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49B1 -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49B1
KR102296249B1 KR1020190126006A KR20190126006A KR102296249B1 KR 102296249 B1 KR102296249 B1 KR 102296249B1 KR 1020190126006 A KR1020190126006 A KR 1020190126006A KR 20190126006 A KR20190126006 A KR 20190126006A KR 102296249 B1 KR102296249 B1 KR 102296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tting
temporary
guide
im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168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12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49B1/ko
Priority to US16/702,685 priority patent/US11896451B2/en
Priority to PCT/KR2019/017334 priority patent/WO2021071021A1/ko
Publication of KR2021004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된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생성된 플래닝이미지에 상기 치조골정보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절삭정보 및 상단부가 상기 절삭정보와 대응하도록 상기 치조골 정보의 내측에 배열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복수개로 정렬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절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의 평탄화를 가이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절삭가이드 및 상기 식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식립가이드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2단계; 상기 절삭가이드가 설치되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상기 식립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고 상기 픽스츄어에 홀더유닛이 고정되되, 내면부에 상기 홀더유닛이 형합 삽입되는 임시홀더삽입부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임시틀니가 준비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를 스캐닝하여 획득되되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더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립이 경화성 레진을 통해 고정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디지털 오버덴쳐가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며,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지므로 인해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되지만, 상기 보철이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와 같이 구강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이때, 종래의 결합수단는 상기 치조골에 복수개로 식립 및 고정되는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볼타입의 결합수단은 각각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에 개별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어태치먼트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면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타입의 결합수단에는 복수개의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라운드지게 경유하는 고정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볼타입의 결합수단에 비해 체결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고정바가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되므로, 상기 고정바가 경유되는 복수개의 상기 픽스츄어/어버트먼트의 치조골 내 식립높이가 상호 동일하여야 한다. 그러나, 자연치아가 이미 상실된 상태이거나 발치된 치조골의 경우 그 외면이 굴곡짐으로 인해 바타입의 결합수단이 정확하게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오버덴쳐 및 결합수단의 설계가 구강에 대응하여 채득된 인상체 및 CT 이미지를 기반으로 수립된다. 이때, CT 이미지의 경우 치조골에 대한 정보는 획득이 용이하나 연조직인 잇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인상체의 경우 인상채득 및 모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며, 인상채득시 잇몸이 가압되면서 정밀한 구강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조된 오버덴쳐가 구강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여 사용시 이물감 및 통증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픽스츄어 식립, 어버트먼트 및 결합수단의 고정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수행시 시술자의 경험치에 의존하게 되므로 시술정밀성이 낮아지며, 오버덴쳐의 제조과정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환자의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47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된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생성된 플래닝이미지에 상기 치조골정보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절삭정보 및 상단부가 상기 절삭정보와 대응하도록 상기 치조골 정보의 내측에 배열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복수개로 정렬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절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의 평탄화를 가이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절삭가이드 및 상기 식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식립가이드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2단계; 상기 절삭가이드가 설치되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상기 식립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고 상기 픽스츄어에 홀더유닛이 고정되되, 내면부에 상기 홀더유닛이 형합 삽입되는 임시홀더삽입부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임시틀니가 준비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를 스캐닝하여 획득되되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더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립이 경화성 레진을 통해 고정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디지털 오버덴쳐가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에 대하여 획득된 대상악궁의 치조골정보 및 상기 치조골정보와 수평방향으로 설정되는 절삭정보를 통해 설계 및 제조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용 절삭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을 감싸도록 상기 치조골정보의 전체적인 내외측면을 따라 외곽테두리가 형성되되 내면이 상기 치조골정보의 표면과 형합되도록 양단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형합홈부; 상기 치조골정보와 상기 절삭정보가 교차하는 경계영역을 따라 설정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이 관통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형합홈부의 외측단 및 내측단을 각각 연결하되, 외면에 상기 절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치조골을 평탄화하는 절삭기구의 이동영역을 가이드하는 평탄가이드면이 형성된 스토퍼연결부; 및 상기 형합홈부 및 상기 스토퍼연결부 중 어느 일측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대상악궁에 고정되는 앵커핀이 관통 체결되는 절삭앵커고정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용 절삭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구강을 스캐닝 및 CT촬영하여 획득된 이미지와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디지털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에게 고도로 정밀한 치아수복 계획이 수립되며, 이러한 계획에 따라 설계 및 3차원 프린팅된 각종 가이드, 임시틀니 및 디지털 오버덴쳐가 구강에 고도로 정확하고 정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둘째, 구강에 대한 이미지가 3차원 프린팅된 디지털 인상모델을 통해 가이드, 임시틀니 및 디지털 오버덴쳐의 정밀도가 체크 및 보정되므로, 환자는 구강정보 획득, 픽스츄어 및 홀더유닛 식립, 그리고 디지털 오버덴쳐의 최종 설치와 같이 최소한의 방문만으로도 정밀한 치아수복이 가능하므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치아수복 계획에 따라 설계 및 제조된 절삭가이드가 구강에 설치되면 절삭정보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부의 테두리에 절삭기구가 접촉 제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치조골의 넓이 및 두께만큼만 절삭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시술 편의성 및 시술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절삭가이드와 평탄화된 치조골에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식립가이드가 동일한 