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148B1 -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148B1
KR102002148B1 KR1020170110714A KR20170110714A KR102002148B1 KR 102002148 B1 KR102002148 B1 KR 102002148B1 KR 1020170110714 A KR1020170110714 A KR 1020170110714A KR 20170110714 A KR20170110714 A KR 20170110714A KR 102002148 B1 KR102002148 B1 KR 10200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ed
fixing
orthodontic
f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097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11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1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해 대상치아부를 따라 부착되는 교정용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내면이 상기 대상치아부의 양측으로 이웃한 각 고정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1차 관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기설정된 제1관통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고정관부; 및 상기 제1관통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고정각도로 경사진 제2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2차 관통되는 제2고정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인출부와 상기 제2고정관부의 인입부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꺾임 수용되도록 함몰된 고정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wire fixing 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교정 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교정 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상세히, 치열교정 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 또는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교정 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교정 치료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치열교정 치료는 시술자의 경험에 의해 수행됨에 따라, 시술자 자신도 정확한 확신 없이 환자의 치아와 결속된 와이어를 직접 당기거나 풀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치열을 미세조절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치열구조로 조절되므로 시술시간이 증가되고 피시술자의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치열교정 치료는 시술자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하며, 피시술자는 시술자의 경험 및 능력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바람직한 치열상태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상기 와이어의 설치가 완료된 후 양단부를 구강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용 레진이 사용되었다. 즉,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제1소구치의 후면부측에 배치되고, 접착용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포 및 제1소구치의 표면에 접착시켜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고정방법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재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용 레진을 분리하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레진의 점착성에 의해 상기 치아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로부터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접착용 레진으로 도포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의 여유길이가 실질적으로 짧게 절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재조절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기설치된 와이어를 제거하고 새로운 와이어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불편함이 가중됨은 물론, 교정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커버하는 덮개가 일부 개시되었으나, 이러한 덮개의 경우 음식물의 저작과 같은 구강 내부조직의 움직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리된 덮개 또는 노출된 와이어의 양단부에 구강 내부 연조직이 긁히거나 가압되어 불편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덮개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접착용 레진이 필요하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시술자의 경험과 지식은 구체적인 자료로써 기록이 어려운 정성적인 데이터이며, 시술자 개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상이하다. 이로 인해, 교정의 최종목적이 되는 바람직한 치열모델 자체도 시술을 수행하는 시술자의 주관적 관점 또는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치열교정 결과가 보편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57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시 설치되는 와이어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열교정을 위해 대상치아부를 따라 부착되는 교정용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내면이 상기 대상치아부의 양측으로 이웃한 각 고정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1차 관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기설정된 제1관통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고정관부; 및 상기 제1관통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고정각도로 경사진 제2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2차 관통되는 제2고정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인출부와 상기 제2고정관부의 인입부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꺾임 수용되도록 함몰된 고정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인출부와 상기 제2고정관부의 인입부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홈부의 내면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몸체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탄성밴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때,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타단부측이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일측방향으로 돌설된 단턱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관통방향은 상기 각 고정치아 및 인접치아의 치간방향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와이어의 단부가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소정의 각도로 교차 형성된 각 고정관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절곡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걸림 고정되며, 상기 각 고정관부로부터 와이어를 분리하기만 하면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장력이 재조절되도록 수정이 용이하므로 치열교정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각 고정관부의 이웃한 인출부 및 인입부 사이에 함몰 형성된 고정홈부에 상기 와이어의 절곡된 부분이 꺾임 수용되는 다중 절곡 구조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밴드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다중 절곡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셋째, 제2고정관부의 인출부가 고정치아 및 인접치아의 치간과 대응됨에 