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80B1 -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 Google Patents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80B1
KR102073280B1 KR1020180101064A KR20180101064A KR102073280B1 KR 102073280 B1 KR102073280 B1 KR 102073280B1 KR 1020180101064 A KR1020180101064 A KR 1020180101064A KR 20180101064 A KR20180101064 A KR 20180101064A KR 102073280 B1 KR102073280 B1 KR 10207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
guide
autoprep
patient
pre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8010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80B1/ko
Priority to PCT/KR2018/011230 priority patent/WO20200457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68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using pointers, e.g. pointers having reference marks for determining coordinates of body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04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specifi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오토프렙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관절 암을 포함하는 오토프렙장비의 구동 및 시술 중 시술대상 치아의 고정좌표를 확보하여 미세한 흔들림 또는 위치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오토프렙 시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PREP GUIDE FOR AUTO PREP}
본 발명은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오토프렙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관절 암을 포함하는 오토프렙장비의 구동 및 시술 중 시술대상 치아의 고정좌표를 확보하여 미세한 흔들림 또는 위치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오토프렙 시술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치과 등에서 수행되는 치료 또는 치료를 위한 치아 처리 방법으로써, 의사 등이 오토프렙 시술루트 등을 소프트웨어 상으로 지정하고, 이를 수행하면 다관절 암을 포함하는 오토프렙장비가 지정된 시술루트 등을 따라 고정된 치아좌표를 토대로 무인으로 프렙을 수행가능한 효과를 발휘하는 오토프렙(AUTO PREP)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오토프렙이 수행됨에 있어서, 시술대상 환자의 미세한 흔들림 및 움직임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좌표를 트랙킹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이를 오토프렙장비에 연동 및 인식시키는 과정에서의 부가적인 장치 또는 기술 등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시술대상 환자의 미세한 흔들림 및 움직임등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며 좌표를 트랙킹하기가 곤란하고, 이를 오토프렙장비에 연동 및 인식시키는 과정에서의 부가적인 장치 또는 기술 등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프렙가이드 분야의 기술발전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386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토프렙 시술 중에 환자의 미세한 흔들림 또는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정확한 프렙을 진행하기 위해 시술대상 치아의 고정좌표를 확보가능하기 위한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프렙가이드 본체,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렙가이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체결부, 마커가 결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적어도 2이상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마커결착부 및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일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시술용 관통홈을 포함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를 제공 가능하다.
상기 프렙가이드는 상기 환자의 치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프렙가이드 본체의 상이한 2지점을 연결하는 프로텍터 또는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상에 형성되어 상악(윗턱 또는 윗턱으로부터 연결된 치아 지칭) 및 하악(아랫턱 또는 아랫턱으로부터 연결된 치아 지칭)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환자의 치아 앞니 위치에 대응되는 프렙가이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되, 오토프렙 장치와 연결된 구강고정장치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커결착부는 상기 프렙가이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마커가 결착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술용 관통홈은 각각의 시술용 관통홈이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의 가장 넓은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렙가이드는 환자의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고정될 경우, 하나의 프렙가이드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프렙가이드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시술대상 치아를 포함한 상악 또는 하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되어 프렙가이드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마커결착부 및 마커 등을 통해 시술대상 치아의 고정좌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환자의 미세한 흔들림 또는 움직임에도 고정좌표를 토대로 오토프렙의 시술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악 또는 하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분리 또는 연결되어 프렙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어, 한번의 시술과정에서 2개 이상의 오토프렙을 연속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프렙가이드에 형성되는 프로텍터 구성을 통해 시술대상 환자의 혀를 비롯한 구강내부 연조직이 시술과정에서 손상을 입게 되는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프렙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프렙 장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암 하측에 프렙가이드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암 상측에 프렙가이드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에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에 고정된 프렙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Inray prep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 및 (b) 해당 Inray prep 경로를 따라 가공된 치아모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발사체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대한 설명을 개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프렙 장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프렙 장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오토프렙장비(7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소정방향으로 연장된 다관절 암(800)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오토프렙장비(700)를 통해 작업루트 및 작업공정을 입력하면, 소정의 제어로직에 따라 오토프렙장비(700)가 상기 다관절 암(800)의 단부에 구비된 핸드피스(810)의 구동을 통해 오토프렙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의사 등은 오토프렙 시술이 진행될 동안 다른 환자를 진료하거나 시술할 수 있으므로, 환자 진료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혹시라도 발생가능한 프렙과정에서의 손떨림 등에 의한 의료사고나 의료실수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정확한 시술내용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진료 효율성 극대화 및 정확한 시술내용의 보장을 위하여 시술대상 환자의 구강구조 즉, 치아상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형상의 