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05B1 -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 Google Patents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05B1
KR102209805B1 KR1020190111375A KR20190111375A KR102209805B1 KR 102209805 B1 KR102209805 B1 KR 102209805B1 KR 1020190111375 A KR1020190111375 A KR 1020190111375A KR 20190111375 A KR20190111375 A KR 20190111375A KR 102209805 B1 KR102209805 B1 KR 10220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bracket
orthodontic
turbo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오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11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의 설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일면이 부착면으로 형성되는 패드베이스부; 및 상기 패드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와 맞물리는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에 가압되어 상기 패드베이스부에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를 타측으로 견인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하단부 단면적이 확장되되 하면에 교합면이 형성된 교합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orthodontic digital turbo bracket}
본 발명은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이 되는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 없이 환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치열을 미세조정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열 교정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써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치열 교정이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단일의 규격으로 획일화되어 구비되되, 평탄하게 형성된 패드부의 일면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접착부재에 의해 접착된다. 이때, 치아배열에서 양측으로 이웃하는 치아에 각각 부착되는 브라켓의 위치가 일정하지 못하게 고정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상기 교정대상 치아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치아가 원하는 배열로 교정되지 못하여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며, 이를 수정하기 위한 추가교정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치열 교정치료기간 및 교정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악치 또는 상하악치가 모두 돌출된 경우 치아의 배열위치를 조절하더라도 돌출된 치아 형상으로 인하여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악치가 과도하게 돌출되는 부정교합인 과개교합(deep bite)로 인해 교합시 치아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거나 손상을 발생시키며, 이갈이 및 악관절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과개교합 및 치열의 전위로 인한 부정교합을 별도로 교정함으로 인하여 치열교정 치료 기간이 과도하게 연장되며 내원 횟수가 늘어남으로 인해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개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복잡한 장치가 구강에 설치되고,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구강에 나사를 식립하는 등의 조직 손상을 야기하므로 회복 기간이 더욱 연장되며 피시술자의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05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된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의 설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일면이 부착면으로 형성되는 패드베이스부; 및 상기 패드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와 맞물리는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에 가압되어 상기 패드베이스부에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를 타측으로 견인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하단부 단면적이 확장되되 하면에 교합면이 형성된 교합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길이는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 높이 미만으로 형성되되, 상기 교합면은 상기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하악치 저작궤적에 교차되도록 타측으로 확장된 단면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교합면의 타단측에는 상기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가 걸림되어 교합 위치가 구속되도록 내측이 걸림홈으로 형성되는 교합구속돌기가 하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패드베이스부 및 상기 교합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경유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양측방향으로 관통 체결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와이어가 걸림 체결되도록 일측이 상단부를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외측단 테두리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지되 내측단 테두리는 상기 제2체결공과 단차진 단차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측단 테두리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함몰된 개구확장부가 형성됨이 바라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를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양단부를 상기 패드베이스부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외면을 감싸 고정되는 탄성밴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패드베이스부와 상기 교합베이스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배드의 일측이 걸림 구속되는 결찰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터보 브라켓이 각 상악치의 설면측에 일반 교정 브라켓과 복합 부착되되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장력을 통해 상호 어긋나 불규칙한 치열이 교정됨과 동시에 교합시 하악치와 맞물리면서 상기 터보 브라켓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통해 돌출된 뻐드렁니가 함입되도록 교정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악치의 저작궤적으로부터 타측으로 확장된 면적에 교차 가압접촉되도록 연장됨에 따라 상기 하악치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을 가압하도록 교합되기만 하면 상기 상악치에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설근측으로 견인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되므로 뻐드렁니의 함입이 안정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교합면의 타단측에 상기 교합구속돌기가 하향 돌출됨에 따라 반복적인 교합운동에도 상기 하악치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을 따라 설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교합력이 가해지는 교합 위치가 구속되므로 치열교정시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부착면의 