앵커핀정보를 기반으로 형성된 각각의 앵커고정부를 통해 구강에서의 설치 위치가 정렬되므로 각 가이드를 순차적으로 고정 및 분리하더라도 상기 치아수복 계획에 따른 정밀한 작업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절삭가이드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절삭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식립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인상모델을 이용한 정렬피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홀더유닛이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보정스캐닝이미지의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클립의 고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용 절삭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은 플래닝이미지 생성(s10), 식립가이드, 절삭가이드, 인상모델 등과 같은 오버덴쳐 제조용 보조수단의 제조, 홀더유닛 세팅 및 임시틀니 보정(s30), 보정스캐닝이미지 획득(s40), 그리고 디지털 오버덴쳐 설계 및 제조(s50)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대상악궁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를 필요로 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무치악(edentulous jaw)인 하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그리고, 대합악궁은 대상악궁과 교합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유치악(dentulous jaw)인 상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상악 또는 상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경우에 설치되는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임시틀니는 최종 제조되는 최종 디지털 오버덴쳐에 대한 정밀한 설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1차 제조되는 틀니이며,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는 실제로 구강에 설치되어 사용하기 위한 인공치주조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를 위한 설계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기간 중 환자가 임시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치아수복 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은 촬상장치, 플래닝부, 제조장치를 포함한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에 대한 표면정보(m2,m3) 및 치조골정보(A)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구강스캐너 및 CT촬상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잇몸부 외면에 대한 표면정보(m2,m3)가 3차원 이미지로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치조골의 형상, 굴곡 및 하치조신경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상기 치조골정보(A)가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부는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보와 상기 플래닝부 내에 기저장된 정보를 취합, 산출 및 모델링하는 컴퓨터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상기 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m2,m3) 및 상기 치조골정보(A)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어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정보(m2,m3) 및 상기 치조골정보(A)가 기설정된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정렬되어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를 위한 플래닝이미지(M)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표면정보(m2,m3)와 상기 치조골정보(A)는 각 악궁에 대응하여 상호 매칭되는 비교영역을 기준으로 정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합악궁의 경우 잔존 치아의 표면 또는 치간 등을 비교영역으로 정합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악궁의 경우 정렬마커를 부착하고 각 정보에 표시되는 정렬마커의 이미지를 비교영역으로 정합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상기 표면정보(m2,m3) 및 치조골정보(A)는 환자의 수직고경(VD)을 가이드하는 결합바이트의 스캐닝이미지 또는 상기 결합바이트가 설치된 구강에 대한 스캐닝이미지를 통해 환자에게 최적화된 수직고경(VD)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바이트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 사이에 교합된 상태에서 교합압력을 통해 높이가 보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래닝이미지(M)에는 상기 치조골정보(A)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절삭정보(C) 및 상단부가 상기 절삭정보(C)와 대응하도록 상기 치조골정보(A)의 내측에 배열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B)가 복수개로 정렬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치조골정보(A)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를 구강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대상악궁에 고정되는 상기 홀더유닛의 부피를 고려하여 상기 치조골정보(A)의 최외곽단보다 하측(상악의 경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립정보(B)는 상기 하치조신경(K)의 위치를 고려하여 전치측으로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식립정보(B)가 전치측으로 정렬 배치되면 픽스츄어를 구치측 치조골에 경사지게 식립하기 위한 복잡하고 정밀한 드릴링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술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장치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정보에 따라 실물의 디지털 오버덴쳐를 제조하는 3D 프린터 또는 금형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조장치가 3D 프린터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식립가이드, 상기 절삭가이드 및 상기 임시틀니 역시 3차원 프린팅할 수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는 램프 또는 LED의 광에너지로 패터닝된 단면을 경화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의 광조형 프린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3차원 프린팅되는 각 구성품이 상기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설정된 설계정보와 최소한의 오차로 정밀하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각 구성품을 추가로 보정하는 작업이 실질적으로 생략될 수 있어 제조 편의성 및 신속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절삭가이드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절삭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식립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인상모델을 이용한 정렬피스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홀더유닛이 세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보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보정스캐닝이미지의 획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에서 클립의 고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상기 식립가이드(20),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인상모델(2A,3A)에 대한 설계정보가 획득된다. 그리고, 획득된 각 상기 설계정보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실물의 상기 식립가이드(20),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인상모델(2A,3A)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가이드(10)는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을 상기 치조골정보(A)에 대응하여 평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수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절삭가이드(10)는 형합홈부(11), 스토퍼연결부(13) 및 절삭앵커고정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형합홈부(11)는 내면(11a)이 상기 대상악궁의 구치측 잇몸 외면과 형합되도록 양단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연결부(13)는 상기 형합홈부(11)의 각 외측단 및 각 내측단을 연결하되 중앙부에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이 관통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연결부(13)의 상면에는 상기 절삭기구의 이동영역을 가이드하도록 평탄가이드면(1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기구의 일측이 상기 평탄가이드면(13a)에 안착된 상태로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노출된 상기 치조골이 평탄화되도록 절삭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절삭기구의 이동 면적은 상기 형합홈부(11)의 상기 개구부(12) 사이의 돌출된 경계면(11b)을 통해 제한되고 이동 깊이는 상기 평탄가이드면(13a)을 통해 제한된다.
