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761A -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761A
KR20180103761A KR1020180027843A KR20180027843A KR20180103761A KR 20180103761 A KR20180103761 A KR 20180103761A KR 1020180027843 A KR1020180027843 A KR 1020180027843A KR 20180027843 A KR20180027843 A KR 20180027843A KR 20180103761 A KR20180103761 A KR 2018010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jig
tooth
contact surface
ling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이정환
허재찬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고, 타측 내측면은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설측면에,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설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순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지그 바디, 치아 설측 접촉면 및 치아 순측 접촉면을 갖는 지그; 및 상기 지그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및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JIG INTEGRATED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마다 상이한 치아 형상에 대응되는 브라켓과 순측 교정 뿐만 아니라 설측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가 결합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교정 장치는 치열이 비뚤어진 치아, 돌출입, 상하악골격차를 외과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수술교정 등 균형 잡힌 안모와 기능의 회복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 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브라켓을 치아에 부착하는 방식은 크게 치아에 직접 붙이는 직접 부착 방식과 치아 모델을 만들어 모델에 브라켓을 부착한 후, 이 브라켓을 치아에 다시 옮겨 부착하기 위해 실리콘 소재, 금속 소재, 경화수지 수재 등으로 제작된 위치가이드용 지그를 이용하여 환자 치아에 옮겨 붙이는 간접 부착 방식이 있다.
상기 직접 부착 방식은 브라켓을 치아에 직접 부착하는 과정에서 교정치과의사의 시야에 따른 위치차와 숙련도에 따른 부착오차가 많이 발생함에 따라 교정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간접 부착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하지만 간접 부착 방식도 별도의 치아모델을 만들어야 하므로 치료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차가 복잡하며, 지그에 접합시키고 이를 다시 치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고, 고가의 기성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므로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마다 치아의 형태가 다를 뿐만 아니라, 환자마다 다른 치료 계획 예를 들면 발치 또는 비발치여부, 상하악전치의 후방견인방법 등 개별적인 치료 계획의 차이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평균적 치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제작되는 기성 브라켓을 후가공없이 교정대상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점, 옮겨 부착할 때에도 역시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등은 교정효과를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문제점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교정용 브라켓은 미국에서 개발된 제품들이 전세계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회사마다 사양이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회사제품 중에도 서로 사양이 다른 제품을 출시하고 있어서 치료결과가 브라켓의 선택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브라켓 사양의 상이함에 따른 치료의 결과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장기적인 숙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선행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9698호(2016.05.10)는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측 교정에 이용되는 브라켓을 치아의 정확한 장착 위치에 고정하여 부착시키기 위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그를 브라켓과 함께 3D 모델링을 통해 형상화하여 제조함으로써 브라켓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제조 오차가 최소화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나, 역시 기성의 브라켓을 교정대상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있고, 설측교정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80430호 (2016. 11. 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마다 상이한 치아 형상에 대응되는 브라켓과 순측 교정 뿐만 아니라 설측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그가 결합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고, 타측 내측면은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설측면에,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설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순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지그 바디, 치아 설측 접촉면 및 치아 순측 접촉면을 갖는 지그; 상기 지그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와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지그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그와 상기 브라켓과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 바디의 상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상기 치아 설측 접촉면과 상기 치아 순측 접촉면 사이의 연결부에는 치아의 단부가 걸리도록 절곡된 형상의 치아 팁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삽입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Ω 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브라켓 바디가 H 형 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교정 대상 치아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치아 순측 접촉면 또는 치아 설측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몸체를 이루는 결합부 바디; 및 상기 결합부 바디로부터 상기 브라켓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 일부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브라켓 측을 향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 상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및 상기 브라켓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3D 스캐닝하는 치아 스캐닝 단계; 상기 치아 스캐닝 단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용할 브라켓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결정된 상기 브라켓의 위치를 세팅하는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생성될 지그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브라켓상에 상기 지그의 위치를 세팅하는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 상기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및 상기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브라켓, 지그 및 결합부 데이터를 3D 프린팅을 위한 3D 프린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3D 프린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출력하는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는 메탈, 플라스틱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재질을 복합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체형 브라켓은 브라켓, 지그 및 브라켓과 지그를 연결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와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각각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및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고,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브라켓 슬롯의 형태, 브라켓 바디의 형태 및 치아 설측 접촉면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셋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가 표시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브라켓의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정보는 환자의 성명 이니셜,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 브라켓의 종류, 셋업 변경 여부, 교정용와이어 두께 또는 직경 및 교정 일자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환자의 교정 대상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어디에든 교정용 브라켓을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지그 일체형 브라켓으로서, 환자마다 상이한 치아 형태에 시술 오차 없이 브라켓을 부착할 수 있어서 치열 교정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정보는 3D 데이터로서 저장되므로, 치료중 환자의 저작활동 등에 의해 탈락된 브라켓을 추가 인상채득 과정 없이 단기간에 제작할 수 있어 교정 공백을 줄일 수 있고, 재부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일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이 설측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이 환자의 치아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일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일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세트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이 설측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은 지그 (100) 및 브라켓 (200) 을 포함한다.
