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180A -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180A
KR20150032180A KR20140120422A KR20140120422A KR20150032180A KR 20150032180 A KR20150032180 A KR 20150032180A KR 20140120422 A KR20140120422 A KR 20140120422A KR 20140120422 A KR20140120422 A KR 20140120422A KR 20150032180 A KR20150032180 A KR 20150032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teeth
user
patient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586B1 (ko
Inventor
오. 베르거센 얼
Original Assignee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은 교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치아 및/또는 환자의 턱을 야기할 수 있다. 기기의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혀 돌출부는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되어 환자의 상악에 접촉한다. 돌출부는 입에 대하여 앞으로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연장되어 입술에 접촉할 수 있으며, 하부 치아에 대해 힘을 뒤로 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Ⅲ problems of mandibular proganthism}
본 발명은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부정교합 특히, 하악 전돌자(mandibular proganthism)의 교정을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구강 기기의 장착과 함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가 환자에게 제공됨을 일반적으로 알 수 있다. 보통, 환자는 치료사 사무실로 예를 들어 치과 의사, 치과 교정 전문의 또는 다른 형태의 치료사를 방문할 수 있다. 치과 의사는 예를 들어, 구강 영역 및/또는 턱을 이미지화 및/또는 x-ray화를 포함하는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할 수 있다. 진단이 이루어진 후에, 치과의사는 환자의 질환을 교정하기 위한 구강 기기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강 기기에 추가로, 치과의사는 구강 기기를 착용하는 동안 수행해야 하는 운동에 대한 설명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동은 예를 들어 치아를 올바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부정교합의 교정을 도울 수 있다. 하악 전돌자의 경우에, 구강 기기 및 운동은 상악을 전진시킬 수 있고, 하악을 들어가게 하여 환자에 하부턱(lower jaw) 과잉과 같은 Ⅲ급 문제를 교정 및/또는 방지하는데 이상적일 수 있는 수평피개교합(overjet) 및 수직피개교합(overbite)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운동은 환자가 싫증낼 수 있고 및/또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운동은 환자에게 통증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을 실행할 동기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어 환자는 그것을 포기할 수 있거나 또는 반대로 부정교합의 교정을 도와주는 운동을 정기적으로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부정교합은 완벽히 교정될 수 없다. 다른 경우에, 환자는 운동할 시간이 없을 수 있다. 운동 실행의 실패는 부정교합의 완벽한 교정을 방지할 수 있거나 또는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상태는 하악전돌(prognathism)이다. 턱 중 어느 하나가 두개골의 관상면에 소정의 가상선을 넘어 돌출된 하악전돌은 신체 골격에 하악 및/또는 상악의 위치 관계일 수 있다. 상악은 한 쌍의 상악 뼈 또는 상악골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악간(intermaxillary) 봉합으로 결합될 수 있는 두 반쪽이 상부 턱을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하부 턱 또는 하악은 하악결합(mandibular symphysis)으로 두 반쪽의 결합일 수 있다. 상부 치아 및/또는 하부 치아가 가지런하지 않는 부정교합을 포함하는 상악전돌은 또한 상악골 치열궁(dental arche) 및/또는 하악골 치열궁이 서로 관계 있는 방식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에서, 구강 수술, 악안면 수술(maxillofacial surgery) 및/또는 치과 교정술(orthodontics), 하악전돌(prognathism)은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cephalometrics)를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또는 방사선 사진술로 가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형태의 하악전돌은 환자의 위 치아 및/또는 아래 치아가 제대로 가지런하지 않는 수평피개교합을 포함하는 부정교합의 흔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분석이 신체 골격, 교합 평면 각(occlusal plane angulation), 얼굴의 높이, 연한 조직 평가 및 전방 치아 각(anterior dental angulation)의 평가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측모두부계측방사선 분석은 모든 형태의 하악전돌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일 수 있다.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 방사선 사진에 다양한 계산 및 정보의 평가는 임상의(clincian)가 치아 관계 및/또는 골격 관계를 객관적으로 결정하여 교정 계획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하악전돌자는 얼굴 하단 3분의 1(lower third)에 영향을 미치는 치아안면 이상(dentofacial anomaly)인 Ⅲ급 부정교합이다. 하악전돌자는 하부 앞니(lower incisors)가 상부 앞니(upper incisors)와 종종 중첩하는 하악 돌출부로 특정될 수 있다. 돌출한 하부 턱은 하악 자체가 앞으로 돌출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경사 Ⅲ급 부정교합 교정에 최고 결과를 얻기위하여, 부정교합의 병인(etiologies)이 처음으로 명확하게 될 수 있고 그 다음 적합한 양상이 결정될수 있다. 경사 Ⅲ급 부정교합은 3 범주로 분리될 수 있다. A 유형은 상악이 정상이지만 하악이 과성장될 수 있는 하악 전돌자이다. B 유형은 전방 교차교합(anterior crossbite)과 함께 과성장한 상악과 하악의 특징이다. C 유형은 전방 교합과 함께 저형성 상악(hypoplastic maxilla)을 나타낸다. 양상들은 경사 Ⅲ급 부정교합의 분류에 따라 구별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많은 Ⅲ급 부정교합을 위해, 수술이 최고의 대안일 수 있다. 골격 편차량에 따라, 수술교정(surgical correction)은 하악 후퇴(mandibular setback), 상악골 전진술(maxillary advancement) 또는 하악골의 조합(combination of mandibular) 및 상악골 절차(maxillary procedures)로 구성될 수 있다. 골격 편차의 수술 교정 후, 교합(occlusion)은 Ⅰ급 관계를 치과교정술처럼(orthodontically) 보통 마무리될 수 있다.
Ⅲ 급 부정교합의 수술 교정, 특히 하악전돌자는 여러가지 방법 예를 들어, 하악을 후퇴시키기 위한 양측성 시상분할술(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또는 상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르 포트 I 절차(Le Fort I procedure), 또는 이들 절차의 조합으로 착수될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된 수술 위험과 합병증이 고려되어야 하며, 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된다.
