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556A -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556A
KR20120110556A KR1020110028467A KR20110028467A KR20120110556A KR 20120110556 A KR20120110556 A KR 20120110556A KR 1020110028467 A KR1020110028467 A KR 1020110028467A KR 20110028467 A KR20110028467 A KR 20110028467A KR 20120110556 A KR20120110556 A KR 2012011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gual
wire
traction
wires
anterio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379B1 (ko
Inventor
권순용
Original Assignee
권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2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379B1/ko
Application filed by 권순용 filed Critical 권순용
Priority to CN2012800160122A priority patent/CN103442663A/zh
Priority to EP12763490.5A priority patent/EP2692309A4/en
Priority to RU2013145969/14A priority patent/RU2569715C2/ru
Priority to PCT/KR2012/002299 priority patent/WO2012134183A2/ko
Priority to JP2014502465A priority patent/JP6082727B2/ja
Priority to US14/007,329 priority patent/US20140017624A1/en
Priority to BR112013024892-0A priority patent/BR112013024892B1/pt
Publication of KR2012011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379B1/ko
Priority to US14/509,076 priority patent/US201501186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입 교정을 위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제공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돌출입 교정와이어는: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가능하도록,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설측 호선와이어;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부재의 연결을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구비되는 견인 와이어;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입교정시에 옥니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잇몸뼈에 견인력이 전달되어 골격성 돌출을 외과적 수술없이도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Orthodontic Wire for Mouth Protrusion Using Lingual Retractor And Orthodontic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열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돌출 및/또는 잇몸뼈돌출에 의한 돌출입을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특히 치아와 치열은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외과적 성형수술과 함께 치아, 치열, 또는 안면 골격의 개선을 위한 치과교정술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치과교정술은 부정치열을 바르게 하는 시술, 예를 들면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협의의 치열교정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에 기여하며, 더 나아가 얼굴 라인을 수려하게 하여 아름다운 얼굴 이미지를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치과교정술은 치열의 점진적 이동을 통해 부정교합 등의 부정치열을 개선하는 치열교정시술(Orthodontic Treatment)과 악골에 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여 골격적 개선을 부여하는 악교정 수술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에 대한 이상이 너무나 심해 치열교정술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얼굴의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을 만들기 위해 악교정 수술이 상기 치열교정술과 함께 병행하여 적용되기도 한다.
특히 성장중인 아이들의 경우 치열교정시술을 통해 골격적인 개선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악교정 수술을 피할 수 있지만, 성장이 종료된 성인의 경우는 수술이 치열교정만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악교정 수술이 상기 치열교정시술과 병행하여 시술될 수 있다.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크게 순측 교정과 설측 교정으로 구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순측 교정이란 치열교정에 사용되는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입술 측의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고, 상기 설측 교정이란 상기 교정기구를 치아의 표면 중 혀측(Lingual)의 표면에 부착하여 치열교정을 수행하는 교정법이다.
상기 치열교정기구의 예로는 치열을 바르게 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일반적으로 '호선 와이어'라 칭함)와 상기 교정 와이어의 지지를 위한 브라켓 등이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치아의 순측 및/또는 설측 표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은 치열의 배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교정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교정 와이어로부터 가해지는 교정력을 상기 치열에 전달한다.
상기 치열교정시술은 복수의 교정단계로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장기간이 소요되며, 상기 치열교정시술의 일 예로서 전치부의 치열밀집 현상을 보이는 환자나 전치부의 치아들 사이가 벌어진 환자의 경우에 이러한 부정치열을 상기 호선 와이어와 상기 브라켓을 이용하여 가지런하게 조절하는 시술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치열교정시술 중 상기 치열을 설측으로 이동시키는 교정을 설측 견인이라 칭하며, 환자의 치열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형태인 치아돌출의 경우에는 입이 비정상적으로 전방 돌출된 돌출입 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이러한 돌출입 교정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술한 설측 견인이 제시된다.
