 절삭가이드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형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임플란팅방법이라 함은 치조골에 임플란트(이하,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최종 치아수복물의 제조 및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최종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은 오버덴쳐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덴쳐는 홀더 어버트먼트와 고정바를 포함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고정되는 홀더장치를 통해 구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될 수복대상잇몸부는 상기 오버덴쳐를 통한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구치가 잔존하는 하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대합악궁 또는 대합측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교합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유치악인 상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상악 및/또는 하악이 무치악이나 부분무치악일 수 있으며, 상악 및/또는 하악이 유치악이되 발치 후 수복이 요구되는 경우의 오버덴쳐 제조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임플란팅 가이드장치는 평탄화 가이드(bone reduction guide)와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 가이드는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높이에 맞게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를 절삭 및 평탄화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높이는 상기 오버덴쳐와 상기 대합치 간의 수직고경 및 상기 홀더장치의 높이가 고려되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절삭 및 평탄화 된 상기 치조골에 상기 픽스츄어가 정확한 식립위치 및 방향으로 식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술되는 임시틀니는 상기 치아수복물에 대한 설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강 또는 구강에 대한 인상 채득 후 제조된 인상모형에 의해 변형되도록 1차 제조되는 틀니이다. 물론, 상기 임시틀니는 치아수복 과정에서 환자가 임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활용성 및 치아수복 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은 3차원 플래닝이미지 생성 및 임플란트의 식립정보 설정(210),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설계 및 제조(220), 치조골 평탄화 및 임플란트 식립, 홀더장치 고정(230), 임시틀니 보정(240), 보정스캐닝이미지 스왑(250), 인공치아부와 인공인몸부 제조 및 클립 고정(260), 최종 치아수복물 제조(270)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과정은 스캐닝이미지 및 CT이미지 정합(110), 가상 임플란트 가상 배치(120), 소거모델(erasification model) 추출(130), 가상 평탄면 가상 대체(140) 및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와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 설정(150)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는 적어도 일측이 수복대상잇몸부인 상하악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구강 또는 인상모형의 표면을 스캐닝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대합측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대합측 이미지(m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상기 대합측 이미지(m3)가 각각 획득되되 기설정된 교합평면(op)을 기준으로 가상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하악 이미지가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CT이미지(m1)는 환자의 두부를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잇몸조직에 의해 가려진 내부조직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이미지(m1)는 상호 공통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중첩되어 정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되는 부분이라 잇몸조직에 가려지지 않으면서도 유동이 최소화되는 견조직의 외면이며, 잔존치아의 외면 또는 치간이 이해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일측이 무치악인 경우 레퍼런스 마커를 부착한 후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이미지(m1)를 획득하고, 각 이미지의 동일한 부분에 표시되는 레퍼런스 마커 이미지를 공통되는 부분으로 설정하여 정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조골의 삭제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와 최대한 이격되는 하부측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는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및 상기 대합측의 3차원 외형정보, 상기 CT이미지(m1)에 포함된 상하악측 치조골 및 잔존치, 하치조신경(K)과 같은 내부조직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 상기 대합측 이미지(m3) 및 상기 CT이미지(m1)는 상기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중첩 표시되되 각 이미지를 개별 수정 가능한 것이며, 각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표시되거나 점멸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는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이미지(m1)가 결속된 상태가 아니라 단지 중첩되어 가상 배치된 상태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상기 식립정보(A)가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가상 설정된다. 상세히, 상기 식립정보(A)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최종 치아수복물이 안정적으로 장착 지지되도록 전치측 4개소 또는, 전치측 2개소 및 구치측 2개소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가상치아(m61)가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치아(m61)는 후술되는 인공치아부의 3차원 외형정보이며, 치아수복 설계를 위한 이미지데이터들의 저장소인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다. 이러한 디지털라이브러리는 플래닝부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스캐닝이미지, 상기 CT이미지(m1)가 로딩되어 표시되고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의 생성 및 각 설계정보가 설정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스캐너 또는 CT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데이터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어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계획이 수립되며,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및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가상치아(m61)는 성별 및 연령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된 각 치아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3차원 벡터데이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상치아(m61)는 단일 사이즈로 표준화되어 기저장되거나 대/중/소로 구분되어 기저장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가상치아(m61)는 각 치아에 대응되는 각 인공치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가 개별 설정되되 상기 치열궁을 따라 세트화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치아(m61)는 상하악 중 어느 악궁에 대한 복수개의 치아이미지가 상기 치열궁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동시에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치아(m61)는 각 치아이미지 중 불필요한 치아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삭제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슬리브장치의 가상 배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가상 슬리브장치라 함은 후술되는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와 가상 고정안내슬리브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가상 임플란트(mf)가 상기 식립정보(A)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상 임플란트(mf)는 상기 CT이미지(m1)에 포함된 상기 치조골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임플란트(mf)의 상단부 상측으로 이격되어 동심으로 가상 배치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되어 통합 저장된다.
