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321B1 -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321B1
KR101865321B1 KR1020137015633A KR20137015633A KR101865321B1 KR 101865321 B1 KR101865321 B1 KR 101865321B1 KR 1020137015633 A KR1020137015633 A KR 1020137015633A KR 20137015633 A KR20137015633 A KR 20137015633A KR 101865321 B1 KR101865321 B1 KR 10186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utting
tool
side wal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521A (ko
Inventor
권혁수
Original Assignee
권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수 filed Critical 권혁수
Publication of KR2014002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삭제는 환자의 치아에 맞게 맞춤형으로 만들어진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이용한다. 이 안내장치는 삭제공구를 안내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안내 채널을 구비한다. 안내장치는 고정밀도로 치아에 대한 계획된 삭제를 가능하게 해준다. 삭제된 후의 환자의 치아에 설치할 치과 보철물은 치아 삭제 전에 만들어진다. 보철물은 삭제된 후의 치아에 맞는 형상을 갖는다. 보철물은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삭제한 후 즉시 설치될 수 있다. 치아 삭제를 고정확도 및 고정밀도로 행함으로써 설치를 위해 보철물을 수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Description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TOOTH PREPAR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OOTH FOR DENTAL PROSTHESI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한국 특허출원 10-2010-0114678호 (출원일: 2010년 11월 17일), 10-2011-0065074호 (출원일: 2011년 6월 30일) 및 10-2011-0077930호 (출원일: 2011년 8월 4일), 미국 가출원 61/503,572호 (출원일: 2011년 6월 30일) 및 61/503,580호 (출원일: 2011년 6월 30일)에 기초한 조약 우선권 및 국내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참고 사항으로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한다.
배경
분야
본 발명은 치아 절삭 안내장치와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한 보철물 중 대표적인 예로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 (crown and bridge prosthesis)가 있다. 그 공정을 살펴 보면, 먼저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아를 절삭한다. 절삭 후 지대치 등에 대한 인상을 준비하고 절삭한 지대치에는 임시 보철물을 장착한다. 얻어진 인상에 기초하여 보철물을 준비한다. 보철물은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인공치아와 지대치에 씌워질 크라운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크라운은 금속 혹은 세라믹 등으로 만든다. 지대치에서 임시 보철물을 제거하고 준비한 보철물을 절삭한 지대치에 씌워 접합함으로써 보철물 설치를 완료한다.
지대치 절삭에서 절삭량이나 정밀도는 치과 의사의 숙련도에 크게 좌우된다. 절삭량이 과도하면 덴틴이나 펄프 티슈와 같은 치아 내부 조직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보철물 설치 후에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 치아 절삭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정밀도가 높은 크라운의 제작이 어렵기도 하고, 또 제작된 크라운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도 힘들어진다. 이러한 절삭의 문제는 크라운 설치를 위한 절삭 뿐 아니라 라미네이트 보철물, 스플린트 보철물 등을 이용하는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절삭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위 설명은 발명의 일반적인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설명된 내용이 선행 기술임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요약
본 발명은 많은 구성 또는 특징들을 제공하는데, 그 중에서도 아래에 열거한 특징 또는 구성을 제공한다.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1
치아삭제안내장치를 만드는 방법.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2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이 안내채널을 이동하여 둘 이상의 치아를 삭제하도록 삭제공구를 안내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3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전치의 설측에 말굽모양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 홈을 만들기 위한 안내채널을 포함함. 치과보철물은 전치의 홈에 맞는 말굽 모양 또는 유사한 모양의 돌기를 가짐. 홈과 돌기의 표면들은 고정밀도로 형성되고 정렬되어, 보철물이 특정한 (삽입)축을 따라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접근할 때에만 보철물 및 삭제된 치아가 결합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4
치아삭제안내장치는 둘 이상의 부분을 갖는 안내채널을 포함함. 각 안내 채널은 사전에 결정되고 특별한 형상의 삭제공구에만 맞도록 형성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5
안내 채널을 갖는 단일의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치아를 절삭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아삭제방법으로서, 하나의 삭제 공구가 안내채널의 일부분에서 사용되고 다른 삭제공구가 다른 부분에 사용되는 치아삭제방법.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6
각각이 하나 이상의 치아를 삭제하기 위해 설계된 다수의 안내 채널을 포함하는 치아삭제안내장치.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7
단일의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치아를 삭제하는 치아삭제방법.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8
디지털 치과치료방법은 치과보철물을 삭제된 치아에 삽입하고 결합하도록 보철물의 삽입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이 방법은 치아의 3 차원 이미지를 틸팅하여, 언더컷 부분 또는 언더컷 영역의 크기, 정도 및/또는 양을 검토하고 3 차원 이미지의 특정 배향 축을 정함. 언더컷 부분 또는 언더컷 영역의 크기, 정도 및/또는 양은 치과보철물이 허용하거나 최소화하는 범위임. 컴퓨터 프로그램이 알고리즘과 이 방법을 수행할 단계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09
삭제공구 안내채널을 갖는 단일 몸체의 치아삭제안내장치로서, 단일 몸체로부터 돌출된 반도모양의 부분(공구 출입구가 형성됨)을 포함하는 치아삭제안내장치.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0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삭제공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채널과 안내채널의 출입구(이 출입구를 통하여 절삭공구가 안내채널에 투입됨)를 포함하며,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안내채널로 들어가기 위한 적절한 높이에서 삭제공구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 또는 멈춤 구조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1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삭제공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채널과 안내채널의 출입구(이 출입구를 통하여 절삭공구가 안내채널에 투입됨)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채널은 출입구부터 치아 절삭이 시작되는 안내채널 내의 어느 한 점까지 연장되는 비절삭구간을 포함하며, 비절삭구간에서는 삭제공구가 치아삭제 없이 단지 이동만 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2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삭제공구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채널과 안내채널의 출입구(이 출입구를 통하여 절삭공구가 안내채널에 투입됨)를 포함하며, 이 출입구는 치아절삭이 시작되는 안내채널의 어느 한 점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여 삭제공구가 치아삭제 없이 단지 이동만 하는 비삭제구간이 필요 없음.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3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사용하기위한 방향들을 표시하는 마크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4
기다란 치아 삭제공구는 기다란 몸체에 있는 절삭부와 절삭부로부터 단차가 진 비절삭단부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5
치아삭제안내장치와 기다란 치아삭제공구(이 치아삭제공구는 기다란 몸체에 있는 절삭부와 절삭부로부터 단차가 진 비절삭단부를 포함함)를 이용하는 치아삭제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절삭공구가 치아삭제안내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 치아를 절삭하도록 절삭공구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절삭부는 치아를 절삭하고, 비절삭단부는 치아의 비절삭면과 접촉하고 맞닿아서, 이러한 구성은 절삭공구(비절삭단부)가 치아의 비절삭면을 향한 방향으로 틸팅하는 것을 방지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6
기다란 삭제공구는 치아삭제안내장치의 안내채널과 결합하는 구성 또는 구조을 포함함.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삭제공구의 이러한 구성 또는 구조를 수용하는 대응 구조를 포함함. 삭제공구와 치아삭제안내장치의 결합은 삭제공구가 치아삭제안내장치와 결합하고 있는 동안 삭제공구의 틸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7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치아의 교합면을 삭제하기 위한 안내채널과 동일한 치아의 측면을 삭제하기 위한 다른 안내채널을 함께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8
치아삭제방법은 치아삭제안내장치(이 안내장치는 치아의 교합면을 삭제하기 위한 안내채널과 동일한 치아의 측면을 삭제하기 위한 다른 안내채널을 함께 포함함)를 이용하여 치아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19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상실된 치아)를 포함하는 일군의 치아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단일몸체를 포함함.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제 1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제 2 안내 채널을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0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상실된 치아가 없는 일군의 치아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단일몸체를 포함함. 치아삭제안내장치는 다수의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각 안내채널은 일군의 치아 중 하나를 삭제하기 위한 것임.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1
치과치료방법은 스플린트가 필요하며 상실된 치아가 없는 일군의 치아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군의 치아를 위해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계된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일군의 치아 위에 위치시키고 결합하는 단계와,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일군의 치아를 삭제하는 단계와, 각 삭제된 치아에 맞는 치과보철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일군의 치아에 치과보철물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2
환자는 장래 보철물의 이미지들을 보고 보철물을 위한 치아삭제 전에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허용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3
치아삭제안내장치는 치아의 셋 이상의 측면을 안내채널을 따라 한 번의 이동으로 삭제하도록 삭제공구를 안내하는 안내채널(안내로)를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4
치아삭제방법은 치아의 셋 이상의 측면을 치아삭제안내장치의 단일 안내채널을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을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5
치아삭제방법은 둘 이상의 치아를 치아삭제안내장치의 단일 안내채널을 이용하여 삭제하는 것을 포함함.
Figure 112013053566058-pct00026
치과치료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맞게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치아삭제안내장치를 포함함. 치과치료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대한 치아삭제안내장치를 이용한 원하는 형태의 삭제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된 치과보철물을 포함함. 치과치료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삭제공구(이 삭제공구는 치아삭제장치의 안내채널과 결합하고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됨)를 포함함. 치과치료키트는 원하는 형태의 치아절삭 후에 치아 위에 치과보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세멘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음.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치과치료용 키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을 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을 행하기 전에, 그리고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만들기 전에,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후 치아에 결합하기 위하여 치과 보철물이 접근해 가야 하는 삽입축(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해 상대적인 삽입축임)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후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와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삭제안내장치(이 삭제안내장치는 단일체로 만들어지며, 이 단일체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공간과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을 위하여 치아의 적어도 일부분을 삭제하기 위해 삭제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 채널을 더 포함함)를 만드는 단계와,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 및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의 방법으로서, 삽입축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치아의 삼차원 이미지가 다수의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와; 삼차원 이미지가 각각의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마다 언더컷(undercut)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언더컷 정보에 기초하여 삽입 축으로서 삼차원 이미지가 배향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삭제 면적과 삭제 깊이에 기초하여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삭제 공구의 배향, 삭제 공구의 직경, 삭제 공구의 길이, 삭제 공구의 테이퍼 형상에 대한 정보,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삭제 공구의 위치, 하나 이상의 치아 외표면과 삭제 공구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 및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삭제 공구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는,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의 제 4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4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방법은 삭제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치료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제 1 치과 보철물의 설치 후에 예상되는 하나 이상의 치아의 장래의 형상을 도시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환자가 제 1 이미지를 검토할 수 있도록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 후에 그리고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제 1 이미지에 기초한 제 1 치과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 후에,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삭제안내장치(이 삭제안내장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도록 맞춤형으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실질적 추가 삭제 공정이 필요 없이 제 1 치과 보철물이 맞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치아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를 안내함)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의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의 원하는 치아 삭제 후에 있을 장래 삭제된 형상을 표현하는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제 2 치과 보철물의 설치 후에 있을 하나 이상의 치아에 장래 형상을 표현하는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을 행하기 전에, 환자가 검토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2 이미지보다는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1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과 제 2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 사이에는 길이, 폭, 표면 곡률, 감싸는 정도, 가려지는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
위 방법은 제 1 이미지를 제공한 후 그리고 환자의 승인을 얻기 전에,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수정요청을 받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수정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에 표현되는 장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제 1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을 수정한 제 1 이미지를 환자의 승인을 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치료 방법으로서, 제 1 치과 보철물과 삭제안내장치를 상기 방법에 따라 만드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치아를 삭제하고 삭제 후 하나 이상의 치아에 제 1 치과보철물을 설치하도록 제 1 치과 보철물과 삭제안내장치를 치과의사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위 방법에서 제 1 치과 보철물과 삭제안내장치와 함께 삭제 공구가 제공되며, 삭제안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며, 삭제 공구는 양끝단 사이에 돌출부를 갖는 기다란 몸체를 포함하며, 기다란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에 끼워지고 돌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에 끼워져서 안내 채널과 안내홈이 함께 삭제 공구를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방식으로 위치시키고 배향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치료방법으로서,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이 하나 이상의 치아는 제 1 치아를 포함하며, 제 1 치아는 교합면과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과 원심면을 포함함)에 설치할 치과 보철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치과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치아 삭제용의 삭제안내장치(이 삭제안내장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의 적어도 일부와 맞도록 맞춤형으로 만들어지고, 삭제안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실질적 추가 삭제 공정이 필요 없이도 제 1 치과 보철물에 맞게 치아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를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은 제 1 단일 채널을 포함하되, 제 1 단일채널은 삭제 공구가 삭제안내장치로부터 제거되지 않고도 삭제 공구가 이동할 수 있는 것임)를 제공하는 단계와; 삭제안내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일부에 맞도록 치아 위에 삭제안내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삭제 공구를 삭제안내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 중 세 개 또는 네 개의 면에서 제 1 치아를 삭제하도록 구성된 제 1 단일 채널을 따라 삭제 공구를 움직여 제 1 치아를 삭제 공구로 삭제하는 단계(이 삭제은 제 1 치아를 삭제하는 추가적인 삭제안내장치 없이, 그리고제 1 치아를 실질적으로 삭제하는 추가 삭제 없이 이루어짐)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 중 세 개 또는 네 개의 면을 감싸도록 제 1 치아에 치과보철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 방법에서, 세 개 또는 네 개의 면을 삭제하는 것은 네 개의 면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며, 삭제하지 않은 부분은 제 1 치아와 인접치아가 접촉하는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일 채널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의 네 개의 면을 삭제하도록 구성되며, 네 개의 면을 삭제하는 것은 교합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 제 1 치아를 빙둘러 삭제하는 것이며, 치과 보철물은 제 1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삭제된 제 1 치아의 네 개의 면과 접촉하는 고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단일 채널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의 네 개의 면을 삭제하도록 구성되며, 네 개의 면을 삭제하는 것은 교합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 제 1 치아를 전체적으로 빙둘러 삭제하는 것이 아니며 네 개의 면 중 일부를 남겨 놓는 것이며, 치과 보철물은 제 1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삭제된 제 1 치아의 네 개의면과 접촉하는 C-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치아는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포함하며, 제 1 치아를 삭제한 후 제 2 치아를 삭제하며, 삭제안내장치는 제 1 치아 삭제과 제 2 치아 삭제 사이에 치아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제 1 단일채널은 제 1 치아 삭제에 이어서 삭제 공구를 제 1 단일 채널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제 2 치아를 삭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치아는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포함하며, 제 1 치아를 삭제한 후 제 2 치아를 삭제하며, 삭제안내장치는 제 1 치아 삭제과 제 2 치아 삭제 사이에 치아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제 1 단일 채널과 구분되며 제 2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제 2 단일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치과 보철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치과보철물을 제 3 자로부터 제공받거나 사용하는 곳 내부에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삭제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는 삭제안내장치를 제 3 자로부터 제공받거나 사용하는 곳 내부에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방법에서, 치과보철물을 설치도록 치아를 삭제하기 전에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 3 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3 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게 하는 단계는, 3 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구조를 스캐닝하는 것과; 환자의 구강구조의 인상을 뜨는 것과; 인상으로부터 환자의 구강구조의 3 차원 모델을 만드는 것과; 3 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3 차원 모델을 스캐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일 몸체의 치아 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의 몸체는 교합면쪽 벽에 형성되어 있고 삭제 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이동궤적을 따라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협측부와, 설측부와,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단일의 통합된 채널로서 안내채널을 형성하며, 단일의 통합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안내 채널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협측부는 대체로 협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설측부는 대체로 설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안내장치가 제공된다.
위 장치에서,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협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협측 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협측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설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설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설측 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설측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연결부를 이동하면서 근심면 또는 원심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해당 치아와 인접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연결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협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은 설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안내채널은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여,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폐회로 형태의 안내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안내채널은 협측부 또는 설측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한 점에서의 연장부의 접선은 한 점에서의 연결부의 접선과 평행일 수 있다.
위 장치에서, 안내채널은 협측부 또는 설측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한 점에서의 연장부의 접선은 한 점에서의 연결부의 접선과 평행이며, 연장부는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지 않아 안내채널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과하게 하며, 삭제 공구가 내측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허용하며, 삭제 공구가 협측부를 이동할 때 협측면을 삭제하게 하며, 삭제 공구가 연결부를 이동할 때 근심면과 원심면 중 하나를 삭제하게 할 수 있다. 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에 의해 정의된 내측 공간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더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치료를 위하여 치아를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 및 교합면을 갖는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아가 내측공간에 수용되도록 그리고 설측면이 설측측벽을 향하고 협측면이 협측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이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치아에 안내장치를 결합하는 단계와; 삽입구멍을 통하여 안내채널에 삭제 공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삭제 공구가 치아의 측면(이 측면은 설측부의 적어도 일부, 협측부의 적어도 일부, 근심면 또는 원심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을 삭제하도록 협측부, 설측부 및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내채널의 이동 궤적을 따라 삭제 공구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궤적을 따라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동안, 삭제 공구는 치아의 삭제면을 완성하기까지 안내 채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 방법에서,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협측부 한 점에서의 접선이 설측부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일 몸체의 치아 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의 몸체는 교합면쪽 벽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제1 이동궤적을 따라 제 1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1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1 안내 채널은 대체로 협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단일의 몸체는 협측 측벽 또는 설측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제 2 이동궤적을 따라 제 2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2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2 안내 채널은 대체로 교합면쪽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위 장치에서,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교합면쪽 벽은 치아의 교합면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2 안내채널은 교합면쪽 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며;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협측 측벽은 치아의 협측면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1 안내 채널은 협측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 안내 채널의 일부분은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삭제 공구가 내측 공간으로 연장되고, 삭제 공구가 그 일부분을 이동할 때 근심면과 원심면 중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치료를 위한 치아를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 및 교합면을 갖는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아가 내측공간에 수용되도록 그리고 설측면이 설측측벽을 향하고 협측면이 협측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이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치아에 안내장치를 결합하는 단계와; 삭제 공구의 삭제부가 내측공간에 그리고 협측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도록 삽입구멍을 통하여 안내채널에 삭제 공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삭제 공구가 제 1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치아의 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와; 동일한 삭제 공구 또는 다른 삭제 공구의 삭제부가 내측공간에 그리고 교합면쪽 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도록 동일한 삭제 공구 또는 다른 삭제 공구를 제 2 안내채널에 협측면을 삭제하기 전 또는 후에 삽입하는 단계와; 삭제 공구가 제 2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치아의 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일 몸체의 치아 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 몸체는 설측측벽 또는 협측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도록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의 일부를 내측 공간 그리고 교합면쪽 벽과 치아 사이에 들여보낼 수 있게 구성되어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안내 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교합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장치가 제공된다.
위 장치에서,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며, 출입구는 교합면쪽 벽을 통하도록 형성되어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하여 협측 측벽 또는 설측 측벽에 형성된 안내 채널로 들어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치료를 위한 치아의 삭제 방법으로서,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 및 교합면을 갖는 치아를 삭제하기 위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치아가 내측공간에 수용되도록 그리고 설측면이 설측측벽을 향하고 협측면이 협측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이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치아에 안내장치를 결합하는 단계와; 삭제 공구의 삭제부가 내측공간에 그리고 협측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도록 안내채널에 삭제 공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치아의 교합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를 안내채널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제공된다.
.
.
.
도 1은 치아 절삭 안내장치 없이 치아를 절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 없이 치아를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로부터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로 치아 일부 절삭 작업을 시작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로 치아 일부 절삭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서베이라인 위쪽에 장착되는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절삭공구의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있는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서베이라인 위쪽에 장착되고 절삭공구의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있는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절삭공구 진입구가 측벽에 있고 치아 둘레면의 일부에 대해서만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치아 교합면에 대하여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치아 협측면 또는 설측면에 띠 형상 홈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교합면에 레스트 시트(rest seat)를 형성하기 위한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8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여러 치아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을 연달아 절삭할 수 있도록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8B는 도 18A에 도시한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구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C는 도 18B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전치부의 치아 절삭을 위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순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설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전치부의 치아 절삭을 위한 것으로서 절삭공구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설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전치부의 치아 절삭을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전치 설측면에 두 개의 와동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안내로를 형성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설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전치부 각각의 치아의 설측 결절(cingulum)을 따라서 절삭을 할 수 있게 공구안내로를 형성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에 도시한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전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C는 도 23B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3D는 도 23B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를 보철물 삽입방향을 따라 볼 때 보이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E는 도 23D에 도시한 홈의 단면도로서 홈의 중앙선에 대하여 수직인 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3F는 절삭한 전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G는 보철물 삽입 각도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한 치아의 단면도.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장착하여 치아를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평탄한 안내로를 따라 절삭공구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하 굴곡이 있는 안내로를 따라 절삭공구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7A 및 2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원반형 안내 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8A 및 2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9A 및 2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안내로(한쪽에만 안내 측벽이 형성된 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0A 및 3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공구안내로에 구속되는 소직경부가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1A 및 3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구형 안내돌기가 공구안내로 내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2A 및 3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타원형 안내돌기가 공구안내로 내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3A 및 3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아래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내의 홈에 끼워지고 위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윗면에 접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4A 및 3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되며 아래 안내돌기가 절삭헤드부에 접하도록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아래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윗면에 접하고 위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윗면에 접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5A 및 3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위에는 구형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절삭헤드부의 상단이 아래 안내돌기로 기능하는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윗면에 접하며 이동하고 절삭헤드부 상단은 공구안내로 아랫면에 접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6A 및 3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안내돌기의 일부분이 공구안내로 윗면에 형성된 홈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6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하 각각의 안내돌기의 일부분이 공구안내로 윗면 및 아래면에 형성된 홈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위쪽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윗면에 형성된 홈에, 아래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 측면에 형성된 홈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7A 및 3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하나의 안내돌기가 공구안내로 윗면에 접하며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8A 및 3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크기가 다른 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두 안내돌기가 각각 공구안내로 내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9A 및 3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크기가 동일한 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두 안내돌기가 각각 공구안내로 내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직경이 작은 원반형 안내돌기가 형성된 절삭공구)가 상하 굴곡이 있는 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형성된 절삭공구)가 상하 굴곡이 있는 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직경이 큰 원반형 안내돌기가 형성된 절삭공구)가 상하 굴곡이 있는 안내로를 따라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측벽에 물 등의 통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장착하여 치아 일부 절삭 작업을 진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용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45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설측에서 본 측면도.
