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53Y1 -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 Google Patents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53Y1
KR200492653Y1 KR2020190001065U KR20190001065U KR200492653Y1 KR 200492653 Y1 KR200492653 Y1 KR 200492653Y1 KR 2020190001065 U KR2020190001065 U KR 2020190001065U KR 20190001065 U KR20190001065 U KR 20190001065U KR 200492653 Y1 KR200492653 Y1 KR 200492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ssembly
orthodontic bracket
extension
body portion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85U (ko
Inventor
김현모
Original Assignee
김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모 filed Critical 김현모
Priority to KR2020190001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5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3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bonding or removing orthodon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말단 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OPENER FOR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불균일한 배열 또는 부정교합은 치아 및 하관 턱뼈의 발육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저작할 때 불편함을 일으키고, 나아가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 등 각종 치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나, 후천적으로 치아에 중장기간 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치아 교정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일반적인 치열 교정술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 및 치열교정 아치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시술자는 복수의 치아들 각각에 부착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들에 치열교정 아치와이어를 결속한 후, 치열교정 아치와이어의 양단에 지정된 인장력을 가하거나, 적절한 외력을 가함으로써 의도한 치열을 구성할 수 있다.
(특허공개공보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4992호(2001.08.21), 치아 교정용 기구
전치(앞니)는 모든 치아 중 가장 앞쪽에 위치한다. 시술자는 다른 치아에 비하여 전치의 순측면을 상대적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나, 앞니에 부착된 설측 브라켓에 있어서 베이스와 클립을 분리하려는 경우 숙달되지 않은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치은(잇몸)을 다치게 하기 쉬웠다.
또한, 구치(어금니)는 모든 치아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시술자는 다른 치아에 비하여 구치를 상대적으로 쉽게 관찰할 수 없으며, 구강 내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시술하기 어렵다. 예컨대, 시술자가 구치의 설측면에 부착된 브라켓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이격시키는 것은 숙달된 시술자에게도 어려울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시술자 역시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불편함을 많이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치과 교정과 전문의로서, 직접 시술함에 있어서 겪은 불편함을 해결하고, 앞서 제기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말단 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각도는 90 내지 140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 보다 가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연장부가 연장되는 측의 상기 몸체부의 말단 부분에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은 편평하고, 타측면은 굴곡진 반원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슬릿에 상기 제1 연장부를 삽입하여,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클립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슬릿에 상기 제2 연장부를 삽입하여,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클립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가 제공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면, 치아에 부착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구현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의 제 1 연장부와 몸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의 제 2 연장부와 몸체부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의 제 1 연장부와 몸체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는 베이스부재(베이스) 및 클립부재(클립)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의 제1 면은 치아에 부착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의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은 클립부재와 부착될 수 있다. 클립부재의 일단은 베이스부재의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클립부재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베이스부재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재의 타단에는 제2 면의 상방향으로 굽어있는(볼록한) 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치의 내부는 베이스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되면, 클럽 부재의 굽어있는 아치와 베이스부재가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개방된 공간에 치열교정 아치와이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굽어있는 아치에 치열교정 아치와이어를 통과시켜 복수의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들 각각을 결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술자가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들을 치열교정 아치와이어를 활용하여 결속하려면, 선행적으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 시술자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를 활용하여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의 몸체부(120) 및 제1 연장부(13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의 몸체부(120) 및 제2 연장부(14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는 예시로서, 크기와 길이 등에 있어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점은 본 발명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는, 시술자가 시술 작업을 할 때에 손으로 직접 감싸쥐는 몸체부(120)와, 몸체부(12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몸체부(120)에서 연장된 제 1 연장부(130) 및 몸체부(120)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몸체부(120)에서 연장된 제2 연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는 몸체부(120), 제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를 각각 따로 제작하여 용접 등에 의해 연결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20), 제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가 일체로 제작된다.