만일, 비수술 대안이 그것들과 비교하여 수술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면, 치과의사 및/또는 치과교정은 환자에게 그러한 비수술 요법을 고려 및/또는 제안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비수술 요법은 치과의사, 치과교정 및/또는 환자의 바람직한 선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면 성장 변형(facial growth modification)은 성장하는 아이들에 골격 Ⅲ급 턱 불일치(jaw discrepancies) 해결에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 턱 컵(chin cup), 얼굴 마스크, 턱 컵 견인과 결합되는 상악골 돌출부를 포함하는 치과 교정기기(Dentofacial orthopedic) 및 프랭클 기능 조절 Ⅲ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교정 치료와 함께 교정 수술은 성인 환자에서 하악 전돌자의 교정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보통, 많은 구강 기기는 환자의 치열(dentition)을 수용 및/또는 이동시키는 상부 순음 차폐판(upper labial shield) 및 하부 순음 차폐판(lower labial shield)를 구비한다. 확실한 경우에, 상부 치열이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하부 치열이 움직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상부 치열과 하부 치열이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순음 차폐판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상부 궁(arch, 弓) 및 전체 상부 치열이 기기에 의해 앞으로 밀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젊은 나이의 환자의 하악 전돌자 교정을 위한 비수술 요법이 요구된다. 또한, 부정교합 특히, 하악 전돌자를 교정하기 위해 구강 기기의 장착과 함께,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필요한 환자 협력 및/또는 운동 량을 감소시키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부정 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구강 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부정교합 특히, 하악 전돌자를 교정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구강 기기의 장착과 함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mouth)의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입술, 혀, 상악 및 치아를 구비한다. 치아는 상부 앞니와 하부 앞니를 구비한다. 기기는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와 전방부에 대해 뒤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상부 몸체를 구비한다. 상부 몸체는 상부 베이스의 외부 경계를 규정하는 둘레를 갖는 상부 베이스를 구비한다. 상부 몸체는 상부 몸체의 후방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을 구비한다. 기기는 또한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를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하부 몸체를 구비한다. 하부 몸체는 하부 베이스의 외부 경계를 규정하는 둘레를 갖는 하부 베이스를 구비한다. 하부 베이스는 사용자의 치아의 폭 보다 큰 폭을 구비한다. 하부 몸체는 하부 몸체에 저점(trough)을 규정하는 하부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을 구비한다. 혀 돌출부들(lingual protrusion)은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할 수 있다.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혀 돌출부는 사용자의 상악에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는 입에 대하여 앞으로 몸체의 전방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돌출부는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할 수 있어 하부 치아에 대하여 후방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상부 몸체의 상부 베이스의 후방부 위에 융기면(raised surface)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상부 몸체로부터 일반적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선반(shelf)를 구비할 수 있다. 선반은 상부 전방 베이스에 인접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안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기기가 사용자의 압안에 장착되는 경우 혀를 가이드하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 상부 베이스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램프는 상부 앞니에 힘을 가할 수 있고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장착되는 경우 앞으로 및 아래로 상부 앞니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부 베이스는 입안에서 가장 먼 치아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혀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융기 돌출부를 구비한다. 융기 돌출부는 사용자의 입안에 기기가 장착되는 경우 혀에 직접 닿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하부 몸체에 저점에 접촉하는 이장재(reline material)를 구비할 수 있다. 기기가 사용자의 입에 장착되는 경우 이장재는 하부 몸체를 하부 치아에 부착할 수 있어 하부 치아에 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기는 완충재(resilient material)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저점(trough)은 거친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혀 돌출부들은 상부 몸체의 전방부의 중심에서 뒤로 연장하는 중심탭(center tab) 및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한 중심 탭의 각 측면에 인접한 사이드 탭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안에 기기가 장착되는 경우 혀 돌출부들은 사용자의 상악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부 베이스는 편평한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환자의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환자는 상부 앞니를 갖는 상부 치아, 하부 치아, 구개(palate), 혀 및 입술을 갖는 입을 구비한다. 방법은 부정교합을 갖는 환자의 입으로 기기를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기기는 상부 몸체와 상부 몸체의 아래에 있는 하부 몸체를 구비한다. 상부 몸체는 경사면과 뒤로 연장한 혀 탭을 갖는 전방부 및 상승된 교합면(occlusal surface)을 갖는 후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몸체는 하부 몸체에서 연장한 차폐판을 구비할 수 있다. 차폐판은 하부 몸체가 입에 위치되는 경우 하부 치아를 둘러쌀 수 있다. 하부 몸체는 전방 확장부 및 저점을 구비할 수 있다. 방법은 기기가 환자의 입에 장착될 때 상부 몸체의 혀 탭이 구개에 접촉하도록 기기의 상부 몸체에 대하여 혀를 누르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방법은 또한 립이 하부 몸체의 전방 확장부를 접촉하도록 환자의 입 후방에 하부 치아를 밀어주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방법은 상승된 교합면이 후방 상부 치아에 접촉하여 후방 상부 치아를 가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방법은 경사면이 상부 앞니에 접촉하도록 환자의 입에 대하여 전방 및 하방으로 상부 앞니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방법은 하부 몸체의 저점에 하부 치아에 접촉하는 이장재를 추가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방법은 경화시 경화성 재료가 하부 치아에 따라 라이닝(lining)을 형성하도록 경화성 물질로 하부 치아를 둘러싸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입에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되는 치과교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는 상부 턱, 하부 턱, 입술 및 혀를 구비한다. 상부 치아는 상부 앞니와 상부 어금니를 구비하며, 하부 치아는 하부 앞니와 하부 어금니를 구비한다. 치과교정 시스템은 전방부와 전방부 뒤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갖는 상부 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기기의 후방부는 상부 어금니에 접촉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은 하부 기기에 저점을 규정하는 하부 기기로부터 수직으로 아래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부 차폐판을 갖는 하부 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기기는 하부 앞니와 하부 어금니에 접촉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시스템은 하부 기기의 저점에 하부 치아와 접촉하는 라이닝을 구비할 수 있다. 기기가 사용자의 입에 착용되는 경우 라이닝은 하부 기기를 하부 치아에 부착하여 하부 치아에 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부 턱에 접촉하는 상부 기기의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한 탭을 구비할 수 있고,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장착되는 경우 하부 턱에 대하여 앞으로 상부 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입에 대하여 하부 기기의 외부 차폐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범퍼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상부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장착되는 경우 입술이 범퍼에 대하여 후방으로 힘을 가하여 상부 턱에 대하여 후방으로 하부 턱이 이동한다.