더불어, 상기 형합홈부(11) 및 상기 스토퍼연결부(13) 중 어느 일측의 측부를 따라 절삭앵커고정부(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에 앵커핀(P)이 관통되어 상기 대상악궁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드릴 등의 절삭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치조골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절삭가이드(1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치조골이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와 일치하도록 평탄화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수립되는 치아수복 계획에 따라 치아수복의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절삭가이드의 설계정보(m10)는 상기 플래닝이미지(M)에 표시되는 상기 치조골정보(A) 및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절삭가이드의 설계정보(m10)는 상기 치조골정보(A)의 전체적인 내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외곽테두리(m10a)가 설정되되, 내면(m11a)이 상기 치조골정보(A)의 표면과 형합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와 상기 치조골정보(A)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경계영역(도 2의 E)을 따라 상기 개구부(m12)가 설정된다. 즉, 전치측에 상기 개구부(m12)를 제외한 상기 경계영역(도 2의 E)과 상기 외곽테두리 사이가 상기 스토퍼연결부(m13)로 설정되며, 구치측 영역이 상기 형합홈부(m11)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식립정보(B)가 전치측에 국한하여 정렬되므로 상기 경계영역(도 2의 E)은 상기 식립정보(B)가 정렬된 식립영역의 전체적인 외곽을 포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가 상기 치조골정보(A)의 최외곽과 상하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m12)와 상기 형합홈부(m11)간에 돌출된 경계면(m11b)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경계면(m11b)과 상기 스토퍼연결부(m13)의 상면이 절삭기구의 이동제한 걸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앵커핀이 체결되도록 상기 외곽테두리(m10a)의 측부를 따라 상기 절삭앵커고정부(m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계된다. 이때, 상기 절삭앵커고정부(m14)는 상기 플래닝이미지(M)에 기설정되는 앵커핀정보(D)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이때, 상기 앵커핀정보(D)가 상기 하치조신경(k)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되므로, 실물의 절삭가이드(10)가 구강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앵커핀(P)으로 인한 신경 손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립가이드(20)는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치조골에 상기 식립정보(B)에 대응하여 식립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수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식립가이드(20)는 고정홈부(21), 가이드홀(22) 및 식립앵커고정부(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홈부(21)는 상기 대상악궁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하여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과정이 선행되므로, 상기 식립가이드(20)의 내면부는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에 대응하여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절삭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2)은 상기 식립정보(B)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식립공을 형성하는 드릴링과정이 선행되므로, 상기 가이드홀(22)의 직경은 드릴링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드릴장치의 단부 외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장치의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식립가이드(20)에는 황동재질의 슬리브(23)가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홀(22)은 상기 슬리브(23)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는 상기 앵커핀(P)이 관통되어 상기 대상악궁에 고정되도록 상기 식립가이드(20)의 측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립가이드(20)는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표시되는 각 정보의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된다. 상세히, 상기 식립가이드(20)는 상기 절삭가이드(10)를 통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형합되도록 내면부가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식립정보(B)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홀(22)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핀(P)이 체결되도록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는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가이드(10)와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포함된 동일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계되므로,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와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정 및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과정 후 상기 절삭가이드(10)를 분리하고 상기 식립가이드(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앵커핀(P)이 상기 대상악궁에 기형성된 앵커홀에 식립되면 기수립된 치아수복 계획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상모델(2A,3A)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되며, 상기 대상악궁의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대상측 인상모델(2A) 및 상기 대합악궁의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대합측 인상모델(3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는 상기 앵커핀정보(D)에 대응하는 위치에 임시앵커매칭홈(2d)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는 상기 절삭정보(C)에 대응하는 임시절삭면(2c) 및 상기 임시절삭면(2c)의 내측으로 상기 식립정보(B)에 대응하는 임시식립공(2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상측 인상모델(2A)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포함된 각 정보를 기반으로 기수립된 계획에 따라 상기 임시절삭면(2c) 및 상기 임시식립공(2e)이 설계되며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을 통해 채득된 인상을 통해 금형을 제작하고 인상모형을 제조하던 종래와 달리 구강에 대한 스캐닝이미지 및 CT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지털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각 상기 인상모델(2A,3A)을 신속하게 제조하면서도 이러한 디지털 인상모델과 실제 구강과의 매칭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가이드, 임시틀니 등의 정밀도를 체크 및 보정시 실제 구강을 대신하여 상기 인상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상기 절삭가이드(10)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가설치되되, 상기 앵커핀(P)이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를 관통하여 상기 임시앵커매칭홈(2d)에 체결되어 위치가 정렬된다. 이때, 상기 절삭가이드(1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임시절삭면(2c)과 상기 개구부(12)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절삭가이드(10)의 불량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가설치되되, 상기 앵커핀(P)이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를 관통하여 상기 임시앵커매칭홈(2d)에 체결되어 위치가 정렬된다. 이때,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임시식립공(2e)과 상기 가이드홀(22)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식립가이드(20)의 불량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가 상기 앵커핀정보(D)에 대응하여 정렬되도록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의 단부와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개구부(12)의 외측단에 형합되는 절삭정렬피스(미도시)가 더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가 상기 앵커핀정보(D)에 대응하여 정렬되도록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의 단부와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가이드홀(22)의 외측단에 형합되는 식립정렬피스(50)가 더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삭정렬피스와 상기 식립정렬피스(50)는 각 타면측이 상기 개구부(12)와 상기 가이드홀(22)에 형합되는 구성을 제외한 기본적인 제조방법 및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식립정렬피스(50)의 제조과정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식립정렬피스(50)는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과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은 교합정렬가이드(2B,3B)를 통해 상기 수직고경(도 2의 VD)에 대응하여 이격 정렬된다. 