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42B1 - 치과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42B1
KR101883942B1 KR1020160136328A KR20160136328A KR101883942B1 KR 101883942 B1 KR101883942 B1 KR 101883942B1 KR 1020160136328 A KR1020160136328 A KR 1020160136328A KR 20160136328 A KR20160136328 A KR 20160136328A KR 101883942 B1 KR101883942 B1 KR 10188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gum
extending
gri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869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6013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42B1/ko
Priority to EP17767717.6A priority patent/EP3530231A4/en
Priority to CN201780001384.0A priority patent/CN108472107B/zh
Priority to US15/563,727 priority patent/US10772493B2/en
Priority to AU2017248561A priority patent/AU2017248561B1/en
Priority to PCT/KR2017/003675 priority patent/WO2018074683A1/ko
Priority to JP2017550814A priority patent/JP6514356B2/ja
Publication of KR2018004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2Devices for opening or enlarging the visual field, e.g. of a tube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되도록,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결된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합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견인장치{dental retractor}
본 발명은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먼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에 픽스츄어가 식립되는데, 천공의 형성 및 임플란트 식립은 환자마다 상이하게 수행된다. 이는, 환자의 치아 상태나 임플란트가 필요한 치아의 위치, 화낮의 치조골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 깊이 및 방향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 작업은 초심자뿐만 아니라 경험자에게도 작업 과정에서 깊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상당히 어렵다는 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 경험이 풍부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 별도의 측정단계 없이 드릴링 도중 형성된 천공의 깊이를 가늠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치조골에 천공을 형성시 시술자가 드릴에 힘을 가하여 드릴링 작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어느 정도까지 깊이로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일정 깊이 이상으로 드릴이 삽입되면 치조골의 신경을 손상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일정한 깊이에 도달하기 전에 드릴링 작업이 종료된 경우에는 천공의 깊이가 얕에서 픽스츄어 고정에 과도한 힘이 소요된다. 또한, 천공 주위의 나사산이 손상되거나 픽스츄어가 완벽하게 고정되지 못해 추후 재시술을 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천공 작업을 수행할 정확한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도록 서지컬 가이드(surgical guide)라고 하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먼저, CT 촬영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가 획득되고 오랄스캔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가 획득된다(s1).
여기서, CT 촬영을 통한 3차원 이미지에는 구강 내부의 치관(잇몸 외측으로 드러난 치아의 일부분) 및 치근(잇몸 내부에서 치조골과 결합된 부분), 그리고 치조골의 형상 및 치관, 치근, 치조골의 골밀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오랄스캔을 통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구강 내부의 치관 및 잇몸의 형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각 이미지가 획득되면, 치아의 특이점 등 시술자에 의해 설정된 구강 내부 지점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가 영상 정합된다(s2). 이어서, 영상 정합된 결과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수립되고(s3), 식립계획에 따라 식립을 안내할 수 있는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s4).
한편, CT 촬영을 통한 3차원 이미지에는 조직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조직, 예컨대, 잇몸조직 내지 혀 등은 제외된 상태로 획득된다.
반면, 오랄스캔을 통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는 치관의 외면 형상뿐만 아니라 연조직인 잇몸도 함께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이미지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영상정합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정확한 구강 내부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플락트 식립을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직접 스캐닝하여 획득되는데, 이때 혀 및 입술의 움직임에 의해 정확한 스캐닝 이미지의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혀의 유동으로 구강스캐너의 스캐닝 이동 경로가 간섭되어 정확한 위치의 스캐닝이 어려우며,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에 대한 보정작업 단계 및 시간이 소요되므로 임플란트 식립 기간이 증가하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시술자가 입술을 무의식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우며 구강스캐너가 이동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정확성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캐닝 이미지에 혀의 외면형상이 포함되면 영상 정합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어려우므로 반복적인 구강 스캐닝 작업에 의한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혀와 입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직의 유동을 구독할 수 있는 견인부재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시술자의 조작이 어려우며 보조시술자를 필요로 함에 따라 스캐닝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321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정확한 식립을 위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결된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에는 상기 잇몸의 내외측이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내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외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을 포함하여 설정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외측단과 상기 그립부의 단부는 입술을 외측방향으로 견인하되 상기 잇몸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외측견인부의 