일 실시예로서, 시스템은 상부 기기에 선반을 가질 수 있다. 선반은 상부 기기의 전방부 뒤에 탭과 함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시스템은 상부 기기를 하부 기기에 결합시키는 힌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시스템은 상부 기기의 후방부에 융기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된 경우 융기면은 상부 어금니를 가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입에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기기가 제공된다. 기기는 상부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와 전방부의 뒤에 위치한 후방부를 갖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상부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몸체는 외부 둘레와 외부 둘레에 내부에 위치된 내부 둘레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몸체는 상부 몸체의 외부 둘레를 따라 연장한 상부 순음 차폐판(labial shield)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 둘레를 갖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하부 몸체는 하부 몸체의 외부 둘레를 따라 연장한 하부 순음 차폐판을 구비할 수 있다. 혀 돌출부들은 상부 몸체의 내부 둘레의 후방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반적으로 연장될수 있다. 기기가 사용자의 입안에 장착되는 경우 혀 돌출부들은 사용자의 구개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점은 구강 기기 및 구강 기기를 사용하여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부정교합 교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구강기기를 사용한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요구되는 운동 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구강기기를 사용한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환자가 야간 수동 착용 기간 동안 구강 기기를 착용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환자의 큰 비율이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해 구강 기기를 착용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예를 들어 자는 동안 구강기기의 수동 착용하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구강 기기가 전방 및/또는 후방 치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점은 구강 기기는 하부 궁과 상부 궁에 동시에 착용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구강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는 무는 힘(biting force)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점은 먼 치아에서 구강 기기의 이동을 방지하여 치아의 이동을 교정 위치로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인 하나 이상의 차폐막을 갖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이, 구개 확장 및/또는 앞으로 구개를 전진시키기 위하여 구개에 대하여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개에 접촉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치아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치아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기억 능력(retentive ability)을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하나 이상의 치아에 대한 내부 표면을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상부 턱과 하부 턱이 가지런해질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기기가 완충재로 형성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구개 상부궁의 확장을 장려하기 위해 혀가 높은 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상부 혀 영역에 탭을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혀가 구개의 확장을 장려하는 혀 탭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상부 몸체의 후방부에 혀 탭을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구강기기를 사용한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에 대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사용하는 동안 혀를 다시 앞으로 밀어주도록 중심선에서 상부 혀 영역에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의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사용 동안 환자가 혀를 재위치하도록 기기의 상부 혀 영역에 승강부를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사용 동안 환자가 혀를 재위치하도록 기기의 상부 혀 영역에 리마인더 범프(reminder bump)를 구비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하부 턱 돌출부와 같은 Ⅲ급 턱 관계를 교정하기 위해 하부 턱을 뒤로 이동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이점은 후방 치아가 혀에서 치아를 가압하는 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허용하도록 기기의 상승된 후방 영역과 결합하는 전방 혀 차폐판의 제거를 거의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기기가 정사각형, 테이퍼 또는 보통 형태 궁과 같은 다양한 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고무, 실리콘, 아크릴, 또는 어떤 영역의 기기에 유지성 또는 착용감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 영역에서 치아의 이동을 중지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점은 부정교합을 교정하고 그리고 다양한 연령의 유치, 혼합된 및/또는 성인 치아 상태를 바르게 하며, 그리고 성장 및/또는 동일 문제 교정으로부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이즈의 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치아의 성장(eruption)을 제어하고 및/또는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해 치아를 약간 가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이후 단계에서 충분히 치아가 바르게 될 수 있어 보통의 교정기 및/또는 다른 형태의 치아 교정을 피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평균의 턱 및/또는 어금니 관계인 경사 Ⅰ급, 평균 위치에서 뒤로 밀린 하부 턱 및/또는 어금니를 갖는 Ⅱ급 또는 위치에서 앞으로 돌출된 하부 턱 및/또는 어금니를 갖는 Ⅲ급 인 턱 관계를 교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약간의 문제 교정에서 더욱 편리 및/또는 더욱 효과적일 수 있는 다양한 탄력성 및/또는 강성으로 제조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구강 기기의 질식 및/또는 연하(swallowing, 嚥下)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부정교합 교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환자의 교합 바이트(occlusal bite)를 교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젊은 사람의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구강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영구치 및/또는 유치가 입에서 존재 및/또는 자라는 동안 사람의 부정교합을 보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자라는 치아를 입에 바람직한 위치로 가이드됨으로써 사람의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총 시간을 단축하는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단지 하나의 구강 기기를 필요로하는 환자의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비싸지 않는 환자의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구강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일반인에게 매력적일 수 있는 환자의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구강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점은 약간의 조정이든 및/또는 치과의사 또는 치과 교정의에 의한 약간의 처방이든 필요로 하는 환자의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구강기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이 설명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기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부정교합을 교정하기 위한 구강 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구강 기기의 착용과 함께 부정교합 특히 하악 전돌자를 교정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슷한 부호가 비슷한 부품을 지칭하는 도면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은 환자의 입에 사용하는 치과 및/또는 교정용 기기의 실시예를 다양한 도면으로 도시한다. 