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4830B1 - 치열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830B1
KR100414830B1 KR10-2000-0078870A KR20000078870A KR100414830B1 KR 100414830 B1 KR100414830 B1 KR 100414830B1 KR 20000078870 A KR20000078870 A KR 20000078870A KR 100414830 B1 KR100414830 B1 KR 10041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part
mail
tooth
fema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658A (ko
Inventor
오창옥
Original Assignee
오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옥 filed Critical 오창옥
Priority to KR10-2000-007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830B1/ko
Priority to AU2002222749A priority patent/AU2002222749A1/en
Priority to PCT/KR2001/002160 priority patent/WO2002049530A1/en
Publication of KR2002004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간접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에지와이즈 방식을 탈피하여 순측교정은 물론 설측교정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열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는 메일 파트가 전체적으로 삽입되도록 포켓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메일 파트의 외면은 치아에 부착되는 면인 치아부착면을 포함하여 치아에 부착되는 "피메일 파트"와,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가 형성되어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메일 파트"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치열교정 장치{Orthodontics device}
본 발명은 종래의 간접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에지와이즈 방식을 탈피하여 순측교정은 물론 설측교정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열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부정교합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1과 같이 교정용 브라켓과 와이어를 치아의 입술쪽 면으로 설치하는 순측교정(labial orthodontics)과, 도2와 같이 치아의 안쪽(혀쪽)에 교정용 브라켓과 와이어를 설치하는 설측교정(lingual orthodontics) 방법이 있다. 순측교정이나 설측교정은 모두 치아에 브라켓(1)을 고정시킨 다음에 각 브라켓(1)을 금속와이어(3)로 연결하여 부정교합 치아에 일정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 교정하는 방법이다.
치열교정을 위하여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직접방식(direct method)과 간접방식(indirect method)이 있다. 직접방식은 부정교합된 치열을 정상교합 상태로 교정하기 위한 방향으로 브라켓의 슬롯이 배열되도록 브라켓의 위치와 높낮이를 결정하여 치아에 직접 브라켓을 부착하는 방식이고, 간접방식은 치아의 모형을 떠서 모형상태에서 브라켓의 위치와 높낮이 등을 결정한 다음에 실제 치아로 옮겨서 부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현재는 작업의 편리함과 분업화를 위해 간접방식에 의한 브라켓 부착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브라켓의 형상은 도3에 나타낸 것과 같다. 즉, 치아에 부착되는 면인 베이스(5)에 날개(윙)(7a, 7b)가 일체로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윙(7a, 7b) 사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9)이 형성되어 있다. 도3과 같은 형상의 치열교정용 브라켓(1)을 특히 "edgewise" 브라켓이라 한다. 슬롯(9)에 금속와이어를 삽입하여 슬롯의 에지에 대한 금속와이어의 미끄럼(sliding)과 마찰력(friction)을 이용하여 부정교합 상태에 따라 브라켓의 위치, 높낮이가 정상교합 상태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치아가 교정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현재 대부분의 치열교정술은 도3의 구조를 갖는 에지와이즈 방식을 이용하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에지와이즈 방식도 그 자체로서 단점을 갖고 있다. 위에서, 에지와이즈 방식은 브라켓(1)의 슬롯(9)에 삽입된 금속와이어와 슬롯 에지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한 것이라고 한 바와 같이, 부정교합 치열을 교정하기 위하여 브라켓의 위치와 높낮이를 각 치아마다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며, 브라켓 위치에 따라 와이어를 설치할 때에 정상교합 치아의 상태가 되도록 와이어를 세밀하게 구부리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데, 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한편, 과거에는 주로 순측교정에 의해 치열교정을 행하였으나 미관상 좋지 않다는 단점 때문에, 근래에는 설측교정에 의한 치열교정도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설측교정이란 것도 결국은 에지와이즈 방식에 의한 순측교정의 개념을 단지 설측으로 옮겨온 것에 불과하다.
