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74B1 - 설측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측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74B1
KR101723674B1 KR1020160167524A KR20160167524A KR101723674B1 KR 101723674 B1 KR101723674 B1 KR 101723674B1 KR 1020160167524 A KR1020160167524 A KR 1020160167524A KR 20160167524 A KR20160167524 A KR 20160167524A KR 101723674 B1 KR101723674 B1 KR 10172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ire
traction
lingual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미
Original Assignee
정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미 filed Critical 정유미
Priority to KR102016016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측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악 전치부에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선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1와이어, 일단이 제1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구개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제1훅, 일단이 경구개에 식립되며, 경구개 상부로 노출되는 타단은 골나사 형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1고정원, 제1고정원에 의해 경구개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리형상을 포함하는 견인장치, 상악 전치부에서 견치의 설측면에 부착되는 와이어 고정부,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악 구치부의 설측면에 부착되며, 상악 구치부의 잇몸을 견인하는 훅이 연결된 슬롯,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제2와이어, 제1훅의 고리형상과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고무줄 및 슬롯에 연결된 훅과 상기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기 슬롯에 연결된 구치부에 치근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고무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설측 교정 시스템 {Lingual orthodontic system}
본 발명은 설측 전용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잇몸 노출증과 돌출입을 동시에 개선하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0. 11. 04 일자 공개된 등록공보 제10-0991447호에 따르면, 교정이 필요한 치아의 설측면에서 교정 치료를 하는 돌출입 교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교정치료는 교합을 개선하고, 나아가 심미성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순측 교정 장치는 그 과정이 매우 비심미적이어서 환자로 하여금 교정 치료를 꺼리게 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설측 교정 장치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설측 교정 장치는 치아 설측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해당 브라켓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형태를 지닌다.
이와 같은 설측 교정 장치는 치아 교정 중에도 심미적인 요소를 중요시 하는 환자들에게 많이 선호되고 있으나, 치아 설측 면에 부착된 브라켓에 때문에 환자의 발음이 부정확해 진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또한, 설측 교정 장치를 통해 돌출입을 교정하는 경우 설측 방향으로의 견인력이 정확하게 치아의 중심점에 전달되지 않으면 치아가 회전하여 옥니가 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옥니가 발생하는 것에 의하여 잇몸이 과다하게 노출되는 과잇몸 노출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돌출입과 과잇몸 노출증을 함께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기존의 교정 방법들로는 두가지 증상을 모두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없었으며, 개선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 돌출에서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할 뿐만 아니라, 치아의 치근방향으로 정밀하게 견인력을 부과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돌출입 교정과 함께 과잇몸 노출증을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치아 설측면에 부착되는 부착물의 개수를 최소화 하여 환자의 발음을 개선하면서도, 돌출입 교정과 과잇몸 노출증을 단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치료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설측 교정 장치는 돌출형 상악 전치부에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선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제1와이어, 일단이 상기 제1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구개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제1훅, 일단이 경구개에 식립되며, 경구개 상부로 노출되는 타단은 골나사 형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1고정원, 제1고정원에 의해 경구개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리형상을 포함하는 견인장치, 상악 전치부에서 견치의 설측면에 부착되는 와이어 고정부,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악 구치부의 설측면에 부착되며, 상악 구치부의 잇몸을 견인하는 훅이 연결된 슬롯, 일단이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롯을 관통하는 제2와이어, 제1훅의 고리형상과 상기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고무줄 및 슬롯에 연결된 훅과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슬롯에 연결된 구치부에 치근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고무줄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인 제2훅, 제2훅에 후방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경구개에 식립되는 제2고정원 및 제2훅과 