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565B1 - 치열교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열교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565B1
KR101768565B1 KR1020160051681A KR20160051681A KR101768565B1 KR 101768565 B1 KR101768565 B1 KR 101768565B1 KR 1020160051681 A KR1020160051681 A KR 1020160051681A KR 20160051681 A KR20160051681 A KR 20160051681A KR 101768565 B1 KR101768565 B1 KR 10176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dontic
tooth
wire
bracke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랩
Priority to KR102016005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4523 priority patent/WO20171887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브라켓의 형상이 단순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킨 치열교정 브라켓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치아의 굴곡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며,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치아에 장착되는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분말사출성형 방식과 소결 및 고온등방가압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브라켓의 장착과 제거가 용이하고, 구강내의 이물감을 줄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와이어의 탄성력이 저중심에서 형성됨으로써 시술자가 의도하는 세밀한 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열교정 브라켓{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의
형상을 단순화시켜 이물감을 줄이고 장착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증대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불균일한 치열 또는 부정교합의 원인은 치아 자체의 발육이상, 턱뼈의 발육이상, 어릴 때 손가락을 빠는 등의 나쁜 습관 등으로 인해 치아가 제자리에서 바르게 자라지 못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이 치열이 불균일하거나 부정교합인 경우, 대인관계에서 소극적으로 대하게 되고, 원만한 사회생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고 치아 또는 교정기구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므로 각종 치아 질환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과에서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가진 와이어와 브라켓을 이용하여 치열을 교정하는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치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와이어를 결찰시켜 와이어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통해 치아를 이동시켜 치열을 바로 잡게 해 준다.
그러나 치열을 교정하는 장치는 치아를 천천히 이동시켜 교정하게 되므로 치료의 목적이 달성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이로 인해 장시간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생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정밀하고 미세한 치료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치부 치아의 부정교합 교정치료에서는 시술자가 예측하는 결과와는 전혀 다른 예상외의 사례가 종종 발생되어 곤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결찰하는 슬롯이 브라켓의 상부, 즉 지붕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크기가 크고 형상이 복잡해져 이물감이 크며, 치아교정용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의 위치가 높은 중심에 있어서 시술자가 의도하는 계획된 술식을 실시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정교한 교정치료를 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라켓의 재질에 있어서, 철로 제작할 경우 심미성이 떨어지고, 플라스틱의 재질로 제작할 경우 마찰계수가 높아 치아교정용 와이어간 미끄럼성이 떨어지므로 임상적 안전도가 보장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밀하고 미세한 치료에서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성에 부합되는 구조를 갖춤으로 임상적 기능이 반영된 치열교정 브라켓의 개발과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이 단순하고 교정이 용이한 치열교정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물감이 줄어들고, 심미성을 향상시킨 치열교정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은,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치아에 장착되는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치아의 굴곡에 따라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치면에 접착되는 접촉면을 포함한 바닥파트, 상기 접촉면과 대향되는 면에 결합된 지붕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닥파트의 양단은 상기 삽입홈을 따라 상기 지붕파트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촉면에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테두리 내부의 공간에 접착제가 충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붕파트의 전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다결정형 세라믹 재질 또는 다결정형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통부는 분말사출성형 후, 탈지 및 소결 과정을 거쳐 완성하고, 분자간 치밀화를 위해 고온등방가압 방식을 추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삽입홈은 상기 몸통부를 관통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삽입홈은 뚜껑 형태의 부속물을 통해 상기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뚜껑 자가결찰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형상이 단순해 짐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분말사출성형 방식과 소결 및 고온등방가압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적다.