도 46은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협측(볼쪽)에서 본 측면도.
도 47은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저면도.
도 48A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48B는 도 48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9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설측에서 본 사시도.
도 50A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협측에서 본 사시도.
도 50B는 도 50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1A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하고 절삭한 상태를 협측에서 본 사시도.
도 51B는 도 51A의 X-Y선을 따라 절단하여 치아의 절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하고 치아 일부를 절삭한 상태를 협측에서 본 사시도.
도 52A는 도 52의 AX-Y선을 따라 절단하여 치아의 절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B는 도 52의 BX-Y선을 따라 절단하여 치아의 절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C는 도 52의 CX-Y선을 따라 절단하여 치아의 절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2D는 도 52의 DX-Y선을 따라 절단하여 치아의 절삭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3은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치아에 보철물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4는 도 44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제자리에 안착 하였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5B는 도 55A의 절삭공구의 진입경로를 도시하기 위해 점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둘레면 절삭용 절삭공구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형성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치아의 설측을 절삭하기 위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58은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8은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60는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0A는 도 60의 선 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0B는 도 60의 선 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0C는 도 60의 선 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0D는 도 60의 선 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1은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저면도.
도 62는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모형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저면도.
도 63은 도 57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전치부 치아에 보철물(50)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4는 도 63에 도시한 보철물을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5는 도 63에 도시된 보철물의 사시도.
도 6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로서 구치용 안내장치를 구치부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7은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설측에서 본 측면도.
도 68은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69는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9A는 도 69의 선 X-YA를 따라 절단한 치아 절삭 후의 단면도.
도 69B는 도 69의 선 X-YB를 따라 절단한치아 절삭 후의 단면도.
도 70은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저면도.
도 71은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 한 후 결합 전 상태의 치아와 보철물의 평면도.
도 72은 도 71에 도시한 상태의 치아와 보철물의 사시도.
도 73은 도 66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 한 후 보철물을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74은 도 73에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7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치용 치아 절삭 안내장치(절삭공구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형성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7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치용 치아 절삭 안내장치(두개의 공구안내로 각각에 대한 절삭공구 진입구가 한 쪽에 모여 있도록 형성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75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치용 치아 절삭 안내장치(두 개의 공구안내로에 대하여 하나의 절삭공구 진입구가 덴탈아치의 앞쪽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 진입구로부터 무절삭진입로가 각각의 공구안내로까지 연장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76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치아의 설측을 절삭하기 위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절삭공구 진입구가 측벽 안쪽에 설치된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76B는 도 76A의 선 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7A는 도 76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77B는 도 77A의 선 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8은 도 76A에 도시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전치부 치아에 보철물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치부용 치아 절삭 안내장치(절삭공구 진입구와 진출구가 측벽 안쪽 공구안내로 양끝에 형성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79B는 도 79A의 선 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세트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제2 차이 절삭 안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1A는 절삭 전 치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1B는 도 80에 도시한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1C는 도 80에 도시한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1차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2A는 절삭 전 치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2B는 도 80에 도시한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2C는 도 82B의 선 A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2D는 도 82B의선 B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3A는 도 80에 도시한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하기 전 치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3B는 도 80에 도시한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3C는 도 80에 도시한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절삭을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4A는 도 80에 도시한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하기 전 치아를 도시한 평면도.
도 84B는 도 80에 도시한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4C는 도 84B의 선 A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4D는 도 84B의선 B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5는 도 80에 도시한 한 세트의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6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치부 치아의 순측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6B는 도 86A의 선 x-y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7A, 87B, 8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의 측면도.
도 88A 및 8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구형 안내돌기가 상하 두 개 형성된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할 때 두 안내돌기가 각각 공구안내로 내의 홈(돌기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도록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안내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0은 도 89의 선 X-Y를 따라 절단한 부분단면도
도 91은 도 90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2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2B는 절삭공구가 치아를 절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2C는 치아를 절삭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2D는 절삭된 치아에 보철물을 장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
도 9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절삭공구가 치아를 절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안내장치 중 하나의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93B는 도 93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4A는 도 93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94B는 도 94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5A는 도 93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95B는 도 95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6 및 도 97은 도 93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측면도.
도 9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안내장치 중 다른 안내장치의 사시도.
도 98B는 도 98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9A는 도 98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99B는 도 99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0A는 도 98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100B는 도 100A의 x-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1 및 도 102은 도 98A에 도시한 안내장치의 측면도.
도 103 및 104는 각각 도 93A 및 98A에 도시한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치아의 평면도 및 사시도.
도 10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의 흐름도.
도 106-109는 삭제한 후의 치아의 예상 형상을 표시하는 컴퓨터 화면을 캡처한 도면.
도 110-115는 삭제한 후의 예상 형상에 기초하여 안내장치를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한 후 컴퓨터 화면에 표시한 것을 캡쳐한 도면.
도 1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플린트 보철물을 장착하기 위해 치아를 절삭하기 위해 절삭 안내장치(여러 치아의 설측면, 협측면, 인접면을 연달아 절삭할 수 있도록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7는 도 116에 도시한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구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8는 도 117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9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플린트 보철물을 장착하기 위해 치아를 절삭하기 위해 절삭 안내장치(여러 치아의 설측면, 협측면, 인접면을 연달아 절삭할 수 있도록 공구안내로가 형성된 안내장치)를 치아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0는 도 119에 도시한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 구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1는 도 120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절삭한 구치부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3는 도 122에 도시한 절삭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4는 공구안내로의 중간에서 공구를 바꿀 수 있도록 공구 삽입구멍이 마련된 공구안내로의 평면도.
도 125는 하나의 치아를 절삭하는 중에 공구를 교체하여 치아를 절삭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2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공구안내로에 안내되는 돌기구조물이 마련된 핸드피스) 및 절삭공구가 공구안내로에 삽입된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7-172는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아절삭안내장치를 설계하는 과정의 스크린 캡쳐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용어 설명
다음은 본 설명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또는 표현에 대한 정의이다. 특별히 달리 표현하지 않는 한, 이러한 용어 및 본 설명서의 다른 곳에 보이는 다른 용어는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설명서를 통하여 일관된 의미로 사용된다.
" 지대치(abutment tooth)" 는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한 치아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인접한 상실한 치아 자리에 인공치아를 설치하기 위해 보철물을 고정하는 치아이다.
치아에서 " 교합면(occlusal surface)" 은 음식물을 저작하는 부위로서 윗 치아와 아래 치아가 서로 맞닿는 쪽의 면을 가리킨다. " 절단면(incisal surface)" 은 앞니의 끝부분을 가리킨다. " 둘레면" 은 어금니의 경우 교합면을 제외한 치아의 측면을 총칭하며 (collectively referred to as), 앞니의 경우 절단면을 제외한 치아의 측면을 총칭한다. " 설측면(lingual surface)" 는 치아의 둘레면 중 혀를 향하는 면이나 부위를 가리킨다. " 협측면(buccul surface)" 는 구치부 치아의 둘레면 중 뺨을 향하는 면이나 부위를 가리킨다. " 순측면" 은 전치부 치아의 둘레면 중 입술을 향하는 면이나 부위를 가리킨다. " 인접면(proximal surface)" 는 둘레면 중 인접한 치아를 향하는 면이나 부위를 가리킨다. 즉, 인접면은 설측면과 협측면 (또는 설측면과 순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두 면이나 부위를가리킨다. " 앞쪽 인접면(mesial surface)" 는 치아 아치(dental arch)의 중앙을 향하는 인접면이고, " 뒤쪽 인접면(distal surface)" 는 치아 아치의 중앙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인접면을 가리킨다.
치아의 " 삭제" 는 환자의 입안에 설치하기 위한 치과보철물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치아를 적절한 공구 예를 들면, 절삭공구(burr)를 이용한 치아의 절삭, 축소, 어블레이팅(ablating) 및/또는 연마를 포함한다. " 삭제 전" 또는 " 삭제 없이" 는 특정 치아에 설치하기 위하여 설계한 특정 치과보철물을 용이하게 결합하기에 삭제될 치아가 아직 충분히 삭제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약간의 치아의 절삭, 축소, 어블레이팅 및/또는 연마가 있더라도, 삭제된 치아에 설치하도록 설계된 치과보철물과 그 치아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축소, 어블레이팅 및/또는 연마 없이 아직 용이하게 결합할 수 없을 때는 여전히 " 삭제 전" 또는 " 삭제 없이" 에 해당되는 상태이다. 치아의 삭제가 완성 또는 종료되었을 때, 즉 " 완료 후" 에는, 삭제된 치아는 삭제된 치아에 결합하도록 설계된 보철물의 특정 부분에 치아를 치아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축소, 어블레이팅 또는 연마 없이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위쪽, 아래쪽, 최상부, 옆 등 방향을 표시하거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는 데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그 자체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아래 턱 치아를 중심으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고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위턱의 치아에도 같거나 비슷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위턱의 치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방향 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이 다르게 사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치과 치료
전통적인 치과 치료 방법(dental procedure)에 따르면, 치과의사가 환자의 치아를 절삭한 후, 절삭한 치아를 인상하여 그에 맞게 보철물을 제작하고, 그 보철물을 환자의 치아에 장착한다. 도 1에는 통상의 방법으로 치아(70)를 절삭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 절삭량이나 정밀도는 치과 의사의 손동작의 능력과 숙련도에 크게 좌우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치아(70)가 절삭되어 있으며, 여기에 장착할 보철물(50)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1과 비교해 볼 때 치아(70)가 과도하게 절삭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또 이들 치아가 매끄럽게 절삭되지 않은 것도 볼 수 있다. 손동작 능력과 숙련도가 떨어지는 치과의사가 절삭한 경우 이 같은 결과를 낳기가 쉽다. 많은 경우 손동작 능력과 숙련도가 뛰어난 치과의사의 경우에도 에나멜질 안쪽 상아질(dentin)까지 절삭하는 것이 보통이며 그 결과 치아의 내부 조직이 손상될 위험에 노출된다. 또 치아 절삭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브릿지 보철물과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보철물 설치 후에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치아 절삭전 보철물 제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 방법(dental procedure)에서는, 치아를 절삭하기 전에 보철물을 미리 제작하여 두고, 치과 의사(dental practitioner or dentist)가 환자 치아를 절삭하고 나서 곧바로 보철물을 장착한다. 미리 제작한 보철물을 절삭한 치아에 제대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보철물에 맞게 치아를 정밀하게 절삭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치아의 정밀 절삭은 치과의사의 손에만 의존해서는 이루어지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안내장치(preparation guide device)를 사용한다. 이 절삭안내장치는 치과의사가 핸드피스에 달린 절삭공구(burr)로 치아를 절삭할 때 절삭공구가 미리 정해진 궤적을 따라 움직이도록 절삭공구의 이동을 안내해주기 위한 것이다. 절삭 안내장치도 보철물과 마찬가지로 치아 절삭 전에 미리 제작한다.
치아삭제 전 인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 방법에서는, 보철물과 절삭 안내장치를 환자의 치아에 맞게 미리 제작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환자가 치과병원 또는 클리닉을 방문하면 치과의사는 진료를 하면서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또한치과의사는 치아의 3차원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작업을 하거나 그 같은 작업을 지시한다. 치아의 3차원 형상에 대한 데이터는 3차원 스캐너로 구강 내를 스캔하거나 치아의 인상(impression)을 만들고 그 인상을 이용하여 수집한다. 치아의 인상을 만들거나 구강 내를 스캔하기 전에, 치과의사는 환자의 치아를 절삭하지 않는다. 만약, 환자의 치아를 절삭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계획한 보철물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절삭은 하지 않고 인상을 만들거나 구강 내를 스캔한다. 구강 내를 스캔하는 일 또는 치아의 인상을 만드는 일은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치과병원이나 클리닉에서 할 수도 있고 치과기공소 또는 제3의 장소에서 할 수도 있다.
절삭안내장치 및 보철물 설계와 제작
치료방법이 결정되고 환자의 수집된 치아 데이터가 얻어지면,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집된 치아 데이터를 처리해서 치아의 절삭 후 형상을 설계하고 또 최적의 보철물을 설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철물은 기능적인 면 및/또는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면서 치아의 절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한다. 치아의 절삭 후 형상(prospective cut shape of tooth)은 치아의 절삭 두께 또는 절삭량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하며, 보철물이 절삭후의 치아와 잘 결속(interlock/engae/integrate)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치아의 절삭 후 형상을 설계하는 것은 보철물 설계 보다 먼저 할 수도 있고 뒤에 할 수도 있고 또 함께 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절삭할 절삭공구를 새로 설계한다. 물론, 절삭공구는 사전에 준비된 여러 절삭공구 중에서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또 정해진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절삭 부위가 결정되고 절삭공구 설계 또는 선택등이 완료되면, 수집된 치아 데이터를 처리하여 절삭공구의 궤적을 절정한다. 그 궤적에 따라 절삭공구를 안내할 공구안내로(tool guide way)를 갖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설계한다. 절삭 안내장치는 절삭하게 될 치아 및 그 인접치아 등과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환자 치아의 3차원 형상에 상보적인 음각을 가지도록 설계한다.
절삭공구의 궤적을 결정하고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설계하는 일은 치아의 절삭 후 형상을 설계하는 일과 보철물을 설계하는 일보다 먼저할 수도 있고, 뒤에 할 수도 있고 또 함께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모두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치과클리닉 내에서,치과기공소 또는 제3의 장소에서 이루어진다.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들 과정은 치과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날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그 뒤 어느날 이루어질 수도 있다.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한 설계에 따라 보철물과 안내장치와 절삭공구의 설계가 완료되면, 보철물과 안내장치와 절삭공구를 제작한다. 절삭공구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보철물과 안내장치는 환자 치아의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custom 제작하는 것이며, 이미 제작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없다. 보철물과 안내장치는 치과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날 제작할 수도 있고 그 뒤 어느날 제작할 수도 있다.
치아 절삭 및 보철물 장착
준비된 보철물 및 안내장치와 절삭공구는 치과의사에게 보내진다. 치과의사는환자의 치아에 안내장치를 장착하고, 핸드피스에 절삭공구를 연결하여, 안내장치에 마련된 공구안내로를 따라 절삭공구를 이동시키면서 치아를 절삭한다. 절삭이 완료되면 보철물을 절삭된 치아에 바로 고정하여 치과 치료를 완료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환자를 진료하여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치아의 형상에 관한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철물을 설계하고, 보철물을 제작하고, 안내장치를 설계하고, 안내장치를 제작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절삭하고, 보철물을 치아에 고정하는 모든 과정을 같은 날 완성한다. 어떤 경우는 환자가 치과 진료를 하기 위하여 치과병원이나 클리닉을 방문한 뒤 그 장소를 떠나지 않고 이 모든 과정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진료와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일은 환자가 치과병원이나 클리닉을 처음 방문한 날 진행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절삭한 다음 보철물을 치아에 고정하는 일은 그 다음 방문한 날 진행한다. 이때 치아의 형상에 관한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하는 일, 보철물을 설계하고, 보철물을 제작하고, 안내장치를 설계하고, 안내장치를 제작하는 일은 환자가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날 모두 완성할 수 있고 그 다음 어느날 할 수도 있다.
치아 형상의 모델링과 환자의 의견 수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철물을 설계(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치아 데이터를 캐드/캠 시스템(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보철물 장착 후의 예상 형상(prospective shape)을 모델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설계된 보철물의 장착 후에 예상되는 (인접치아와 보철물을 포함한) 모습을 모델링하여 그 이미지의 정지화상 및/또는 동화상을 준비하여 환자에게 보내준다. 환자 또는 그 보호자가 그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검토하고 그 모습을 승인하면 설계된 보철물, 절삭안내장치 등을 제작한다. 만약 환자나 보호자가 설계된 보철물을 승인하지 않으면, 보철물의 설계를 변경한다. 이 경우 특히 심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를 변경하지만 심미적인 측면의 변경이 기능적인 측면의 변경을 수반할 수도 있다. 이때, 환자나 보호자는 보철물 설계 변경에 대한 의견을 제공할 수 있고, 그 의견을 보철물 재설계시에 참고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모델링을 여러 번 반복해서 보철물 장착 후의 예상되는 (보철물과 인접치아의) 형상을 여러 개 준비하고, 각각의 예상 형상에 대해 정지화상 및/또는 동화상을 준비한다. 이들 정지화상 및/또는 동화상을 환자나 보호자에게 보여주고, 환자나 보호자가 그 여러 개의 예상 형상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선택한 하나의 예상 형상에 따라 보철물을 설계한다. 이 경우, 환자나 보호자가 선택된 예상 형상을 변경하고 싶어하면 환자나 보호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철물 설계를 변경할 수 있다.
보철물 장착 후 예상되는 형상과 모습에 관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환자나 보호자에 의한 예상 형상의 승인, 거절, 선택, 설계 변경에 관한 의견 제시도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들 과정과 행위의 전부나 일부가 또는 각각이, 환자나 보호자가 치과클리닉을 방문하여 치과의사와 상의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고, 환자나 보호자가 기공소나 제 3의 장소를 방문하여 담당자와 상의하면서도 이루어질 수 있고, 환자나 보호자가 화상회의, 전화회의나 웹회의 등의 방법으로 치과의사나 담당자와 상의하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들 과정과 행의의 전부나 일부가 또는 각각이, 이-메일의 내용이나 첨부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우편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환자나 보호자가 이 과정과 절차를 가능하게 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보철물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적용되는 보철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크라운, 크라운레이, 레미네이트 또는 베니어, 인레이, 온레이, 스플린팅 보철물 등이 모두 해당한다.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하고 절삭된 부위에 장착하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보철물 및 절삭 안내장치 설계 시 고려 사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철물, 절삭 후 치아형상, 절삭안내장치를 설계한다. 가능하면 최소한의 치아 절삭을 하고도 보철물의 유지력(retention force)을 얻을 수 있도록 이들을 설계한다.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삽입하는 방향(axis of insertion)과 절삭 후 치아 형상를 변경해가면서, 최소절삭이 이루어지는 삽입방향과 절삭부위를 알아낸다. 이렇게 절삭 후 치아 형상을 디자인하면서 절삭할 부위가 결정되면 이를 기초로 치아 절삭안내장치를 설계한다. 먼저 치아에서 절삭공구가 지나갈 궤적을 결정하여 절삭안내장치의 공구안내로를 설계한다. 공구안내로의 설계와 함께 치아에 고정되는 부분 등 안내장치의 다른 구조물을 설계한다.
한편, 보철물과 절삭안내장치의 설계는 구강 환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보철물과 맞닿거나 맞물리는 치아가 자연 치아인지 아니면 인공치아인지, 아니면 맞물리는 치아가 없는지, 보철물이 전치부를 위한 것인지 구치부를 위한 것인지, 몇 개 정도의 치아가 상실 되었는지를 고려한다. 또한, 치아 몇개를 지대치로 이용할지 결정하고 이에 따라서 보철물에 가해지는 힘들을 고려한다. 보철물의 재질에 따른 절삭량 및 절삭 정밀도를 고려한다. 이 같은 사항들을 미리 고려하면서 치아의 절삭을 최소화하면 치아보존에 유리하며, 보철물 장착 후 2차 우식증에 걸릴 위험성도 줄어든다. 설계에 따라 절삭공구, 안내장치, 보철물을 제조한다.
치아의 절삭 부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하나(단일)의 치아를 삭제하는 경우,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그 치아의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 교합면 중 한면 또는 다수의 면을 절삭한다.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한개의 면만을 절삭하거나, 두개의 인접한 면만을 절삭하거나, 두개의 마주보는 면만을 절삭하거나, 세개의 면만을 절삭하거나, 네개의 면만을 절삭하거나, 다섯개의 면을 절삭할 수 있다. 한편, 어떤 면을 절삭한다는 것은 그 면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전부를 절삭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치아의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교합면과의 경계로부터 잇몸 아래부위까지 삭제할 수도 있고, 그 사이의 일부만 삭제할 수 있다. 또, 교합면과의 경계부터 잇몸과의 경계까지 삭제할 수도 있고, 그 사이의 일부만을 삭제할 수 있다.
치아의 구조상 인접한 면과 먼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가 없다. 많은 경우, 치아의 어떤 부위가 어떤 면에 속하는지 분명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두 인접치아의 경계 부위에는 어느쪽에 속하는지에 관하여 사람마다 이견이 있는 부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 출원에서 어떤 면(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 교합면)을 절삭한다고 말하는 것은, 최소한 어떤 면에 속하는지가 분명한 부분을 절삭하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어떤 면을 가리키는지가 불분명한 (예를 들어, 두 인접한 면의 경계) 부위를 삭제하는 경우, 그 삭제된 부위가 그 인접한 (어떤 면에 속하는지가 분명한) 면으로 연장되지 않고 단독으로 섬(island)처럼 고립되어 있다면, 이는 최소한 인접한 두 면 중 하나의 면이 삭제된 것으로 본다. 어떤 면을 가리키는지가 불분명한 경계부위가 넓게 형성되어서 삭제부위가 두개의 면으로 연장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는 두개의 면이 삭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판단은 필요에 따라 치과의사 등 당업자가 할 수 있다.