지그 (100) 는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고, 타측 내측면은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설측면에,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설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순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몸체를 이루는 지그 바디, 치아 설측 접촉면, 치아 순측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은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을 대표로 설명하도록 한다.
지그 (100) 는 지그 바디 (110), 지그 설측면 (111), 치아 설측 접촉면 (112), 치아 팁 걸림부 (113) 및 치아 순측 접촉면 (114)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 바디 (110) 는 지그 (100) 의 몸체를 이룬다.
지그 설측면 (111) 은 지그 바디 (110) 에서 설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며, 치아의 구조에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설측 접촉면 (112) 은 지그 바디 (110) 하부에서 지그 바디 (110) 가 치아의 설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치아 팁 걸림부 (113) 는 치아 설측 접촉면 (112) 과 치아 순측 접촉면 (114)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치아의 단부가 걸리도록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치아 교정술이 수행될 때, 치아 팁 걸림부 (113) 에 치아의 최 상단이 수용됨으로써, 브라켓 (200) 의 정위치 설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 순측 접촉면 (114) 은 지그 바디 (110) 의 하부에서 지그 바디 (110) 가 치아의 순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지그 바디 (110) 의 상부에는 시술자의 편의성을 위해 손잡이부 (120) 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 (120) 의 표면에는 요철부 (121) 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시술자는 지그 (100) 를 브라켓 (200) 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 과정에서 시술자의 손 또는 분리 기구와 손잡이부 (120) 사이의 미끄럼 이탈도 방지될 수 있다.
브라켓 (200) 은 상기 지그 (100) 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한다.
브라켓 (200) 은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210),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 (210a), 브라켓 설측면 (211) 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바디 (210) 에는 교정 대상 치아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치아 순측 접촉면 또는 치아 설측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3 에서 나타내는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의 경우에는 브라켓 바디 (210) 가 치아의 설측 표면과 결합하므로, 치아 설측 접촉면 (212) 이 형성된다.
이러한 치아 설측 접촉면 (212) 은 환자의 치아 설측면이 갖는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치아의 설측 표면에 대해 정합되어, 치아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교정 오차 및 교정 시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슬롯 (210a) 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슬롯 (210a) 은 삽입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Ω 형 단면을 가지며, 슬롯 (210a) 에 의해, 브라켓 바디 (210) 가 H 형 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순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은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과 대칭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이 포함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부 (300) 는 지그 (100) 와 브라켓 (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 (300) 는 지그 (100) 와 브라켓 (200) 과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 되거나, 커팅 도구 (미도시) 를 사용하여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지그 (100) 및 브라켓 (200) 결합체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마다 상이한 치아 형태에 시술 오차 없이 브라켓을 부착할 수 있어서 치열 교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의 부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지그 (1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112) 은 치아의 설측에서 치아 상부와 접촉되고, 치아 팁 걸림부 (113) 는 치아의 단부에 걸리도록 접촉되며, 치아 순측 접촉면 (114) 는 치아의 순측에서 치아 상부와 접촉된다.
그리고, 브라켓 (2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212) 은 치아의 설측에서, 3D 모델링에 따라 미리 결정된 치아의 브라켓 부착부위에 부착된다.