정상인의 입은 도 1의 (a)에서와 같이 아래 입술이 코끝점과 턱을 잇는 선에 일치하고 윗입술은 이러한 선의 약간 안쪽에 위치한다. 반면, 상기 돌출입은 도 1의 (b)와 같이 코끝점과 턱을 잇는 선 밖으로 입이 나와있는 형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술한 치아돌출이나 잇몸뼈돌출(골격성 돌출)로 인해 기인한다.
상기 치아돌출은, 잇몸뼈가 현재의 치아수를 수용하기에 부족한 상태로 성장함으로 인해 치관의 끝 치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도하게 앞으로 돌출된 형태로 전치가 기울어진 부정교합의 한 종류이며, 심한 경우에는 입을 다물기 어렵고 전체적인 인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술한 돌출입의 교정을 위해 환자의 구강 내부에는 치열교정시스템이 설치되나, 종래에는 전치부 치아들이 후방으로 견인되는 과정에서 치근이 짧아지거나 치아들이 후방으로 견인되는 과정에서 전치부의 치아들이 설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져서 심한 옥니가 되고 전치부의 좌우측 수직위치가 어긋나서 횡방향으로 경사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잇몸뼈돌출에 의한 돌출입의 경우 외과적 수술 교정을 통해 돌출입을 개선하는 실정이므로, 피시술자에게 부담이 되는 동시에 오랜 치료기간과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치근의 손상, 치아의 과도한 기울어짐으로 인한 옥니 현상을 방지하면서 치아돌출을 교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골격성돌출이라 불리우는 잇몸뼈돌출에 기인한 돌출입의 경우에 위턱뼈 특히 에이-포인트(A-point, 인중 바로 안쪽의 턱뼈) 돌출을 개선할 수 있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측견인에 의한 돌출입을 교정할 때 전치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잇몸뼈돌출(골격성 돌출)에 의한 돌출입을 교정하는 악정형 장치로 적용 가능한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돌출입 교정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돌출입 교정을 위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제공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입 교정와이어는: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가능하도록,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설측 호선와이어;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부재의 연결을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구비되는 견인 와이어;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한 굽힘작용을 받도록,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 구치부의 설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지지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양측단부에 솔더링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를 상기 전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들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들은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돌출입 교정을 위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제공하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입 교정시스템은: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가능하도록,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설측 호선와이어; 설측 견인력의 제공을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구비되는 견인 와이어;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 상기 지지 와이어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가이드 홀을 가지며, 양측 구치부의 설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지지구; 상기 견인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상기 설측 견인력을 부가하는 견인부재; 그리고 상기 견인부재의 지지를 위해 구개에 정착되는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입을 교정하기 위해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을 가할 때 상기 전치부가 설측으로 과도하게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잇몸뼈돌출에 의한 돌출입교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심미적이며 기능적 치열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이 부가될 때 지지 와이어가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에 반력을 가하여 옥니 현상과 치근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이 부가될 때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지지 와이어가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에 치축방향의 힘을 가하여 치아와 함께 잇몸뼈의 후퇴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외과적 수술없이 잇몸뼈돌출에 의한 돌출입을 교정할 수 있는 동시에 코수술 효과(코가 높아진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수술에 따른 부담감을 제거할 수 있고 돌출입 교정에 고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이 부가될 때 지지 와이어에 굽힘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 와이어를 지지하는 양측 구치부에 치축방향의 힘이 부가되므로 턱뼈의 교정효과, 즉 악정형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돌출입 교정와이어를 이용하여 돌출입 교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제조비용 및 돌출입 교정시술에 소요되는 치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정상입과 돌출입을 나타낸 X-선 영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교정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구강 내부의 상악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설측 교정 견인시스템에 의한 전치부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전치부에 순측 교정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다른 실시예가 하악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교정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상악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설측 교정 견인시스템에 의한 전치부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100)는 돌출입 교정을 위해 치아의 설측에 설치되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전달하는 치열교정기구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일 실시예(100)는, 설측 호선와이어(110)와 견인 와이어(120) 및 한 쌍의 지지 와이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는 전치부의 치열을 따라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설측에 고정되도록 곡률진 형상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는 피시술자의 구강 모형(도시되지 않음)상에서 피시술자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으로 구부려진다. 