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039B1 -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039B1
KR101894039B1 KR1020160163315A KR20160163315A KR101894039B1 KR 101894039 B1 KR101894039 B1 KR 101894039B1 KR 1020160163315 A KR1020160163315 A KR 1020160163315A KR 20160163315 A KR20160163315 A KR 20160163315A KR 101894039 B1 KR101894039 B1 KR 10189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ire
pair
toot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512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6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0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치열교정을 위한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치근측에 대응하여 개구된 하측 결합홈부에 상기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전후방향보다 양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취부홈이 형성된 한쌍의 절곡홀더부를 포함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치열교정을 위한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상기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부정교합의 원인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및 치아우식증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또한, 정확한 칫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여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더욱이, 정상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이 가해질 가능성도 크다.
이에,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치열 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상세히, 치열 교정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에 설치 및 분리 가능한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 나뉠 수도 있다.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교정대상 치아(t)의 표면에 각각 부착되고, 와이어(w)는 상기 브라켓(100)을 상호 연결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 치아(t)의 위치 및 자세(각도)를 서서히 교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00)은 일면이 각 교정대상 치아(t)와 개별 되응되고 타면에는 상기 와이어(w)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상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 치열 교정치료시 피시술자의 심미적인 시술만족도가 향상되도록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교정대상 치아(t)의 설측(lingual)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부(이하 상측 결합홈부)는 시술자가 개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므로 와이어의 체결과정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결합홈부(111a, 이하 하측 결합홈부)는 실질적으로 치근과 인접한 잇몸측으로 개구됨에 따라 시술자가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체결구(1)가 일부 개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1)는 손잡이(4)의 단부에 와이어홀더부(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홀더부(2)는 절곡연결부(2b)를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4)와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홀더부의 단부(2a)에 상기 와이어(3)가 삽입되는 홈(3)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1)는 상기 와이어홀더부(2)의 연장방향과 대응된 말단부측으로 상기 홈(3)이 개구되되, 상기 홈(3)의 함몰방향이 상기 와이어홀더부(2)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교차된다.
이로 인해,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 체결구(1)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구강 내측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4)의 핸들링 반경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홈(3)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시 상기 홈(3)의 개구방향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이 대응되도록 핸들링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홀더부의 단부(2a), 절곡연결부(2b)의 외면측에 긁혀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와이어 체결구(1)의 핸들링 반경(a)이 커짐으로 인해 피시술자의 개구 간격이 크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교정치료 과정에서 불편함 및 고통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3436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치열교정을 위한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되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를 로딩하고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된 디지털 브라켓의 치근측에 대응하여 개구된 하측 결합홈부에 상기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전후방향보다 양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자중에 의해 수용되는 취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절곡홀더부; 및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측에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이 형성된 한쌍의 단차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과 각각 대응하여 절곡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라운드진 절곡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부홈은 상기 브라켓의 타면과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절곡라운드부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하면과 대응 배치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단부의 경사내면측에 상기 하측 결합홈부의 개구방향과 대응되도록 각각 함몰 형성되되,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연결부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는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은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상기 절곡홀더부의 경사내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상기 취부홈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이 방지되어 체결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취부홈의 함몰방향이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됨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하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치관 단부측으로 당겨지는 간단한 핸들링만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에 견고하게 삽입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이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어 구강 내부 연조직 및 주변에 도포된 레진의 긁힘이 방지되며, 상기 와이어 체결장치의 전체적인 핸들링 반경이 작아져 구강의 개구 간격이 최소한으로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연결부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에 따라 시술자의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와이어 체결구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와이어를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타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교정대상 치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100)은 일면이 치아(t)의 외면에 부착되는 패드부(110)의 타면측에 결합홈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은 구강의 혀 및 입천장과 대응되는 각 치아(t)의 내면측, 즉 설측에 고정됨에 따라 치열 교정치료 기간 중 상기 브라켓(100) 및 와이어(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심미적 만족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00) 및 상기 와이어(w)의 돌출된 외면에 순측 내지 협측의 연조직이 긁혀 상처가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111)는 상기 치아(t)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장력을 제공하는 상기 와이어(w)가 삽입 및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100)의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 및 하측으로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결합홈부(111)의 내측단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측 결합홈부(111b)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도 4의 h2)으로 개구되고 하측 결합홈부(111a)는 하측방향(도 4의 h1)으로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는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에 대응되고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상기 치아(t)의 치근측에 대응된다.