따라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치간으로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노출이 방지되므로 구강 내부조직과의 간섭 및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치간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길이만큼의 여유간격이 확보되어 설치되므로 최초로 설치된 와이어의 교체 없이도 반복적이고 탄력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F-G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일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F-G방향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몸체부(10), 제1고정관부(13) 및 제2고정관부(1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대상치아부(T)를 따라 부착되는 교정용 브라켓(b)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대상치아부(T)의 양측으로 이웃한 각 고정치아(t2)의 표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대상치아부(T)는 치열교정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개의 교정대상 치아(t1)를 포함하는 치열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상치아부(T)는 구강 내부에서 부정교합 치열이 주로 발생하는 전치즉 6개소의 치아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치아(t2)는 상기 대상치아부(T)의 치열궁방향 최외측 치아와 인접한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견치(canine)와 이웃한 제1소구치(first premolar)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정용 브라켓(b) 및 상기 와이어(w)를 이용한 치열교정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먼저, 상기 대상치아부(T)에 포함된 각 교정대상 치아(t1)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이 일대일 매칭되어 부착된다. 이때,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개선되고 입술 내측의 긁힘 및 이로 인한 통증/불편감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은 소정의 부피를 갖도록 구비되되, 일면에는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의 설측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형합면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와이어(w)가 관통 설치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교정용 브라켓(b)은 교정치료 대상자의 치열상태 및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e)가 고려되어 각 교정대상 치아(t1)에 대응되도록 개별 설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교정치료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e)에 대응하는 치열교정 과정이 가상 시뮬레이션됨에 따라 치열교정 계획이 정밀하게 수립될 수 있다. 그리고, 수립된 계획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마다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이 설치되는 위치가 설정 및 설계됨에 따라 정밀한 치열교정 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의 설계과정에서 상기 와이어(w)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부의 위치 및 개구방향이 설정되고,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의 정확한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지그부가 더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정용 브라켓(b) 및 상기 와이어(w)를 이용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치열교정 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교정용 브라켓은 동일 규격으로 제조되는 기성품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에 접착용 레진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에 설치된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결합홈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와이어(w)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력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가 상기 바람직한 연속치열구조(e)에 대응하도록 위치 및 방향이 이동되면서 치열교정 치료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된 위치를 변경하여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16)이 형성되되, 상기 부착면(16)은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접착용 레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과 상기 부착면(16) 사이의 간극이 최소화됨에 따라 음식물의 끼임 또는 혀와 같은 구강 내부조직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이 분리/탈락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접착용 레진을 이용하여 상기 각 고정치아(t2)에 부착되며, 상기 부착면(16)에는 상기 접착용 레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접착성이 향상되도록 요철엠보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부착면(16)은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매칭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교정용 브라켓(b)과 함께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의 부착면(16) 프로파일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부착면(16)측이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프로파일을 따라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에 기설정된 제1관통방향(p1)에 대응하여 상기 제1고정관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제1관통방향(p1)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고정각도(d1)로 경사진 제2관통방향(p2)에 대응하여 상기 제2고정관부(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는 상기 제1고정관부(13)를 1차 관통하되 상기 고정각도(d1)에 대응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2차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관부(13)와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는 상기 고정각도(d1)에 대응하여 비연속적인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각 고정관부(13,14)의 인입부(13a,14a)측 또는 인출부(13b,14b)측으로 이동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각 고정관부(13,14)의 관통방향이 교차됨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w)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고정관부(13,14)를 통한 이동이 제한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제공되는 장력이 상기 교정용 브라켓(b)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각 고정관부(13,14)를 관통하되,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고정각도(d1)에 대응하여 절곡되는 단순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상기 각 고정치아(t2)에 접착용 레진에 의해 직접 부착되면서도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는 상기 각 관통관부(13,14)에 단순히 절곡된 상태로 걸림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제2고정관부(14)로부터 분리되기만 하면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을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w)의 길이가 손쉽게 조절되면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가해지는 장력이 재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접착용 레진에 의해 상기 각 고정치아(t2)에 직접 부착됨으로 인해 장력을 조절시 상기 접착용 레진을 분리하기 번거롭고 