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66A -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 Google Patents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66A
KR20140127066A KR1020130045611A KR20130045611A KR20140127066A KR 20140127066 A KR20140127066 A KR 20140127066A KR 1020130045611 A KR1020130045611 A KR 1020130045611A KR 20130045611 A KR20130045611 A KR 20130045611A KR 20140127066 A KR20140127066 A KR 2014012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topper
guide hole
teeth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달
Original Assignee
안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숙 filed Critical 안경숙
Priority to KR1020130045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066A/ko
Priority to PCT/KR2014/002156 priority patent/WO2014175552A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3Sliding attach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에 대한 것으로,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유도장치지지부; 및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가 수용되는 삭제가이드홀부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치과용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치아 삭제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Tooth grinding guide device, Tooth grinding device and Dental prosthetic for prosthodontics}
본 발명은 치아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치아삭제 유도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종래보다 치아 삭제량이 적으면서 더욱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치아삭제 유도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치아삭제 장치 및 이에 적합한 치과용 보철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아를 삭제하고 금속재 혹은 세라믹제 등으로 삭제된 지대치에 크라운(crown)을 씌우고 인공치아와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철물중 대표적인 예로 크라운 브릿지(Crown and Bridge)가 있다.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아의 신경이 살아있는 경우는 대부분 마취를 한 상태에서 치아를 삭제한다. 이때 삭제 후 최종 보철물이 나올 때까지 삭제된 치아의 치수(치아의신경)를 보호하고 치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치아를 착용한다. 크라운을 하여 주기 위하여 삭제한 경우도 치아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 하고, 치수가 살아있는 경우는 치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시치아를 하여준다. 심미 보철을 하여주기 위하여 치아의 일부를 삭제하는 경우도 삭제된 부위에 임시로 수복을 하여준다.
종전의 크라운, 크라운브릿지, 라미네이트, 스플린트 등을 하기 위하여 치아를 삭제하는 경우는 술자의 숙련정도에 따라서 삭제의 질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보철물이 유지력에 필요로 하는 삭제의 형태와 삭제의 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너무 많은 치질의 삭제로 신경치료를 하여야하는 경우나 최종 보철물 수복 후 과민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최소삭제를 한 보철물의 경우는 여러 면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부분의 경우 치아의 법랑질이 대부분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임시치아로 수복하여 주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환자가 당하는 고통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대분의 경우에 마취를 하지 않고 삭제가 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진료시간도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53457(발명의 명칭 : 치아삭제 유도장치)를 통하여,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치아에 고정되는 유도장치지지부, 및 치아삭제를 위한 절삭기를 안내하는 치아삭제안내부를 포함하는 치아삭제 유도장치를 개발하였다. 즉, 원하는 부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또는 치조골의 삭제를 위한 치아삭제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삭제유도장치는, 절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절삭기를 수용하는 삭제가이드홀부와, 상기 삭제가이드홀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절삭기와 접촉하여 절삭기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치아삭제유도면을 포함하는 치아삭제안내부; 및 치아삭제시 상기 치아삭제유도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유도장치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아삭제유도장치는 치아삭제안내부의 삭제가이드홀부가 절삭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절삭기를 수용하는 것이기 때문에(즉,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를 삭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절삭기의 이동에 따라 불필요하게 치아를 삭제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치아의 삭제량이 많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절삭기가 치아의 굴곡진 표면(예를 들어, 치아의 둘레면이나 교합면)을 이동할 때는 삭제가이드홀부 상에 형성된 이론상의 이동경로와 실제 치아의 표면 이동경로가 상이하여,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는 것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하면서 연속적으로 치아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에서 2개 이상의 포인트 지점만을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치아 삭제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일정한 지점만을 타겟팅(targeting)하여 삭제함으로써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만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유도장치지지부; 및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가 수용되는 삭제가이드홀부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를 포함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 각각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장치지지부와 치아삭제안내부는 일체형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유도장치지지부 위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장치지지부는 상기 삭제가이드홀부에 대응하는 삭제가이드대응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하나의 치아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제1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1삭제가이드홀부와 제2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2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삭제가이드홀부와 제2삭제가이드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삭제가이드홀부는 절삭기의 스토퍼에 대응되는 스토퍼가이드홀과 절삭기의 버에 대응되는 버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가이드홀은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의 