또한, 브라켓의 장착과 제거가 용이하며, 구강내의 이물감을 줄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치아교정용 와이어의 탄성력이 저중심에서 형성됨으로써 시술자가 의도하는 세밀한 교정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이 치아에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이 구강내의 치아에 장착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 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을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바닥파트(100), 지붕파트(200), 삽입홈(300), 몸통부(400), 치아교정용 와이어(500), 결찰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치열을 교정하는 브라켓의 몸통부(400)는 크게 바닥파트(100)와 지붕파트(200)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바닥파트(100)는 치면과 접촉되는 부분이며, 지붕파트(200)는 치아교정용 와이어(500) 및 기타 교정장치들을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지붕파트(200)의 양측에 형성된 슬롯의 사이의 삽입홈(300)에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를 삽입하여 결찰장치(600)를 통해 치아교정용 와이어(5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거나, 일정범위내에서 유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결찰장치(600)는 똑딱이 잠금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잠금식 결합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가결찰 방식이 아닌 고무, 철, 밴딩와이어 등 다른 수단을 통하여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이러한 결합 방식과 형상으로 크기가 대체적으로 커서 많은 이물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시술 시 편리성이 미흡하고 심미적 기대에도 부응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할 수 있으며, 내구성 측면에서 강도가 약하여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안전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치열교정 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바닥파트(100), 접착제 충진공간(110), 테두리(120), 바닥파트 돌출부(130), 지붕파트(200), 삽입홈(300), 몸통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강내의 치면에 접착되는 치열교정 브라켓의 몸통부(400)는 치면의 굴곡에 따라 굴곡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치면과 대향되는 면에서는 이물질이나 구강 내의 혀 또는 점막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선 또는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400)의 전체 높이는 2mm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 또는 물방울처럼 유선과 곡선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
몸통부(400)의 형상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굴곡 진 치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구강 내의 혀 또는 점막조직이 손상되지 않고 이물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몸통부(400)의 재질에 있어서 다결정형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투명성과 우수한 강도를 확보하여 심미성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다결정형 세라믹을 분말사출성형, 소결, 고온등방가압 등의 공법을 적용하여 최종 완성품의 입자크기가 30㎛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정간의 공극을 없애고 단위 입자의 개별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구조적 치밀화를 통해 보다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통부(400)는 다결정형 세라믹을 분말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고 취성 파괴의 위험성이 낮아서 사용 중 또는 장착 중에 파손의 위험을 낮출 수 있고,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크기나 큰 크기의 브라켓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몸통부(4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치아색에 가까운 색상으로도 제조할 수 있어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통부(400)의 재질 및 공정과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통부(400)의 소형화 제작과 투명성을 확보하여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증대시켜 다양한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몸통부(400)의 재질에 있어서 지르코니아,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분말이나, 텅스텐 카바이드, 스테인리스 강 및 티타늄과 같은 금속 분말, 또는 세라믹과 금속의 혼합물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몸통부(400)를 구분하면 크게 바닥파트(100)와 지붕파트(200)로 구분될 수 있다. 바닥파트(100)는 치면과 접착되는 부분으로, 접촉되는 면에는 접착제(도 6의 800 참조, 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는 접착제 충진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충진공간(110)은 접착면에서 오뚜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 되지 않고 접착제(도 6의 800 참조, 미도시)가 충진되어 치면에 브라켓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형성이 가능하다.
접착제 충진공간(110)의 주변에는 테두리(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120)는 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착제(도 6의 800 참조, 미도시)가 충진될 때, 넘치거나 주변으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테두리(120)의 형상에 있어서, 접착제(도 6의 800 참조, 미도시)가 충진되어 치면에 접착이 될 때, 치면의 굴곡에 맞추어 형성되어 넘치거나 주변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바닥파트(100)의 접촉면에 대향되는 면에는 지붕파트(200)가 형성될 수 있다. 지붕파트(200)는 구강 내의 혀 또는 점막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이 되는 부분으로써, 형상에 따라 이물감을 크게 느끼거나 혀 또는 점막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금이라도 날카로운 부분이나 돌출부가 있으면 예민한 구강내의 점막조직은 쉽게 손상되거나 상당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파트(200)는 유선 또는 반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카로운 부분이나 미세의 틈이 없도록 하여 이물감을 줄이고, 혀 또는 점막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지붕파트(200)가 유선 또는 반구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구강내에서 가해지는 스트레스와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손상되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치열교정 브라켓의 측면도를 참조하여 지붕파트(200)를 설명하면, 지붕파트(200)의 양단은 바닥파트(100) 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지붕파트(200)를 통해 바닥파트(100)를 포함한 몸통부(400) 전체의 모양은 버섯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지붕파트(200)의 양단은 핀셋 또는 플라이어 등으로 강하기 파지할 수 있어서, 몸통부(400)를 장착 또는 분리 시킬 때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붕파트(200)의 형상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물감을 줄이고 구강 내의 혀 또는 점막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바닥파트(100)와 지붕파트(200) 사이에는 관통된 홀 형태의 삽입홈(300)이 형성되어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도 6의 500 참조, 미도시) 또는 부자재가 결찰될 수 있다.