그 후, 시술자에 의해, 손잡이부 (120) 가 파지된 상태로, 지그 (100) 는 치아 설측 접촉면 (112) 을 받침면으로 하여 결합부 (300) 를 기점으로 설측으로 절곡 분리된다.
이로써, 정확한 위치에 브라켓 (200) 이 부착될 수 있고, 보조부인 지그 (100) 의 분리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이 환자의 치아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2000) 은 지그 (500), 브라켓 (600) 및 결합부 (700) 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의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2000) 에서와 같이 지그 (500) 는 브라켓 (600) 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그 (500) 는 별도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지 않은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 (600) 의 부착 후에 집게 형상의 치과용 기구에 의해 지그 (500) 가 분리될 수 있다.
지그 (500) 는 지그 바디 (510), 지그 설측면 (511), 치아 설측 접촉면 (512), 치아 팁 걸림부 (513) 및 치아 순측 접촉면 (514)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 바디 (510) 는 지그 (500) 의 몸체를 이룬다.
지그 설측면 (511) 은 지그 바디 (510) 에서 설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며, 치아의 구조에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설측 접촉면 (512) 은 지그 바디 (510) 하부에서 지그 바디 (510) 가 치아의 설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치아 팁 걸림부 (513) 는 치아 설측 접촉면 (512) 과 치아 순측 접촉면 (514)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치아의 단부가 걸리도록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치아 교정술이 수행될 때, 치아 팁 걸림부 (513) 에 치아의 최 상단이 수용됨으로써, 브라켓 (600) 의 정위치 설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 순측 접촉면 (514) 은 지그 바디 (510) 의 하부에서 지그 바디 (510) 가 치아의 순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브라켓 (600) 은 상기 지그 (500) 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한다.
브라켓 (600) 은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610),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 (610a), 브라켓 설측면 (611) 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바디 (610) 에는 교정 대상 치아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치아 순측 접촉면 또는 치아 설측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 및 도 5 에서 나타내는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2000) 의 경우에는 브라켓 바디 (610) 가 치아의 설측 표면과 결합하므로, 치아 설측 접촉면 (612) 이 형성된다.
이러한 치아 설측 접촉면 (612) 은 환자의 치아 설측면이 갖는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치아의 설측 표면에 대해 정합되어, 치아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교정 오차 및 교정 시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슬롯 (610a) 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슬롯 (610a) 은 삽입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Ω 형 단면을 가지며, 슬롯 (610a) 에 의해, 브라켓 바디 (610) 가 H 형 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일측면도 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의 정면도 이다.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3000) 은 지그 (800), 브라켓 (900) 및 결합부 (850) 를 포함한다.
지그 (800) 는 지그 바디 (810), 지그 설측면 (811), 치아 설측 접촉면 (812), 치아 팁 걸림부 (813) 및 치아 순측 접촉면 (814)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 바디 (810) 는 지그 (800) 의 몸체를 이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그 바디 (810) 는 그 자체로써 손잡이가 될 수 있다.
즉, 치아 교정술을 시술할 때, 시술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값 이상의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 바디 (810) 는 설측-순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값 이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시술자는 지그 (800) 를 쉽게 파지하여 치아 교정술을 수행할 수 있다.
지그 바디 (810) 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값을 L1 이라고 하고, 브라켓 (900) 의 설측-순측 길이값을 L2 라고 할 때, R = L1/L2 는, 1 < R < 7 일 수 있다 (도 7 참조).
바람직하게는 2 < R < 5 일 수 있고, 이 경우 시술자의 손 또는 기타 치아 교정술용 도구에 의해 지그 (800) 가 가장 쉽게 파지되어, 치아 교정술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지그 설측면 (811) 은 지그 바디 (810) 에서 설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의미하며, 치아의 구조에 따라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설측 접촉면 (812) 은 지그 바디 (810) 하부에서 지그 바디 (810) 가 치아의 설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치아 팁 걸림부 (813) 는 치아 설측 접촉면 (812) 과 치아 순측 접촉면 (814)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치아의 단부가 걸리도록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치아 교정술이 수행될 때, 치아 팁 걸림부 (813) 에 치아의 최 상단이 수용됨으로써, 브라켓 (900) 의 정위치 설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 순측 접촉면 (814) 은 지그 바디 (810) 의 하부에서 지그 바디 (810) 가 치아의 순측에서 치아의 상부와 접촉하는 표면이다.
