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612B1 - 치열 교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612B1
KR100996612B1 KR1020100036792A KR20100036792A KR100996612B1 KR 100996612 B1 KR100996612 B1 KR 100996612B1 KR 1020100036792 A KR1020100036792 A KR 1020100036792A KR 20100036792 A KR20100036792 A KR 20100036792A KR 100996612 B1 KR100996612 B1 KR 100996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roove
slope
main body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피터에이치
Original Assignee
김피터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피터에이치 filed Critical 김피터에이치
Priority to KR102010003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홈과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열 교정용 브라켓 {Orthodontic Bracket}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설치되는 치열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참고문헌: 미국특허 공개번호 001428483 (도 1 참조)
종래, 치열을 교정하기 위해 치아의 표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은 4개의 윙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철 또는 폴리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철들은 용접하고, 폴리세라믹은 몰드 인젝션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할 때 브라켓이 뚜렷하게 보여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철로 제조된 브라켓은 치아에 닿는 부분이 철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한 재질의 단결정 세라믹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제작함으로써 투명한 브라켓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좋고 사용자에게 편리함도 줄 수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본체와, 본체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홈과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일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클립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ㄷ'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상기 홈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재질이 투명한 단결정 세라믹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단결정 세라믹을 다이아몬드 커팅으로 직선 또는 원통형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설치할 때 다수개의 브라켓들을 연결한 와이어만 보이게 되어 좀 더 나은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닥블럭 사이에 클립이 왕복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베이스를 삽입하며 상기 베이스 상면에 클립을 설치하는 견고한 구조로 구성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500)은 본체(100)와, 본체(100)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는 홈(150)과, 상기 홈(15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 베이스(200)와, 상기 홈(150)과 베이스(20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클립(3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500)은 상기 베이스(200) 일부에 형성된 걸림턱(250)과, 상기 클립(300)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307)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07)가 상기 걸림턱(250)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500)의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베이스(20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250)은 상기 베이스(200)의 중앙에 'ㄷ'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브라켓(500)의 상기 홈(150)은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단결정 세라믹(Mono crystalline, sapphire)의 재질로 다이아몬드 커팅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바닥블럭(50)에 수직하게 형성된 블럭(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블럭(50)은 바닥면에 곡률이 형성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바닥블럭(50a)과 제2바닥블럭(50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럭(70)은 다수개의 수직, 수평, 경사면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있다. 상기 블럭(70)은 제1블럭(70a)과 제2블럭(70b)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제1블럭(70a) 및 제2블럭(70b)에는 전방에 형성된 제1윙(68)과 후방에 형성된 제2윙(69)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럭(70a) 및 제2블럭(70b)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블럭(70a)과 제2블럭(70b)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바닥블럭(50)의 상면 일부에는 상기 바닥블럭(50)과 수직하도록 전방수직면(5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전방수직면(51) 상부에는 수평하게 전방수평면(52)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전방수직면(51)과 전방수평면(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홈(40)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전방수평면(52)에 수직하게 제1수직면(5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수직면(53)의 상부에는 일정 각도 상향 경사진 제1경사면(5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경사면(54)에 일정각도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55)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2경사면(55)에 연결되어 제3경사면(6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전방수직면(51),전방수평면(52),제1수직면(53),제1,제2,제3경사면(54,55,60)을 통틀어 제1윙(68)을 형성한다.
상기 제3경사면(60)의 하단에는 제4경사면(56)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4경사면(56)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제5경사면(5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5경사면(57)에 일정 각도 경사진 제6경사면(5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5경사면(57) 및 제6경사면(58)에 후술할 클립(300) 머리부(301)의 끝단 및 하단이 닿게 된다.
상기 제6경사면(58)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7경사면(59)이 형성되며, 상기 제7경사면(59)에 연결되어 경사진 제8경사면(6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8경사면(61)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9경사면(62)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7경사면(59)과, 제8경사면(61)과, 제9경사면(6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홈(4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9경사면(62)의 상부 방향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게 제10경사면(6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0경사면(63)의 하단에는 제11경사면(6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1경사면(64)의 하단에는 후방수평면(65)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수평면(65)의 수직하게 후방수직면(66)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수평면(65)과 후방수직면(6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홈(42)이 형성된다.
상기 제9,제10,제11경사면(62,63,64)과,후방수평면(65)을 통틀어 제2윙(69)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0경사면(63)은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게 형성되었지만,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경사가 낮아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제1경사면(54)과 제2경사면(55) 사이의 각도는 30도로 구성되고, 제10경사면(63)의 각도는 18도로 구성되었다.