삽입홈(3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원형의 경우 Φ0.5 에서 ±0.05mm의 오차범위 내에서 크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의 경우 0.55x0.7 에서 ±0.05mm의 오차범위 내에서 크기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300) 크기의 경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아교정용 와이어(도 6의 500 참조, 미도시) 또는 부자재가 결찰 또는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형성이 가능하며, 양측의 크기가 상이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브라켓이 유동되지 않도록 결찰 또는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바닥파트(100)의 양단은 삽입홈(300)을 따라 지붕파트(200) 보다 돌출된 바닥파트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300)의 양단은 바닥파트 돌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지붕파트(200)의 위에서 밑으로 바라보는 평면도 시점에서 삽입홈(3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열교정 브라켓 장착 시, 작업자가 바닥파트 돌출부(130)의 삽입홈(30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도 6의 500 참조, 미도시) 또는 부자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치아교정용 와이어(도 6의 500 참조, 미도시)가 삽입홈(300)에 삽입될 때,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몸통부(400)를 파지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닥파트 돌출부(130)의 위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열교정 브라켓을 장착할 때 작업자가 삽입홈(300)의 위치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5의 치열교정 브라켓의 다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통부(400)의 양측면이 평평하게 깎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파트 돌출부(130)가 형성되지 않고 바닥파트(100)가 지붕파트(200)와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 브라켓의 몸통부(400)를 파지할 때, 굴곡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집게나 도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치열교정 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이 치아(700)에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바닥파트(100), 접착제 충진공간(110), 테두리(120), 바닥파트 돌출부(130), 지붕파트(200), 삽입홈(300), 몸통부(400), 치아교정용 와이어(500), 치아(700), 접착제(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통부(400)의 바닥파트(100)와 지붕파트(200)는 치아(700)의 굴곡에 따라 곡률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치면에 접착 시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닥파트(100)는 치아(700)의 치면에 접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지붕파트(200)는 직접 접촉되는 구강내의 혀 또는 점막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물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치면에 접촉되는 바닥파트(100)의 접촉면에는 접착제(800)가 충진될 수 있는 접착제 충진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착제(800)를 외부로 흘림이나 새는 것 없이 충진하여 치아(700)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충진공간(110)의 주변에는 테두리(1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다량의 접착제가 깨끗하게 치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의 점성이 크거나 작아도 몸통부(400)가 깨끗하게 치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몸통부(4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홈(300)에 삽입되는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는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몸통부(400)를 유동시키게 된다.
접착제(800)를 통해 치아(700)에 접착된 몸통부(400)는 치아(700)와 함께 유동되어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따라 치열을 정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닥파트(100)의 양단에 형성된 바닥파트 돌출부(130)에는 삽입홈(300)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붕파트(200) 보다 넓은 면적으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의 불필요한 유동을 줄일 수 있고, 중심을 잡아줄 수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가 치열을 교정하는 방향으로만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파트 돌출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치아(700)의 치면에 접착되는 표면적을 확보하여 접착의 용이성과 지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삽입홈(300)은 관통되어 결합되는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와 자가결찰이 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향의 홈이 형성되어 치아교정용 와이어(500)가 일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찰방법,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를 삽입홈(300)에 접착시키는 방법,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와 삽입홈(300)의 마찰을 감소시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를 보다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끼움결찰방법 등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와 삽입홈(300)의 결합을 통해 치아(700)를 이동시켜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결찰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몸통부(400)와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를 오링 또는 결찰용 수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치열교정 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치열교정 브라켓이 구강내의 치아(700)에 장착된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치열교정 브라켓은 몸통부(400), 치아교정용 와이어(500), 치아(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강내의 치아(700)에 장착되는 치열교정 브라켓의 몸통부(400)는 치면에 접착되어 유동되지 않으며, 몸통부(400)간 연결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의 복원력, 탄성력에 의해 치아(700)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치아교정용 와이어(500)는 몸통부(400)간을 연결하여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몸통부(400)를 유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탄성체로의 대체가 가능하다.