아래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절삭기가 수용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절삭기의 스토퍼에 구비된 스토퍼체결부와 대응되는 스토퍼체결부결합홈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치아삭제 유도장치에 있어서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기는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버(bur)와 상기 버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버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는 버의 일부를 둘러싸되, 상기 버와 맞닿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의 스토퍼체결부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삭기의 버는 치아를 삭제하는 버절삭부와 상기 버절삭부를 핸드피스에 연결하는 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절삭부와 스토퍼 사이에 위에서 아래로 테이퍼진(tapered) 형상의 버절삭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치아의 일부 또는 전체를 피개하고, 인공치아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 내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치아홈에 동시에 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보철물은 제1보철물과 제2보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철결합부는 상기 제1보철물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1보철결합부와 상기 제2보철물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2보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보철결합부와 제2보철결합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치아홈의 상면이 확장된 치아홈확장부에 상응하여 상기 보철결합부 상면으로부터 치아 중심부로 연장된 보철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하면서 연속적으로 치아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 절삭기가 수용되는 삭제가이드홀부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치아에서 2개 이상의 포인트 지점만을 삭제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치아 삭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기가 치아의 굴곡진 표면을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치아의 일정한 지점만을 타겟팅(targeting)하여 삭제함으로써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만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삭제가이드홀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버(bur)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가 삭제가이드홀부에 수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스토퍼가 삭제가이드홀부의 스토퍼가이드홀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스토퍼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이드홀의 다양한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스토퍼에 스토퍼체결부가 구비된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이드홀에 형성된 스토퍼체결부결합홈의 형상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의 스토퍼에 스토퍼지지부가 구비되고, 절삭기의 버에 버절삭연장부가 구비된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가 치아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에 절삭기가 수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삭제함으로서 형성된 치아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이 치아홈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형 연결부를 가지는 치과용 보철물에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형 유지부를 가지는 치과용 보철물에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에서 제1보철결합부와 제2보철결합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인공치아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치과용 보철물과 보철결합부에 구비된 보철지지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삭제가이드홀부(2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에 나타난 본 발명은 치아 삭제를 유도하는 장치이다. 즉, 치아를 삭제하는데 사용되는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대한 것으로, 특히 종래보다 치아 삭제량이 적으면서 더욱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를 삭제하도록 하는 치아삭제 유도장치를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53457를 통하여 출원한 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하면서 연속적으로 치아를 삭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에서 2개 이상의 포인트 지점만을 삭제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치아삭제 유도장치와 큰 차이가 있고, 이를 통해 종래보다 치아 삭제량이 적으면서 더욱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53457에 기재되어 있는 기존의 치아삭제 유도장치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유도장치(1)는 유도장치지지부(100); 및 치아삭제안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는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210)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도장치지지부(100)는 치아(10),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치아(10)에 고정이 되어서 유지를 얻는 모든 부위와 치아에 고정이 된 부분을 서로 브릿지(도시하지 않음)로 연결하는 모든 부위를 포함한다. 유도장치지지부(100)는 삭제하고자 하는 치아만을 피개하거나 삭제하고자 하는 인접 치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장치지지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그 개수도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리콘 등과 같은 무기 화합물이나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탄력성을 가지는 하드겔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치아(10) 등과의 밀착성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유도장치(1)를 고정하기 위하여 그 내부는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 높은 지지력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치아삭제유도장치(1)의 외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치아삭제안내부(200) 및/또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포함하거나 구비하거나 또는 그것(들)과 맞닿아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처럼 해당 치아의 교합면과 둘레면 일부 또는 전체와 밀착되게 하여 치아삭제시 유도장치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을 피개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피개하는 것이 치아에 수직한 방향으로 치아홈을 만들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치아 삭제를 위한 절삭기(300)를 수용하는 것으로(도 17 참조), 상기 절삭기(300)가 치아의 어느 한점을 일정한 방향(예를 들어, 치아(10)의 깊이 방향)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상기 절삭기(300)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도 18 참조).