기기(10)는 대략 3세 내지 8세의 환자에 착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나이의 환자들 또한 기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기기(10)는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및/또는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기(10)는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기기(10)의 탄성은 입에 착용된 경우 환자에 대해 장치의 편안함 및/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서, 기기(10)는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몸체(12) 및/또는 하부 몸체(14)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 및/또는 환자의 입안에 착용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U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4)의 형태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변형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구조의 변형은 입의 크기, 입의 형태, 환자의 치아 궁, 환자의 나이, 환자의 민족성 등에 기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4)의 일반적으로 U 형태는 환자에 따라 축소, 확대, 연장 및/또는 단축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 및/또는 하부 몸체(14)의 형태는 어떠한 환자의 구조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는 전방부(15) 및 전방부(16) 반대편에 위치되는 후방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착용된 경우 전방부(16)는 환자의 구강(oral cavity) 근처 및/또는 앞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부(18)는 기기(10)가 환자에 장착된 경우 환자의 구강 내 가장 멀리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부 몸체(12)의 전방부(16)는 환자의 입 앞에 입술 뒤 순음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되는 경우 상부 몸체(12)는 환자의 상악, 구개 및 상부 턱에 상부 치아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하부 몸체(14) 또한 전방부(20) 및 전방부(20) 반대편에 위치되는 후방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착용된 경우 전방부(20)는 환자의 구강 근처 및/또는 앞에 위치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착용된 경우 후방부(22)는 환자의 구강 내 가장 멀리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몸체(14)의 전방부(20)는 환자의 입 앞에 입술 뒤 순음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된 경우 하부 몸체(14)는 환자의 하부 뼈 및/또는 하악에 하부 치아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의 후방부(18)는 돌출부 말단들(24)을 구비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착용된 경우 상부 몸체(12) 후방부(18)의 돌출부 말단들(24)은 환자의 구강 내 가장 먼 위치 및/또는 환자의 구강 뒤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부 몸체(12)의 돌출부 말단(24)은 환자의 상부 어금니 가까이 입의 뒤쪽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몸체(14)의 후방부(22) 또한 돌출부 말단들(26)을 구비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착용된 경우 하부 몸체(14) 후방부(22)의 돌출부 말단들(26)은 환자의 구강에서 가장 먼 위치 및/또는 환자의 구강 뒤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몸체(14)의 돌출부 말단들(26)은 환자의 후방 어금니 가까이 입의 뒤쪽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10)는 상부 턱을 앞으로 전진할 수 있는 상악의 전방부에 대해 환자가 혀를 누름으로써 상악을 전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기(10)의 상부 몸체(12)는 상부 베이스(30)를 구비할 수 있고, 하부 몸체(14)는 하부 베이스(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3)는 환자의 상부 치아를 수용할 수 있으며, 하부 베이스(31)는 환자의 하부 치아를 수용할 수 있다. 하부 베이스(31)는 또한 하부 순음 차폐판(3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순음 차폐판은 상부 베이스(30)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환자의 구강 및 상부 치열에 대하여 기기(10)의 형태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상부 치아 중 일부는 상부 베이스(30) 내 및/또는 안에 접촉 및/또는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베이스(30)는 융기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융기부(35)는 기기(10)의 상부 몸체(12)의 후방부(18)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융기부(35)는 돌출부 말단들(24)에서 상부 몸체(12)의 전방부(15)를 따라 전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몸체(12)는 또한 상부 몸체(12)에 부착된 상부 벽(37)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벽(37)은 상부 몸체(12)의 상부 베이스(30)에 상부좌측면(38) 및 상부우측면(39) 각각의 후방부(18)에 외주변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부 베이스(30)는 약간 및/또는 모든 상부 치열을 수용할 수 있다. 상부 후방 치아 예를 들어 어금니는 상부 벽(37) 내 상부 베이스(30)에 고정될 수 있다. 환자가 기기(10)를 착용할 때, 융기부(35)는 상부 후방 치아를 누를 수 있다. 상부 후방 치열의 가압은 상부 앞니가 분출되는 것을 또한 장려함으로써 환자의 물기(bite)를 심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벽(37)은 또한 환자에 대한 증가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벽(37)이 환자의 입안 기기(10)의 과도한 및/또는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부 벽(37)은 기기(10)의 물리적인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벽(37)은 기기를(10)를 연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악의 발전을 확장하려면, 예를 들어 실시예의 기기(10)는 또한 세 영역에 위 및/또는 뒤쪽 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 및/또는 탭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중앙 탭(40)은 환자의 상부 중앙 앞니에 및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덧붙여, 사이드 탭(41)은 중앙 탭(40)의 각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이드 탭(41)은 환자 입의 앞니 각각의 측면에 상부 옆 및/또는 송곳니에 및/또는 위에 혀일 수 있다. 그러므로, 세개의 탭(40, 41)은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탭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탭이 제공될 수 있다.
