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421A -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421A
KR20200005421A KR1020190013289A KR20190013289A KR20200005421A KR 20200005421 A KR20200005421 A KR 20200005421A KR 1020190013289 A KR1020190013289 A KR 1020190013289A KR 20190013289 A KR20190013289 A KR 20190013289A KR 20200005421 A KR20200005421 A KR 2020000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contact
teeth
wear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573B1 (ko
Inventor
박진성
장익준
Original Assignee
박진성
장익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성, 장익준 filed Critical 박진성
Priority to KR1020190013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5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제1치아 및 상기 제1치아와 인접하는 제2치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치아 유지장치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치아 유지장치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1부착부, 상기 제2치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2부착부 및 이격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형성되는 치간공극과,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존재하는 치간유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격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부드러운 곡률을 가지는 포물선이다.

Description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MAINTAINER FOR MANTAINING ARRANGEMENT OF WEARER'S TEETH}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치아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 유지장치(maintainer)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위치 또는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상기 치아 유지장치를 착용한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은 상기 유지장치에 의해 유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의 변화가 저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치아 교정을 마친 환자가 교정된 치아를 유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치아 유지장치를 리테이너(retainer)라고 하는데, 상기 리테이너를 착용함으로써 교정된 치아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한편, 기존의 치아 유지장치(또는 리테이너)는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표면을 따라 접합되어 상기 치아의 표면과 상기 치아 유지장치의 거리가 매우 가깝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치아 유지장치와 상기 착용자의 치간유두 및 치간공극 사이의 위생을 위한 공간(예컨대, 치실 또는 치간 칫솔을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상기 착용자의 치아 건강의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 1과 2는 종래의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치아 유지장치(1)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됨에 따라, 착용자의 치아들(teeth; 예컨대 2-1과 2-2)에 접하도록 치아들과 결합된다. 특히, 치아 유지장치(1)는 인접하는 치아들(2-1과 2-2)사이의 공간(즉, 치간공극; 3)으로 돌출(또는 삽입)되어 접함으로써 치아들의 배열을 유지한다.
한편, 종래의 치아 유지장치(1)는, 치아들의 배열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치아들(2-1과 2-2) 사이의 공간으로 최대한으로 접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치아 유지장치(1)와 치아들 사이에는 어떠한 공간도 확보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치아들, 특히, 인접하는 치아들(2-1과 2-2)과 치아 유지장치(1) 사이에 음식물이 잔류하고, 착용자의 침(saliva)이 자유롭게 흐를 수 없어 자정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상기 착용자는 인접하는 치아들(2-1과 2-2) 사이의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도구들(예컨대, 치실 또는 치간칫솔)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위생을 유지하기가 어렵거나 또는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917호 (2015. 11. 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을 유지하는 치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착용자의 치아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치아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현되고, 제1치아 및 상기 제1치아와 인접하는 제2치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는, 상기 제1치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1부착부, 상기 제2치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2부착부 및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형성되는 치간공극과,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존재하는 치간유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격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부드러운 곡률을 가지는 포물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는, 치아와 접촉되는 부착부 뿐만 아니라 치아와 접촉되지 않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의 형태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이격부과 인접하는 치아 사이의 공간이 (의도적으로)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확보된 공간 사이로 위생도구(예컨대,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치아 유지장치를 착용한 착용자의 치아 위생상태가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는 면접촉(surface contact) 방식 아닌 선접촉(line contact) 방식으로 치아와 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치아 유지장치, 치아 및 접착제 사이의 화학적 및 기계적 접착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2는 종래의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의 3차원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와 상기 치아 유지장치와 접촉된 치아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는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을 유지하기 치아에 부착(또는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치아 유지장치(100)가 두 개의 치아들(210과 230)에 부착되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비록 도 3에는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의 설면(lingual surface)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아의 순면(labial surface)에 부착될 수 있다.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과용 재료, 예컨대, 금속, 레진 및/또는 지르코니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치아 유지장치(100)의 구성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치아 유지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가지는 금속 와이어(wire)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치아 유지장치(100)의 두께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착용자의 치아 구조(예컨대, 교합)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치아 유지장치(1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아 유지장치(100)의 단면은 다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치아 유지장치(100)는 제1부착부(contacted portion; 110-1), 제2부착부(110-3) 및 이격부(separted portion;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착부(110-1)와 이격부(130)는 연결될 수 있고, 이격부(130)와 제2부착부(110-3)은 연결될 수 있다. 즉, 이격부(130)는 제1부착부(110-1)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부착부(110-3)은 이격부(1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부착부(110-1)와 제2부착부(110-3)은 이격부(130)에 의해 구분(또는 분리)된다.