이러한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와 일체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와는 별도로 준비된 다음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와 연결되거나 거기에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치아삭제안내부(200) 및/또는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치아삭제안내부(200)가 상기 유도장치지지부(100) 위에 구비되어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에 수용된 절삭기(300)로 하여금 그 아래에 구비된 유도장치지지부(100) 내부의 치아를 절삭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유도장치(1)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치아 삭제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가지는데,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300)를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삭기(300)가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한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버(320)에 의해 하나의 치아를 치아의 깊이 방향(도 18 참조), 또는 치아의 중심 방향이나 수평 또는 수직 방향 등 일정한 방향으로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치아 삭제를 위한 절삭기(300)를 수용하는 홀이나 구멍, 또는 홈이나 캐버티인 것이고, 종래와 같은 어떠한 절삭기 이동경로나 삭제 궤적 또는 이를 위한 수용 로드(load) 등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통하여 외부의 절삭기(300)를 수용 및 고정시키고 상기 절삭기(300)의 버(320)를 관통시켜서 상기 버(320)의 회전에 의해 치아(10) 삭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절삭기(300)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수용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절삭기(300)의 버(320)를 관통시키는 홀 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술한 유도장치지지부(100)는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에 대응하는 삭제가이드대응홀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삭제가이드대응홀부는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에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절삭기(300)의 버(320) 관통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치아 삭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하면서 연속적으로 치아를 삭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의 특정 포인트 지점만을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치아 삭제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일정한 지점만을 타겟팅(targeting)하여 삭제함으로써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만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는 특별히 삭제가이드홀부(210)를 2개 이상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만약,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가 1개라면 치아(10)에 홈을 1개 밖에 형성할 수가 없고, 이 경우 1개의 치아홈(11)에 결합되는 보철물은 치아(10)에 대한 지지력이 약해서 치아(10)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2개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 이상 내지 5개 이하로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 가지는 것이 삼각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도 19 및 도 20 참조). 삭제가이드홀부(210)를 6개 이상 가지면 치아 삭제량이 많아지고, 지지력 상승 효과도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210a 또는 210a) 각각은 나란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각각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수용되는 절삭기(300)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치아홈(11)도 서로 평행하게 되어, 치과용 보철물을 한 방향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는 하나의 치아(10)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210a 또는 210a)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도 3 참조). 즉, 본 발명은 상기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210a 또는 210a)가 서로 하나의 치아(10) 길이 또는 폭 내의 거리 상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치아(10)에 2개 이상의 치아홈(11)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하나의 치아(10)에도 보철물을 견고하게 결합시킬수가 있다.
또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200)는 제1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1삭제가이드홀부(210a)와 제2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2삭제가이드홀부(210b)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삭제가이드홀부(210a)와 제2삭제가이드홀부(210b)가 서로 하나의 치아(10) 길이 또는 폭 이상의 거리 상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서로 인접해 있거나 하나 이상의 치아(10)를 사이에 둔 거리만큼 떨어진 서로 다른 치아(10) 각각에 2개 이상의 치아홈(1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인공치아(20)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21 내지 도 25 참조).
또한, 상기 제1삭제가이드홀부(210a)와 제2삭제가이드홀부(210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삭제가이드홀부(210a)는 치아(10)의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삭제가이드홀부(210b)는 치아(10)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서로 다른 치아(10)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치아홈(11)을 만들 수 있고, 이러한 치아홈(11)에 다른 방향으로 보철물(30a 및 30b)을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도 24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기가 이동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하면서 연속적으로 치아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 절삭기(300)가 수용되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치아에서 2개 이상의 포인트 지점만을 삭제함으로써, 치과용 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치아 삭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삭기가 치아의 굴곡진 표면을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치아의 일정한 지점만을 타겟팅(targeting)하여 삭제함으로써 목적하거나 필요한 만큼만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더하여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절삭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것으로서, 치아삭제 유도장치(1)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버(bur, 