이때, 상기 교합정렬가이드(2B,3B) 역시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교합정렬가이드(2B,3B)는 각 상기 인상모델(2A,3A)에 일체로 형성되되 각 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제조되어 각 상기 인상모델(2A,3A)에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의 상측에 상기 식립가이드(20)가 배치 및 가설치되고,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과 상기 식립가이드(20) 사이의 간극에 치과용 레진이 주입한다. 이때, 상기 치과용 레진은 인상요 퍼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상용 퍼티가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과 상기 식립가이드(20)의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부분 중첩되도록 충진 및 경화됨에 따라 상기 식립정렬피스(50)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식립정렬피스(50)에는 상기 대합악궁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의 단부에 형합되는 제1교합홈(53)과 상기 가이드홀(22)의 단부에 형합되는 제2교합홈(5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절삭정렬피스 및 상기 식립정렬피스(50)는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통해 설정되는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식립가이드(20)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삭정렬피스 및 상기 식립정렬피스(50)의 각 타면측이 상기 개구부(12) 및 상기 가이드홀(22)에 형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표시되는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도 2의 m3)를 기반으로 상기 절삭정렬피스 및 상기 식립정렬피스(50)의 각 일면측이 상기 대합악궁의 단부에 형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삭정렬피스의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에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절삭가이드(10)의 개구부(12)와 형합되도록 구강에서 교합되면 상기 절삭가이드(10)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기수립된 절삭계획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상악궁에 자연치아 또는 기설치된 인공치아가 잔존하는 경우 이를 발치 후 상기 절삭가이드(10)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를 통해 상기 앵커핀(P)이 고정되면 상기 절삭기구를 이용한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과정에서 상기 절삭가이드(10)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치조골이 정확한 두께로 절삭된다.
이어서, 상기 식립정렬피스(50)의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에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식립가이드(20)의 가이드홀(22)과 형합되도록 구강에서 교합되면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기수립된 식립계획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를 통해 상기 앵커핀(P)이 고정되면 상기 드릴장치를 이용한 드릴링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과정에서 상기 식립가이드(20)의 유동이 방지된다. 더욱이,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가 상기 절삭앵커고정부(14)와 동일한 앵커핀정보(도 2의 D)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삭가이드(1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대상악궁에 형성된 앵커홈에 상기 식립앵커고정부(24)를 통과한 상기 앵커핀(P)의 단부가 고정되기만 하면 상기 식립가이드(20)의 위치가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설계정보 뿐만 아니라 이를 구강에 설치하기 위해 선행되는 과정을 가이드하는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식립가이드(20)의 설계정보가 동시에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포함된 동일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설계 및 제조되므로,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과정부터 드릴링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과정까지 정확하고 정밀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절삭가이드(10) 및 상기 식립가이드(20)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함께 제조되는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과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을 통해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플래닝이미지(M) 또는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상기 교합정렬가이드(2B,3B)를 이용하여 상기 절삭정렬피스 및 상기 식립정렬피스(50)가 준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강의 인상을 채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금형을 제작 및 상기 인상모델을 제작함으로 인하여 준비단계에서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인상을 채득하면서 연조직인 잇몸이 가압됨으로 인하여 상기 인상모델(2A,3A)과 실제 구강이 상이하던 종래에 비해, 본 발명은 상기 인상모델(2A,3A)이 구강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3차원 프린팅된 상기 인상모델(2A,3A)과 실제 구강 사이의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3D 프린터를 통하여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인상모델(2A,3A), 상기 절삭가이드(10), 상기 식립가이드(20), 각 정렬피스까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설계되고 상기 3D 프린터를 통해 프린팅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제조를 위한 준비단계에서 소요되는 기간이 최소화되며,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통한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기간이 현저히 단축되어 환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완료되면, 상기 픽스츄어에 상기 홀더유닛(40)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유닛(40)은 일측에 경유공(42)이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41) 및 상기 경유공(42)을 따라 체결되는 고정바(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바(43)는 상기 대상악궁을 따라 복수개로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의 연속된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는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체결부(41b)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으로 돌설되어 노출되는 홀더부(41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41b)와 상기 홀더부(41a)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이격되며, 상기 경유공(42)이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통해 상기 체결부(41b)와 상기 홀더부(41a)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경유공(42)에 상기 고정바(43)가 경유된 상태에서 체결스크류(41d)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의 체결공(41c)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나사 체결되면, 상기 경유공(42)의 내주가 좁아지면서 상기 고정바(43)가 압박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바(43)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경유공(42)의 내주를 따라 C링이 더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홀더유닛(40)은 상기 대상악궁에 직접 설치되기 전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예비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홀더유닛(40)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와 상기 고정바(43)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예비 설치됨에 따라 세트화되어 준비되며, 이를 통해 실제 구강에 신속하고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형성된 상기 임시식립공(2e)에 아날로그(4)가 고정되고, 상기 아날로그(4)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공(42)을 따라 상기 고정바(43)가 경유되고 상기 체결스크류(41d)를 통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유닛(40)이 세트화되어 준비된다. 