설측교정에 의하여 치아 교정시에는 외부에서 브라켓과 와이어가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미용관리에 유익한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인체의 구강구조상 설측교정은 순측교정에 비해 매우 작업이 어려워진다.
특히, 현재의 설측교정이 단순히 순측교정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에지와이즈 방식이 갖는 단점이 더욱 증폭되어 나타나게 된다. 즉, 구강 안쪽(혀쪽)의 치아면에 정확한 위치와 높낮이로 브라켓을 부착하여 와이어를 설치하여야 하고, 와이어를 세밀하게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에 따라, 교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순측교정의 약 2배 이상). 또한, 작업상 곤란함과 비용상 증가에도 불구하고 교정 효과는 오히려 순측교정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브라켓과 와이어를 사용하는 치열교정술에 있어서, 종래의 간접방식을 기반으로 하되 에지와이즈 방식을 탈피한 새로운 개념의 치열교정 방법을 창안하여, 순측교정은 물론 설측교정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치열교정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에지와이즈 브라켓과 달리 피메일 파트와 이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메일 파트로 구성되어, 교정하고자 하는 환자의 치아에 피메일 파트를 미리 부착한 다음에, 치아 모형에서 와이어를 설치한 메일 파트를 환자의 치아에 미리 부착해 놓은 피메일 파트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순측교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설측교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종래의 에지와이즈 브라켓의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의 구조도.
도4b는 치열교정 장치를 실제 치아에 적용한 모식도.
도4c는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4d는 지그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4e~h는 본 발명의 치열교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6, 도7은 도5의 순서도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면부호의 설명>
브라켓(1), 금속와이어(3), 베이스(5), 날개(윙)(7a, 7b), 슬롯(9), 피메일 파트(female part, 10), 와이어 결속부를 수용하는 공간(12), 돌기(14), 엠보스(14'), 관통공(16), 치아부착면(18a), 외면(18b), 절개부(18c), 메일 파트(male part, 30), 와이어 결속부(32), 슬롯(34), 고정나사(36), 홈(38), 리세스(38'), 하부돌기(40), 충전재(42), 상부 날개부(44a), 하부 날개부(44b),지그(50), 헤드연장부(56), 수지(58), 치열교정용 와이어(70), 치아(80), 부정교합 치아(82)
발명의 개념(기술적 사상)
본 발명의 치열교정 장치는 치아에 부착되는 "피메일 파트"와, 이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메일 파트"로 구성되는데, "피메일 파트"는 상기 메일 파트가 전체적으로 삽입되도록 포켓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메일 파트의 외면은 치아에 부착되는 면인 치아부착면을 포함하며, "메일 파트"는 피메일 파트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일 파트의 와이어 결속부는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슬롯에 삽입된 와이어를 결속하여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피메일 파트의 치아부착면은 피메일 파트의 몸체보다 넓게 형성되어 치아와의 접착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열교정 장치에서, 메일 파트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 파트의 내벽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메일 파트가 피메일 파트에 삽입된 후 메일 파트가 쉽게 이탈하지 못하며, 메일 파트의 하단부에 하부돌기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피메일 파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메일 파트를 피메일 파트에 삽입하면 관통공 밖으로 메일 파트의 하부돌기가 튀어나오고, 이 하부돌기를 밀면 메일 파트가 피메일 파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치열교정 장치에서는 피메일 파트의 앞쪽에서 메일 파트를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피메일 파트의 치아부착면의 반대면에는 폭 W를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치아부착면의 반대면의 내벽에는 엠보스가 형성되며,