불편하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의 길이가 조절된다 함은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의 각 결합홈부에 결합된 위치가 조절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결합홈부에 결합되어 상호 이웃하는 교정용 브라켓(b) 사이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w)의 길이가 짧게 수정되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강한 장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호 이웃하는 교정용 브라켓(b) 사이로 연장된 상기 와이어(w)의 길이가 길게 수정되면 상기 교정대상 치아(t1)에 제공되는 장력이 약해지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w)의 설치 및 단부 고정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각 고정관부(13,14)로부터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손쉽게 분리되어 후차적인 수정작업을 통한 장력 재조절이 용이하므로 치열교정 치료의 정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각도(d1)는 60~120° 사이 범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00° 사이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각도(d1)가 120°를 초과하는 둔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제1관통방향(p1) 및 상기 제2관통방향(p2)이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치아(t2)의 표면 프로파일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부피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와이어(w)가 절곡된 각도가 완만하여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각 고정관부(13,14)를 통과하면서 견고하게 걸림 고정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고정각도(d1)가 60°보다 작은 예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와이어(w)가 절곡된 각도가 작아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상기 몸체부(10)의 내외면측 사이 부피가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교합 또는 음식물의 저작시 이물감 및 불편감이 가중되며, 음식물 또는 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부(10)가 상기 고정치아(t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부피가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걸림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상기 고정각도(d1)는 60~120° 사이 범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100° 사이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출부(13b)와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입부(14a)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w)가 꺾임 수용되도록 고정홈부(15)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관부(13)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및 상기 제2고정관부(14)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은 상기 부착면(16)의 외측방향으로 돌설된 각 돌출부(11,12)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관부(13)는 상기 제1관통방향(p1)에 대응하여 제1돌출부(11)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관부(14)는 상기 제2관통방향(p2)에 대응하여 제2돌출부(12)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11)와 상기 제2돌출부(12) 사이에는 상기 부착면(16)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상기 고정홈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관부(13)와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관통하면서 상기 고정각도(d1)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wb)가 상기 고정홈부(15)의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다중 절곡된다. 즉, 상기 절곡부(wb)의 일측은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출부(13b) 테두리 및 상기 고정홈부(15)의 내면이 연결되어 단차진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제1엣지부(wc)에 의해 고정위치가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wb)의 타측은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입부(14a) 및 상기 고정홈부(15)의 내면이 연결되어 단차진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제2엣지부(wd)에 의해 고정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출부(13b)와 상기 고정홈부(15)의 내면이 단차진 프로파일이 예각을 갖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제1엣지부(wc)측의 걸림 구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각 고정관부(13,14) 및 상기 고정홈부(15)의 단차진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지그재그로 다중 절곡되어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실질적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제공되는 장력이 상기 각 교정대상 치아(t1)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치열교정 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는 상기 각 고정관부(13,14)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각도(d1)에 대응하도록 1차 절곡되되, 상기 절곡부(wb)가 상기 고정홈부(15)측으로 가압되면서 2차 절곡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상기 와이어(w)의 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지그재그로 다중 절곡된 상기 절곡부(wb)를 펴기만 하면 상기 각 고정단부(13,14)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교정용 브라켓(b)에 결합된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하여 치열교정을 위한 장력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치열교정 치료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고정관부(13,14) 사이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다중 절곡된 상태를 보강하도록 탄성밴드(2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20)의 일단부는 상기 절곡부(wb)의 외면측을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부(15)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측은 상기 몸체부(10)를 감싸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밴드(2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출부(13b)와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입부(14a)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w)의 절곡부(wb)가 상기 고정홈부(15)의 내측으로 가압 구속된 상태가 보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밴드(20)는 상기 제1돌출부(11)를 감싸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20)는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유연하면서도 상기 제1돌출부(11)의 부피에 대응하여 탄발확장이 가능한 링형상의 탄성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밴드(20)가 상기 제1돌출부(11)를 감싸도록 고정되면 상기 탄성밴드(20)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발복원력이 제공됨에 따라 다중 절곡된 상기 절곡부(wb)가 상기 고정홈부(15)의 내면측으로 가압 고정된 상태가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밴드(20)가 신장되도록 조작하여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를 상기 각 고정관부(13,14)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20)의 타단부는 상기 제1돌출부(11)의 일측에 걸림 고정되되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입부(13a)측에 대응되면서 상기 와이어(w)의 외주면을 탄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인입부(13a) 및 인출부(13b)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와이어(w)의 외주면에 상기 탄성밴드(20)에 탄발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와이어(w)의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밴드(20)가 상기 제1돌출부(11)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밴드(20)는 상기 제2돌출부(12)를 감싸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탄성밴드(20)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5)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절곡부(wb)를 가압 고정하는 상태를 탄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더욱이, 상기 탄성밴드를 대신하여 결찰철사가 체결될 수도 있다. 