프로파일,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돌출 두께 및 상기 체결부의 관통방향을 다양한 피시술자의 치열 부정교합 타입에 대응하여 개인맞춤별 치열 교정치료 계획을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할 수 있어 정확한 치열 위치 및 치아 각도로 교정할 수 있어 치열 교정치료의 정밀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이 적용된 구강의 상악 및 하악을 각각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상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이 부착되어 치열교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이 적용된 구강의 상악 및 하악을 각각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을 상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이 부착되어 치열교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10)은 패드베이스부(11) 및 교합베이스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10)은 교정대상부측 치아가 순측(labial)과 설측(lingual)으로 상호 어긋나게 전위되어 치열이 불규칙한 총생(crowding)과 상하악이 과도하게 겹쳐지는 과개교합(deep bite)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10)은 교정대상측 상악치에 부착되어 치열의 전위 및 과개교합이 동시에 교정되도록 복합 기능을 가지는 브라켓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10)은 상악치가 돌출된 뻐드렁니를 함입하도록 함입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치열 교정치료를 통한 심미적, 기능적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상기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과 터보 브라켓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교정대상부측이라 함은 치열교정이 요구되는 교정대상 치아를 포함하는 치열영역(도 1a의 Ta 및 도 1b의 Tb)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정대상부측은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상악 전치측 6개소의 치아(이하 상악치), 그리고 하악 전치측 6개소의 치아(이하 하악치)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보 브라켓(10)은 과개교합이 발생한 상기 교정대상부측의 상악치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부착되는 교정대상부측 상악치가 상악측 중절치(t11,t21,central incisor)이고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와 맞물리는 교정대상부측 하악치가 하악측 중절치(t41,t31)인 것을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터보 브라켓(10)은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에 대응하는 전치측 6개소의 치아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즉,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는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부착되고 측절치(t12,t22,lateral incisor) 및 견치(t13,t23,canine)에는 일반적인 교정 브라켓(b)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보 브라켓(10)과 상기 교정 브라켓(b)을 연결하도록 와이어(w)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을 통해 치열교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 및 하악치의 외측에 배열된 제1소구치(t14,t24,first premolar)에는 고정 브라켓(fb)이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교정대상부측 하악치(t42,t43,t32,t33)를 따라 상기 교정 브라켓(b)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된다. 더욱이, 위치가 이동되는 대상 치아(t41,t31)의 배열공간이 확보되도록 치아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스프링(s)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터보 브라켓(10) 및 상기 교정 브라켓(b)이 상기 와이어(w)를 통해 각 악궁별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악을 교합시,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가 상기 터보 브라켓(10)과 교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보 브라켓(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가 설측으로 경사 이동되어 함입됨으로써 과개교합이 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보 브라켓(10)을 포함하는 치열교정 시스템은 상기 터보 브라켓(10)과 상기 교정 브라켓(b)이 복합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을 통해 치열의 전위가 교정됨과 동시에 상하악의 교합시 상기 터보 브라켓(10)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통해 과개교합이 교정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치열교정 시스템으로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 장치들과 와이어를 포함하여 심플하게 구성되므로 설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를 레진을 이용해 고정하던 종래와 달리, 치아에 부착되되 와이어(w)의 양단부가 관통 고정되는 상기 고정 브라켓(fb)이 상기 치열교정 시스템에 포함된다. 따라서, 치열 교정치료 과정에서 장력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을 재조절하기 용이하므로 시술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베이스부(11)는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각 설면에 고정되되 상기 중절치(t11,t12)의 설면측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베이스부(11)의 일면은 치과용 접착제 또는 레진을 통해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고정되는 부착면(13)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이 기수립된 치열교정에 따라 각 교정대상 치아에 전달되도록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고정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면(13)은 상기 중절치의 설면측 프로파일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치열 교정치료 계획은 피시술자의 구강을 스캐닝하여 획득되되 각 치아이미지가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3차원 교정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이때, 연속치열구조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이 바람직한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로 교정되도록 수립되는 치열 교정치료 계획에 따른 가상 치열궁 프로파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부정교합이 발생한 상기 교정대상부측을 스캐닝하여 오랄스캔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오랄스캔이미지에 표시되는 각 치아이미지를 3차원 조작하여 상기 연속치열구조에 대응하도록 가상조절한다. 이때, 가상조절된 각 상기 치아이미지에 상기 터보 브라켓(10) 및 상기 교정 브라켓(b)의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터보 브라켓 및 가상 교정 브라켓이 가상배치된다. 여기서, 가상배치된 상기 가상 터보 브라켓 및 가상 교정 브라켓의 일면은 각 상기 치아이미지의 설면측 프로파일과 형합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부착면(13)의 설계정보로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후술되는 각 체결공의 관통방향 및 위치가 상기 가상 터보 브라켓 및 상기 가상 교정 브라켓과 중첩되도록 가상 배치되는 가상 와이어의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면(13) 및 각 상기 체결공이 설정된 상기 가상 터보 브라켓 및 상기 가상 교정 브라켓을 기반으로 실물의 상기 터보 브라켓(10) 및 상기 교정 브라켓(b)이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각 피시술자의 부정교합 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정밀하게 수립된 치열 교정치료 계획에 따라 제조된다. 