메일 파트의 하부에는 절개부의 폭(W)보다 작은 폭(W')을 갖는 하부 날개부가 형성되고, 메일 파트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날개부의 상단과의 거리가 피메일 파트의 절개부와 입구 사이의 거리보다 큰 위치에 상부 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날개부와 하부 날개부에는 피메일 파트의 엠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는, 상기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어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의 위치를 정확히 모사하여 다른 치아에 다른 피메일 파트를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도록 하는 보조장치로서, 피메일 파트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외부로 연장된 헤드연장부를 포함하는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치열교정 장치 및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이하, "지그")를 이용하여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교정하기 위하여는 다음과 같은 순서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1)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가진 환자의 치아 모형을 복수 제작하는 단계, 2) 치아 모형을 복수 제작한 다음에 제1모형의 치아 각각에 피메일 파트를 부착하는 단계, 3) 부착한 각 피메일 파트에 지그를 삽입하고 지그의 헤드연장부가 접촉되어 있는 치아에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4) 수지가 경화된 다음에 수지가 헤드연장부에 부착된 채로 지그를 피메일 파트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각 지그에 새로운 피메일 파트를 삽입하는 단계, 5) 피메일 파트를 삽입한 각 지그의 헤드연장부에 붙은 수지를 제2모형의 해당 치아 및 환자의 실제치아에 대어서 위치를 잡고 피메일 파트를 부착한 다음에, 지그를 분리하는 단계, 6) 현재 부정교합 상태에 있는 제1모형의 치아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서 움직여 중간 교정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7) 중간 교정상태로 움직여놓은 치아에 부착된 각 피메일 파트에 메일 파트를 삽입하고 메일 파트의 와이어 결속부에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결속하는 단계, 8) 와이어를 설치한 메일 파트를 제1모형의 피메일 파트로부터 분리하여, 피메일 파트를 부착하고 대기중이던 환자의 실제치아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9) 단계 7)의 중간 교정상태가 도달하였으면, 제2모형의 치아를 움직여 제2의 중간 교정상태가 되도록 하고,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에 메일 파트를 삽입하고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설치하여, 와이어가 설치된 메일 파트를 피메일 파트에서 분리하는 단계, 10) 환자의 치아에서 현재 장착하고 있는 메일 파트를 제거한 다음에, 단계 9)에서 와이어가 설치되어 분리된 메일 파트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어 있는 피메일 파트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 11) 환자의 치아가 정상교합 상태로 완전교정될 때까지 상기 단계 9)와 10)을 반복하되, 제1모형과 제2모형을 교대로 사용하는 단계.
상기 단계 2)에서 피메일 파트는 각 피메일 파트에 삽입될 메일 파트의 와이어 결속부가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6)과 단계 9)의 중간 교정상태는, 치아의 부정교합 상태로부터 정상교합 상태로 이르기 전의 교정상태로서, 경험에 의해 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되며, 단계 7)과 단계 9)에서의 와이어 결속은 메일 파트의 와이어 결속부의 슬롯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고정나사로 죄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
(1) 치열교정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는 도4a와 같이 피메일 파트(female part, 10)와 메일 파트(male part, 30)로 구성되어,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가 삽입되어 완전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피메일 파트(10)는 전체적으로 메일 파트(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포켓 구조로 이루어진다.
메일 파트(30)는 포켓구조의 피메일 파트(10)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몸체를 갖는데, 몸체의 중앙부 평면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70)를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32)가 산형(山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결속부(32)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슬롯(34)에 삽입된 와이어를 눌러서 와이어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나사(36)가 포함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메일 파트(30)가 삽입되는 피메일 파트(10)의 외면은 치아에 부착되는 면인 치아부착면(18a)과, 메일 파트(30)의 와이어 결속부(32)를 수용하는 공간(12)이 절개되어 있는 외면(18b)으로 구성된다. 도면으로는 표시하지않았지만, 치아부착면(18a)은 피메일 파트(10)의 몸체보다 넓게 형성되어 치아와의 접착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도4a에 표시한 피메일 파트(10)의 치아부착면(18)에 더 넓은 면적의 베이스를 용접에 의해(또는 피메일 파트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에지와이즈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치아와 접촉하는 면에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요철 가공을 할 수 있다.