이때, 상기 임시식립공(2e)은 상기 절삭정보(도 2의 C)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임시절삭면(2c)에 형성되어 식립높이가 정렬된다. 또한, 상기 식립정보(도 2의 B)를 기반으로 상기 임시식립공(2e)의 위치가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유닛(40)이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를 기반으로 기수립된 식립계획을 기반으로 세트화되어 준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임시식립공(2e)의 위치는 상기 식립가이드(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홀(22)과 동일한 위치로 설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유닛(40)이 세트화되어 준비된 상태로 실제 구강에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에 배치되기만 하면 각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의 체결부(41b)가 각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과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구강에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를 개별 체결하고 상기 고정바(43)를 고정하기 위해 환자가 장시간 입을 벌려야 하는 불편함과 구강이 협소하여 상기 홀더유닛의 설치작업이 어렵던 불편함이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내면부에 상기 홀더유닛(40)이 형합 삽입되는 임시홀더삽입부(65)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30)가 준비된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30)는 상기 홀더유닛(40)이 예비 설치된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을 이용하여 보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임시틀니(30)는 외면이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되는 임시치아부(32) 및 상기 임시치아부(32)와 임시잇몸부(33)가 일체로 형성된 틀니몸체부(31) 및 상기 틀니몸체부(31)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형합보정홈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틀니몸체부(31)는 기설정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이라 함은 치아가 실제 배열된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원호형의 가상선 또는 가상영역이 연장된 형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치열궁 프로파일은 연령별 및 성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표준화되어 산출되되 다양한 환자의 구강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도록 단계별로 규격화되어 설정된다. 예컨대, 상기 틀니몸체부(31)는 대/중/소로 규격화되는 기성품으로 준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틀니몸체부(31)는 실물의 제품으로 기제조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틀니몸체부(31)에 대응하는 3차원 설계정보로 준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틀니몸체부(31)의 설계정보가 상기 플래닝부에 기저장되되 필요시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3차원 프린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물의 틀니몸체부(31)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틀니몸체부(31)가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 변형 또는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틀니몸체부(31)는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임시잇몸부(33)측이 상기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도록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온처리시 연화되는 재질로 3차원 프린팅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틀니몸체부(31)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수지가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된 상기 틀니몸체부(31), 특히 상기 임시잇몸부(33)의 내면측이 60~70℃의 연화온도 범위로 가열된 온수에 국소적으로 침지되어 가온처리된다.
그리고, 가온처리된 상기 틀니몸체부(31)를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과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 사이에 설치 및 교합압력을 가한다. 이때, 가온처리되어 연화된 상기 임시잇몸부(33)가 상기 수직고경(도 2의 VD) 및 상기 대상악궁의 치열궁에 대응하도록 예비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틀니몸체부(31)가 범용으로 규격화되므로 설계 및 제조에 고도의 스킬이 요구되지 않으며, 규격화되더라도 각 환자의 구강에 맞게 용이하게 보정되므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치아부(32)는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되도록 기설정된 저작면 및 치간이 표시되는 치아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시잇몸부(33)는 상기 임시치아부(32)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내면측에 상기 대상악궁과 이격되어 감싸도록 여유홈(3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틀니몸체부(31)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조가 간소화된다. 또한, 상기 임시치아부 및 상기 임시잇몸부가 별도로 제조 및 조립된 상태에서 교합압력으로 인하여 조립된 부분이 파손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져 분리되던 종래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유홈(33a)은 상기 치조골에 설치되는 상기 홀더유닛(40)의 둘출된 부피를 고려하여 상기 임시치아부(32)측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유홈(33a)에 치과용 레진이 충진되어 상기 홀더유닛(40)이 예비 설치된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교합압력을 통해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여유홈(33a)에 충진되는 치과용 레진은 릴라이닝 레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릴라이닝 레진에 상기 홀더유닛(40)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임시홀더삽입부(65)가 음각으로 형성 및 경화된다. 이렇게 형성된 임시홀더삽입부(65)는 후술되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홀더삽입부(65)의 설계정보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임시틀니(30)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대용으로 임시로 사용시 상기 홀더유닛(40)에 삽입되어 가고정되는 결합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시틀니(30)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 및 보정된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하나의 틀니몸체부(31)에 대한 설계정보가 선택 및 추출되며, 상기 틀니몸체부(31)의 설계정보가 상기 제조장치로 전송되어 3차원 프린팅된다. 그리고, 3차원 프린팅된 상기 틀니몸체부(31)는 경화광에서 30~60초 동안 예비 노출되어 반경화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화광은 특히 300~400nm의 파장을 갖는 UV-A 범위의 자외선 광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예비 노출된다 함은 상기 틀니몸체부(31)를 완전히 경화시키기 위함이 아니라 상기 교합압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시 연화될 수 있는 정도로 광경화되도록 상기 경화광에 노출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틀니몸체부(31)가 상기 경화광에 짧은 시간 노출되면 상기 인공잇몸부(33)의 내면은 가온처리되어 연화될 수 있을 정도로 반경화됨에 따라 상기 대상악궁에 대응하여 예비 형합되도록 1차 보정될 수 있다. 이때, 예비 형합이라 함은 상기 대상악궁과 고도로 정밀하게 형합되지 않더라도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관계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형합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예비 경화된 상기 틀니몸체부(31)의 내면이 상기 연화온도 범위로 가온처리되고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3A) 사이에 설치되어 교합된다. 이를 통해, 범용으로 규격화된 상기 틀니몸체부(31)가 환자의 구강에 더욱 적합한 사이즈 및 높이로 1차 보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틀니몸체부(31)의 1차 보정시 사용되는 대상측 인상모델(2A)은 상기 치조골이 평탄화되기 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은 평탄화 전 굴곡이 형성된 치조골의 상단(도 3b의 2g로 표시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유닛(40)으로 인한 상기 틀니몸체부(31) 내면의 손상 또는 긁힘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이어서, 1차 보정된 상기 틀니몸체부(31)가 경화광에 4~5분 동안 노출되어 완전 경화된다. 