몸체부(12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시술 시 손으로 직접 잡게 되는 부분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고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120)는 원통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시술자의 손에서 몸체부(1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 홈(125)은 몸체부(120)의 외주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미끄럼 방지 홈(125)이 격자무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자의 손과의 미끄러움을 줄일 수 있는 모든 무늬를 포함하거나, 별도로 구성된 부재(예: 엘라스토머 부재)로 대체되거나 혹은 동 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는 시술자가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 및 클립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는 시술자가 구치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 및 클립부재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는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 혹은 타원통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연장부(130)는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연장부(130) 상에 도시된 A점을 몸체부(120)의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제1 직선과 제1 연장부(130) 말단에 도시된 B점과 상기 A점을 통과하는 제2 직선이 이루는 각, 즉, 제1 직선과 제2 직선의 끼인각은 90° 내지 140°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할 때, 제1 연장부(140)의 말단은 폭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의 폭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장부(130)는 몸체부(120)의 일단에서부터 몸체부(120)보다 가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30)의 두께는 말단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30)의 최말단은 타원형 모양 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타원형 모양 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공정에 따라서 꼭지점의 라운드 처리가 부가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2 연장부(140)는 몸체부(120)의 타단에서부터 몸체부(120)보다 가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40)의 두께는 말단으로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40)의 최말단은 타원형 모양 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타원형 모양 혹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공정에 따라서 꼭지점의 라운드 처리가 부가될 수도 있다.
시술자는 제1 연장부(130) 및 제2 연장부(140)를 활용하여 치아에 부착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특히, 도 5a에서는 제1 연장부(130)를 활용하여 시술하는 상태가 도시되며, 도 5b에서는 제2 연장부(140)를 활용하여 시술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500a 및 500b)는 베이스부재(510a 및 510b) 및 클립부재(520a 및 520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510a 및 510b)는 치아와 부착되는 면(후면)과 클립부재(520a 및 520b)와 부착되는 면(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재(520a 및 520b)의 일단은 베이스부재(510a 및 510b)와 부착되며, 클립부재(520a 및 520b)의 타단은 베이스부재(510a 및 510b)와 대향하여,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ar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치라 함은 그 사전적 어의를 불문하고, 그 단면의 일부가 곡선으로 된 곡선 아치,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사각 아치, 혹은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다각 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아치 내부에는 아치와이어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 중 일부분에는, 클립부재(520a 및 520b)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530a 및 530b)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530a 및 530b)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직사각형 또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슬릿(530a 및 530b)은, 클립부재(520a 및 520b)의 아치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530a 및 530b)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530a 및 530b)은 아치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recession) 또는 홈(groove)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재(510a)와 클립부재(520a)가 닫혀 있을 경우, 시술자는 몸체부(120)를 잡고, 제1 연장부(130)를 슬릿(530a)에 삽입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30)가 슬릿(530a)에 삽입된 후, 시술자가 제1 연장부(130)가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회전시키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베이스부재(510a)와 클립부재(520a)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시술자는 제1 연장부(130)를 활용하여 장애물이 많은 구치에 부착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500a)의 베이스부재(510a)와 클립부재(520a)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재(510b)와 클립부재(520b)가 닫혀 있을 경우, 동일한 원리로, 시술자는 몸체부(120)를 잡고, 제2 연장부(140)를 슬릿(530b)에 삽입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40)가 슬릿(530b)에 삽입된 후, 시술자가 제2 연장부(140)가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회전시키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베이스부재(510b)와 클립부재(520b)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시술자는 제2 연장부(130)를 활용하여 장애물이 적은 전치에 부착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500b)의 베이스부재(510b)와 클립부재(520b)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활용하여 구강 내 치아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시술자의 시술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가 시술 도중에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120) 및 제2 연장부(14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연장부(140)가 연장되는 측의 몸체부(120)의 말단 부분에 돌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600)의 일측면은 편평하고, 몸체부(120)에 부착될 수 있다. 돌기부(600)의 타측면은 굴곡진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돌기부(600)가 반원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00)는 제2 연장부(140) 측 몸체부(120)의 말단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 혹은 융기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돌기부(600)가 몸체부(120)의 일면에만 구축되어 있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돌기부(600)가 몸체부(120)의 타면에도 구축될 수 있다. 즉, 몸체부(120) 양면에 돌기부(600)가 구축될 수 있다.
