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197B1 -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 Google Patents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197B1
KR101501197B1 KR1020130150746A KR20130150746A KR101501197B1 KR 101501197 B1 KR101501197 B1 KR 101501197B1 KR 1020130150746 A KR1020130150746 A KR 1020130150746A KR 20130150746 A KR20130150746 A KR 20130150746A KR 101501197 B1 KR101501197 B1 KR 10150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dy
wire insertion
bracket
wir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710A (ko
Inventor
김피터에이치
Original Assignee
(주)스타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타덴텍코리아
Priority to PCT/KR2014/0119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4102A1/ko
Publication of KR2015002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와이어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술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매우 증대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 삽입홈에 치아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으므로 교정고무줄을 걸기 위한 별도의 후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과 와이어의 결찰 시 고무링 혹은 클립을 사용치 않으며, 보다 손쉽게 와이어와 결찰이 쉬운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tooth arrangement, 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malocclusion)이라 하는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치열의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열 교정기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70916호('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093호('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제시되어 있다.
치아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치아는 브라켓에 의하여 치열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브라켓을 한 번 치아에 장착한 후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치아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치열 내에서 치아의 위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경되어 가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에 장착 후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찰 시 고무링 혹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장착된 클립을 사용하여 와이어와 결찰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제작단가 및 치료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을 치아에 장착한 후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찰을 위한 고무링 혹은 클립 없이 브라켓 세트의 구조로 자가결찰을 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구가 안착되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상기 체결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브라켓 본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아에 장착한 후에 치아 교정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치아의 위치에 따라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를 삽입한 후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교정고무줄 등을 브라켓 본체에 걸어 와이어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치아 교정 과정에서 최적의 힘을 치아에 가함으로써 전체 치아 교정 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교정환자의 만족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
둘째,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체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브라켓 본체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브라켓 본체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를 브라켓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를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빼낸 다음, 다른 위치의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술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시술자와 교정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
셋째, 브라켓 본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와이어 삽입홈에 치아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으므로 교정고무줄을 걸기 위한 별도의 후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넷째,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됨으로써,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된 체결구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체결구 분리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섯째, 체결구의 양단에 스토퍼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의 브라켓 본체 장착 시 체결구가 쉽게 브라켓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체결구의 내측면에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의 안착 시 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와이어를 브라켓 본체에 지그재그로 장착할 수 있어 빠르게 쉽게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치열 교정을 위한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치아 배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결합도.
도 4는 도 1의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브라켓 본체(100)와 체결구(200)를 포함한다.
브라켓 본체(100)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와이어(300)의 견인력이 치아에 작용할 수 있게 치아에 부착되어 와이어(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100)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101)을 가진다.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은 치아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거나 치아 표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은 레진 등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도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 본체(100)는 상,하면, 전, 후면, 양측면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이고, 브라켓 본체(100)가 구강 내 접촉 시 모서리 부분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전면의 경계면과, 하면과 전면의 경계면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각각 경사면(102)을 가진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100)에는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300)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하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서로 이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또한,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10도 내지 20도 이내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의 하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 분리홈(150)은 브라켓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각각 두 개의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됨으로써,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된 체결구(200)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체결구 분리홈(15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면서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도 2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거나, 도 3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 하측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와이어(3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체결구(200)의 상세 구조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따르면, 체결구(200)의 양단에는, 체결구(200)가 브라켓 본체(100)에 장착 시 브라켓 본체(1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2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230)는 브라켓 본체(100)에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구(200)의 양단에 스토퍼(230)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200)의 브라켓 본체(100) 장착 시 체결구(200)가 쉽게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2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체결구(200)의 내측면에는, 체결구(200)가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 시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200)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양측면의 내측에 안쪽으로 볼록하게 마련되어 있다.
즉, 체결구 안착홈(130)에 체결구(200) 안착 시 탄성고정부(210)가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210)의 폭은 체결구 안착홈(130)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210)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200)의 안착 시 체결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을 레진 등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와이어(300)를 브라켓 본체(100)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의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까지 완전히 삽입한다. 그러면 와이어(3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으로 통과한다.
그런 다음,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한다.
이때,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마련된 탄성고정부(210)는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가므로 체결구(200)의 안착 시 체결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구(200)의 양단에 마련된 스토퍼(230)는 브라켓 본체(100)에 걸려 고정되므로 체결구(200)가 쉽게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2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는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된다.
필요에 따라 와이어(3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라켓 본체(100)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300)를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빼낸 다음, 도 3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를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체결구(200)를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치아에 장착한 후에 치아 교정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를 삽입하여 치아의 위치에 따라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300)를 삽입한 후 별도의 체결구(200)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교정고무줄 등을 브라켓 본체(100)에 걸어 와이어(3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치아 교정 과정에서 최적의 힘을 치아에 가함으로써 전체 치아 교정 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교정환자의 만족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
둘째, 와이어(300)를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체결구(2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브라켓 본체(100)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3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브라켓 본체(100)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300)를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빼낸 다음, 다른 위치의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와이어(300)의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술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시술자와 교정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
나아가,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와이어 삽입홈(110)에 치아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으므로 교정고무줄을 걸기 위한 별도의 후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체결구(200)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형성된 체결구 분리홈(150)에 체결구(200)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삽입하여 체결구(200)를 앞으로 당겨 주기만 하면, 체결구(200)가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목적에 따라 구강 내의 여러 지점에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의 배열을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따르면,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는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a ~ 100j)를 포함하는데, 각 브라켓 본체(100a ~ 100j)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101)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300)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브라켓 본체(100a, 100c, 100e, 100g, 100i)의 상측에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면 하측에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b, 100d, 100f, 100h, 100j)의 하측에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측에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 삽입홈(110)의 깊이가 고무줄 삽입홈(170)의 깊이보다 더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1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킹홈(190)은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 본체(100a ~ 100j)는 와이어 삽입홈(110)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먼저, 상악치에 부착되는 브라켓 배열을 살펴보면,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a ~ 100e)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a)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a)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브라켓 본체(100a)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a)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다음에 배치되는 바깥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b)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b)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b)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송곳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c)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00)은 브라켓 본체(100c)의 연직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첫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d)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d)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d)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둘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e)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e)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e)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브라켓 본체 중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체결구(200)가 장착되면,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참조)
다음으로, 하악치에 부착되는 브라켓 배열을 살펴보면,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f ~ 100j)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f)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f)의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f)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다음에 배치되는 바깥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g)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g)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g)의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송곳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h)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00)은 브라켓 본체(100h)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첫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i)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i)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i)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배치되는 둘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j)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j)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j)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배열된 브라켓 본체 중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체결구(200)가 장착되면,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와이어를 브라켓 본체에 지그재그로 장착할 수 있어 빠르게 쉽게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치열 교정을 위한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치아 배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브라켓 본체
101 : 부착면
110 : 와이어 삽입홈
130 : 체결구 안착홈
150 : 체결구 분리홈
200 : 체결구
210 : 탄성고정부
230 : 스토퍼
300 : 와이어

