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309A -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309A
KR20140025309A KR1020137012165A KR20137012165A KR20140025309A KR 20140025309 A KR20140025309 A KR 20140025309A KR 1020137012165 A KR1020137012165 A KR 1020137012165A KR 20137012165 A KR20137012165 A KR 20137012165A KR 20140025309 A KR20140025309 A KR 2014002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fastening
support
support beam
super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 베르거
Original Assignee
카밀 테크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밀 테크 엘티디 filed Critical 카밀 테크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2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255Frames for partial dentures; Lingu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35Magnetic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개인맞춤형 지지보;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하부 표면 내에는 지지보의 횡단면과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진 상부 구조가 고정식으로 통합되어 있는 개인맞춤형 의치; 및 의치를 지지보에 단단히 체결 및 해제시키기 위한 의치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때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하나는 의치의 삽입로(POI)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나머지 하나는, 각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에 대응하게 연장되어 그 내부에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잡이용 돌기에 상응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DEN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치과용 의치 분야에 속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치과용 의치를 안정적으로, 단 쉽게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이, 사고, 질병 또는 기타 이유로 위턱 및/또는 아래턱에 있는 개인의 자연치(natural teeth)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소실되면, 해당 개인에게 기능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일부 심각한 영향이 간다. 치아 소실은 씹을 수 없게 되는 상태, 말을 할 때의 어려움 등과 같은 몇가지 심각한 기능성 문제들을 제기한다. 이보다 훨씬 더한 것은, 풀 세트의 하얀 치아를 가진 미소를 열망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심미성은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의 치조 융선에 의치를 정확하게 끼울 수 있지만, 의치를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일은 쉽지 않다. 다시 말해, 정상적인 씹기 또는 말하기 중에, 의치는 치조 융선 상의 위치에서 벗어나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 말하기와 씹는 것을 어렵게 하고, 의치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게 한다.
의치는 치경 또는 잇몸과 유사한 의치상(denture base) 내에 매입된 인공 치아를 가진 가철성(removable) 치과 보철물이다. 의치상은 잇몸 위에 안착되거나 또는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각각의 턱뼈에 고정된 지지바 상부에 안착되어, 보철물을 위한 버팀대를 제공한다. 의치상의 아래측에는 오목한 수용부가 있어서, 잇몸 또는 지지바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함으로써 의치가 꼭 맞게 가역적으로 끼워지게 한다.
최근에는 치과용 임플란트(때때로, 치과용 고정구 또는 포스트 지칭됨)를 영구적으로 식립하는 진료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영구적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체의 생물학적 과정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경질재료(예컨대, 티타늄)로 만들어지며, 골 성장을 통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개인의 구강 내에 영구적으로 식립되는 임플란트를 활용함으로써, 의치를 제자리에 고정식 또는 가철식으로 더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WO 제06103648호는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지지보, 및 일반적으로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dental parameter)와 부합되고 상부 구조와 통합되는 의치를 포함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을 개시하였다. 상기 상부 구조는 지지보와 부합되는 형상을 지닌 적어도 한 부분, 및 의치를 지지보에 가철식이면서 한편 고정식으로 관절연계시켜 의치의 의도되지 않은 분리(disengagement)를 막기 위한 의치 체결 장치(denture locking arrangement)를 포함한다.
US 제5,013,243호는 의치상에 매입시키기 위한, 자석체-포함 의치 부착장치를 개시하였으며, 상기 의치는 한 쌍의 연자성 합금 엔드플레이트, 상기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비-자성 합금 스페이서, 및 금속덮개(coping)의 한 측면을 제외하고 자성체, 엔드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덮는 캡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장치를 개시하였다. 상기 부착장치는, 치관(crown)으로 씌어져 있지 않는 치아의 치수공간 내에 매입된 연자성 합금의 금속덮개 상에 자성체의 자석 인력이 작용하도록 야기함으로써, 의치상이 잇몸 상에 안정화되도록 한다. 상기 자성체는 그의 N극 및 S극이 엔드플레이트를 각각 향하게 배치된다.
본 개시된 주제에 따라,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지지보, 및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상부 구조와 통합되는 개인맞춤형 의치를 포함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상부 구조는 의치의 주요 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지지보를 꼭 맞게 수용하기 위한 지지보의 형상과 부합된 형상을 지닌다. 상부 구조 및 지지보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 또는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 구조 및 지지보 중 나머지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홈과 연결되도록 이에 상응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홈은 의치의 삽입로(POI)를 따라 연장된다. 가철성 의치 시스템은 또한 가철식으로, 단 고정식으로 의치를 지지보에 관절연결시켜 의치가 의도치않게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치 체결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홈과 돌기는 지지보 위 상부 구조의 강성도 및 그립(grip)을 향상시키고, 지지보 위 상부 구조의 장착(유도)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로(POI)("배치로(path of placement)")란 용어는 지지보 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지지보로부터 제거될 때 따르는 특정의 가상 라인을 가리키며, 상기 라인은 개인 구강의 교합 평면(occlusal plane)과 교차한다.
교합 평면이란 용어는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또는 의치들)가 만나는 가상 표면을 가리킨다.