단일치아 절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일(하나)의 절삭안내장치만을 이용하여 단일 치아의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 중 적어도 세 면 또는 네 면을 절삭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삭하는 세면 또는 네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절삭안내장치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네 면을 절삭하는 경우에도 360도를 빙둘러가며 둘레면을 고리모양으로 절삭하는 것은 아니다. 즉, 네 면 중 한 면에서 일부분은 절삭이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접치와 접하는 접촉점과 그 인근 부분이 절삭에서 제외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같이 세면 또는 네면을 절삭할 때, 절삭할 면을 모두 절삭할 때까지는 절삭공구를 안내장치에서 분리하지 않고 필요한 모든 절삭을 완료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절삭안내장치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에는 보철물에 의해 덮일 면을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건 하지 않건) 추가로 절삭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을 설치하기 위해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과 교합면을 절삭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거나, 한 쌍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거나 세개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한다. 동일한 치아를 절삭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지 않는다. 즉, 단일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절삭안내장치로 크라운 설치에 필요한 절삭을 모두 완료한다. 한 쌍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절삭안내장치는 치아 둘레면의 일부, 교합면의 일부를 절삭하도록 설계되며, 제2 절삭안내장치는 둘레면의 나머지 면과 교합면의 나머지 부위를 절삭하도록 설계된다. 또는, 제1절삭안내장치는 교합면을 절삭하도록 설계되며, 제2절삭안내장치는 둘레면을 절삭하도록 설계된다. 제1, 2 절삭안내장치 이외에 더 이상의 절삭안내장치 없이 크라운 설치에 필요한 절삭을 완료한다. 순서는 제 1 절삭안내장치로 해야하는 절삭을 완료한 후 제1 절삭안내장치를 제거하고 제2 절삭안내장치를 장착하여 나머지 면의 절삭을 완료한다. 제2 안내장치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에는 크라운 보철물에 의해 덮일 면을 추가로 절삭하지 않아도 된다. 세 개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제1절삭안내장치는 치아 둘레면을 절삭하도록 구성되며 제2, 3의 절삭안내장치는 각각 교합면의 부분을 절삭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제1, 2 , 3절삭안내장치 이외에더 이상의 절삭안내장치 없이 크라운 설치에 필요한 절삭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리형의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해 단일의 절삭안내장치만을 장착하고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 뒤쪽 인접면을 빙둘러가며 절삭할 수도 있다. 단일의 절삭안내장치 이외에 더 이상의 절삭안내장치 없이 고리형 보철물 설치에 필요한 절삭을 완료한다. 필요한 모든 면을 절삭하고 안내장치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에는 고리형 보철물에 의해 덮일 면을 추가로 절삭하지 않아도 된다.
단일의 공구안내로에서 2개 이상의 치아 절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절삭안내장치만을 이용하여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치아를 절삭할 수 있다. 이 절삭안내장치는, 다수 개의 치아를 절삭하도록 형성된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포함한다. 이 단일 공구안내로의 궤적 또는 경로를 따라서 공구를 이동시키면서 절삭하는 경우, 그 경로를 모두 경유하게 되면 두 개 이상의 치아를 절삭하게 된다. 도 66-74를 참조하면, 안내슬롯 또는 안내채널 형태의 공구안내로(120)는 제1, 2 소구치에 하나의 공구안내로가 마련된다.
단일의 공구안내로에 절삭공구를 끼워 넣고 절삭를 시작한 다음, 그 공구안내로의 경로를 모두 통과하며 절삭을 완료하기 전에 절삭공구를 공구안내로로부터 분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같은 공구안내로를 가진 단일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면, 둘 이상의 치아에 있는 절삭부위들도 둘 이상의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절삭할 수 있으며, 그 공구안내로의 경로를 따라 절삭하며 한번 이동하는 것만으로 절삭을 완료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치아의 절삭부위를 한번의 경로이동으로 절삭할 수 있는 그 공구안내로를 이용하여 필요한 절삭을하고 절삭공구를 그 공구안내로에서 분리하고 난 후에는 그 절삭된 부위를 추가로 절삭하지 않아도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설측면과 제 2치아의 설측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설측면, 제 2치아의 설측면을 포함다고, 제 1치아쪽을 향하는 제 2치아의 인접면 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설측면, 제 2치아의 설측면, 제 1치아 반대쪽을 향하는 제 2 치아의 인접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협측면과 제 2치아의 협측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협측면, 제 2치아의 협측면을 포함하고, 제 1치아쪽을 향하는 제 2치아의 인접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협측면, 제 2치아의 협측면, 제 1치아 반대쪽을 향하는 제 2 치아의 인접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협측면과 제 2치아의 설측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는 제 1치아의 협측면, 제 2치아의 설측면을 포함하고, 제 1치아쪽을 향하는 제 2치아의 인접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단일의 절삭안내장치에 두개 이상의 분리된 공구안내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절삭안내장치에, 두 개 이상의 분리된 공구안내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분리된 공구안내로는 절삭안내장치의 구조에 의하여 막혀서 서로 연통되어 있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분리된 공구안내로 중에는, 치아의 절삭부위들을 한번의 경로이동으로 절삭할 수 있는 단일의 공구안내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6-74를 참조하면 제1 대구치에 하나의 공구안내로와, 제1, 2 소구치에 또 하나의 공구안내로가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지대치에 둘 이상의 공구안내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절삭안내장치에 두 개 이상의 치아 각각에 대해 서로 분리된 공구안내로가 마련되어, 두 개 이상의 치아의 절삭부위들을 개별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한 치아의 절삭부위를 공구안내로를 이용하여 절삭하고 난 후 절삭공구를 해당 공구안내로에서 분리한 후 다음 치아에 해당하는 공구안내로에 진입시켜 그 치아를 절삭한다. 즉 치아와 치아를 절삭하는 사이에는 절삭공구가 절삭 안내장치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절삭하는 각각의 치아에 대하여 안내장치를 치아로부터 분리하고 난 후에는 보철물에 의해 덮일 면을 추가로 절삭하지 않아도 된다.
공구의 배향 및 절삭면의 경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치아의 절삭 후 형상을 설계할 때 보철물의 삽입방향 결정한다. 이 보철물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절삭 후 예상 둘레면은 언더컷이 없게 설계된다. 만일 안내장치 없이 치과의사의 손에 의존하여 언더컷이 없는 둘레면을 가공하려면 삽입방향에 대한 둘레면의 경사각도가 상당히 큰 크기(예를 들면, 약 6도 이상)이어야 한다. 손에 의존하는 경우 절삭된 둘레면이 정밀하게 가공되지 않고 굴곡이 생기게 되어 언더컷이 쉽게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안내장치를 사용하므로 사람의 손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정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둘레면에 최소한의 경사(삽입방향에 대한 경사)만 두어도 언더컷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삽입방향에 대한 둘레면의 경사 각도는 약 0.3°- 약 3.0°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이 보다도 훨씬 큰 각도의 경사면을 절삭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약 3°- 약 6°를 갖는 각도의 경사면도 절삭이 가능하다. 또 약 6°- 약 15°의 어떤 경사면도 절삭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된 둘레면이 삽입방향과 대체로 평행일 수도 있다. 각도를 작게 하면 보철물 장착 후 보철물의 유지력이 증가한다. 한편, 각도를 크게 하면 보철물이 쉽게 끼워지지만 보철물의 유지력을 작아진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작은 각도 (예를 들면 약 0.5°- 약 1.5°)의 경사면을 절삭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안내장치의 공구안내로가 절삭공구의 회전 축선(axis of rotation)를 보철물 삽입방향에 대해 일정한 배향(orientation)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삭 중 공구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이 배향은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절삭공구의 회전 축선이 삽입방향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면서 절삭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절삭을 하면 정밀한 절삭면을 얻을 수 있다.
상실된 치아의 복원
도 53, 63, 65, 71, 72, 78을 참조하면,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통상 인공치아(52)가 구비된 브릿지 보철물(50)을 사용한다. 다양한 보철물 중 하나인 브릿지 보철물(50)은 상실된 치아의 자리에 위치할 인공치아(52)와 고정부(54)를 포함한다. 고정부(54)는 지대치(70)에 기계적으로 체결되며 시멘팅 접합에 의해 결합된다. 지대치(70)는 고정부(54)에 맞추어 절삭된다. 크라운(crown) 브릿지 보철물(50)은 고정부(54)가 크라운의 형태로 준비된다. 이 크라운을 지대치(70)에 씌워 보철물(50)을 고정한다.
실시예에서 인공치아(52)와 고정부(54)는 각각 세라믹재료나, 금속, 고분자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금, 백금, 금 합금, 백금 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탄탈륨, 탄탈륨 합금 등을 이용할 있고, 세라믹재료로는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인산칼슘계(tricalcium phosphate) 세라믹, 유리, 결정화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인체에 무해하고, 생화학적으로 적합하며, 인공치아로 가공이 가능하면서, 치아에 가해지는 물리적 힘을 견디는 치과용 재료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54)는 장착하는 동안 탄성변형이 요구되는 상황도 있고 그렇지 않은 상황도 있어 그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금속재료는 탄성을 가지며, 세라믹재료들은 대체로 탄성이 적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보철물(50)을 치아의 교합면 위쪽에서 잇몸(68) 쪽으로 미리 정해진 삽입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켜 결합할 수 있는데, 치아의 절삭 부위나 보철물(50)의 고정부(54)에 언더컷이 없기 때문에 장착하는 동안 고정부(54)의 탄성변형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이 거의 없는 재료를 거의 모든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
도 66-7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안내장치(100)는 제1 대구치를 상실한 경우, 지대치로서 제2 대구치 및 제1, 2 소구치를 절삭하여 보철물(50)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장치(100)는 제2 대구치의 뒤쪽 인접면의 일부를 제외한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를 갖는다. 또한, 제1 소구치의 설측면, 제2 소구치의 설측면과 제1 대구치 쪽 인접면 일부를 절삭하기 위한 단일의 공구안내로(120)를 갖는다. 소구치용 단일의 공구안내로(120)는 두개의 소구치를 한꺼번에 절삭하기 위한 것이다. 도 7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50)은 소구치의 협측면은 절삭 없이 그대로 노출시켜 보철물(50)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지 않게 하면서도 두 개의 소구치에 장착되어 충분한 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치아를 절삭하기 위한 하나의 안내장치(1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할 치아마다 별도의 안내장치를 준비할 수도 있다.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환자의 구강 내에 움직이지 않도록 장착되어 지대치(70) 의 둘레면을 절삭하는 것을 안내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안내장치(100)는 상실된 치아 부분과 그 양쪽에 위치한 지대치(70)를 덮어 지대치들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내장치가 지대치(70) 뿐 아니라 지대치의 인접치(72) 및/또는 잇몸을 덮거나 치조골까지 덮도록 형성된다.
장착구조
안내장치(100)는 치아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110)을 갖는다. 측벽은 설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설측 측벽(111)과 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협측 측벽(112)를 갖는다. 이들 측벽(110)의 내면은 치아들의 설측면 및 협측면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다만, 안내장치(100)를 구강내에 장착할 때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어떤 실시예에서는 서베이 라인의 아래쪽 측벽(110) 안쪽면은 언더컷이 생기지 않도록 형성한다. (도 6, 9 참조.) 도 6,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측벽(110)의 내면의 위쪽부분(1104)은 치아의 둘레면과 접촉하며 그 내부 형상도 치아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내면 아랫부분(1106)은 치아의 둘레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탄성이 있는 재료로 안내장치를 만드는 실시예에서는 서베이라인(84) 아래쪽에도 언더컷을 둘 수도 있다. (도 55B 참조) 이러한 탄성재료의 안내장치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
안내장치(100)는 설측 측벽(111)과 협측 측벽(112)을 연결하며 치아들을 덮는 윗벽(top wall)(114)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윗벽(114) 내면은 내부에 수용되는 치아의 교합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는 치아(72)가 제2 대구치일 때에는 설측 측벽(110)와 협측 측벽(112)를 연결하는 인접면측 측벽(113)도 마련된다.
절삭공구
도 7-10, 12, 13, 24-43, 88을 참조하면, 절삭공구(burr)(200)는 자루부(shank)(202)와 목부(neck)(203)과 절삭헤드부(cutting head)(204)를 갖는다. 자루부(202)는 핸드피스(23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절삭헤드부(204)는 치아와 접촉하여 치아를 절삭하는 부분이다. 목부(203)는 절삭헤드부(204)와 자루부(202)을 연결하며, 후술하는 절삭안내장치(100)의 안내슬롯에 의해 안내되는 부분이다.
절삭공구(200)는 텅스텐 카바이드 (tungsten carbide)나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되며, 절삭헤드부(204)에는 연마입자(abrasive)가 부착된다. 사용되는 연마 입자의 예로는 다이아몬드 연마 입자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마 입자 대신 절삭헤드부(204)에 다수의 절삭날(cutting edges)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목부(203)는 후술하는 안내슬롯 형태의 공구안내로(120)에 끼워져 안내된다. 이를 위하여, 도 38, 39, 8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목부(203)는 구형의 두 개의 안내돌기(208, 210)을 구비한다. 절삭공구(200)가 회전하면서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안내돌기(208, 210)는 각각 후술하는 공구안내로(120)의 벽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내돌기(208, 210)는 원반형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타원형일 수도 있고, 원추형, 사다리꼴 형 등일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돌기(208, 210)는 목부(203)에 일체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안내돌기가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목부(203)에 회전이 가능한 링이 안내돌기로서 장착될 수도 있다.
핸드피스
핸드피스(230)는 절삭공구(200)를 장착하여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도 7-10, 12, 13 참조.) 통상 치과 의사가 손으로 잡고 사용한다. 핸드피스(230)에는 척(chuck)이 마련되어 있어, 절삭공구(200)의 자루부(202)가 이에 결합된다. 핸드피스(230)에는 모터가 마련되어 있어 절삭공구(200)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핸드피스(230)는 고속회전용(약 300,000 RPM - 약 400,000 RPM)과 저속회전용(약 3,000 RPM - 약 30,000 RPM)의 핸드피스(230)를 사용할 수 있다.
공구안내로
공구안내로(120)는 절삭안내장치(100)에 형성된 음각 구조물로서, 절삭공구(200)를 미리 정해진 궤적을 따라 지내가도록 안내한다. 절삭공구(200)가 그 출입구멍을 통하여 공구안내로(120)에 제대로 삽입되고나면, 절삭공구(200)는 정해진 궤적만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절삭공구(200)는 공구안내로(120)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를 삭제 또는 절삭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6에 도시된 것처럼, 무절삭진입로(1202)를 포함한다. 무절삭진입로(1202)는 출입구멍(125)을 통하여 삽입된 절삭공구(200)를 공구안내로(120) 상에서 절삭이 시작되는 위치까지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경로이다. 절삭공구(200)가 무절삭진입로의 경로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치아를 절삭하지 않는다. 절삭공구(200) 출입구멍이 공구안내로의 절삭이 시작되는 위치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무절삭 진입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공구안내로에서의 치아 절삭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의 경로 모든 위치에서 치아를 절삭하지 않을 수 있다. 공구안내로(120)의 어떤 위치에서 절삭공구(200)가 치아를 절삭하는가 하지 않는가는 공구안내로(120)와 치아표면과의 거리와 절삭공구(200) 반경(단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절삭공구(200)의 반경은 절삭공구의 길이방향 형상에 따라 달라지므로, 절삭공구의 형상도 치아 절삭에 영향을 준다.
공구안내로(120)의 치아표면과의 거리는, 공구안내로(120) 경로 상의 각 위치에서 공구안내로(120)의 수직방향 중심선(121)과 치아표면 사이의 거리(d)로 정의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공구안내로(120)의 수직방향 중심선 (121)은, 이상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절삭공구(200)의 회전축(201)과 일치한다. 절삭공구의 회전축(121, 201)과 치아표면 사이의 거리(d)는 그 경로상에서 변화할 수 있다. 반경과 형상이 이미 결정된 절삭공구(200)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절삭공구(200)의 회전축(121, 201)과 치아표면 사이의 거리(d)가 달라지면서 치아 절삭의 깊이가 달라지며, 치아가 전혀 절삭되지 않는 위치나 구간이 있을 수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절삭공구(200)의 회전축(121, 201)이 치아의 바깥쪽으로 절삭공구(200)의 반경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는 치아가 삭제되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 경로상의 모든 위치에서 치아를 절삭하도록 절삭안내장치(100)가 설계된다. 절삭의 깊이는 경로상의 모든 위치에서 거의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고, 절삭의 깊이가 상당히 변화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 궤적의 일부 구간에서는 치아를 절삭하면서 이동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치아를 절삭하지 않으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절삭안내장치(100)가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치아를 절삭하지 않으면서 이동하는 구간 다음에 치아를 절삭하면서 이동하는 구간이 연결되도록 절삭안내장치(100)가 설계된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치아를 절삭하면서 이동하는 구간이 치아를 절삭하지 않으면서 이동하는 구간들의 사이에 끼어서 위치하도록(intervene) 절삭안내장치(100)가 설계된다. 또 어떤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치아를 절삭하지 않으면서 이동하는 구간이 치아를 절삭하면서 이동하는 구간들의 사이에 끼어서 위치하도록 절삭안내장치(100)가 설계된다. 이 문단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는, 반경과 형상이 이미 결정된 지정된 절삭공구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교합면을 절삭하지 않는 보철물과 절삭안내장치
도 66-74를 참조하면, 절삭안내장치(100)에는 둘레면 절삭을 안내하는 두 개의 공구안내로(120)와 무절삭진입로(1202)가 형성되어 있다. 두개의 공구안내로(120)는 제1 대구치에 하나의 공구안내로와, 제1, 2 소구치에 또 하나의 공구안내로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브릿지 보철물(50)은 교합면의 절삭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교합면은 절삭하지 않으므로 교합면 절삭을 안내하는 공구안내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공구안내로에 절삭공구의 구속
공구안내로(120)을 절단하여 도시한 도 39A, 39B, 69A, 69B를 참조하면, 공구안내로(120)는 마주 보는 두 개의 측 안내면(guide side surfaces)(128)을 구비하며 두 측 안내면(128) 사이에는 안내슬롯이 형성된다. 절삭공구(200)의 일부가 이 안내슬롯에 끼워지면 절삭공구(200)는 공구안내로(120)에 구속되어안내된다. 측 안내면(128) 사이의 거리, 즉 안내슬롯의 폭은 절삭공구(200) 목부(203)가 끼워져 틸팅이 최소화되도록 구속되지만, 목부(203)가 마찰력을 이기고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떨어져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공구안내로(120)가 안내슬롯의 형태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일부가 안내슬롯에 끼워져 구속되면서 안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피스(230)가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슬롯에 끼워져 구속되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26을 참조하면 핸드피스(230)의 구조물(2301)이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슬롯 속으로 삽입되고 구속되는 반면, 절삭공구(200)는 안내슬롯에 의해 직접 구속되지 않는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핸드피스(230)가 공구안내로에 끼워져 구속되는 구조물을 포함할 뿐 아니라 절삭공구(200)의 일부도 공구안내로에 끼워져 구속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하나의 공구안내로에 둘 이상의 절삭공구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에는 하나의 절삭공구(200)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에 대해 2개 이상의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절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두께가 두꺼운 일 실시예의 경우에는 첫번째 절삭공구를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일부 두께를 절삭하고, 두번째 절삭공구로 동일한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나머지 일부 두께를 절삭하여 최종 절삭 형태가 나오도록 절삭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첫번째 절삭공구로 거친 절삭을 하며, 두번째 절삭공구로 정밀한 절삭을 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절삭공구를 이용하는 일 실시예에서는 2 개 이상의 절삭공구가 동일한 입구를 통하여 공구안내로(120)으로 진입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24를 참조하면,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의 중간에서 공구를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간공구구멍(124a)가 공구안내로 (120) 중간에 마련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에 2개 이상의 중간공구구멍이 형성되어 두 번이상 절삭공구를 교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먼저, 미리 지정된 제1 공구를 공구안내로(120)에 진입하여 제1 부분(120a)을 따라 절삭한다. 그리고, 제 1부분(120a)의 한쪽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공구구멍(124a)에서 제 1 공구를 빼낸다. 그 다음 미리 지정된 제2 공구를 중간공구구멍(124a)에 삽입하여 공구안내로(120)의 제2 부분(120b)을 따라 치아를 절삭한다. 여기서 공구안내로(120)의 제 1부분(120a)과 제 2부분(120b)는 막혀져 있지 않고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이다. 도 125는 이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공구안내로(120)의 제1 부분(120a)과 제 2부분(120b)은 서로 다른 내부 구성을 가지고 있어어, 제 1 공구는 제 2부분(120b)을 따라 이동할 수가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구안내로(120)의 제1 부분(120a) 내부구조는 제 1 공구의 형상과 상보적(complementary/counterpart)이고, 제2 부분(120b)의 내부구조는 제 2 공구의 형상과 상보적이다. 또한, 제 1 공구와 제 2 공구는 목부(203)의 길이, 목부(203)의 굵기, 안내돌기(208, 210)의 개수, 안내돌기(208, 210)의 형상, 안내돌기(208, 210)의 크기 등 여러 구성에 관하여 하나 이상 다르다. 제 1 부분(120a)과 제 2부분(120b)은 마찬가지로 이들 공구의 여러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부분(120a)는 제 1공구를 수용할 수 있지만, 제2 부분(120b)은 제 1공구를 수용할 수 없고 제 2 공구를 이용하여야 진입과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구안내로(120)의 제1 부분(120a)과 제 2부분(120b)은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어서 제 1 공구로 중간공구구멍(124a)를 지나쳐서 제 2부분(120b)을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안내홈
도 39, 44, 69A, 6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각 안내 벽(128, 130)에는 절삭공구(200)의 안내돌기(208)를 안내할 홈(132, 134)이 마련된다. 각각의 안내돌기(208, 210)는 대응하는 홈(132, 134)에 끼워져 안내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 홈(132, 134) 사이의 거리는 공구안내로에 걸쳐 일정하다. 따라서, 이렇게 두 안내 홈(132, 134)이 마련된 안내장치(100)의 경우, 공구안내로 근처의 윗벽(116)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도 27, 28, 29, 30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윗벽(116)의 두께, 즉, 위쪽 지지면(129)과 아래쪽 지지면(13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절삭공구의 측벽 출입구
도 66, 67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에는 절삭공구의 출입구(125)가 마련된다. 치아의 절삭이 일어나는 공구안내로(120)와 이 출입구(125)까지는 무절삭진입로(1202)로 연결되어 있다. 절삭공구(200)는 출입구(125)로 들어가서 무절삭진입로(1202) 통하여 공구안내로(120)로 안내되고 절삭을 마친 후 다시 무절삭진입로(1202)를 거쳐 동일한 출입구(125)로 나온다.