비록 도 1의 치아 유지장치(100)는 2개의 부착부들(110-1과 110-3)과 하나의 이격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치아 유지장치(100)에 포함되는 부착부와 이격부의 개수는 치아 유지장치(100)가 부착되는 치아들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부착부(110-1)와 제2부착부(110-3)은 치아들(210과 230)의 표면을 따라, 치아들(210과 23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와 접할 수 있다. 즉, 부착부(110-1과 110-3; 집합적으로 110)는 인접하는 두 치아들(예컨대, 치아들(210과 230))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부분 중에서, 상기 두 치아들과 접하는 부분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부착부(110-1)와 제2부착부(110-3)을 집합적으로 부착부(110)라고 지칭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부착부(110)의 곡률은 부착부(110)이 접하는 치아의 표면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격부(130)는 제1부착부(110-1)와 제2부착부(110-3)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부착부(110-1)와 제2부착부(1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부착부(110)와 이격부(130)는 서로 번갈아가면서 배열됨으로써 치아 유지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격부(130)는 치아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치아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이격부(130)는 인접하는 두 치아들(예컨대, 치아들(210과 230))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부분 중에서, 상기 두 치아들과 접하지 않는 부분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유지장치(100)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면, 부착부(110)와 이격부(130)는 치아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이격부(130)는 치아들 중 인접하는 두 치아들(예컨대, 210과 2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이격부(130)는 인접하는 두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공간(예컨대, 치간공극)과 인접하는 두 치아들(210과 230)사이에 위치하는 잇몸(예컨대, 치간유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이격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치간공간으로 돌출(또는 삽입)되고, 상기 치간유두의 위(on or above)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격부(130), 상기 치간공극 및 상기 치간유두 사이에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구강 위생을 위한 공간이 형성(또는 설계(design))될 수 있다. 예컨대, 이격부(130), 상기 치간공극 및 상기 치간유두 사이에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착용자의 구강 위생을 위한 위생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하 "위생 공간")이 의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간공극 및 상기 치간유두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착용자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위생 공간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이격부(130)의 (상대적인) 형태가 설계되어야 한다.
이격부(130)는 (예컨대, 국소적으로(locally)) 부드러운 곡률을 가지는 포물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치아 유지장치(100)가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성될 때, 이격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부드러운 곡률을 가지는 포물선일 수 있다.
한편, 원기둥은 수학적으로(mathematically) 모서리를 가지지지 않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치아 유지장치(10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즉,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의 모서리라 함은 치아 유지장치(100)의 표면 상에 위치하면서 치아 유지장치(100)의 단면과 수직인 선분들을 지칭한다. 또는, 치아 유지장치(100)의 표면 상에 위치하면서 치아 유지장치(100)의 단면의 중심을 지나는 선분(즉, 중심선)과 평행한 선분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치아 유지장치(10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의 모서리는 무한 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부드러운 곡률이라 함은, 유한한 값을 가지는 곡률 또는 미분가능한 곡선에서의 곡률을 의미한다. 예컨대, 이격부(130)의 곡률은 양의 실수(real number) 또는 음의 실수일 수 있다. 즉, 이격부(130)의 형태는 미분 불가능점(예컨대, 첨점(sharp point))을 가지지 않는다.
즉, 종래의 치아 유지장치(예컨대, 도 1의 치아 유지장치(1))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아로부터 의도적으로 이격되는 이격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격부(130)의 기능과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점들(111, 113, 131, 133, 135 및 22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점들(111, 113, 131, 133 및 135)은 하나의 평면(또는 하나의 모서리)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치아 유지장치(100)가 금속 와이어 형태로 구현될 때, 점들(111, 113, 131, 133 및 135)은 치아 유지장치(100)의 모서리들 중에서 치아들(210)과 접촉하는 모서리(이하, "접촉 모서리"라 함) 상의 점일 수 있다.
그러나, 점들(111, 113, 131, 133, 135 및 220)의 배열은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바에 따라 정의되어야 하고, 도 4에 도시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점들(111, 113, 131, 133, 135 및 220) 각각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점들(111, 113, 131, 133, 135 및 220) 중 적어도 두 개의 점은 동일한 평면(또는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점들(111과 113)은 치아 유지장치(100)의 치아들(210과 230)과의 접촉 모서리상의 점들일 수 있고, 부착부(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점들(111과 113)은 상기 접촉 모서리의 극점들(extreme points)일 수 있다. 따라서, 점들(111과 113)을 기준으로 접촉 모서리의 접선의 기울기의 부호가 변화한다.