본 개시된 주제의 제1 양태에 따라,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개인맞춤형 지지보;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하부 표면 내에는 지지보의 횡단면과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진 상부 구조가 고정식으로 통합되어 있는 개인맞춤형 의치; 및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공차가 없도록 의치를 지지보에 단단히 체결 및 해제시키기 위한 의치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때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하나는 의치의 삽입로(POI)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positioning groove)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나머지 하나는, 각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에 대응하게 연장되어 그 내부에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잡이용 돌기에 상응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는 다음과 같은 디자인 및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상부 구조는 의치 내에 완전히 매입되며, 밑에서부터 분리시켜 보지 않는 한, 사용 중에 눈에 띄지 않는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삽입로의 방향 및/또는 입술 또는 혀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즉, 위치잡이용 돌기는 POI 방향으로 수렴되는 한편, 위치잡이용 홈은 이런 면에서 발산되는) 횡단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을 그 상단부에서 넓히고/넓히거나 위치잡이용 돌기를 그 하단부에서 좁혀, 지향성 깔때기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보 상에 상부 구조를 쉽고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가 각각 상부 구조 및 지지보의 입술쪽 면(labial face), 또는 혀쪽 면(lingual face) 또는 양쪽 모두 위에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은 각각의 지지보 또는 상부 구조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된다;
- 위치잡이용 돌기들이 지지보 상에 구성된 경우, 상부 구조는 지지보의 형상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를 유지하는 한편; 개인맞춤형 의치의 두께는 이에 따라 감소된다;
- 개인맞춤형 의치, 상부 구조 및 지지보 각각은 임의의 강성, 금속성 또는 비-금속성 재료, 예를 들면, 금속-금, 티타늄, 크롬-코발트, 지르코늄, 지르코늄-산화물, 자기(porcelain), 세라믹, 플라스틱/아크릴/중합체성 재료, 복합재, 및 이들의 조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 개인맞춤형 의치의 재료가 구조재료인 경우에는 자연치의 모양, 크기, 색 및 질감을 흉내낸 마감층을 그 위에 도포시킬 필요가 있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예컨대 더브테일(dove-tail) 관리 형태로 슬라이딩 연결을 위해 구성된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상이한 횡단면을 가진 다양한 형상(예컨대, 둥근형, 다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되거나, 또는 홈의 한정 부분까지 연장되거나, 또는 융기부, 핀 등의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입술쪽 면과 혀쪽 면 위에 지그재그식 배치로 구성된다;
-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입술쪽 면과 혀쪽 면 위에 대응식 배치(registered arrangement)로 구성된다;
- 위치잡이용 돌기는, 후방-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과 지지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평면 모두에서, 하부 베이스가 상부 베이스보다 넓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및 지지보의 상부 표면 중 하나는 리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및 지지보의 상부 표면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여 상응한 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 리세스 및 이에 상응하는 융기부는 방사상 또는 다른 측면(배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 지지보의 상부 표면 및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각각은 대체로 편평하거나 또는 융선(ridge)을 가질 수 있다. 지지보의 상부 표면 및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각각은 그 길이를 따라 균일하거나 변경될 수 있다.
- 장착되면,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지지보의 전체 상부 표면에 또는 그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 지지보의 측벽들(혀쪽 벽과 입술쪽 벽) 및 상부 구조의 측벽들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이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는 약 0° 내지 30°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상부 구조의 벽 표면(혀쪽, 입술쪽, 그리고 바닥쪽)들이 지지보의 각 벽(혀쪽, 입술쪽, 그리고 상부쪽)을 따라 상응한 형상을 가지며, 모든 상기 벽들과 표면이 꼭 끼워맞춰지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전체가 접촉면이 되어 공차를 없애므로 의치가 지지보 위에 움직이지 않게 끼워지되, 필요시마다 쉽게 장착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지지보 위에 제공되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잡이용 돌기는 지지보를 보강시켜, 지지보에 작용되는 굽힘 모멘트 전단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지지보의 내성을 증가시키는 추가 역할을 한다. 특히, 치과용 임플란트에 지지보 내에 형성된 보어(bore)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상기 위치잡이용 돌기는 지지보에 작용되는 굽힘 모멘트 전단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지지보의 내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의치를 하고 있는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씹는 동작, 깨무는 동작 및 찢는 동작 동안에 인가되는 상당한 힘을 지지보가 견딜 수 있게 한다. 이는 치과용 임플란트 보어들이 기부에 가까운(proximal) 위치에 있는 경우를 고려할 때 특히 더 그러하다.
본 개시된 주제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공차 없는 방식으로 의치를 지지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조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가철식 의치용 체결 장치(locking mechanism)를 개시함으로써, 체결된 경우 의치가 지지보로부터 자발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한편 의치를 쉽고 즉시 해제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체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는 의치 시스템의 후방 단부 및/또는 중간 부분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는 의치의 혀쪽 및/또는 입술쪽 면에, 또는 그 상부면에 끼워질 수 있다.
체결 구조의 제1 디자인에 따라, 지지보 내부에 고정되며, 위쪽을 향하는 하나의 기둥(pole)과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 및 의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자석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디스크형 조작부(manipulator)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는 의치의 적어도 혀쪽 또는 입술쪽 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고, 지지보를 대면하는 반대측 기둥과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을 고정식으로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과 실질적으로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 사이에 인력을 야기시키고 의치가 지지보에 자력으로 끌어당겨 지는 곳인 체결 위치와, 디스크형 조작부가 회전할 때 인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의치를 분리가능하게 되는 곳인 비-체결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제1 자석 및 제2 자석 중 하나는 지지보 또는 의치에 제공된 자석 부재에 끌어당겨지도록 구성된 철금속편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추가의 제2 자석(척력 자석)을 제공하되, 그 극들을 상기 제2 자석에 대해 반대로 배향시킴으로써(즉, 제1 자석과 같이 배향시킴), 상기 추가의 제2 자석과 함께 디스크형 조작부를 제1 자석 너머로 연장시켜, 이들 사이에 척력을 야기시키고, 의치의 발췌/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특정의 일 디자인에 따르면,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부 구조를 가로지른다.
특정의 일 디자인에 따르면, 체결 구조는 의치의 후방 단부에 구성된다.
2개의 제1 자석이 제공된 경우, 이들 자석은 의치의 아치 라인을 따라 연장되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자석들의 각 위치 사이에서 90°로 변위된다. 단지 1개의 제1 자석이 제공된 경우, 디스크형 조작부는 비-체결 위치 내에서 90°내지 270°로 변위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체결 구조는 지지보 상에 형성된 1개 또는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하며, 의치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의치의 적어도 혀쪽 또는 입술쪽 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는 디스크형 조작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체결용 리세스를 체결 구속하도록 구성된 1개 또는 2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형 주작부는 상기 1개 또는 2개의 체결 부재가 리세스 내부에 구속되는 곳인 체결 위치와, 디스크형 조작부가 회전할 때 체결 부재가 각각의 리세스로부터 해제되는 곳인 비-체결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특정의 일 디자인에 따르면, 체결 부재는 디스크형 조작부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체결용 리세스는 지지보 내부 또는 상부 표면에 구성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성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르면, 상기 디자인 자체가 하중을 받지 않는다. 즉 의치가 지지보 위에 장착되면, 씹기 동작시, 상부 구조와 지지보 사이에 힘이 실질적으로 작용하고, 체결 시스템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힘도 발생되지 않는다.