그리고,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를 상기 전치부의 치열들, 예를 들면 6전치(좌우 중절치, 좌우 측절치, 좌우 견치) 설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들(111, 112, 113)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들(111, 112, 113)은,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들(111, 112, 113)은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솔더링되며, 치과용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부착되는데, 상기 솔더링을 위한 페이스트, 즉 솔더링 페이스트는 은납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는, 양측단부가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양측단 치아를 이루는 한 쌍의 치아들, 즉 좌우 견치(1c, 송곳니)의 설측면에 위치되도록 피시술자의 구강구조에 맞게 일정 길이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 와이어(120)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후방 견인력, 즉 설측 견인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견인 와이어(120)의 일단은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상기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부재(150), 예를 들면 고무줄이나 스프링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120)의 타단, 즉 후단에는 상기 견인부재(150)의 연결을 위한 후크 등의 고리부(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견인 와이어(120)는 구개측, 즉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견인 와이어에 굽힘작용이 가해지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모멘트가 발생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치부(1a, 1b, 1c)의 후방으로 작용하는 설측 견인력이 상기 전치부에 가해지면, 상기 전치부(1a, 1b, 1c)에 후방 이동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해 상기 전치부(1a, 1b, 1c)에 모멘트가 발생하면, 상기 전치부(1a, 1b, 1c)가 특정 방향, 예를 들면 설측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치근은 순측으로 돌출되어 옥니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옥니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120)는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고리부(121)의 수직위치가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치근부분의 설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견인부재(120)에 의해 생성되는 견인력의 작용선이 소위 에이-포인트라 불리우는 잇몸뼈와 치근부분을 지나게 되므로, 상기 전치부(1a, 1b, 1c)에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거나 극히 작은 모멘트만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치부(1a, 1b, 1c)가 과도한 회전없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150)는 구개에 정착되는 앵커(16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돌출입 교정와이어(100)에 설측 견인력을 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160)는 나사형태로 구개에 식립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160)와 상기 견인 와이어의 고리부(121) 간의 수직위치 차이로 인해, 상기 전치부(1a, 1b, 1c)에 치근방향의 힘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전치부(1a, 1b, 1c)가 치근방향, 즉 잇몸뼈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해 굽힘작용을 받아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반력을 가하며, 상기 지지 와이어(130)에서 가해지는 반력은 상기 견인 와이어(120)에 의해 상기 전치부에 가해지는 힘이나 모멘트를 감소시키거나 상쇄시켜서 상기 전치부(1a, 1b, 1c)가 설측으로 쓰러지는 현상과 상기 전치부의 횡적 수직위치 불균형 현상(좌우측 수직위치의 차이)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 와이어(130)에 의해 상기 전치부의 이동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의 양측단부에서 각가 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 구치부(1d, 1e, 1f), 특히 제1대구치(1e)의 설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지지구(14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구(140)에는 근원심방향, 즉 전후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120)에 상기 견인부재(150)에 의한 설측 견인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 와이어(130)가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굽힘작용, 즉 굽힘응력을 받는다.
상기 지지 와이어(130)에 발생하는 굽힘응력은 상기 구치부(1d, 1e, 1f)에 치축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며, 상기 전치부(1a, 1b, 1c)에 가해지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저항하게 된다.
상기 견인 와이어(120)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한 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견인 와이어(120)의 바깥측에 위치하며,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 와이어(130)에 굽힘작용이 가해지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모멘트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설측 견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1a, 1b, 1c)에는 저항중심을 기준으로 모멘트가 발생하여 치아 끝이 과도하게 설측으로 밀려 들어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견인 와이어(120)와 상기 지지 와이어(130)가 이러한 과도 변형을 최소화 또는 방지한다. 여기서 저항중심이라 함은 전치부가 설측 견인력을 받을 때 전치부의 치아가 쓰러지지 않고 그대로 수평이동할 수 있는 전치부의 특정 위치를 말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에 따른 돌출입 교정와이어(100)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에 의한 전치부의 이동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부재(150)에 의한 설측 견인력(화살표 ①)이 상기 견인 와이어(120)를 통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가해지면, 상기 전치부(1a, 1b, 1c)가 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더 나아가 상기 고리부(121)와 상기 앵커(160)의 수직위치 차이로 인해 상기 전치부에 화살표 ③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측 견인력의 작용선은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치근부분을 지나므로, 상기 잇몸뼈, 특히 에이-포인트도 화살표 ④의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뼈의 돌출높이가 낮아지고 반사적으로 코가 높아진다.