브라켓 (900) 은 상기 지그 (800) 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한다.
브라켓 (900) 은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910),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 (910a), 브라켓 설측면 (911) 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바디 (910) 에는 교정 대상 치아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치아 순측 접촉면 또는 치아 설측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6 내지 도 8 에서 나타내는 설측 교정용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3000) 의 경우에는 브라켓 바디 (910) 가 치아의 설측 표면과 결합하므로,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이 형성된다.
이러한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은 환자의 치아 설측면이 갖는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마다 상이한 형상을 갖는 치아의 설측 표면에 대해 정합되어, 치아 교정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교정 오차 및 교정 시간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슬롯 (910a) 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슬롯 (910a) 은 삽입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Ω 형 단면을 가지며, 슬롯 (910a) 에 의해, 브라켓 바디 (910) 가 H 형 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 (850) 는, 결합부 바디 (851),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를 포함한다.
결합부 바디 (851) 는 결합부 (850) 의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는 결합부 바디로부터 브라켓 (900) 측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추가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는 결합부 바디 (851) 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과의 결합력이, 시술자가 지그 (800) 를 파지한 채 절곡 동작을 수행할 경우,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사이가 분리될 수 있는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의 브라켓 (900) 측 단부 일부의 횡단면 면적은 지그 (800) 측에서 브라켓 (900) 측을 향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과의 결합력이 시술자가 지그 (800) 를 파지한 채 절곡 동작을 수행할 경우,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사이가 분리될 수 있는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는 측방에서 바라봤을 때,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 (800) 의 치아 팁 걸림부 (813) 가 환자의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 브라켓 (9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이 환자 치아의 설측 표면에 정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는 브라켓 (9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상단부 상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 (d1) 는 브라켓 (9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 (d2)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과의 결합력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제 1 레그 (852) 및 제 2 레그 (853) 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 (d1) 는 브라켓 (9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 (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 (850) 와 브라켓 (900) 이 절곡 동작을 통해 서로 분리될 때, 브라켓 (900) 의 치아 설측 접촉면 (912) 상단부 상에서 매끄럽게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은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3D 스캐닝하는 치아 스캐닝 단계; 상기 치아 스캐닝 단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용할 브라켓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결정된 상기 브라켓의 위치를 세팅하는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생성될 지그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브라켓상에 상기 지그의 위치를 세팅하는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 상기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및 상기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브라켓, 지그 및 결합부 데이터를 3D 프린팅을 위한 3D 프린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3D 프린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출력하는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를 포함한다.
치아 3D 스캐닝하는 장치는 기술 발전 단계에 따라 등장하는 3D 스캐너로서 치아 및 상하 치열과 잇몸을 포함하여 스캔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치열에서 이러한 각각의 복수의 치아에 대한 복수의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0, 2000) 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를 한꺼번에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는 메탈, 플라스틱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재질을 복합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은, 지그 일체형 브라켓은 브라켓, 지그 및 브라켓과 지그를 연결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와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각각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되거나, 커팅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과 결합부의 연결부위, 지그와 결합부의 연결부위를 커팅할 수 있는 도구는 치과 교정 과정에 있어서 전용 도구로 개발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브라켓은,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 및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고,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브라켓 슬롯의 형태, 브라켓 바디의 형태 및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접촉면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셋업을 할 수 있다.
교정 대상 치아에 최종적으로 매칭되어 선택되는 브라켓은 다양항 형태의 브라켓 바디, 슬롯 및 치아 설측 접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적인 형상 적용은 최대한의 교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 그 종류는 불문한다.
셋업이라 함은 형태와 치료 계획에 따라 슬롯의 형태와 브라켓 바디의 형태,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접촉면의 각도 및 두께 등을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슬롯은 브라켓에서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탄성밴드가 장착되는 부위이다.