즉, 와이어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결찰철사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5) 및 상기 제1돌출부(1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절곡부(wb)의 다중 절곡된 상태가 견고하게 구속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탄성밴드(20)의 타단부측이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제1고정관부(13)의 일측방향으로 돌설된 단턱부(1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밴드(20)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홈부(15)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단턱부(17)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20)가 탄발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더라도 상기 몸체부(10)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면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확장되어 돌설되는 단턱부(18)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의 상면이라 함은 치관의 상단부 즉, 교합면(occlusal) 방향이고, 상기 몸체부(10)의 하면이라 함은 치근측(apical)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면이 각 단턱부(17,18)에 의해 전체적으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밴드(20)는 홈 형상의 상기 몸체부(10) 상하면측에 수용되어 상기 제1돌출부(11)를 감싸도록 탄발 고정되되 상기 고정홈부(15) 및 상기 각 단턱부(17,18)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부착면(16)측 몸체부의 상하면도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의 상하면에는 상기 탄성밴드(2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착면(16)이 상기 각 고정치아(t2)에 고정될 수 있는 면적은 증가하면서도 상기 탄성밴드(20)가 상기 수용홈에 실질적으로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부피가 최소화됨에 따라 이물감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관통방향(p2)은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이와 인접한 인접치아(t3)의 치간방향과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출부(14b)로 인출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의 치간(interdental)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치아(t2)의 인접치아(t3)는 제2소구치(second premolar)이고, 상기 치간방향이라 함은 상기 고정치아(t2)와 상기 인접치아(t3)의 치간 내외측 즉, 순측(labial) 및 설측(lingual)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을 연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정길이와 함께 상기 각 고정관부(13,14)를 관통하되 상기 고정홈부(15) 내측으로 다중 절곡되기 위한 고정길이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치간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길이만큼의 여유간격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여유간격은 추후 상기 교정용 브라켓(b)에 전달되는 장력을 재조절시 활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정용 브라켓(b)에 상기 와이어(w)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치열교정을 위한 장력의 재조절이 필요한 경우 초기에 설치된 와이어(w)의 여유간격을 활용하여 상기 와이어(w) 및 상기 교정용 브라켓(b)의 결합위치를 탄력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의 재조절시 기존의 와이어를 분리 및 새로운 와이어를 재연결하는 번거로운 공정 및 이를 위한 설치시간이 감축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및 종래에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던 접착용 레진의 불필요한 사용량이 최소화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유간격이 포함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는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관통하되 상기 치간으로 삽입됨에 따라 별도의 차폐부재 없이도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실질적으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를 고정 및 차폐하기 위한 구성부품이 간소화되므로 설치편의성이 향상되며, 구강 내부 조직과 간섭될 수 있는 부품수가 최소화되어 이물감 및 이로 인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출부(14b)는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의 치간방향으로 개구되되, 상기 몸체부(10)에는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개구방향을 가이드하는 정렬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2관통방향(p2)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제2돌출부(12) 사이의 단차진 경계모서리(12a)가 상기 정렬부로 활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정렬부가 상기 치간방향과 대응되도록 부착되기만 하면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 사이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돌출부(12)의 타면측은 상기 몸체부(10)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경사짐에 따라 단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부착면(16)은 상기 각 고정치아(t2)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출부(14b)측에 대응되는 상기 제2돌출부(12)의 타면측은 상기 인접치아(t3)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치간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쐐기형상의 치간 내측으로 상기 제2돌출부(12)의 단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출부(14b)가 상기 치간 내측과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각 단부(wa)가 상기 제2고정관부(14)를 관통하기만 하면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의 치간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고정 작업이 더욱 간소화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100)은 상기 각 고정관부(13,14)가 상기 고정각도(d1)로 교차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단부(wa)가 순차적으로 관통되면서 절곡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마감 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각 고정관부(13,14)로부터 상기 와이어(w)를 분리하기만 하면 상기 교정용 브라켓(b)에 가해지는 장력을 탄력적으로 재조절할 수 있어 치열교정의 정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고정관부(13,14)의 이웃한 인출부(13b) 및 인입부(14a) 사이에 함몰 형성된 상기 고정홈부(15)에 상기 와이어(w)의 절곡부(wb)가 꺾임 수용되면서 형성되는 다중 절곡 구조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w)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탄성밴드(20)가 상기 고정홈부(15) 및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도록 탄발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w)의 다중 절곡 상태를 보장 지지하면서도 착탈이 용이하여 설치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고정관부(14)의 인출부(14b)가 상기 각 고정치아(t2) 및 상기 인접치아(t3)의 치간방향과 대응되도록 개구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단부(wa)가 이웃하는 치아(t2,t3)의 치간 사이로 자연스럽게 가이드되면서 삽입된다. 