이때,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각 내측단 및 개구부가 상기 브라켓(100)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각 결합홈부(111)의 개구부를 통하여 각 내측단 측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결합홈부(111)의 개구부측은 상기 와이어(w)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각 결합홈부(111)의 내측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각 개구부측으로 이탈 및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결합홈부(111)는 상기 패드부(110)에 직접 관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와이어(w)의 장력이 상기 치아(t)에 보다 집중적으로 가해지면서도 결찰철사(미도시)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패드부(110)의 타면부에 일체로 돌설된 돌출부(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단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그립부(210), 연결부(220)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도 5의 1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핸들링에 의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견인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형성된 결합홈부, 특히 상기 치아(t)의 설측에 부착된 상기 브라켓(100)에서 치근측(tb)으로 개구됨으로 인해 시술자가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시술자라 함은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교정부품(브라켓, 와이어)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부착 및 체결하는 의료행위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시술자는 치열 교정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210)는 시술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스틱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210)는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면에는 시술자의 파지시 손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형상의 논슬립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210a)로부터 상기 연결부(220)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20)는 전후방향의 폭(L2)보다 양측방향의 폭(L1)이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폭(L1)은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시술자의 손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삽입 내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210a)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연장방향(p1)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d1)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w)가 수용되는 취부홈(233)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로부터 상기 연결부(220)의 단부측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함몰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취부홈(233)의 개구부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 사이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취부홈(233)에 상기 와이어(w)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가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표면 및 이와 인접한 잇몸조직에 접촉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치아(t)에 부착된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을 감싸듯이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에 형성된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가 상기 그립부(210)를 쥐고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과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견인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233)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에 걸림 구속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체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는 내측단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w)의 자중에 의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내면(231)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취부홈(233)으로부터 상기 와이어(w)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체결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에 각각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를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각도(d1)로 절곡 연결하는 절곡라운드부(221)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220)의 연장방향(p1)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연장방향(p2)은 상기 절곡라운드부(221)를 중심으로 상술한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일체로 절곡 연장된다. 즉, 상기 연결부(220), 상기 절곡라운드부(221)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실제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부분의 기능에 따라 구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기설정된 각도(d1)에 대응하여 절곡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각도(d1)는 상기 연결부(22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가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단부면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라운드부(221)를 중심으로 한 경사내면(231)측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될 수 있는 각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내면(231)이라 함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이루는 각이 작은 쪽에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내면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술되는 경사외면(232)은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이루는 각이 큰 쪽(도 3의 d4에 대응)에 대응되며 상기 경사내면(231)과 대향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외면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과 각각 대응되는 각도로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는 경사내면(231)에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측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과 상기 연결부(220)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 상기 취부홈(233)의 함몰방향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은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와 대응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견인되도록 당기는 간편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삽입 및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핸들링 반경이 작아져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조작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는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각 형성되므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의 개구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면 