중앙 탭(40)은 전면(42) 및 후면(43)을 구비할 수 있다. 중앙 탭(40)의 전면(42)은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비슷하게, 사이드 탭(41)은 전면(44) 및/또는 후면(45)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탭(41)의 전면(44) 또한 일반적으로 평면일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에 의해 착용되는 경우, 중앙 탭(40)의 전면(42) 및/또는 사이드 탭(41)의 하나 및/또는 두개의 전면(44)은 상악에 접촉할 수 있다. 중앙 탭(40)의 전면(42)과 몸체(15)의 상부에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전면(44)의 결합은 상악의 전체에 걸쳐 밀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탭(40)의 전면(42)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전면(44)의 결합은 미리 상악 부위의 전체 영역에 걸쳐 더 완전한 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리마인드 범프(47)는 중앙 탭(40)의 후면(43)에 상부 여백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상부 여백에 위치될 수 있다. 리마인드 범프(47)는 중앙 탭(40)의 후면(43)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의 상부 여백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마인드 범프(47)는 환자의 혀에 의해 발견할 수 있는 상승된 돌출부일 수 있다. 리마인드 범프(47)는 일반적으로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및/또는 삼각형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형태로든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기(10)가 환자에 의해 착용된 경우, 리마인드 범프(47)는 환자를 위해 가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혀는 중앙 탭(40)의 후면(43)에 리마인드 범프(47)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 개의 사이드 탭(41) 후면(45)에 하나 및/또는 두개의 리마인드 범프(47)를 느낄 수 있다. 리마인드 범프(47)는 압력을 가하는 기기(10)의 적절한 영역에 편리한 표시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기기(10)는 중앙 탭(40) 및/또는 사이드 탭(41) 근처에 위치된 상부 전방 혀 구획(50)을 구비할 수 있다. 환자의 혀는 중앙 탭(40)의 후면(43)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리마인드 범프(47)에 대해 밀 수 있다. 중앙 탭(40)의 후면(43)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대하여 환자의 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압력은 중앙 탭(40)의 전면(42)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전면(44)을 환자의 구개의 전방부에 접촉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의 혀에 의해 가압된 압력은 구개를 앞으로 밀어 구개의 전방부에 대해 앞으로 옮길 수 있다. 이 움직임에서 생성된 압력은 적절한 영역에서 상악 전체로 진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악에 대해 미는 혀는 상악 전체를 전방부 및/또는 앞으로 미는 것을 허용하는 횡구개 구조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혀의 가압은 특히 젊은 환자에 Ⅲ급 하악 과성장을 교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기(10)의 상부 전방 혀 구획(50)은 선반(51)을 구비할 수 있다. 선반(51)은 중앙 탭(40)의 후면(43)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선반(51)은 전방 구개 및 환자의 상악에 대해 기기(10)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높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혀를 가이드하도록 앞 및 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중앙 탭(40)의 후면(43)에 리마인드 범프(47)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 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리마인드 범프(47)에 추가로, 상부 혀 구혁(50)의 선반(51)에 점진적인 경사는 또한 적절한 방향으로 전체 상악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혀를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램프(52)는 상부 몸체(12)의 전방부(20)에 상부 베이스(30)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 안에 착용된 경우 램프(52)는 상부 앞니에 힘을 가할 수 있어 상부 앞니를 앞 및 아래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램프(52)의 경사는 위 및/또는 아래로 상부 앞니를 가이드 할 수 있어 환자의 수평피개교합(overjet) 및 수직피개교합(overbite)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하면 젊은 환자에 Ⅲ급 부정교합 과성장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부 혀 구획(50)에 대해 혀에 의해 가압된 전방 및/또는 앞쪽 압력에 추가로, 및 특히 중앙 탭(40)의 후면(43)에 리마인드 범프(47)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하나 및/또는 두개의 리마인드 범프(47) 압력은 후방 및/또는 뒤쪽 방향으로 하부 치열에 대해 동시에 가할 수 있다. 동시에 후방 압력은 범퍼(55)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범퍼(55)는 기기(10)의 하부(14)의 전방부(20)에 하부 순음 차폐판(32)의 입술부에 걸쳐 입술쪽의 확장된 영역일 수 있다. 하부 치열에 대해 후방 압력은 또한 젊은 환자에 Ⅲ급 하악골 과성장을 교정하는데 도와줄 수 있다. 환자의 입술은 후방 방향으로 하부 치열을 촉구하는 범퍼(55)에 대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입의 입술 및 순음 구조는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되는 동안 범퍼(55)에 대해 계속적인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기기(10)의 하부 몸체(14)는 하부 몸체(14)의 외주변에 배열된 하부 순음 차폐판(32)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몸체(14)는 또한 내부 능선(62)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순음 차폐판(32) 및 내부 능선(62)은 하부 저점(65)을 규정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되는 경우 하부 저점(65)은 환자의 하부 치열의 일부 및/또는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및 하부 치열에 대하여 기기(10)의 형태 및/또는 크기에 따라, 하부 치아의 중 일부는 하부 저점(65) 내에 고정될 수 없다.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 몸체(14)는 기기(10)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몸체(12)와 결합될 수 있다. 기기(10)의 하부 베이스(31)에 형성된 하부 저점(65)은 하부 몸체(14)의 외주변에 하부 순음 차폐판(32) 및 하부 몸체(14)의 내주변에 내부 능선(6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환자의 입에 기기 유지 및/또는 기기(10) 사용하는 부정교합의 교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몸체(14)의 하부 베이스(31)에 하부 저점(6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장재(reline material)를 수용할 수 있다. 이장재(60)는 예를 들어 셀프 큐어 아크릴(self-cure acrylic)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장재(60)는 예를 들어 주사기(61)로 주입될 수 있다. 이장재(60)는 또한 예를 들어 하부 저점(65)에 이장재(60)를 번지도록 도시된 것 처럼 스패툴라(spatula, 63)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기(10)의 하부 몸체(14)의 하부 베이스(31)는 질감, 굵은 및/또한 거친 표면(67, 이하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표면(67)은 하부 순음 차폐판(32) 내에 및/또는 따라 하부 저점(65) 및/또는 내부 능선(62)에 위치될 수 있다. 표면(67)은 이장재(6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표면(67)은 이장재(60)를 하부 베이스(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67)은 기기(10)의 저점(65)에 대하여 이장재(60)에 최고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저점(65)의 표면(67)으로 이장재(60)를 삽입한 후에, 기기(10)는 환자의 입에 위치될 수 있다. 기기(10)는 환자의 하부 치아에 대해 강제로 누를 수 있다. 특히, 하부 베이스(31)는 하부 치아 아래로 강제로 밀어줄 수 있다. 이장재(60)가 설정될 때까지 환자는 또한 압력 하에 기기(10)를 유지하기 위해 물고 있을 수 있다. 이장재(60)가 설정되는 경우, 기기(10)는 환자의 입에서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장재(60)는 예를 들어 2 1/2분 동안 환자의 입에 서 경화될 수 있다. 이장재(60)는 주위에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유동할 수 있고 및/또는 경화된 이장재(60)의 라이닝(69)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치열을 봉합할 수 있다. 경화된 이장재(60)의 라이닝(6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부 치아 중 적어도 일부에 피팅 라이닝(fitting lining)을 형성할 수 있다. 라이닝(69)은 기기(10) 및 환자의 하부 치열 사이에 보다 안전하고 및/또는 알맞게 설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이닝(69)으로 경화된 경우 이장재(60)는 환자의 치아에 대해 기기(10)를 안전하게 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된 경우 라이닝(69)의 목적은 환자의 하부 치열 전체를 먼 쪽에서 및/또는 후방향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장재(60)는 치아가 접촉될 수 있는 어느 영역의 기기(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타낸 특정한 경우에, 하부 앞쪽 치아, 예를 들어 하부 저점(65)의 앞에 앞니는 이장재(60)로 라이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하부 앞 치아는 기울어짐 없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하부 저점(65)의 앞에 하부 앞 치아는 이장재(60)로 라이닝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하부 앞 치아의 크라우딩(crowding)한 경우에, 하부 저점(65)의 앞에 하부 앞 치아가 이장재(60)로 라이닝될 수 없다. 