따라서, 치열 교정치료 기간이 현저히 단축될 뿐만 아니라 치열 교정치료의 정확성이 개선됨으로써 피시술자의 시술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합베이스부(12)는 상기 패드베이스부(11)의 타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일체로 돌출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상기 타면 및 타측은 설면 및 설측에 대응하는 방향이고 일면 및 일측은 순면 및 순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교합베이스부(12)는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높이 미만의 길이로 형성되되, 타단부로 갈수록 하단부 단면적(k)이 확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형상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와 상기 하악측 중철치(t41,t31)가 소정의 간격으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교합될 수 있으며,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구강 외측으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합베이스부(12)의 하면에는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단부에 가압되는 교합면(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합베이스부(12)는 상기 패드베이스부(11), 상기 교합베이스부(12)의 타면(12a) 및 상기 교합면(15)이 연결된 세로방향 단면 형상이 타단측 하단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돌출된 경사각도(d1)에 대응하여 상기 교합면(15)에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용이하게 맞물리면서도, 치근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상단부가 상기 교합베이스부(12)의 부피로 인해 과도하게 차폐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으로도 상기 와이어(w)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합면(15)은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하악치 저작궤적(m)와 교차되도록 타측으로 확장된 단면적(k)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하악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교합운동되며, 상악과 하악은 각각 소정의 반경값을 갖는 저작궤적을 따라 실질적으로 회전 교합된다. 이때,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15)에 접촉되기 위하여 상기 패드베이스부(11)의 타측으로 돌설되는 상기 교합베이스부(12)의 하단부측은 상기 하악치 저작궤적(m)과 교차되도록 타측으로 더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15)의 어느 일부분 외면과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와 상기 교합면(15)이 맞물려 발생하는 교합력을 통해 상기 교합베이스부(12)가 상기 하악치 저작궤적(m)에 대응하여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패드베이스부(11)에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를 타측으로 견인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베이스부(11)가 부착된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가 바람직한 치아 각도로 교정되어 과개교합이 교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터보 브라켓(10)은 접착제를 통해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산처리 과정 등을 통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교합베이스부(12)에 가해지는 교합력이 상기 터보 브라켓(10)을 통하여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실질적으로 전달되므로 교정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가 상기 교합면(15)을 가압시 상기 함입회전력이 설근측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교합베이스부(12)는 상기 교합면(15)이 기설정된 회전중심보다 설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도록 타측으로 연장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중심은 상기 부착면(13)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가 상기 교합면(15)에 접촉되어 가압시 상기 교합베이스부(12)의 하단부가 상기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설측으로 견인되는 회전모멘트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교합면(15)은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의 돌출된 경사각도(d1)와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돌출된 경사각도 사이를 연결하는 함입교정간격을 초과하는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각 치아의 경사각도는 상기 치열 교정치료 계획이 수립되는 상기 교정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합베이스부(11)는 상기 가상 터보 브라켓이 상기 상악측 중절치 이미지에 가상 배치되되 상기 하악측 중절치 이미지로부터 설측으로 이격된 부피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보 브라켓(10)은 피시술자별로 상이하게 돌출되는 전치측의 치아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가 상기 교합면(15)에 안정적으로 명확하게 맞물리도록 설계 및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합면(15)과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가 명확하게 맞물릴 수 있는 최소한의 부피로 설정됨으로써 구강에서 과도하게 돌출됨으로 인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베이스부(11)가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중심(C)에 대한 상기 교합면(15)의 배치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회전모멘트 방향이 설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b 참조). 이를 통해, 상기 함입회전력이 설근측으로 명확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가 설근측으로 정확하게 교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패드베이스부(11)가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중심(C)에 대한 상기 교합면(15)의 배치각도가 둔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15)에 접촉되되 상기 교합면(15)의 경사진 타단측이 설근측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모멘트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합면(15)에 접촉된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교합베이스부(12)가 설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기 교합면(15)이 가압되면서 지렛대 원리를 통해 함입 교정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와 상기 교합베이스부(12)가 교합되면서 형성되는 교합력을 통해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압하(intrusion)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악측 중절치(t11,t21)가 회전되어 경사 이동되면서 교정됨과 동시에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가 압하되면서 치아 각도가 함께 교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하악 전치측의 수직적 피개 간격이 정삼범위로 