상기 1,2경사면(54,55) 및 제10경사면(63)의 각도는 국한된 것이 아니며 임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블럭(70a)과 제2블럭(70b)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홈(15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홈(150)은 상기 베이스(2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관통된 것이고, 상기 홈(150)은 상기 본체(100)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홈(150)의 크기는 0.3 내지 3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50)에는 후술할 베이스(200)가 삽입되며,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바닥블럭(50) 및 후술할 베이스(200)는 치아에 닿는 부분으로 일정 곡률(R)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20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는 개방되어있다.
상기 베이스(200)는 바닥을 이루는 바닥면(201)와, 상기 바닥면(201)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0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경사면(202)은 상기 베이스(200)의 사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면(202)의 후방은 일정 길이만큼 움푹 파이게 홈(2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바닥면(201)의 위에는 공간(211)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공간(211)은 후술할 클립(300) 개폐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면(20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걸림턱(25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걸림턱(250)은 'ㄷ'자 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면(201)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250)은 'ㄷ'자로 구성되었지만, 'ㅁ'자 형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턱(250)은 제1수평면(203)와, 제1수직면(204)와, 제2수평면(205)와, 제2수직면(206)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걸림턱(250)은 상기 제1수평면(203)과 제1수직면(204)과 제2수평면(205) 부분을 프레스로 절단하여 꺾어 올려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02)의 후방에는 돌출부(260)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출부(260)는 상기 경사면(202)의 전방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블럭(50a) 및 제2바닥블럭(50b) 및 베이스(200)의 후면 하단부분, 즉, 치아표면에 닿는 부분은 다이아몬드 커팅 가공을 통해 둥글게 곡률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200)의 홈(210) 및 공간(211)에 클립(300)이 삽입된다.
상기 클립(300)은 전체적으로 'T'자 형상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꺾임부(304)의 하단에는 라인(305)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라인(305)으로 인해 와이어를 삽입한 후 상기 클립(300)을 결합하여 닫았을 때, 클립(300)의 닫힌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01)의 모서리는 라운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301)의 구성으로 각 치아별로 서로 높낮이가 다른 슬롯의 입구를 막아주게 되어 와이어 결찰시 와이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꺾임부(304)는 상기 머리부(301)의 중앙에 'V'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꺾임부(304)가 상기 제1윙(68) 및 제2윙(69)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300)이 좌우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클립이 평평하게 구성되어 기구를 이용해 클립 개폐시 어려움이 있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의 상기 꺾임부(304)는 'V'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클립(300) 개폐시 기구 등을 이용하여 더 쉽게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꺾임부(304)를 산 처리 하여 거칠기, 즉 마찰계수를 높여서 상기 클립(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02)는 길이방향으로 곡선부(302')와, 상기 곡선부(302')에 연결되어 바닥을 이루는 직선부(30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선부(302')의 중앙에는 리브(306)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리브(306)를 상기 클립(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클립(300)의 잦은 작동시 코너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피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306)는 상기 직선부(303)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201)에 닿게 되는 리브(306)는 프레스로 눌러 주어 좁은 공간 내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리브(306)는 상기 클립(3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300)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높여 줄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클립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303)의 끝단에는 돌기(307)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돌기(307)는 상기 직선부(303)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길이는 0.05 내지 0.3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아에 치열교정용 브라켓(500)이 설치될 때, 상기 꺾임부(304)와, 상기 리브(306)가 상기 클립(3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치아상의 브라켓 위치 선정시 상기 꺾임부(304)와 리브(306)가 편리한 센터 라인이 될 수 있다.
상기 클립(30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브라켓을 제조하고,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재질이 투명한 단결정 세라믹 블럭을 직선 및 원통의 형상으로 다이아몬드 커팅하여 본체(1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한 브라켓(500)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좋고 사용자에게 편리함도 줄 수 있다.
이후, 단결정 세라믹 가공한 치열교정용 브라켓(500), 즉,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홈(150)에 상기 공간(211)에 클립(300)이 위치하도록 상기 클립(300)을 삽입하여 본체(100)와 클립(300)을 접착한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 클립(300)의 꺾임부(304)가 제1윙(68) 및 제2윙(69)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300)이 좌우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200) 하단에 곡선이 형성된 부분 및 바닥블럭(50)의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꺾임부(304) 및 리브(306)를 통해 센터 라인을 잡아서 치아교정용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정해진 각도를 맞추어 부착한다.
이후, 기구를 통해 클립(300)을 일정거리 꺼낸 후에, 와이어를 치아교정용 브라켓에 삽입하고, 클립을 브라켓으로 밀어 넣어 닫는다.
