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136A -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136A
KR20090007136A KR1020070070806A KR20070070806A KR20090007136A KR 20090007136 A KR20090007136 A KR 20090007136A KR 1020070070806 A KR1020070070806 A KR 1020070070806A KR 20070070806 A KR20070070806 A KR 20070070806A KR 20090007136 A KR20090007136 A KR 2009000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ngual
base
model
met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946B1 (ko
Inventor
이상봉
조성수
Original Assignee
이상봉
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봉, 조성수 filed Critical 이상봉
Priority to KR102007007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9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측 교정치료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측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브라켓(1)을 제조함에 있어서,
환자에게서 본뜬 부정교합 모형에서 개개치아를 잘라 이상적인 위치로 재배열한 셋-업 모델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작된 셋-업 모델의 개개 설측치면(6)에는 맞는 크기로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연성을 갖는 치과용 금속박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금속박판을 상기 셋-업 모델 상의 개개 설측치면(6)에 눌러 음형 또는 양형하여 브라켓 베이스(2)보다 넓은 면을 갖는 메탈 베이스(3)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베이스(3)를 치상용 분리재(acrosep)가 도포된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 밀착시킨 다음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브라켓(1)의 브라켓 베이스(2)와 상기 메탈 베이스(3) 사이를 은납으로 솔더링(soldering) 하거나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서 브라켓(1)을 분리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은 브라켓을 치면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교정력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레진에 입안의 타액이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 환자의 부담감을 들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가 솔더링(soldering)되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교정치료 중 레진으로 부착된 브라켓이 탈락되어도 치과에서 쉽게 치아설면에 리본딩(rebobding) 함으로써 교정효율을 높이게 된다.
설측 교정치료, 치면, 브라켓, 레진, 브라켓 베이스, 메탈 베이스

