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5987A - 치열교정부재 - Google Patents

치열교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5987A
KR20040085987A KR1020030020867A KR20030020867A KR20040085987A KR 20040085987 A KR20040085987 A KR 20040085987A KR 1020030020867 A KR1020030020867 A KR 1020030020867A KR 20030020867 A KR20030020867 A KR 20030020867A KR 20040085987 A KR20040085987 A KR 20040085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force
holder
tooth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967B1 (ko
Inventor
임갑선
임승민
Original Assignee
임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갑선 filed Critical 임갑선
Priority to KR10-2003-002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설측교정시 발치공간을 폐쇄할 때 과도한 쓰러짐을 방지하고, 교정되는 치아의 형태에 따라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후크를 설치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치아이동을 얻을 수 있어, 발치공간 및 치아를 효과적으로 교정치료 할 수 있는 치열교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열교정부재{ Orthodontics materials }
본 발명은 치열교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교정되는 치아의 형태에 따라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시술자가 원하는 치아이동을 얻을 수 있어, 발치공간의 폐쇄 및 치열의 교정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치열교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열교정방법은, 교정되는 치아 전체에 걸쳐 원하는 치아의 이동을 위해 적합한 위치 및 방향을 취하도록 조절되는데, 상기와 같은 이동을 위해서는 치아나 밴드에 다수개의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교정용 와이어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한 교정용 와이어의 탄성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을 사용하여 치아에 누름, 당김, 비틈력과 같은 교정력을 가하여 개개의 치아가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대적 이동 치열교정치료의 한 방법으로 협측교정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은 교정장치의 착용은 환자의 일상 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쳐 환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정 치료시에 여러가지 이유로 송곳니 후방의 치아를 발거하고 송곳니를 포함한 앞니 전체를 뒤로 견인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교정을 위해 앞니들이 그 상태 그대로 후방으로 이동하려면 그 치아의 저항중심에 힘이 가해져야 한다.
여기서, 저항중심이란 어떤 한 점에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려 할 때 딱딱한 뼈에 심어져 있는 치아가 쓰러지지 않고, 그 상태 그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점(Point)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전치(앞니)의 저항중심은 치조골능에서 치근까지의 거리에 1/3~1/2부위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치아에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이 장치에 와이어가 들어가기 때문에 모든 힘을 주는 위치가 항상 저항중심보다 매우 낮은 위치에 있을 수 밖에 없는데,이는 보통 브라켓이 부착되는 위치보다 상방으로 약 10mm 정도에 저항중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입안의 구조상 협측으로는 저항중심에서 힘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한편, 최근의 교정방법은 레버 암(Lever arm)이라 불리는 와이어를 설측 브라켓에 설치하여 공간을 폐쇄하도록 soldering 작업을 하여 교정되는 치아의 저항중심 가까이에서 견인력을 가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설측교정에서 앞니들을 후방으로 견인할 때 공간폐쇄용 와이어에 레버 암을 용접하여 치아들의 기울기를 시술자의 의도대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정방법에는 soldering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납땜 비슷한 작업을 거치게 되므로 많은 열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조금이라도 많은 열이 두개의 와이어에 가해지면, 상기한 와이어가 탄성을 잃게 되어 공간을 폐쇄할 때 교정력을 제대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구강내의 해부학적 형태 때문에 공간을 폐쇄하도록 된 와이어에 레버 암을 soldering할 때 둘사이의 각도를 구개면이나 구강저면의 곡선에 정확히 맞추지 못하게 되면, 상기한 와이어에 의해 교정자의 연조직이 눌리게 되어 교정자가 매우 불편해하게 되어 다시 제작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치료도중 치아이동의 양상을 조절하기 위해 레버 암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다시 와이어를 soldering해야 하므로 기공의 부담이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soldering시 과도한 열이 와이어에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하다보면 완벽한 soldering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한 와이어가 공간폐쇄도중에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레버 암(Lever arm)을 이용한 방법은 치아이동에 효과가 좋으나 그 제작이 매우 어렵고, 기공료가 비싸며, 탈락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열교정에서 공간폐쇄 및 치아의 교정에 사용되는 후크를 다양한 형태와 높이로 제작하여 치열교정 치료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좀더 쉽고 간편하게 시술자의 의도대로 공간폐쇄, 치아의 이동, 기울기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치열교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가 교정용 와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치열교정부재가 전치의 저항중심 상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치열교정부재가 구치의 저항중심 상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후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후크 12: 제 1홀더