상기 취부홈(233)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 위치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부측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외면이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로의 삽입이 가이드되므로 체결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양측방향의 폭(L1)이 큰 장방형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2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상기 수용공간(s)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s)에 상기 치아(t)에 부착된 브라켓(100)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가로방향 양측면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에 간섭되지 않고도 상기 와이어(w)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까지 견인하여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는 간격이 실질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이용한 상기 와이어(w)의 이동 및 고정 작업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에 상기 브라켓(1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당기는 조작만으로도 상기 취부홈(233)이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에 대응되도록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과 대응되도록 절곡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와 상기 취부홈(230)의 함몰방향이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1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치아(t)의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힘의 방향과 상기 취부홈(230)의 함몰 형성된 방향이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술자가 최소한의 당기는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에 상기 와이어(w)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로부터 분리되거나 주변 치아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부홈(233)은 내측단이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의 최대치 직경에 대응하되, 개구부 테두리에는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의 최소치 직경에 대응하는 단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치열교정 치료시 사용되는 와이어는 단면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 등의 다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단면폭(직경)이 0.25mm, 0.3mm 및 0.35mm로 규격화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는 0.3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뿐만 아니라 0.2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가 걸림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와이어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취부홈(233)은 내측단이 0.3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 사이 간격이 0.25mm의 단면폭(직경)을 갖는 와이어보다 좁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로 다양한 와이어 직경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연장되며,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각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라 함은 상기 브라켓(100)의 일면(100a) 및 타면(100b) 사이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연장된 길이가 상기 브라켓(1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일단부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일측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강 내부 조직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며 피시술자가 최소한의 개구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이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됨에 따라 주변치아의 잇몸 또는 유동되는 혀의 외면이 긁혀 상처가 발생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측(210a)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234, 도 4의 해칭부분)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220)의 일측 두께(t1)가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핸들링시 휘어짐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측으로 갈수록 타측 두께(t2)가 얇게 형성되어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날개부(234)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측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지지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되더라도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변형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외면측(232)에는 상기 절곡홀더부(230)의 두께보다 돌출된 돌출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돌출보강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은 최소화되면서도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220)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티타늄과 같은 생체 친화적인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내부에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표면이 접촉되더라도 감염 내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티타늄 재질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휘어짐 내지 변형이 방지되는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이므로 시술자의 핸들링시 피로도 내지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의 타측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210)의 타단부(210b)에는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는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210)의 타단부(210b)로부터 타측연결부(240)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타측연결부(240)도 상기 연결부(220)와 마찬가지로 양측방향 폭이 전후방향 폭보다 큰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연결부(240)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절곡 연장되되, 구배부(251) 및 단차연장부(25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타측연결부(240)의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구배진 상기 구배부(251)가 일체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구배부(251)는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가 대합치아 내지 입술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배부(251)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구배부(251)의 구배방향과 대향측으로 기설정된 제3각도(d3)에 대응하여 구배진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연장부(252)는 상기 푸시홈(253)이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의 내측단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배부(251)와의 절곡부가 상기 브라켓(100)이 부착된 치아(t)의 치관 단부측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각도(d2)와 상기 제3각도(d3)는 상기 타측연결부(24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단차지되 각각의 연장방향(p3,p5)이 상호 대응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는 상기 타측연결부(240) 및 상기 구배부(251)의 연장방향(p3,p4)은 상기 제2각도(d2)에 대응하여 구배진다. 