제2고정원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에 설측 방향의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고무줄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제1훅은 제1와이어와 상악 전치부의 견치 중심부에서 연결된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순측면과 설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견인장치는 제1고정원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는 중심부, 일단이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을 포함하는 제1견인훅, 제1견인훅과 180도를 이루는 제2견인훅, 제1견인훅과 수직을 이루는 제3견인훅 및 제2견인훅과 수직을 이루고, 제3견인훅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는 제4견인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측 교정 과정을 통해 순측 교정 장치가 주지 못하는 심미성을 보완하면서도, 환자의 발음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돌출입을 교정하면서 설측 교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옥니와 잇몸 과다 노출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치부와 구치부를 함께 압하함으로써 잇몸의 과다 노출증을 치료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개방 교합 또는 과개 교합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이 구강 내부의 상악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이 구강 내부의 상악에 설치된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견인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 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 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돌출입 설측 교정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돌출입 설측 교정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이라 한다.)은 제1와이어(100), 제1훅(110), 제1고정원(200), 견인장치(210), 와이어 고정부(120), 슬롯(150), 제2와이어(130), 제1탄성고무줄 및 제2탄성고무줄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1와이어(100)는 상악 전치부에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선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악 전치부 치아들의 모양에 따라 굴곡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와이어(100)는 상악 전치부의 설측면 중앙부근이 아니라, 설측면에서 잇몸의 경계부근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발음 시에 제1와이어(100)와 혀가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존의 설측 교정 장치보다 발음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제 1와이어가 혀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는 잇몸 경계선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제 1와이어는 전치부에 효과적으로 견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와이어(100)는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까지 부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와이어(100)는 치과용 접착제 등에 의해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1훅(110)은 일단이 제1와이어(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구개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훅(110)은 제1와이어(100)에서 구강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며, 연결부위에서 제1와이어(100)와 수직을 이룬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훅(110)은 제1와이어(100)에 연결된 상악 전치부와 잇몸을 견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훅(110)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구개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제1훅(110)의 일단이 전치부의 치근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즉, 후술하겠지만, 제1훅(110)이 견인력을 제공받으면 제1훅(110)은 제1와이어(100)가 부착된 전치부 및 잇몸에 치근방향의 견인력을 제공하게 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1고정원(200)은 일단이 경구개에 식립되며, 경구개 상부로 노출되는 타단은 골나사 형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고정원(200)은 상악의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각 치아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다. 예를 들어, 제1고정원(200)은 잇몸에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치부와 후치부에 연결 가능한 고리들을 경구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견인장치(210)는 제1고정원(200)에 의해 경구개면에 고정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리형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견인장치(210)는 제1고정원(200)의 일단이 경구개에 식립되면서 제1고정원(200)에 의해 경구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들 들어, 견인장치(210)는 경구개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제1고정원(200)이 경구개면에 식립되면서 견인장치(210)를 고정하면 견인장치(210)는 경구개면에 완전히 접촉하게 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120)는 상악 전치부에서 견치의 설측면에 부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120)는 와이어가 끼워지거나 관통할 수 있는 브라켓 또는 튜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 또는 튜브는 치과용 접착체 등에 의해 견치의 설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와이어 고정부(120)는 와이어에 후방 견인력을 제공할 때에, 해당 견인력이 전치부에도 제공되도록 전치부의 견치에 와이어를 고정한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부(120,220)는 상악 전치부의 견치 및 측절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와이어 고정부가 전치부의 견치에만 부착될지, 견치 및 측절치 모두 부착될지는 구강구조나 교정의 진행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슬롯(150)은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악 구치부의 설측면에 부착되며, 상악 구치부의 잇몸을 견인하는 훅이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슬롯(150)은 전술한 와이어 고정부(120)에 고정될 와이어가 관통할 크기의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나아가, 슬롯(150)의 길이는 상악 구치부 중 복수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슬롯(150)은 상악 구치부들의 배열 방향을 따라 즉, 구강 내측 방향으로 부착된다. 