320)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는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 치아를 삭제하는 버(320)와 상기 버(320)가 연결된 절삭기헤드(31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버(320)는 회전에 의해 치아를 절삭하는 버절삭부(322)와 절삭기헤드(310)에 연결되는 버연결부(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장치는 상기한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더하여 절삭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의하여 절삭기(300)를 수용 및 고정화시킴으로서, 종래보다 더욱 정확하게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가 삭제가이드홀부(210)에 수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가 삭제가이드홀부(210)의 스토퍼가이드홀(212)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절삭기(300)가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버(320)와 상기 버(320)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버(320)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토퍼(stopper, 3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30)는 절삭기헤드(310) 아래에서 버(320)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버(320)의 일부를 둘러싸는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토퍼(330)는 버(320)의 상단 또는 상단과 중간 또는 버절삭부(322)를 제외한 버연결부(321) 전체 또는 일부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330)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수용 및 밀착됨으로써 상기 절삭기(3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한 치아 삭제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만약, 이러한 스토퍼(330)가 없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320)는 삭제가이드홀부(210) 내부에서 지지되지 못하고 흔들리기 때문에 치아 절삭력이 떨어지고, 정확한 치아 삭제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스토퍼(330)는 버(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버(320)에 연결되어 상기 버(3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330)는 버(320)의 일부를 둘러싸되 상기 버(320)와 맞닿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스토퍼(330)가 버(320) 주위에서 상기 버(32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면, 스토퍼(330)는 버(320)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더욱 견고하게 수용 및 밀착될 수 있고, 동시에 버(320)는 상기 스토퍼(330)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부딪히지 않고 고속 회전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330)는 버(320)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구 형태, 반구 형태, 원 형태, 반원 형태, 원기둥 형태, 깔대기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스토퍼(330)를 가지는 치아삭제용 핸드피스를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13-0009844호(발명의 명칭 : 버 유도부재를 가지는 핸드피스)를 통하여 특허 출원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330)는 상기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13-0009844호에 기재된 버유도부재 및/또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는 상기 특허에 기재된 핸드피스인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기(300)를 수용 및 고정시키는 수용고정부와 상기 절삭기(300)의 버(320)를 관통시키는 홀 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절삭기(300)의 스토퍼(330)에 대응되는 스토퍼가이드홀(212)과 절삭기(300)의 버(320)에 대응되는 버가이드홀(21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도 3 내지 도 5 참조),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은 상기 절삭기(300)의 스토퍼(330)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가이드홀(211)은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의 아래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스토퍼가이드홀(212)과 버가이드홀(211)을 포함함으로서, 절삭기(300)의 스토퍼(330)를 더욱 밀착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절삭기(300)의 고정력을 높여서 정확한 치아 삭제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이드홀(212)의 다양한 단면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은 절삭기(300)가 수용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에 다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 역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이 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면 그에 대응되는 스토퍼(330)는 버(320)의 회전에 의한 영향을 받아서 버(320)와 같이 회전하여 고정력이 다소 약해질 수 있지만, 상기 스토퍼가이드홀(212)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를 가지면 그에 대응되는 스토퍼(330)가 상기 다각형 구조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버(320)가 회전하더라도 고정력이 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에 스토퍼체결부(331)가 구비된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가이드홀(212)에 형성된 스토퍼체결부결합홈(213)의 형상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 또는 절삭기헤드(310)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의 스토퍼체결부(331)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체결부(331)는 스토퍼(330)로부터 돌출되어 꺽인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삭제가이드홀부(210) 및/또는 스토퍼가이드홀(212)은 절삭기(300)의 스토퍼(300)에 구비된 스토퍼체결부(331)와 대응되는 스토퍼체결부결합홈(21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체결부결합홈(213)은 상기 스토퍼체결부(331)와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삭제가이드홀부(210) 및/또는 스토퍼가이드홀(212)의 외각 일부가 연장된 연장홈일 수 있고,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삭제가이드홀부(210) 및/또는 스토퍼가이드홀(212) 외부에 떨어진 별도의 홈인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를 삭제가이드홀부(210) 및/또는 스토퍼가이드홀(212)에 수용시킴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체결부(331)를 스토퍼체결부결합홈(213)에 결합시키면, 상기 절삭기(300)의 고정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스토퍼(330)에 스토퍼지지부(332)가 구비된 것의 일례와, 절삭기(300)의 버(320)에 버절삭연장부(323)가 구비된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지지부(332)는 스토퍼(330) 및/또는 버(320)를 절삭기헤드(310)에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삭기(300)의 버(320)는 치아를 삭제하는 버절삭부(322)와 상기 버절삭부(322)를 절삭기헤드(310)에 연결하는 버연결부(321)를 포함하고(도 7 참조), 상기 버절삭부(322)와 스토퍼(330) 사이에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의 버절삭연장부(323)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버절삭연장부(323)는 버(320) 및/또는 버절삭부(322)에 형성되거나 구비된 것으로, 상기 버(320) 및/또는 버절삭부(32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버절삭연장부(323)는 버절삭부(322) 처럼 치아를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버절삭부(322)의 회전으로 치아홈(11)을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버절삭연장부(323)의 회전으로 상기 치아홈(11)의 일단에 치아홈(11)의 일면이 확장된 치아홈확장부(13)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5 참조).