외측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연장절곡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는 한 쌍의 상기 연장절곡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단부가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의 사이 간격에 따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과 상기 잇몸의 외측부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외측견인부의 외측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단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는 단부가 타측 잇몸의 외면부가 안착되어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절곡부의 외면과 마주보게 상향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내측견인부에 형성된 가압구속부에 혀가 구속 견인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견인부의 외주면 및 연장절곡부의 하면에 입술 및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가압 견인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혀 및 입술로 인한 구강스캐너에 대한 간섭이 최소화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되 잇몸의 원심측 외면을 경유하면서 스캐닝이 수행되는 잇몸의 대향측 외면이 안착되어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가 지지되며, 그립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가압지지부가 구비되어 시술자의 취부안정성이 개선되므로 시술자의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를 포함하여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라 형상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며 외측이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로 커버됨에 따라 스캐닝 시 빛의 산란에 의한 스캐닝 이미지의 결함이 방지되며 피시술자 및 시술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감촉이 개선되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 및 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를 상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100)는 임플란트 시술계획을 수립시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에 임플란트 식립대상부에 대한 외형정보가 명확하게 표시되도록 구강 내부에 사용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의 일측이 구강 내부에 배치되어 혀 내지 입술과 같은 연조직의 유동을 견인 구속함에 따라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잇몸의 명확한 외형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식립대상부라 함은 임플란트 식립이 실질적으로 수행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더욱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계획이 수립되도록 상기 임플란트 식립대상부가 포함된 잇몸뿐만 아니라 대향측 잇몸도 스캔하여 스캐닝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의 표면에는 상기 잇몸 외형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와 시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CT 촬영하여 획득된 CT 이미지 간의 영상 정합의 기준점으로 활용되는 마커(미도시)가 적어도 3개소 이상 복수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미도시)는 기설정된 부피를 갖는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치과용 레진이 잇몸 표면에 주입 및 부착되어 정합기준점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커(미도시)는 상기 스캐닝 이미지 및 상기 CT 이미지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방사선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는 혀를 포함하는 유동성이 높은 연조직의 분포도가 높은 하악측 잇몸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악측 잇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100)는 견인베이스부(10)와 손잡이부(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1)의 내측부(1a) 및 외측부(1b)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측견인부(11)와 외측견인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잇몸(1)은 임플란트 식립대상부를 포함하는 잇몸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그의 대향치아측 잇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견인부(11)는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는 혀(3)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1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견인부(11)의 외주면이라 함은 상기 잇몸(1)의 내측부(1b)측과 대응되는 구강 내부의 설측(lingual)방향의 외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견인부(12)는 상기 내측견인부(1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견인부(11)와 상기 외측견인부(12) 사이에는 잇몸(1)의 내외측부(1a,1b)가 전체적으로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3)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수용공간(13)은 상기 내측견인부(11)의 내주면(11a)이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g1)을 포함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외측견인부(12)의 내주면(12a)이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g2)을 포함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각 간격(g1,g2)는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잇몸 프로파일의 개인별 편차를 포괄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각 편차를 대표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규격화되어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시술자의 외력에 의한 조작시 상기 수용공간(13)의 간격 또는 후술되는 연결부(14)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견인부(11) 및 상기 외측견인부(12)가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로부터 각각 제1간격(g1) 및 제2간격(g2)만큼 이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3)은 상기 잇몸(1)의 측면 프로파일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구강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공간(13)에 잇몸(1)이 수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가압구속부(15)에 혀(3)의 외측면이 밀착 구속되면서 구강 내부의 원심(distal)측으로 견인된다. 또한,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주면(12b)이 입술(2) 및 볼의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 견인함에 따라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상기 입술(2) 및 볼의 내면이 이격된다.