상기 가상 임플란트(mf)는 실물의 픽스츄어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후술되는 서지컬 가이드에 결합되어 실제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리브의 3차원 외형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상기 가상 임플란트(mf)와 세트로 기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규격에 따라 오프셋(offset) 거리(도 6의 w3)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프셋 거리(도 6의 w3)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과 상기 가이드슬리브 상단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프셋 거리(도 6의 w3)는 인접한 잔존치 또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의 간섭이 고려되어 설정된다.
이때,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에 포함된 결합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 결합부(m50a)와 세트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결합부(m50a)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가 가상 결합되는 가상 결합홀(m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 결합홀(m53)은 실물의 가이드슬리브가 결합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 내에 상기 가이드슬리브의 돌기가 회전 결합되는 결속홈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식립정보(A) 및 하치조신경(K)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앵커핀정보(D)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가상 배치된다.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함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바람직하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통합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크기 및 위치 외의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되어 통합 저장된 후 일련의 과정을 통해 후술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상기 가상 결합부(m50a)와 세트화되어 기저장되므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과정이 신속하면서도 단순화되므로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기설정된 임시삭제라인(m2a)의 내측 이미지를 삭제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다량의 잔존치아 형상이 포함되거나 상기 가상 슬리브장치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의해 과도하게 가려지는 경우 이러한 이미지 삭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된 상태가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인지되도록 표시될 수 있으므로 설계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구강의 횡단면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표시되는 상기 CT이미지(m1)를 기반으로 상기 식립정보(A)가 정확하게 설정되면서도 실질적으로 설계에 필요한 이미지데이터는 각 대상의 표면정보(surface data)인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등을 신속하게 3차원 프린팅하여 제조할 수 있는 STL파일(stereo lithography file)로의 전환이 용이하며 전반적인 설계 및 제조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평탄면의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번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m30)이 추출된다. 상기 소거모델(m30)은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다. 이때, 상기 소거모델(m30)의 라운드진 부분이 구강의 근심면(mesial)에 대응되며 수직면측이 구강의 원심면(distal)에 대응된다.
상기 소거모델(m30)은 상기 교합평면(op)과 매칭되는 수평기준면(m31)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거나 타면(도면에서의 상면)에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하악의 치아수복이 동시에 진행되면 상기 수평기준면(m31)이 상기 소거모델(m30)의 중심을 따라 설정되며, 상하악 중 일측의 치아수복이 진행되면 상기 수평기준면(m31)이 상기 소거모델(m30)의 타면에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기준면(m31)과 상기 일면(m33) 사이 간격(h)은 환자의 수직고경과 치아수복계획이 고려되어 가상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거모델(m30)에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측에 대응하는 일면이 제1기준면(L1)으로부터 기설정된 여유간격(w1)으로 하향 이격된 제2기준면(L2)과 대응되도록 가상 조절된다.
상세히, 상기 제1기준면(L1)은 교합평면(op)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되어 설정되며,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와 대응된다. 즉, 상기 가상 임플란트는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되어 상기 치열궁을 따라 가상 배치되되, 상단부 위치가 상기 제1기준면(L1)에 매칭되도록 가상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유간격(w1)은 상기 제1기준면(L1)을 기준으로 하향 돌출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하단부 위치 및 배치각도가 고려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기준면(L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 또는 상기 가상 결합부(m50a)의 3차원 외형정보가 고려되어 상기 여유간격(w1)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구강에 장착되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가이드될 때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 구조와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상면부 간의 간섭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설정된 상기 식립정보(A)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식립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서 상기 소거모델(m30)과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상기 가상 평탄면(E)이 형성되되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의 상단부가 상기 가상 평탄면(E)으로 가상 대체(swap)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 및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반으로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전반적인 설계정보가 신속하고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평탄면의 설정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본 변형예는 상기 소거모델이 가상 배치되는 과정을 제외한 실질적인 구성은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거모델(m30)은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오프셋 거리(w3)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상 어버트먼트(m14)를 기반으로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는 상기 오프셋 거리(w3)가 고려되어 이격된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임플란트 사이에 가상 배치된다.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는 하면부가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와 매칭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프셋 거리(w3)에 따라 그 높이(w2)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프셋 거리(w3)가 9mm인 경우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길이는 4.5m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오프셋 거리(w3)가 10.5mm인 경우 6mm, 12mm인 경우 7.5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거모델(m30)의 일면(m33)이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의 하면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2기준면(L2)에 대응하여 가상 보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소거모델(m30)은 실제 픽스츄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위치까지 고려되어 가상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높이가 더욱 바람직하게 설정되므로, 후술되는 임플란팅 과정에서 구강 대 장치 또는 장치 대 장치 간의 간섭으로 인한 정밀도 저하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범위/위치가 상기 가상 임플란트 및 이와 세트로 가상 배치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높이가 상기 홀더장치 및 상기 홀더장치를 통해 장착되는 상기 오버덴쳐의 높이가 먼저 고려된 후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제조 및 구강에 장착되는 상기 오버덴쳐와 대합치 간의 교합정밀성이 향상되며 저작시 불편함이 최소화되므로 치아수복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평탄면(E)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테두리를 따라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가 3차원 프린터 등의 제조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실물의 평탄화 가이드가 제조된다.