한편, 메일 파트(30)의 양허리측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홈(38)이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 파트(10)의 양허리측 내벽에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할 때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삽입된 메일 파트(30)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공지의 방식으로 피메일 파트(10)에 삽입된 메일 파트(3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메일 파트(10)의 포켓 공간을 메일 파트(30)의 몸체두께와 큰 마찰력을 갖도록 좁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에서는 메일 파트(30)가 피메일 파트(10)에 빈번하게 삽입 분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 또한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결합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도4a에서 메일 파트(30)의 하단부에는 밖으로 돌출한 하부돌기(40)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피메일 파트(10) 하단부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일단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한 다음에 쉽게 양자를 분리하기 위한 것들이다. 즉,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하면 관통공(16) 밖으로 메일 파트(30)의 하부돌기(40)가 튀어나올 것이기 때문에, 이 하부돌기(40)를 밀면 메일 파트(30)가 피메일 파트(10)로부터 쉽게 이탈할수 있다.
도4b는 도4a에 묘사한 치열교정 장치를 실제 치아에 적용한 모식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치아(80)의 설측면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치아의 설측면에 피메일 파트(10)가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 메일 파트(30)가 삽입되어 슬롯(34) 내에 와이어(70)가 삽입되고 고정나사(36)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치아면과 피메일 파트(10) 사이에 들뜬 부분은 충진재(42)에 의해 메워져 있다.
도4c는 도4a의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 대신,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50)가 삽입되는 모습을 표시하고 있다. 지그(50)는 전체적인 몸체 형상이 메일 파트(30)와 유사하지만, 머리 부분에 길게 헤드연장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결속부가 없는 것이 다르다. 헤드연장부(56)의 끝은 둥글게 말려있는 것으로 도4c에 묘사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헤드연장부(56)의 끝을 임의로 신축할 수 있는 형상과 재질인 것이 좋다. 본 지그(50)는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10)의 위치를 정확히 모사(replica)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나중에 치열교정 방법을 설명할 때 할 것이다.
본 지그(50)의 위치모사 작용을 간략하게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d에서와 같이 치아(80)에 부착한 피메일 파트(10)에 지그(50)를 삽입한다. 그러면, 치아(80)의 정점에 지그(50)의 헤드연장부(56)가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치아의 정점 영역에 수지(58)를 덮어 씌운다. 수지(레진)가 굳은 다음에지그(50)를 피메일 파트(10)에서 빼내면 헤드연장부(56)에는 수지(58)가 붙은 채로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당연히 수지(58)에는 치아가 있었던 자리(흔적)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한편, 도4e~h는 상기 실시예를 변형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에서는, 피메일 파트(10)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한 상태에서 메일 파트(30)를 위에서 착탈하는 작업이 어려울 수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도4e에서와 같이,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의 전면(앞)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그 형상을 보면(도4e 참조), 피메일 파트(10)는 도4a와 같이 전체적으로 포켓구조를 갖지만, 외면(18b)의 하부에 양쪽으로 절개부(18c)가 폭 W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면(18b)의 내벽에는 절개부(18c)를 피해서 엠보스(emboss)(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메일 파트(30)에는 피메일 파트(10)의 절개부(18c)에 앞쪽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하부 날개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날개부(44b)의 폭(W')은 절개부(18c)의 폭(W)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메일 파트(10)의 상부에는 또한, 피메일 파트(10)의 절개부(18c)와 입구 사이의 거리 D보다 약간 큰 D'의 간격으로 하부 날개부(44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상부 날개부(44a)가 위치한다. 상부 날개부(44a)와 하부 날개부(44b)에는 피메일 파트(10)의 엠보스(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recess)(38')가 형성된다.