이때, 기구를 통해 클립(300)을 꺼낼 때, 상기 클립(300)의 돌기(307)가 상기 베이스(200)의 돌출턱(250)에 걸려 빠지지 않으며, 기구를 사용하여 꺾임부(304)로 용이하게 클립(300)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꺾임부(304) 하단에 형성된 라인(305)을 통해 와이어를 삽입한 후 클립(300)을 결합하여 닫았을 때, 클립(300)의 닫힌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상기 돌기(307)가 왕복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40 : 홈 41 : 홈 42 : 홈
50 : 바닥블럭 50a : 제1바닥블럭 50b : 제2바닥블럭
51 : 전방수직면 52 : 전방수평면 53 : 제1수직면
54 : 제1경사면 55 : 제2경사면 56 : 제3경사면
57 : 제4경사면 58 : 제5경사면 59 : 제6경사면
60 : 제7경사면 61 : 제8경사면 62 : 제9경사면
63 : 제10경사면 64 : 제11경사면 65 : 후방수평면
66 : 후방수직면 68 : 제1윙 69 : 제2윙
70 : 블럭 70a : 제1블럭 70b: 제2블럭
100 : 본체 150 : 홈 200 : 베이스
201 : 바닥면 202 : 경사면 203 : 제1수평면
204 : 제1수직면 205 : 제2수평면 206 : 제2수직면
210 : 홈 211 : 공간 250 : 걸림턱
260 : 돌출부 300 : 클립 301 : 머리부
302 : 몸통부 302' : 곡선부 303 : 직선부
304 : 꺾임부 305 : 라인 306 : 리브
307 : 돌기 500 : 치열교정용 브라켓

Claims (4)

  1.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된 바닥블럭과 상기 바닥블럭에 수직하게 형성된 블럭;
    상기 블럭은 상기 바닥블럭에 수직하게 형성된 전방수직면과, 상기 전방수직면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전방수평면과, 상기 전방수직면과 전방수평면 사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수평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1수직면과, 상기 제1수직면의 상부에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 일정각도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연결된 제3경사면과, 상기 제3경사면의 하단에 형성된 제4경사면과, 상기 제4경사면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제5경사면과, 상기 제5경사면에 일정각도 경사진 제6경사면과, 상기 제6경사면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7경사면과, 상기 제7경사면에 연결되어 경사진 제8경사면과, 상기 제8경사면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제9경사면과, 상기 제7경사면과 제8경사면과 제9경사면의 사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9경사면의 상부 방향에 형성된 제10경사면과, 상기 제10경사면의 하단에 형성된 제11경사면과, 상기 제11경사면의 하단에 형성된 후방수평면과, 상기 후방수평면의 수직하게 형성된 후방수직면과, 상기 후방수평면과 후방수직면의 사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후면 중앙에 형성되는 홈;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된 베이스;
    상기 홈과 베이스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단결정 세라믹의 재질로써 다이아몬드 커팅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일부에 형성된 걸림턱;
    상기 클립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ㄷ' 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KR1020100036792A 2010-04-21 2010-04-21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099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2A KR100996612B1 (ko) 2010-04-21 2010-04-21 치열 교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792A KR100996612B1 (ko) 2010-04-21 2010-04-21 치열 교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612B1 true KR100996612B1 (ko) 2010-11-25

Family

ID=434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792A KR100996612B1 (ko) 2010-04-21 2010-04-21 치열 교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6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899B1 (ko) 2011-06-21 2012-11-09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693239B1 (ko)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698126B1 (ko) 2016-07-15 2017-01-20 주식회사 루체캐슬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WO2017188764A1 (ko) * 2016-04-27 2017-11-02 주식회사 석랩 치열교정 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899B1 (ko) 2011-06-21 2012-11-09 (주)스타덴텍코리아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WO2017188764A1 (ko) * 2016-04-27 2017-11-02 주식회사 석랩 치열교정 브라켓
KR101693239B1 (ko) 2016-07-06 2017-01-10 주식회사 페네시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1698126B1 (ko) 2016-07-15 2017-01-20 주식회사 루체캐슬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612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CN100488399C (zh) 具有自动锁定装置的拉链滑块
KR102131166B1 (ko) 슬라이딩 커버를 가진 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 장치
US7255557B2 (en) Self-ligating bracket for use in orthodontics
US8636508B2 (en) Self-ligating brackets for orthodontics
US7431258B2 (en) Tack for hanging an article from a wall
KR101301886B1 (ko) 치아교정용 클립장치
CN210857384U (zh) 一种花洒挂接结构
CN104125786B (zh) 带扣
KR101199899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2018532507A (ja) 歯科矯正用セルフライゲーティングブラケット
JP2008125737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下止
JP2007236958A6 (ja)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1118191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20110117375A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클립
CN206398185U (zh) 一种可调节固定卡扣
CN108464871A (zh) 一种自锁式的传动托槽
TWI278562B (en) A clip
JPH1089318A (ja) 流し等の器具のための取付具
CN207106382U (zh) 一种汽车门槛饰板
KR101024093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TWI274442B (en) Structure of flexible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208851661U (zh) 一种自锁式的传动托槽
CN110326943A (zh) 快速连接结构及展示装置及安装方法
CN212415944U (zh) 一种设有弹性锁片的口腔正畸托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