그러므로, 후방 하부 치아는 하부 앞 치아의 크라우딩을 완화할 수 있는 이동을 위해 하부 앞 치아에 대한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후방으로 이동 및/또는 비발치(distalized)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 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될 수 있다. 하부 몸체(14)는 환자의 상부 턱 및/또는 하부 턱을 개방하기 위해 후방부(26)에 근접한 상부 몸체(12)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된 기기(10)는 환자에게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이 입에 기기(10)를 착용할 경우, 기기(10)는 환자의 입에 안정될 수 있다. 기기(10)의 힌지 구성은 또한 환자에게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10)의 힌지 구성은 환자의 입 안에 기기(10)의 과도한 및/또는 원치않은 이동 및/또는 기기(10)의 흡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기기(10)는 느긋하게 걷고, 휴식 및/또는 수면하는 동안 기기(10)는 밤에 환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시간 걷는 동안 기기(10)의 사용은 부정 교합의 교정 및/또는 교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 단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개의 상부 전방부에 대해 혀를 밀어줄 때 수면 및 하루 중 두시간까지 기기(10)를 착용할 수 있다.
환자는 알려진 기기에 요구되는 것보다 적은 양의 협조로 부정교합을 교정할 수 있는 운동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는 중앙 탭(40)의 후면(43)에 리마인드 범프(47) 및/또는 하나 및/또는 두개의 사이드 탭(41)의 후면(45)에 하나 및/또는 두개의 범프(47)에 대하여 혀를 앞으로 가압할 수 있다. 더욱이, 치아의 이동은 부정교합의 교정을 위해 필요로하는 운동량 또는 다른 협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치아의 크라우딩 동안 공간이 환자의 입안에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치아는 기기(10)의 착용 전에 빼거나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는 예를 들어 환자가 깨어있거나 활동할때 낮시간에 기기의 착용성을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정교합이 교정되는 동안 전반적인 시간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환자의 전반적인 시간 기간은 환자가 깨어있거나 또는 활동시간 동안 기기의 착용이 감소되는 동시에 4달 내지 10달 기간에서 2년 이상의 기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10)의 상부 몸체(12)는 상부 몸체(12)의 외주변에 배열되는 상부 순음 차폐판(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몸체(12)는 상부 몸체(12)의 후방부(18)의 내주변에 배열된 측면 구개 탭(72)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순음 차폐판(70) 및 구개 탭(72)은 상부 저점(75)을 규정할 수 있다. 기기(10)가 환자의 입에 착용되는 경우 상부 저점(75)은 환자의 상부 치열의 일부 및/또는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환자의 구강 및 상부 치열에 대하여 기기(10)의 형태 및/또는 크기에 따라 상부 치아 중 일부는 상부 저점(75) 내에 고정될 수 없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개 탭(72)은 기기(10)의 상부 몸체(12)의 내주변에 형성 및/또는 부착될 수 있다. 구개 탭(72)은 기기(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기(10)의 구개 탭(72)은 환자의 구개에 인접, 접촉 및/또는 근접할 수 있다.
구개 탭(72)은 환자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는 구개 탭(72)에 대해 혀를 가압함으로써 구개의 상승을 지시할 수 있다. 구개 탭(72)에 대해 가압하는 혀는 예를 들어 엄지 빨기 및/또는 손 빨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좁은 구개를 넓힐 수 있는 측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개 탭(72)에 대해 가압하는 혀는 엄지빨기 버릇을 계속하여 구개를 좁게하는 것을 억제 및/또는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구개 탭(72)에 대해 가압하는 혀는 상방향으로 상악의 전진이 바람직하지 않고 및/또는 환자의 상태를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좁은 구개를 넓힐 수 있는 측면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구개 탭(72)은 혀가 밀어야하는 곳을 상기시키는 원형 범프(73)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범프(73)는 원형 및/또는 구형일 수 있다. 하나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알려진 바와 같이 범프(73)는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구개 탭(72)의 범프(73)는 구강의 폐쇄 및/또는 폐쇄된 위치에 기기(10)의 착용 동안 환자의 혀를 교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환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더욱이, 구개 탭(72)은 환자에 의해 연하 이동 및/또는 환자에 의해 연화 이동 사이에 휴식 기간 동안 교정 위치로 환자의 혀를 이동시키도록 환자를 격려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특정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발명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기술 분야에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반된 이익의 감소없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10 : 기기 12 : 상부 몸체
14 : 하부 몸체 16, 20 : 전방부
18, 22 : 후방부 24, 26 : 돌출부 말단
30 : 상부 베이스 31 : 하부 베이스
32 : 하부 순음 차폐판 35 : 융기부
37 : 상부 벽 40 : 중앙 탭
41:사이드 탭 47 : 리마인드 범프
50 : 구획 51 : 선반
52 :램프 55 : 범퍼

Claims (21)

  1. 입술, 혀, 상악 및 상부 앞니 및 하부 앞니를 갖는 치아를 갖는 사용자의 입에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 대해 뒤에 위치되는 후방부를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상부 몸체로서, 외부 경계를 규정하는 둘레를 구비하는 상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후방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을 구비하는 상부 몸체;
    상기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를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하부 몸체로서, 외부 경계를 규정하는 둘레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치아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몸체에 저점을 규정하는 상기 하부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는 벽을 구비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혀 돌출부들로서, 상기 사용자의 입 안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상기 상악에 접촉하는 혀 돌출부들; 및
    상기 입에 대하여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앞으로 연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입술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 치아에 대하여 힘을 후방으로 가하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교정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상부 베이스의 후방부 위에 융기면을 더 포함하는 교정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에서 일반적으로 수평하게 돌출한 선반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선반은 상기 상부 전방 베이스에 인접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사용자의 입 안에 상기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상기 혀를 가이드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는 교정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 상기 상부 베이스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한 램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램프는 상기 상부 앞니에 힘을 가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상기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상부 앞니를 가이드하는 교정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는 입안에서 가장 먼 치아와 접촉하는 교정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융기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상기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상기 융기 돌출부는 혀에 직접 닿는 교정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에 저점에 접촉하는 이장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상기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상기 이장재는 상기 하부 몸체를 상기 하부 치아에 부착하여 상기 하부 치아에 대하여 힘을 가하는 교정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완충재로 구성되는 교정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점은 거친면을 갖는 교정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 돌출부들은 상기 상부 몸체의 전방부의 중앙에서 뒤로 연장한 중앙탭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한 상기 중앙탭의 각 측면에 인접한 사이드 탭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상기 기기가 착용되는 경우 상기 혀 돌출부들은 상기 사용자의 상악에 접촉하는 교정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는 편평한 면을 갖는 교정 기기.