후술하겠지만, 슬롯(150)은 전치부에 후방 견인력이 제공될 때에 슬롯(150)을 관통하는 와이어의 후방 움직임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슬롯(150)에는 상악 구치부의 잇몸에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훅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해당 훅은 구강 내측 방향으로 부착된 슬롯(150)과 수직으로 연결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해당 훅은 일단이 슬롯(150)과 연결되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의 방향이 구치부의 치근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해당 훅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경구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경구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2와이어(130)는 일단이 와이어 고정부(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롯(150)을 관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와이어(130)는 견치에 부착된 브라켓 또는 튜브에 의해 견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견치 뿐만 아니라 측절치에 부착된 브라켓 또는 튜브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견치와 측절치 모두에 브라켓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일단이 브라켓 또는 튜브에 의해 고정된 제2와이어(130)는, 그 타단이 구치부에 부착된 슬롯(150)을 관통하도록 전치부로부터 구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와이어(130)는 전치부에 후방 견인력이 제공될 때에 슬롯(150)을 관통함으로써 슬롯(150)이 가이드 하는 방향으로 전치부의 후방 견인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와이어(130)는 슬롯(150)을 관통하면서 슬롯(150)과의 마찰력으로 인한 저항힘을 통해 전치부의 후방견인에 반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전치부에 치근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제공되는 견인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치부의 후방견인 시에 발생하는 옥니를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와이어(130)는 분절된 전치부와 구치부를 연결함으로써, 치아 교정 시 전치부와 구치부의 부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에 치근방향으로의 견인력, 저항 중심으로의 견인력이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1탄성고무줄은 제1훅(110)의 고리형상과 견인장치(210)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탄성고무줄은 치과용 파워체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훅(110)의 일단이 잇몸 경계에 부착된 제1와이어(100)에 연결되고,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경구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제1훅(110)에 견인력이 제공될 때에 대부분의 견인력이 치근방향으로 제공된다. 나아가, 견인장치(210)에 의해 제1탄성고무줄이 제1훅(110)을 견인하는 위치 및/또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제1훅(110)에 제공되는 견인력의 방향이 치근방향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치아에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이 제공되면, 치아의 압하이동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전치부가 정출되어 잇몸이 과도하게 드러나는 과잇몸 노출증의 경우, 치아의 압하이동이 발생하면 잇몸도 함께 압하되어 과잇몸 노출증을 수술없이 개선하게 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2탄성고무줄은 슬롯(150)에 연결된 훅과 견인장치(210)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슬롯(150)에 연결된 구치부에 치근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탄성고무줄은 제1탄성고무줄과 마찬가지로 치과용 파워체인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슬롯(150)에 연결된 훅의 일단이 슬롯(15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훅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경구개를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해당 훅에 견인력이 제공되는 경우 대부분의 견인력이 구치부의 치근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구치부에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이 제공되면, 구치의 압하이동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치아 교정 시에는 치아들을 굴곡없이 곧은 형상의 와이어를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치아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출 필요가 있다. 즉, 치아들 간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스피만곡을 직선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턱의 절치절연, 견치첨두, 소대구치협측교두정을 연결하여 협측에서 보면 중심을 위로 같는 원호를 이루는데, 하악치에 있어서 이와 같은 가상만곡선을 제창자의 이름을 따서 스피만곡이라 한다. 