상세히,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서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하측에 대응하는 잇몸의 내외측면 표면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두께 또는 간격으로 돌출 또는 이격되어 가상 몸체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상 몸체부에서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상측은 개구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평탄면(E)의 외곽과 매칭되는 상기 가상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설정된다. 더불어,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 저장된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를 기반으로 앵커핀이 고정될 수 있는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가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는 상기 가상 몸체부의 상단부에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외주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결합홀(m53)이 형성되어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가상 결합홀(m53)은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세트로 기저장된 상기 가상 결합부(m50a)에 포함되므로, 별도의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도 상기 가상 결합홀(m53) 3차원 외형정보가 즉각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유간격(w1)이 고려되어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설정되므로 상기 가상 결합부(m50a)의 하면부와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를 기반으로 가상 설정되는 가상 절삭면이 이격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에도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를 기반으로 상기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평탄화 가이드와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데이터인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 및 상기 앵커핀정보(D)를 기반으로 설계된다. 이때,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 또는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의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최종 제조된 상기 평탄화 가이드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부 윤곽 및 상기 피스고정부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탄화 가이드를 분리 후 상기 서지컬 가이드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장착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평탄화 가이드는 절삭 및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와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 사이의 간섭에 대한 여유간격이 고려되도록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상기 제2기준면(L2)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상기 치조골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면은 치조골 측면부를 따라 형합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슬리브가 결합되는 내면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식립오차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팅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8 내지 도 9에서 설계정보가 획득되는 과정 외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A)는 내면부 윤곽이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의 외면부 윤곽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A)의 상단부에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결합홀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A) 외곽측에는 상기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m50b) 외주와 형합되는 가상 정렬결합홈(m54)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에 포함된 상기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m50b)와 별도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A)에도 상기 고정피스홀의 설계정보(m50c)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의 과정으로 설계 및 제조된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외면측에 형합 지지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에 앵커핀을 통해 고정된 상기 평탄화 가이드를 분리하지 않고 그 위에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겹쳐져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탄화 가이드를 분리 후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장착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되므로 정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조골에 상기 앵커핀이 반복적으로 식립 및 분리됨으로 인한 과도한 손상이 방지되며 치조골의 강도가 약해짐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의 외주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결합홀(m53)이 형성된 가상 가이드몸체부(m9)가 설정된다. 그리고, 일면이 상기 제1기준면(L1)과 매칭되고 타면이 상기 제2기준면(L2)에 매칭되는 두께로 돌출된 입체형상의 가상 절개블록(m41)이 상기 가상 가이드몸체부(m9)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가상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가상 절개블록(m41)과 상기 가상 가이드몸체부(m9)의 중첩영역(d1)이 소거되면 절개슬롯홀의 설계정보를 포함하는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B)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0B)를 기반으로 제조된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500B)는 상기 가상 절개블록(m41)을 기반으로 형성된 절개슬롯홀(57)을 경계로 하측의 제1몸체부(501)와 상측의 제2몸체부(502)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부(502)에는 가이드홀(51)을 포함하는 가이드슬리브(52)가 결합되는 결합홀(5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53)의 내주에 상기 가이드슬리브(52)의 돌기가 걸림되는 결속홈(53a)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구치가 잔존하는 경우 이에 형합 정렬되는 정렬형합부(5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상기 서지컬 가이드(500B)를 제조한 후 하나의 서지컬 가이드(500B)는 상기 절개슬롯홀(57)을 따라 상측을 분리함으로써 평탄화 가이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서지컬 가이드와 상기 평탄화 가이드를 제조하는데 실질적으로 1회의 설계만이 요구되므로 설계공정의 간소화 및 신속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슬롯홀(57)의 하면(57c)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2기준면(L2)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제2몸체부(502)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절개슬롯홀(57)의 하면(57c)이 상기 평탄가이드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장치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바의 절곡각도 컨펌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화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상기 치조골이 절삭 및 평탄화되며, 상기 서지컬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절삭 및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1a)에 상기 픽스츄어(f)가 식립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에 상기 홀더장치(도 13의 140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장치(도 13의 1400)는 홀더 