점들(131, 133 및 135)은 치아 유지장치(100)의 치아들(210과 230)과의 접촉 모서리상의 점들일 수 있고, 이격부(1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점(131)와 제3점(135)는 이격부(130)의 양 끝(end)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점(131)과 제3점(135)은 치아 유지장치(100)가 부착되는 치아들(예컨대, 치아들(210과 230))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점일 수 있다.
치아 유지장치(100)를 이루는 곡선은 연속적이므로, 제1점(131)과 제3점(135)은 실질적으로 부착부(110)와 이격부(130)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컨대, 점(131)(또는 점(135))을 기준으로 하여, 치아 유지장치(100)의 치아(210과 230)와의 접촉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점(131)에 의해 제1부착부(110-1)와 이격부(130)가 구분되고, 점(135)에 의해 제2부착부(110-3)와 이격부(130)가 구분된다.
점(133)은 (후술하는) 인접하는 두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접점(220)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이격부(130) 상의 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접점(220)이 정해지는 경우, 점(133)은 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접점(220)은 두 치아들(210과 230)의 접촉선 (또는 접촉면) 상의 점들 중에서, 치아 유지장치(100) 쪽의 점일 수 있다.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의 순면에 착용되었을 때, 접점(220)은 두 치아들(210과 230)의 접면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순면 쪽(side)의 점일 수 있고,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의 설면에 착용되었을 때, 접점(220)은 두 치아들(210과 230)의 접면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설면 쪽의 점일 수 있다. 예컨대, 접점(220)은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접촉선 상의 점들 중에서, 치아 유지장치(100)와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접촉 모서리와 가장 가까운 점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치아 유지장치(100)에 대한 이격부(130)의 (상대적인) 형태(예컨대, 접촉 모서리 중에서 이격부(130)에 속하는 부분의 길이, 이격부(130)의 곡률 및/또는 이격부(130)와 접점(220) 사이의 최단 거리)는, 위생 공간을 치아 유지장치(100)를 착용할 착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설계하기 위해, 상기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착용자의 치아 구조는 상하악 교합의 높이, 제1치아(210)와 제2치아(230)의 대칭성, 제1치아(210)와 제2치아(230) 각각의 크기, 제1치아(210)와 제2치아(230) 사이의 접촉면의 크기, 상기 제1치아(210)와 상기 제2치아(230) 사이의 치간유두의 형태 및 상기 제1치아(210)와 상기 제2치아(230) 사이의 치간공극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실시 예들에 따라, 치아 유지장치(100)의 치아들(210과 230)과의 접촉 모서리 중에서 이격부(130)에 속하는 부분의 길이는, 점(131)과 점(135)의 상기 접촉 모서리 상에서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정의된 거리는, 위생 공간을 치아 유지장치(100)를 착용할 착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설계하기 위해,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큰 위생 공간을 요구하는 착용자의 경우, 점(131)과 점(135)의 상기 접촉 모서리 상에서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도록 설계할 수 있다.
(2) 실시 예들에 따라, 점(131)과 점(135)의 접점(220) 대한 상대적인 위치는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들(210과 230)과 접하다가 치아들(210과 230)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상대적인 위치가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큰 위생 공간을 요구하는 착용자의 경우, 점(131)과 점(135)의 위치는 접점(22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3) 실시 예들에 따라, 점(111)과 점(131)의 접촉 모서리 상에서의 거리(예컨대, L1이라 함)와 점(131)과 접점(220)사이의 거리(예컨대, L2이라 함)의 비(예컨대, L1/L2)는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들(210과 230)과 접하다가 치아들(210과 230)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상대적인 위치가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큰 위생 공간을 요구하는 착용자의 경우, 상기 L1/L2가 작게 설계될 수 있다.