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가 치아(10)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절삭기(300)가 수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삭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를 이용하여 치아삭제를 유도하고, 상기 치아삭제 유도장치(1)에 절삭기(300)기를 결합시켜서 치아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를 유도장치지지부(100)를 통하여 치아(10) 등에 고정시킨다. 상기 치아삭제 유도장치(1)는 삭제가이드홀부(210)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는 치아홈(11)을 형성하고자 하는 치아(10)의 특정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210)에 절삭기(300)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결합시키고 절삭기(300)의 버(320)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삭제가이드홀부(210)와 대응하는 치아(10)의 특정 지점에 치아홈(11)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10)를 삭제함으로서 형성된 치아홈(11)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 유도장치(1) 및/또는 치아삭제 장치를 이용하면 치아(10)의 원하는 특정 지점에만 정확한 치아홈(11)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치아홈(11)이 형성되는 위치와 깊이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삭제안내부(200)에서 삭제가이드홀부(210)의 위치를 미리 특정함으로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상기 치아홈(11)의 크기는 절삭기(300)의 버(320) 직경을 다르게 함으로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홈(11)은 치아(10)의 내부 또는 외각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아(10)의 최외각에 원형으로 형성하여 인위적으로 치아홈돌출부(12)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치아홈돌출부(12)는 치아홈(11)에 결합되는 보철결합부(31)와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이 치아홈(11)에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일체형 연결부(40)를 가지는 치과용 보철물에 인공치아(20)가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형 유지부로서 자체(50)를 가지는 치과용 보철물에 인공치아(20)가 결합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에서 제1보철결합부(31a)와 제2보철결합부(31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인공치아(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치과용 보철물과 보철결합부(31)에 구비된 보철지지부(32)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치아(1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피개하고, 인공치아(20)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보철물(30); 및 상기 보철물(30) 내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치아홈(11)에 동시에 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31)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이다.
상기 치아홈(1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치아삭제 유도장치(1) 및/또는 치아삭제 장치에 의하여 치아(10)에서 일방향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이와 같이 일방향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치아홈(11)에 결합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보철물(30) 내면에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31)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치과용 보철물은 상기 보철결합부(31)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치아홈(11)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아(10)로부터의 탈부착이 용이한 동시에 결합력도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상기 한 쌍의 보철물(30a 및 30b) 사이에 결합되는 인공치아(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도 21 참조), 상기 한 쌍의 보철물(30a 및 30b)을 연결하는 연결부(40)를 통해 일체형을 제작될 수도 있으며(도 22 참조), 상기 한 쌍의 보철물(30a 및 30b)을 연결하는 자체(50)와 웅체(21)를 통하여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23 및 도 2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은 인공치아(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25 참조).
또한, 상기 한 쌍의 보철물(30)은 제1보철물(30a)과 제2보철물(3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철결합부(31)는 상기 제1보철물(30a)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1보철결합부(31a)와 상기 제2보철물(30b)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2보철결합부(3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4 참조). 상기 제1보철물(30a)과 제2보철물(30b)은 서로 다른 치아에 결합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보철결합부(31a)와 제2보철결합부(31b)를 통하여 서로 인접해 있거나 떨어져 있는 서로 다른 치아(10) 사이에서도 견고하게 인공치아를 결합시킬 수가 있다.
이와 함께,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철결합부(31a)와 제2보철결합부(31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보철물(30a)과 제2보철물(30b)이 탈리되는 방향이 서로 달라서 고정력이 배로 증가한다. 나아가, 상기 제1보철결합부(31a) 및/또는 제2보철결합부(31b)의 방향을 치아(10)에 수직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하면, 인공치아(20)가 탈리되는 방향과도 다르게 할 수 있어서 고정력을 더욱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31)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보철결합부(31) 상면으로부터 치아(10) 중심부로 연장된 보철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고(도 25 참조), 이 경우 상기 보철지지부(32)는 치아홈(11)의 상면이 확장된 치아홈확장부(13)에 상응하여 상기 치아홈확장부(13)를 지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 내지 효과를 가진다.