하나의 공구안내로를 이용하여 3개 이상의 둘레면 절삭
도 66-7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100)는 단일 치아의 3개 이상의 둘레면을 절삭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또한, 도시된 절삭안내장치(100)는 단일 치아의 4개 둘레면을 절삭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제1 공구안내로(120)는 제2 대구치 위에 위치할 윗벽(116)에 형성된다. 제1 공구안내로(120)는 제2 대구치의 둘레면 중 협측면, 상실된 치아 쪽 인접면 전체와 그 반대쪽 인접면 일부, 설측면을 절삭하는 공구을 안내하기 위하여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하나의 출입구(125)를 통하여 들어와서 무절삭진입로(1202)를 거쳐 공구안내로(120)로 투입된다. 공구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협측면, 상실된 치아 쪽 인접면 전체와 그 반대쪽 인접면 일부, 설측면을 절삭한 후 다시 무절삭진입로(1202)와 출입구(125)를 거쳐 빠져 나온다.
계속하여 도 66-7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100)는 두개 이상의 치아에 있는 3개 이상의 둘레면을 절삭하도록 구성된 공구안내로를 가진다. 제2 공구안내로(120)는 제1, 2 소구치 위에 위치할 윗벽(116)에 형성된다. 제2 공구안내로(120)는 제1, 2 소구치의 둘레면 절삭하기 위하여 연장된다. 협측면도 절삭하는 보철물을 장착할 수 있으나, 인접면과 설측면, 맞은 편 인접면 일부에 연장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보철물(50)을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보철물의 유지력을 가질 경우, 심미적인 고려를 하여 협측면의 절삭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절삭공구의 상하 방향 출입구멍
도 75A에 도시한 실시예에 다른 안내장치(100)는 측벽(110)이 설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구조물(1102)에 절삭공구가 위쪽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는 공구구멍(124)를 구비한다. 절삭공구출입구를 이렇게 구성하면 측벽(110)에 터진 부분이 없게 되어 안내장치(100)가 견고해지고, 절삭 중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잘 유지한다.
도 75B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100)에 있는 공구구멍(124)은 안내장치의 한쪽에 모여 있다. 각각의 공구안내로(120)에서 연장된 무절삭진입로(1202)가 모두 안내장치의 끝단 쪽으로 연장되고 그 끝에 공구구멍(124)이 형성된다. 공구 구멍(124)이 모여 있는 쪽은 안내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되었을 때 입의 앞쪽 즉, 앞니에 가까운 쪽이다. 환자에 따라서는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환자가 있다. 이런 환자의 경우에도 입 앞쪽이 더 벌어지기 때문에 입 앞쪽에 위치할 곳에 공구출입구멍(124)을 형성하면 입을 적게 벌린 상태에서도 절삭공구를 공구구멍(124)에 삽입하여 공구안내로(120)까지 절삭공구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5B에서는 공구안내로(120)마다 무절삭진입로(1202)를 두고 따로따로 공구구멍(124)를 두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7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공구 안내로(120)에서 연장된 무절삭진입로(1202)가 서로 합쳐지고, 그 무절삭진입로(1202) 끝에 단일의 공구출입구멍(124)을 들 수도 있다.
절삭공구 상하 방향 출입구멍의 다른 실시예
도 79에 도시한 실시예는 도 66-7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대체로 동일한 형상으로 제2 대구치와 제 1, 2 소구치를 절삭하기 위한 것이다. 두 실시예에서 절삭안내장치(100)의 가장 큰 차이는 도 7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구안내로(120)의 양끝에 공구구멍(124)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가 공구구멍(124)으로 투입된 다음 치아를 절삭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를 이어주는 별도의 무절삭진입로(1202)나 무절삭공구안내구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절삭공구가 공구구멍(124)으로부터 공구안내로(120)의 절삭개시부분까지 절삭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이 있기는 하지만 그 거리가 (절삭공구의 절삭부 지름 정도로) 매우 짧아 별도의 무절삭진입로(1202)나 무절삭안내구간을 가리키기 어려울 경우를 포함한다. 이 같은 경우에서는 절삭공구가 공구구멍(124)로 투입되어 공구안내로로 진입하자마자 곧바로 치아를 절삭할 수 있다.
도 79A, 8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절삭안내장치(100)의 제2 대구치 용 공구안내로(120)의 양끝에 절삭공구(200)가 드나드는 두개의 공구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구멍들(124)은 측벽(110)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은 하나 공구구멍(124)에서 삽입되어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둘레면을 절삭한 후 다른 공구구멍(124)을 통하여 공구안내로(120)에서 빠져 나온다.
위 실시예에서는 협측면 쪽 공구구멍(124)을 진입구로 설측면 쪽에 공구구멍(124)을 진출구로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측면 쪽 공구구멍(124)을 진입구로 이용하고 협측면 쪽에 공구구멍(124)을 진출구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공구안내로(120)에 대하여 단일의 공구구멍(124)을 마련해서 입구와 출구로 이용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도 79A를 참조하면, 제2 공구안내로(120)는 제1, 2 소구치 위에 위치할 윗벽(116)에 형성된다. 제2 공구안내로(120)는 제1, 2 소구치의 둘레면 중 일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연장된다. 제2 공구안내로(120)의 양끝에는 절삭공구(200)가 드나드는 공구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24)은 측벽(110) 안쪽에 있다. 절삭공구(200)은 이 들 공구구멍(124) 중 하나에서 삽입되어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다른 하나의 구멍(126)를 통하여 공구안내로(120)에서 빠져 나온다.
절삭공구의 진행방향 등의 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삭제안내장치(100)에는 치과의사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표식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9를 참조하면, 절삭공구(200)가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식(sign)(136)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구구멍(124)가 진입구멍인지 진출구멍인지를 나타내는 표식을 구비할 수 있다. 표식(136)은 치과의사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표식은 안내부(104)의 윗벽(116) 위쪽면에 제공된다. 표식은 음각, 양각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탕으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색깔로도 표시할 수 있다. 절삭공구(200)가 진행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식(136)은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일 수 있다. 절삭을 하는 치과의사는 절삭공구(200)를 공구구멍(124)에 삽입한 후 절삭공구(200)를 회전시켜 절삭을 하면서 화살표(136)를 따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가 절삭공구가 장착된 핸드피스를 손에 쥐고 절삭공구를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킬 때, 치과의사는 핸드피스를 자신의 몸에서 먼쪽으로 밀면서 절삭공구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밀면서 절삭공구를 이동시키는 것은 공구안내로 전체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공구안내로의 일부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가 핸드피스를 자신의 몸쪽으로 당기면서 공구안내로를 따라 절삭공구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가 핸드피스를 자신의 몸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힘을 가하며 절삭공구를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가 핸드피스를 자신의 몸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힘을 가하며 절삭공구를 공구안내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절삭공구의 회전방향
도 8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의 자루부(202)에서 절삭헤드부(204) 쪽으로 보았을 때 절삭공구(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보다 엄밀하게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가 치아와 접하는 접촉점에서의 접선방향(138)이 절삭공구(200)의 이동방향(136)은 반대가 되도록 절삭공구(200)를 회전시킨다. 치아가 삭제되면서 부스러져 나오는 입자들은 대체로 그 접선방향(138)으로 튀겨져 나오게 되는데, 이들 입자들을 절삭공구(2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뒷쪽으로 보내어서 절삭공구(200)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와 치아의 접촉점에서의 접선방향과 절삭공구의 이동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절삭공구 출입구멍의 구조
도 89, 9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구멍(124)은 공구안내로(120)의 끝에 형성된다. 공구구멍(124)에는 위쪽 개구(top opening)(140)와 아래쪽 개구(bottom opening)(142)가 마련된다. 위쪽 개구(140)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와 안내돌기(208, 21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며, 아래쪽 개구(142)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는 통과하지만 아래쪽 안내돌기(210)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이다. 아래쪽 개구(142)에 인접한 위치에는 아래쪽 안내돌기(210)의 진행을 막는 멈춤턱(stopper)(144)이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아래 안내돌기(210)가 멈춤턱(144)에 걸려 멈추었을 때, 위 안내돌기(208)는 위쪽 안내홈(132)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아래 안내돌기(210)는 아래쪽 안내홈(134)의 가상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안내돌기(210)가 멈춤턱(144)에 걸려 절삭공구(200)의 진행이 멈추었을 때, 절삭공구(200)를 회전시키면서 공구안내로(120) 쪽으로 이동시키면, 안내돌기들(208, 210)이 홈에 끼워져 안내된다.
도 9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구구멍(124)에서는 위쪽 개구(140) 및 아래쪽 개구(142) 모두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와 안내돌기(208, 21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멈춤턱(146)은 공구구멍(124)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 말단이 걸려서 절삭공구의 삽입이 멈출 수 있게 형성된다. 이 멈춤턱(146)의 위치는 안내돌기들(208, 210)이 안내 홈과 대체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절삭공구의 틸팅 방지 구조
공구안내로(120)의 경로를 따라 절삭공구(200)이 이동하면서 치아를 절삭할 때, 절삭공구(200)가 그 이상적인 회전축(201)로부터 틸팅할 수 있다. 틸팅은 여러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으나, 절삭공구(200)이 공구안내로(120)의 경로를 진행하는 방향으로의 틸팅 성분과 그 진행방향에 수직인 평면상에서의 틸팅 성분이 있다. 이들 틸팅 성분들은 공구안내로(120)와 절삭공구(200)의 상보적인 형상과 구조를 통하여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삭공구 목부(203)의 길이, 목부(203)의 지름, 안내돌기(208, 210)의 개수, 안내돌기(208, 210)의 형상, 안내돌기(208, 210)의 크기, 안내돌기(208, 210)의 위치, 이들 나열한 구성에 대응하는 공구안내로(120)의 서로 마주보는 측 안내면(128)의 길이, 안내 면의 폭, 안내 홈의 개수, 안내 홈의 형상, 안내 홈의 크기, 안내 홈의 위치 등이 틸팅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의 말단부(210)에 틸팅 방지구조를 둔다. 도 92를 참조하면, 절삭공구(200)는 절삭헤드부(204) 말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주형돌기(212)를 구비한다. 원주형돌기(212)의 직경은 절삭헤드부(204) 직경보다 작아 절삭헤드부(204)와 원주형돌기(212) 사이에는 턱(214)이 형성된다. 원주형 돌기(212)의 외주에는 연삭입자 또는 절삭날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주형 돌기(212)의 외주는 치아의 절삭되지 않는 면에 닿아서 이동하게 되고, 절삭 중에 절삭공구가 화살표(216)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틸팅이 방지된다. 이때에는 치아 자체가 절삭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턱(214)에 연삭입자 또는 절삭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치아 절삭마진라인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절삭공구(200)가 이동하면서 절삭헤드부(204)의 절삭가능한 말단이 치아에 닿는 위치까지 치아가 절삭되고, 그 위치에 절삭부와 비절삭부의 경계선("절삭마진라인"(cutting margin line)이라 부른다)이 형성된다. 보철물은 이 절삭마진라인에 닿을 수 있도록 설계되고 또 장착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의 절삭가능한 말단이 잇몸선을 따라 지나도록 안내장치(100) 및 절삭공구가 설계된다. 이 경우 치아의 절삭마진라인은 잇몸선과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도 108의 실시예에서는 절삭헤드부(204)의 절삭가능한 말단이 서베이라인(84)(또는 치경선)과 잇몸선 사이의 위치를 지나도록 안내장치(100) 및 절삭공구(200)가 설계된다. 이 경우 치아의 절삭마진라인은 잇몸선 바깥으로 나와서 바깥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헤드부(204)의 절삭가능한 말단이 치아의 일부분에서는 서베이라인(84) 위쪽을 지나고 다른 일부분에서는 서베이라인 아래쪽을 지나도록 안내장치(100) 및 절삭공구(200)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삭마진라인이 잇몸선 아래쪽으로 치우쳐서 잇몸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절삭헤드부(204)의 절삭가능한 말단이 잇몸선 아래쪽으로 치우치도록 안내장치(100) 및 절삭공구(200)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언더컷 없는 절삭부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치아의 절삭된 부위에는 치과의사의 손동작에 의존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현저한 언더컷이 없다. 즉,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을 따라서 볼 때, 보철물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언더컷이 없다. 도 92A-92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76)을 따라 치아를 바라볼 때, 치아의 절삭된 면은 그 삽입방향(76)과 평행하거나 교합면 쪽으로 약간 테이퍼지도록 경사를 갖는다.
절삭면의 경사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치아 절삭면(80)이 보철물(50)의 삽입방향(76, 78)과 이루는 각도, 즉 삽입방향과 절삭면이 이루는 각도 α는 약 0°에서 약 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 α는 약 0.1°, 약 0.2°, 약 0.3°, 약 0.4°, 약 0.5°, 약 0.6°, 약 0.7°, 약 0.8°, 약 0.9°, 약 1°,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7°, 약 1.9°, 약 2°, 약 2.3°, 약 2.7°, 약 3°, 약 3.5°, 약 4°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치들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하는 수치의 각도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경사 각도는 안내장치 없이 가공할 때 얻어지는 각도 약 6°- 약 10°에 비해 훨씬 작은 각도이다. 물론, 본 발명의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약 4°,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의 경사면을 절삭하거나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하는 수치의 각도로 경사면을 절삭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삭부위 모든 면의 경사 상당히 비슷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치아 절삭면(80)이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76)과 이루는 각도 α는 절삭된 모든 부위에서 동일하거나 상당히 비슷한 각도를 갖는다. 즉, 한 개 치아의 절삭된 어떤 면에서건 어떤 위치에서건 보철물의 삽입방향(76)이 이루는 사이각 α는 항상 동일하거나 상당히 동일하다. 여기서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은, 각도 α가 위치마다 조금씩 다르더라도 그 각도의 분포가 설계된 각도에서 약 ±5%, 약 ±6%, 약 ±7%, 약 ±8%, 약 ±9%, 약 ±10%,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6%, 약 ±17%, 약 ±18%, 약 ±19%, 약 ±20%, 약 ±21%, 약 ±22%, 약 ±23%, 약 ±24%, 약 ±25%인 것을 가리키거나,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가리킨다.
절삭헤드의 테이퍼 경사
위에서 설명한, 언더컷 없는 절삭부위, 상당히 작은 절삭면의 경사각, 모든 절삭부위에서 상당히 비슷한 경사면을 얻기 위한 일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204)도 말단으로 가면서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경사의 각도, 즉 절삭공구의 회전축선과 치아의 절삭면(80)이 이루는 각도 β는 각도 α와 상당히(substantially) 비슷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면(80)의 경사 각도 α가 절삭면(80)에 걸쳐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절삭공구의 테이퍼진 각도 β는 절삭공구의 절삭외주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슬롯 측 안내면(128)의 기울기를 보철물(50) 삽입방향(76)에 대하여 각도가 달라지도록 조절하면 절삭면(80)의 경사 각도 α는 절삭공구의 테이퍼진 각도 β와는 다른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치아의 절삭 깊이/두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르면, 약 0°- 약 3°의 경사각을 갖도록 절삭면 가공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안내장치 없이 절삭할 때에 비해서 절삭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을 이용하는 경우, 치아 표면의 에나멜층만을 절삭하여 보철물을 장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에나멜질만을 절삭하는 경우에는 크라운을 하거나, 치아의 3면 또는 4면을 연결하여 절삭하는 등 상당히 많은 부위를 절삭하는 경우에도 마취를 하지 않고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가능하면 에나멜층 안에서의 절삭을 꾀하지만 덴틴층의 일부를 절삭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절삭이 가장 많이 되는 부위에서의 절삭 깊이(두께)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절삭하는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어든다. 특히,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을 따라 치아를 보았을 때의 치경선 또는 서베이라인에서 치아 절삭의 깊이는 약 0.1 mm, 약 0.2 mm, 약 0.3 mm, 약 0.4mm, 약 0.5 mm, 약 0.6 mm, 약 0.7 mm, 약 0.8 mm, 약 0.9 mm , 약 1.0 mm, 약 1.1 mm, 약 12 mm, 약 1.3 mm, 약 1.4 mm, 약 1.5 mm, 약 1.6 mm, 약 1.7 mm, 약 1.8 mm, 약 1.9 mm, 약 2.0 mm, 약 2.1 mm, 약 2.2 mm, 약 2.3 mm, 약 2.4 mm, 약 2.5 mm, 약 2.6 mm, 약 2.7 mm, 약 2.8 mm, 약 2.9 mm, 또는 약 3.0 mm이며,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삭의 깊이는 약 0.5 mm, 약 0.6 mm, 약 0.7 mm, 약 0.8 mm, 약 0.9 mm , 약 1.0 mm, 약 1.1 mm, 약 1.2 mm, 약 1.3 mm, 약 1.4 mm, 약 1.5 mm, 약 1.6 mm이며,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한다.
보철물의 고정부 두께
한편, 치아 절삭의 깊이가 작아지므로 그 위치에 결합되는 보철물(50) 고정부(52)의 두께도 상당히 얇아질 수 있다.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절삭해 내는 두께는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치아의 절삭면(80) 위에 올려지는 보철물의 두께는, 치아절삭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과 동일한 위치 즉 치경선 또는 서베이라인에서 측정하며, 약 0.1 mm, 약 0.2 mm, 약 0.3 mm, 약 0.4 mm, 약 0.5 mm, 약 0.6 mm, 약 0.7 mm, 약 0.8 mm, 약 0.9 mm , 약 1.0 mm, 약 1.1 mm, 약 1.2 mm, 약 1.3 mm, 약 1.4 mm, 약 1.5 mm, 약 1.6 mm, 약 1.7 mm, 약 1.8 mm, 약 1.9 mm, 약 2.0 mm, 약 2.1 mm, 약 2.2 mm, 약 2.3 mm, 약 2.4 mm, 약 2.5 mm, 약 2.6 mm, 약 2.7 mm, 약 2.8 mm, 약 2.9 mm, 또는 약 3.0 mm이며,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mm, 약 0.6 mm, 약 0.7 mm, 약 0.8 mm, 약 0.9 mm , 약 1.0 mm, 약 1.1 mm, 약 1.2 mm, 약 1.3 mm, 약 1.4 mm, 약 1.5 mm, 약 1.6 mm이며, 이들 수치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한다.
보철물 고정부의 내측면
보철물(50)의 고정부(52)의 내측면(59)의 3차원 형상 및 크기는 지대치에 형성된 절삭면(80)의 3차원 형상 및 크기와 매우 정교하게 상보적인 관계를 가진다. 도 92D를 참조하면, 이 내측면(59)는 예정된 보철물삽입방향(76)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다. 그 경삭 각도 γ는 각도 α와 상당히 (substantially) 비슷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도 γ는 각도 α보다 약간 클 수도 있다.
오차
절삭안내장치와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하더라도, 그 제조와 치아절삭 등의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절삭안내장치와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한 결과는, 절삭 안내장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준비한 "치아의 절삭 후" 형상과 상당히 일치한다. 실제 치아를 절삭한 뒤 절삭한 부위를 3차원 디지탈 스캐닝하여 얻은 데이터를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트하여 얻은 치아 절삭 후 형상 데이터를 비교하면, 실제 절삭된 치아의 데이터는 평균적으로 약 20 μ, 약 40 μ, 60 μ, 약 80 μ, 약 100 μ, 약 120 μ, 약 140 μ, 약 160 μ, 약 180 μ, 약 200 μ, 약 220 μ, 약 240 μ, 약 260 μ, 약 280 μ, 약 300 μ의 오차를 가지며, 이들 수치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에 속하는 오차를 갖는다. 동일한 조건(절삭안내장치의 재료, 절삭안재장치 제조장비, 절삭공구의 재료 등)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된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그 같은 오차의 상당량은 보정을 통하여 줄일 수 있다. 보정을 하는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이 평균 오차가 약 100 μ 이하이며, 구체적으로는 약 20 μ, 약 40 μ, 약 60 μ, 약 80 μ, 약 100 μ입니다. 그리고, 또 이 평균 오차는 위에 나열된 수치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실제 절삭한 치아 데이타를 얻기 위하여 치아를 절삭할 때에는, 공구안내로(120)에서 절삭공구(200)를 무리하게 틸팅을 하지 않고, 또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얻어야 한다. 치아의 절삭 후 형상이 그 치아의 본래 형상을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최소의 삭제를 하고 얻은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위의 오차는 기존 치아 절삭의 방법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예기치 않은 결과이다.