Description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Bracket and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for lingual orthodontics}
본 발명은 설측 치열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치면에 부착되는 메탈 베이스 사이를 솔더링(soldering)하여 환자의 개개치아에 맞는 브라켓을 제조함으로써 치열교정시 브라켓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으면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교정효율을 높이는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나 턱뼈의 발육 이상 또는 어릴 때의 나쁜 습관 등 요인으로 치열이 고르지 않은 사람들이 많고, 치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일상생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과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력을 부여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40)과 상기 슬롯(40)에 삽입되는 와이어를 고무링 또는 결찰선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롯(40)의 양측으로 형성된 날개(50) 및 치면(60)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 베이스(20)로 구성된 브라켓(10)을 이용하여 치열교정을 하고 있다.
상기 치열교정시에는 브라켓(10)을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에 부착시키게 되는데, 최근 대인관계, 외관상 등 이유로 설측 교정치료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설측 교정치료에서는 순측과 달리 이상적인 브라켓(10) 위치를 얻기 위해 간접 접착술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환자에게서 본뜬 부정교합 모형에서 개개치아를 잘라 이상적인 위치로 재배열한 셋-업 모델을 제작한 다음 상기 모델 상의 정확한 위치에 설측 교정용 브라켓(10)을 부착하여 셋-업 모델 상에서 환자 치면으로 브라켓(10)을 옮기기 위한 개개의 트랜스퍼 트레이를 제작, 환자구강 내에 브라켓(10)을 부착한다.
한편, 설측 교정에서는 다양한 설측면의 형태를 보상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경우 브라켓 베이스(20)와 치면(60) 사이에 레진(resin)을 채워 레진 베이스(30)를 만들었다.
그러나 브라켓 베이스(20)와 치면(60) 사이에 레진을 채워 레진 베이스(30)를 만들게 되면 상기 레진 베이스(30)가 너무 두꺼워 치아의 저항중심과 힘이 가해지는 브라켓(10)의 슬롯(40) 사이의 거리가 그만큼 멀어지게 되어 브라켓 베이스(20)와 레진 베이스(30)가 잘 분리되어 치아의 컨트롤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료기간이 길면 길수록 입안의 타액이 브라켓 베이스(20)에 레진으로 형성된 레진 베이스(30)에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가 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은 브라켓 베이스(20)의 크기가 작아 레진 베이스(30)를 크게 하지 않으면 오차가 있을 수 있어 환자의 치면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없게 되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레진 베이스(30)를 크게 하면 할수록 타액의 흡수량이 많아져 불쾌한 냄새는 더 나게 된다.
상기 브라켓(10)은 개개인의 치아에 맞도록 레진 베이스(30)를 제작하였기 때문에 교정치료 중 레진 베이스(30)가 탈락되면 치과에서 쉽게 치아설면에 리본딩(rebonding) 할 수 없어 치과기공소로 보낸 다음 다시 제작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측 치열교정시 사용되는 브라켓의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가 떨어지지 않으며, 교정치료 중 치아와 브라켓(메탈 베이스) 사이에 부착한 레진(resin)이 탈락되어도 치과에서 쉽게 브라켓을 치아설면에 리본딩(rebonding) 할 수 있도록 하여 교정효율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측 치열교정 치료 중 입안의 타액이 레진에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교정치료를 받는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불편함과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설측 치열교정을 위해 사용되는 브라켓 베이스와 치면에 부착되는 메탈 베이스 사이를 솔더링(soldering)하여 환자의 개개치아에 맞는 브라켓을 제조함으로써 치열교정시보다 넓은 면을 갖는 메탈 베이스로 브라켓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으면서 치아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강구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은 브라켓을 치면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고,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교정력을 높일 수 있는 한편 레진에 입안의 타액이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현저하게 줄여 환자의 부담감을 들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가 솔더링(soldering)되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교정치료 중 레진으로 부착된 브라켓이 탈락되어도 치과에서 쉽게 치아설면에 리본딩(rebobding) 함으로써 교정효율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브라켓(1)은 일반적으로 교정력을 부여하는 탄성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4)과 상기 슬롯(4)에 삽입되는 탄성와이어를 고무링 또는 결찰선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롯(4)의 양측으로 형성된 날개(5) 및 치면(6)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 베이스(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설측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브라켓(1)의 형태를 특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설측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브라켓(1)을 제조함에 있어서,
환자에게서 본뜬 부정교합 모형에서 개개치아를 잘라 이상적인 위치로 재배열한 셋-업 모델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작된 셋-업 모델의 개개 설측치면(6)에 맞도록 치과용 금속박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금속박판을 상기 셋-업 모델 상의 개개 설측치면(6)에 눌러 음형 또는 양형하여 브라켓 베이스(2)보다 넓은 면을 갖는 메탈 베이스(3)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베이스(3)를 치상용 분리재(acrosep)가 도포된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 밀착시킨 다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183865호(2000. 6. 1.) 등에 개시된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브라켓(1)의 브라켓 베이스(2)와 상기 메탈 베이스(3) 사이를 은납으로 솔더링(soldering) 하거나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로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브라켓(1)을 제조한다.
상기 본 발명의 브라켓(1)을 구성하는 메탈 베이스(3)를 제작하기 위한 금속박판은 연성의 치과용 은납 또는 알루미나로 형성되어 설측치면에 눌러 음형 또는 양형이 쉽도록 하였으며, 환자의 설측치면에 레진으로 부착할 때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베이스()와 메탈 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납땜은 치과용 은납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 베이스(2)와 메탈 베이스(3)가 고정된 브라켓(1)을 셋-업 모델 상에서 환자 치면으로 옮기기 위한 트랜스퍼 트레이(7)를 제작한 다음 상기 브라켓(1)을 치상용 분리재(acrosep)가 도포된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서 분리한 다음 트랜스퍼 트레이(7)에 감싸진 브라켓(1)의 메탈 베이스(3)에 레진(resin)을 도포한 다음 환자의 치아설면에 부착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브라켓(1)은 설측면의 형태를 보상하기 위해 브라켓 베이스(2)와 치면(6) 사이를 레진(resin)을 채우지 않고 은납으로 메탈 베이스(3)를 솔더링(soldering)하였기 때문에 교정치료시 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메탈 베이스(3)의 부착 면이 넓기 때문에 브라켓(1)을 환자의 설측치면 정확한 위치에 오차 없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브라켓(1)은 브라켓 베이스(2)와 치면(6) 사이를 레진(resin)을 채우지 않고 은납으로 메탈 베이스(3)를 솔더링(soldering)하였기 때문에 치료기간 중 입안의 타액이 레진에 흡수되어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브라켓(1)은 브라켓 베이스(2)와 치면(6) 사이를 레진(resin)을 채우지 않고 은납으로 메탈 베이스(3)를 솔더링(soldering)하였기 때문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레진으로 치아에 부착한 브라켓(1)이 탈락되어도 치과에서 쉽게 치아설면에 리본딩(rebonding)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이 치면에 부착된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이 셋-업 모델에 부착된 상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이 치면에 부착된 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브라켓 2 : 브라켓 베이스
3 : 메탈 베이스 6 : 치면