교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상악측 중절치(t11,t21)에 부착된 상태에서 교정 기간중 음식물 섭취 등의 자연스러운 교합운동을 통해 형성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과개교합이 용이하게 교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개교합을 교정하기 위하여 구강에 복잡한 장치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이물감이 증가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보 브라켓(10) 및 상기 교정 브라켓(b)이 각 치아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연결하기만 하면 총생 및 과개교합을 포함하는 부정교합의 치열 교정치료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의 연조직 및 치조골에 복잡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재의 식립 등과 같이 구강 조직에 직접적으로 손상이 가해지는 시술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구강의 조직 손상으로 인한 고통 및 회복에 소요되는 기간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피시술자의 만족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합면(15)의 타단측에는 교합구속돌기(16)가 하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15)에 교합된 상태에서 설측으로 미끄러지더라도 상기 교합구속돌기(16)에 걸림되어 교합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합구속돌기(16)가 돌출됨에 따라 상기 교합면(15)과 상기 교합구속돌기(16)의 내측 사이가 걸림홈(16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악의 교합시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하악측 중절치(t41,t31)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15)에 걸림 구속된 상태로 함입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 교정시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베이스부(11) 및 상기 교합베이스부(1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설측 및 순측으로 전위된 치열 및 비틀어진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w)가 경유하는 체결부(1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7)는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17)는 상기 와이어(w)의 단부가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양측방향으로 관통 체결하도록 형성된 제1체결공(18)과, 상기 와이어(w)의 외면측이 끼워져 체결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제2체결공(19)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공(19)의 개구된 개구부(19a)는 외측단 테두리(19b)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되, 내측단 테두리에 상기 제2체결공(19)과 단차진 단차걸림부(19c)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개구부(19a)를 통해 상기 제2체결공(19)의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외측단 테두리(19b)의 라운드진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이 완료된 후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단차걸림부(19c)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터보 브라켓(10)으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9a)의 외측단 테두리(19b)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일측 및 타측으로 함몰된 개구확장부(19d,19e)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19a)가 상기 제2체결공(19) 및 상기 와이어(w)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개구되어 테두리측 두께가 다소 두껍게 형성되더라도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개구부(19a)를 통해 상기 제2체결공(19)으로 체결시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터보 브라켓(10)이 치아로부터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부(17)를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w)의 노출된 양단부를 상기 패드베이스부(11)측으로 가압 구속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밴드(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베이스부(11)와 상기 교합베이스부(12) 사이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일측이 걸림 구속되는 결찰홈(14)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밴드(20)가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탄발 고정되면서 상기 와이어(w)의 체결 위치를 구속하되, 일부분이 상기 결찰홈(14)에 수용됨에 따라 탄성밴드(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밴드(20)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w)의 체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밴드(20)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터보 브라켓(10)의 외측면 둘레보다 크게 탄성 확장되면서도 상기 터보 브라켓(20)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에서는 신축되어 견고하게 압착 고정되므로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터보 브라켓이 상기 상악치의 설면측에 일반 교정 브라켓과 복합 부착되되 상기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장력을 통해 치열의 전위가 교정됨과 동시에 교합시 하악치와 맞물리면서 상기 터보 브라켓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통해 과개교합이 교정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하단부가 상기 하악치의 저작궤적으로부터 타측으로 확장된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악치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을 가압하도록 교합되기만 하면 상기 상악치에 기설정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설근측으로 견인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되므로 치아의 함입이 안정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합면의 타단측에 상기 교합구속돌기가 하향 돌출된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교합운동에도 상기 하악치의 단부가 상기 교합면을 따라 설측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교합력이 가해지는 교합 위치가 구속되므로 치열교정시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피시술자의 치열 부정교합 타입에 대응하여 상기 부착면의 프로파일,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돌출 두께 및 상기 체결부의 관통방향이 개인맞춤별 치열 교정치료 계획을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11: 패드베이스부
12: 교합베이스부 13: 부착면
14: 결찰홈 15: 교합면
17: 체결부

Claims (5)

  1.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의 설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일면이 부착면으로 형성되는 패드베이스부; 및