돌기부(600)는 피시술자의 치아나 치은과 충격하더라도 피시술자에게 통증이 덜한 소재, 예컨대,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소재로 구성되거나, 혹은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특히, 도 7에서는 도 6에서 설명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활용하여 시술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시술자는 돌기부(600)를 포함하는 몸체부(120)의 일면측을 구강 안쪽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몸체부(120)를 손으로 감싸쥐고 시술을 할 수 있다.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가 분리되는 과정은 도 5b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술자의 실수로 인하여 제2 연장부(120)를 슬릿에 삽입하지 못한 경우, 제2 연장부(120)가 피시술자의 치아 또는 치은을 찌르게 전에 돌기부(600)가 치아에 걸칠 수 있다. 시술자는 돌기부(600)를 포함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100)를 활용하여 시술함으로써, 시술자의 실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환자의 치아 손상 혹은 치은(잇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지정된 각도로 구부러져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말단 보다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정된 각도는 90 내지 140도이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 보다 가늘게 연장된 것이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말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연장되는 측의 상기 몸체부의 말단 부분에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은 편평하고, 타측면은 굴곡진 반원 형태이며,
    상기 돌기부는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슬릿에 상기 제1 연장부를 삽입하여,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키며,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클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고,
    상기 클립 부재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한 아치가 형성되어, 상기 아치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되며,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 중 상기 타단측의 일부분에는, 상기 클립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9.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클립부재가 분리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슬릿에 상기 제2 연장부를 삽입하여,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부재와 클립부재를 분리시키며,
    상기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는 베이스와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며,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부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아치부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가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11. 청구항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클립부재가 분리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KR2020190001065U 2019-03-15 2019-03-15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KR200492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65U KR200492653Y1 (ko) 2019-03-15 2019-03-15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65U KR200492653Y1 (ko) 2019-03-15 2019-03-15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85U KR20200002085U (ko) 2020-09-23
KR200492653Y1 true KR200492653Y1 (ko) 2020-11-17

Family

ID=7266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65U KR200492653Y1 (ko) 2019-03-15 2019-03-15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5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92Y1 (ko) 2001-05-25 2001-10-15 박동근 치아 교정용 기구
US20060269895A1 (en) * 1994-03-07 2006-11-30 Voudouris John C Orthodontic bracket
US20090075227A1 (en) * 2002-12-09 2009-03-19 Tomy Incorporated Orthodontic bracket and clip release tool
KR101409398B1 (ko)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1881863B1 (ko) * 2017-10-28 2018-07-25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과 시술용 자가결찰 브라켓의 스위칭 툴
WO2019130157A1 (en) 2017-12-27 2019-07-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ol for opening self-ligating bracke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9895A1 (en) * 1994-03-07 2006-11-30 Voudouris John C Orthodontic bracket
KR200244992Y1 (ko) 2001-05-25 2001-10-15 박동근 치아 교정용 기구
US20090075227A1 (en) * 2002-12-09 2009-03-19 Tomy Incorporated Orthodontic bracket and clip release tool
KR101409398B1 (ko)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1881863B1 (ko) * 2017-10-28 2018-07-25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과 시술용 자가결찰 브라켓의 스위칭 툴
WO2019130157A1 (en) 2017-12-27 2019-07-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ol for opening self-ligating brac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85U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4777T3 (es) Aparato de ortodoncia con arco de alambre encajado a presión, antideslizante
US8807997B2 (en) Reduced-friction buccal tube and method of use
JP6257620B2 (ja) 自己結紮式歯科矯正用ブラケット
ES2288826T3 (es) Bracket ortodontico y sus herramientas.
US10058401B2 (en) Orthodontic devic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20130071803A1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lot base
US20080227049A1 (en) Lingual Retainer
EP2065010B1 (en) Orthodontic appliance
TWI697323B (zh) 牙齒矯正裝置
WO2011118455A1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構成体とその移動方法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KR200492653Y1 (ko) 치열교정 브라켓 조립체용 오프너
WO2006098557A1 (en) Dentition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using the same
US20220110720A1 (en)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102171983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US20200289310A1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29792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CN220938191U (zh) 牙齿矫治器及其矫治套件
KR101899723B1 (ko) 다기능 교정용 와이어 밴딩 플라이어
US4425093A (en) Spring element for orthodontic plates
WO2008037250A1 (en) Preformed dentistry matrix band
WO2021249044A1 (zh) 辅助矫治装置、壳状牙齿矫治器及矫治套组
Chugh et al. Self-ligating brackets: a comprehensiv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