도4e와 같이 구성되는 메일 파트(30)와 피메일 파트(10)의 결합방식에 대해설명한다. 도4f와 같이 피메일 파트(10)의 앞면으로부터 메일 파트(30)의 하부 날개부(44b)가 피메일 파트(10)의 절개부(18c)에 들어가도록 삽입한다. W'이 W보다 작고, D'이 D보다 크기 때문에 메일 파트(30) 몸체 전체는 피메일 파트(10)의 포켓 내부로 전부 들어가게 된다. 다음에, 도4g와 같이 메일 파트(30)를 "미는 방향"으로 밀어서 엠보싱(14')과 리세스(38')가 상호 결합되면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가 안착될 수 있다. 도4h에는 엠보스(14')와 리세스(38')의 위치를 단면으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일 파트(30)가 피메일 파트(10)의 입구에서부터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앞쪽에서 삽입되어 피메일 파트(10)로 들어가 안착되기 때문에, 환자의 좁은 구강내에서 보다 더 쉽게 치열교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2) 치열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열교정의 방법
앞에서 설명한 치열교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을 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방법을 정리한 순서도이다. 도5~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101: 먼저, 도6(A)와 같이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a)를 가진 환자의 치아 모형을 2조 제작하여 둔다. 각각을 제1모형(b), 제2모형(c)이라고 하자. 이들 제1모형(b)과 제2모형(c)을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와이어 설치를 한 다음에 그대로 환자의 실제 치아(a)에 옮긴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간접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하, 도6에서 치아 3개중 가운데의 부정교합 치아(82)가 정상교합 상태의 가상선(N)에서 벗어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103: 치아 모형을 2조 제작한 다음에, 제1모형(b)의 치아 각각에 피메일 파트(10)를 부착한다(도6(B) 참조). 여기서 제1모형과 제2모형의 구별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두 개 제작한 모형중 어느 하나를 제1모형(a)이라 하고 다른 것을 제2모형(b)이라 하기로 한다. 치아의 부착면은 순측, 설측 모두 가능하다. 단 본 발명이 종래의 설측교정상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설측교정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한층 본 발명의 효용가치를 증대시키게 될 것이다.
피메일 파트(10)의 부착은 일반적인 에지와이즈 브라켓의 부착방식과 유사하다. 다만, 각 피메일 파트(10)에 삽입될 메일 파트(30)의 슬롯(34)이 일정한 높이(가상선 H와 같이)가 되도록 피메일 파트(1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중에, 메일 파트(10)에 와이어를 결속할 때에 과도하게 구부리는 등의 작업을 피하기 위함이다.
단계 105(도6(C) 참조): 제1모형(b)에 부착한 각 피메일 파트(10)에 지그(50)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4d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그(50)의 헤드연장부(56)가 접촉되어 있는 치아의 정점에 수지(58)를 도포한다. 본 단계는 제2모형(c) 및 실제치아(a)에 피메일 파트(10)를 부착할 때에, 제1모형(a)과 동일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단계 201, 301: 단계 105에서 수지(58)가 굳은 다음에 지그(50)를 피메일 파트(10)로부터 빼낸다. 그러면, 수지(58)가 지그(50)의 헤드연장부(56)에 붙은 채로떨어지기 때문에, 수지(58)에는 치아 정점의 형상이 그대로 모사되어 있다. 다음에, 분리된 각 지그(50)를 새로운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한다(도6(D) 참조). 그리고 피메일 파트(10)를 삽입한 각 지그(50)의 헤드연장부(56)에 붙은 수지(58)를 제2모형(c)의 해당 치아에 갖다 대어서 위치를 잡고 피메일 파트(10)를 부착한 다음에, 지그(50)를 뽑아낸다. 제1모형(b)의 각 치아형상이 굳은 수지에 남아있기 때문에 제2모형(c)의 각 치아에 수지를 갖다대면 자연스럽게 피메일 파트(10)의 부착 위치가 제1모형(b)의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렇게 피메일 파트(10)가 부착되어 지그(50)가 제거된 제2모형(c)은 형상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안전한 곳에 보관해 둔다(도6(E) 참조)(이렇게 함으로써, 환자 구강에서 교정장치가 탈락 또는 변형되는 등의 고장시 처음과 동일한 위치에 교정장치를 재부착할 수 있다). 제2모형(c)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실제 치아에도 위의 과정에 의해 피메일 파트(10)를 부착하고[단계 301], 환자는 피메일 파트(10)만 부착한 채로 대기한다.