슬롯의 형태를 달리한다는 것은 개개 치아의 특성에 따라 슬롯의 형태를 치아의 두께, 치아의 각도, 치아의 기울기 등에 따라 달리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브라켓은, 잇몸의 돌출도, 수술여부, 발치와 비발치 여부, 발치의 위치, 상하악전치의 후방견인방법, 개별치아의 해부학적인 상태등 모든 치료 계획을 고려한 최적의 브라켓 바디, 슬롯의 크기와 배열,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접촉면의 형태와 배열을 포함하는 브라켓 형태를 치과의사가 임의로 선택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3D진단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손쉽게 치료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하여 치료의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접촉면은 브라켓 중 실제 치아에 접촉되는 하부 부분을 말한다.
브라켓 바디는 교정용 와이어를 슬롯에 삽입후 브라켓에 교정용 와이어나 탄성을 가진 교정용 탄성밴드로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브라켓 바디에는 견치를 후방견인하기 위한 또는 악간 고무를 걸기 위한 훅(hook)을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택 부착하게 할 수 있다.
치아 순측/설측 접촉면은 치아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면으로 치아 형태의 협설적인 두께 차이를 보상하여야 한다. 또한 브라켓의 접착시 치아면의 해부학적 형태를 고려하여 치아면과 완전히 일치하는 면으로 설계됨으로써 브라켓의 탈락율을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마다 다른 치아 형태의 차이는 3D 스캐너로 정확히 파악하여 이 차이를 브라켓에 설계해 넣을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를 미리 최적으로 조절된 브라켓의 슬롯에 그대로 장착하기만 하면 개인마다 다른 치아의 해부학적인 형태, 개별적인 치료계획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교정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선택 및 위치 세팅이 되는 브라켓이 이러한 셋업 작업을 3D 모델링 과정에서 할 수 있도록 하여 셋업이 모두 끝난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3D 프린터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은, 지그에는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가 표시되고, 브라켓에는 브라켓의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정보는 환자의 성명 이니셜,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 브라켓의 종류, 셋업 변경 여부, 교정용 와이어 두께 또는 직경 및 교정 일자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일 수 있다.
지그에는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가 표시되는데, 실제 세팅 과정에서 교정 대상 치아에 매칭되는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선택할 수 있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브라켓에 표시되는 브라켓 정보는 육안이나 간이 확대경을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도록 브라켓 바디, 브라켓 설측면 등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라켓 정보에 의해, 치료중인 환자가 브라켓의 탈락시 탈락된 브라켓을 휴대폰을 이용하여 사진 전송할 경우, 시술자 측에서 미리 브라켓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대기시간과 교정공백시간을 줄일 수 있고, 브라켓 정보는 향후 재교정을 위한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요청으로 시술자간에 공유도 가능해질 수 있다.
교정 대상 환자의 성명 이니셜 이외에 특정인을 나타내는 다른 정보가 대용될 수 있다.
브라켓의 종류는 스탠다드형인지, 스트레이트 타입인지, 설측형인지, 순측형인지 등을 이니셜로 나타낼 수 있으면 족하다.