따라서, 슬롯(150)에 연결된 훅에 견인력을 제공함으로써, 구치를 압하이동시켜 스피만곡을 직선으로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악 치아의 손실로 인해 상악의 구치부가 정출되는 경우, 치아 교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슬롯(150)에 연결된 훅과 견인장치(210)의 고리를 탄성고무줄로 연결함으로써, 치근방향으로의 견인력을 제공하고, 그 결과로 정출된 구치부가 압하 이동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치부에서만 압하이동이 일어나는 경우 구치부와 부조화가 일어나 개방교합이 일어날 수 있는데, 제2탄성고무줄의 견인력을 통해 구치부에도 압하력을 가함으로써 이를 예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제1훅(110)은 일단이 견치의 중심을 향하도록 제1와이어(100)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와이어(100)는 탄성재질의 와이어이므로 제1와이어(100)에 제공되는 견인력에 의해 제1와이어(100)의 형상이 변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치근에 견인력에 제대로 제공되지 못한다. 따라서, 전치부의 압하 이동을 위한 견인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제1훅(110)의 일단이 견치의 중심위치에서 연결되도록 한다. 치아의 중심위치에서는 이미 제1와이어(100)가 구강 내측 방향(또는 치근 방향)으로 곡률을 이루고 있으므로 구강 내측 방향으로 견인력이 제공되어도 제1와이어(100)의 형상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따라서 제1탄성고무줄을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견인력이 제1와이어(100)에 의해 소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은 제2훅(140), 제2고정원(160) 및 제3탄성고무줄을 더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2훅(140)은 일단이 와이어 고정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을 지닌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훅(140)은 전치부에 저항 중심을 향하는 후방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저항 중심이란 전치부가 후방 견인력을 제공받을 때 전치부의 치아가 회전하지 않고 후방으로 수평이동 할 수 있는 전치부의 위치를 말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2고정원(160)이 제2훅(140)에 후방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경구개에 식립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고정원(160)은 제2고정원(160)과 제2훅(140)을 연결하였을 때 견치의 와이어 고정부(120)에 연결된 제2훅(140)에 대하여 견치의 저항 중심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서 경구개에 식립된다. 예를 들어, 제2고정원(160)은 제1고정원(200)보다 더 설측방향에 위치하며, 경구개의 중심축에 식립되는 제1고정원(200)과 달리 제1고정원(200)을 중심축으로 좌측, 우측에 하나씩 식립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3탄성고무줄은 제2훅(140)과 제2고정원(160)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에 설측 방향의 견인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훅(110)은 제2훅(140)보다 수직 방향에 가깝다. 즉, 제1훅(110)은 측절치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제2훅(140)은 견치의 저항 중심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전술한 제2고정원(160)과 제2훅(140)을 제3탄성고무줄로 연결하여 설측 방향의 저항중심으로 전치부에 견인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훅(140)은 와이어 고정부(120)에 연결되며, 와이어 고정부(120)에는 제2와이어(130)만 고정되어 있지만, 견인력은 제1와이어(100)에도 동일하게 제공된다. 와이어 고정부가 위치하는 견치에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제2와이어의 배열방향과 후방견인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제2와이어에 후방견인력이 인가되면 제1와이어에도 해당 견인력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훅(140)에 의해 전체 전치부가 후방으로 견인력을 제공받게 된다. 즉, 제1훅(110)은 전치부의 압하 이동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고, 제2훅(140)은 전치부의 후방 이동(설측 이동)을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일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설측 교정 시스템은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순측면과 설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300)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슬롯(150)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슬롯(150)에 인가되는 치근방향의 견인력은 제2대구치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연결선(300)을 통해 슬롯(150)에 인가되는 견인력에 따라 제2대구치도 함께 견인되도록 한다. 즉,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를 연결하면 제1대구치에 제공되는 견인력만으로도 제2대구치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1대구치에 제공되는 견인력과 연결선의 방향이 수직을 이루어 견인력이 제2대구치까지 인가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300)은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가 닿으면서 형성되는 골짜기 형상을 따라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제1대구치, 제2대구치 및 연결선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선(300)은 와이어이며, 연결선(3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치과용 접착제 등을 통해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에 연결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210)의 구성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장치(210)는 중심부, 제1 내지 제4견인훅(a-d)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중심부는 제1고정원(20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포함한다. 제1고정원(200)을 통과하도록 해당 홀에 제1고정원(200) 일단이 삽입되고, 제1고정원(200)을 통과한 일단은 경구개에 식립된다. 제1고정원(200)의 타단은 중심부의 홀보다 큰 머리를 포함하여 홀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고정원(200)은 경구개에 식립되면서 타단의 머리에 의해 견인장치(210)를 경구개에 고정시킨다.