(4) 실시 예들에 따라, 제2점(133)과 접점(220) 사이의 거리는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격부(130)와 접점(220) 사이의 최단 거리는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큰 위생 공간을 요구하는 착용자의 경우, 제2점(133)과 접점(220) 사이의 거리가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점(133)과 접점(220) 사이의 거리는 위생도구(예컨대,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가 충분히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거리는 최소한으로 0.05mm, 바람직하게는 최소한으로 0.07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소한으로 0.1mm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거리는 최대한으로 1.5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치아 유지장치(100)(또는 이격부(130))와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공간(즉, 위생 공간)을 의도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치아 유지장치(예컨대, 도 1과 2에서 보여지는 치아 유지장치)의 주된 목적은 그 유지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 치아 표면에 대해 최대한 접하는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는 유지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치아 유지장치(100)와 대응하는 치아들 사이의 공간, 즉, 이격부(130)와 인접하는 두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위생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와 치아들 사이의 위생 공간, 즉, 이격부(130)와 인접하는 두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위생 공간(빨간색 원 부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확보된 공간 사이로 위생도구(예컨대,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치아 유지장치(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착용자의 치아의 위생상태 또한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의 3차원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치아 유지장치(100)는 두께를 가지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치아 유지장치(10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치아 유지장치(100)는 CAD(computer aided design)/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방식, 마일링(milling) 방식, 및/또는 3D-프린팅(printing) 방식에 따라 (예컨대, 금속 시트로부터)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와 상기 치아 유지장치와 접촉된 치아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치아 유지장치(100)은 접착제(300)을 통해 치아(예컨대, 제1치아(210))와 접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접착제(300)는 레진(resi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 중에서 치아와 접하는 부분은 부착부(110)이므로, 도 6에 도시된 치아 유지장치(100)는 부착부(110)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1부착부(110-1)(또는 제2부착부(110-3))가 제1치아(210)(또는 제2치아(230))에 부착될 때, 제1부착부(110-1)를 구성하는 모서리들 중에서 하나의 모서리만 제1치아(210)와 접할 수 있고, 나머지 모서리들은 제1치아(210)와 접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부착부(110-1)를 이루는 면들(밑면, 윗면 및 옆면들) 중에서 제1치아(210)의 표면과 접하는 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치아들(예컨대, 치아들(210과 230))과 부착부(110)는 면접촉(surface contact) 방식 아닌 선접촉(line contact) 방식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 치아들 및 접착제(300) 사이의 화학적 및 기계적 접착력이 강화되어 치아 유지장치(100)와 치아들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가 치아들과 이격되는 이격부(113)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아들의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아들과 이격되는 이격부(113)를 포함하고, 치아들과 선접촉 방식으로 접할 수 있으므로, 치아 유지장치(100)(또는 이격부(130))와 치아들(210과 230) 사이의 위생 공간을 의도적으로 확보하여 치아 유지장치(100)의 착용자의 구강 위생상태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치아 유지장치(100)는 치아들의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치아 유지장치(10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고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치아 유지장치(100)의 단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치아 유지장치(100) 모두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컨대, 치아 유지장치(100)의 단면이 원형이라 하더라도, 치아들(예컨대, 치아들(210과 230))과 부착부(110)가 접하는 부분은 하나의 선분이 될 수 있다(원과 직선은 하나의 점에서 접할 수 있으므로).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4개의 치아들의 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는 4개의 부착부와 3개의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4개의 치아들의 설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는 4개의 부착부와 3개의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7개의 치아들의 순면 및 설면 모두에 부착될 수 있고, 가장 바깥 쪽 치아를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치아 유지장치(100)는 13개의 부착부와 12개의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전체 치아들의 순면 및 설면을 따라 상기 전체 치아들을 감싸면서 상기 전체 치아들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이격부와 부착부의 개수는 예시일 뿐이며, 부착하는 방식에 따라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유지장치(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치아의 순면 및 설면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즉,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내지 4에는 치아 유지장치(100)가 두 개의 부착부와 하나의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치아 유지장치(100)의 구조와 기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치아 유지장치
111: 제1부착부
113: 제2부착부
130: 이격부
210: 제1치아
230: 제2치아
300: 접착제

Claims (5)

  1. 금속 와이어의 형태로 구현되고, 제1치아 및 상기 제1치아와 인접하는 제2치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치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1부착부;
    상기 제2치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제2부착부; 및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부착부와 상기 제2부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형성되는 치간공극과,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에 존재하는 치간유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격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부드러운 곡률을 가지는 포물선인 치아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 상기 치간공극 및 상기 치간유두 사이의 공간은 상기 치아 유지장치의 착용자의 구강 위생을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되는 치아 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 상기 치간공극 및 상기 치간유두 사이의 공간은 상기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기초하여 설계되고,
    상기 착용자의 치아 구조는,
    상기 착용자의 상하악 교합의 높이,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의 대칭성,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의 크기,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의 접촉면의 크기, 상기 치간유두의 형태 및 상기 치간공극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모서리는, 상기 치아 유지장치의 모서리들 중에서,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와 접하는 모서리로서 정의되고,
    (i) 상기 접촉 모서리 중에서 상기 이격부에 속하는 부분의 길이;
    (ii) 상기 접촉 모서리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치아 유지장치가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두 점들 각각의 위치;
    (iii) 상기 제1점과 상기 제2점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점과 상기 제3점사이의 거리의 비 ― 상기 제1점은 상기 접촉 모서리의 적어도 하나의 극점(extreme point) 중에서 상기 제1부착부 상에 있는 점으로서 정의되고, 상기 제2점은 상기 접촉 모서리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치아 유지장치가 상기 제1치아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 점으로서 정의되고, 제3점은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 사이의 접촉선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접촉 모서리와 가장 가까운 점으로서 정의됨 ―; 및
    (iv) 상기 이격부와 접점사이의 최단 거리 ― 상기 접점은, 상기 제1치아 및 상기 제2치아 사이의 접촉선 상의 점들 중에서 상기 접촉 모서리와 가장 가까운 점으로서 정의됨 ―;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착용자의 상기 치아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치아 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치아 구조는,
    상기 착용자의 상하악 교합의 높이,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의 대칭성,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의 크기, 상기 제1치아와 상기 제2치아 사이의 접촉면의 크기, 상기 치간유두의 형태 및 상기 치간공극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아 유지장치.