한편, 상기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해 굽힘작용을 받으면서 길이방향으로 점진적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110)에 반력을 가하여 상기 전치부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와이어(130)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해 굽힘작용을 받아서, 상기 와이어 지지구(140)를 매개로 상기 구치부, 특히 제1대구치(1e)에 치근방향의 힘, 특히 화살표 ⑤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구치부(ld, 1e, 1f)의 수직위치 상승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악관절을 이동시켜 악교정도 구현할 수 있고 과도한 잇몸노출도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치부(1a, 1b, 1c)가 설측으로 견인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치부가 설측(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시계방향)으로 과다 회전하여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전치부(1a, 1b, 1c)의 치조골, 즉 잇몸뼈에도 후방 견인력이 가해져서 상기 잇몸뼈의 후퇴를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옥니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잇몸뼈 돌출 및 치아돌출에 의한 돌출입을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 와이어(120)의 경사각이 달라지거나 상기 설측 견인력의 작용위치가 달라져서 상기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에 의한 모멘트가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 와이어(130)가 상기 전치부의 회전에 저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돌출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전치부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치아들의 순측에 순측교정 와이어(10)와 이를 지지하는 전치 브라켓(20)들과 구치 브라켓(30)들을 설치하여 치열을 가지런하게 순측 교정이 병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하악에 설치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악 전치부(1a, 1b, 1c)의 치열을 따라 설측에 고정되는 설측 호선와이어(210)와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2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도 6과 같이 하악에 설치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의 경우에는 설측 견인력 제공을 위한 앵커가 혀(T)로 인해 설치되기 어려우므로,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부재(230)가 와이어 지지구(240)에 의해 지지되며,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견인 와이어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210)에는 복수의 고정부재들(211, 212, 213)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구(240)는 하악 양측 구치부(2d, 2e, 2f), 특히 제1대구치(2e)의 설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와이어(220)를 지지하며, 고정구(250)와 연결 와이어(260)를 이용하여 구치부(2d, 2e, 2f)를 일체화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상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견인부재(230)는 일측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21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 지지구(240)를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 지지구(240)의 후방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 와이어(220)의 후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하악 전치부에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 와이어(2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돌출입 교정와이어 110: 설측 호선와이어
120: 견인 와이어 121: 고리부
130: 지지 와이어 140: 와이어 지지구
150: 견인부재 160: 앵커

Claims (6)

  1. 돌출입 교정을 위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제공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로서;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가능하도록,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설측 호선와이어;
    설측 견인력을 제공하는 견인부재의 연결을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구비되는 견인 와이어;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견인력에 의한 굽힘작용을 받도록,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고정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양측단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며, 양측 구치부의 설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지지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와이어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양측단부에 솔더링에 의해 접합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는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를 상기 전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들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들은 상기 전치부의 치아들에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돌출입 교정와이어.