일 양상에 있어서, 제1견인훅(a)은 일단이 중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견인훅(b)은 제1견인훅과 180도를 이룬다. 즉, 제1견인훅(a)과 제2견인훅(b)의 일단이 서로 향하는 방향이 반대이고, 또한 타단이 서로 향하는 방향이 반대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3견인훅(c)은 제1견인훅(a)과 수직을 이룬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4견인훅(d)은 제2견인훅(b)과 수직을 이루고, 제3견인훅(c)과 동일한 방향을 이룬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3견인훅(c)과 제4견인훅(d)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을 이룬다. 제3견인훅(c)와 제4견인훅(d)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혀와 견인장치의 접촉을 줄이고, 견인장치로 인한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발음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견인장치(210)의 중심부 및 제1 내지 제4견인훅(a-d)은 동일 곡면 상에서 구성될 수 있다. 즉, 경구개의 형상을 따르는 곡면 상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견인장치(210)는 제1와이어(100)와 슬롯(150)에 연결된 훅들과의 거리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파워체인의 길이를 조절하게 한다. 이에 따른 파워체인의 길이에 따라 전치부 및 구치부에 제공되는 견인력의 크기 및 방향이 달라진다. 도 1,3 및 4에 도시된 견인장치(210)는 제1 및 제2견인훅이 슬롯의 훅을 치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유도하고, 제3 및 제4견인훅이 전치부를 치근방향으로 견인하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와이어 및 슬롯에 연결된 훅과 견인장치의 제1내지 제4의 견인 훅은 그 타단의 고리형상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훅(110)의 타단은 좌측(또는 우측)이 개방되어 있는 고리형상이고, 이와 마주보며 파워체인으로 연결되는 견인고리(210)의 제3견인훅(또는 제4견인훅)은 우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이다. 이와 같이 파워체인으로 연결되는 고리가 서로 반대형상을 지니도록 하여 파워체인이 고리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설측 교정 시스템을 구강에 적용하는 방법(이하, 설측 교정 방법이라 한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설측 교정 방법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리 형상을 포함하는 견인장치를 골나사 형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1고정원을 경구개에 식립함으로써 경구개에 고정하는 단계, 상악 전치부에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선 형상을 따라 제1훅을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와이어를 부착하는 단계, 상악 전치부에서 견치의 설측면에 와이어 고정부를 부착하는 단계, 와이어 고정부에 전치부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제2훅을 연결하는 단계, 상악 구치부의 잇몸을 견인하는 제3훅이 연결되며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된 슬롯을 상악 구치부의 설측면에 부착하는 단계, 와이어 고정부와 슬롯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단계, 및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된 제2훅에 후방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경구개에 제2고정원을 식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에, 설측 교정 방법은 상악 전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제1훅과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제1탄성고무줄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에, 설측 교정 방법은 상악 전치부에 설측 방향의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제2훅과 제2고정원을 제3탄성고무줄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에, 설측 교정 방법은 슬롯에 연결된 구치부에 치근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슬롯에 연결된 제3훅과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제3탄성고무줄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에, 설측 교정 방법은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설측면과 순측면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실시 예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와이어 110: 제1훅
120: 와이어 고정부 130: 제2와이어
140: 제2훅 150: 슬롯
160: 제2고정원 200: 제1고정원
210: 견인장치 220: 와이어 고정부
300: 연결선

Claims (5)

  1. 상악 전치부에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선을 따라 굴곡 되는 형상으로 설측면과 잇몸의 경계에 부착되는 탄성 재질의 제1와이어;
    일단이 상기 상악 전치부의 치근 방향을 향하도록 상악 전체부의 견치 중심부에서 상기 제1와이어의 마루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리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구개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제1훅;
    일단이 경구개에 식립되며, 경구개 상부로 노출되는 타단은 골나사 형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제1고정원;
    상기 제1고정원에 의해 경구개면에 고정되며, 상악 구치부를 치근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훅과 상악 전치부를 치근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훅을 포함하는 견인장치;
    상악 전치부에서 견치의 설측면에 부착되는 와이어 고정부;
    관통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악 구치부의 설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악 전치부의 후방 움직임을 가이드 하며, 상악 구치부의 잇몸을 견인하는 훅이 연결된 슬롯;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슬롯과의 마찰력으로 인한 저항힘을 통해 후방견인에 반작용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훅의 고리형상과 상기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고무줄;
    상기 슬롯에 연결된 훅과 상기 견인장치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상기 슬롯에 연결된 구치부의 치근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고무줄;
    일단이 상기 와이어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인 제2훅;
    상기 제2훅에 후방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경구개에 식립되는 제2고정원; 및
    상기 제2훅과 상기 제2고정원을 연결하여 상악 전치부에 설측 방향의 견인력을 제공하는 제3탄성고무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서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설측 교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의 순측면과 설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선;
    을 더 포함하는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설측 교정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제1고정원이 삽입되는 홀을 포함하는 중심부;
    일단이 상기 중심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리형상을 포함하는 제1견인훅;
    상기 제1견인훅과 180도를 이루는 제2견인훅;
    상기 제1견인훅과 수직을 이루는 제3견인훅;
    상기 제2견인훅과 수직을 이루고, 제3견인훅과 평행한 제4견인훅;
    을 포함하는 과노출 잇몸 성형 겸용 설측 교정 시스템.