14: 봉 16: 제 2홀더
18,18': 개구홈 19: 걸림턱
20: 브라켓 22: 스템
24: 슬롯 26: 타이윙
30: 저항중심 40: 교정용 와이어
40a: 절곡부 42: 결속선
50: 결합부재 60: 고정부재
70: 치아 72: 구치
74:전치 80: 보조후크
80a,80b: 개구홈 82: 지지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부재는 치열교정치료시 치아에 고정된 밴드에 고정되거나 치아에 고정부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과,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을 교정되는 치아에 누름, 당김, 비틈력과 같은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용 와이어로 구성된 치열교정장치에 있어서, 구강면에 대응한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된 봉과, 상기 봉의 일단에 구비되며 고정용 와이어의 절곡부가 압입고정되는 제 1홀더와, 상기 봉의 타단에 구비된 제 2홀더로 이루어진 후크; 상기 제 2홀더에 그 일측이 고정결합되며, 압축력을 갖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타측이 고정결합되며, 좌우의 구치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결합부재의 압축력을 교정되는 치아의 교정력으로 전달되도록는 설치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가 교정용 와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치열교정부재가 전치의 저항중심의 상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치열교정부재가 전치의 저항중심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통상의 브라켓(20)은 몸체부를 이루는 스템(22)과, 상기 스템(22)의 일면 양측에 돌출형성된 한쌍의 타이윙(26)과, 상기한 한쌍의 타이윙(26)의 중앙에 소정각도만큼 요설된 슬롯(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타이윙(26)에 형성된 슬롯(24)에는 치열에 교정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절곡된 교정용 와이어(40)가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롯(24)에 설치되는 교정용 와이어(40)는 타이윙(26)의 양단에 걸림고정되는 결찰선(42)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한 교정용 와이어(40)가 브라켓(20)에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한 브라켓(20)은 슬롯(24)에 삽입된 교정용 와이어(40)의 미끄럼과 마찰력이 작용되며, 교정되는 치아의 상태에 따라 브라켓(20)의 위치가 결정되어 그 이면에 소정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치아(70)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한 브라켓(20)에 설치된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에 결합되어 발치공간의 폐쇄 및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결합된 후크(10)는 그 중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14)으로 이루어지되, 구개면에 대응한 곡선의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곡된 후크(10)의 봉(14)은 상악용의 경우 구개면의 곡선을 고려한 30°만큼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하악용의 경우 일반인의 평균적인 구강저의 곡선을 고려한 15°만큼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봉(14)의 일단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직육면체로 형성된 제 1홀더(12)가 구비되되, 상기한 제 1홀더(12)가 구비된 면에 수직하고 봉(14)이 절곡된 방향과 동일한 면상의 중앙에는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가 압입될 수 있는 개구홈(18)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홈(18)을 형성하는 지지편의 일단에는 교정용 와이어(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걸림턱(19)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한 봉(14)의 타단에 고정되며, 제 1홀더(1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제 2홀더(16)는 제 1홀더(12)의 개구홈(18)과 제 2홀더(16)의 개구홈(18')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후크(10)는 제 1홀더(12)의 개구홈(18)에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를 삽입시킨 후 기구를 이용하여 개구홈(18)을 이루는 양편을 압착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교정용 와이어(40)를 후크(10)에 고정시킬 수 있어, 기존의 soldering방법의 위험성 및 수고로움을 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한 후크(10)의 제 1홀더(12)에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가 압입고정되고, 상기 제 2홀더(16)에 압축력을 갖는 결합부재(50)의 일측이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50)의 타측이 좌우의 구치(72)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6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한 결합부재(50)의 압축력을 교정되는 치아의 교정력으로 전달되도록는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후크(10)는 상악용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높이가 7, 10, 13mm의 크기로 제작되며, 하악용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높이가 6, 8, 10mm의 크기로 제작되는데, 이는 정상적인 치조골 높이를 가지고 있는 치조골능에서 치근 까지의 거리가 10mm가 되며, 이때의 저항중심(30)은 치조골능에서 치근쪽으로 4~5mm정도의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한 후크(10)의 높이는 절곡형성된 봉(14)의 수직높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악중절치, 측절치, 견치를 포함한 상악전치부의 저항중심(30)은 중절치의 치조골능에서 치근쪽으로 약 7mm정도의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치조골이 치주병등에 의해 낮아지면 저항중심(30)은 더욱 치근쪽으로 내려가게 되며, 1mm치조골이 낮아지면 0.6~0.7mm정도 치근쪽으로 무게중심은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상기한 후크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교정자의 위치에 대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설측교정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할 때 협측 교정에 비해 상하악 전치가 설측으로 더 많이 쓰러지는 경향이 있다.