Claims (2)

  1. 설측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브라켓(1)을 제조함에 있어서,
    환자에게서 본뜬 부정교합 모형에서 개개치아를 잘라 이상적인 위치로 재배열한 셋-업 모델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작된 셋-업 모델의 개개 설측치면(6)에는 맞는 크기로 일측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연성을 갖는 치과용 금속박판을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된 금속박판을 상기 셋-업 모델 상의 개개 설측치면(6)에 눌러 음형 또는 양형하여 브라켓 베이스(2)보다 넓은 면을 갖는 메탈 베이스(3)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베이스(3)를 치상용 분리재(acrosep)가 도포된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 밀착시킨 다음 치열교정용 간접접착 브라켓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브라켓(1)의 브라켓 베이스(2)와 상기 메탈 베이스(3) 사이를 은납으로 솔더링(soldering) 하거나 레이저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셋-업 모델 상의 설측치면(6)에서 브라켓(1)을 분리하여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제조방법.
  2. 제 1 항 기재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KR1020070070806A 2007-07-13 2007-07-13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KR100895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06A KR100895946B1 (ko) 2007-07-13 2007-07-13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806A KR100895946B1 (ko) 2007-07-13 2007-07-13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136A true KR20090007136A (ko) 2009-01-16
KR100895946B1 KR100895946B1 (ko) 2009-05-07

Family

ID=4048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806A KR100895946B1 (ko) 2007-07-13 2007-07-13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05B1 (ko) * 2019-09-09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20210111072A (ko) * 2020-03-02 2021-09-10 황동현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장치,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 교정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84B1 (ko) 2013-06-20 2015-02-04 이종호 설측 치열교정용 개인 맞춤형 브래킷 및 그 브래킷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124A (ja) * 1991-10-15 1993-10-12 Ormco Corp 歯列矯正用固定子を形成する方法
KR200172086Y1 (ko) 1999-09-13 2000-03-15 경희문 치아교정용 설측 브라켓
KR100414830B1 (ko) 2000-12-20 2004-01-13 오창옥 치열교정 장치
KR100660646B1 (ko) 2005-02-01 2006-12-21 주식회사 에이치티 치열교정용 브라켓 및 그 부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805B1 (ko) * 2019-09-09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20210111072A (ko) * 2020-03-02 2021-09-10 황동현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장치, 치아 교정 디바이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 교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946B1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993B1 (en)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US4609350A (en) Lingual retain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bonding same
US20070087300A1 (en) Invisible spring aligner
US20160128805A1 (en) Individually tailored lingual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cNamara Fabrication of the acrylic splint Herbst appliance
KR100895946B1 (ko)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CN112089498A (zh) 一种带有牵引附件的隐形牙套及其制作方法
US11564778B2 (en) Orthodontic elastic attachments for use with dental aligners
JP3215287U (ja) 歯科矯正具
WO2021251421A1 (ja) マウスピース型可撤式矯正装置
RU944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положения резцовой кости при врожденной двусторонней полной расщелине верхней губы и неба
CN214805562U (zh) 无托槽隐形矫治器
RU9445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детей с врожденной полной двусторонней расщелиной губы и неба
CN214259505U (zh) 一种用于牙齿的扩弓正畸装置
CN213098436U (zh) 一种带特殊装置的无托槽隐形矫治器
CN211433401U (zh) 一种圆弧纽扣剪切钳
CN103690252B (zh) 一种硅橡胶平面导板的制作方法
US6905334B2 (en) Attachment offset tooth eyelet
JPH0492659A (ja) スプリント
JP2004065814A (ja) 歯科矯正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19940829U (zh) 一种双颌板装置及其隐形矫治系统
JP5950211B2 (ja) 顎骨発育促進装置
CN216652494U (zh) 隐形矫治过程中压低前牙升高后牙打开咬合的隐形装置
CN216136066U (zh) 一种整体压低前牙的活动装置
CN209812899U (zh) 一种舒适的正畸装置制作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