따라서, 구강 내측으로 돌설되는 구조가 최소화되고 컴팩트화되므로 치열교정 치료가간 중 구강 내부조직과의 간섭 및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치간으로 삽입 연장된 길이만큼의 여유길이가 확보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최초로 설치된 와이어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탄력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하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몸체부 13 : 제1고정관부
14 : 제2고정관부 15 : 고정홈부
16 : 부착면 17,18 : 단턱부
20 : 탄성밴드 100 :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b : 교정용 브라켓 w : 와이어
T : 대상치아부

Claims (5)

  1. 치열교정을 위해 대상치아부를 따라 부착되는 교정용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내면이 상기 대상치아부의 양측으로 이웃한 각 고정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몸체부;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1차 관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기설정된 제1관통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고정관부; 및
    상기 제1관통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고정각도로 경사진 제2관통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각 단부가 2차 관통되는 제2고정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인출부와 상기 제2고정관부의 인입부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가 꺾임 수용되도록 함몰된 고정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인출부와 상기 제2고정관부의 인입부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고정홈부의 내면측으로 가압 구속하도록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측이 상기 몸체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탄성밴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탄성밴드의 타단부측이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제1고정관부의 일측방향으로 돌설된 단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방향은 상기 각 고정치아 및 인접치아의 치간방향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170110714A 2017-08-31 2017-08-31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0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14A KR102002148B1 (ko) 2017-08-31 2017-08-31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14A KR102002148B1 (ko) 2017-08-31 2017-08-31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97A KR20190024097A (ko) 2019-03-08
KR102002148B1 true KR102002148B1 (ko) 2019-07-19

Family

ID=6580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14A KR102002148B1 (ko) 2017-08-31 2017-08-31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12B1 (ko) * 2019-08-14 2020-11-23 주식회사 디오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WO2021137621A2 (ko)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기구 및 바이트 블록
KR102178090B1 (ko) *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0Y1 (ko) 2005-06-21 2005-09-13 정택빈 치열교정용 와이어 끝단 덮개
US20120058443A1 (en) 2009-05-15 2012-03-08 Hajime Tamura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US20130309624A1 (en) * 2006-09-07 2013-11-21 Rmo, Inc.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ystem Employing Brackets Having Rotatable Members
KR101737947B1 (ko) 2016-01-04 2017-05-19 권순용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548A (ja) * 1996-09-24 1998-04-14 Hiroshi Nezu 歯列矯正用チュ−ブ
US7033170B2 (en) * 2004-05-11 2006-04-25 Mark Andrew Cordato Orthodontic bracket and clip
KR101374835B1 (ko) * 2012-04-23 2014-03-17 (주)덴토스 결속이 용이한 치열교정용 대구치 설측 브라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70Y1 (ko) 2005-06-21 2005-09-13 정택빈 치열교정용 와이어 끝단 덮개
US20130309624A1 (en) * 2006-09-07 2013-11-21 Rmo, Inc. Self 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ystem Employing Brackets Having Rotatable Members
US20120058443A1 (en) 2009-05-15 2012-03-08 Hajime Tamura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KR101737947B1 (ko) 2016-01-04 2017-05-19 권순용 전치 견인용 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97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9294B2 (ja) 着脱可能な歯列矯正装置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US5829970A (en)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and method
KR100763315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999378B1 (ko) 치열 교정장치
US11419704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CA3047629A1 (en)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JPH01259856A (ja) 小児の歯列矯正固定具
KR102002148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US7625206B2 (en)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US200801080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s
JP2013505756A (ja) 歯科矯正機能ワイヤアーチおよび該機能ワイヤアーチを含む歯科矯正治療システム
KR101592421B1 (ko) 상악 치열 교정 장치
CA2994022C (en) An orthodontic anchorage device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KR102619130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US9370407B1 (en) Canine tooth traction device and method
KR102246987B1 (ko) 치열교정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복합 리테이너 제조방법
KR102597281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20230115420A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튜브
JP2023127580A (ja) 歯科矯正装置
KR20190005937A (ko) 치아교정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