그 밖에, 체결 구조는, 입술 방향으로부터, 비체결 상태를 지지하고자 설계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된 주제를 이해하고, 이를 실제로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기 실시예들을 단지 비-제한적 예시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분해 등측도(exploded isometric view)로서, 의치의 장착 및 분리, 그리고 의치와 지지바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의치를 혀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분해 후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a 및 도 5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된 주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며, 여기서는 직립 위치로 있는 의치를 예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8a 및 도 8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a에 예시된 지지보의 입술쪽 부분 및 도 9a에 예시된 상부 구조의 각 부분을 확대된 크기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c 및 도 10d는 의치 시스템의 종단면도를 예시하며, 의치의 연속 장착/분리 단계를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1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3a 및 도 13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된 주제의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도 15a 및 도 15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각각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보의 입술쪽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도 17a 및 도 17b의 지지보와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된 의치의 입술쪽 사시 저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2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 부분을 나타내며, 비-체결된 위치 및 체결된 위치 각각에서의 접철식 핀형 체결 구조를 예시한다.
도 20a는 본 개시된 주제의 의치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체결 구조의 분해 사시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의 C-C선을 따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1a는 체결 위치에 있는, 본 개시된 주제의 체결 구조와 함께 끼워맞추어진 의치 시스템의 상부 위치에서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1b는 비-체결 위치에 있는 도 21a의 체결 장치를 나타낸다.
도 21c는 장착되어 구속된 위치에 있는, 개시된 실시예의 체결 구조와 함께 끼워맞추어진 의치 시스템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d는 지지보로부터 의치가 분리된 의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2a는 체결 위치에 있는, 도 21a 및 21b에 예시된 체결 장치의 일 변형예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D-D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a는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한 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서 폐쇄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c는 지지보의 위에 체결 고정된 의치를 예시하는, 도 23a의 체결 구조를 따라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3d는 도 23b에서 F 화살표 방향으로 본 지지보의 평면도이다.
도 23e는 체결 장치를 예시하는 도 23a의 의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4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를 예시하는 중첩된 개략도이다.
도 24b는 체결 위치에 있는 체결 구조를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4를 우선 주목하기로 한다. 의치 시스템(10)은 개인의 턱뼈(24)(즉,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 내에 수용된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26)에 의해 고정식으로 체결된 지지보(2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보(20)는 적절한 나사(28)에 의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26)에 체결된다.
지지보(20)는 턱(24)의 보편적 아치 형상을 따르며, 혀쪽(내측) 면(30), 입술쪽(외측) 면(32) 및 상부 표면(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으로부터, 지지보(20)의 상부 표면(36)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대체로 편평하고 매끄럽다는 것이 확실히 보인다. 그러나, 상부 표면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편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의치(42)는, 이하 설명되겠지만, 지지보(20) 위에 가철식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도록 개인맞춤화 된다. 다시 말해, 이때 치아 범위는 모양, 크기 및 색과 관련하여 자연치를 닮은 복수의 치아(44), 및 지지보 상에 장착되는 경우 지지보 아래로 연장되어 점막층(개인의 자연 잇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 잇몸-유사 부분(46)을 포함한다. 지지보(2)의 횡단면과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그 위에 꼭 맞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상부 구조(50)가 개인맞춤형 의치(42)의 저부 표면 내부에 고정식으로 통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 구조는 지지보(20)의 상응하는 혀쪽 면(30) 및 입술쪽 면(32)과 매끄러우면서 같은 높이의 평면을 이루는 연결을 위해, 지지보(20)의 상부 표면(36) 및 이에 상응하는 혀쪽 면(56) 및 입술쪽 면(58) 위에 같은 높이의 평면을 이루도록 위치되며 대체로 편평하고 매끄럽게 구성된 상부 벽(54)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부 구조의 저부 표면이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지지보의 상부 표면 또는 적어도 지지보의 상당한 부분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개인맞춤형 의치(42)는 지지보(20)를 삽입로(POI), 즉 개인맞춤형 의치(42)가 지지보(20) 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지지보(20)로부터 제거될 때 따르는 가상 라인을 가리키며, 상기 라인은 개인 구강의 교합 평면과 교차한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서 더 알 수 있듯이, 지지보(20)는 복수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잡이용 돌기(60)(본 경우에는 4개, 혀쪽 면(30)과 입술쪽 면(32) 각각에 2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잡이용 돌기(60)는 삽입로에 평행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편, 상부 구조(50)는 위치잡이용 돌기(60)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즉 그 위해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상기 돌기에 상응하는 개수의 위치잡이용 홈(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위치잡이용 돌기(60)는 지지보(20)의 전체 높이로 연장되며, 개인맞춤형 의치(42)를 분리할 때의 자극을 최소화시키도록 둥근 형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한편, 위치잡이용 홈(64)은 상부 구조의 최저 표면(68)으로부터 상부 표면(54)까지 연장되며,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위치잡이용 돌기(60) 위에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의치 시스템(10)은 체결 구조(76)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구조는 핀-유형 체결 장치로, 도 19a 및 도 19b에 더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제 도면들 중 도 5과 도 6을 주목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서,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90으로 표시된 지지보와,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94로 표시된 통합형 상부 구조를 가지며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92로 표시된 개인맞춤형 의치의 일반적 특징들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위에 설명된 특징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 특히 예시된 실시예에서 위치잡이용 돌기(100)는 넓은 저부 베이스(102)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좁은 상부 베이스(104)를 가진 사다리꼴이며, 본 특정 실시예에서 저부 베이스(102)는 지지보(90)의 저부 에지(106)쪽으로 하향 연장되고, 상부 베이스(104)는 지지보의 상부 편평한 표면(108)과 같은 높이로 연장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 구조(94)는 4개의 상응하는 위치잡기용 홈(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각각의 홈은 지지보(90)의 위치잡이용 돌기(100)의 횡단면과 부합된 횡단면을 가진다. 즉, 위치잡이용 홈(112)은 지지보(90)의 상부 표면(108)에 걸쳐 같은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된 상부 구조(94)의 최저 표면(118)에서 연장되는 넓은 개구(116)와 상부 구조(94)의 내부 표면(120)에서 연장되는 좁은 상부 부분을 가진 테이퍼형 횡단면을 가진다.
