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210B1 -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210B1
KR102080210B1 KR1020180017358A KR20180017358A KR102080210B1 KR 102080210 B1 KR102080210 B1 KR 102080210B1 KR 1020180017358 A KR1020180017358 A KR 1020180017358A KR 20180017358 A KR20180017358 A KR 20180017358A KR 102080210 B1 KR102080210 B1 KR 10208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bracket assembly
arch
orthodontic bracke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667A (ko
Inventor
김현모
Original Assignee
김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모 filed Critical 김현모
Priority to KR102018001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2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67A/ko
Priority to KR1020200018877A priority patent/KR102297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arch)가 형성되어, 상기 아치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 중 상기 타단측의 일부분에는, 상기 클립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ORTHODONTIC BRACKET ASSEMBL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설측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불균일한 배열 또는 치아의 부정교합은 치아의 및 하관 턱뼈의 발육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저작할 때 불편함을 일으키고, 나아가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 등 각종 치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나, 후천적으로 치아에 중장기간 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치아 교정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술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설측(舌側)(즉, 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시키는 설측 교정 방법과, 치아의 순측(脣側)(즉, 치아의 바깥쪽)에 부착시키는 순측 교정 방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미관상의 이유로 설측 교정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예를 들어, Bernhard Forester GmbH는 단순한 구조를 가진 설측 치열교정 2D® lingual 브라켓을 제공한다. 위 2D® lingual 브라켓은 단순한 구조 및 얇은 형상으로 인하여 피시술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2D® lingual 브라켓은 극도로 단순한 구조는 별론으로,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클립에 결착시키기 위한 시술 과정에서 치과의사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한다. 상기 교정 시술에서 치과의사는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클립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하고 클립과 베이스 사이를 벌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충분히 숙련되지 않은 치과의사의 경우 상기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즉, 환자)의 치은을 강하게 찌를 수 있고, 해당 피시술자로부터 강한 항의를 종종 받게 된다.
또한,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므로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가까이 부착되는 경우, 부착되는 치아와 탈락할 확률이 높아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그 사각 형상으로 인해 치아와 인접 치아 사이에서 부풀어오른 치은(치간유두)과 접촉 및 간섭하게 되어 해당 치아로부터 쉽게 탈락해버린다.
이에 따라,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은 종종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순측으로 향하여 볼록한 호(弧) 형상을 가지는 데,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결착된 와이어가 치아의 양측단과 닿게 되어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킨다(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 나아가, 치아는 치은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바,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한 물리적 저항 중심이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의 부착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치과 전문의로서, 직접 시술함에 있어서 겪은 불편함을 해결하고, 앞서 제기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박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치아(10)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110, 210, 310), 및 일단(Y')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Y)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120, 22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arch)(120a, 220a, 320a)가 형성되어,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 중 상기 타단측(Y측)의 일부분에는,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1, 221, 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120a, 220a, 320a)는 곡면 아치(120a, 320a) 또는 사각 아치(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orthodontic archwire)(20, 20r)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에 지정된 기구(50)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 중 상기 타단(Y)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121, 221, 3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슬릿(121, 221, 3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 221, 32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은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횡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는, 사다리꼴(410), 삼각형(도 6의 310), 오각형(510),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횡 방향 폭이, 상기 치아(10) 끝에서부터 치은(30)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치아(10)의 설측 표면 중 치은(30)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hole)(125, 127, 225, 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치아(1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도포된 후 상기 치아(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가 서로 부착되면, 상기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홀(125, 127, 225, 325)을 통해 상기 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 (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 중 상기 제1 홀(1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를 관통하는 제2 홀(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과 상기 치아(10)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도포된 후 상기 치아(10)와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가 서로 부착되면, 상기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제1 홀(125) 및 상기 제2 홀(125)을 통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200, 30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아치(120a, 220a, 320a)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130,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130, 230)의 돌출부(130b, 230b)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2 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 20r)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130, 230)와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 20r) 또는 상기 결속 부재(130, 23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에는 메쉬형 돌출부(130b, 230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 210, 310)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의 상기 일단(Y')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320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립 부재(120, 220, 320)는, 상기 일단(Y')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오버행(overhang)(320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100, 200, 300)은, 치아(10)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110, 210, 310), 및 일단(Y')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Y)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120, 22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120, 220, 320)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아치부(120a, 220a, 320a)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110, 210, 3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Y)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아치부(120a, 220a, 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121, 221, 3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각 구성과 함께 병기된 도면의 참조번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여진 것으로서,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이 상기 참조번호들이 지칭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박형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화시킴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접착제(예: 레진(resin))을 개재하여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는 치아(10)의 설측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아(10)의 순측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아(10)의 설측 표면 중 치은(30)(즉, 잇몸)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치아(10)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들은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합금, 형상 기억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된 인장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교정 와이어, 치아교정용 와이어, 또는 단순히 와이어로도 참조될 수 있다.