이에 따라, 구강 내부에 상기 구강스캐너(s)가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가 무의식적으로 입 또는 혀를 움직이더라도 유동되는 입 또는 혀에 의해 구강스캐너(s)의 스캐닝 경로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로부터 혀, 입술 및 볼의 내면이 실질적으로 이격되므로 잇몸(1)의 전체적인 외면 형상이 더욱 명확하게 노출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인식하여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정확한 이미지 획득이 가능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캐닝 이미지와 CT 이미지 간의 영상정합을 통한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정확성 및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구강 내부에 배치되면 혀가 구강의 원심측으로 견인함과 동시에 입술 및 볼이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가압 견인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방향이 상이한 혀 및 입술, 볼을 하나의 도구로 전체적으로 잇몸(1)의 내외측부(1a,1b)와 이격되도록 견인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의 조작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치아가 소실된 무치악 내지 부분무치악과 같이 연조직인 잇몸량이 많은 경우에도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잇몸(1)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므로 잇몸 외면 형상이 더욱 명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립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외측단과 상기 그립부(22) 사이를 상향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연장절곡부(21)가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견인베이스부(10)와 상기 그립부(22)가 실질적으로 단차지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에 전달되는 시술자의 가압력이 입술(2)의 상면보다 하측에 형성된 잇몸(1)의 하단부측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절곡부(21)는 일측단부(21a)가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이라 함은 상기 외측견인부(12)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부분으로 구강 내부의 입술(labial)측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2)는 상기 연장절곡부(21)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결되되, 시술자의 취부가 용이한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절곡부(21)는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으로부터 연결되되 상기 외측견인부(12)와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절곡부(21)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는 상하악 중 어느 일측의 좌우측 견치(canine) 내지 제1소구치(first premolar)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구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절곡부(21)의 하면이 피시술자의 입술 상면에 밀착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상기 잇몸(1)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견인부(11) 및 외측견인부(12)의 각 외주면에 혀(3), 입술(2) 및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견인되면서 잇몸(1)의 내외측부(1a,1b)가 명확하게 노출되면서 구강스캐너(s)가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잇몸의 하단부측이라 하면 상기 잇몸(1)의 내측부(1a)와 상기 혀(3)의 연결부 및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와 상기 입술(2)의 연결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입술(2)은 상기 연장절곡부(21)의 경사진 하면에 대응하여 외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가압 견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술(2)의 내면이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이격되면서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구강스캐너로 스캐닝 시 입술(2)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된다. 이를 통해, 구강스캐너(s)를 이용하여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 및 명확도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는 좌우측 견치 내지 제1소구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이격됨에 따라 입술(2)이 외측방향으로 전체적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절곡부가 단일개소로 연결되거나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가 중심측 전치(central incisor)와 인접하게 대향 배치되면 견치 및 소구치측 입술이 실질적으로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이격되지 못한다. 반대로,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가 좌우측 제2소구치(second premolar) 간격보다 넓게 이격되면 중심측 전치측 입술이 실질적으로 상기 잇몸(1)의 외측부(1b)로부터 이격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연장절곡부(21)는 한 쌍으로 구비되되 좌우측 견치 내지 제1소구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이격됨으로써 입술(2)을 균일한 간격으로 가압하여 견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잇몸(1)으로부터 상기 입술(2)이 전체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에 불필요한 입술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입술(2)의 유동 의해 상기 구강스캐너(s)가 움직임을 방지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절곡부(21)는 상기 외측견인부(12)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향 경사지되, 상기 그립부(22)는 상기 연장절곡부(21)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견인부(12)와 상기 그립부(22)는 실질적으로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장절곡부(21)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잇몸(1)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되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상기 그립부(22)가 연장된 방향이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강의 개구측이 상기 그립부(22)에 의해 가려짐이 방지되므로 구강스캐너(s)를 이용한 스캐닝 경로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2)를 취부한 상태로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를 구강의 내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하면이 잇몸(1)의 하단부측에 밀착되면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견인부(11)에 의해 상기 혀가 원심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외측견인부에 의해 상기 입술 및 볼이 외측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구강의 내면측이 가압되면서 구강 내부 연조직의 전체적인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구강스캐너가 상기 구강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 내부 연조직의 유동에 의해 잇몸(1) 외면에 부착되는 마커(미도시)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스캐닝 이미지와 CT 이미지 간의 영상정합을 통해 수립되는 임플란트 식립계획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 사이 간격에 대응하도록 단절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1)의 각 단부(21)가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의 단절된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연장절곡부(21)의 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그립부(22)를 쥐는 힘에 의해 상기 그립부(22)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 상기 연장절곡부(21)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외측견인부(11)의 단절된 양단부 사이 간격도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시술자의 쥐는 힘에 의해 상기 제2간격(g2)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므로 피시술자의 불편감이 최소화되면서도 구강스캐너의 스캐닝 면적이 최대화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장절곡부(21)는 상기 외측견인부(12)의 단절된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손잡이부(20)와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연장절곡부(21)의 단부(21a)가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측단에 부착 또는 체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측견인부(11)와 상기 외측견인부(12)는 각 양단부가 연결부(1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됨에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양단부 외측, 바람직하게는 구강 내부의 후구치 삼각(retromolar trigone)측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연장절곡부(21)의 외면과 마주보게 상향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4)의 외측으로 라운드진 단부에 타측 잇몸(1)의 외면부가 안착되어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가 지지된다.