위치잡이용 돌기(100)와 이에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112)의 사다리꼴 구성은 개인맞춤형 의치(92)를 지지보(90) 위에 쉽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위치잡이용 홈(112)의 넓은 개구(116)는 위치잡이용 돌기(100)의 좁은 상부 베이스(104) 위에 놓이게 됨에 따라, 깔대기형 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개인맞춤형 의치(92)가 지지보(90) 상에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개인맞춤형 의치가 지지보(90) 상에 단단하게 지지되는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지지보(90) 상으로의 개인맞춤형 의치 배치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 5와 도 6에 예시된 의치 시스템은 이하 개시되는 유형의 핀-유형 체결 구조(76)(도 19a 및 도 19b에 더 상세히 기술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140으로 표시된 지지보는 혀쪽 면과 입술쪽 면으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로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위치잡이용 돌기(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위치잡이용 돌기(142)는 (도 5a 및 도 5b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사다리꼴 횡단면을 가진다. 즉 넓은 저부 베이스(146)와 좁은 상부 베이스(148)를 가지며, 상기 상부 베이스는 지지보(140)의 상부 표면(150)과 같은 높이로 연장되며, 또한 각각의 위치잡이용 돌기(142)는, 개인맞춤형 의치(162)의 상부 구조(160)에 형성된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156) 내부에 슬라이딩 연결되도록 형성된, 더브테일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위치잡이용 홈(156)은 위치잡이용 돌기(142) 위로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부 구조(160)의 하부 넓은 개구(164)와 상부 표면(170)을 향해 위쪽으로 좁아지는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는 사다리꼴 횡단면으로 구성된다.
홈과 돌기의 더브형 위치잡이용 구성은 지지보 위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상부 구조 및 통합된 개인맞춤형 의치 사이에 어떠한 공차든 감소시키면서, 어떠한 움직임도 없앤다는 것을 이해한다.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잡이용 돌기가 제공되는 덕분에, 지지보에 작용되는 굽힘 모멘트 전단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에 대한 지지보의 내성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이로써 지지보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또한 이해한다. 한편, 위치잡이용 홈이 제공된 위치에서의 상부 구조의 벽의 전체 두께는 더 얇은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유지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도 8과 도 9를 또한 주목해 보면, 도 5와 도 6의 구성과 크게 유사한,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지지보(180)는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182로 표시된 복수의 위치잡이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횡방향 위치잡이용 돌기는 전방측 입술쪽 면(184)으로부터 연장되고, 3개의 위치잡이용 돌기(182)는 내부측 혀쪽 면(186)으로부터 연장된다. 위치잡이용 돌기(182)는, 삽입로(POI)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개인에게 가는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대체로 직사각형이지만 에지가 깍여진/둥글게 처리된 횡단면을 지닌 실질적으로 직선인 부분(19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더 나아가 더 아래쪽으로는 넓어지는 부분(192)이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에 부합하여, 개인맞춤형 의치(190)는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198)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합형 상부 구조(1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구조(192)의 최저 표면(204)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를 가지며 참조번호 200으로 표시된 위치잡이용 홈의 하부 개구는 실질적으로 더 넓고, 206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위로 좁아지며, 그 형상은 상응되는 위치잡이용 돌기의 형상과 매칭되어 그 위에 꼭 맞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200에서 넓어지는 개구는 지지보(180) 위로 개인맞춤형 의치(190)를 쉽게 장착 및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개인맞춤형 의치(190)를 지지보(180) 위에 배치 및 위치시킬 경우에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둘 사이에 어떠한 공차도 없이 고정식으로 위치시킨다.
마찬가지로, 위치잡이용 돌기는 저부 베이스가 상부 베이스보다 넓고, 둘 다 전방-후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 내에, 그리고 지지보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0a 내지 도 10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 관련하여, 위치잡이용 돌기 및 각각의 위치잡이용 홈의 개수뿐만 아니라 이들의 위치, 형상 및 크기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의치 시스템은, 꼭 끼워맞춤의 일반적 개념이 살아있고 돌기와 홈 사이의 공차가 실질적으로 없는 한, 여러 상이한 유형의 위치잡이용 돌기 및 이에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지지보(220)의 일부분만,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상부 구조(222)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크기로 예시하고 있으며, 이때 지지보(220) 상에 구성된 위치잡이용 돌기(224)는 더브테일 장치를 가진 복합 구성으로서, 상부 부분(226)은 POI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저부 부분(228)은 횡방향과 평면 방향 모두에서 경사져 있다(도 10a, 10b 및 10d도 참조). 이에 상응하는 상부 구조(222)의 위치잡이용 홈(232)은, 위치잡이용 돌기(224)와 횡단면에서 대응되는, 저부 에지(236)에서 넓어지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상단부(238)에서 끝나는 개구를 가진다.
도 10c 및 도 10d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단면 X를 따라 나타낸 횡단면들로서, 통합형 상부 구조를 가진 개인맞춤형 의치를 상응하는 지지빔 위에 장착시키는 연속 세트를 예시하고 있으며, 위치잡이용 홈과 위치잡이용 돌기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지금까지 예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위치잡이용 돌기가 지지보 위에 구성되었고, 각각의 위치잡이용 홈은 상부 구조에 구성되었지만; 도 11 내지 도 14의 하기 실시예들에서는 위치잡이용 돌기가 상부 구조에 구성되고, 각각의 위치잡이용 홈은 지지보에 구성된다.
우선 도 11과 도 12를 보면, 지지보(250)는,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256으로 표시된 2개의 위치잡이용 홈을 입술쪽 면(252)에 가지며, 1개의 위치잡이용 홈(256)이 혀쪽 면(258)에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위치잡이용 홈(256)은 의치 시스템의 삽입로(POI)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잡이용 홈(256)은 깔때기형 구성으로, 260에서의 상부 넓은 개구는 지지보(250)의 대체로 편평하고 매끄러운 상부 표면(262)으로부터 연장되어 대체로 직사각형인 부분(266)을 향해 아래쪽으로 테이퍼진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인맞춤형 의치(270)는 통합형 상부 구조(2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 구조는 지지보(250) 상에 구성된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256) 내부에 꼭 맞게 공차없이 수용되도록 구성된 3개의 위치잡이용 돌기(2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위치잡이용 돌기(276)는 상부 구조(272)의 저부 표면(282)으로부터 연장되며 대체로 직사각형의 하부 부분(2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잡이용 돌기(276)는 지지보(250)의 각 위치잡이용 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방식으로 상부 부분(286)에서 넓어진다.