보철물 고정부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철물(50)의 고정부(54)는 고리형일 필요는 없다. 도 71,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철물(50)의 대구치에 장착되는 고정부(54)는 한 쪽이 터져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대구치에 장착되는 고정부(54)는 설측면에 장착되는 설측부(542)와 협측면에 장착되는 협측부(544)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다. 서로 마주보는 설측부(542)와 협측부(544)는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을 가진다. 고정부(54)가 대구치에 장착될 때, 이들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 사이에 치아가 끼이는 형태가 되어 보철물이 유지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고정부(54)의 설측부(542)와 협측부(544) 뿐 아니라, 대구치의 양측 인접면에 장착되는 인접부(546, 548)도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어 위에서 설명한 보철물 유지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도 71,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소구치의 고정부(55)는 협측면에 장착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도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인접부(556, 558)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마주보는 인접부(556, 558)의 안쪽면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들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 사이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소구치가 끼이는 형태가 되고 그 안쪽면들과 절삭면 사이에서 보철물의 유지효과가 발휘된다. 제1 소구치를 위한 고정부(56)에서도 동일하게 인접부(566, 568)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마주보는 인접부(566, 568)의 안쪽면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들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 사이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소구치가 끼이는 형태가 되고 그 안쪽면들과 절삭면 사이에서 보철물의 유지 효과가 발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소구치에서의 유지력과 제2 소구치에서의 유지력이 합쳐져서 충분한 유지효과가 발휘된다.
교합면 유지
도 66-74에 도시한 안내장치와 보철물을 이용하는 치과치료에서는 교합면을 절삭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안내장치의 도입으로 치아의 절삭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최소한의 둘레면 절삭만으로도 보철물과 치아가 결합하는 유지력이 유지되며, 최소한의 절삭은 치아 자체가 절삭 전의 형태나 강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절삭량이 큰 통상의 절삭방식은 남아 있는 치아의 크기가 작아, 크라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높여 치아 대신 음식물을 씹을 때 가해지는 힘을 견디게 한다. 이를 위해 교합면의 절삭이 필수적이다. 또한, 절삭량이 많아 상아질(dentin)층까지 절삭되면 보철물을 씌우더라도 보철물과 치아의 경계를 타고 충치가 상아질로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의 치과 치료 방법에서는 교합면도 절삭하고 교합면 전체를 크라운으로 덮는다.
그러나,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최소절삭을 하면, 교합면을 반드시 절삭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능한 한 에나멜층 안에서만 절삭을 하므로 보철물과 치아 사이의 경계면을 통하여 충치가 상아질로 전파될 염려가 적어진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교합면을 절삭하지 않는다. 또한, 교합면 전체를 보철물로 덮지도 않는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합면의 일부를 절삭하여 보철물을 연결하는 경우가 있다.
도 71-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철물(50)은 고정부(54)의 윗쪽에 인접부로부터 돌출하여 연장되는 연장돌출부(552)를 갖는다. 이 연장돌출부(552)는 지대치(70) 교합면의 교두 사이의 비기능 홈에 꼭 맞게 끼워져 보철물의 유지력을 높여준다. 이 경우, 홈은 교합면에 있는 자연적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절작안내장치 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위적으로 홈을 형성하는 경우, 이는 인-레이브리지라고 할 수 있다.
접촉점 유지
보철물(50)의 지대치(70)와 그 인접치(72)는 지대치 절삭 전의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접촉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예에서는 이 접촉점을 손상하지 않게 지대치를 절삭하여 절삭 전의 치아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절삭 시 인접치(72)와 접하는 지대치(70)의 인접면 전체 또는 인접면 중 적어도 접촉점을 절삭하지 않는다. 도 71-74를 참조하면, 제1 소구치에 보철물(50)의 고정부(54)가 제1 소구치의 설측면에서 앞쪽 인접면의 일부와 결합하지만, 그 앞쪽 인접면을 둘러가면 덮는 것이 아니어서 제1 소구치와 송곳니가 접하는 접촉점이 유지된다.
계속해서, 도 71-7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철물(50)의 제2 대구치 쪽 고정부(54)는 한쪽 날개가 인공치아(52)로부터 연장되어 제2 대구치의 앞쪽 인접면, 협측면을 지나도록 연장된다. 그 끝단은 뒤쪽 인접면까지 또는 협측면과 뒤쪽 인접면의 천이부까지 연장된다. 또 다른쪽 날개는, 인공치아(52)로부터 연장되어 제2 대구치의 앞쪽 인접면, 설측면을 지나도록 연장되며, 그 끝단은 뒤쪽 인접면까지 또는 설측면과 뒤쪽 인접면의 천이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고정부(54)는 제2 대구치가 사랑니(도시되지 않음)와 접하는 접촉점이 보존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방법과 보철물의 구성에 따르면, 둘레면 전체를 둘러싸지 않아도 충분한 보철물의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삭안내장치의 재료 및 제조
일 실시예에서 치아를 절삭할 때 절삭공구(200)는 고속(예를 들면, 3,000-400,000 rpm)으로 회전한다. 절삭안내장치(100)는 고속회전하는 절삭공구(200) 목부(203)와 접하므로 이에 따른 물리적 접촉에도 손상이 적고, 마찰열에도 변형이 적은 재료를 사용한다. 또한 인체에 무해하고 생화학적으로 적합한 재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재료, 세라믹 재료, 금속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 금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 유리, 고분자 화합물 등을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편, 안내장치의 재료가 투명 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인 경우에는 육안으로도 장착과 절삭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안내장치(100)는 CNC Maching Center를 이용한 정밀가공의 방법 또는 3차원 프린팅이나 스테레오리소그래피(stereolithography)와 같이 재료를 쌓아서 제조하는 additive manufacturing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절삭안내장치(100) 제조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재료로 절삭안내장치(100)를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2 가지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여 절삭안내장치(100)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구안내로(120) 주위의 구조물을 위에서 설명한 재료로 제조하고 다른 나머지 부분은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 3, 4, 6-9, 24에 도시한 실시예
도 3, 4, 6-9, 12,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두개의 치아를 절삭하기 위하여 두 안내부(104) 각각에 공구안내로(120)을 구비한다. 안내부(104) 사이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안내부(104)가 바로 지대치(70)와 맞물려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대치(70) 옆의 인접치(72)와 결합하는 장착부(102)를 더 들 수도 있다.
공구안내로(120)은 치아의 둘레면 전체를 한 번에 가공할 수도 있도록 폐곡선을 이루어져 있다. 안내부(104)의 윗벽(116)은 공구안내로(120)을 사이에 두고 중앙 섬부분(1162)과 주변부분(1164)생긴다. 중앙 섬부분(1162)과 주변부분(1164) 사이에는 적절한 갯수의 막대형상의 연결부(1166)(connector)으로 연결되어 중앙 섬부분(1162)의 분리가 방지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측벽(110)이 서베이라인 아래까지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폐곡선 공구안내로(120)의 무절삭진입로(extension)(1202)가 측벽(110)을 지나 연장된다. 이무절삭진입로(1202)의 끝이 공구출입구(125)가 되며, 공구출입구(125)는 측벽(110) 바깥에 위치한다. 절삭공구(200)는 출입구(125)를 통하여 진입하여무절삭진입로(1202)를 지나 공구안내로(120)에 진입한다. 절삭공구(200)는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의 둘레면을 절삭한다. 절삭공구(200)는 치아의 둘레면을 절삭하면서 연결부(1166)도 절삭하여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실시예는 안내장치(100)을 이용한 치아 절삭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한편, 도 14, 19, 20,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절삭진입로(1202) 없이 측벽(110)에 바로 절삭공구 출입구(1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실시예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연결부(1166)가 두 개 형성되어 있다. 공구안내로(120)은 연결부(1166)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각각의 부분은 별도의 공구안내로(120) 무절삭진입로(1202)를 갖는다. 무절삭진입로(1202) 마다 공구출입구(125)가 마련된다. 이렇게 구성된 안내장치(100)는 연결부(1166)를 절삭하지 않고도 치아 둘레면 전체를 절삭할 수 있다. 연결부(1166)의 크기, 형태, 위치, 갯수는 치아와 절삭공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
도 3-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막대형상의 연결부(1166)가 마련된다. 연결부(1166)가 안내슬롯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더라도,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 직경을 크게 하는 경우 연결부(1166)를 파손하지 않고도 연결부(1166) 아래의 치아 부분도 절삭이 가능하다. 즉, 연결부(1166) 하방 부위 절삭 시 절삭공구(200) 절삭헤드부(204)의 직경을 연결부(1166) 두께보다 크게 하면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가 연결부(1166) 아래에 위치하는 치아 부분에도 닿게 되어 연결부(1166)는 치아를 절삭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구안내로(120)로 절삭공구(200)를 유도하는 공구출입구(125)는 상기연결부(1166)에 의해 공구안내로(120)가 비연속되어 나뉘어지는 개수만큼 형성된다.
연결부(1166)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의 재질에 따라서 그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치아 절삭안내장치(100)의 재질이 강한 것이면 상대적으로 재질이 약한 것 보다는 연결부(1166)의 두께가 작어도 된다. 한편, 공구안내로(120)가 폐곡선이 아닌 경우 즉, 절삭형태가 선상이거나 단절되는 경우는 연결부(1166)가 필요하지 않다.
도 10, 11에 도시한 실시예
도 10, 1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측벽(110)이 서베이라인 아래쪽으로는 연장되지 않거나 약간만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안내장치(100)가 지대치(70)의 제자리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서베이라인 경계 부위로 육안으로 보거나 탐침으로 쉽게 조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가 제자리에 안착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내 장치 측벽(110)의 어느 한 부위를 오픈(open)하는 오목부(118)(blocked-out portion)을 따로 둘 필요가 없다. 또,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가 서베이라인 아래로 노출되어 있어서 치아가 절삭되는 것을 볼 수도 있다.
냉각수의 유통
일 실시예에서 냉각수는 핸드피스(230)로부터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슬롯, 공구출입구(124) 등을 통하여 안내부(104) 안쪽으로 들어가 서베이라인 아래 쪽의 터진 부분(blocked-out portion)(118)으로 나오게 할 수 있다. (도 94B, 95B, 99B, 100B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 또는 다른 어떠한 개방된 부분(opening)을 통하여 냉각수가 유통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멍의 크기는 냉각수의 양과 안내장치(100)의 강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도 12, 13에 도시한 실시예
절삭공구(200)의 출입구가 측벽(110)의 안쪽에, 즉 윗벽(116)에 구멍(1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110)에 노치(notch) 를 남기지 않아 안내장치(100)의 변형 가능성이 감소된다.
도 14-17에 도시한 실시예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절삭공구(200) 진입구가 측벽(110)에 있고 치아 둘레면의 일부에 대해서만 공구안내로(120)가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치아 교합면의 절삭을 위하여 공구안내로(120)가 측벽(1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치아 협측면 또는 설측면에 띠 형상 홈을 형성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가 측벽(1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교합면에 레스트 시트(rest seat)를 형성하기 위하여 윗벽(116)에 안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
도 18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여러 치아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을 연달아 절삭할 수 있도록 공구안내로(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삭하여 3개의 치아에 설치하는 일체로 된 보철물(50)을 설치하면 움직이는 치아 (예를 들면 움직이는 가운데 치아)를 고정해 줄 수 있다.
도 19-21에 도시한 실시예
도 19-2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전치부의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가 형성되어 있다. 도19에 도시한 안내장치(100)는 절삭공구의 출입구가 측벽(110)에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한 안내장치(100)는 절삭공구의 출입구가 윗벽(116)에 형성되어 있다.
도 22, 23에 도시한 실시예
도 22, 2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전치부의 설측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설측면쪽 측벽(110)에 공구안내로(1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는 하나의 전치에 두 개의 와등을 형성하기 위한 두개의 공구안내로(120)를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치아에 대하여 두개 또는 그 이상의 공구안내로(120)를 둘 수도 있다.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전치부 각각의 치아의 설측 결절(cingulum)을 따라서 절삭을 할 수 있게 공구안내로(120)가 치아당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실시예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에 형성된 공구안내로(120)은 상하 굴곡을 가진다. 치아(70)의 절삭 부위의 최하단이 잇몸선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때, 공구안내로(120)은 이 상하 굴곡을 따라가는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200) 최하단의 궤적을 나타내는 점선(broken lines)를 따라, 이렇게 공구안내로(120)도 형성된다. 도 2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 최하단의 궤적이 굴곡이 없으므로, 공구안내로(120)도 굴곡이 없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반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 최하단의 궤적이 상하 굴곡이 있는 경우, 공구안내로(120)도 굴곡을 따라 형성된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 최하단의 궤적에 맞추어 공구안내로(200)이 결정된다.
도 24, 25, 2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안내돌기(207)가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에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절삭공구 최하단의 궤적이 상하 굴곡이 있으면, 그 굴곡에 맞추어 위쪽 지지면(129)이 굴곡진다. 도 38,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돌기(208, 210)가 안내 홈(132, 134)을 따라 이동하는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 최하단의 궤적이 상하 굴곡이 있으면, 그 굴곡에 맞추어 홈(132, 134)이 상하로 굴곡지게 형성한다.
한편, 도 2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말단이 잇몸선을 따라 가도록 공구안내로(120)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의 말단이 서베이라인과 잇몸선 사이의 위치를 지나도록 공구안내로(120)을 더 높게 형성하거나, 절삭헤드부(204)의 길이를 짧게 할 수도 있다. (도 108 참조.) 결국, 절삭할 부분이 결정되면, 절삭공구(200) 절삭헤드부(204) 끝부분이 지나야하는 궤적이 결정되고, 그 궤적의 굴곡에 따라 공구안내로(120)도 높낮이 굴곡도 결정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200)는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이동하며 해당 치아(70)를 절삭할 경우, 해당치아(70)는 공구안내로(120)의 안내 돌기 위쪽 지지면(129)(또는 안내돌기 지지홈, 도 31, 32, 33, 38, 39 참조) 상하 굴곡에 맞게 안내 절삭공구(200)가 상하 이동하면서 치아를 절삭한다. 이렇게 형성된 치아의 절삭부분은 그 최하단에 굴곡진 턱(step)(82)을 가지며 그 턱에 맞도록 보철물(50)의 형상도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하단에 턱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절삭헤드부(204)의 최하단이 서베이라인과 잇몸선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치아의 절삭 각도와 절삭 깊이에 따라 면의 경계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절삭공구 및 공구안내로의 다양한 실시예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를 절삭하는 동안 틸팅이 일어날 수 있다. 틸팅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예정되지 않는 영역을 절삭할 수도 있다. 또, 절삭량이 예정보다 작을 수도 있고 너무 많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절삭 오류가 발생하면 보철물(50)과 치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틸팅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도 27A 및 27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원반형 안내돌기(208, 210)가 상하 두 개 형성된다. 절삭공구(200)의 상부 안내돌기(208)는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에, 하부 안내돌기(210)는 아래쪽 지지면(1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절삭공구(200)가 이동한다. 도 9, 43은 이 실시예 따른 절삭공구(200)를 이용한 치아 절삭 작업을 도시한다.
도 28A 및 28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구형 안내돌기(208, 210)가 상하 두 개 형성된다. 도 40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굴곡이 있는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형 안내돌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공구(20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동안 접촉면적이 작아 절삭공구(200)의 틸팅을 줄이면서도 마찰이 줄일 수 있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직경이 작은 원반형 돌기(207)가 형성된 절삭공구(200)는 약간의 상하 굴곡이 있더라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원반형 돌기(207)를 갖는 절삭공구(200)는 상하 굴곡이 있는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그 굴곡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직경이 큰 안내돌기(207)는 이동 중 절삭공구(200)의 틸팅을 방지하는 데에는 유리할 수 있으나, 상하 굴곡진 부분에서 공구안내로(120) 지지면과의 마찰이 커져서 이동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9A 및 29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한 쪽에만 안내면(128)이 형성된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안내면(128)의 상하 모서리와 안내돌기(208, 210)가 접촉하면서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한다. 이 실시예의 공구안내로(120) 구성을 채용하면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의 중앙 섬부분(1162)이나 연결부(1166)가 없어도 된다. 도 30A 및 30B의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 목부(203)가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그 부분이 공구안내로(120)에 끼워져 이동한다.
한편, 도 31A 및 31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하나의 구형 안내돌기(207)를 갖는다. 이 안내돌기가 공구안내로(120)의 안내면(128)에 마련된 반원형 홈에 끼워져서 절삭공구(200)가 안내된다. 도 32A 및 32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타원형 안내돌기(207)를 구비한다.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타원형 안내돌기(207)가 공구안내로(120) 내의 홈에 끼워져서 이동한다.
도 33A 및 33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두 개의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구비한다. 그 중 아래 안내돌기(210)는 공구안내로(120)의 안내면(128)에 마련된 홈(131)에 끼워진다. 위 안내돌기(208)는 공구안내로(120)의 윗쪽 지지면(129)에 접하며 이동한다.
도 34A 및 34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두개의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구비한다.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아래 안내돌기(210)는 공구안내로(120)의 아래쪽 지지면(130)에 접하고 위 안내돌기(208)는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에 접하며 이동한다.
도 35A 및 35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위에 구형 안내돌기(207)를 구비한다. 또한,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는 상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아래쪽 안내돌기의 기능을 한다.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안내돌기(207)는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에 접하며 이동하고, 절삭헤드부(204) 상단의 안내돌기는 공구안내로(120) 아래쪽 지지면(130)에 접하며 이동한다.
도 36A 및 36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구형 안내돌기를 구비한다.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에는 홈이 파여 있다.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구형 안내돌기의 일부분이 공구안내로(120) 위쪽 지지면(129)에 형성된 홈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200)는 두개의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구비한다. 공구안내로(120)의 위쪽 지지면(129)과 아래쪽 지지면(130)에 모두 홈이 형성된다. 각 안내돌기(208, 210)는 이 홈에 들어간 상태로 이동한다. 한편, 도 37A 및 37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돌기(207)가 공구안내로(120) 위쪽 지지면(129)에 접하며 이동한다.
도 38A 및 38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크기가 다른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구비한다. 공구안내로(120)의 측 안내면(128)에는 각각의 안내돌기(208, 2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132, 134)이 형성되어 있다.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두 안내돌기(208, 210)가 각각의 홈(132, 134)에 끼워져서 이동한다. 도 39A 및 38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200)가 동일한 크기의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구비하며,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할 때 두 안내돌기(208, 210)가 각각 공구안내로(120) 내의 홈(132, 134)에 끼워져서 이동한다.
도 88A 및 88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절삭공구(200)는 구형 안내돌기(208, 210)를 상하 두 개 구비한다. 공구안내로(120)의 측 안내면(128)에는 직사각형 홈(132, 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32, 134)에 안내돌기가 끼워져서 이동한다. 이 때 홈(132, 134)과 안내돌기(208, 210) 사이의 접촉면적은 도 38, 39에 도시한 실시예보다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마찰이 줄어들어 절삭공구의 회전과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홈의 형상은 직사각형 이외에도 삼각형, 사다리꼴, 오각형 등의 다각형일 수도 있다.
냉각 유체 통로
치아를 절삭하는 동안 치아와 절삭공구(200)를 식혀주기 위하여 물과 같은 냉각 유체가 공급된다. 이러한 냉각유체의 흐름은 치아 및 절삭공구(200)의 냉각 뿐 아니라, 절삭된 치아 조각이나 치아 분말, 절삭공구로부터 떨어져 나온 입자들을 제거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도 4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는 이러한 냉각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멍(170)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구멍(170)은 서베이라인 아래쪽에 형성된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 13, 8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110)이 서베이라인까지만 연장되게 하거나, 측벽(110)에 오목부(118)를 두어 유체가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교합면과 둘레면의 절삭을 위한 단일의 안내장치
크라운 보철물이나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처럼 지대치의 교합면, 둘레면을 모두 절삭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하나의 안내 장치에 교합면과 둘레면 모두를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둘레면을 절삭하고 나면 교합면 절삭 시 치아 절삭 안내장치와 치아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면, 교합면을 절삭 시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움직여서 정확한 절삭을 할 수 없다. 특히,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지대치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 지대치 주위의 치아에 의해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 그러하다. 또한, 둘레면 절삭 시 교합면 공구안내로가 손상될 수도 있다. 거꾸로 교합면을 절삭하고 둘레면을 절삭할 때에도 둘레면을 절삭 시 필요로 하는 공구안내로가 절삭되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내 안내슬롯의 배치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44-54는 그러한 안내장치(1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가 설측과 협측에서 접근하여 절삭하는 교합면을 절삭 하는 데에 사용하는 공구안내로(120)의 안쪽에, 즉 교합면 위에서 바라다 보았을 때 치아 쪽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교합면과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공구(200)를 유도하는 공구안내로(120)가 서로 상충되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둘레면을 먼저 절삭하고 교합면을 절삭한다.
이와는 달리,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가 설측과 협측에서 접근하여 절삭하는 교합면을 절삭 하는 데에 사용하는 공구안내로(120)의 위쪽에, 즉 둘레면 옆에서 바라다 보았을 때 치아 쪽에서 먼 쪽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교합면과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절삭공구(200)를 유도하는 공구안내로(120)가 서로 상충되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교합면을 먼저 절삭하고 둘레면을 절삭한다.