프렙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프렙가이드 상에 고정된 좌표를 설정하고, 그와 같은 고정좌표를 기준으로 시술대상 치아의 위치를 좌표화함으로써, 시술대상 환자의 미세한 흔들림 또는 움직임 등이 존재하더라도, 미세한 흔들림 또는 움직임 등에 영향 받지 않고 고정좌표를 기준으로 시술대상 치아의 위치를 좌표화한 결과를 활용하여 오토프렙 작업의 정확도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에 프렙가이드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측에 프렙가이드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다관절 암(800)의 일측에 고정된 구강고정장치(90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강고정장치의 일측에 본 발명의 프렙가이드가 연결 또는 체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강고정장치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관절 암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오토프렙장비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강고정장치(900)의 구성을 통해 시술대상 환자의 구강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 발명 프렙가이드 구조를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오토프렙 과정에서의 프렙시술의 정확도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강고정장치(900)의 구성은 상기 다관절 암의 하측 또는 상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오토프렙장비 설치장소의 제반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측에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가 고정된 오토프렙 다관절 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다관절 암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다관절 암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다관절 암의 설치 및 구동상태와 상기 구강고정장치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구강고정장치(900)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다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춤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5의 상기 다관절 암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다관절 암의 설치 및 구동상태와 상기 구강고정장치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설계하지 않더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다관절 암의 설치 및 구동상태와 상기 구강고정장치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구강고정장치(900)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다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출 경우에는, 프렙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구강고정장치의 일측에 파지가능한 손잡이 구성 등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에 고정된 프렙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악 또는 하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프렙가이드가 고정된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렙가이드는 시술대상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 형상의 본을 떠서 강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오토프렙 시술시에는 시술대상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가 위치하는 상악 또는 하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프렙가이드는 환자의 치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프렙가이드 본체(100),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렙가이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체결부(200), 마커가 결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적어도 2이상의 임의의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마커결착부(300) 및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일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시술용 관통홈(40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렙가이드는 상기 환자의 치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100)의 상이한 2지점을 연결하는 프로텍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프로텍터의 구성을 통해 시술대상 환자의 혀를 비롯한 구강내부 연조직이 오토프렙 시술과정에서 손상을 입게 되는 위험성을 현저하게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렙가이드는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100)상에 형성되어 상악 및 하악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의 구성을 통해 환자가 시술시간 동안 무리하여 개구함으로써 환자 턱근육 등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무의식적으로 침을 삼키는 과정에서 개구공간이 줄어들어 시술중인 핸드피스와 환자의 치아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격부재는 연질 또는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200)는 환자의 치아 앞니 위치에 대응되는 프렙가이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되, 오토프렙 장치와 연결된 구강고정장치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시술대상 환자의 대부분은 앞니가 아닌 어금니에 시술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나, 앞니 또는 송곳니 등에 오토프렙 시술이 요구될 경우에는 상기 체결부(200)는 환자의 치아 어금니 위치에 대응되는 프렙가이드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마커결착부(300)는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100)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310) 및 상기 마커가 결착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3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착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커는 상기 결착부(320)의 일측에 삽입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비전트랙킹 장비를 이용하여, 인식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전트랙킹 장비를 통하여 마커결착부(300)에 결착된 적어도 2군데 이상의 마커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x축, y축 및 z축의 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술대상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의 상대좌표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환자의 흔들림 또는 움직임 등에 의해 시술대상 치아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가 변경되더라도, 이와 연결되어 고정된 프렙가이드 및 마커결착부 구성을 통해 함께 마커의 x축, y축 및 z축 좌표가 변경되므로, 변경된 시술대상 치아의 x축, y축 및 z축 좌표를 실시간으로 오토프렙장비에 전송하여 작업이 중단됨 없이 정확도가 보장된 오토프렙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술용 관통홈(400)은 각각의 시술용 관통홈(400)이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의 가장 넓은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오토프렙장비 및 핸드피스 등을 통한 절삭 또는 연마공정 진행상 핸드피스 등이 항상 치아의 축(치아의 뿌리로부터 교합면 방향)과 평행을 이루며 진입 및 시술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진입 및 시술하는 경우도 상당부분 존재하며, 이 같은 경우에, 상기 핸드피스와 프렙가이드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시술용 관통홈(400)은 각각의 시술용 관통홈(400)이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의 가장 넓은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프렙가이드는 환자의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되, 상기 프렙가이드가 환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고정될 경우, 하나의 프렙가이드로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프렙가이드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 Inray prep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 및 (b) 해당 Inray prep 경로를 따라 가공된 치아모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a)를 참고하면, 터치모니터 또는 테블릿 등을 통해 의사가 입력한 Inray prep 경로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 등으로 출력되어 표시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7 (b)를 참고하면, 의사가 입력한 해당 Inray prep 경로를 따라 가공된 치아 형상을 모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가공인력 또는 프렙공정의 수행인력의 투입없이, 의사가 입력한 Inray prep 경로 등을 통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오토프렙 경로를 확보하고 해당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프렙가이드 본체