어버트먼트(1410) 및 고정바(143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체결스크류(도 13의 1420)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경유삽입부(14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유삽입부(1414)에 상기 고정바(1430)가 삽입되되 상기 체결스크류(1420)가 관통되는 중앙부의 체결홀(도 13의 1413) 상단부에 가압수단(도 13의 144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고정바(1430)가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내측 하단과 상기 가압수단(도 13의 1440)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430)는 상기 치열궁을 따라 설정되는 복수개의 식립정보 중 전치측 2개의 식립점(A1) 및 구치측 2개의 식립점(A2)과 교차되도록 절곡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1430)는 기설정된 절곡점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절곡되어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바(1430)는 그 중앙부가 한쌍의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을 교차하도록 구비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을 교차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절곡점 위치 및 절곡각도를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절곡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 고정바(1430)를 라운드지게 절곡 후 스프링백(spring back)으로 인한 치조골의 손상 또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곡경로정보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식립정보는 상기 절곡경로정보 중 중앙라인(B1)을 교차하는 한쌍의 상기 전치측 식립점(A1)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 중 양측라인(B2)을 교차하는 한쌍의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개구되도록 가이드하는 고정용 지그베이스(10) 및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가 준비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각 식립점(A1,A2)에 상기 픽스츄어(f)가 식립되되, 한쌍의 상기 전치측 식립점(A1)에 대응하여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상단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납홈(12)의 내주에 상기 경유삽입부(1414)와 형합되는 정렬돌기(1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 상기 정렬돌기(12a)와 평행하게 정렬홈(15)이 가로질러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12)과 연통되는 관통공(13)이 형성된다. 따라서, 각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홈(1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정렬되면, 상기 정렬돌기(12a)에 형합된 상기 경유삽입부(1414)의 개구된 방향도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정렬될 수 있다.
각 상기 정렬홈(1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정렬된 상태에서 정렬고정바(u)가 동시에 삽입되어 회전 정렬된 상태가 구속된다. 그리고, 회전이 구속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각 상기 관통공(13)에 드라이버 등의 회전수단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스크류(1420)가 상기 픽스츄어(f)에 체결되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상기 전치측에 고정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전치측에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가 교체 결합된다.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상면부에 정렬홈(25)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수납홈(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치측 식립점(A2)에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으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가 배치되며,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결합된다. 그리고, 구치측에 배치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홈(15)과 전치측에 배치된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정렬홈(25)이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정렬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정렬홈(15)과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의 정렬홈(25)에 상기 정렬고정바(u)가 동시에 삽입되어 회전 정렬된 상태가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치측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는 상기 경유삽입부(1414)가 상기 양측라인(B2)에 대응하여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지그베이스(10)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20)는 각 상기 수납홈(12,22)의 내주 직경 및 각 상기 수납홈(12,22)과 각 상기 정렬홈(15,25) 간의 이격거리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규격 및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 각도단위에 대응하여 규격화되어 범용으로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정확한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그베이스를 환자별로 개별 설계 및 제조하는 번거로움이 최소화되므로 치아수복의 전체적인 과정 및 시간이 단축되며,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정렬고정바(u)를 통해 이웃하는 지그베이스의 정렬 방향이 기설정된 절곡경로정보와 평행하게 구속된 상태로 체결나사의 체결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와 상기 고정바(1430) 간의 결합공차가 실질적으로 0에 가깝게 형성됨으로써 임플란팅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2의 (a) 내지 (b)를 참조하면, 상기 픽스츄어(f)에 결합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각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가 재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각 상단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경화성 레진이 소정의 두께로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레진이 경화되어 복수개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를 일체로 연결하는 브릿지로서의 정렬지지부(10A)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정렬지지부(10A)를 통해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위치 및 상기 정렬돌기(12a)의 정렬 방향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지지부(10A)를 통해 고정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10)의 각 수납홈(12)에 홀더 아날로그(4)가 삽입된다. 상기 홀더 아날로그(4)는 상단부에 상기 경유삽입부(도 13의 1414)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12)에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상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각도정렬부(4a)가 상기 정렬돌기(12a)에 형합된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각 상기 수납홈(12)에 정렬 삽입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하단부가 석고 등의 경화성 소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소재가 경화되면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각 하단부 사이가 이격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4)가 상기 식립점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로 구속된 각도컨펌모델(10B)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외주에는 디컷면과 같은 비연속면으로 형성되는 구속정렬면(4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화성 소재가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하부 사이를 매워 경화되면서 상기 홀더 아날로그(4)의 회전이 구속된다.