1)유도부재를 이용하여 홈의 평행을 잡아서 삭제를 가하고 어느정도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금속 탄성을 이용하여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2)절삭부위를 작게하여 직접 버를 버 수용부없이도 버를 투입하여 치아를 삭제하여 홈을 형성할수는 있다. 그러나 가이드를 사용 할 시 보다는 오차가 클수 있다.
3)부분 틀니를 제작시 지대치에도 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틀니의 지대치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인접 치아의 다수개를 지대치로도 활용할 수도 있으며홈이 형성된 지대치에 키이 앤 키웨이 형식으로도 할 수 있다. 이때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아가 틀이와 닿는 인접면이나 설측 혹은 협측 설협측 교합면 일부까지도 지대치로 활용하여서 틀니의 유지나 탈부착이 용이 하게 할수 있다. 지대치에 인공치를 연결하지 않고 지대치로 이용 할시 이때의 보철물은 유지부형태나 치아를 고정하는 형태를 한다.
4)동요도가 있는 치아를 고정할시 유도부재를 이용하여서 홈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서 다수개의 치아를 연결하여 치아를 고정할 수 있다.
5)유도부재를 이용하여 치아에 홈을 형성시 버의 절삭부위는 노출 시켜서 치아가 삭제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도 있다.
6)유도부재의 버 유도부위의 한 부분을 노출시켜서 일 부분만 가이드하게 하여서 치아가 삭제되는 과정을 보면서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노출된 부분의 상방이나 측방에서 버나 버 수용부를 투입 시킬수있다.
7) 보철물의 유지부위를 탈부착시 다소 걸리는 부분이 있더라도 어느정도의 금속의 탄성을 이용하여 장착 시킬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 치아삭제 유도장치
10 : 치아
11 : 치아홈
12 : 치아홈돌출부
13 : 치아홈확장부
20 : 인공치아
21 : 웅체
30 : 보철물
31 : 보철결합부
32 : 보철지지부
40 : 연결부
50 : 자체
100 : 유도장치지지부
200 : 치아삭제안내부
210 : 삭제가이드홀부
211 : 버가이드홀
212 : 스토퍼가이드홀
213 : 스토퍼체결부결합홈
300 : 절삭기
310 : 절삭기헤드
320 : 버
321 : 버연결부
322 : 버절삭부
330 : 스토퍼
331 : 스토퍼체결부
332 : 스토퍼지지부

Claims (22)

  1.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개하는 형태로 상기 치아, 잇몸 또는 치조골에 고정되는 유도장치지지부; 및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가 수용되는 삭제가이드홀부를 2개 이상 가지는 치아삭제안내부;를 포함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 각각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지지부와 치아삭제안내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유도장치지지부 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장치지지부는 상기 삭제가이드홀부에 대응하는 삭제가이드대응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하나의 치아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삭제안내부는 제1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1삭제가이드홀부와 제2치아에 대응하는 2개 이상의 제2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삭제가이드홀부와 제2삭제가이드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삭제가이드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가이드홀부는 절삭기의 스토퍼에 대응되는 스토퍼가이드홀과 절삭기의 버에 대응되는 버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가이드홀은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의 아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절삭기가 수용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이드홀은 절삭기의 스토퍼에 구비된 스토퍼체결부와 대응되는 스토퍼체결부결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유도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절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기는 치아를 일방향으로 삭제하는 버(bur)와 상기 버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버의 일부를 둘러싸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는 버의 일부를 둘러싸되, 상기 버와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기의 스토퍼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의 스토퍼체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기의 버는 치아를 삭제하는 버절삭부와 상기 버절삭부를 절삭기헤드에 연결하는 버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절삭부와 스토퍼 사이에 위에서 아래로 테이퍼진(tapered) 형상의 버절삭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장치.