여기서, 완전 경화라 함은 상기 틀니몸체부(31)가 상기 교합압력뿐만 아니라 상기 연화온도 범위 이상에서도 연화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비가역적으로 경화된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유홈(33a)에 상기 릴라이닝 레진이 충진되고, 상기 홀더유닛(40)이 예비 설치된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2A)은 임시절삭면(2c) 및 임시식립공(2e)이 모두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릴라이닝 레진에 상기 홀더유닛(40)의 외면형상에 대응하여 음각화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30)가 보정되는 과정에서 경화광을 통한 경화과정이 다단계로 분할됨에 따라 상기 임시틀니(30)가 가온처리시 구강에 맞게 용이하게 보정되면서도 보정단계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변형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프린팅 후 바로 완전히 광경화함으로 인하여 상기 임시틀니(30)를 보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틀니몸체부(31)가 일체형으로 심플하게 범용으로 규격화되어 3차원 프린팅되되, 상기 틀니몸체부(31)가 교합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다단계 경화되는 과정 중에 환자의 치열궁 및 수직고경에 맞게 보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임시틀니(30)가 구강에 형합되는 정밀성 및 지지강도를 동시에 개선하는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높이가 상기 수직고경(도 2의 VD)에 대응하여 가압 변형되고 상기 형합보정홈부(34)의 내측에 상기 임시홀더삽입부(65)가 음각으로 형성되도록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30)의 내외면을 전체적으로 스캐닝하여 보조스캐닝이미지(m30)가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캐닝이미지(m30)에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65)의 3차원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된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스캐닝이미지(m30)는 상기 플래닝부로 전송되며, 상기 임시잇몸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 상기 임시치아부의 3차원 표면정보 사이에 경계라인(X)이 설정된다. 이때, 상기 경계라인(X)은 상기 임시잇몸부의 내면부 외곽측을 따라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계라인(X)의 내면부를 따라 체결영역부가 설정되고, 상기 체결영역부를 제외한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가 소거영역(m39)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소거영역((m39)이 소거되어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내면측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됨에 따라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로 획득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는 상기 보조스캐닝이미지(m30)에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m35)를 포함하는 내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m33)만이 표시되는 이미지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스캐닝이미지(m30)에 포함된 3차원 표면정보는 실질적으로 두께가 없는 면정보로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는 내면측 프로파일에 대한 좌표값과 외면측 프로파일에 대한 좌표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m35)는 상기 홀더유닛(4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홀더삽입부(65)의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내면부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홀더유닛(40)이 삽입되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내면부에 대한 설계정보가 상기 임시홀더삽입부(35)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30)의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다. 이때, 상기 임시홀더삽입부(35)는 실제 홀더유닛(40)이 가압되면서 음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m35)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상기 홀더삽입부(65)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임시틀니(30)는 고정형스캐너를 통해 스캐닝 가능하다. 즉, 스캐너 또는 상기 임시틀니(30)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상기 임시틀니(30)의 전체적인 내외면을 스캐닝 가능하므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의 왜곡이 최소화된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설계 및 제조시 정밀성 및 구강과의 형합도가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정보(m60)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가상 인공치아부 및 가상 인공잇몸부가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가상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의 내면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로 스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 및 매칭되는 가상 홀더유닛(m40)으로 대체 보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는 치아수복에 사용되는 구성품의 기본 외형정보가 3차원 벡터데이터로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는 실물의 홀더 어버트먼트, 실물의 고정바, 실물의 픽스츄어에 대한 복수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는 상기 임시틀니 및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에 대한 복수의 디지털 외형정보도 함께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디지털 외형정보 중 각 환자의 구강에 최적화되는 디지털 외형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가상 인공잇몸부 및 가상 인공치아부가 추출되고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도 2의 m2,m3)사이로 가상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도 2의 m2)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상호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정렬 배치되되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의 내면부 프로파일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로 스왑된다. 여기서, 스왑(swap)이라 함은 기설정된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 처리에 따라 변형된 이미지로 대체 또는 교환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홀더유닛에 대응하는 가상 홀더유닛(m40)이 추출된다. 이때, 상기 가상 홀더유닛(m40)은 복수개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와 이를 경유하여 연결된 상기 고정바가 하나의 세트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디지털 외형정보로 추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가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와의 비교영역을 산출 및 정합되도록 가상 홀더 어버트먼트와 가상 고정바의 위치가 개별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홀더유닛(m40)과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가 매칭되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에서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m35)가 상기 홀더유닛(m40)으로 대체 보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임시홀더삽입부(35)가 상기 홀더유닛(40)에 가압되면서 발생하는 표면요철, 노치, 기공 또는 스캐닝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왜곡이나 손상이 제거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유닛(40)이 삽입되는 홀더삽입부(65)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m30A)를 기반으로 위치가 정렬되되 상기 가상 홀더유닛(m40)을 기반으로 형상이 명확화되어 정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홀더유닛(m40)에 가상 클립(m67)이 가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클립(m67)과 매칭되는 가상 관통공(m66)이 설정되되,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정보(m60)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제 구강으로부터 획득된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된 디지털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치조골의 평탄화, 픽스츄어의 식립, 임시틀니 및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와 같은 치아수복 계획이 수립된다. 그리고, 구강과 대응하는 각 상기 인상모델(2A,3A)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를 위한 과정에 사용되는 보조수단 및 상기 홀더유닛(40)의 정밀도가 미리 체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는 구강스캐닝 및 CT 촬영단계,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홀더유닛(40)의 식립단계,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최종설치단계와 같이 최소한의 방문만이 요구된다. 