    상기 패드베이스부의 타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와 맞물리는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에 가압되어 상기 패드베이스부에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를 타측으로 견인하는 함입회전력이 제공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하단부 단면적이 확장되되 하면에 교합면이 형성된 교합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베이스부의 길이는 상기 교정대상부측 상악치 높이 미만으로 형성되되, 상기 교합면은 상기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기설정된 하악치 저작궤적에 교차되도록 타측으로 확장된 단면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면의 타단측에는 상기 교정대상부측 하악치의 단부가 걸림되어 교합 위치가 구속되도록 내측이 걸림홈으로 형성되는 교합구속돌기가 하향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베이스부 및 상기 교합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경유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양측방향으로 관통 체결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와이어가 걸림 체결되도록 일측이 상단부를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외측단 테두리의 단면 형상이 라운드지되 내측단 테두리는 상기 제2체결공과 단차진 단차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측단 테두리 중앙부에는 상호 마주보게 함몰된 개구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양단부를 상기 패드베이스부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외면을 감싸 고정되는 탄성밴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패드베이스부와 상기 교합베이스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배드의 일측이 걸림 구속되는 결찰홈이 오목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1020190111375A 2019-09-09 2019-09-09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10220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75A KR102209805B1 (ko) 2019-09-09 2019-09-09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375A KR102209805B1 (ko) 2019-09-09 2019-09-09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05B1 true KR102209805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375A KR102209805B1 (ko) 2019-09-09 2019-09-09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197B1 (ko) * 2021-08-26 2022-09-15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아 교정용 멀티튜브
WO2023003080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230015574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230015573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086Y1 (ko) * 1999-09-13 2000-03-15 경희문 치아교정용 설측 브라켓
KR200269058Y1 (ko) 2001-12-07 2002-03-20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KR20090007136A (ko) * 2007-07-13 2009-01-16 이상봉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KR20130120005A (ko) * 2012-04-25 2013-11-04 (주)덴토스 이중걸림수단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101851106B1 (ko) * 2017-09-08 2018-04-23 차소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KR20180119773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20190017390A (ko) * 2017-08-11 2019-02-20 김복동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20190047325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086Y1 (ko) * 1999-09-13 2000-03-15 경희문 치아교정용 설측 브라켓
KR200269058Y1 (ko) 2001-12-07 2002-03-20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KR20090007136A (ko) * 2007-07-13 2009-01-16 이상봉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KR20130120005A (ko) * 2012-04-25 2013-11-04 (주)덴토스 이중걸림수단이 구비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1489625B1 (ko) *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KR20180119773A (ko) * 2017-04-26 2018-11-05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20190017390A (ko) * 2017-08-11 2019-02-20 김복동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851106B1 (ko) * 2017-09-08 2018-04-23 차소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KR20190047325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80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230015574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230015573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597281B1 (ko) 2021-07-23 2023-11-02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619130B1 (ko) 2021-07-23 2023-12-29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443197B1 (ko) * 2021-08-26 2022-09-15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치아 교정용 멀티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US20200261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JP4996921B2 (ja) 歯科用装置
US20090036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140363778A1 (en) Orthodontic FFM Resin Rope Appliance
KR20150032180A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5429A (ko) 제거 가능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KR101999378B1 (ko) 치열 교정장치
US20140170585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choring Method and Apparatus
JPS6384548A (ja) 歯列弓拡張用歯列矯正装置
US20060029899A1 (en)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KR101137926B1 (ko) 치열교정용 협측고정구
CN106821517B (zh) 替牙期上颌牙合垫式磨牙远移器
US20140342300A1 (en) Class ii/iii corrector accomodating bite plates
Gorman Treatment of adults with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s
JP3157341U (ja) 歯科矯正用具
US7625206B2 (en)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KR102002148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US20190336248A1 (en) Orthodontic device for overbite correction
US5678991A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he correction of class III skeletal and/or dental deviations
WO2018008616A1 (ja) 歯科用矯正器具
KR102246987B1 (ko) 치열교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복합 리테이너 제조방법
CN208784949U (zh) 一种多个后牙锁牙合矫正装置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