도 12의 (d)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컨펌모델(10B)을 통해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각도가 컨펌된다. 즉, 상기 각도정렬부(4a)에 상기 고정바(1430)를 삽입시 간섭 없이 삽입되면 바람직한 절곡각도로 절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정바(1430)를 상기 각도정렬부(4a)에 삽입시 간섭되거나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면 절곡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고정바(1430)를 보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절삭 및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1a)에 직접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기반으로 상기 각도컨펌모델(10B)이 생성되므로 상기 고정바(1430)를 실제 구강 환경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를 구강에 고정한 후 상기 고정바(1430)의 절곡오차는 구강 외에서 판단 및 보정되므로 환자의 잦은 내원 또는 반복적인 컨펌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틀니의 보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스캐닝이미지의 스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상기 임시틀니(30)는 상기 홀더장치(1400)가 실제 고정된 상하악 또는 상기 홀더 아날로그 및 상기 고정바가 고정된 인상모형 사이에 교합되어 보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실제 상하악을 통해 교합 보정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시 연화되는 임시틀니(30)가 준비되되, 상기 홀더장치(1400)가 고정된 수복대상잇몸부(2)과 대합악궁(3) 사이에 상기 임시틀니(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30)가 환자의 교합압력을 통해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교합 보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임시틀니(30)의 내면부에 상기 홀더장치(1400)가 삽입되는 임시장착부(35)가 가압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임시틀니(30)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를 상기 임시틀니(30) 형상에 대응하여 3차원 프린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임시틀니(30)는 내면측에 상기 홀더장치(1400)의 부피를 초과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함몰된 여유홈(33a)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임시틀니(30)를 가온 처리시 상기 대합치와 교합되는 임시치아부(32) 측을 제외한 임시잇몸부(33)의 내면측이 가온처리되어 연화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시틀니(30)는 상기 여유홈(33a)에 릴라이닝 레진(34)이 충진된 상태로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 보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릴라이닝 레진(34)에 상기 홀더장치(1400)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임시장착부(35)가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임시잇몸부(33)측이 환자의 실제 치열궁 및 잇몸부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보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30)를 광경화함에 따라 저작압력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완전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수복물의 최조 제조전까지 상기 임시틀니(30)를 임시로 사용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면부에 상기 임시장착부(35)가 보정 형성된 상기 임시틀니(30)의 내외면부를 전체적으로 스캐닝하여 임시틀니 이미지(m300)가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 이미지(m300)로부터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m35) 및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에 대응하여 보정된 상기 임시잇몸부의 내면부의 3차원 외형정보(m33)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보정된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획득된다.
상세히, 상기 임시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와 상기 임시치아부의 3차원 외형정보 사이에 경계라인(X)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경계라인(X)의 내면부를 제외한 불필요한 이미지데이터가 소거영역(m39)으로 설정되어 소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임시틀니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m35)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되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로 획득된다.
이때,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는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가상 홀더장치(m40)로 대체 스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홀더장치(m40)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외형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며, 가상 고정바(m43) 및 상기 가상 고정바(m43)에 가상 물림되는 가상 클립(m67)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임시틀니(30)를 교합시 발생하는 표면요철, 노치, 가공 또는 상기 임시틀니(30)의 스캐닝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왜곡이나 노이즈가 상기 가상 홀더장치(m40)로 스왑됨에 따라 설계정확성 및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임시틀니 이미지(m300)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스캐닝이미지는 두께가 없는 면정보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된 가상 데이터는 그 자체가 설계정보로 활용 가능한 데이터로 기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캐닝이미지 또는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정보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이미지처리 난이도가 낮아지고 속도는 높아지므로 설계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 및 절삭가이드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버덴쳐 제조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치아부(61)의 높이를 환자의 수직고경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절삭가이드(70)가 설계 및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가상 평탄면(E)을 포함하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상기 대합측 이미지(m3) 사이에 상기 가상치아(m61)가 가상 배치되고, 상기 가상치아(m61)의 치근측과 중첩되도록 가상 인공잇몸부(m62)가 설정된다.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m62)는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선택 추출하여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가상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부(61)는 규격화되어 기성품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상치아(m61)는 기성품으로 준비되는 상기 인공치아부(61)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61)의 각 인공치를 복잡하게 설계 및 별도로 제조하는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오버덴쳐(60)의 제조공정 및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치아(m61)의 교합단부(m61d)가 상기 교합평면(op)을 기준으로 상기 대합측 이미지(m3)와 가상 교합되도록 정렬된다. 