Claims (16)

  1.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상기 체결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구가 안착되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브라켓 본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9.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20130150746A 2013-08-30 2013-12-05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KR10150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925 WO2015084102A1 (ko) 2013-12-05 2014-12-05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83 2013-08-30
KR20130103983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10A KR20150026710A (ko) 2015-03-11
KR101501197B1 true KR101501197B1 (ko) 2015-03-12

Family

ID=5302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746A KR101501197B1 (ko) 2013-08-30 2013-12-05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419A (ko) * 2014-12-05 2016-06-15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73B1 (ko) * 2005-10-12 2007-0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2007151773A (ja) * 2005-12-05 2007-06-21 Norifumi Kimur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JP2010274109A (ja) * 2009-04-27 2010-12-09 Takeshi Kameda 歯列矯正用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73B1 (ko) * 2005-10-12 2007-0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JP2007151773A (ja) * 2005-12-05 2007-06-21 Norifumi Kimur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JP2010274109A (ja) * 2009-04-27 2010-12-09 Takeshi Kameda 歯列矯正用チュー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419A (ko) * 2014-12-05 2016-06-15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648419B1 (ko) 2014-12-05 2016-08-16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10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166B1 (ko)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JP7153571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100918966B1 (ko) 치열교정장치
KR101695355B1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US8920164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d removing orthodontic cap
US7134873B2 (en) Orthodontic wire ligating member
US11419704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KR101667753B1 (ko) 치아 교정장치
US9289274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KR20140144044A (ko)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1479004B1 (ko) 치열교정용 미니 브라켓 및 치열교정세트
KR101501197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KR101995372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법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648419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KR101379618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링
KR20110009777U (ko) 치아교정 시술용 고정구
KR101299811B1 (ko) 무날개 치아교정용 브래킷
KR20230095929A (ko) 치열 교정 장치
KR101768565B1 (ko) 치열교정 브라켓
KR102301150B1 (ko) 레진 커버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및 몰드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KR101366038B1 (ko) 자가 결찰 브래킷
KR101919411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JP2005185428A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