KR1020160167524A 2016-12-09 2016-12-09 설측 교정 시스템 KR10172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24A KR101723674B1 (ko) 2016-12-09 2016-12-09 설측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24A KR101723674B1 (ko) 2016-12-09 2016-12-09 설측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674B1 true KR101723674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24A KR101723674B1 (ko) 2016-12-09 2016-12-09 설측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74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359A (zh) * 2017-09-06 2017-12-15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牙支持式上颌骨牵张器
KR101950479B1 (ko) * 2018-07-04 2019-02-21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CN109662787A (zh) * 2019-01-15 2019-04-2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三维打印的钛合金的埋伏牙个体化牵引附件
CN109745129A (zh) * 2019-03-20 2019-05-14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ⅲ类错颌个性化定制隐形正畸矫治器
CN109806014A (zh) * 2017-11-21 2019-05-28 罗秋美 舌侧前牙牵引器
CN109875703A (zh) * 2019-04-02 2019-06-14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微创颌骨手术辅助正畸移动牙齿的配套装置
CN109925073A (zh) * 2019-03-20 2019-06-25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ⅱ类错颌带储能元件的隐形正畸矫治器
CN110013332A (zh) * 2019-05-23 2019-07-16 四川大学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KR20200005421A (ko) * 2019-02-01 2020-01-15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KR102087727B1 (ko) * 2020-02-11 2020-03-12 이노범 설측 치아교정 장치
KR102104786B1 (ko) * 2019-08-07 2020-04-27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WO2020111443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200077170A (ko) * 2018-12-20 2020-06-30 장선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US10828133B2 (en) 2016-12-02 2020-11-10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0881489B2 (en) 2017-01-31 2021-01-05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KR20210033960A (ko) * 2018-11-28 2021-03-29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US11058520B2 (en) 2012-10-30 2021-07-1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058517B2 (en) 2017-04-21 2021-07-1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KR102341063B1 (ko) * 2021-07-13 2021-12-20 이상순 맞춤형 어금니 이동 교정장치
CN114767298A (zh) * 2022-04-14 2022-07-22 董玺芳 一种颌平矫形器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CN114767298B (zh) * 2022-04-14 2024-06-04 董玺芳 一种颌平矫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7707B2 (en) * 2006-03-31 2010-05-18 Under Dog Media, L.P. Orthodontic transpalatal intrusion ar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20056320A (ko) * 2010-11-25 2012-06-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0556A (ko) * 2011-03-29 2012-10-10 권순용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7707B2 (en) * 2006-03-31 2010-05-18 Under Dog Media, L.P. Orthodontic transpalatal intrusion ar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20056320A (ko) * 2010-11-25 2012-06-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측 견인용 치열교정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0556A (ko) * 2011-03-29 2012-10-10 권순용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20160044380A (ko) * 2014-10-15 2016-04-25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405B2 (en) 2012-10-30 2022-12-06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510757B2 (en) 2012-10-30 2022-11-2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510758B2 (en) 2012-10-30 2022-11-29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129696B2 (en) 2012-10-30 2021-09-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1058520B2 (en) 2012-10-30 2021-07-13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US10828133B2 (en) 2016-12-02 2020-11-10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1911971B2 (en) 2016-12-02 2024-02-27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1612459B2 (en) 2016-12-02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US10881489B2 (en) 2017-01-31 2021-01-05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957536B2 (en) 2017-01-31 2024-04-16 Swift Health Systems Inc. Hybrid orthodontic archwires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11058517B2 (en) 2017-04-21 2021-07-1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CN107468359B (zh) * 2017-09-06 2023-04-25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牙支持式上颌骨牵张器