이때, 전치들을 그 상태 그대로 후방 이동을 하려면 그 치아(70)의 저항중심(30)에 힘이 가해져야하는데, 상기한 저항중심(30)은 브라켓(20)이 부착될 수 있는 치아(70)의 위치보다 치근쪽으로 약 10mm정도의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한 저항중심(30) 가까이에서 견인력을 가하기 위한 후크(10)는 교정용 와이어(30)에 결합되며, 교정되는 치아(70)의 저항중심(30) 상방이나 하방에 위치시켜 힘을 가하게 되어 치아(70)이동 양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항중심(30)에 힘이 가해질 때를 제외하고 저항중심(30) 이외의 곳에 힘이 가해지면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치아의 저항중심(30)이 움직임과 동시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멘트는 회전, 쓰러짐, 토크로 표현되며, 상기한 모멘트는 저항중심(30)에서 멀어질수록 비례하고 커진다.
아울러, 상기한 브라켓(20)에 와이어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치아에 가해진 힘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는 반대방향의 모멘트를 일으켜 여러종류의 치아이동의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상술한 상악의 치아이동 양상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후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시 브라켓(20)에 설치된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에 제 1홀더(12)가 결합되며, 상기한 후크(10)의 제 2홀더(16)가 교정되는 전치(74)의 저항중심(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 2홀더(12)에는 교정력을 제공하도록 된 압축력을 보유한 결합부재(50)가 결합되며, 상기한 결합부재(50)는 구치(어금니)(72)에 설치된 고정부재(60)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부재는(60)는 좌우의 구치(72)사이를 이어주며 입천장 위로 지나가는 장치로 양쪽의 구치(72)를 서로 연결하여 구치(72)의 수직력을 보강하는 장치이며,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고정부재(60)는 전치의 치아교정시 고정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압축력을 보유하도록 된 상기한 결합부재(50)로는 고물줄이나 압축스프링이 바람직하다.
한편, 순측에서 설측으로 결합부재(50)에 의해 전달되는 교정력은 교정용 와이어(40)에 전달되어, 시술자가 교정되는 치아(70)를 원하는 상태로 교정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전치(74)의 저항중심(30) 상방에 제 2홀더(16)가 위치하게 되면, 결합부재(50)에 의해 발생된 교정력으로 상기한 전치(74)들을 저항중심(30)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을 가하게 되어, 전치(74)들이 설측교정시 발생되는 설측으로의 과도한 쓰러짐을 방지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와 같은 시계반대 방향의 회전력으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전치(74)를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3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0)의 제 2홀더(16)는 전치(74)의 저항중심(30)부상에 위치하도록 교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에 고정된다.
아울러, 좌우의 구치(72)를 결합된 고정부재(60)에는 결합부재(50)의 일측이 결합되고, 그 타측이 구치(72)의 저항중심(30)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로써, 결합부재(50)의 교정력은 저항중심(30)부의 상부에 위치한 구치를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가하게 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던 구치(72)를 교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제작된 후크(10)를 치아(70)의 상태 즉, 치아의 근원심 방향의 기울기, 치아의 순설방향의 기울기, 치아의 장착기준의 회전정도등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한 후크(10)를 설치하고, 상기 후크(1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50)의 교정력으로 시술자가 원하는 치아이동 양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종래의 soldering작업으로 인한 문제점이나, 기공료, 탈락의 위험성등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4는 교정되는 치아에 설치된 후크의 제 2홀더에 결합되는 보조후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한 보조후크(80)는 치아(70)의 교정치료시 치아의 이동양상에 따라 후크(10)에 결합되어 후크(1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어, 상기한 후크(10)를 재설치 해야 되는 번거로움이나 치료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기공료의 부담을 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후크(10)의 제 2홀더(12)에 압입고정되어 후크(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후크(8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직육면체로서 그 일면의 상부에 개구된 개구홈(80a)이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타면의 하부에도 개구홈(80b)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조후크(80)는 제 2홀더(16)의 개구홈(18)에 보조후크(80)의 지지편(82)이 압입고정되어 후크(10)의 수직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폐쇄 및 교정시에 미리 제작된 후크를설치하므로써, 복잡한 soldering작업 없이 교정력을 교정되는 치아에 전달할 수 있어, 시술자가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치아의 이동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법보다 더욱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치열교정을 할 수 있는 후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Claims (2)

  1. 치열교정치료시 치아에 고정된 밴드에 고정되거나 치아에 고정부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20)과, 상기 다수개의 브라켓(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을 교정되는 치아(70)에 누름, 당김, 비틈력과 같은 교정력을 제공하는 교정용 와이어(40)로 구성된 치열교정장치에 있어서,
    구강면에 대응한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된 봉(14)과, 상기 봉(14)의 일단에 구비되며 고정용 와이어(40)의 절곡부(40a)가 압입고정되는 제 1홀더(12)와, 상기 봉(14)의 타단에 구비된 제 2홀더(16)로 이루어진 후크(10);
    상기 제 2홀더(16)에 그 일측이 고정결합되며, 압축력을 갖는 결합부재(50); 및
    상기 결합부재(50)의 타측이 고정결합되며, 좌우의 구치(72)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결합부재(50)의 압축력이 교정되는 치아(70)의 교정력으로 전달되도록설치된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부재.