  12. 상부 앞니를 갖는 상부 치아, 하부 치아, 구개, 혀, 및 입술을 갖는 입을 갖는 환자의 부정교합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정교합을 갖는 상기 환자의 입안으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의 아래에 있는 하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몸체는 경사면과 뒤로 연장한 혀 탭을 갖는 전방부 및 상승된 교합면을 갖는 후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에서 연장하고, 상기 하부 몸체가 상기 입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하부 치아를 둘러싸는 차폐판, 전방 확장부 및 저점을 구비하는 기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입에 상기 기기가 착용된 경우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혀 탭이 상기 구개에 접촉하여 상기 기기의 상기 상부 몸체에 대해 상기 혀를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입술이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확장부에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입에 후방향으로 상기 하부 치아를 미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교합면이 상기 후방 상부 치아에 접촉하여 상기 후방 상부 치아를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상부 앞니에 접촉하여 상기 환자의 입에 대하여 전방 및 하방으로 상기 상부 앞니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저점에 하부 치아에 접촉하는 이장재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치아를 경화성 물질로 둘러싸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경화시 경하성 물질은 상기 하부 치아에 따라 라이닝을 형성하는 부정교합 교정 방법.
  17. 상부 턱, 하부 턱, 입술 및 혀를 갖는 사용자의 입에 상부 앞니와 상부 어금니를 갖는 상부 치아와 하부 앞니와 하부 어금니를 갖는 하부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되는 치과교정 시스템에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의 뒤로 위치되어 상기 상부 어금니에 접촉하는 형태인 후방부를 갖는 상부 기기;
    하부 기기로서, 하부 기기에 저점을 규정하는 상기 하부 기기로부터 수직으로 아래방향으로 연장하는 외부 차폐판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앞니와 상기 하부 어금니에 접촉하는 형태인 하부 기기;
    상기 사용자의 입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하부 기기를 상기 하부 치아에 부착하여 상기 하부 치아에 대해 힘을 가하며, 상기 하부 기기의 저점에 상기 하부 치아와 접촉하는 라이닝;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상기 상부 턱에 접촉하여 상기 하부 턱에 대하여 앞으로 상기 상부 턱을 이동시키며, 상기 상부 기기의 상기 전방부에서 뒤로 연장한 탭; 및
    상기 사용자의 입에 대하여 앞으로 상기 하부 기기의 외부 차폐판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범퍼;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입술이 상기 범퍼에 대해 힘을 뒤로 가하여 상기 상부 턱에 대해 뒤로 상기 하부 턱을 이동시키는 치과교정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기에는 상기 상부 기기의 상기 전방부 뒤에 상기 탭과 함께 구멍을 형성하는 선반이 더 포함되는 치과교정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기를 상기 하부 기기에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치과교정 시스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기의 돌출부에 융기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기기가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융기면은 상기 상부 어금니를 가압하는 형태인 치과교정 시스템.
  21. 입술, 혀, 구개 및 상부 앞니와 하부 앞니를 갖는 치아를 갖는 사용자의 입에 부정교합의 교정 기기에서,
    외부 둘레 및 상기 외부 둘레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 둘레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둘레를 따라 연장한 상부 순음 차폐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앞니에 인접한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의 뒤에 위치된 후방부를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상부 몸체;
    상기 외부 둘레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둘레를 따라 연장한 하부 순음 차폐판을 구비하는 일반적으로 U 형태의 하부 몸체;
    상기 사용자의 입안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개에 접촉하며,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 둘레의 후방부에서 일반적으로 상방향으로 연장한 혀 돌출부들;를 포함하는 교정 기기.