이전 실시예와 비슷하게, 이 경우에서도, 의치 시스템은 체결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체결 구조는 핀-유형 체결 구조(76)이며, 그 유형을 특히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하기에 개시하기로 한다.
도 13과 도 14는 도 11과 도 12와 관련하여 예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지보(292)는 위치잡이용 홈(29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개인맞춤형 의치(298)의 상부 구조(296)는 횡방향 내부쪽으로, 즉 상부 구조의 한정된 공간 내로 돌출하는 위치잡이용 돌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잡이용 홈(290)은 테이퍼형 횡단면, 즉 지지보(292)의 상부 표면(306)과 같은 높이로 연장되어 지지보의 저부 좁은 베이스(308)에서 끝나는 넓은 상부 개구(304)를 가진다. 각각, 상부 구조(296)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좁은 저부 베이스(310)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구조(296)의 저부 에지(312)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면서 상부 구조(296)의 상부 표면(316)을 향해 위쪽으로 넓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도, 개인맞춤형 의치(298)의 장착이 용이하고, 위치잡이용 홈의 깔때기 유형 배치에 의해 인도되도록 구성되지만, 개인맞춤형 의치를 지지보 위의 최종 위치에 배치하면, 의치는 실질적으로 공차 없이 단단하게 지지된다. 즉, 개인맞춤형 의치과 이를 지탱하는 지지보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움직임도 없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한다. 도 15와 도 16은 도 5와 도 6과 관련하여 개시된 의치 시스템과, 적어도 지지보(332) 상에 형성된 위치잡이용 돌기 및 개인맞춤형 의치(340)의 상부 구조(338) 상에 구성되며 각각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잡이용 홈(336)의 제공과 형상에 관한 한, 어느 정도 비슷하다. 그러나, 상기 위치잡이용 홈(336) 및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돌기(330) 외에, 도 15 및 도 16의 의치 시스템은 지지보(332)의 상부 매끄러운 표면(348)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구조(338)의 상부 표면(356) 상에 상기 위치잡이용 돌기(346)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응하는 함몰부(350)를 가진, 한 세트(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상향 돌출되는 위치잡이용 돌기(346)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통합된 개인맞춤형 의치(340)를 통해 각각의 지지보(332) 및 상부 구조(338) 사이의 진위치(true-position)를 증가시킨다.
도 17과 도 18의 실시예는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와 유사한 장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여기서는 횡방향 위치잡이용 돌기와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은 도 8과 도 9의 것과 유사하며, 또한 지지보(372)의 대체로 편평한 상부 표면(370) 상에는 2개의 위치잡이용 홈(376)이 구성되어 있는 한편, 개인맞춤형 의치(382)의 상부 구조(380)는 상기 상부 구조(380)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390)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보(372) 상에 형성된 각각의 위치잡이용 홈(376) 내부에 꼭 끼워맞추어 수용되는 위치잡이용 돌기(3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5, 도 16, 도 17 및 도 18과 각각 관련하여 예시된 각각의 위치잡이용 홈과 위치잡이용 돌기는 이들의 각 측면이 삽입로(POI)에 평행하거나 또는 이들과 예각을 구성하지만, 위치잡이용 홈의 깊이 및 각각의 위치잡이용 돌기의 상응되는 높이는 이들의 표면 결합(mating)(표면 대 표면 접촉)을 보장하도록 정해진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전에 개시된 의치 시스템에는 체결 구조가 장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구조는 도 19a(개방된 비-체결 위치) 및 도 19b(폐쇄된 체결 위치)에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핀-유형 잠금쇠(76)이다.
잠금쇠(76)는 개인맞춤형 의치(402) 내부에 단단하게 매입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이에 상응하는 엘라스토머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 슬리브(404)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쇠는 슬리브(404)에 의한 스내핑 구속을 위해 구성된 환형 변위 제한 링(412)과 함께 형성된다. 상기 핀은 체결 위치(도 19b)와 비-체결 위치(도 19a) 사이에서 변위된다. 체결 핀(408)은 대체로 편평한 헤드부(414)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체결 위치에서 개인맞춤형 의치의 혀쪽 면(414) 가까이에 연장됨으로써, 개인에게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시키되 예컨대, 개인의 손톱(이를 위해 작은 틈이 헤드부(414)의 내부 표면과 혀쪽 면(420) 사이에 보통 구성되어 있음)을 사용하여 핀의 수축(retraction)을 용이하게 한다. 체결 핀(408)은 각각의 지지보(426)에 구성되어 상응하는 보어 내부에 꼭 맞추어 끼워지되, 체결 위치에 있을 때 핀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하중도 받지 않는 방식으로 끼워진다.
일부 경우에서, 개인맞춤형 의치는 지지보에 형성된 관통 체결 보어에 대응하여 입술쪽 면에 관통 보어를 또한 포함한다. 체결 핀(414)을 발췌하는 작업이 어려운 경우에는 개구를 통해 날카로운 물품(예컨대, 종이 스테이플 등)을 삽입함으로써 체결 핀(414)을, 혀쪽 방향으로, 발췌된 위치 내로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9a). 그러나, 개인맞춤형 의치의 입술쪽 면에 있는 이러한 개구는 아주 작아서 눈으로 거의 볼 수 없다.
이제 도 20과 도 21을 보면, 본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체결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500으로 표시된 체결 구조는 개인의 점막층(506) 위의 치조 융선(504)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510)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유형의 지지보(502)를 포함한다.
의치 시스템(500)은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하부 표면 내에는 지지보(502)의 횡단면과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지며 지지보(502) 상에 꼭 맞추에 공차 없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전반적으로 참조번호 516으로 표시된 상부 구조가 고정식으로 통합되어 있는 개인맞춤형 의치(514)를 더 포함한다. 체결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석(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자석은 지지보(502) 내부에 고정식으로 수용되며, N극은 위를 향하고 S극은 아래를 향하도록 배향된다. 개인맞춤형 의치(514) 내부에는 디스크형 조작부(530)가 수용되어, 상기 제1 자석(522)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회전축(53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조작부(530)는 혀쪽 면(538) 또는 입술쪽 면(54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로부터 각각 부분적으로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반대 측으로 배향된(즉, S극은 아래쪽을 향하고 N극은 위쪽을 향함) 적어도 하나의 제2 자석(544)을 고정식으로 포함한다.