동시에, 상기 구배부(251) 및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방향(p4,p5)는 상기 제3각도(d3)에 대응하여 구배지되 상기 타측연결부(24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방향(p3,p5)는 대응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와 상기 푸시홈(253)이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구배부(251)가 상기 치아(t)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자연스럽게 절곡되면서 구강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에 삽입되도록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를 핸들링시에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지그재그로 다단 절곡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와 상기 단차연장부(25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푸시홈(253)이 상기 단차연장부(252)의 연장된 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부(210)를 쥔 상태에서 상기 치아(t)의 치근측으로 미는 힘의 방향과 상기 푸시홈(253)의 함몰 형성된 방향이 대응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최소한의 미는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상측 결합홈부(111b)에 상기 와이어(w)가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브라켓(100)이 상기 치아(t)로부터 분리되거나 주변 치아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에 와이어(w)를 당겨서 삽입하기 용이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브라켓(100)의 상측 결합홈부(111b)에 와이어(w)를 밀어서 삽입하기 용이한 한쌍의 단차홀더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아(t)에 부착된 브라켓(100)에 와이어(w)를 삽입시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측 및 하측에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홈부에 상기 와이어(w)를 손쉽게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 교정치료시 필요로 하는 교정기구가 최소화되어 경제적이며 시술자의 시술공수가 단순화되어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일단부측에 구비되는 절곡홀더부(230)의 취부홈(233)과 타단부측에 구비되는 절곡홀더부(230)의 취부홈(233)은 직경이 상호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로 상기 치열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와이어 직경에 대응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경제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의 일측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취부홈(333)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취부홈(333)은 내측단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330)의 경사외면(332)측 말단부를 항햐여 구배지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취부홈(333)은 개구부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 및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 사이 두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내측단이 상기 경사외면(332)측 말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구배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취부홈(333)의 일측내면에는 상기 취부홈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단부(333a)가 형성되고 타측내면에는 상기 걸림단부(333a)와 대향되되 상기 걸림단부(333a)의 연장길이보다 긴 구속단면부(333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걸림단부(333a)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300)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외측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더라도 상기 취부홈(333)에 안정적으로 걸림 수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단면부(333b)가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333)에 수용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와이어(w)의 취부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취부홈(333)의 내측단 및 개구부가 실질적으로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내측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더라도 상기 걸림단부(333a)의 돌설폭만큼 개구폭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333)에 수용된 상태에서 별도의 단턱부가 없이도 안정적으로 걸림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취부홈(333)의 함몰방향과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개구방향이 대응되도록 핸들링되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그립부가 대합치아 및 입술로부터 더욱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의 체결과정에서 피시술자의 고통 및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100)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따라 개별 설정되는 디지털 브라켓(1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전술된 상기 브라켓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지털 브라켓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치아이미지는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 및 로딩되는 오랄스캔 이미지상에서 잇몸이미지와 분리된 후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라 함은 피시술자의 치열이 바람직한 기능적, 심미적 교합상태로 교정되도록 수립된 치열 교정치료 계획에 따른 가상 치열궁 프로파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은 상기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되되, 상기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정렬된 각 치아이미지에 대응하여 동시에 배치된 후 각각의 치아(t) 외면에 형합되도록 개별적으로 설계된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설계 및 제조는 신속하고 용이하면서도 교정대상 치아 외면의 정확한 위치에 형합 부착이 가능하므로 치열 교정치료의 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상측에는 각 치아(t)의 특징적인 저작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지그부(12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치아(t)의 상단부에 상기 지그부(120)의 내면이 상호 형합됨으로써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정확한 부착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정확한 부착위치라 함은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부착되어 치열 교정치료를 위한 와이어(w)의 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각 치아(t)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그부(120)와의 경계부에 분절엣지(12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이 상기 각 치아(t)에 부착된 후 소정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치아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으로부터 상기 지그부(1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부(120)의 상측에는 기설정된 취부면적으로 돌설된 그립돌출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그립돌출부(130)에는 각 디지털 브라켓(100)이 부착되는 치아(t)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표식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브라켓(100)의 취부 및 위치 인지가 용이하다.