단계 107: 한편, 상기 피메일 파트(10) 부착 단계와 별도의 루트로서, 현재 부정교합 상태에 있는 제1모형(b)의 치아(82)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서 움직여 중간 교정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원래의 부정교합 상태(도6(A) 및 도6(B)의 상태)에서 최종적인 예측 정상교합 상태로 치아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임상적 경험에 의해 알려져 있는(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에 의하여 결정된) 허용범위 내에서 치아를 정상교합 상태에 근접한 상태가 되도록 움직인다(이를 "중간 교정상태"라 부르기로 한다).
치아를 부정교합 상태에서 강제로 완전 정상교합 상태로 교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통상은, 1개월에 1mm 정도의 치아움직임이 일어나 교정상태에 점차 가까워지는 것이고, 이러한 정상교합 상태로의 진행은 치아교정학(orthodontics)에 의해 또는 경험에 의해 또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예측될 수 있다.
도7(A)에, 부정교합 상태에 있는 치아(82)가 정상교합 상태에 가깝도록 도6(A) 및 (B)에서보다 약간 움직여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단계 109: 단계 107에서 제1모형(b)의 부정교합 치아(82)를 중간 교정상태로 움직여놓은 후에, 각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를 삽입하고 메일 파트(30)의 와이어 결속부(32)에 와이어(70)를 결속하여 설치한다(도7(B) 참조). 와이어(70)의 결속은 와이어 결속부(32)가 도4a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라면 슬롯(34)에 와이어를 삽입하고 고정나사(36)로 죄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82)가 중간 교정상태로 움직여져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70)가 설치되는 것이므로 본 와이어 설치에 의해 치아(82)는 중간 교정상태로 힘을 받게 될 것이다.
단계 111, 303: 와이어를 설치한 메일 파트(30)를 제1모형(b)의 피메일 파트(10)로부터 분리하여, 대기중이던 환자의 실제치아의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이다(도7(C) 및 (D) 참조). 도7(C)와 같이 피메일 파트(10)로부터 분리한 와이어(70)에 다수의 메일 파트(30)가 나란히 결속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단계 203, 205: 환자의 치아에 와이어설치된 메일 파트(30)를 삽입한 후에, 상기 단계 107의 중간 교정상태가 도달하였으면(즉, 중간교정 완료시), 제2모형(c)의 치아를 움직여 제2의 중간 교정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2모형(c)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를 삽입하고 치열교정용 와이어(70)를 제2 중간 교정상태에 맞게 재설치한 다음에, 와이어가 설치된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에서 분리하는 단계이다(도(7E) 참조). 도7(E)에서,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82)가 도6(E)에서보다 더 정상교합 상태의 가상선(N)에 근접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의 중간 교정상태가 되도록 치아를 움직인 상태에서 피메일 파트(10)에 메일 파트(30)를 삽입하고 치열교정용 와이어(70)를 설치한다. 그 다음에, 와이어가 설치된 메일 파트(30)를 피메일 파트(10)에서 분리한다. 본 단계 203, 205는 앞에서 설명한 단계 107, 109, 111과 동일한 과정이다.
단계 305: 환자의 치아에서 현재 장착하고 있는 메일 파트(30)를 제거한 다음에, 단계 203, 205에서 새로 와이어를 설치한 메일 파트(30)를 다시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어 있는 피메일 파트(10)에 삽입하여 교정상태로 들어간다.
단계 307: 환자의 치아가 정상교합 상태로 완전교정될 때까지 상기 단계 203, 205, 305를 반복한다. 본 반복단계는 환자가 없더라도 병원에서 제1모형(b)과 제2모형(c)을 교대로 사용하여 점차 정상교정 상태로 접근하면서 메일 파트(30)에 와이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현재 장착하고 있는 메일 파트(30)를 제거하고 의사측에서 모형을 통해 와이어설치한 메일 파트(30)를 재삽입하는 작업만 받으면 되므로 계속 병원에서 대기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에지와이즈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중간 교정상태에 맞게 와이어를 설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에지와이즈 방식이 갖는 단점(브라켓의 위치와 높낮이를 각 치아마다 일일이 조정하여야 하며, 브라켓 위치에 따라 와이어를 설치할 때에 정상교합 치아의 상태가 되도록 와이어를 세밀하게 구부리는 등의 작업이 필요)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에지와이즈 방식처럼 와이어의 굵기나 재질, 단면 구조 등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표준화된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환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모형에 의해 와이어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와 의사와의 대면시간(chair time)이 줄어들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서, 설측교정에 있어서 그 효용가치가 높아지며 설측교정에서의 교정 효과가 높아진다.