200 : 체결부
300 : 마커결착부
310 : 연장부
320 : 결착부
400 : 시술용 관통홈
500 : 프로텍터
600 : 이격부재
700 : 오토프렙장비
800 : 다관절 암
810 : 핸드피스
900 : 구강고정장치

Claims (8)

  1. 환자의 치아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환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 중 하나에 고정되는 프렙가이드 본체(100);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와 동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 중 환자의 치아 앞니 위치에 대응되는 일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프렙가이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체결부(200);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 및 상기 체결부와 동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310) 및 각각 상기 연장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마커가 결착가능한 결착부(320)를 포함하는 마커결착부(300); 및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의 일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시술용 관통홈(400);
    을 포함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렙가이드는,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100)와 동일 레이어 상에 형성되어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 상의 마주하는 두 지점을 연결하는 프로텍터(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렙가이드는,
    상기 프렙가이드 본체(100)와 동일 레이어 상에서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악 및 하악을 이격시키는 이격부재(6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0)는,
    오토프렙 장치와 연결된 구강고정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용 관통홈(400)은,
    각각의 시술용 관통홈(400)이 환자의 시술대상 치아의 가장 넓은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렙가이드는,
    환자의 상악 치아 및 하악 치아에 모두 고정될 경우, 2개 이상의 프렙가이드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180101064A 2018-08-28 2018-08-28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7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64A KR102073280B1 (ko) 2018-08-28 2018-08-28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PCT/KR2018/011230 WO2020045726A1 (ko) 2018-08-28 2018-09-21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64A KR102073280B1 (ko) 2018-08-28 2018-08-28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280B1 true KR102073280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064A KR102073280B1 (ko) 2018-08-28 2018-08-28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68A (ko) * 2021-04-20 2022-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865B1 (ko) * 2009-04-23 2011-11-24 조금배 표준화된 가이드 스탠트와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0244A (ko) * 2010-12-22 2014-02-18 텅 랩 유럽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KR101754861B1 (ko) * 2016-11-07 2017-07-0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치아시술용 로봇시스템
KR101773033B1 (ko) * 2015-08-20 2017-08-30 최성숙 치과시술용 보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치과시술 시스템
KR20180043869A (ko) 2016-10-20 2018-05-02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견인장치
KR101865321B1 (ko) * 2010-11-17 2018-06-07 권혁수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865B1 (ko) * 2009-04-23 2011-11-24 조금배 표준화된 가이드 스탠트와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5321B1 (ko) * 2010-11-17 2018-06-07 권혁수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KR20140020244A (ko) * 2010-12-22 2014-02-18 텅 랩 유럽 혀를 구속하기 위한 치과 기기
KR101773033B1 (ko) * 2015-08-20 2017-08-30 최성숙 치과시술용 보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치과시술 시스템
KR20180043869A (ko) 2016-10-20 2018-05-02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견인장치
KR101754861B1 (ko) * 2016-11-07 2017-07-06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치아시술용 로봇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568A (ko) * 2021-04-20 2022-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4577B1 (ko) 2021-04-20 2023-06-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97683T3 (es) Disposiciones de guiado interactivo y detección de manipulación para un sistema robótico quirúrgico
ES2405261T3 (es) Método para producir alineadores ortodónticos
ES2869673T3 (es) Método implementado por ordenador para para fabricar un alineador dental
JP2009544417A5 (ko)
JP2019526409A (ja) 誘導パッケージを含む歯科的解決策を作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1516188A (ja) 歯列矯正器具のデザイン方法
WO2017013828A1 (ja) 医療行為支援装置
US20220142736A1 (en) Dental treatment robot
KR20160144891A (ko) 치아교정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2073280B1 (ko)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73281B1 (ko) 오토프렙장비
Mo et al. Torque control during lingual anterior retraction without posterior appliances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GB2513245A (en) Improvements in surgical instruments
US10945816B1 (en)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instrument
CN104367386A (zh) 远中移动上牙列装置
Nishii et al.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the Distal Jet Appliance.
WO2023229135A1 (ko) 구강 스텐트와 일체로 형성된 마커
WO2020045726A1 (ko)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
KR10188394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Johny et al. Robot: next table turner in dentistry
JP2001061871A (ja) 歯科用治療器具類の固定装置
JP2020199021A (ja) マーカー取付け器具、及びマーカー取付け器具の取付け方法
Martinho et al. Augmented Reality Head-Mounted Device and Dynamic Navigation System for Postremoval in Maxillary Molars
JP2006346195A (ja) 上顎歯列模型調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