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11B1 -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11B1
KR101919411B1 KR1020180010139A KR20180010139A KR101919411B1 KR 101919411 B1 KR101919411 B1 KR 101919411B1 KR 1020180010139 A KR1020180010139 A KR 1020180010139A KR 20180010139 A KR20180010139 A KR 20180010139A KR 101919411 B1 KR101919411 B1 KR 10191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hape
elasticity
coupled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소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소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소존
Priority to KR102018001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제1형태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제2형태에서 제1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제1부; 제1부와 결합되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제2부; 및 제2부 및 제1부가 조립된 조립체가 결합되고, 치아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제3부;를 포함하고, 조립체 및 제3부 간의 결합은 제1부가 제1형태의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치아교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치아는 색깔과 형태에 의해 외관상 형성되는 이미지로 인해 개인적 외모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치아의 정렬에 따른 치열은 치아의 자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골격구조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외적 이미지의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기형적 치열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외적 이미지에 대한 영향뿐만 아니라 자체적 식생활 등에도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서 치열의 교정은 치의학상 중요한 치료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치의학적치료 중에서 치열의 교정술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방법 또는 기술 또한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근래까지 널리 시술되어온 치열교정술은, 치열을 이루는 각각의 치아의 외측 치표면에 1개씩의 브라켓을 부착하고,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구조물에 철사, 즉 치열 교정용 호선을 형성한 강인한 재질의 와이어를 묶어 와이어의 외적 물리력에 의해서 각각의 치아의 위치 또는 방향을 장시간에 걸쳐 점차적으로 교정시키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아울러, 근래에는 치열의 내측, 즉 치아의 구강내 설(舌)측 표면에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여기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이 와이어의 외력에 의해서 소기의 치열교정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설측 교정 장치와 더불어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교합면 슬롯과 수평 슬롯의 크기가 각각 다르고 결합되는 아치와이어의 단면상 중심부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공지의 브라켓에 있어서, 소구치와 대구치 및 전치 등 치아 교정용 브라켓의 교합면 슬롯과 수평면 슬롯을 교합면에서 일치시켜 같은 크기의 아치와이어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아치와이어를 환자에 구강 내에서 각 치아에 부착된 교정기구와 연결해야 하는 점 때문에 교체 및 세척 등에 있어서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65801 호 (2015.10.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형태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제2형태에서 제1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제1부; 제1부와 결합되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제2부; 및 제2부 및 제1부가 조립된 조립체가 결합되고, 치아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제3부;를 포함하고, 조립체 및 제3부 간의 결합은 제1부가 제1형태의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치아교정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조립체 및 상기 제3부는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제1부는,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는, 제3부에 조립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핀공이 삽입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부는, 조립체 및 제3부 간 결합 시에, 탄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는 제2부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의 안착부는 다면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의 안착부는 사각홈 형태이고, 사각홈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형성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부는, 제1부의 일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는,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부는,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부는, 삽입공에 조립체가 삽입되면, 제1부의 삽입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공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3부는,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제3부 및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2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 및 제2부 간의 결합에 의해 안착부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형태 및 제2형태 간의 변형 및 복원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치아교정기 복수 개 및 각각의 치아교정기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조립체 및 치아에 부착되는 제3부 간의 결합이 되는 치아교정기로서, 조립체가 제1부의 탄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체로부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평면측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측면측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부, 제2부, 제3부로 구분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부는 기능은 클립(clip) 및 캡(cap)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클랩앤캡'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부의 경우에 캐리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3부의 경우 몸체를 형성하므로 바디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교정기는 제1부(100), 제2부(200) 및 제3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100) 및 제2부(200)는 우선적으로 결합되고, 제1부(100) 및 제2부(200)가 결합된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되므로써, 치아교정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인 치아교정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부(300)는 조립체(10)와 결합이 되어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하며, 복수 개의 부품이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일 부품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치아교정 어셈블리는 복수 개의 상기 치아교정기가 각각 하나의 와이어의 일부를 고정시키면서 와이어의 연장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각각의 치아교정기의 제3부(300)가 치아와 접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이란,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제의 경화로 인한 치아 및 제3부의 결합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100), 제2부(200) 및 제3부(300)는 어느 하나 이상이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내구성 및 심미감 등을 고려한 사항이며, 특히 마모 가능성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치아교정기를 위주로 설명하고, 필요에 따라 치아교정 어셈블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교정기의 일 구성인 제1부(100)는 스토퍼(110), 핀공(120), 제1걸림부(130), 삽입부(140) 및 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200)와의 조립순서를 기준으로 제1부(100)를 설명하면, 제2부(200)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15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결합부(150)가 삽입되고 난 후에 삽입부(140)가 제2부(20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50) 및 삽입부(140)는 제2부와 결합되는 방향이 다르게 형성되어, 결합부(150) 및 삽입부(140)의 결합 후에는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방향으로 구속이 이루어져 분리되는 것이 보다 어렵게 설게될 수 있다.