Claims (13)

  1. 치아에 부착되는 피메일 파트와, 이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메일 파트로 구성되는 치열교정 장치로서,
    상기 피메일 파트는 상기 메일 파트가 전체적으로 삽입되도록 포켓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피메일 파트의 외면은 치아에 부착되는 면인 치아부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일 파트는 피메일 파트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가 형성되고; 이 와이어 결속부는 치열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슬롯에 삽입된 와이어를 결속하여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파트의 측면에는 홈이, 피메일 파트의 내벽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메일 파트가 피메일 파트에 삽입된 후 메일 파트가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치아부착면은 피메일 파트의 몸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메일 파트의 하단부에 하부돌기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피메일 파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메일 파트를 피메일 파트에 삽입하면 관통공 밖으로 메일 파트의 하부돌기가 튀어나오고, 이 하부돌기를 밀면 메일 파트가 피메일 파트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장치.
  6. 청구항 1에서,
    피메일 파트(10)의 치아부착면의 반대면(18b)에 폭 W를 갖는 절개부(18c)가 형성되고 치아부착면의 반대면(18b)의 내벽에는 엠보스(14')가 형성되며,
    메일 파트(30)의 하부에는 절개부(18c)의 폭(W)보다 작은 폭(W')을 갖는 하부 날개부(44b)가 형성되고,
    메일 파트(3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 날개부(44b)의 상단과의 거리(D')가 피메일 파트(10)의 절개부(18c)와 입구 사이의 거리(D)보다 큰 위치에 상부 날개부(44a)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날개부(44a)와 하부 날개부(44b)에는 피메일 파트(10)의 엠보스(14')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세스(3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장치.
  7. 청구항 1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어,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의 위치를 정확히 모사하여 다른 치아에 다른 피메일 파트를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도록 하는보조장치로서,
    피메일 파트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외부로 연장된 헤드연장부를 포함하는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
  8. 청구항 6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어, 치아에 부착된 피메일 파트의 위치를 정확히 모사하여 다른 치아에 다른 피메일 파트를 동일한 위치에 부착하도록 하는 보조장치로서,
    피메일 파트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피메일 파트에 삽입되는 측의 반대측에서 외부로 연장된 헤드연장부를 포함하는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
  9. 청구항 7 또는 8에서, 상기 헤드연장부의 끝은 둥글게 말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 파트 위치결정용 지그.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0-0078870A 2000-12-20 2000-12-20 치열교정 장치 KR10041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70A KR100414830B1 (ko) 2000-12-20 2000-12-20 치열교정 장치
AU2002222749A AU2002222749A1 (en) 2000-12-20 2001-12-13 Orthodontics device and method
PCT/KR2001/002160 WO2002049530A1 (en) 2000-12-20 2001-12-13 Orthodontics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70A KR100414830B1 (ko) 2000-12-20 2000-12-20 치열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658A KR20020049658A (ko) 2002-06-26
KR100414830B1 true KR100414830B1 (ko) 2004-01-13

Family

ID=1970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870A KR100414830B1 (ko) 2000-12-20 2000-12-20 치열교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14830B1 (ko)
AU (1) AU2002222749A1 (ko)
WO (1) WO200204953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15B1 (ko) 2005-03-09 2007-10-04 차경석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0895946B1 (ko) 2007-07-13 2009-05-07 이상봉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KR100925286B1 (ko) 2007-10-29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424763B1 (ko) 2013-12-31 2014-08-01 현기봉 구강용 약제 공급장치
KR20180079875A (ko) * 2017-01-03 2018-07-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브라켓, 이를 위한 브라켓 베이스 키트와 홀더 베이스 키트, 및 이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86B1 (ko) * 2013-06-05 2015-03-27 정연호 치열교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8974A (en) * 1957-12-27 1959-10-20 John J Stifter Orthodontic attachment