각 치아(10)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들에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결속한 후,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의 양단에 지정된 인장력을 가하거나, 적절한 외력을 가함으로써 시술자가 의도한 치열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치아(10)에 부착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구성 및 관련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또는 단순히 브라켓으로도 참조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베이스 부재(110) 및 클립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판상형 부재로서, 치아(예: 도 1의 10)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는,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있어서,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도 2에서 +x축, -x축 방향) 폭은 +y축 상의 치아 끝에서부터 -y축 상에 위치하는 치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베이스 부자(110)는 오각형 또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본 발명 고유의 베이스 부재(110)의 형상으로 말미암아,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치아와 부착되는 면인 제1 면과 그 반대 면인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120) 중 상기 제1 홀(1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125)를 관통하는 제2 홀(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125)와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125)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홀(125)와 제2 홀(125)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예: 레진)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접착제를 통해 치아에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클립 부재(120)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제1 홀 및 제2 홀(125)의 내벽, 및 상기 클립 부재(120)의 표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클립 부재(120)는 베이스(1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1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클립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10)의 -y축 상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예컨대,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y축 상의 상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한편, 클립 부재(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123)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부재에 대하여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의 상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z 방향)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각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아치(arch)(120a)라 함은 그 사전적 어의를 불문하고, 그 단면의 일부이 곡선으로 된 곡면 아치,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사각 아치, 또는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다각 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120a)의 내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치(120a)의 내부(즉, 아치(120a)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대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치(120a) 내부의 직경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의 직경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측(+y방향)의 일부분에는, 클립 부재(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121)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21)의 장변은 베이스 부재(110) 또는 클립 부재(12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은,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의 종단부(즉, 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1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측 모서리(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대응 또는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121)은,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recession)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닫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릿(121)의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클립 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혀 있을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시에 상기 슬릿(121)에 지정된 기구(5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즉, 열릴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되면,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의 내부, 즉,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개방된 공간에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를 위치시키고,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개방된 공간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횡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127)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를 통하여 서로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홀(127)을 통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홀(127)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상기 홀(127)의 내벽, 및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간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클립 부재(120)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열려 있는지 여부만 상이할 뿐이다.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클립 부재(120)는 아치부(120a) 및 평탄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일측 종단(Y측)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Y측) 모서리에 해당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아치부(120a)의 일측(Y측) 종단 모서리는 베이스 부재(110)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내부, 즉,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아치부(120a)의 단면은 반원 내지는 호(弧)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120a)의 단면은 사각형의 일부, 또는 다각형의 일부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아치부(120a)의 내부 공간, 즉, 상기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마주봄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는 상기 아치부(120a)로부터 연장되어, 클립 부재(120)의 일단(Y'측)에서 베이스 부재(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용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가 유출될 수 있는 홀(125)(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 및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와 베이스 부재(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홀(127)은 베이스 부재(110)의 타단측(Y측)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베이스 부재(210) 및 클립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210)는, 해당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2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를 관통하는 제1 홀 (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220) 중 상기 제1 홀(2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220)를 관통하는 제2 홀(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클립 부재(220)는 베이스(2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2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2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2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2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사각 와이어(orthodontic rectangular archwire)(20r)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사각 아치(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아치(220a)는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각 아치(220a)의 내부, 즉, 사각 아치(2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2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221)은 클립 부재(220)의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2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221)은,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는,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의 횡 방향 폭은,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도 6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310, 410, 510)가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치아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적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310)는 라운드된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310r)(베이스 부재(3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310r)의 반대 면인 제2 면(310f)(베이스 부재(3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410)는 라운드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4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410r)(베이스 부재(4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410r)의 반대 면인 제2 면(410f)(베이스 부재(4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510)는 라운드된 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5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510r)(베이스 부재(5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메쉬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510r)의 반대 면인 제2 면(510f)(베이스 부재(5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되는 한, 베이스 부재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 뒷면의 패턴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보고, 이에 대응하는 클립 부재의 형상 및 크기를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는 돌출부(130a) 및 고정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130)의 고정부(130b)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예컨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30a)는 클립 부재(예: 도 2의 120; 도 7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130)와 결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끼워질 경우,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a)의 곡률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속 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는 도 7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먼저, 결속 부재(130)와 베이스 부재(110)가 이루는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1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클립 부재(1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결속 부재(1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 및 고정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230)의 고정부(230b)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각 돌출부(230a)는 클립 부재(예: 도 5의 220; 도 9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사각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상기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230)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 홈의 내측 폭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단면의 일변 길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사각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는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먼저, 결속 부재(230)와 베이스 부재(210)가 이루는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2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클립 부재(2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결속 부재(2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서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를 뒤트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의 고유의 형상 및 클립 부재(220)의 고유한 형상으로 말미암아 상기 뒤트는 동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는, 베이스 부재(310) 및 클립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z축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z축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310)는, 해당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y축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310)를 관통하는 제1 홀 (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320) 중 상기 제1 홀(3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320)를 관통하는 제2 홀(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클립 부재(320)는 베이스(310)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3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3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320)의 타단(+y축 방향 종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3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32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3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321)은 클립 부재(320)의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3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321)은, 상기 아치(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가장자리(-y축 방향 종단)는,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320n). 상기 돌출된 부분은 오버행(overhang)(320n)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은 각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예: 30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결찰 체인(70)은 복수의 링(ring)이 사슬과 같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은 예컨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 예에 따라서는 파워 체인(power chain)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찰 체인(70) 중 하나의 '링'은 하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링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링의 또 다른 일부는 앞서 설명한 오버행(320n)이 형성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 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의 오버행(320n)은 베이스 부재(310)의 크기 범위로부터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혹은, 돌출부)과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b는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 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Y'측을 향하여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과 베이스 부재(310)의 평탄 부분이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에 결찰 체인(70)이 결찰됨에 따라, 복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은 결찰 체인(7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각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이 고정 부착된 치아들은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술자가 의도한 소정의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할 수 있다.