또한, 각 단계에 필요한 보조수단 및 상기 임시틀니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신속하게 제조되므로, 각 단계를 위해 시술자측에 방문시에도 최소한의 작업시간만이 소요된다. 따라서, 환자의 잦은 방문 및 장시간 입을 벌리고 시술해야 하던 종래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더욱이,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3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정확한 설계정보를 획득하면서도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제조기간 중 임시로 사용가능하므로 환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정보(m60)가 상기 3D 프린터로 전송되어 3차원 프린팅되어 실물의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인공치아부 및 인공잇몸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공잇몸부의 내면측에 상기 홀더삽입부(65)가 함몰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가상 관통공(66)을 기반으로 실물의 관통공(66)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상기 인공잇몸부와 상기 인공치아부가 분리되어 조립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인공잇몸부와 상기 인공치아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인공치아부와 상기 인공잇몸부가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되는 경우, 각 부분은 상이한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상기 인공잇몸부와 상기 인공치아부가 3차원 프린팅되되, 표면에 기설정된 색상의 발색층이 더 도포 및 경화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구강의 색상과 매칭되도록 하여 심미감이 현저히 개선된 고품질의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홀더유닛(4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상기 관통공(66)의 내측에 클립(67)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립(67)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관통공(66) 내측에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치조골에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에 세트화되어 준비된 상기 홀더유닛(4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를 경유하여 고정된 상기 고정바(43)의 일측에 상기 클립(67)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67)은 상기 가상 클립(m67)이 상기 가상 홀더유닛(m40)에 가상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43)에는 상기 가상 클립(m67)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는 마킹이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삽입부(65)에 상기 홀더유닛(40)이 삽입되도록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대상악궁(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홀더삽입부(65)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41)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제1형합부(65a)와, 상기 고정바(43)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제2형합부(6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삽입부(65)에 상기 홀더유닛(40)이 삽입되면 상기 제1형합부(65a)와 상기 제2형합부(65b) 사이의 단차를 통해 걸림 구속됨에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66)은 상기 플래닝이미지(도 2의 M)에 가상 배치되는 상기 가상 클립(m67)을 기반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66)의 직경이 상기 클립(67)의 전체적인 크기에 대하여 최소한의 오차간격으로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43)에 체결된 위치를 상기 관통공(66)을 통해 확인하고, 상기 관통공(66)에 경화성 레진(r)이 주입 및 경화됨에 따라 상기 클립(67)이 상기 관통공(66) 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경화성 레진(r)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제조시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 재질간의 고도의 융착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경화성 레진(r)이 상기 관통공(66)을 통해 구강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대상악궁(2)의 표면을 커버하여 배치되는 러버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러버댐부는 유연성의 고무박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성 레진(r)의 주입 후 상기 대상악궁(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내면부에 상기 릴라이닝 레진이 도포 및 교합압력을 통해 교합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실제 구강과 더욱 정밀하게 형합되므로 환자의 구강에 설치 후 저작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유동, 흔들림 및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M: 플래닝이미지 10: 절삭가이드
20: 식립가이드 30: 임시틀니
40: 홀더유닛 50: 식립정렬피스
60: 디지털 오버덴쳐

Claims (10)

  1.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의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정렬된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생성된 플래닝이미지에 상기 치조골정보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절삭정보 및 상단부가 상기 절삭정보와 대응하도록 상기 치조골 정보의 내측에 배열된 픽스츄어의 식립정보가 복수개로 정렬 설정되는 제1단계;
    상기 절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악궁의 치조골의 평탄화를 가이드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절삭가이드 및 상기 식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식립가이드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2단계;
    상기 절삭가이드가 설치되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상기 식립가이드가 설치되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고 상기 픽스츄어에 홀더유닛이 고정되되, 내면부에 상기 홀더유닛이 형합 삽입되는 임시홀더삽입부가 형성되도록 보정된 임시틀니가 준비되는 제3단계;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를 스캐닝하여 획득되되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3차원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제4단계; 및
    내면부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형성되되 상기 홀더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클립이 경화성 레진을 통해 고정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디지털 오버덴쳐가 제조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절삭가이드는 내면부가 상기 치조골정보와 형합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절삭정보와 상기 치조골정보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경계영역을 따라 개구부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대상악궁에 고정되는 앵커핀이 체결되도록 측부를 따라 절삭앵커고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식립가이드는 상기 절삭가이드를 통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형합되도록 내면부가 상기 절삭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홀이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앵커핀이 체결되도록 식립앵커고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계되되,
    상기 절삭앵커고정부와 상기 식립앵커고정부는 상기 플래닝이미지에 기설정되는 앵커핀정보를 기반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절삭앵커고정부와 상기 식립앵커고정부가 상기 앵커핀정보에 대응하여 정렬되도록,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에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단에 형합되는 절삭정렬피스 및 일면이 상기 대합악궁에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가이드홀의 외측단에 형합되는 식립정렬피스가 각각 제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에 대한 대상측 인상모델 및 대합측 인상모델이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절삭정렬피스는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이 교합정렬가이드를 통해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 정렬되는 단계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절삭가이드와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 사이의 간극에 치과용 레진을 주입하되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과 상기 절삭가이드의 마주보는 단부가 부분 중첩되도록 충진 및 경화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악궁과 상기 대합악궁에 대한 대상측 인상모델 및 대합측 인상모델이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은 상기 절삭정보에 따라 외면측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에 대응하여 임시절삭면이 형성되며,