US4249897A (en) * 1978-01-17 1981-02-10 Anderson Roland M Modular cushioning orthodontic bracket structure
US4597739A (en) * 1985-05-21 1986-07-01 Farel Rosenberg Tow element bracket system for true straight wire orthodontics
US5971754A (en) * 1998-07-30 1999-10-26 Sondhi; Anoop Indirect bonding method and adhesive for orthodontic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880A (en) * 1974-08-14 1976-06-01 Andrews Lawrence F Spring-stressed orthodontic bracket
US3946488A (en) * 1974-10-25 1976-03-30 Miller Frank R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US4487581A (en) * 1982-09-30 1984-12-11 Theodore Adler Orthodontic bracket
US4634662A (en) * 1986-02-03 1987-01-06 Farel Rosenberg Orthodontic bracket having archwire seating and locking mechanism
US4676746A (en) * 1986-06-03 1987-06-30 Lewis Klapper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8974A (en) * 1957-12-27 1959-10-20 John J Stifter Orthodontic attachment
US4249897A (en) * 1978-01-17 1981-02-10 Anderson Roland M Modular cushioning orthodontic bracket structure
US4597739A (en) * 1985-05-21 1986-07-01 Farel Rosenberg Tow element bracket system for true straight wire orthodontics
US5971754A (en) * 1998-07-30 1999-10-26 Sondhi; Anoop Indirect bonding method and adhesive for orthodontic treat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315B1 (ko) 2005-03-09 2007-10-04 차경석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0895946B1 (ko) 2007-07-13 2009-05-07 이상봉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브라켓 및 브라켓 제조방법
KR100925286B1 (ko) 2007-10-29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424763B1 (ko) 2013-12-31 2014-08-01 현기봉 구강용 약제 공급장치
KR20180079875A (ko) * 2017-01-03 2018-07-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브라켓, 이를 위한 브라켓 베이스 키트와 홀더 베이스 키트, 및 이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키트
KR101966654B1 (ko) * 2017-01-03 2019-04-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브라켓, 이를 위한 브라켓 베이스 키트와 홀더 베이스 키트, 및 이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49530A1 (en) 2002-06-27
AU2002222749A1 (en) 2002-07-01
KR20020049658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0789A1 (en) Modular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ment
US6572372B1 (en)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JP3512466B2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4824062B2 (ja) 歯の器具に関する装着デバイスおよび方法
CA2076776C (en)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US20100047732A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position of teeth
US20100015565A1 (en) Orthodontic Devices
US20060099546A1 (en) Upper and a lower single preformed and/or customized appliance and a method for attaching the appliance to a first area of a dentition and moving teeth at a second area of the dentition
JP2006528007A (ja) アーチワイヤーと用いる歯科矯正用装置
EP1518511B1 (en) Customized dental abutment
JPH0371896B2 (ko)
JP2010533035A (ja) 幅狭のセラミック製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US5746592A (en) Edgewise orthodontic bracket with tie wing relief for enhancing ligature removal
US11298210B2 (en) Orthodontic assembly
JP2016539710A (ja) 歯科矯正補助装置及び舌側器具システ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唇側取付けデバイス
CN105073061A (zh) 自锁正畸器具
JP2021529600A (ja) 歯列矯正用のセルフライゲーティングブラケット
US20230380937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aligner and attachment
US20050221248A1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KR100414830B1 (ko) 치열교정 장치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KR102002148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US20080102414A1 (en) Posterior bite ramps, kits, and methods of use to correct class ii and/or class iii malocclusions
EP3328312B1 (en) An orthodontic anchorage device
KR100355842B1 (ko) 치과 교정 브라켓용 음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트랜스퍼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