물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디지털 브라켓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치열 교정치료를 위해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는 패드부와 와이어의 체결을 위해 관통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형태라면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홈부가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브라켓에 상기 와이어를 체결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200,300)는 상기 연결부(220) 및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100b) 및 하면(100c)에 각각 대응되도록 절곡 연결되되, 상기 취부홈(233)은 상기 브라켓(100)의 하측 결합홈부(111a)와 대응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경사내면(231)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취부홈(233)의 내측단에 자중에 의해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이 방지되어 체결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하면(100c)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홈(233)의 함몰방향이 상기 그립부(210)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10)를 쥐고 최소한의 힘으로 치관 단부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핸들링만으로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하측 결합홈부(111a)의 내측단까지 견고하게 삽입 및 고정된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시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가 상기 브라켓(100)의 외면형상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핸들링 반경이 작아지므로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조직과의 간섭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말단부(230a)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221)의 외면(221a)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구강 내부 연조직 및 주변에 도포된 레진의 긁힘을 방지하여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고통이 감소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그립부(21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20)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강날개부(240)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w)를 상기 브라켓(100)에 체결하기 위한 핸들링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230)의 변형 및 파손됨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 : 와이어 체결장치 210 : 그립부
220 : 연결부 230 : 절곡홀더부
233 : 취부홈 234 : 보강날개부
250 : 단차홀더부 251 : 구배연장부
252 : 단차연장부 253 : 푸시홈
100 : 브라켓 t : 치아

Claims (5)

  1. 일면이 치아의 외면에 부착되되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획득된 오랄스캔 이미지를 로딩하고 기설정된 연속치열구조에 따라 가상조절된 각 치아이미지와 대응되도록 디지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가상 교정 탬플릿의 디지털 외형정보로부터 설정된 디지털 브라켓의 치근측에 대응하여 개구된 하측 결합홈부에 상기 치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를 삽입 및 고정하기 위한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에 있어서,
    파지 가능하도록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전후방향보다 양측방향의 폭이 크게 형성되되,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측방향 양단부로부터 각각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하측 결합홈부와 대응되는 단부면측에 상기 와이어가 자중에 의해 수용되는 취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디지털 브라켓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되 상기 브라켓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절곡홀더부; 및
    상기 그립부의 타단부측에 상기 그립부의 연장방향과 단차지게 지그재그로 절곡되되 단부에 푸시홈이 형성된 한쌍의 단차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가 상기 브라켓의 타면 및 하면과 각각 대응하여 절곡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에는 기설정된 각도로 라운드진 절곡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부홈은 상기 브라켓의 타면과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절곡라운드부를 중심으로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의 하면과 대응 배치되는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단부의 경사내면측에 상기 하측 결합홈부의 개구방향과 대응되도록 각각 함몰 형성되되,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의 말단부 및 상기 절곡라운드부의 외면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그립부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한쌍의 절곡홀더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보강날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3315A 2016-12-02 2016-12-02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89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ko) 2016-12-02 2016-12-02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ko) 2016-12-02 2016-12-02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12A KR20180063512A (ko) 2018-06-12
KR101894039B1 true KR101894039B1 (ko) 2018-09-03

Family

ID=6262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15A KR101894039B1 (ko) 2016-12-02 2016-12-02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621A2 (ko) * 2019-12-30 2021-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기구 및 바이트 블록
KR102339768B1 (ko) 2019-12-30 2021-12-1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기구 및 바이트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4617A1 (en) * 2007-06-28 2009-01-0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orthodontic bracket systems
US20130230817A1 (en) * 2011-02-08 2013-09-05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0368A (en) * 1995-10-23 1998-10-13 Wolk; Roger S. Disposable applicator for forming and retaining an orthodontic attachment
EP0906749A1 (fr) 1997-10-03 1999-04-07 Wenger S.A. Trousse de maintenance pour appareil médical orthodontique
US6776614B2 (en) * 2002-02-13 2004-08-17 Lingualcare, Inc.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4617A1 (en) * 2007-06-28 2009-01-01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orthodontic bracket systems
US20130230817A1 (en) * 2011-02-08 2013-09-05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12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7020B2 (ja) 自己結紮歯科矯正ブラケット
JP6539294B2 (ja) 着脱可能な歯列矯正装置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JP4903502B2 (ja) 改良型矯正用ブラケット
US4412819A (en) Orthodontic arch wire
US9498304B2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JP6878469B2 (ja) 整形外科−歯科矯正用大臼歯ディスタライザー
US20060046224A1 (en) Molar appliance for an orthodontic brace
JPH0371896B2 (ko)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US7396230B2 (en) Molar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hinged bracket cover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US6722878B2 (en) Lingual archwire forming appliance
US20220110720A1 (en)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KR20190024097A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1249175B1 (ko) 치아 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501197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KR102597281B1 (ko) 치열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2181712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