CN107468359A (zh) * 2017-09-06 2017-12-15 南京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牙支持式上颌骨牵张器
CN109806014A (zh) * 2017-11-21 2019-05-28 罗秋美 舌侧前牙牵引器
CN112469360A (zh) * 2018-07-04 2021-03-09 朴真成 一种用于维持佩戴者的牙齿排列的牙齿维持装置
KR101950479B1 (ko) * 2018-07-04 2019-02-21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WO2020009307A1 (ko) * 2018-07-04 2020-01-09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EP3620129A4 (en) * 2018-07-04 2020-11-11 Jin Sung Park DENTAL APPARATUS FOR MAINTAINING A CARRIER'S TEETH ARRANGEMENT
KR102487282B1 (ko) 2018-11-28 2023-01-13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210033960A (ko) * 2018-11-28 2021-03-29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WO2020111443A1 (ko) * 2018-11-28 2020-06-04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200077170A (ko) * 2018-12-20 2020-06-30 장선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KR102197877B1 (ko) 2018-12-20 2021-01-04 장선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CN109662787A (zh) * 2019-01-15 2019-04-2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三维打印的钛合金的埋伏牙个体化牵引附件
KR20200005421A (ko) * 2019-02-01 2020-01-15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KR102114573B1 (ko) * 2019-02-01 2020-05-26 박진성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CN109925073A (zh) * 2019-03-20 2019-06-25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ⅱ类错颌带储能元件的隐形正畸矫治器
CN109745129A (zh) * 2019-03-20 2019-05-14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ⅲ类错颌个性化定制隐形正畸矫治器
CN109875703A (zh) * 2019-04-02 2019-06-14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微创颌骨手术辅助正畸移动牙齿的配套装置
CN110013332B (zh) * 2019-05-23 2024-01-30 四川大学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CN110013332A (zh) * 2019-05-23 2019-07-16 四川大学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KR102104786B1 (ko) * 2019-08-07 2020-04-27 클리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WO2021162170A1 (ko) * 2020-02-11 2021-08-19 이노범 설측 치아교정 장치
KR102087727B1 (ko) * 2020-02-11 2020-03-12 이노범 설측 치아교정 장치
KR102341063B1 (ko) * 2021-07-13 2021-12-20 이상순 맞춤형 어금니 이동 교정장치
CN114767298A (zh) * 2022-04-14 2022-07-22 董玺芳 一种颌平矫形器
CN114767298B (zh) * 2022-04-14 2024-06-04 董玺芳 一种颌平矫形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74B1 (ko) 설측 교정 시스템
JP5466233B2 (ja) 舌拘束用歯科器具
KR101200379B1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JP4996921B2 (ja) 歯科用装置
JP2011517603A (ja) 取り外し可能な部分を備えた舌側歯科矯正装具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KR101999378B1 (ko) 치열 교정장치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US6932598B1 (en) Device and method of molar distalization and mandibular protraction
JPS6384548A (ja) 歯列弓拡張用歯列矯正装置
CN106821517B (zh) 替牙期上颌牙合垫式磨牙远移器
JP7182792B2 (ja) 睡眠時無呼吸、いびき、ならびに舌および口腔の再構築のための歯科用器具
CN114145864A (zh) 一种多维度牵引埋伏牙的个性化矫治装置
US8062031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KR102002148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
CN113116566A (zh) 一种埋伏牙牵引装置
US20190336248A1 (en) Orthodontic device for overbite correction
US6976838B1 (en) Newly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CN106344185B (zh) 辅助下颌前伸及内收上前牙的矫正装置
US20230058103A1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EP3482714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RU152244U1 (ru) Ап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глубокого прикуса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CN208784949U (zh) 一种多个后牙锁牙合矫正装置
CN217066631U (zh) 向远中直立和移动第一磨牙的活动矫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