  6. 돌출입 교정을 위해 전치부에 돌출 교정력을 제공하는 돌출입 교정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치부의 설측면에 고정가능하도록, 전치부의 치열에 맞게 곡률진 형상의 설측 호선와이어;
    설측 견인력의 제공을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구비되는 견인 와이어; 그리고
    상기 설측 견인력에 대한 반작용을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와이어;
    상기 지지 와이어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가이드 홀을 가지며, 양측 구치부의 설측에 고정되는 와이어 지지구;
    상기 견인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설측 호선와이어에 상기 설측 견인력을 부가하는 견인부재; 그리고
    상기 견인부재의 지지를 위해 구개에 정착되는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1020110028467A 2011-03-29 2011-03-29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KR10120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67A KR101200379B1 (ko) 2011-03-29 2011-03-29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EP12763490.5A EP2692309A4 (en) 2011-03-29 2012-03-29 BI MAXILLARY PROGNATHISM CORRECTION WIRE, AND BI MAXILLARY PROGNATHISM CORR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RU2013145969/14A RU2569715C2 (ru) 2011-03-29 2012-03-29 Ортодонтическая проволочная лигатура для исправления бимаксиллярной протрузии 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 этой проволочной лигатурой
PCT/KR2012/002299 WO2012134183A2 (ko) 2011-03-29 2012-03-29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CN2012800160122A CN103442663A (zh) 2011-03-29 2012-03-29 供双颚龅牙矫正的畸齿矫正线及利用该畸齿矫正线的畸齿矫正系统
JP2014502465A JP6082727B2 (ja) 2011-03-29 2012-03-29 突出口矯正ワイヤ及びこれを有する突出口矯正システム
US14/007,329 US20140017624A1 (en) 2011-03-29 2012-03-29 Wire for correcting bimaxillary pro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corr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BR112013024892-0A BR112013024892B1 (pt) 2011-03-29 2012-03-29 Arame ortodôntico para a correção de protrusão bimaxilar e sistemaortodôntico com o mesmo
US14/509,076 US20150118635A1 (en) 2011-03-29 2014-10-08 Wire for correcting bimaxillary protrusion, and bimaxillary protrusion corr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67A KR101200379B1 (ko) 2011-03-29 2011-03-29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56A true KR20120110556A (ko) 2012-10-10
KR101200379B1 KR101200379B1 (ko) 2012-11-12

Family

ID=4693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467A KR101200379B1 (ko) 2011-03-29 2011-03-29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40017624A1 (ko)
EP (1) EP2692309A4 (ko)
JP (1) JP6082727B2 (ko)
KR (1) KR101200379B1 (ko)
CN (1) CN103442663A (ko)
BR (1) BR112013024892B1 (ko)
RU (1) RU2569715C2 (ko)
WO (1) WO201213418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19B1 (ko) * 2012-04-12 2014-07-25 권윤희 돌출입 전용 치아교정장치
KR20160111141A (ko) * 2015-03-16 2016-09-26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101723674B1 (ko)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설측 교정 시스템
KR20190108975A (ko) * 2018-03-16 2019-09-25 김유완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50B1 (ko) * 2014-10-15 2016-07-20 양동민 치열 교정장치
KR101643504B1 (ko) * 2015-07-17 2016-07-27 이종호 맞춤형 치아교정 호선 제작키트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 호선 제작방법
US10478271B2 (en) 2015-09-18 2019-11-19 Vishnu Jagdishbhai Patel Orthodontic appliance for distalization and/or space closure
CN107174355B (zh) * 2016-03-09 2020-04-28 洪澄祥 可拆式齿列矫正装置
CN105877856B (zh) * 2016-03-25 2018-11-16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牙齿矫治器及其使用方法
TWI642415B (zh) * 2017-11-21 2018-12-01 羅秋美 Lingual anterior traction device
EP3505134B1 (en) * 2017-12-28 2022-03-09 Cheng-Hsiang Hung Orthodontic space closure device
RU2684527C1 (ru) * 2018-01-15 2019-04-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я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И.П. Павл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нормализации положения латерального резца верхней челюсти, имеющего небное положение и находящегося в обратном перекрытии
KR102487282B1 (ko) * 2018-11-28 2023-01-13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20200063732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메디센 전방 치아교정 기구 및 이를 갖는 치아 교정장치