KR1020190013289A 2019-02-01 2019-02-01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KR10211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89A KR102114573B1 (ko) 2019-02-01 2019-02-01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289A KR102114573B1 (ko) 2019-02-01 2019-02-01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918A Division KR101950479B1 (ko) 2018-07-04 2018-07-04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421A true KR20200005421A (ko) 2020-01-15
KR102114573B1 KR102114573B1 (ko) 2020-05-26

Family

ID=6915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89A KR102114573B1 (ko) 2019-02-01 2019-02-01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5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73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접착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KR2021015287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접착식 리테이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5679A1 (en) * 2005-02-22 2006-08-24 Costigan Sun H Lose at the source plate (L.A.T.S.Plate)
KR20140146680A (ko) * 2013-06-14 2014-12-29 양경옥 약제 디스펜서
KR20150128917A (ko) 2013-03-13 2015-11-18 리타인테크놀로지 유쥐 (하프퉁스베슈랭크트)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2149A (ko) * 2014-06-10 2015-1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주사기형 마이크로 로봇 및 사용방법
KR101723674B1 (ko)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설측 교정 시스템
WO2018092052A1 (de) * 2016-11-21 2018-05-24 Hostettler Juerg Dreidimensionaler kieferorthopädischer retain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kieferorthopädischen retain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5679A1 (en) * 2005-02-22 2006-08-24 Costigan Sun H Lose at the source plate (L.A.T.S.Plate)
KR20150128917A (ko) 2013-03-13 2015-11-18 리타인테크놀로지 유쥐 (하프퉁스베슈랭크트)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6680A (ko) * 2013-06-14 2014-12-29 양경옥 약제 디스펜서
KR20150142149A (ko) * 2014-06-10 2015-1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주사기형 마이크로 로봇 및 사용방법
WO2018092052A1 (de) * 2016-11-21 2018-05-24 Hostettler Juerg Dreidimensionaler kieferorthopädischer retain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kieferorthopädischen retainers
KR101723674B1 (ko)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설측 교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73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접착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KR2021015287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접착식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573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479B1 (ko) 착용자의 치아의 배열를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ES2874777T3 (es) Aparato de ortodoncia con arco de alambre encajado a presión, antideslizante
KR20200005421A (ko) 착용자의 치아 배열을 유지하기 위한 치아 유지장치
US11779244B2 (en) Device for mandibular attachment of a localization marker
EP2420199A1 (en) Orthodontic bracket
JP4171747B2 (ja) 口唇開拡具
EP1723925B1 (en) Orthodontic retainer elements
US20210052355A1 (en) Subperiosteal dental implant
KR102102262B1 (ko)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0845600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JP5208668B2 (ja) 切歯または犬歯および歯セット
Greenfield Taxonomic reassessment of two Ramapithecus specimens
JP2021183076A (ja) 口腔装具
EP3081187B1 (en) Orthognathic correction device
US7918665B2 (en) Artificial anterior tooth having frictional surface at lingual side, and a set of artificial teeth, and denture
JP2010274109A (ja) 歯列矯正用チューブ
JP2010274110A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
EP3581140B1 (en) Pearl as a holding element for an orthodontic splint
CN102462557A (zh) 口腔正畸平衡矫正器之舌侧矫正器托槽
CN217938411U (zh) 带有压力嵴的牙科正畸矫治器
CN219983089U (zh) 一种辅助正畸活动矫治器固位的颊腭侧环绕卡环
US20230240804A1 (en) Orthodontic appliance
JP2018140088A (ja) 歯間清掃具
US9237938B2 (en) Dental shaping strip
US8562350B2 (en) Set of artificial teeth of anterior teeth linearly contacting with each 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