특히, 삽입부(140)의 경우에는, 제1부(100)의 형상변경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형상 변경은 기 결정된 온도 등의 환경에 노출되면 특정 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소재(SMA; shape memory alloys) 또는 탄성을 지닌 소재가 제1형태으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가능하고, 다시 제2형태으로부터 제1형태으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은 다양한 경우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형태를 기준으로 탄성에 의한 형상의 변형(제2형태인 상태) 및 복원(제1형태인 상태)을 예로 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나아가, 제1형태는 조립체(10)와 제3부(300) 간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형성된 형태이고, 제2형태는 탄성 또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한 복원성에 의해 제1형태를 갖추기 위한 과정에서 제1형태 이외의 형태를 갖추는 상태를 제2형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제1부(100)는 일부가 절개된 형상일 수 있고,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이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이동될 수 있다. 즉,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벌어져 넓어진 공간을 통해 제2부(200)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에 벌어진 만큼 탄성에 의해 좁아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형태 및 제2형태 간의 변형과 복원이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를 설명하기 위해 탄성이동방향(E)으로 지칭했을 뿐, 형상기억소재(SMA; shape memory alloy)로 제1부(100)가 구성된 경우에는 형상변형방향 또는 형상복원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의 결합과정이 수행되기 위해 제1부(100)는 탄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부(100)는 수지 및 금속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100) 및 제2부(200)의 결합이 된 조립체(10)의 상태에서,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부(300)와 삽입결합되는 과정에서 삽입한계점까지 조립체(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부(100)에는 스토퍼(11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10)는 조립체(10)와 제3부(300)의 결합과정에서 제3부(300)에 형성된 삽입공(310)을 형성하는 표면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조립체(10)가 더 이상 상기 삽입공(310)으로 삽입되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10)와 제3부(300) 간의 접촉되는 삽입지점이 삽인한계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삽입한계점까지 삽입된 조립체(10)는 삽입공(3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제1부(10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일부는 제1부(100)의 제1걸림부(130) 및 핀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걸림부(130)는 제3부(300)의 일부와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제1부(100)가 지닌 탄성 및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체(10)가 상기 삽입공(3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이동방향(E) 중 제1부(100)가 절개되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고, 삽입과정동안 상기 탄성변형되었던 삽입체는 삽입체의 단부에 마련된 제1걸림부(130)가 삽입공을 관통한 후에 외측으로 노출되면 탄성변형된만큼 탄성복원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복원에 의해 삽입체가 벌어지면서 서로 멀어지게 되고, 멀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3부(300)는 제1걸림부(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은, 삽입체에 상기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힘이 가해지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동에 의해 조립체(10) 및 제3부(300)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힘이 가해지는 경우의 일 예로써, 외력의 작용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은 삽입체 상에 마련된 각각의 핀공(120)에 집게류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서로 모아지도록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에 탄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기 결정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제1걸림부(130)에 의해 제3부(300)와 조립체(10)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부(200)는 삽입체(조립체(10)의 상태에서 제3부(300)의 삽입공(310)에 삽입되는 부분), 삽입홈(220), 고정부(240) 및 안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10)는 다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제2부는 사각형의 홈형태로 안착부가 형성되고, 도시 방향인 사시측 방향을 기준으로 저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7을 통해 안착부(2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수직 이외의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삽입홈(220)에는 제1부(100)의 결합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0)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50)는 삽입홈(220)에 삽입되어 제1부(100) 및 제2부(2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을 통해 제2부(200) 및 제1부(100) 간의 높이방향으로 분리가 단속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부(100)의 삽입부(14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240)는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체결부(242)가 외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체결부(242)의 단부로부터 확장되는 경사면(2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T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부(240)에 상기 삽입부(14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40) 및 고정부(240) 