치아를 절삭하는 순서는 둘레면이나 교합면 중 어느 부위에서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둘레면에서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다면 교합면을 먼저 절삭하고 둘레면을 절삭 한다. 그러나 교합면에서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다면 둘레면을 먼저 절삭 하고 교합면을 절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크라운 보철물을 장착하기 위해 치아를 절삭할 때 도 80-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안내장치(1002, 1004)를 이용한다. 이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4-54에 도시한 실시예
도 44-55B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를 이용하여 지대치(70)의 둘레면 및 교합면을 안정적으로 절삭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는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과 교합면을 절삭하는 공구안내로(120)가 치아(2)의 절삭 시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아 절삭 도중 공구안내로(120)가 손상되지 않는 구성이다.
도 44-55B는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50)을 설치하기 전에 치아를 절삭할 때 사용하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를 개시하고 있다.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에는 치아의 교합면을 절삭할 때 절삭공구(200)를 안내하는 교합면 공구안내로(120)와 치아의 둘레면을 절삭할 때 절삭공구(200)를 안내하는 둘레면 공구안내로(120)가 마련된다. 공구안내로(12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안내면(128) 사이로 안내슬롯을 가진다. 절삭공구(200)의 목부(203)이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슬롯에 끼워져 절삭공구(200)가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이동한다.
도시된 둘레면 공구안내로(120) 및 교합면 공구안내로(120)를 가진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환자의 구강 내에 한 번 고정한 후 안내장치(100)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분리하기 전에 교합면과 둘레면을 모두 절삭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의 둘레면 공구안내로(120)는 각각 지대치(70)의 인접치(72)아 쪽 측벽(113)을 가로질러 형성된 하나의 절삭공구 출입구를 갖는다. 한편, 교합면 공구안내로(120)는 하나의 지대치(70)에 대하여 2개가 마련된다. 즉, 교합면 중 볼쪽 부분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와 교합면 중 혀쪽 부분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를 갖는다. 이들 공구안내로(120) 각각은 안내장치(100)의 윗벽(116)으로 통하는 절삭공구 출입구(125)를 갖는다.
교합면을 먼저 절삭하고 둘레면을 나중에 절삭하는 경우
이 경우, 교합면 절삭 도중에 절삭공구(200)에 의해 둘레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이 되지 않도록 공구안내로(120)를 설계한다. 그러면, 둘레면 절삭 과정에서도 절삭공구(200)가 정밀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8B, 50B,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부(204)가 통과하는 위치보다 치아로부터 더 먼 쪽에, 즉, 도 48B, 50B, 51B에서는 치아(70)로부터 더 위쪽에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교합면 절삭 도중에 절삭공구(200)에 의해 둘레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되지 않는다. 둘레면 절삭안내로에 안내슬롯에 걸쳐서 연결부(116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1166)는 교합면 절삭 도중에 절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도 48B 참조)
한편, 교합면을 먼저 절삭하고 둘레면을 나중에 절삭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내장치(100)는, 둘레면 절삭 시 교합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둘레면 절삭 시에는 이미 교합면의 절삭이 완료되어 교합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설계하면, 안내장치(10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줄일 수 있어, 구강 내의 제한적인 치수 조건에 대응하는 안내장치(100)의 설계가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설계된 안내장치(100)를 이용할 때에는 작업자(치과의사)가 교합면을 먼저 절삭하고 둘레면을 나중에 절삭하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둘레면을 먼저 절삭하고 교합면을 나중에 절삭하는 경우
이 경우, 둘레면 절삭 도중에 절삭공구(200)에 의해 교합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이 되지 않도록 공구안내로(120)를 설계한다. 그러면, 교합면 절삭 과정에서도 절삭공구(200)가 정밀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합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절삭공구(200)의 절삭헤드가 통과하는 위치보다 치아로부터 더 먼 쪽에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둘레면 절삭 도중에 절삭공구(200)에 의해 교합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둘레면을 먼저 절삭하고 교합면을 나중에 절삭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내장치(100)는, 교합면 절삭 시 둘레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가 손상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교합면 절삭 시에는 이미 둘레면의 절삭이 완료되어 둘레면 절삭용 공구안내로(120)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설계하면, 안내장치(10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줄일 수 있어, 구강 내의 제한적인 치수 조건에 대응하는 안내장치(100)의 설계가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설계된 안내장치(100)를 이용할 때에는 둘레면을 먼저 절삭하고 교합면을 나중에 절삭하여야 한다.
안내장치의 안착 여부 검사
도 49, 5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장치(100) 치아의 제 위치에 장착되었는지 검사한다. 도 49에서와 같이 육안으로 검사하거나 도 54에서와 같이 탐침(250)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도 56에 도시한 실시예
도 56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장치(100)의 둘레면 공구안내로(120)로의 절삭공구 출입구가 윗쪽 벽에 구멍의 형태로 형성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출입구 구조는 측벽(110)을 개방하지 않아, 안내장치(100)가 치아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잘 유지한다.
도 57-65에 도시한 실시예
도 63-6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철물(50)은 상실된 치아 양측의 지대치(70)에 장착되는 고정부(54)와 두 고정부(54) 사이의 인공치아(52)를 구비한다. 도 6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쪽 고정부(54)는 각각 전치부 지대치(70)의 설측면 결절을 따라 형성된 아크 또는 말굽 형상의 보철물고정홈(arc-shaped prosthesis fixing groove)(8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용돌기(58)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54)는 금, 금합금, 티타늄,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인공치아(52)는 금, 지르코니아 등과 같은 인공치아(52)용 재료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는 금속 이외에 지르코니아와 같은 세라믹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보철물에 고정용돌기를 형성하고 치아에 홈을 형성하여 이들을 고정시킴으로써 보철물의 유지력을 얻으려면 홈은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철물(50)의 고정부(54)에 형성된 고정용돌기(58)의 3차원 형상 및 크기는 지대치에 형성된 보철물고정홈(86)의 3차원 형상 및 크기와 매우 정교하게 상보적인 관계를 가져야 한다. 보철물(50)의 예정된 삽입방향을 따라서 바라볼 때, 보철물고정홈(86)의 측벽을 형성하는 모든 절삭면은 그 예정된 삽입방향과 동일하거나 상당히 비슷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보철물(50)의 예정된 삽입방향을 따라서 바라볼 때, 고정용돌기(56)의 측벽을 형성하는 모든 절삭면은 그 예정된 삽입방향과 동일하거나 상당히 비슷하여야 한다. 그리고, 고정용돌기(56)가 보철물의 삽입방향으로 진입하여 보철물고정홈(86)에 진입하여 체결되었을 때, 고정용돌기(56)의 측벽과 보철물고정홈(86)의 측벽 사이 공극은 평균 약 60 μ, 약 80 μ, 약 100 μ, 약 120 μ, 약 140 μ, 약 160 μ, 약 180 μ, 약 200 μ 미만이다. 이 같은 조건과 결과는 절삭안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손놀림에만 의존하여서는 전혀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다.
도 57-6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도 63-65에 도시한 보철물을 전치부의 두 개의 치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전치부 치아의 설측면 결절을 따라 절삭하기 위한 것이다. 안내장치(100)은 절삭공구를 안내하는 아크 형상의 공구안내로(120)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를 설치하고 공구를 공구안내로(120)를 따라서 이동시키며 치아를 절삭하면 전치부 치아(70)의 설측 결절(cingulum)을 따라서 보철물고정홈(86)을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보철물고정홈(86)의 내측면은 보철물의 예정된 삽입방향에 대하여 언더컷이 없다. 도 2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보철물고정홈(86)의 측면은 보철물 삽입방향(76)과 동일하거나 매우 조금 기울어진 경사면(80)을 이룬다. 이 내측 경사면(80)은 보철물의 삽입방향(76)에 평행인 직선(78)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 α가 약 0°- 약 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 α는 약 0.3°, 약 0.4°, 약 0.5°, 약 0.6°, 약 0.7°, 약 0.8°, 약 0.9°, 약 1°,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7°, 약 1.9°, 약 2°, 약 2.3°, 약 2.7°, 약 3°, 약 3.5°, 약 4°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치들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하는 수치의 각도일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치아에 형성되는 홈은 동일한 삽입방향을 갖는다.
도 23F,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철물의 삽입돌기(58)은 이 보철물고정홈(86)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인공치아 양쪽에 있는 돌기 모두 기 설정된 보철물삽입방향과 나란히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돌기(58)의 둘레면도 보철물고정홈(86) 측면과 동일한 또는 약간 큰 경사각도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보철물의 삽입돌기들의 구성 및 보철물고정홈들의 구성, 보철물이 삽입되는 구성은 후술하는 도23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안내장치(100)는 각각의 공구안내로(120)에 대하여 설측의 측벽(110)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구조물(1102)를 구비한다. 돌출구조물(1102)에는 공구안내로(120)의 무절삭진입로(1202)가 형성되며, 이는 돌출구조물(1102)의 설측에 형성된 공구 출입구(125)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측벽(110)에 출입구가 형성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의 측벽(110)에는 노치가 생기지 않아 치아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측벽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구조물을 두고 공구출입구를 형성하는 구성은 전치부를 위한 안내장치 뿐 아니라 구치부를 위한 안내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76-78에 도시한 실시예
도 76-7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100)는 전치부의 두 개의 치아 설측면 결절을 따라 절삭을 할 수 있게 절삭공구를 안내하는 공구안내로(120)를 갖는다. 이 안내장치(100)는 절삭공구(200)가 위쪽에서 아래로 삽입될 수 있도록 공구구멍(124)가 마련된다는 점과 측벽(110)의 아래쪽에 터진 부분(118)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도 57-65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르다. 다른 기본적인 구성은 도 57-6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같다.
치아 절삭 안내장치세트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을 위해 치아 절삭 시 한 개의 치아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하거나 두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치아를 절삭하는 실시예에서, 한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치아를 절삭하지 않은 상태에 맞게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만든 것이다. 또 하나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치아의 일부를 절삭한 상태에 맞게 만들어져 1차 치아 절삭을 하고 남은 나머지 절삭할 부위를 절삭한다. 즉, 먼저 한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절삭하고자 하는 치아의 절삭하고자 하는 부위 중에서 인접면의 일부분이나 전체, 교합면의 일부분, 협측이나 설측의 일부분이나 전체를 절삭한다. 또 하나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첫 번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하고 남은 나머지 절삭이 더 필요로 하는 부위를 절삭하는데 이용된다.
두 개의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면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치아를 절삭하는 동안 항상 제자리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그 이유는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에서는 일부를 절삭하고 남은 부위에서 끝까지 유지력을 얻어서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제자리를 지킨다.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먼저 절삭한 부위와 끝까지 절삭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위가 있다면 이러한 부위에서 절삭 중에 끝까지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둘레면을 절삭하는 공구안내로와 교합면을 절삭하는 공구안내로가 서로 겹칠 가능성이 줄어들어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상대적으로 커지거나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둘레면 즉, 협측면, 설측면, 인접면을 절삭하는 안내장치의 안내슬롯과 교합면을 절삭하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안내슬롯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절삭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한 치아의 설측면을 주로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가 마련된 장치에 그 치아의 볼쪽 교합면을 절삭하는 공구안내로를 형성한다.(도 82 참조) 또, 그 치아의 설측면을 주로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가 마련된 또 다른 장치에는 그 치아의 혀쪽 교합면을 절삭하는 공구안내로를 형성한다.(도 84 참조)
도 80-85에 도시한 실시예
도 80-8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50)을 장착하기 위하여 치아를 절삭하기 위한 한 쌍의 치아절삭 안내장치(100)이다. 도 80A, 81, 82에 도시한 안내장치(100)는 치아가 절삭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구치의 협측 교합면과 설측 둘레면, 그리고 소구치의 설측 교합면과 협측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고안된 제1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이다. 도 80B에 도시한 안내장치(100)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를 사용하여 치아의 일부분을 절삭한 후 나머지 부분 즉, 대구치의 설측 교합면과 협측 둘레면을 절삭하고 소구치의 협측 교합면과 설측 둘레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고안된 제2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이다. 도 81B, 81C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안내장치(100)를 장착하여 지대치(70)를 절삭한 후, 제1 안내장치(100)를 제거한다, 그 후 도 83B, 8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안내장치(100)를 장착하고 지대치(70)를 절삭한다. 제2 안내장치(100)를 제거하면,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 절삭이 완료된다. 그 후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50)을 장착한다.
도 93-104에 도시한 실시예
도 93-10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안내장치는 크라운 보철물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한 쌍의 안내장치 중 도 93에 도시한 제1 안내장치(1002)는 구치의 협측면과 설측 교합면을 절삭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1 안내장치(1002)의 장착지지부(102)는 마우스피스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구강 내에서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한편, 협측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지지부(102)로부터 돌출구조물(150)이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돌출구조물(150)의 내측에는 공구안내로(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구구멍(124)이 공구안내로(120)에 형성되어 있다. 공구안내로(120)와 공구구멍(124)를 돌출벽(152)이 에워싸고 있다. 또한, 설측의 교합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지지부(102)로부터 돌출구조물(160)이 옆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돌출구조물(160)의 내측에는 공구안내로(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구구멍(124)이 공구안내로(120)에 형성되어 있다. 공구안내로(120)와 공구구멍(124)를 돌출벽(162)이 에워싸고 있다.
한편, 구치의 설측면과 협측 교합면을 절삭하기 위한 제2 안내장치(1004)도 마우스피스 형상의 장착지지부를 가진다. 제1 안내장치(1002)와 유사하게 제2 안내장치(1004)에는 설측면을 절삭하기 위하여 돌출구조물(150)이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협측의 교합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를 제공하기 위해 돌출구조물(160)이 옆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들 돌출구조물(150, 160)의 내측에는 공구안내로(120)와 공구구멍(124)가 형성된다. 안내장치(1002, 1004)의 공구안내로(120) 및 공구구멍(124)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 또는 뒤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구조일 수 있다.
도 86-87에 도시한 실시예
도 8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100)는 전치부의 순측면을 절삭한 후 라미네이트와 같은 심미용 보철물(50)을 장착할 수 있다. 도 87에 도시한 절삭공구들은 라미네이트 보철물(50)을 장착하기 위해 도 86의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전치부를 절삭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이다.
치조골의 복원 또는 다른 치과 치료를 위한 안내장치의 이용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로 브릿지 보철물과 같이 상실한 치아의 복구하는 치과 치료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치아 절삭 뿐 아니라 치조골이 파절된 경우나 훼손된 경우에 치조골을 지지하는 물질을 부착하기 위하여 치조골을 절삭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치조골 절삭 후, 치조골을 유지하기 위한 물질을 삽입하여 파절된 부위를 고정하거나 훼손된 부위를 회복시켜 줄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플란트를 하기 위해 손상된 치조골 수복에도 이용할 수도 있다.
치조골을 절삭하는 동안 치아 절삭 안내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안내장치 지지부가 결합되는 부위가 치조골이라는 점이 치아를 절삭하는 경우와 다르다. 그 이외는 대체로 치아 절삭하는 경우와 같다. 이 때도 치아 절삭와 마찬가지로 치조골을 절삭할 부위에 인접하여 치아가 있는 경우는 치아에서도 함께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치아 절삭 안내장치의 공구안내로를 따라가면서 치조골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태의 절삭가 가능하며, 메쉬(mesh) 형태, 바(bar) 형태 또는 그물망(net)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임플란트가 가능하다. 통상의 임플란트에서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치조골에 구멍을 뚫게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면, 치아 절삭 안내로를 따라 가면서 치조골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태의 절삭을 할 수가 있다. 즉 수평 방향이나 수직 방향, 굴곡진 방향 등 다양한 형태의 절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 절삭을 하여 제작할 수 있는 치과 보철물 적용은 심미치료에 이용되는 라미네이트와 움직이는 치아를 고정시키는 스플린트에도 가능하다. 그리고 크라운 브리지와 크라운 브릿지 보철물 등에서 치아 절삭용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최소 절삭용 치과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절삭을 가하고 음식물 찌꺼기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보철물을 만들어 줄 수도 있다. 이때 고려할 점은 음식물 찌꺼기가 끼이는 다수개의 치아를 동시에 묶어 둠으로써 보철물의 적절한 삽입방향을 확보하면서 유지력에 필요한 최소의 절삭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적절한 삽입방형의 경우는 많은 양의 치아 절삭이 행해져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치아의 절삭 형태를 예측할 수 있어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절삭하기 이전에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물론 그외에도 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인레이(inlay) 또는 온레이(onlay) 형태를 이용한 크라운 브릿지와 신경치료를 한 치아에 기둥을 심어서 세울 수도 있으며, 한 개 치아의 손상 시 회복하고자 할 치아가 상실되지 않은 경우라도 심미성이 떨어지는 경우와 중요도가 있는 치아를 고정시켜 주기위한 경우도 절삭을 하여 대처할 수 있다. 즉, 스플린트(splint), 라미네이트(laminate), 크라운브릿지 등 종전의 모든 보철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에 스크래치형태, 홀형태, 홈형태의 최소 절삭을 하거나 협설측, 인접면, 교합면의 일부분의 최소 절삭로서도, 치아 절삭 방향과 보철물 삽입 방향을 맞출 수 있으며 유지력을 얻을 수 있어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다. 최소절삭의 보철물 제작을 하는데 심미적인 면이나 유지가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절삭 부위나 절삭양 조절은 물론 삽입방향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스플린트 보철물
치조골이 손상되면 그 치조골이 지지하는 치아가 흔들린다. 치아가 흔들리는 상태를 방치하면 치조골의 손상이 더 심해지고 심지어 그 흔들리는 치아가 빠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흔들리는 치아와 이웃하는 치아를 함께 보철물로 연결하여 흔들리는 치아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해준다. 이렇게 흔들리는 치아와 인접 치아를 연결해 주는 보철물을 스플린트 보철물이라고 한다. 스플린트 보철물로 흔들리는 치아를 고정해주면 흔들리는 치아의 아래쪽에 있는 치조골이 안정화 될 수 있다. 안정화된 치조골은 치아를 단단히 지지하여 치아가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스플린트 보철물로 흔들리는 치아를 고정해주면 치조골의 소실을 지연시킬 수 있고, 간혹 치조골이 재생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보철물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치조골 손상을 전단하고 스플린트 보철물을 장착할 대상이 되는 치아를 선정한다. 스플린트 보철물을 장착할 치아는 서로 인접하는 두개 이상의 치아이다. 보철물을 설치할 치아를 선정하면, 스플린트 보철물의 개략적인 구조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린트 보철물은 전통적인 크라운 구조를 포함하지 않고도 선정된 치아들과 매우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이 스플린트 보철물은, 선정된 치아의 교합면을 전부 삭제하고 둘레면들도 삭제하는 크라운 구조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정된 치아의 교합면이나 둘레면 중 적절한 면을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하고, 그 절삭된 형상에 꼭 맞는 구조를 포함하는 스플린트 보철물로 치아와 스플린트 보철물을 매우 강하게 결합/고정한다.
전치부의 스플린트 보철물
도 23A, 23B, 2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플린트 보철물(60)을 장착하는 치과 치료 방법은 전치부의 흔들리는 치아(70a)을 이웃하는 치아들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흔들리는 치아(70a)와 이웃 치아(70)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안내장치(100)이 창작된다. 안내장치(100)에는 각 치아 하나 당 하나씩의 공구안내로(120)가 형성된다. 이 공구안내로(120)는 대체로 활 모양의 안내채널로 형성된다. 공구안내로(120)의 안내채널을 따라 절삭공구를 이동시키면서 도 23B, 2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치아마다 활모양의 보철물고정홈(86)을 형성한다.
도 23D는 보철물 고정홈(86)이 형성된 치아를 미리 설정된 보철물 삽입방향(76)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23F를 참조하면 스플린트 보철물(51)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치아에 대하여 하나씩 보철물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고정돌기(58)를 갖는다. 이 고정돌기(58)가 보철물고정홈(86)에 각각 끼워지고 시멘팅 접합됨으로써 스플린트 보철물(51)이 치아에 고정된다. (도 23C 참조) 이로서, 흔들리는 치아(70a)가 다른 치아들과 일체가 되어, 그 치아(70a)를 지지하는 치조골이 다시 재생될 수 있을 정도로 흔들림이 현저히 감소한다.
도 23B, 23D, 23F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네 의 고정돌기(58)는 모두 보철물 삽입방향(76)을 따라 돌출되고 연장된다. 도 23D은 각 보철물고정홈(86)은 안내장치(100)의 공구안내로(120)를 따라 공구가 진행할 때, 공구의 회전축선(axis of rotation)(도 92의 201참조)의 궤적인 중앙선들(87)을 도시한다. 도 23E는 이 중앙선(87) 상의 한 점에서 중앙선에 법선방향인 연장선(88)을 따라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인데, 네 개의 보철물고정홈(86)도 모두 보철물 삽입방향(76)을 따라 파여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3E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보철물고정홈(86)의 안쪽에는 보철물의 삽입방향(76)에 대하여 언더컷이 없다. 보철물고정홈(86)의 측면(80)은 보철물 삽입방향(76)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다. 이 측면(80)은 보철물의 삽입방향(76)에 평행인 직선(78)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 α가 약 0.3°- 약 3°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 α는 약 0.4°, 약 0.5°, 약 0.6°, 약 0.7°, 약 0.8°, 약 0.9°, 약 1°, 약 1.1°, 약 1.2°, 약 1.3°, 약 1.4°, 약 1.5°, 약 1.7°, 약 1.9°, 약 2°, 약 2.3°, 약 2.7°, 약 3°, 약 3.5°, 약 4°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치들 중 선택된 두 수치가 이루는 범위 내에 속하는 수치의 각도일 수 있다. 이 측면의 경사각이 작은 보철물고정홈에 비해 경사각이 큰 보철물고정홈은 고정돌기를 삽입하기 쉬우나 유지력은 작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3B에 도시한 네 개의 보철물삽입홈(86) 모두를 하나의 절삭공구로 절삭할 수도 있다. 하나의 절삭공구로 절삭하는 경우 네 개의 홈 모두 측면의 경사각도가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보철물삽입홈(86) 각각에 대해 다른 공구 이용하여 절삭할 수도 있다.