  19. 치아의 일부 또는 전체를 피개하고, 인공치아와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 내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치아홈에 동시에 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철물은 제1보철물과 제2보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보철결합부는 상기 제1보철물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1보철결합부와 상기 제2보철물 내면에 2개 이상 형성된 제2보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철결합부와 제2보철결합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보철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치아홈의 상면이 확장된 치아홈확장부에 상응하여 상기 보철결합부 상면으로부터 치아 중심부로 연장된 보철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
KR1020130045611A 2013-04-24 2013-04-24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KR20140127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1A KR20140127066A (ko) 2013-04-24 2013-04-24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PCT/KR2014/002156 WO2014175552A1 (ko) 2013-04-24 2014-03-14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1A KR20140127066A (ko) 2013-04-24 2013-04-24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66A true KR20140127066A (ko) 2014-11-03

Family

ID=5179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11A KR20140127066A (ko) 2013-04-24 2013-04-24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7066A (ko)
WO (1) WO201417555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76A1 (ko) * 2015-02-26 2016-09-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KR101662819B1 (ko) * 2015-06-22 2016-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구멍 형성 가이드 템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N111775440A (zh) * 2020-05-27 2020-10-16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三重刚性约束和引导的牙体预备导板的数字化制备方法
KR102179777B1 (ko) 2020-04-07 2020-1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삭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226751B1 (ko) * 2019-10-18 2021-03-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KR20210043168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20210135687A (ko) 2020-05-06 2021-1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삭제 평가 장치 및 방법
US11896451B2 (en) 2019-10-11 2024-02-13 Di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679A (ko) * 2006-09-21 2008-03-26 최기선 치과용 보철물
KR20080027319A (ko) * 2008-03-07 2008-03-26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US20100192375A1 (en) * 2009-02-02 2010-08-05 Remedent Nv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US20110111362A1 (en) * 2009-11-11 2011-05-12 Jerome Haber Surgical guides
KR101105503B1 (ko) * 2010-05-11 2012-01-13 우윤규 치과용 어태치먼트, 이를 이용한 브릿지 조립체 및 임플란트 조립체
KR20120053455A (ko) * 2010-11-17 2012-05-25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76A1 (ko) * 2015-02-26 2016-09-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KR20160104372A (ko) * 2015-02-26 2016-09-0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장치 세트 및 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
KR101662819B1 (ko) * 2015-06-22 2016-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구멍 형성 가이드 템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3168A (ko) * 2019-10-11 2021-04-2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US11896451B2 (en) 2019-10-11 2024-02-13 Di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overdenture and flattening guide applied thereto for manufacturing the overdenture
KR102226751B1 (ko) * 2019-10-18 2021-03-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KR102179777B1 (ko) 2020-04-07 2020-1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삭제 안내 장치 및 방법
KR20210135687A (ko) 2020-05-06 2021-11-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삭제 평가 장치 및 방법
CN111775440A (zh) * 2020-05-27 2020-10-16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三重刚性约束和引导的牙体预备导板的数字化制备方法
CN111775440B (zh) * 2020-05-27 2022-02-01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三重刚性约束和引导的牙体预备导板的数字化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552A1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7066A (ko)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ES2762251T3 (es) Aparato para registrar una relación espacial de tejido blando gingival con la colocación de implante dentro del hueso alveolar para colocación inmediata de implante
ES2881468T3 (es) Posicionamiento e instalación de dispositivos de taladrado quirúrgicos y dispositivos y sistemas relacionados
JP4694453B2 (ja) 治癒支台柱
US5915962A (en) Dental implant and prosthesis positioning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US20020039718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additional methods of attachment
AU2012212284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implants
TW201306806A (zh) 能夠收容以多種角度製作的核冠並在附著帽後用作牙齦成形器的基台和利用該基台的種植體補綴物的製作方法及種植手術方法
KR10152516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기구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566456B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KR101734706B1 (ko) 진지바와 치은형성캡의 분리형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장치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1473835B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보호 캡
KR20190040590A (ko)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KR20080103318A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20190041668A (ko) 치조골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 키트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JP6063523B1 (ja) サージカルガイドの製造法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1604910B1 (ko) 치과 임플란트의 픽스쳐 분리장치
US20200197126A1 (en) Dental bone foundation guide with bur instrument guide features
KR101034370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고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