이때, 상기 가상치아(m61)의 높이가 환자의 수직고경을 초과하면 상기 가상치아(m61)의 치근단부(m61c)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의 외형정보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내면부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대응되는 가상 베이스잇몸부(m62)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치아(m61)와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의 교차 중첩된 부분이 삭제영역(u2)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의 내외면측 표면정보와 상기 가상치아(m61)의 표면정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를 따라 교차라인(e1,e2)이 설정되며 상기 교차라인(e1,e2)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의 이미지가 소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상치아 이미지(m61)는 상기 교차라인(e1,e2)의 외측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소거되되 상기 교차라인(e1,e2)의 내측에 위치하는 이미지는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와 통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삭제영역(u2)의 내주를 따라 가상형합면(u1)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가이드의 설계정보는 상기 가상형합면(u1)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절삭홀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는 상기 가상형합면(u1)을 기반으로 내주가 형성되되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의 내면부 윤곽, 즉 상기 가상 평탄면(E)으로부터 기설정된 안착간격(w4)으로 이격된 결합홈의 내면정보(m62c)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절삭가이드의 설계정보와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는 동일한 설계데이터인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를 기반으로 설계되되, 상기 절삭홀의 3차원 외형정보는 상기 가상형합면(u1)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m6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는 상기 가상형합면(u1)에서 상기 결합홈의 내면정보(m62c)에 대응하는 두께만큼 차폐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상기 절삭가이드의 설계정보 및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는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실물의 절삭가이드(70)와 실물의 인공잇몸부(62)로 제조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상기 절삭가이드(70)의 각 상기 절삭홀(72)에 범용으로 준비되는 상기 인공치아부(61A)의 각 상기 인공치(61b)가 삽입된다. 이때, 각 상기 절삭홀(72)의 내주면에 각 상기 인공치(61b)의 외주 일측이 걸림 형합되면 상기 인공치아부(61A)의 치근단부(61c)가 상기 절삭가이드(70)의 내면부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상기 인공치아부(61A)의 치근단부(61c)는 상기 절삭홀(72)의 내측 테두리(72a)를 기준으로 절삭 보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인공치아부(61)의 높이가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보정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절삭 보정된 상기 인공치아부(61)의 각 인공치(61bb)가 상기 인공잇몸부(62)에 형성된 각 상기 결합홈(62a)에 형합되되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면 최종 치아수복물인 상기 오버덴쳐(60)가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인공잇몸부(62)의 내면부(62b)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에 형합되되, 상기 장착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62a)의 바닥면(62c)과 상기 인공잇몸부(62)의 내면부(62b) 사이는 상기 안착간격(w4)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간격(w4)에 대응하여 단차가 발생하는 상기 절삭가이드(70)와 상기 인공잇몸부(62) 간의 두께차를 고려하여 각 상기 인공치(61bb)는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기설정되는 상기 안착간격(w4)만큼 추가로 보정 절삭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인공치아부(61A)가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 표준화된 사이즈 그대로 기준비되어 제조편의성이 개선되면서도 각 치근단부(61c)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제조된 절삭가이드(70)에 가이드되어 환자의 수직고경에 적합하게 절삭 보정된다. 이에 따라, 각 환자의 수직고경에 적합하게 보정되므로 경제성 및 치아수복물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부(61A)의 각 인공치(61b)를 동시에 정렬하기 위한 인덱스지그(80)가 더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덱스지그(80)는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치아의 교합단부(m61d)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정렬지그홈(81)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인덱스지그(80)와 상기 절삭가이드(70)/인공잇몸부(62) 사이에 각 상기 인공치(61b,61bb)가 동시에 정렬 결합되므로 각 상기 인공치(61b)의 절삭 또는 각 상기 인공치(61bb)의 부착이 신속하면서도 정밀한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고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인공잇몸부(62)는 내면부에 상기 가상 홀더장치(m40)를 기반으로 장착부(65)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65)와 연통되는 고정홀(66)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장착부(65)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1410)의 외형에 대응하는 제1형합부(65a) 및 상기 고정바(1430)의 외형에 대응하는 제2형합부(65b)를 포함하여 단차짐에 따라 상기 홀더장치(1400)에 상기 인공잇몸부(62)가 결합되면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67)은 단부가 상기 고정홀(66)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고정홀(66)에 충진 및 경화되는 레진(r)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65)의 내측에 고정된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1430)에 물림되면 상기 인공잇몸부(62) 및/또는 상기 오버덴쳐(60)가 상기 홀더장치(1400)에 지지되어 구강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67)은 상기 고정바(1430)의 기설정된 위치에 물림되되 상기 장착부(65)에 상기 홀더장치(14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공잇몸부(62)가 장착되면 상기 클립(67)의 단부가 상기 고정홀(6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66)의 내측으로 상기 레진(r)이 충진 및 경화되면 상기 클립(67)이 상기 인공잇몸부(62)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착부(65)에 상기 홀더장치(1400)가 삽입되도록 상기 인공잇몸부(62)가 장착되고 상기 고정홀(66)을 통해 상기 클립(67)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바(1430)에 물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66)의 내측으로 상기 레진(r)이 충진 및 경화되면 상기 클립(67)의 단부가 상기 고정홀(66)에 매립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66)은 상기 클립(67)의 단면적보다 넓은 내주를 갖도록 관통되며, 상기 클립(67)은 클립홀더에 취부되어 상기 고정홀(66)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레진(r)은 상기 인공잇몸부(62)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66)에 상기 레진(r)이 충진된 후 경화되면 동형 재질간의 고도의 융착성을 통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67)의 단부 외면은 미세요철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진(r)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진(r)이 경화되기 전 잇몸조직 측으로 유동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복대상잇몸부(2)의 표면을 커버하는 러버댐(rubber dam)이 덮어씌워짐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치아수복물 제품의 제조 산업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일측이 수복대상잇몸부인 상하악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스캐닝이미지가 CT이미지와 중첩되어 정합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가 생성되되,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에 임플란트의 식립정보가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설정되고, 치조골 평탄화를 가이드하는 평탄화 가이드 및 임플란트 식립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를 포함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에 안내되어 치조골이 평탄화되고 임플란트가 식립되되, 홀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경유삽입부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홀더장치가 상기 임플란트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2단계;