도 23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3F와는 다른 방향의 보철물삽입방향을 설정하여 치아를 절삭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치부의 스플린트 보철물
도 18A, 18B, 18C, 116-123은 여러 가지 구치부 스플린트 보철물을 보여준다. 도 18A, 18B, 18C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설측면과 인접면 일부를 절삭하고 스플린트 보철물(51)을 장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두 치아 사이의 접촉점은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치아에 스플린트 보철물(51)을 장착하여 흔들리는 치아(70a)를 이웃 치아에 고정한다.
도 116-11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는 흔들리는 제1 대구치(70a)의 설측면, 뒤쪽 인접면, 협측면을, 제2 대구치의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을, 소구치의 설측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공구안내로(120)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공구(200)을 공구구멍(124)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한 후, 공구(200)을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이동시켜 절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대구치 사이의 접촉점이 절삭되지만, 두 대구치 각각의 마주보는 면인 설측면과 협측면을 모두 이용하여 스플린트 보철물(51)을 장착하므로 보철물의 유지력이 도 18에 도시한 실시예보다 크다.
도 119-12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안내장치(100)는 제2 대구치의 설측면, 뒤쪽 인접면, 협측면을, 흔들리는 제1 대구치의 설측면과 협측면을, 소구치의 설측면을 절삭하기 위한 공구안내로(120)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공구안내로(120)가 모두 연결되어 있어, 공구(200)을 소구치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는 공구구멍(124)에 삽입한 후, 공구(200)을 공구안내로(120)을 따라 이동시켜 절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치아 사이의 접촉점을 손상하지 않고 스플린트 보철물(51)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두 대구치 각각의 마주보는 면인 설측면과 협측면을 모두 이용하여 스플린트 보철물(51)을 장착하므로 보철물의 유지력이 도 18A에 도시한 실시예보다 크다.
도 122-12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대구치의 설측면, 앞쪽 인접면, 협측면을, 흔들리는 제1 대구치의 설측면과 인접면 일부를, 두 소구치의 설측면과 인접면 일부를 절삭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두 소구치와 제1 대구치는 협측면을 절삭하지 않는다. 스플린트 보철물(51)의 유지력을 키우기 위해, 제1 대구치의 앞쪽인접면, 제2 소구치의 뒤쪽 인접면의 두 마주보는 면 사이에 보철물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 제2 대구치의 설측면과 협측면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소구치와 제1 대구치 사이의 접촉점과 두 대구치 사이의 접촉점이 손상될 수 있지만 보철물이 충분한 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치부도 동일하게 여러 치아를 스플린트 보철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구치부 스플린트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치아를 절삭할 때에도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안내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치과 치료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절삭 안내장치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은 대체로 진료, 치료 방법의 결정, 치아의 3차원 형상 데이터 수집, 보철물 장착 후의 최종 예상형상 결정, 보철물 설계, 치아 절삭 후 형상 설계, 절삭공구 설계 또는 선택, 안내장치의 설계, 보철물, 공구, 안내장치의 제조, 치아 절삭, 보철물 장착의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치료방법의 결정 및 치아에 대한 데이터 수집
도 105를 참조하면, 환자가 치과클리닉을 방문하면, 치과의사가 진료를 하고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S10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치과의사는 보철물을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하는 것을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이때, 치과의사는 원하는 보철물이 대체로 어떤 구성을 포함할 것인지를 생각한다. 보철물의 구체적인 사항을 설계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실한 치아에 대해 브릿지 보철물을 치료방법으로 선택하는 경우, 몇 개의 치아를 또는 어떤 치아를 지대치로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3차원 치아 형상 및/또는 3차원 구강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S200) 환자의 치아 데이터 수집은 치과의사가 진료하기 전에 또 치료방법을 결정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의 치아 데이터 수집은 다양한 장소에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는, 치과의사가 환자가 구강 형상를 인상재로 취득한다. 치과의사 또는 치과 기공소에서는 취득한 인상재을 이용하여 치아를 포함한 구강형태의 모형을 만든다. 이 모형의 형상을 3차원 스캐너로 스캔하여 데이터화한다. 인상재의 취득은 환자의 치과 방문 시 이루어진다. 모형의 제작과 스캐닝이 치과 병원 이외의 치과 기공소 등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치과 의사는 취득한 인상재를 치과 기공소로 보낸다. 치과 기공소에서는 인상에 기초하여 모형을 만들고 데이터화한다. 이와는 달리, 치과 병원에서 구강 내 형태를 직접 스캐닝하는 인트라 오랄 스캐너를 이용하여 직접 치아 형상 등에 대한 데이터를 얻어 그 데이터를 치과 기공소로 보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치아에 대한 데이터 수집은 치과클리닉이 아닌 치과 기공소나 제3의 장소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치아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치과의사에게 보내고, 치과 의사는 그 이미지를 보고 치료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보철물 장착 후 치아 형상의 결정
치료 방법이 결정되면, 이에 근거해서 치아 형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철물 장착 후의 예상 치아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미지화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보철물 장착 후 치아 형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을 이미지화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들은 환자에게 전달한다. In one embodiment, the one or more images of prospective shapes of one or more teeth after installation of a dental prosthesis can be delivered to the patient using emails, text messages, mails, courier services, hand-delivery, video conferences, in-person meetings between the patient and a dental practitioner or an agent thereof, posting at an internet website, or any appropriate communication means existing or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환자는 전달된 이미지들을 확인하고 제시된 치과치료 후의 예상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한다. 선택된 형상이 보철물 장착 후의 최종 치아 형상이 된다.
절삭 후의 치아 형상 결정
치아의 보철물 장착 후 형상을 결정하기 전 또는 결정한 뒤, 각 치아마다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절삭 후의 치아 형상에 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절삭 후의 치아 형상을 컴퓨터 상에서 설계한다. (S300) 컴퓨터 모델링 과정에서, 절삭 대상 치아의 3차원 이미지를 여러 방향으로 기울여 보고 그 중 하나의 방향(orientation)을 선택한다. 이 방향은 절삭된 치아에 보철물 및 공구안내장치를 삽입/결합하는 진입의 방향 그 자체이거나 그 방향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다. 선택된 방향을 기준으로, 원하는 보철물의 기본적인 구성이나 그에 대응하는 치아 절삭의 조건이나 매개변수(parameter)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그에 따라 절삭 후의 치아 형상을 컴퓨터 상에서 설계하여 그 완성된 모습을 화면에 표시한다. 절삭 후의 치아 형상에 대한 3차원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컴퓨터 모니터 화면에서 절삭 후 치아 형상을 도 106-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절삭 후의 치아 형상에 따라 절삭 부위와 절삭량이 결정된다.
보철물 진입 방향 결정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철물 진입의 방향은, 치과 의사가 결정한 구성을 갖는 보철물을 그 치아에 고정하는데 충분하면서도 비교적 적은 양의 절삭으로도 가능하게 하는 방향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 모델링에 사용되는 캐드/캠 컴퓨터 프로그램은, 환자 치아의 3차원 이미지를 여러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으며, 입력되거나 이미 선택된 매개변수에 따라서 기울여지는 각 방향 마다 치아의 절삭되는 부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개변수에는 그 방향과 절삭면 사이의 각도(도 92B, 92C에서 각도 α참조), 절삭마진라인의 위치(예를 들면, 잇몸과 치아의 경계선) 등이 들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치아의 3차원 이미지를 어떤 방향으로 기울이면, 그 방향과 각도 α(0°를 포함) 만큼 차이를 가지는 직선이 잇몸과 치아의 경계선을 만나게 되면 그 직선에 의해 치아의 측벽이 얼마나 삭제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를 잇몸과 치아의 경계선 상에 있는 모든 점에 대하여 반복하면, 그 기울여진 방향을 선택할 때 절삭되는 양(3차원으로는 절삭 체적 또는 2차원으로는 절삭 깊이)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3차원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해 가면서 치아의 절삭되는 양을 고려하면, 어느 방향을 선택하였을 때 얼마만큼이나 치아가 삭제될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비교적 적은 양을 절삭하면서도 원하는 구성을 갖는 보철물을 가능하게 하는 기울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보철물의 설계
보철물 장착 후 예상 치아 형상이 결정되면, 이를 기초로 보철물을 설계한다. (S700) 도 105의 흐름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철물 설계와 절삭 후 치아 형상의 결정을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절삭 후 치아 형상을 먼저 결정하고 보철물을 설계할 수도 있고, 보철물을 먼저 설계한 후 치아의 절삭 형상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보철물의 유지력 등을 고려하여 보철물의 형상를 약간씩 변형해 가면서, 그에 요구되는 치아 절삭 후 형상를 검토하는 등 보철물 형상와 절삭 후 치아 형상을 서로 피드백하면서 보철물 설계와 절삭 후 치아 형상를 동시에 결정할 수도 있다.
절삭 공구의 설계 및 안내장치의 설계
절삭 후 치아의 예상형상이 설계되면 이를 기초로 절삭공구를 설계한다. 절삭공구의 절삭헤드부의 직경 길이 등을 결정된다. 또한, 절삭헤드부의 말단에서부터 안내돌기까지의 거리도 결정한다. (S400) 공구의 설계도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를 설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수의 절삭공구를 미리 제조 또는 설계해 놓고 그 중에서 절삭할 치아에 가장 적합한 절삭공구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절삭 후 형상이 설계되고 절삭공구가 결정되면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절삭공구가 이동하는 궤적을 결정한다. (S500)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궤적의 설계는 공구의 설계와 함께 이루어질 수 서로 설계 내용을 피드백하면서 설계할 수 있다. 궤적을 결정한 후 그 궤적의 공구안내로를 갖는 안내장치를 설계한다. (S600) 안내장치의 설계 시에는 지대치의 데이터, 인접치아의 데이터 및 잇몸 등의 데이터도 함께 이용하여 안내장치의 장착부를 설계한다. 또한, 절삭공구 출입구의 갯수와 형태, 냉각수 유통로의 갯수와 형태도 설계한다.
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절삭공구를 설계하고 안내장치를 설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절삭공구 설계 내용과 안내장치 설계 내용을 서로 피드백하면서 절삭공구와 안내장치를 동시에 설계할 수도 있다.
보철물, 안내 장치, 절삭공구 제조
보철물 설계에 따라 보철물을 제조한다. (S800) 안내장치의 설계에 따라 안내장치를 제조한다. (S620) 절삭공구의 설계에 따라 절삭공구를 제조한다. (S640).
보철물, 안내 장치, 절삭공구 송부
제조가 완료된 보철물, 안내장치, 절삭공구를 치료가 이루어질 장소로 보낸다. (S900) 일 실시예에서는 보철물, 안내장치, 절삭공구가 하나의 키트로 단일의 상자 또는 콘테이너 내에 포장되어 치료가 이루어질 장소를 보낸다. 보철물과 안내장치, 절삭공구의 적절한 위치에 위 3 종류의 물품이 동일한 환자를 위한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환자의 이름이나 환자의 식별 표시일 수 있다. 물품 자체에 표시하기 어려운 경우 그 포장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환자 한 사람에 대해 여러 개의 안내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안내장치와 절삭공구에 그 환자의 특정 치아에 해당하는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치아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안내장치 세트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 안내장치의 사용 순서를 안내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치아의 절삭 및 보철물의 장착
치료 받을 환자가 치과 진료실을 방문하면, 구강 내에 안내장치를 장착하고 절삭공구를 핸드피스에 장착하여 절삭을 수행한다. (S1000) 절삭이 완료되면 준비된 보철물을 바로 절삭한 치아에 바로 장착하여 치아에 결합한다. 치아를 결합할 때 시멘팅 접합을 한다.
캐드/캠(CAD/CAM) 시스템의 이용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절삭 안내장치는 컴퓨터에 의한 설계 제조를 하는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보철물도 이를 이용하여 제작하면 정확도를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제작 시간도 단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과 기공소는 절삭하고자 하는 치아나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아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치아 절삭 유도장치를 만들거나, 치아 본을 뜬 것을 데이터화 하여 안내장치를 만들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철물이 음식물을 저작하는 저작력 등 다양한 외력을 고려하여 구강 환경에 따라 어느 정도의 유지력이 필요한지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한 수치를 적용한 후, 최소의 절삭으로 이러한 유지력을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보철물의 삽입로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서 유지를 얻을 수 있는 절삭 형태와 절삭 양 절삭 부위 등이 결정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캐드 시스템 상에서 분석하여, 치아 절삭용 안내장치를 설계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치아 절삭을 수행한다. 보철물 또한 다양한 최소절삭용 치과 보철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구강 환경에 따라서 보철물이 탈락하지 않고 지대치에서 필요한 유지력이 어느 정도인지는 알려진 연구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보철물이 구강 내에서 어느 정도의 교합력과 인장력, 측방력, 회전력등 치아에 전해지는 다양한 형태의 힘들에 견뎌낼 수 있는 지를 분석한 종래의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치과의사가 자신의 치료 방법에 사용할 데이터를 축적할 수도 있다.
캐드/캠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지대치로 사용할 치아의 표면적을 계산하여 몇 퍼센트 정도의 절삭이 필요한지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최소의 절삭으로 최고의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부위를 알아낼 수 있으며, 이때 유지력이 충분한지를 검토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 상에서 유지력을 계산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여 알 수 있다. 한편, 심미적인 보철의 경우에도 절삭을 할 때 최적의 부위와 형태를 캐드/캠을 이용하여 정할 수 있다.
캐드/캠(CAD/CAM)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장치 설계의 예
도 127-172은 치아의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여 안내장치를 캐드/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 중 작업할 치아의 3차원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1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는 선택된 치아의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치아 이미지는 잇몸 이미지와 함께 모형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선택된 치아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도 1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내장치의 설계작업 아이콘인 "Prep Guide Wizard"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1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설계작업을 위한 메뉴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 창에서 사용자가 보철물삽입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메뉴 탭 "Align"을 클릭하면, 도 1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치아 이미지를 여러 각도로 돌려 볼 수 있게 하는 인터액티브한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방향 버튼을 이용한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치아를 보는 각도가 변화시키면, 컴퓨터 시스템은 그 보는 각도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인터액티브하게 디스플레이한다. 그렇게 보여지는 치아 이미지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그 때 나타난 이미지에 상응하는 보는 각도 즉,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이 보철물삽입방향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보철물삽입방향을 선택하면, 컴퓨터 시스템은 그 선택된 보철물삽입방향에 대하여 치아 면 중 언더컷이 되는 부분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하여 언더컷부분이 색깔 또는 명암 등으로 구분이 되도록 치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예가 도 133, 134, 135에 도시되어 있다. 보철물삽입방향의 선택에 따라 언더컷부분의 크기 그리고 서베이라인으로부터의 깊이 등도 다르게 된다. 절삭이 되어야 하는 부분은 언더컷이 있는 부분에서 교합면 사이인데, 언더컷부분의 위치, 언더컷의 깊이에 따라, 절삭면적이나 절삭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보철물삽입방향을 변화시켜 가면, 컴퓨터 시스템은 그에 상응하는 언더컷부분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절삭두께를 계산하고, 그 삽입방향과 계산된 결과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검토하고 난 후, 도 1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토한 것들 중에서 보철물삽입방향을 확정하면, 도 137, 1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보철물삽입방향이 확정된 상태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에 상응하는 치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다음에는, 도 1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작업의 메뉴 탭 "Pass"를 누르고, 도 1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를 결정한다. 절삭공구의 각 부분의 직경, 절삭헤드 끝단에서 안내돌기까지의 거리, 절삭헤드 테이퍼부의 경사각도 등이 이후 작업을 위한 변수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절삭공구의 말단이 지나갈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한다. 우선, 도 1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대구치의 협측면에 절삭마진라인의 시작점을 잡고, 도 1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측면 상에 다음 점을 정하여 시작점과 그 점 차이의 절삭마진라인을 절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 절삭마진라인은 시작점에서 마우스 포인트를 드래그하여 적절한 위치에 도달한 것을 보여줄 때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으로 다음 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컴퓨터 시스템은 시작점과 마우스를 클릭한 점의 좌표를 기억하고 그 두 점 사이를 연결하는 치아표면을 지나는 선의 데이터를 계산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계산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절삭마진라인을 화면에 도시한다. 이후, 도 1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측면의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하고, 계속해서 도 1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 인접면과, 협측면의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하고, 도 1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측면의 끝점을 결정하여 절삭마진라인의 결정을 완료한다. 도146은 제1 대구치의 확정된 절삭마진라인을 도시한다. 이후 화면을 바꾸어 제1 소구치에 대하여 도 1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공구를 결정하고, 도 148, 149, 150, 151, 152, 1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마진라인을 확정짓는다. 절삭마진라인의 결정작업이 마무리되면, 도 1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시스템은 치아 이미지가 보이지 않게 한 상태에서, 절삭마진라인과 치아모형 베이스의 테두리선을 디스플레이된다. 컴퓨터는 정해진 절삭마진라인을 기초로 공구의 데이터 및 치아 3차원 데이터를 처리하여 치아의 절삭부분과 절삭량, 절삭 두께를 계산해 낸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보철물삽입방향과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다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전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적으로 보철물삽입방향, 절삭마진라인을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그 결과를 보여줄 수도 있다. 사용자가 그 결과를 승인하면 이후의 안내장치 설계를 시작하며, 결과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 컴퓨터 시스템이 다른 보철물삽입방향 및/또는 절삭마진라인을 재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절삭마진라인을 정함으로써 절삭부위, 절삭두께 등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최대절삭두께를 지정하면 절삭부위가 결정되고, 절삭마진라인이 결정될 수 있게 컴퓨터 알고리즘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절삭부위를 결정하게 할 수도 있다. 치아의 협측면, 앞쪽인접면, 설측면, 뒤쪽인접면 중에 어느 면을 절삭하는지 사용자가 결정해주면 절삭두께, 절삭량, 절삭마진라인을 정하는 알고리즘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변수들 중 하나를 입력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여러 개 또는 모두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절삭마진라인이 결정된 후 도 1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장치의 몸체를 설계하기 위한 메뉴 탭 "Body"를 선택한다. 이후 도 156, 1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두 절삭마진라인과 평행인 선을 생성하고, 이를 따라서, 도 158-1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의 형상 데이터를 적용하여 공구가 지나갈 자리, 특히, 공구의 특정구조물 (목부 및 또는 안내돌기)이 지나는 자리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서, 공구를 안내하는 공구안내로의 설계가 완료된다. 이후, 도 162-1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3D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공구안내로를 형성하는 구조물과 치아에 장착되는 장착부의 구조물을 모델링하여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도 170-1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이를 솔리드모델로 표시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임시 크라운 보철물의 불필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치아 절삭 후 절삭한 자리에 임시치아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시간과 제작원가 절약을 실현할 수 있고, 시술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마취의 불필요
또한, 종래의 치과 치료에 따르면, 크라운 보철물 등을 위해 상당한 절삭을 하여야 하는 경우, 치아의 에나멜층을 모두 삭제하여 상아질층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당연시 되었다. 노출된 상아질층을 계속 절삭하게 되면 그 안쪽 펄프층에 있는 신경을 자극하게 되어 매우 날카로운 통증과 시린 느낌을 갖게 된다. 따라서, 크라운 보철물을 하기 위한 경우 등 상당한 절삭을 하는 상황에서는 마취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화된 최소 절삭을 수행하면서도 원하는 절삭형태를 정밀하게 절삭할 수 있다. 특히, 절삭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에나멜층 안에서만 절삭을 하는 최소절삭 기술은, 상아질층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절삭 전에 마취를 하지 않아도 환자가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는 상태에서 시술을 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시술 이후에도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Claims (51)

  1. 단일 몸체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 단일의 몸체를 이루도록 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몸체를 형성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포함하여 두 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설측 측벽은 제 1 설측 측벽과 제 2 설측 측벽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은 제 1 협측 측벽과 제 2 협측 측벽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은 제 1 교합면쪽 벽과 제 2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며;
    제 1 설측 측벽과 제1 협측 측벽은 서로 대향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1 치아가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제 2 설측 측벽과제 2 협측 측벽은 서로 대향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2 치아가 그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제 1 교합면쪽 벽은제 1 설측 측벽과 제 1 협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1 치아와 겹쳐지도록 구성되며;
    제 2 교합면쪽 벽은제 2 설측 측벽과 제 2 협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2 치아와 겹쳐지도록 구성되며;
    단일의 몸체는 제 1 교합면쪽 벽에 형성된 제 1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제 1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하고 삭제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단일의 몸체는 제 2 교합면쪽 벽에 형성된 제 2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제 2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하고 삭제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2. 제 1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는 그 사이에 다른 치아 또는 손실된 치아가 없이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안내 채널은 연결되어 단일의 연결된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안내 채널에 수용된 삭제 공구를 제 1 안내 채널에서 안내장치 밖으로 분리하지 않고도 제 2 안내 채널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3. 제 1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는 그 사이에 다른 치아 또는 손실된 치아가 없이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며,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안내 채널이 분리되고, 단일의 몸체의 일부분이 제 1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를 막고 있어 제 1 안내 채널에 수용된 삭제 공구를 제 1 안내 채널에서 안내장치 밖으로 분리하여야 제 2 안내 채널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 제 1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 사이에 치아가 상실되어 있으며,
    설측 측벽은 제 1 설측 측벽과 제 2 설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설측 측벽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은 제 1 협측 측벽과 제 2 협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협측 측벽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은 제 1 교합면쪽 벽과 제 2 교합면쪽 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3 설측 측벽, 제 3 협측 측벽, 제 3 교합면쪽 벽은 상실된 치아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5. 제 4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단일의 몸체는 제 3 교합면쪽 벽에 형성된 제 3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제 3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하고 삭제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안내 채널은 함께 제 3 안내 채널과 연결되고 단일의 연결된 채널을 형성하여 제 1 안내 채널에 수용된 삭제 공구를 제 1 안내 채널에서 안내장치 밖으로 분리하지 않고도 제 2 안내 채널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6. 제 4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단일의 몸체는 제 3 교합면쪽 벽에 안내 채널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안내 채널이 분리되고, 단일의 몸체의 일부분에 제 1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를 막고 있어 제 1 안내 채널에 수용된 삭제 공구를 제 1 안내 채널에서 안내장치 밖으로 분리하여야 제 2 안내 채널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7. 제 1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3 치아가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설측 측벽은 제 1 설측 측벽과 제 2 설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설측 측벽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은 제 1 협측 측벽과 제 2 협측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협측 측벽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은 제 1 교합면쪽 벽과 제 2 교합면쪽 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며;
    제 1 치아, 제 2 치아 및 제 3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제 3 설측 측벽, 제 3 협측 측벽, 제 3 교합면쪽 벽은 제 3 치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8. 제 7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단일의 몸체는 제 3 교합면쪽 벽에 형성된 제 3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제 3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하고 삭제 공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안내 채널과 제 2 안내 채널은 함께 제 3 안내 채널과 연결되고 단일의 연결된 채널을 형성하여 제 1 안내 채널에 수용된 삭제 공구를 제 1 안내 채널에서 안내장치 밖으로 분리하지 않고도 제 2 안내 체널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9. 제 1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안내 채널은 제 1 협측부, 제 1 설측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여 단일의 통합된 채널을 제공하며, 단일의 통합된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채널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제 1 협측부와 제 1 설측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협측부는 제 1 협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설측부는 제 1 설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0. 제 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내측 공간에 수용하였을 때, 삭제 공구가 제 1 협측부를 이동하는 동안 제 1 치아의 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협측부는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제 1 협측 측벽과 제 1 치아 사이의 내측 공간에 들어갈 수 있게 구성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내측 공간에 수용하였을 때, 삭제 공구가 제 1 설측부를 이동하는 동안 제 1 치아의 설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설측부는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제 1 설측 측벽과 제 1 치아 사이의 내측 공간에 들어갈 수 있게 구성되며;