간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부(100)의 탄성변형에 의해 제1부(100)의 삽입체가 넓어지므로써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부(100) 및 제2부(200) 간의 분리도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개시한 예시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부(100)의 삽입체의 탄성변형이 되는 방향이, 조립체(10)가 제3부(300)와 결합될 때 요구되는 상기 삽입체의 탄성변형되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립체(10; 제1부(100) 및 제2부(200))가 결합될 수 있는 제3부(300)로써,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접합면(3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부(300)는 앞서 설명한 조립체(10)의 일부가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는 삽입공(310)이 마련되고, 조립체(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가이드를 위해 한 쌍의 가이드부(320)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320)의 상단부가 차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앞서 설명한 조립체(10)와의 결합과정에서 조립체(10)의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제1부(100)의 스토퍼(110)와의 접촉이 발생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한계점은 스토퍼(110) 및 차단부의 내측면 간의 접촉 지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부(320)의 일단부에는 제2걸림부(3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걸림부(321)는 제1부(100)에 마련된 제1걸림부(13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한계점까지 삽입된 조립체(10)는 제3부(300)의 삽입공(310)을 일부 관통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걸림부(130)는 제2걸림부(3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걸림부(321)는 조립체의 삽입방향의 단부측에 형성되되, 한 쌍의 가이드부(320)가 마주하도록 대향하는 공간을 향해 기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길이만큼 삽입방향으로 삽입되는 조립체(10)에 의해 제1부(100)는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고, 조립체(10)가 삽입한계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삽입체는 탄성복원될 수 있다.
즉, 탄성복원에 의해 상기 탄성변형이 될 수 있는 기 결정된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1걸림부(130) 및 상기 제2걸림부(321)는 서로 대응되어 맞물림으로써, 조립체(10) 및 제3부(3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평면측 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도 1의 분해사시도 상태의 치아교정기가 조립이 된 상태로써, 제1부(100)의 삽입체 단부측인 제1걸림부(130) 및 핀공(120)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핀공(120)의 노출은 치아교정기의 외부로부터 제1부(100)에 외력을 통해 탄성변형을 가하기 위한 구조의 일예로써, 본 실시예와 같이 관통공의 형상인 핀공(120)일 수 있고, 상기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홈 형태의 구조가 제1부(100)의 절개된 삽입체 각각의 좌우측 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통해 설명한 고정부(240)는 제1부(100)과의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경사면(24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241)은 탄성소재의 제1부(100)과의 결합을 위해 삽입체를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사시측 도면의 수직하방으로 제1부(100)를 가압할 경우, 하방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면(241)에 의해 상기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체가 탄성이동방향(E)으로 탄성변형될 수도 있으나, 상기 탄성변형을 주도 또는 도모하기 위해 경사면(2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41)은 상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평면 또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곡면 또는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 중 본 예시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기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치아교정기에 포함되는 안착부(2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부(300)의 저면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고, 본 예시와 같이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측 단면도에서 확인가능하듯, 안착부(210, 210A, 210B)는 측면을 관통하는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치아는 예를 들어 상측 전치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측 전치가 전방을 향해 뻗어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측 전치에 부착될 치아교정기에는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있는 안착부(210A, 210B)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상측 전치는 일 예이며, 덧니 등의 교정이 필요한 치아에도 기 결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각도란, 앞서 설명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의해 마련되는 안착부(210)를 기준으로 양방향 45도 내외로 형성된 범위를 의미하며, 이러한 각도로 기울어진 안착부(210A, 210B)는 타 치아교정기와 함께 하나의 와이어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을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치 및 구치의 외표면 기울기에 따라 안착면(210, 210A, 210B)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치아교정기와 하나의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교정을 위해서는 비틀림에 의한 탄성도가 다양한 와이어가 단계적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조립체
100 : 제1부
110 : 스토퍼
120 : 핀공
130 : 제1걸림부
140 : 삽입부
150 : 결합부
200 : 제2부
210, 210A, 210B : 안착부
220 : 삽입홈
240 : 고정부
241 : 경사면
242 : 체결부
300 : 제3부
310 : 삽입공
320 : 가이드부
321 : 제2걸림부
330 : 접합면
340 : 차단부
E : 탄성이동방향

Claims (15)