    교합압력을 통해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변형되도록 기설정된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시 연화되는 임시틀니의 내면부에 상기 홀더장치가 삽입되는 임시장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임시틀니가 상하악 사이에서 교합 보정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의 스캐닝이미지로부터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보정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되, 상기 임시장착부의 3차원 외형정보가 가상 홀더장치로 대체 스왑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에 상기 가상 홀더장치를 기반으로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바에 물림되는 클립이 고정된 인공잇몸부에 인공치아부가 고정되어 최종 치아수복물이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CT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가상 임플란트가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 상측으로 기설정된 오프셋 거리로 이격되어 동심으로 가상 배치되는 가상 식립안내슬리브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되어 통합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의 외주에 대응하는 가상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복수개로 저장된 소거모델 중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이 추출되는 단계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에서 상기 소거모델과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가상 평탄면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가상 평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테두리를 따라 평탄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추출된 상기 소거모델이 상하악의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가상 배치되되 적어도 일면이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제1기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여유간격으로 하향 이격된 제2기준면과 대응되도록 가상 조절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평탄면이 상기 제2기준면과 대응하여 가상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여유간격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 외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가상 임플란트가 상기 제1기준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되는 3차원 외형정보가 고려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오프셋 거리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상 어버트먼트가 가상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소거모델의 일면이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하면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2기준면에 대응하여 가상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는
    내면부 윤곽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및 상기 가상 평탄면을 기반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는
    내면부 윤곽이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외면부 윤곽을 기반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의 외주에 대응하는 가상 결합홀이 형성된 가상 가이드몸체부가 설정되는 단계와,
    일면이 상기 제1기준면과 매칭되고 타면이 상기 제2기준면에 매칭되는 두께로 돌출된 입체 형상의 가상 절개블록이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가상 배치되는 단계와,
    한쌍으로 제조되는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 중 하나가 분할된 하측의 제1몸체부가 평탄화 가이드로 형성되도록 상기 가상 절개블록과 상기 가상 가이드몸체부의 중첩영역이 소거되어 절개슬롯홀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스캐닝이미지가 상기 CT이미지와 기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중첩되어 정합되는 단계와,
    상기 교합평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기준면에 각 상단부가 정렬되도록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된 복수개의 가상 임플란트가 치열궁을 따라 가상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복수개로 저장된 소거모델 중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이 추출되는 단계와,
    추출된 상기 소거모델의 일면이 상기 교합평면과 매칭되고 타면이 상기 제1기준면과 매칭되도록 가상 배치되되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와 상기 소거모델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상면측이 가상 평탄면으로 가상 대체되는 단계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및 상기 가상 평탄면을 기반으로 치조골 평탄화 및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구를 가이드하는 평탄화 가이드 및 서지컬 가이드와,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양단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되는 상기 고정바의 절곡경로정보 및 상기 절곡경로정보를 경유하는 전치측 및 구치측 식립점에 대응하여 상기 임플란트의 식립정보가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와 연동되도록 상기 경유삽입부가 형합되는 정렬돌기가 수납홈 내주에 형성된 고정용 지그베이스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에 회전 지지되는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전치측 식립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가 한쌍의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를 통해 상기 경유삽입부가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정렬되어 상기 전치측에 고정되는 단계와,
    전치측에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에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가 교체 결합되고 이웃하는 구치측 식립점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가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피벗가이드용 지그베이스의 정렬홈과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회전 및 구속된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에 지지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가 구치측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전치측 및 구치측에 고정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의 각 상단부에 상기 고정용 지그베이스가 재결합되되 경화성 레진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단계와,
    각 상기 수납홈에 상기 경유삽입부와 대응되는 각도정렬부가 형성된 홀더 아날로그가 삽입되되 경화성 소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절곡경로정보에 대응하여 절곡된 고정바가 일체로 연결된 상기 홀더 아날로그의 각 상기 각도정렬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절곡오차가 판단되고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장착부와 연통되는 상기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상기 인공잇몸부가 상기 홀더장치가 장착된 구강에 장착되는 단계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된 상기 클립의 단부가 상기 고정홀에 충진 및 경화되는 레진을 통해 매립되어 상기 인공잇몸부에 상기 클립이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내면부 윤곽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와 대응되는 가상 베이스잇몸부가 가상 배치되되, 수직고경을 초과하는 가상치아와 상기 가상 베이스잇몸부의 교차 중첩된 부분이 소거영역으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소거영역이 소거된 내주를 따라 가상형합면이 설정되되, 상기 가상형합면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절삭홀을 포함하는 절삭가이드와 상기 가상형합면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상기 인공잇몸부가 설계 및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절삭가이드의 각 상기 절삭홀의 내주면에 기준비된 인공치아부의 외주 일측이 걸림 형합되는 단계와,