    제 1 치아 및 제 2 치아를 내측 공간에 수용하였을 때, 삭제 공구가 제 1 연결부를 이동하는 동안 제 1 치아의 근심면(mesial surface) 또는 원심면(dist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연결부는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 공간에 들어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1. 제 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보았을 때, 제 1 협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은 제 1 설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2. 제 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보았을 때, 제 1 안내 채널은 제 1 협측부와 제 1 설측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닫힌 루프의 안내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3. 제 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안내 채널은 제 1 협측부 또는 제 1 설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보았을 때, 연장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은 제 1 연결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4. 제 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안내 채널은 제 1 협측부 또는 제 1 설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보았을 때, 연장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은 제 1 연결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을 이루며, 연장부는 제 1 협측부와 제 1 설측부 사이를 연결하지 않아 개방된 루프의 안내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15. 치과치료용 키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그리고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만들기 전에,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후 치아에 결합하기 위하여 치과 보철물이 접근해 가야 하는 삽입축을 결정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후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와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삭제안내장치를 만드는 단계와,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 및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삭제안내장치는 단일체로 만들어지며, 이 단일체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 공간과,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위하여 치아의 적어도 일부분을 삭제하기 위해 삭제 공구를 수용하고 안내하는 안내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의 방법으로서, 삽입축을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치아의 삼차원 이미지가 다수의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와;
    삼차원 이미지가 각각의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마다 언더컷(undercut)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언더컷 정보에 기초하여 삽입 축으로서 삼차원 이미지가 배향되는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5 항의 방법으로서,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되는 삭제 면적과 삭제 깊이에 기초하여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5 항의 방법으로서,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삭제 공구의 배향, 삭제 공구의 직경, 삭제 공구의 길이, 삭제 공구의 테이퍼 형상에 대한 정보,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삭제 공구의 위치, 하나 이상의 치아 외표면과 삭제 공구의 회전축 사이의 거리 및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삭제 공구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5 항의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는,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의 제 4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 4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의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5 항의 방법으로서, 삭제 공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치과 치료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치과 보철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를 대표하는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제 1 치과 보철물의 설치 후에 예상되는 하나 이상의 치아의 장래의 형상을 도시하는 제 1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환자가 제 1 이미지를 검토할 수 있도록 제 1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 후에 그리고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제 1 이미지에 기초한 제 1 치과 보철물을 만드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 후에, 제 1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삭제안내장치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삭제안내장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도록 맞춤형으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실질적 추가 삭제 공정이 필요 없이 제 1 치과 보철물이 맞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치아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를 수용하고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의 방법으로서,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하나 이상의 치아의 원하는 치아 삭제 후에 있을 장래 삭제된 형상을 표현하는 제 2 삼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1 항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이 이루어지기 전에, 그리고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 전에, 제 2 치과 보철물의 설치 후에 있을 하나 이상의 치아에 장래 형상을 표현하는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원하는 형태의 치아 삭제를 행하기 전에, 환자가 검토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승인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 1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과 제 2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 사이에는 길이, 폭, 표면 곡률, 감싸는 정도, 가려지는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1 항의 방법으로서,
    제 1 이미지를 제공한 후 그리고 환자의 승인을 얻기 전에, 제 1 이미지에 대한 수정요청을 받는 단계와;
    제 1 이미지에 대한 환자의 수정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에 표현되는 장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제 1 이미지로 표현되는 장래 형상을 수정한 제 1 이미지를 환자의 승인을 위하여 제공하는 단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단일 몸체의 치아 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의 몸체는 교합면쪽 벽에 형성되어 있고 삭제 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이동궤적을 따라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안내채널은 협측부와, 설측부와,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단일의 통합된 채널로서 안내채널을 형성하며, 단일의 통합 채널은 삭제 공구를 안내장치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안내 채널을 통하여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협측부는 협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설측부는 설측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36.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협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협측 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협측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설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설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설측 측벽과 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설측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연결부를 이동하면서 근심면 또는 원심면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도록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내측공간에 그리고 해당 치아와 인접치아 사이에 들어가게끔 연결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37.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협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은 설측부의 한 점에서의 접선과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38.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안내채널은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연결부는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여,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폐회로 형태의 안내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39.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안내채널은 협측부 또는 설측부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한 점에서의 연장부의 접선은 한 점에서의 연결부의 접선과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0.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안내채널은 협측부 또는 설측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한 점에서의 연장부의 접선은 한 점에서의 연결부의 접선과 평행이며, 연장부는 협측부와 설측부를 연결하지 않아 안내채널이 개방된 루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1.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과하게 하며, 삭제 공구가 내측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허용하며, 삭제 공구가 협측부를 이동할 때 협측면을 삭제하게 하며, 삭제 공구가 연결부를 이동할 때 근심면과 원심면 중 하나를 삭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2. 제 3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에 의해 정의된 내측 공간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더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3. 삭제
  44. 삭제
  45. 단일 몸체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의 몸체는 교합면쪽 벽에 형성되어 있고 제 1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제 1 이동궤적을 따라 제 1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1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1 안내 채널은 협측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단일의 몸체는 협측 측벽 또는 설측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제 2 이동궤적을 따라 제 2 삭제 공구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제 2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2 안내 채널은 교합면쪽 벽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6. 제 4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교합면쪽 벽은 치아의 교합면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협측 측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2 안내채널은 교합면쪽 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며;
    치아가 내측 공간에 수용될 때 협측 측벽은 치아의 협측면을 향하는 내면을 포함하며, 교합면쪽 벽을 향하여 바라 보았을 때 제 1 안내 채널은 협측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7. 제 45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제 1 안내 채널의 일부분은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삭제 공구가 내측 공간으로 연장되고, 삭제 공구가 그 일부분을 이동할 때 근심면과 원심면 중 하나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48. 삭제
  49. 단일 몸체의 치아삭제 안내장치로서, 설측 측벽과, 설측 측벽과 대향하는 협측 측벽과,설측 측벽과 협측 측벽을 연결하는 교합면쪽 벽을 포함하여 단일 몸체를 형성하며, 설측 측벽, 협측 측벽과 교합면쪽 벽은 내측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 공간은 협측면, 설측면, 근심면, 원심면과 교합면을 포함하는 치아를 협측면은 협측 측벽을 향하고, 설측면은 설측 측벽을 향하고, 교합면은 교합면쪽 벽을 향하도록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 몸체는 설측측벽 또는 협측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안내 채널을 포함하며,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를 이동궤적을 따라 안내하도록 삭제 공구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의 일부를 내측 공간 그리고 교합면쪽 벽과 치아 사이에 들여보낼 수 있게 구성되어 삭제 공구의 일부분이 안내 채널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교합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50. 제 49 항의 치아삭제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 채널은 삭제 공구의 출입을 허용하는 출입구를 포함하며, 출입구는 교합면쪽 벽을 통하도록 형성되어 삭제 공구가 교합면쪽 벽을 통하여 협측 측벽 또는 설측 측벽에 형성된 안내 채널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삭제 안내장치.
  51. 삭제
KR1020137015633A 2010-11-17 2011-11-16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KR101865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78 2010-11-17
KR20100114678 2010-11-17
US201161503572P 2011-06-30 2011-06-30
US201161503580P 2011-06-30 2011-06-30
US61/503,580 2011-06-30
US61/503,572 2011-06-30
KR1020110065074 2011-06-30
KR1020110065074A KR20120053455A (ko) 2010-11-17 2011-06-30 치아삭제 유도장치
KR1020110077930A KR20120053457A (ko) 2010-11-17 2011-08-04 치아삭제 유도장치
KR1020110077930 2011-08-04
PCT/IB2011/003356 WO2013005072A1 (ko) 2010-11-17 2011-11-16 치아 절삭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521A KR20140021521A (ko) 2014-02-20
KR101865321B1 true KR101865321B1 (ko) 2018-06-07

Family

ID=462696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074A KR20120053455A (ko) 2010-11-17 2011-06-30 치아삭제 유도장치
KR1020110077930A KR20120053457A (ko) 2010-11-17 2011-08-04 치아삭제 유도장치
KR1020137015633A KR101865321B1 (ko) 2010-11-17 2011-11-16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074A KR20120053455A (ko) 2010-11-17 2011-06-30 치아삭제 유도장치
KR1020110077930A KR20120053457A (ko) 2010-11-17 2011-08-04 치아삭제 유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RE49487E1 (ko)
JP (1) JP2014500767A (ko)
KR (3) KR20120053455A (ko)
CL (1) CL2013001394A1 (ko)
WO (1) WO201300507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80B1 (ko) * 2018-08-28 2020-02-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73281B1 (ko) * 2018-08-28 2020-03-02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장비
WO202004572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
KR20220114790A (ko) * 2021-02-09 2022-08-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대상체의 프랩 가이드 모델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220144568A (ko) * 2021-04-20 2022-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4812B1 (ko) 2023-03-13 2023-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치아 삭제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375A1 (en) 2009-02-02 2010-08-05 Remedent Nv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US8640338B2 (en) 2009-02-02 2014-02-04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preparation for restoring tooth structure
USRE48318E1 (en) 2010-11-17 2020-11-24 Digiprep Dental, Inc. Tooth prepar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ooth for dental prosthesis
KR20120053455A (ko) 2010-11-17 2012-05-25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HUE051046T2 (hu) * 2011-05-26 2021-01-28 Viax Dental Tech Llc Fogászati mûszer és vezetõeszközök
US9977840B2 (en) * 2012-08-29 2018-05-22 Prem Makeig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generating 3D models suitable for 3D printing
GB201216224D0 (en) * 2012-09-12 2012-10-24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improved virtual splint
US20140316750A1 (en) * 2013-02-21 2014-10-23 DigitalPrep Technologies, Inc. Dental restoration
KR20140127066A (ko) * 2013-04-24 2014-11-03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치아삭제 장치 및 치과용 보철물
US11284966B2 (en) * 2014-01-20 2022-03-29 Stemmed Implant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plants
WO2015137537A1 (ko) * 2014-03-14 2015-09-17 안경숙 버 유도부재를 가지는 핸드피스
JP2016202291A (ja) * 2015-04-16 2016-12-08 株式会社ニッシン 支台歯形成ゲージ
EP3090700A1 (en) * 2015-05-08 2016-11-09 Vrije Universiteit van Amsterdam Customized dental implant and associated tooling
DE102015212606B3 (de) * 2015-07-06 2016-10-13 Sirona Dental Systems Gmbh Herstellungsverfahren für Zahnersatzteil und Verblendstruktur
ES2677726T3 (es) 2016-01-29 2018-08-06 Amann Girrbach Ag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objeto dental
US11007035B2 (en) 2017-03-16 2021-05-18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preparing teeth for the placement of veneers
KR101823099B1 (ko) 2017-06-07 2018-01-29 박태석 티타늄 소재의 베이스와 세라믹 소재의 크라운으로 구성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WO2019020163A1 (de) * 2017-07-24 2019-01-31 Hangert Sven Werkzeug für ein dentales präparationsinstrument sowie führungsvorrichtung zum führen des werkzeugs und verfahren dazu
EP3639787A1 (fr) * 2018-10-15 2020-04-22 Dental Design Méthode de conception d'un élément prothétique et système d'assistance d'un opérateur dans une restauration dentaire
MX2021008086A (es) * 2019-01-04 2022-01-06 Viax Dental Tech Llc Sistema de preparacion de dientes con puntas laterales para limitar el movimiento tridimensional.
KR102291613B1 (ko) * 2019-08-29 2021-08-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d 스캐닝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인 맞춤형 가이드 기반 치아 치료 시스템
US10799319B1 (en) 2019-10-25 2020-10-13 King Saud University Tooth tapering control guide
JP6868255B2 (ja) * 2019-10-29 2021-05-12 株式会社ワイドソフトデザイン 支台歯形成支援装置
CA3187962A1 (en) * 2020-06-25 2021-12-30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preparing teeth for restoration
FR3125959B1 (fr) * 2021-08-06 2024-05-24 Valere Frederic Appareil dentaire amovib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660A (en) 1989-08-07 1992-07-28 Fenick Thomas J Device for locating the optimum position for a tooth implant
US20030064346A1 (en) 1999-10-06 2003-04-03 Ulrich Wennemann Device to treat the teeth adjacent to a gap for the placement of a dental bridge
US7097451B2 (en) 2003-11-14 2006-08-29 Brian Tang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 osteotomies and method thereof
WO2009000505A1 (de) * 2007-06-25 2008-12-31 Thomas Engelhardt Fixierungsplatte und verfahren zu ihrer verwendung
JP2009285358A (ja) 2008-05-30 2009-12-10 Wakayoshi Seisakusho Co Ltd 医療用切削具のガイド部材及びそれに挿着可能な医療用切削具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04A (en) * 1892-03-29 sweet
US4144645A (en) * 1975-11-28 1979-03-20 Premach Pty. Limited Method for preparation of dental crowns and bridges
US4255140A (en) 1979-06-06 1981-03-10 Johnson & Johnson Dental Product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impressions
US4306866A (en) 1979-08-27 1981-12-22 Ipco Corporation Adjustable dental drill guide
AU556862B2 (en) 1981-05-07 1986-11-20 Kenneth Henry Marshall Production of tubes for dental impressions
US4941826A (en) * 1988-06-09 1990-07-17 William Loran Apparatus for indirect dental machining
US5128870A (en) 1989-06-09 1992-07-0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utomated high-precision fabrication of objects of complex and unique geometry
DE4013828A1 (de) 1990-04-18 1992-01-09 Schreiber Hans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ahntechnischer werkstuecke oder dergleichen mittels kopierfraesens
DE4012327A1 (de) 1990-04-18 1991-10-24 Schreiber Han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ahntechnischer werkstuecke oder dergleichen mittels kopierfraesens
JP2797062B2 (ja) * 1994-07-01 1998-09-17 辰一 向江 歯科処理装置の案内装置
US5725376A (en) 1996-02-27 1998-03-10 Poirier; Michel Methods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drill guide and a dental implant superstructure
US5833693A (en) 1997-05-02 1998-11-10 Abrahami; Israel Drill guide
US7393211B2 (en) 2001-10-15 2008-07-01 Alfred Harper Ben Wilkinson Tooth preparation instrument and system of its use
US7004757B2 (en) 2001-10-15 2006-02-28 Alfred Harper Ben Wilkinson Tooth preparation instrument and system of its use
US6511323B1 (en) 2001-10-15 2003-01-28 Alfred Harper Ben Wilkinson Tooth preparation instrument and system of its use
US7322821B1 (en) 2006-09-13 2008-01-29 Hsieh-Hsing Lin Position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JP2008073440A (ja) 2006-09-25 2008-04-03 Imagunooshisu Kk インプラント植立ガイドの作製方法およびガイド用ブロック
US20090202959A1 (en) 2008-02-13 2009-08-13 The Texas A & M University System Dental Implant Guide
US8640338B2 (en) * 2009-02-02 2014-02-04 Viax Dent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preparation for restoring tooth structure
KR101834391B1 (ko) * 2009-02-02 2018-03-05 비악스 덴탈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치과 공구 제조 방법
US20100192375A1 (en) * 2009-02-02 2010-08-05 Remedent Nv Method for producing a dentist tool
US8899984B2 (en) 2009-05-20 2014-12-02 Daniel R. Llop CT-based, side-loading surgical and laboratory dental implant guide system and method
SI23494A (sl) 2010-09-30 2012-04-30 Vidra C.O.S.A.A. D.O.O. Sestavljiva šablona za brušenje zob
KR20120053455A (ko) 2010-11-17 2012-05-25 안경숙 치아삭제 유도장치
USRE46813E1 (en) 2010-11-17 2018-05-01 Winverts, Inc. Tooth prepar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ooth for dental prosthesis
US8954181B2 (en) 2010-12-07 2015-02-10 Sirona Dental Systems Gmbh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custom dental preparation guides
HUE051046T2 (hu) * 2011-05-26 2021-01-28 Viax Dental Tech Llc Fogászati mûszer és vezetõeszközök
US20140205968A1 (en) 2013-01-21 2014-07-24 DigitalPrep Technologies, Inc. Sleeve for Cutting Bur for Dental Cutting Guide
US20140316750A1 (en) 2013-02-21 2014-10-23 DigitalPrep Technologies, Inc. Dental restoration
US9468504B2 (en) * 2013-02-27 2016-10-18 B & D Dental Corporation Dental cutting system and method with remote cutting guide
IL227258B (en) 2013-06-27 2019-08-29 Samrano Sergio A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template from 3D digital information
US9168114B2 (en) 2013-10-17 2015-10-27 B & D Dental Corp. Method of making a dental prosthesi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660A (en) 1989-08-07 1992-07-28 Fenick Thomas J Device for locating the optimum position for a tooth implant
US20030064346A1 (en) 1999-10-06 2003-04-03 Ulrich Wennemann Device to treat the teeth adjacent to a gap for the placement of a dental bridge
US7097451B2 (en) 2003-11-14 2006-08-29 Brian Tang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 osteotomies and method thereof
WO2009000505A1 (de) * 2007-06-25 2008-12-31 Thomas Engelhardt Fixierungsplatte und verfahren zu ihrer verwendung
JP2009285358A (ja) 2008-05-30 2009-12-10 Wakayoshi Seisakusho Co Ltd 医療用切削具のガイド部材及びそれに挿着可能な医療用切削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280B1 (ko) * 2018-08-28 2020-02-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KR102073281B1 (ko) * 2018-08-28 2020-03-02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장비
WO202004572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디오 오토프렙을 위한 프렙가이드 및 구강고정장치
KR20220114790A (ko) * 2021-02-09 2022-08-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대상체의 프랩 가이드 모델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102502500B1 (ko) * 2021-02-09 2023-02-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대상체의 프랩 가이드 모델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220144568A (ko) * 2021-04-20 2022-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4577B1 (ko) * 2021-04-20 2023-06-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프랩 가이드 지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4812B1 (ko) 2023-03-13 2023-10-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치아 삭제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0827A1 (en) 2013-09-05
USRE49487E1 (en) 2023-04-11
KR20120053457A (ko) 2012-05-25
JP2014500767A (ja) 2014-01-16
WO2013005072A1 (ko) 2013-01-10
US8651860B2 (en) 2014-02-18
CL2013001394A1 (es) 2014-02-21
KR20120053455A (ko) 2012-05-25
KR20140021521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321B1 (ko) 치아 절삭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과 치료 방법
USRE46813E1 (en) Tooth prepar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ooth for dental prosthesis
JP7495382B2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歯科修復物設計
EP1991939B1 (en) Software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 planning
JP4963280B2 (ja) 漸増的に歯を移動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1185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US20210245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Dental Solutions Incorporating a Guidance Package
WO2021206750A1 (en) Dental aligners, procedures for aligning teeth, and automated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EP12784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 planning
USRE48318E1 (en) Tooth prepar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ooth for dental prosthesis
TW201332524A (zh) 牙齒修整導引裝置以及針對口腔贗復之修整牙齒之方法
EP3295894A1 (en) Improved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s
US20190083207A1 (en) Method for Capturing Patient Information to Produce Digital Models and Fabricate Custom Prosthetic
WO20231617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ation of oral care treatment tim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