  1. 제1형태로부터 제2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제1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제1부;
    상기 제1부와 결합되고,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제2부;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결합된 상기 제2부, 및 상기 제1부가 서로 조립된 조립체가 결합될 수 있는 제3부로서, 치아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제3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형태는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형성된 형태이고, 상기 제2형태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1형태를 갖출 수 있는 형태이며,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의 결합은 상기 제1부가 상기 제1형태의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치아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는 삽입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부는, 삽입한계점을 결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제3부에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핀공이 삽입방향으로 노출되는, 치아교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조립체 및 상기 제3부 간 결합 시에, 상기 탄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는 상기 제2부에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상기 안착부는 다면홈으로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의 상기 안착부는 사각홈 형태이고,
    상기 사각홈의 깊이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형성범위 내에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는,
    상기 제1부의 일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는,
    상기 제1부의 상기 탄성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가 확장되는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치아교정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삽입공에 조립체가 삽입되면, 상기 제1부의 삽입방향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는, 치아교정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부는,
    상기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삽입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부의 상기 탄성에 의해 상기 제3부 및 상기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 및 상기 제2부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치아교정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형태 및 상기 제2형태 간의 변형 및 복원은 상기 제1부의 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치아교정기.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한 항에 기재된 치아교정기 복수 개 및 각각의 상기 치아교정기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치아교정기 어셈블리.
KR1020180010139A 2018-01-26 2018-01-26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KR10191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39A KR101919411B1 (ko) 2018-01-26 2018-01-26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39A KR101919411B1 (ko) 2018-01-26 2018-01-26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11B1 true KR101919411B1 (ko) 2018-11-16

Family

ID=6456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39A KR101919411B1 (ko) 2018-01-26 2018-01-26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930A (ja) * 2003-08-18 2009-09-17 Ormco Corp 見た目が良好な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KR100959151B1 (ko) * 2007-11-01 2010-05-24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장치
KR101489625B1 (ko)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930A (ja) * 2003-08-18 2009-09-17 Ormco Corp 見た目が良好な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JP2009207932A (ja) 2003-08-18 2009-09-17 Ormco Corp 見た目が良好な自己結紮型歯科矯正ブラケット
KR100959151B1 (ko) * 2007-11-01 2010-05-24 휴비트 주식회사 자가결찰방식의 치열교정장치
KR101489625B1 (ko) 2014-08-14 2015-02-04 문승수 치열 교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9430B1 (ja) 歯科矯正装置
JP6403707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および該ブラケットの設置装置
JP4903502B2 (ja) 改良型矯正用ブラケット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KR101676584B1 (ko) 투명교정시스템
KR20190036507A (ko) 치아 교정용 브래킷
KR102095618B1 (ko) 클래스 ii 및 클래스 iii 교정을 위한 치과 교정술 힘 모듈
US20120028207A1 (en) Orthodontic connector providing controlled engagement with an orthodontic wire
JPH0371896B2 (ko)
JP7164220B2 (ja) 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KR20190019847A (ko) 치아 교정기
KR20140140579A (ko) 원심 이동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92592B1 (ko) 교정 와이어 지지용 튜브형 치과교정기구
TW201716036A (zh) 自鎖式矯正器
KR101919411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JPH11514270A (ja) 歯科矯正器具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US11033363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CN116367791A (zh) 牙列矫正装置
US11020207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expansion of dentition
KR101888990B1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JP2001231792A (ja) 歯並び矯正用治療装置
KR20190091105A (ko) 치아교정기 및 치아교정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