디스크형 조작부(530)는, 제2 자석(544)이 상기 제1 자석(522)과 실질적으로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 사이에 인력을 야기시키고 결과적으로 개인맞춤형 의치(514)가 지지보(520)에 자력으로 끌어당겨져 그로부터 저절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 위치(도 21a)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다. 조작부(530)는 화살표 라인(550)으로 예시하였듯이 디스크형 조작부(530)가 회전하면 비-체결 위치로 변위가능하다(도 21b). 이와 같이 제2 자석(544)은 제1 자석(522) 위의 체결 위치로부터 변위됨으로써, 이들 사이의 인력을 장악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개인맞춤형 의치(514)를 지지보(502)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의치 시스템에 속하는 앞서 언급된 유형의 체결 구조들의 개수는 의치 시스템 내부에 제공된 공간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힘을 가진 자석을 제공함으로써 인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작지만 강력한 자석(예컨대, 네오미듐 자석)을 사용하여도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제1 자석(522) 및 제2 자석(544) 중 하나는 지지보 또는 의치에 제공된 자석 부재에 끌어당겨지도록 구성된 철금속편일 수 있음을 주목한다.
도 22a 및 도 22b에는 도 20 및 도 21과 관련하여 개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지지보는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한편, 개인맞춤형 의치(560)는 2개의 자석(564 및 566)이 포함된 디스크형 조작 부재(5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자석 중 전자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향되며(즉, 남(S)극이 아래를 향하고, 북(N)극이 위를 향함), 후자의 자석(566)은 북(N)극이 아래를 향하고 남(S)극이 위를 향한 상태로 연장된다.
조작부 인력의 제1 배향이 지지보의 제1 자석(522) 및 개인맞춤형 의치의 제2 자석(566) 사이로 연장되도록 배치가 이루어지며, 한편 비체결 및 체결 구조는 자석(564)이 제1 자석(522) 위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키는 위치까지 조작부(56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월해지므로, 의치의 발췌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
이제 도 23a 내지 도 23e를 보면, 또 다른 구성에 따른 체결 구조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지지보(600)는 상기 개시된 유형의 것으로, 그 상부에는 대체로 편평한 표면(602), 체결용 리세스(608)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위로 돌출되는 체결 스터드(606)를 포함한다.
개인맞춤형 의치(620)는, 혀쪽 면(626) 또는 입술쪽 면(628)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돌출되며 체결 스터드(606)의 종방향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디스크형 조작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 조작부는 넓은 부분(634) 및 좁은 부분(636)(도 23e)을 가진 체결 요홈(6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넓은 부분(634)은 적어도 체결 스터드(606)의 직경 D만큼 넓으며, 좁은 부분(636)은 체결 스터드(606)의 함몰된 부분 d(도 23b)만큼 좁다.
비-체결 위치에서 개인맞춤형 의치(620)는 지지보(600) 위에 위치하여, 스터드(606)가 개구(632)(도 24a)의 넓은 개구(634) 내부로 돌출되도록 허용함으로써, 개인맞춤형 의치가 지지보 상에 제대로 위치하고 안착되도록 한다. 체결 작업은 조작 부재(622)를 화살표(640)(도 24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어난다. 이로써, 체결 개구(632)의 좁은 부분(636)은 체결 스터드(606)의 체결용 리세스(608)를 체결 구속하게 되어, 의치가 지지보로부터 의도치 않게 변위되는 것을 막고 모든 힘을 제거시킨다.
위에 개시된 체결 구조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르면, 체결 위치에서, 체결 구조는 어떠한 하중도 받지 않지만, 개인맞춤형 의치의 상부 구조는 지지보 위로 그 사이에 실질적인 공차 없이 꼭 끼워맞춤 방식으로 받게 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개시된 주제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주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한 부분만 일부 수정함으로써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의치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 및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보를 구비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 및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에 각각 대응되게 구성된다.

Claims (27)

  1.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개인맞춤형 지지보;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하부 표면 내에는 지지보의 횡단면과 실질적으로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진 상부 구조가 고정식으로 통합되어 있는 개인맞춤형 의치; 및 의치를 지지보에 단단히 체결 및 해제시키기 위한 의치 체결 장치를 포함하고,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하나는 의치의 삽입로(POI)를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지보 및 상부 구조 중 나머지 하나는, 각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에 대응하게 연장되어 그 내부에 꼭 맞게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잡이용 돌기에 상응하도록 구성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점차 좁아지는 횡단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을 그 상단부에서 넓히고/넓히거나 위치잡이용 돌기를 그 하단부에서 좁혀, 지향성 깔때기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지보 상에 상부 구조를 쉽고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 각각이 상부 구조와 지지보의 입술쪽 면(labial face), 또는 혀쪽 면(lingual face), 또는 양쪽 모두 위에 구성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은 각각의 지지보 및 상부 구조의 전체 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위치잡이용 돌기들이 지지보 상에 구성된 경우, 상부 구조는 지지보의 형상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같은 두께를 유지하는 한편; 개인맞춤형 의치의 두께는 이에 따라 감소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홈과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틈새가 없는 슬라이딩 연결을 위해 구성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위치잡이용 돌기는 상응하는 위치잡이용 홈 및 돌기 사이의 전체 높이 범위로 임의의 높이를 연장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및 지지보의 상부 표면 중 하나는 리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및 지지보의 상부 표면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여 상응한 융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보의 상부 표면 및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각각은 대체로 편평한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보의 상부 표면 및 상부 구조의 하부 표면 각각은 융선(ridg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보의 측벽들 및 상부 구조의 측벽들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보의 측벽들 및 상부 구조의 측벽들 각각은 서로에 대해 약 0° 내지 30°로 경사를 이루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구조의 벽 표면은 지지보의 각 벽을 따라 상응한 형상을 가지며, 모든 상기 벽들과 표면이 꼭 끼워맞춰지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전체가 접촉면이 되어 공차를 없애므로 의치가 지지보 위에 움직이지 않게 끼워지되, 필요시마다 쉽게 장착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보장하는 것인 가철식 의치 시스템.