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시술자의 상하악이 임의로 교합됨을 방지하여 스캐닝 과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되어 획득된 이미지의 명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4)가 잇몸의 원심측 외면을 경유하면서도 후구치 삼각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하면이 구강 내부 프로파일에 의해 대응하여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10a)와, 상기 와이어부(10a)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10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부(10a)는 상기 내측견인부(11), 외측견인부(12) 및 이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14)가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된 아치형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부(10a)는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대응되도록 외력에 의해 3차원적인 변형이 용이하면서도 변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부(10a)는 외력에 의해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금속 재질의 철사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10a)는 단면이 원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 두께가 양측방향 폭보다 좁은 타원형의 단면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혀, 입술 및 볼을 견인할 수 있는 외주 측면 면적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서 잇몸(1)의 내외측부와 상기 견인베이스부(10)의 내주면 사이 간격도 넓게 확보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더욱 안정적으로 견인하면서도 구강스캐너(s)를 이용하여 잇몸에 대한 스캐닝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부(10a)의 외측은 상기 외피부(10b)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10b)는 실리콘 등과 같이 상기 와이어부(10a)의 소성 변형시 함께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도 의료기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10b)는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부(10a)가 실질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상술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10a)만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캔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10a)에 의한 빛의 산란으로 정확한 스캐닝 이미지의 획득이 어렵다. 또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10a)가 구강 내부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경우 피시술자의 불편감 및 거부감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부(10a)의 외측에 불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10b)가 구비됨에 따라 스캐닝 시 빛의 산란이 방지되면서도,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접촉시 불편감 및 거부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0)도 상기 견인베이스부(10)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 외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가 커버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부는 구강 내부 연조직의 견인을 위한 가압력에도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강성의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다양한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손잡이부(20)는 외력을 지지하는 강도의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구강 내부 연조직의 가압을 통한 견인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베이스부(10)와 상기 손잡이부(20)는 외측이 상기 외피부에 의해 커버되므로 스캐닝 시 빛의 산란을 방지하면서도 피시술자 및 시술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감촉이 개선되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견인베이스부(10)측 와이어부와 상기 손잡이부(20)측 와이어부는 강성이 상이한 별도의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구비되되 연결되는 부분이 상호 용접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외면에 상기 외피부가 일체로 커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견인베이스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각각 와이어부 및 외피부가 포함되도록 별도로 제조되되 연결되는 부분이 상호 용접, 부착 및 체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10)측 와이어부와 상기 손잡이부(20)측 와이어부는 동일한 금속 재질의 와이어가 복수개로 중첩되되, 각 중첩되는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강성이 조절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100) 및 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2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절곡부(221)는 입술을 외측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상기 외측견인부(212)의 외측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22)는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221)로부터 각각 연장된 외곽단부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시술자가 상기 손잡이부(220)를 취부시 손가락이 지지되도록 상기 그립부(222) 사이를 기설정된 폭으로 연결하는 가압지지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210)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20)는 구강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손잡이부(220)를 취부하되, 잇몸의 하단부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피시술자의 혀 및 입술이 외측으로 견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222)에 시술자의 가압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그립부(222) 사이에는 상기 가압지지부(223)가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지지부(223)는 가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술자의 엄지손가락(f1)이 상기 가압지지부(223)의 오목한 홈에 안착되고 검지손가락(f2)이 상기 가압지지부(223)의 외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취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취부된 상태에서 힘을 가하면 상기 손잡이부가 시술자의 손에서 안정적으로 취부된 상태로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가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200)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의 연조직을 견인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견인부에는 상기 구강스캐너의 스캐닝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구강스캐너의 단부가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아치형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스캐닝 이미지는 구강스캐너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결합하여 획득되므로 치열의 곡률 등 실제 치주조직과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강스캐너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면 상기 구강스캐너를 통하여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 간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 보정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는 상기 견인베이스부(10)가 상기 잇몸(1)의 내외측부(1a,1b)를 감싸도록 구강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내측견인부(11)에 형성된 가압구속부(15)에 혀가 구속 견인된다. 또한, 상기 외측견인부(12)의 외주면에 입술(2) 및 볼의 내면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견인된다. 