KR102197877B1 (ko) * 2018-12-20 2021-01-04 장선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JP6557887B1 (ja) * 2019-01-07 2019-08-14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CN109925073A (zh) * 2019-03-20 2019-06-25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ⅱ类错颌带储能元件的隐形正畸矫治器
CN110063801B (zh) * 2019-05-23 2024-01-30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
CN110013332B (zh) * 2019-05-23 2024-01-30 四川大学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DE102019133914A1 (de) 2019-12-11 2021-06-17 Accurec Recycling GmbH Verfahren zum Aufschließen von elektro-chemischen Energiespeichern sowie thermische Behandlungsanlage
JP6989904B2 (ja) * 2020-06-22 2022-01-12 中部医療有限会社 歯列矯正装置
CN112545684B (zh) * 2020-12-04 2022-04-01 河北省眼科医院 一种前方牵引与磨牙远移结合型口腔正畸装置
CN113712690A (zh) * 2021-08-31 2021-11-30 北京非凡禾禾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骨性iii类错畸形矫治方法
RU209387U1 (ru) * 2021-10-05 2022-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нструмент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KR102600768B1 (ko) 2022-11-08 2023-11-09 이은승 치열 교정기용 간극 채움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754A (en) 1976-02-27 1977-08-02 Northwest Orthodontics, Inc. Orthodontic appliance guard
US4455137A (en) * 1981-11-17 1984-06-19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4412819A (en) * 1982-09-15 1983-11-01 Cannon James L Orthodontic arch wire
JPH08275960A (ja) * 1995-04-03 1996-10-22 Sankin Kogyo Kk 歯列矯正具
JPH09135849A (ja) * 1995-11-16 1997-05-27 Dento Shoji:Kk 歯列矯正装置
WO1998051230A1 (fr) 1997-05-16 1998-11-19 Shofu Inc. Dispositif orthodontique
KR200196064Y1 (ko) * 2000-04-17 2000-09-15 정규림 피질골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기구
CN2492204Y (zh) * 2001-08-16 2002-05-22 武汉市江岸区人民医院 螺旋推移磨牙矫治器
KR100479967B1 (ko) 2003-04-02 2005-04-07 임갑선 치열교정부재
KR200395570Y1 (ko) * 2005-06-21 2005-09-13 정택빈 치열교정용 와이어 끝단 덮개
KR100737442B1 (ko) * 2006-09-18 2007-07-10 임승민 치열교정을 위한 구치(臼齒)용 후크
US20080108008A1 (en) * 2006-11-08 2008-05-08 Kun Sung Chung Systems and methods for orthodontic treatments
KR100991447B1 (ko) * 2008-08-13 2010-11-04 주보훈 돌출입 교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819B1 (ko) * 2012-04-12 2014-07-25 권윤희 돌출입 전용 치아교정장치
KR20160111141A (ko) * 2015-03-16 2016-09-26 권순용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와이어 서포터 및 이를 갖는 치아교정장치
KR101723674B1 (ko) * 2016-12-09 2017-04-05 정유미 설측 교정 시스템
KR20190108975A (ko) * 2018-03-16 2019-09-25 김유완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3620A (ja) 2014-06-05
EP2692309A2 (en) 2014-02-05
CN103442663A (zh) 2013-12-11
RU2569715C2 (ru) 2015-11-27
WO2012134183A3 (ko) 2013-01-10
EP2692309A4 (en) 2014-09-10
BR112013024892A2 (pt) 2019-02-26
WO2012134183A2 (ko) 2012-10-04
KR101200379B1 (ko) 2012-11-12
US20150118635A1 (en) 2015-04-30
RU2013145969A (ru) 2015-05-10
US20140017624A1 (en) 2014-01-16
JP6082727B2 (ja) 2017-02-15
BR112013024892B1 (pt)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79B1 (ko) 돌출입 교정와이어 및 이를 갖는 돌출입 교정시스템
JP6539294B2 (ja) 着脱可能な歯列矯正装置
CN110063801B (zh) 一种隐形矫治器
KR101641350B1 (ko) 치열 교정장치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CN109730788B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US6382966B1 (en)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KR200460660Y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CN210144771U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KR101760251B1 (ko) 치열 교정장치
KR101249175B1 (ko) 치아 교정장치
KR101251946B1 (ko) 치열교정 키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치열교정 키트
KR101094139B1 (ko) 치과교정기구
CN209827045U (zh) 一种导下颌向前矫治器
KR101205632B1 (ko)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KR101158726B1 (ko)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KR102055497B1 (ko)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CN110840591A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CN209827044U (zh) 一种导下颌向前的舌侧功能矫治器
CN209827043U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矫治二合一的唇侧矫治器
CN211271268U (zh) 腭侧支架式种植支抗
CN213030884U (zh) 牙齿矫治套组和牙齿矫治器
CN220001955U (zh) 用于下颌前导的矫治装置及矫治系统
JP7323967B1 (ja) 歯列矯正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