한편, 몸통부(400)는 구강내 치아(700)의 전치부 또는 구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치아(7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아(700)의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 장착되거나 전면과 후면에 지그재그로 장착될 수 있다. 몸통부(400)의 구강내 치아(700)의 장착위치 또는 배치에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500)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통해 치면에 접착된 몸통부(400)가 유동되어 치열을 교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장착위치 또는 배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바닥파트
110 : 접착제 충진공간
120 : 테두리
130 : 바닥파트 돌출부
200 : 지붕파트
300 : 삽입홈
400 : 몸통부
500 : 치아교정용 와이어
600 : 결찰장치
700 : 치아
800 :접착제

Claims (8)

  1.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치아교정용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치아에 장착되고 치아면에서부터 1.5mm 미만 높이를 형성하는 몸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상기 치아의 굴곡에 따라 곡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통부는,
    치면에 접착되는 접촉면을 포함한 바닥파트; 및
    상기 접촉면과 대향되는 면에 결합된 지붕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파트의 양단은 상기 삽입홈을 따라 상기 지붕파트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 주변에는 댐 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테두리 내부의 공간에 접착제가 충진 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는 상기 바닥파트와 상기 지붕파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파트의 전면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다결정형 세라믹 재질 또는 다결정형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분말사출성형 후, 탈지 및 소결 과정을 거쳐 완성하거나, 분자간 치밀화를 위해 고온등방가압 방식을 추가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뚜껑 형태의 부속물을 통해 상기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뚜껑 자가결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KR1020160051681A 2016-04-27 2016-04-27 치열교정 브라켓 KR10176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81A KR101768565B1 (ko) 2016-04-27 2016-04-27 치열교정 브라켓
PCT/KR2017/004523 WO2017188764A1 (ko) 2016-04-27 2017-04-27 치열교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81A KR101768565B1 (ko) 2016-04-27 2016-04-27 치열교정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565B1 true KR101768565B1 (ko) 2017-08-17

Family

ID=5975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81A KR101768565B1 (ko) 2016-04-27 2016-04-27 치열교정 브라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8565B1 (ko)
WO (1) WO2017188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007A1 (en) 1998-03-19 2001-10-11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KR101592109B1 (ko) 2014-08-05 2016-02-04 박은호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WO2016119671A1 (zh) 2015-01-29 2016-08-04 吉利 牵引托槽与正畸矫正系统及其矫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2079T2 (de) * 1994-11-29 2002-04-25 Sankin Ind Co Orthodontisches Bracket
WO2002064051A1 (en) * 2001-02-15 2002-08-22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rigid bracket base and deformable ligation cover
US8979528B2 (en) * 2006-09-07 2015-03-17 Rmo, Inc.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method and system
KR100925286B1 (ko) * 2007-10-29 2009-11-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0996612B1 (ko) * 2010-04-21 2010-11-25 김피터에이치 치열 교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9007A1 (en) 1998-03-19 2001-10-11 Norbert Abel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KR101592109B1 (ko) 2014-08-05 2016-02-04 박은호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WO2016119671A1 (zh) 2015-01-29 2016-08-04 吉利 牵引托槽与正畸矫正系统及其矫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693B1 (ko)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치아교정용 브래킷 부착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764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3571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EP3426183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US20050123875A1 (en) Ceramic orthodontic appliance with archwire slot liner
US20120028207A1 (en) Orthodontic connector providing controlled engagement with an orthodontic wire
US10376341B2 (en) Labial 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orthodontic auxiliary and lingual appliance system
US11364097B2 (en) Orthodontic bracket for use on deciduous teeth
US20140342300A1 (en) Class ii/iii corrector accomodating bite plates
US10478271B2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JP2015521918A (ja) 結紮特徴部を有する歯科矯正装具
US11564778B2 (en) Orthodontic elastic attachments for use with dental aligners
JP7326300B2 (ja) 高い唇側引張強度を有するセラミック自己結紮式ブラケット
JP2022516489A (ja) 歯科矯正インダイレクトボンディング装置
KR101768565B1 (ko) 치열교정 브라켓
US20220110720A1 (en)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CN210931950U (zh) 一种牙齿矫治器、矫治器套组以及壳状牙科矫治系统
KR101851106B1 (ko) 설측용 치열 교정장치
US20070298365A1 (en) Anchorage preparing buccal tube
US6905334B2 (en) Attachment offset tooth eyelet
CN112261916A (zh) 正畸治疗方法、珠粒作为正畸矫治器的固持元件的用途以及用于正畸治疗的珠粒
CN214484666U (zh) 一种可以控制磨牙三维方向移动的辅助正畸装置
KR20230019116A (ko) 마우스피스형 가철식 교정 장치
WO2017208189A1 (en) Orthodontic device
JP2015205148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