  15. 개인의 점막층 위의 치조 융선에 복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고정식으로 부착된 개인맞춤형 지지보; 상기 개인의 치아 범위와 부합되고, 하부 표면 내에는 지지보의 횡단면과 부합되는 횡단면을 가진 상부 구조가 고정식으로 통합되어 있는 개인맞춤형 의치를 포함하는 가철식 의치 시스템을 위한 체결 장치이며, 상기 체결 장치는 지지보 내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제1 자기부착식(magnetically attached) 부재, 의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자기부착식 부재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인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디스크형 조작부(manipul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의치의 적어도 혀쪽 또는 입술쪽 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고, 지지보를 대면하는 반대측 기둥과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자기부착식 부재를 고정식으로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자기부착식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자기부착식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 사이에 인력을 야기시키고 의치가 지지보에 자력으로 끌어당겨 지는 곳인 체결 위치와, 디스크형 조작부가 회전할 때 인력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의치를 분리가능하게 되는 곳인 비-체결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것인 체결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자기부착식 부재 및 제2 자기부착식 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다 자석인 체결 구조.
  17. 제15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공차 없는 방식으로 의치를 지지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조작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구성됨으로써, 체결된 경우 의치가 지지보로부터 자발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하면서 한편 의치를 쉽고 즉시 해제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체결 구조.
  18.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는 의치 시스템의 후방 단부 및/또는 중간 부분에 구성되는 것인 체결 구조.
  19.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체결 구조는 의치의 혀쪽 및/또는 입술쪽 면에, 또는 그 상부면에 끼워지는 것인 체결 구조.
  20. 제16항에 있어서, 추가의 제2 자석을 제공하되, 그 극들을 상기 제2 자석에 대해 반대로 배향시킴으로써, 상기 추가의 제2 자석과 함께 디스크형 조작부를 제1 자석 너머로 연장시켜, 이들 사이에 척력을 야기시키고, 의치의 발췌/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인 체결 구조.
  21.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부 구조를 가로지르는 것인 체결 구조.
  22. 제16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자석이 제공된 경우, 상기 자석들은 의치의 아치 라인을 따라 연장되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자석들의 각 위치 사이에서 90°로 변위되고; 단지 1개의 제1 자석이 제공된 경우, 디스크형 조작부는 비-체결 위치 내에서 90° 내지 270°로 변위되는 것인 체결 구조.
  23. 제16항에 있어서, 체결 구조는 지지보 상에 형성된 1개 또는 2개의 체결용 리세스를 포함하며, 의치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의치의 적어도 혀쪽 또는 입술쪽 면으로부터 일부 돌출되는 디스크형 조작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체결용 리세스를 체결 구속하도록 구성된 1개 또는 2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형 조작부는 상기 1개 또는 2개의 체결 부재가 리세스 내부에 구속되는 곳인 체결 위치와, 디스크형 조작부가 회전할 때 체결 부재가 각각의 리세스로부터 해제되는 곳인 비-체결 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것인 체결 구조.
  24. 제23항에 있어서, 체결 부재는 디스크형 조작부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체결 구조.
  25. 제23항에 있어서, 체결용 리세스는 지지보 내부 또는 상부 표면에 구성되는 것인 체결 구조.
  26. 제15항에 있어서, 체결 구조는 하중을 받지 않는 것인 체결 구조.
  27. 제15항에 있어서, 입술 방향으로부터, 비체결 상태를 지지하고자 설계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체결 구조.
KR1020137012165A 2010-10-13 2011-09-26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5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03,607 2010-10-13
US12/903,607 US8529260B2 (en) 2010-10-13 2010-10-13 Den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PCT/IL2011/000759 WO2012049672A1 (en) 2010-10-13 2011-09-26 Den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309A true KR20140025309A (ko) 2014-03-04

Family

ID=4489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165A KR20140025309A (ko) 2010-10-13 2011-09-26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529260B2 (ko)
EP (1) EP2627280B1 (ko)
JP (1) JP5928845B2 (ko)
KR (1) KR20140025309A (ko)
CN (1) CN103338723B (ko)
AU (1) AU2011315109B2 (ko)
BR (1) BR112013008961A2 (ko)
CA (1) CA2814627C (ko)
MX (1) MX2013004082A (ko)
RU (1) RU2013119334A (ko)
WO (1) WO2012049672A1 (ko)
ZA (1) ZA2013033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5599B2 (en) 2010-11-03 2015-10-13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e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US8920170B2 (en) * 2011-02-21 2014-12-30 Aeton Medical Llc Abutment and abutment systems for use with implants
US8875398B2 (en) 2012-01-04 2014-11-04 Thomas J. Balshi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tilizing standardized framework keys and matching premanufactured teeth
US9364302B2 (en) 2012-02-08 2016-06-14 Global Dental Science Llc Process and systems for molding thermosetting plastics
US10383709B2 (en) * 2012-10-12 2019-08-20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bar
CN102961194A (zh) * 2012-11-15 2013-03-13 陆金泉 义齿连杆磁性固位装置
ITNA20130041A1 (it) * 2013-07-22 2015-01-23 Nicola Garganese Dispositivo medico - chirurgico che ha applicazione nel campo della odontoiatria, quale sistema di fissaggio di protesi dentaria mobile alla arcata dentaria.