이를 통해, 스캐닝시 구강 내부조직의 유동에 의한 구강스캐너(s)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의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견인부(11)와 상기 외측견인부(12)가 일체로 연결된 상기 연결부(14)가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캐닝이 수행되는 잇몸(1)의 대향측 외면이 상기 연결부(14)의 단부에 안착되어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22)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가압지지부(223)가 구비되어 시술자의 취부안정성이 개선되므로 시술자의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견인베이스부(10)는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부(10a)를 포함하여 피시술자의 개인별 편차에 따라 형상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10a)의 외측이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10b)로 커버됨에 따라 스캐닝 시 빛의 산란에 의한 스캐닝 이미지의 결함이 방지되며 피시술자 및 시술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는 감촉이 개선되므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견인장치(100,200)는 상술한 임플란트 식립계획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보철물식립 및 교정치료 등 구강 내부의 명확한 스캐닝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치과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100,100)는 구강 내부의 스캐닝작업 외에 치주질환 등을 치료시에도 혀 및 입술 등의 연조직을 견인 구속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잇몸 2 : 입술
3 : 혀 S : 구강스캐너
10 : 견인베이스부 11 : 내측견인부
12 : 외측견인부 13 : 수용공간
14 : 연결부 15 : 가압구속부
20 : 손잡이부 21 : 연장절곡부
22 : 그립부 223 : 가압지지부
100,200 : 치과용 견인장치

Claims (5)

  1. 구강 내부의 상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잇몸의 내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혀가 수용되도록 가압구속부가 형성된 내측견인부와, 상기 내측견인부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잇몸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아치형 프로파일로 연장된 외측견인부가 포함된 견인베이스부;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결된 그립부가 포함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 사이에는 상기 잇몸의 내외측이 수용되도록 상기 내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내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1간격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이 상기 잇몸의 외측부와 이격되도록 기설정된 제2간격을 포함하여 설정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베이스부의 외측단과 상기 그립부의 단부는 입술을 외측방향으로 견인하되 상기 잇몸의 하단부측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외측견인부의 외측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연장절곡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는 한 쌍의 상기 연장절곡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단부가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의 사이 간격에 따라 상기 외측견인부의 내주면과 상기 잇몸의 외측부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외측견인부의 외측단은 상기 한 쌍의 연장절곡부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단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견인부와 상기 외측견인부는 외측으로 라운드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는 단부가 타측 잇몸의 외면부가 안착되어 상하악이 이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연장절곡부의 외면과 마주보게 상향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베이스부는
    외력에 의해 3차원 소성 변형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되는 연성의 와이어부와,
    상기 와이어부의 외측을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외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견인장치.
KR1020160136328A 2016-10-20 2016-10-20 치과용 견인장치 KR10188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28A KR101883942B1 (ko) 2016-10-20 2016-10-20 치과용 견인장치
EP17767717.6A EP3530231A4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CN201780001384.0A CN108472107B (zh) 2016-10-20 2017-04-04 牙科牵开器
US15/563,727 US10772493B2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AU2017248561A AU2017248561B1 (en) 2016-10-20 2017-04-04 Dental retractor
PCT/KR2017/003675 WO2018074683A1 (ko) 2016-10-20 2017-04-04 치과용 견인장치
JP2017550814A JP6514356B2 (ja) 2016-10-20 2017-04-04 歯科用牽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328A KR101883942B1 (ko) 2016-10-20 2016-10-20 치과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69A KR20180043869A (ko) 2018-05-02
KR101883942B1 true KR101883942B1 (ko) 2018-08-01

Family

ID=6218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328A KR101883942B1 (ko) 2016-10-20 2016-10-20 치과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81B1 (ko) 2018-08-28 2020-03-02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장비
KR102073280B1 (ko) 2018-08-28 2020-02-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7199A1 (en) 2004-04-08 2005-10-13 Patrickus John E Combined mouth expanding and saliva ejecting dental apparatus
US20130230822A1 (en) * 2007-09-26 2013-09-05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872A (en) * 1991-12-10 1993-04-06 Leal Francisco G B Dental appliance
US5460524A (en) * 1994-06-24 1995-10-24 Anderson; Ross W. Device and method for saliva suction with tongue retractor and bit handle
KR200433219Y1 (ko) 2006-09-07 2006-12-08 김세정 구강 내 수술 및 치료를 위한 착탈식 혀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7199A1 (en) 2004-04-08 2005-10-13 Patrickus John E Combined mouth expanding and saliva ejecting dental apparatus
US20130230822A1 (en) * 2007-09-26 2013-09-05 Ultradent Products, Inc. Methods, devices, systems, assemblies, and kits for tissue retraction in an oral ca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869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631256B1 (ko) 트레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제조방법
TWI602547B (zh) 在口腔中製造用於植牙的手術引導件的方法
KR10160801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방법
KR101631261B1 (ko)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US9827075B2 (en) Determination of a three dimensional rel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jaws with reference to a temporomandibular joint
CN108601640B (zh) 肌位3d调节器具和肌位3d调节咬合器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CN113412098B (zh) 数字三维牙齿模型牙科系统
KR101594497B1 (ko) 수직고경 교합표식을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RU2648828C1 (ru) Способ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ей
KR10188394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1706332B1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1452718B1 (ko) 영상매칭 바이트 트레이
KR101954262B1 (ko)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1883943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924578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CN215306848U (zh) 一种用于正畸支抗钉植入的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