셋업 조정 여부는 특정 종류의 셋업의 표시로 갈음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0 : 지그
110 : 지그 바디
111 : 지그 설측면
112 : 치아 설측 접촉면
113 : 치아 팁 걸림부
114 : 치아 순측 접촉면
120 : 손잡이부
121 : 요철부
200 : 브라켓
210 : 브라켓 바디
210a : 슬롯
211 : 브라켓 설측면
212 : 치아 설측 접촉면
300 : 결합부
T : 치아
J : 하악

Claims (17)

  1.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고,
    타측 내측면은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순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설측면에, 상기 일측 내측면이 교정 대상 치아의 설측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순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지그 바디, 치아 설측 접촉면 및 치아 순측 접촉면을 갖는 지그;
    상기 지그의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와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는 브라켓; 및
    상기 지그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그와 상기 브라켓과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지그 바디의 상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상기 치아 설측 접촉면과 상기 치아 순측 접촉면 사이의 연결부에는 치아의 단부가 걸리도록 절곡된 형상의 치아 팁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하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삽입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Ω 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브라켓 바디가 H 형 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교정 대상 치아와의 결합 위치에 따라,
    치아 순측 접촉면 또는 치아 설측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몸체를 이루는 결합부 바디; 및
    상기 결합부 바디로부터 상기 브라켓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 일부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브라켓 측을 향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 상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브라켓측 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치아 설측 접촉면 상단부의 설측-순측 방향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및 상기 브라켓은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13.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를 3D 스캐닝하는 치아 스캐닝 단계;
    상기 치아 스캐닝 단계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용할 브라켓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에 결정된 상기 브라켓의 위치를 세팅하는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생성될 지그의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브라켓상에 상기 지그의 위치를 세팅하는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
    상기 브라켓 결정 및 브라켓 위치 세팅 단계, 상기 지그 결정 및 지그 위치 세팅 단계 및 상기 결합부 데이터 생성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브라켓, 지그 및 결합부 데이터를 3D 프린팅을 위한 3D 프린팅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3D 프린팅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그 일체형 브라켓을 출력하는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체형 브라켓 3D 프린팅 단계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터는 메탈, 플라스틱 및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재질을 복합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일체형 브라켓은 브라켓, 지그 및 브라켓과 지그를 연결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지그와의 연결부위에 복수의 요조 형태로 각각 구성되어 시술자의 손으로 쉽게 절곡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치아의 순측면 또는 설측면에 접하며, 몸체를 이루는 브라켓 바디와 교정용 와이어 또는 교정용 탄성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갖고,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브라켓 슬롯의 형태, 브라켓 바디의 형태 및 치아 순측 또는 설측 접촉면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하는 셋업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에는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가 표시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브라켓의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정보는 환자의 성명 이니셜, 교정 대상인 치아의 번호, 브라켓의 종류, 셋업 변경 여부, 교정용와이어 두께 또는 직경 및 교정 일자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KR1020180027843A 2017-03-09 2018-03-09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3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90A KR20170034803A (ko) 2017-03-09 2017-03-09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30290 2017-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761A true KR20180103761A (ko) 2018-09-19

Family

ID=584981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90A KR20170034803A (ko) 2017-03-09 2017-03-09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KR1020180027843A KR20180103761A (ko) 2017-03-09 2018-03-09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90A KR20170034803A (ko) 2017-03-09 2017-03-09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3480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KR102274308B1 (ko) 2020-09-01 2021-07-06 이노범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2537014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
KR102537012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교정을 위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하는 방법
KR102537013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기성품 브라켓 부착용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381B1 (ko) * 2018-05-21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 지그, 이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5513B1 (ko) * 2021-05-24 2024-03-11 이와이어라이너 주식회사 치아 교정용 디바이스 및 치아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430B1 (ko) 2014-10-28 2016-11-29 조건제 브라켓 위치 가이드용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90B1 (ko) 2020-06-08 2020-11-12 김창환 치아교정용 호선을 겸비한 지그 일체형 교정구
KR102274308B1 (ko) 2020-09-01 2021-07-06 이노범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2537014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일체형 브라켓
KR102537012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치아교정을 위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결정하는 방법
KR102537013B1 (ko) 2023-02-17 2023-05-30 주식회사 올소비트 수치로 측정한 임상학적 치열궁을 바탕으로 기성품 브라켓 부착용 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로 인하여 제조된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803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089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지그 일체형 브라켓 제조방법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US10278793B2 (en)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US20230058890A1 (en) Direct bonding guide systems
WO2008057955A2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KR101872448B1 (ko) 틀니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1869907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1158725B1 (ko)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834B1 (ko) 디지털 치열교정 시스템
KR101804991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CN106659547A (zh) 用于正畸牙套的臼齿器具
KR101883943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1953862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아교정용 디지털 교정체크피스 및 디지털 브라켓의 제조방법 및 치아교정용 디지털 교정체크피스
CN115137505B (zh) 基于数字化技术的标准牙颌固位导板的制作工艺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1251946B1 (ko) 치열교정 키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치열교정 키트
KR20210035083A (ko) 치과교정 앵커리지 조립체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2274308B1 (ko)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KR101347258B1 (ko) 고정원 시술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CN215306848U (zh) 一种用于正畸支抗钉植入的导板
CN215535175U (zh) 一种磨牙远中移动的辅助装置
KR10188394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1869911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