    상기 식립정렬피스는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 및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이 교합정렬가이드를 통해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 정렬되는 단계와, 상기 대상측 인상모델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식립가이드와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 사이 간극에 치과용 레진을 주입하되 상기 대합측 인상모델과 상기 식립가이드의 마주보는 단부가 부분 중첩되도록 충진 및 경화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홀더유닛은 각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되 일측에 경유공이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와 상기 경유공을 따라 체결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된 고정바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절삭면에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임시식립공에 고정된 아날로그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단계와, 상기 경유공을 따라 상기 고정바가 경유되어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세트화되어 준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임시틀니는 외면이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되는 임시치아부 및 상기 임시치아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내면측에 상기 대상악궁과 이격되어 감싸도록 여유홈이 형성되는 임시잇몸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유홈에 치과용 레진이 충진되는 단계와, 교합압력을 통해 상기 치과용 레진에 상기 홀더유닛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임시홀더삽입부가 음각으로 가압 형성 및 경화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보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는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의 내외면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보조스캐닝이미지에서 임시잇몸부의 3차원 표면정보와 임시치아부의 3차원 표면정보 사이에 설정되는 경계라인의 내면부를 따라 체결영역부가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체결영역부를 제외한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가 소거되어 상기 임시홀더삽입부의 내면측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스왑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획득되며,
    상기 제5단계는,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가상 인공치아부 및 가상 인공잇몸부가 추출되어 상기 플래닝이미지에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 인공잇몸부의 내면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로 스왑되는 단계와,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 및 매칭되는 가상 홀더유닛으로 대체 보정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홀더유닛에 가상 클립이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 클립과 매칭되는 가상 관통공이 설정되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90126006A 2019-10-11 2019-10-11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29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06A KR102296249B1 (ko) 2019-10-11 2019-10-11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US16/702,685 US11896451B2 (en) 2019-10-11 2019-12-04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PCT/KR2019/017334 WO2021071021A1 (ko) 2019-10-11 2019-12-10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용 절삭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06A KR102296249B1 (ko) 2019-10-11 2019-10-11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68A KR20210043168A (ko) 2021-04-21
KR102296249B1 true KR102296249B1 (ko) 2021-09-01

Family

ID=7574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06A KR102296249B1 (ko) 2019-10-11 2019-10-11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371B1 (ko) * 2021-05-04 2022-10-28 주식회사 디오 지그장치를 이용한 홀더 어버트먼트의 정렬 고정방법
CN117547367B (zh) * 2024-01-10 2024-04-30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牙科修复体设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774B1 (ko) 2015-03-17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KR101940743B1 (ko) 2017-10-27 2019-01-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066A (ko) * 2013-04-24 2014-11-03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KR101694475B1 (ko)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KR20180098230A (ko) * 2015-10-23 2018-09-03 내셔널 덴텍스 엘엘씨 뼈 기초부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774B1 (ko) 2015-03-17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KR101940743B1 (ko) 2017-10-27 2019-01-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68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246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US1189645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JP5791622B2 (ja) 第1および第2歯科修復物を計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99372B1 (ko) 디지털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US11612462B2 (en) Method of implanting dental restoration
KR102296249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CN211534911U (zh) 扫描用蜡咬模
KR102541583B1 (ko) 치아수복용 임시보철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임시보철의 제조방법
KR102193852B1 (ko) 수직고경 측정장치
KR102172860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와 식립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121992B1 (ko) 치아 수복물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20039147A (ko)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KR102158362B1 (ko) 스캔용 왁스바이트
KR102080245B1 (ko) 치아 수복물 설계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CN112955936A (zh) 牙齿修复物制造方法及制造系统、适用于此的通用蜡咬模
KR102438919B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방법
US112730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gital overdenture and 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 and fixing bar bending apparatus for holder device applied thereto
KR10233297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
KR102510423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102332982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클립 취부용 홀더
KR20230033134A (ko) 디지털 오버덴쳐의 제조방법
KR102080243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스플린트
TWI631937B (zh) 具有深度導件之植牙手術導板及其製備方法
KR102435930B1 (ko)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KR102021104B1 (ko) 디지털보철용 메탈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보철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