US9055993B2 (en) 2013-08-29 2015-06-16 Global Dental Science Llc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ITMI20132191A1 (it) * 2013-12-23 2015-06-24 Stefano Breda Struttura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protesi dentarie
US9326834B2 (en) 2013-12-27 2016-05-03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denture devices
US9707061B2 (en) * 2013-12-27 2017-07-18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denture devices
US10251733B2 (en) 2014-03-03 2019-04-09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10206764B2 (en) 2014-03-03 2019-02-19 Global Dental Scien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9801700B1 (en) * 2014-11-17 2017-10-31 Janusz Liberkowski Dental prosthesis with sealed attachment interface and cleaning fluid access thereto
US20160199160A1 (en) * 2015-01-08 2016-07-14 Operart, Llc Dental implant prosthesis
AU2016207693A1 (en) * 2015-01-14 2017-08-31 Bio Dental Solutions Ltd Dental bridge system
US10543068B2 (en) * 2015-04-03 2020-01-28 Nathan Stobbe Dental devices and related technology
FR3035786A1 (fr) * 2015-05-06 2016-11-11 Anthogyr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prothese dentaire et un maitre-modele
US11648084B2 (en) 2015-06-11 2023-05-16 Global Dental Science Llc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implant-supported dentures
US11925521B2 (en) * 2016-02-25 2024-03-12 Poetya Solutions Limited Dental bridge system with insert
CA3015801A1 (en) * 2016-03-05 2017-09-14 National Dentex, Llc Bone found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DE202017103639U1 (de) 2016-06-20 2017-08-29 Stephen Balshi Positioniergriff und okklusale Verriegelungen für eine herausnehmbare Prothese, die in eine implantatgestützte Prothese konvertierbar ist
US10485637B2 (en) * 2016-10-26 2019-11-26 Dental Milling Solutions, LLC Dental prosthetic assemblies and coupling systems
KR20190120813A (ko) * 2017-03-30 2019-10-24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시적 의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의치 제작 방법
US10456221B2 (en) * 2017-07-03 2019-10-29 Paul Kenneth Clark, JR. Force damping dental bridge assembly with synthetic periodontal ligament fibers
KR200488694Y1 (ko) 2018-06-11 2019-03-07 전병진 미각 효율이 개선된 상부틀니
CN211674655U (zh) * 2019-07-05 2020-10-16 儒蓉(成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导板
CN113100981A (zh) * 2020-01-13 2021-07-13 李建海 摩擦力固位锥状连结支台印模方法
WO2021173628A1 (en) 2020-02-27 2021-09-02 New Way Denture & Retention Systems, LLC Denture retention apparatus and method
IT202000005176A1 (it) * 2020-03-11 2021-09-11 Winlab S R L Protesi dentale perfezionata e metodo per il fissaggio della contro-barra alla barra in una protesi dentale.
CN113262064B (zh) * 2021-05-18 2022-05-27 深圳市金悠然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半球型磁铁的组合义齿及其制备方法
WO2023154979A1 (en) * 2022-02-18 2023-08-24 Maxoniq IP Pty Ltd Magnetically retained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3060A (en) * 1953-08-12 1957-08-20 Weiss Harry Attachment for a removable bridge or partial denture
US4085506A (en) 1976-07-22 1978-04-25 Isaih Lew Locking device for dental prostheses
FR2392656A2 (fr) 1977-06-02 1978-12-29 Erlich Deguemp Jean Antoine Procede de mise en place d'une prothese, notamment d'une prothese amovible, et dispositif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EP0077341A1 (de) 1981-04-23 1983-04-27 SADEGH VAZIRI, Nassereddin Verankerung zum einlassen in zahnwurzeln, verwendung derselben sowie zahnersatzaufbau
US4715817A (en) * 1985-08-15 1987-12-29 Max Zuest Denture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US4741698A (en) 1986-04-08 1988-05-03 Andrews Ceramic Laboratory, Inc. Subperiosteal impant with detachable bar and method for its implanting
DE3726766A1 (de) * 1986-12-04 1988-07-07 Bruegmann Kg Aufsteckkrone
US4904186A (en) * 1987-08-28 1990-02-27 Mays Ralph C Attachment for removably supporting a denture in the mouth of the user
WO1989011835A1 (en) 1988-06-01 1989-12-14 Aichi Steel Works, Limited Artificial tooth attachment
US5057017A (en) * 1989-02-24 1991-10-15 Rannar Sillard Fixed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US4931016A (en) * 1989-02-24 1990-06-05 Rannar Sillard Fixed removable dental implant system
US5503557A (en) 1994-07-13 1996-04-02 Sillard; Rannar Apparatus for removably securing a dental prosthesis
US20030187510A1 (en) 2001-05-04 2003-10-02 Hyde Edward R. Mobile bearing prostheses
CA2399740A1 (en) * 2002-08-26 2004-02-26 Yvan Fortin Universal teeth prosthesi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806691B2 (en) * 2005-03-30 2010-10-05 Bio Dental Solution Ltd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US8277218B2 (en) * 2005-10-20 2012-10-02 D Alise David D Screw-type dental implant
US7712468B2 (en) 2007-02-21 2010-05-11 Hargadon Paul K Magnetic dental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19B1 (ko) * 2020-02-11 2020-04-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62220A1 (ko) * 2020-02-11 2021-08-1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복적으로 교체가 가능한 틀니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무치악 환자용 틀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3004082A (es) 2014-08-01
RU2013119334A (ru) 2014-11-20
AU2011315109A1 (en) 2013-05-23
US20120094253A1 (en) 2012-04-19
EP2627280A1 (en) 2013-08-21
CN103338723A (zh) 2013-10-02
JP2013543411A (ja) 2013-12-05
ZA201303368B (en) 2014-07-30
CA2814627C (en) 2018-05-15
US8529260B2 (en) 2013-09-10
JP5928845B2 (ja) 2016-06-01
BR112013008961A2 (pt) 2019-09-17
EP2627280B1 (en) 2018-04-18
CA2814627A1 (en) 2012-04-19
CN103338723B (zh) 2015-10-21
WO2012049672A1 (en) 2012-04-19
AU2011315109B2 (en)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5309A (ko) 의치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US11638632B2 (en) Dental implant
US4784608A (en) Attachment for removably supporting a denture in the mouth of the user
AU2006227608B2 (en) Transfer coping for dental implants
US6540514B1 (en) Method for isolating a dental implant
US20130323679A1 (en) Den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8152525B2 (en) Dental prosthesis removal tool
US20140178839A1 (en) Removable dental implant bridge system
US20180280120A1 (en) Positioning system
JP2012517861A (ja) インプラントと共に使用される構成要素、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20060263747A1 (en) Healing cap for dental implants
US8764445B1 (en) Dental appliance
CA3050089C (en) Dental implant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US20150257860A1 (en) Magnetic Denture Retention Systems with Non-Surgical, Limited Surgical, and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ethods of Use
JP2003135490A (ja) 歯冠補綴具、有床義歯固定具及びそれを備えた有床義歯、並びに歯冠補綴具の製造方法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1879550B1 (ko)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IL225705A (en)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ing dental system
Chavez Retention of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A Comparison of Locator and Locator R-TX Retention Inserts
JP2001224604A (ja) 歯科用磁性アタッチメント
JPH11178842A (ja) 顎骨に対する義歯固定用支持部材
JPH11113928A (ja) 義歯を口腔内に維持安定させるための装置
JP2000312690A (ja) 義歯維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