    상기 인공치아부의 높이가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보정되도록 상기 절삭가이드의 내면부측으로 돌출된 상기 인공치아부의 치근단부가 상기 절삭홀의 내측 테두리를 기준으로 절삭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PCT/KR2020/015812 2020-08-24 2020-11-13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WO20220454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103954.9A CN116056660A (zh) 2020-08-24 2020-11-13 牙齿修复体的植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81A KR102438919B1 (ko) 2020-08-24 2020-08-24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KR10-2020-0106081 2020-08-24
KR1020200106085A KR102435930B1 (ko) 2020-08-24 2020-08-24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KR10-2020-0106085 2020-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453A1 true WO2022045453A1 (ko) 2022-03-03

Family

ID=8026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5812 WO2022045453A1 (ko) 2020-08-24 2020-11-13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12462B2 (ko)
CN (1) CN116056660A (ko)
WO (1) WO2022045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8964A1 (en) * 2021-08-06 2023-02-09 Dentsply Sirona Inc. Dental procedures
CN115661406B (zh) * 2022-12-23 2023-06-02 深圳市创想三维科技股份有限公司 牙齿模型修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243630B (zh) * 2023-11-13 2024-02-09 北京西科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牙颌种植卧式扫描杆及无牙颌口腔种植数据的获取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8082B2 (en) * 2009-11-16 2016-06-07 Nobel Biocare Services Ag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20180098230A (ko) * 2015-10-23 2018-09-03 내셔널 덴텍스 엘엘씨 뼈 기초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1940743B1 (ko) * 2017-10-27 2019-01-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00000704A (ko) * 2018-06-25 2020-01-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서지컬 가이드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67614B1 (ko)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수술을 계획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91571B1 (ko) * 2018-11-19 2020-03-23 주식회사 디오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EP3685797A1 (en) * 2017-09-20 2020-07-29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Avantis3d"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6684A1 (en) * 2004-02-27 2011-02-24 Custom Spine, Inc. Screw Assembly and Method
ITTO20050542A1 (it) * 2005-08-02 2007-02-03 Alma Mater Studiorum Uni Di Bologna Metodo e stazione di lavoro per realizzare una mascherina guida per la inserzione di un impianto osteointegrato nei mascellari
US20140134566A1 (en) * 2012-11-14 2014-05-15 Robert Lemke Dental Prosthesis With Reference Points For Imaging When Fabricating A Denture
US10405945B2 (en) * 2013-03-14 2019-09-10 National Dentex, Llc Bone foundation guide and method of use
DE102015101978B3 (de) * 2015-02-11 2016-07-14 Heraeus Kulzer Gmbh Erstellen einer Wachs- oder Kunststoffbasis zur Fertigung einer Dentalprothese
KR101544773B1 (ko) *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8082B2 (en) * 2009-11-16 2016-06-07 Nobel Biocare Services Ag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20180098230A (ko) * 2015-10-23 2018-09-03 내셔널 덴텍스 엘엘씨 뼈 기초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EP3685797A1 (en) * 2017-09-20 2020-07-29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Avantis3d"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KR101940743B1 (ko) * 2017-10-27 2019-01-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00000704A (ko) * 2018-06-25 2020-01-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서지컬 가이드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91571B1 (ko) * 2018-11-19 2020-03-23 주식회사 디오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KR102067614B1 (ko)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임플란트 수술을 계획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56660A (zh) 2023-05-02
US20220054238A1 (en) 2022-02-24
US11612462B2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45453A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KR101940743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947635B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WO2012150843A2 (ko) 영상정보 정합을 위한 마커
WO2019151740A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071021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용 절삭가이드
WO2017010782A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96246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WO2021162220A1 (ko)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7263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956072B1 (ko)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20190025083A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덴처홀가이더 및 제조방법
WO2020197133A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수복물 제조방법
WO2022065594A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WO2020171314A1 (ko) 스캔용 왁스바이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JP2017538480A (ja) 咬合採得ツール、咬合採得ツールセット、およびこれらに適した咬合採得方法
KR102438919B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KR102296249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080245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WO2021107246A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와 홀더장치용 고정바 벤딩장치
WO2020105835A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범용 왁스바이트
KR20230033134A (ko)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WO2023027273A1 (ko) 오버덴쳐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오버덴쳐용 결합장치
WO2019009494A1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이에 적용되는 덴처홀가이더 및 제조방법
KR10233297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51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516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