가령, 클립 부재(320)에 결찰 체인(70)을 위한 오버행(320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결찰 체인(70)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을 효과적으로 결속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320n)이 없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에 결속 체인(70)을 적용하면, 결속 체인(70)의 링 하단이 자재(自在)로 움직이게 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치아 이동 효과가 현저히 낮아짐은 물론, 피시술자의 혀를 자극하는 등 피시술자의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아울러,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Y'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Y'측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10)와 클립 부재(320)는 서로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도 12a에 도시된 오버행(320n)과 유사하게 동시에 굽어져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베이스 부재(310)의 돌출부와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력하게 해 줌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 및/또는 클립 부재의 절곡 돌출부(예: 오버행(320n))는 결찰 체인의 이용을 가능케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부재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가 형성되어, 상기 아치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되며,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 중 상기 타단측의 일부분에는, 상기 클립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은,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 중 상기 타단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히며,
    지정된 기구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가 분리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는 곡면 아치 또는 사각 아치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orthodontic archwire)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 지정된 기구가 삽입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은 상기 클립 부재의 횡 방향과 나란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지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 폭이, 상기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hole)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 부재 중 상기 제1 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클립 부재를 관통하는 제2 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루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와 결속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 또는 상기 결속 부재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이 형성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에는 메쉬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일단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일단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오버행(overhang)을 더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20.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립과의 접촉에 의하여 닫히어 슬릿의 형상을 형성하고,
    지정된 기구가 상기 요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의 회전에 의한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립이 분리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0180017358A 2018-02-13 2018-02-13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08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58A KR102080210B1 (ko) 2018-02-13 2018-02-13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0200018877A KR102297927B1 (ko) 2018-02-13 2020-02-17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358A KR102080210B1 (ko) 2018-02-13 2018-02-13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77A Division KR102297927B1 (ko) 2018-02-13 2020-02-17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67A KR20190097667A (ko) 2019-08-21
KR102080210B1 true KR102080210B1 (ko) 2020-04-08

Family

ID=6780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358A KR102080210B1 (ko) 2018-02-13 2018-02-13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2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98B1 (ko) *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872B2 (en) * 2004-09-02 2006-11-14 Norbert Abels Colored orthodontic brackets
KR101433302B1 (ko) * 2012-07-11 2014-08-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교정용 브라켓 어셈블리
KR20140144044A (ko) * 2013-06-10 2014-12-18 김기수 클립 및 후크 기능을 함께 갖는 치아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98B1 (ko) *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67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707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および該ブラケットの設置装置
US6354834B2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US20230200948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5432356B2 (ja) 回転式歯牙結紮カバーを備えている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4903502B2 (ja) 改良型矯正用ブラケット
US8235714B2 (en) Convertible buccal tube orthodontic bracket
JP7167064B2 (ja) 様々なサイズのアーチワイヤスロットを有する歯列矯正システム
US20090061376A1 (en) Self-Locking Orthodontic Bracket
JP2005185705A (ja) 歯科矯正用支持体
WO2005096984A2 (en) Self-ligating lingual orthodontic bracket
KR20230051157A (ko) 논슬라이딩 아치 구조를 구비한 교정 장치
JP2018532507A (ja) 歯科矯正用セルフライゲーティングブラケット
JP6934880B2 (ja) 自己結紮ブラケット
JP7326300B2 (ja) 高い唇側引張強度を有するセラミック自己結紮式ブラケット
US20220110720A1 (en)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EP0868153A1 (en) Orthodontic appliance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KR10229792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171983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JP2019506975A (ja) 歯列矯正ブラケット
JP6726808B2 (ja) コプラナー・スプリングを備えた自己結紮歯列矯正ブラケット
KR200492653Y1 (ko)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EP3510966B1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