  2. 제 1항 있어서,
    상기 후크(10)의 제 2홀더(16)에 압입고정되어 후크(1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보조후크(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부재.
KR10-2003-0020867A 2003-04-02 2003-04-02 치열교정부재 KR10047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867A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3-04-02 치열교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867A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3-04-02 치열교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987A true KR20040085987A (ko) 2004-10-08
KR100479967B1 KR100479967B1 (ko) 2005-04-07

Family

ID=3736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867A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3-04-02 치열교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6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92Y1 (ko) * 2009-08-24 2009-11-04 이창선 치과용 확장 시술 유닛
CN103442663A (zh) * 2011-03-29 2013-12-11 权纯甬 供双颚龅牙矫正的畸齿矫正线及利用该畸齿矫正线的畸齿矫正系统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20160111141A (ko) 2015-03-16 2016-09-26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20160141693A (ko) 2016-11-29 2016-12-09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20170105429A (ko) * 2016-03-09 2017-09-19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CN111110375A (zh) * 2019-12-31 2020-05-08 大同腾屹医疗器械有限公司 舌侧用组合矫正器
JP2022540201A (ja) * 2019-07-08 2022-09-14 ハム,スーザン,イー. 顎、口蓋、歯の左右対称性のための歯科用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42B1 (ko) 2006-09-18 2007-07-10 임승민 치열교정을 위한 구치(臼齒)용 후크
KR100961682B1 (ko) 2009-04-27 2010-06-09 하만희 치열교정장치
KR101158725B1 (ko) 2010-11-25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350B1 (ko) * 2014-10-15 2016-07-20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KR101726590B1 (ko) 2016-12-21 2017-04-13 김중한 상악 치열 교정장치
EP3505134B1 (en) * 2017-12-28 2022-03-09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KR202000637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2487282B1 (ko) * 2018-11-28 2023-01-13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2197877B1 (ko) * 2018-12-20 2021-01-04 장선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KR102104786B1 (ko) * 2019-08-07 2020-04-27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92Y1 (ko) * 2009-08-24 2009-11-04 이창선 치과용 확장 시술 유닛
CN103442663A (zh) * 2011-03-29 2013-12-11 权纯甬 供双颚龅牙矫正的畸齿矫正线及利用该畸齿矫正线的畸齿矫正系统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KR20160111141A (ko) 2015-03-16 2016-09-26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20170105429A (ko) * 2016-03-09 2017-09-19 청 시앙 훙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JP2017176822A (ja) * 2016-03-09 2017-10-05 澄祥 洪 着脱可能な歯列矯正装置
US10729516B2 (en) 2016-03-09 2020-08-04 Cheng-Hsiang Hung Removabl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KR20160141693A (ko) 2016-11-29 2016-12-09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JP2022540201A (ja) * 2019-07-08 2022-09-14 ハム,スーザン,イー. 顎、口蓋、歯の左右対称性のための歯科用システム
CN111110375A (zh) * 2019-12-31 2020-05-08 大同腾屹医疗器械有限公司 舌侧用组合矫正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9967B1 (ko)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967B1 (ko) 치열교정부재
US5829970A (en)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and method
US5938437A (en) Bony anchor positioner
US5645422A (en) Mandibular and maxillary arch ander
EP2337529B1 (en)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US20210153980A1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EP3426183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KR100737442B1 (ko) 치열교정을 위한 구치(臼齒)용 후크
US6932598B1 (en) Device and method of molar distalization and mandibular protraction
US7845939B2 (en) Orthodontic apparatus with self-ligating bracket
CN110013332B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US20100151402A1 (en) Slide on connector for arch wire
KR102202863B1 (ko)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CA2392021C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US8062031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JP3238934U (ja) シェル型歯科矯正器具用の補助矯正装置、矯正器具および矯正システム
CN209827045U (zh) 一种导下颌向前矫治器
US6905334B2 (en) Attachment offset tooth eyelet
CN210903427U (zh) 一种铸造式联冠三维控制口腔矫治器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CN215130517U (zh) 替牙期上颌活动式矫治器
US5861001A (en) Orthopedic nasal airway appliance
CN216933534U (zh) 磨牙直立簧
CN220459432U (zh) 用于咬合调整的牙科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