KR1020140120422A 2013-09-17 2014-09-11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KR102162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29,175 US9517113B2 (en) 2013-09-17 2013-09-17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III problems of mandibular prognathism
US14/029,175 201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180A true KR20150032180A (ko) 2015-03-25
KR102162586B1 KR102162586B1 (ko) 2020-10-07

Family

ID=5126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422A KR102162586B1 (ko) 2013-09-17 2014-09-11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9517113B2 (ko)
EP (2) EP3494921B1 (ko)
JP (2) JP2015058356A (ko)
KR (1) KR102162586B1 (ko)
CN (1) CN104434323B (ko)
BR (1) BR102014020624B1 (ko)
CA (1) CA2858583C (ko)
ES (2) ES2713628T3 (ko)
HU (1) HUE054287T2 (ko)
IN (1) IN2014DE02665A (ko)
MX (2) MX351976B (ko)
PH (2) PH12014000257B1 (ko)
PL (2) PL2848229T3 (ko)
TR (1) TR201902456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9746B2 (en) 2010-06-23 2021-09-28 Dental Choice Holdings Llc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US9517113B2 (en) * 2013-09-17 2016-12-13 Ortho-Tain, Inc.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III problems of mandibular prognathism
USD739029S1 (en) * 2013-11-05 2015-09-15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
US10772506B2 (en) 2014-07-07 2020-09-15 Alig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ntal confocal imaging
US9675430B2 (en) 2014-08-15 2017-06-13 Align Technology, Inc. Confocal imaging apparatus with curved focal surface
US9610141B2 (en) 2014-09-19 2017-04-04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ing appliance
US10449016B2 (en) 2014-09-19 2019-10-22 Align Technology, Inc. Arch adjustment appliance
US9744001B2 (en) 2014-11-13 2017-08-2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with cavity for an unerupted or erupting tooth
US10504386B2 (en) 2015-01-27 2019-12-10 Align Technology, Inc. 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oral-cavity-imaging-and-modeling equipment
US9937019B1 (en) * 2015-04-21 2018-04-10 Daniel P. Copp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a subject during radiation therapy
US10248883B2 (en) 2015-08-20 2019-04-02 Align Technology, Inc. Photograph-based assessment of dental treatments and procedures
US9545332B2 (en) * 2015-09-27 2017-01-17 Kenneth Luco Cuspid and first bi-cuspid bite retainer for sleep apnea
US10328225B2 (en) * 2015-10-20 2019-06-25 Garner Geniothrust Llc Dental appliance apparatus and respiratory performance
US11554000B2 (en) 2015-11-12 2023-01-1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
US11931222B2 (en) 2015-11-12 2024-03-1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s
US11103330B2 (en) 2015-12-09 2021-08-3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US11596502B2 (en) 2015-12-09 2023-03-0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WO2017218951A1 (en) 2016-06-17 2017-12-21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 performance monitor
WO2017218947A1 (en) 2016-06-17 2017-12-21 Align Technology, Inc. Intraoral appliances with sensing
US10507087B2 (en) 2016-07-27 2019-12-17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model of a subject's teeth
CN113499159B (zh) 2016-07-27 2023-02-03 阿莱恩技术有限公司 具有牙科诊断能力的口内扫描仪
CN106361451A (zh) * 2016-09-20 2017-02-01 谢语博 一种个体化颌骨生长改良矫治器
CN113648088B (zh) 2016-11-04 2023-08-22 阿莱恩技术有限公司 用于牙齿图像的方法和装置
ES2845198T3 (es) 2016-12-02 2021-07-26 Align Technology Inc Expansor palatino
WO2018102770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Force control, stop mechanism, regulating structure of removable arch adjustment appliance
WO2018102702A1 (en) *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features for speech enhancement
AU2017366755B2 (en) 2016-12-02 2022-07-28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stomizing rapid palatal expanders using digital models
US10548700B2 (en) 2016-12-16 2020-02-0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etch template
US10456043B2 (en) 2017-01-12 2019-10-29 Align Technology, Inc. Compact confocal dental scanning apparatus
US10779718B2 (en) 2017-02-13 2020-09-22 Align Technology, Inc. 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CN106725923B (zh) * 2017-03-09 2023-06-16 无锡时代天使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带辅助推磨牙向后装置的隐形牙齿矫正器
US10613515B2 (en) 2017-03-31 2020-04-07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including at least partially un-erupted teeth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11045283B2 (en) 2017-06-09 2021-06-29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 with skeletal anchorage devices
WO2019005808A1 (en) 2017-06-26 2019-01-03 Align Technology, Inc. BIOCAPTOR PERFORMANCE INDICATOR FOR INTRABUCCAL DEVICES
US10885521B2 (en) 2017-07-17 2021-01-05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interactive ordering of dental aligners
CN114903623A (zh) 2017-07-21 2022-08-16 阿莱恩技术有限公司 颚轮廓锚固
CN110996842B (zh) 2017-07-27 2022-10-14 阿莱恩技术有限公司 牙齿着色、透明度和上釉
WO2019023631A1 (en) 2017-07-27 2019-01-31 Alig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TREATING AN ORTHODONTIC ALIGNMENT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O2019035979A1 (en) 2017-08-15 2019-02-21 Align Technology, Inc. EVALUATION AND CALCULATION OF BUCCAL CORRIDOR
US11123156B2 (en) 2017-08-17 2021-09-2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compliance monitoring
CN107468358B (zh) * 2017-08-21 2021-04-16 四川大学 一种肌功能训练矫治系统
CA3073969C (en) 2017-09-13 2023-01-24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training appliance
US10813720B2 (en) 2017-10-05 2020-10-27 Align Technology, Inc. Interproximal reduction templates
US11534268B2 (en) 2017-10-27 2022-12-27 Align Technology, Inc. Alternative bite adjustment structures
US11576752B2 (en) 2017-10-31 2023-02-1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having selective occlusal loading and controlled intercuspation
CN115252177A (zh) 2017-11-01 2022-11-01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自动治疗规划
US11534974B2 (en) 2017-11-17 2022-12-27 Align Technology, Inc. Customized fabrication of orthodontic retainers based on patient anatomy
EP3716885B1 (en) 2017-11-30 2023-08-30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intraoral appliances comprising sensors
WO2019118876A1 (en) 2017-12-15 2019-06-20 Align Technology, Inc. Closed loop adaptive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es
US10980613B2 (en) 2017-12-29 2021-04-20 Align Technology, Inc.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CN114587237A (zh) 2018-01-26 2022-06-07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诊断性口内扫描和追踪
CN108451657A (zh) * 2018-01-31 2018-08-28 浙江大学 一种个性化功能矫治器及其制作方法
US11937991B2 (en) 2018-03-27 2024-03-26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CN108420553A (zh) * 2018-03-27 2018-08-21 深圳德智达科技有限公司 一种功能矫治器制造方法和功能矫治器
US11564777B2 (en) 2018-04-11 2023-01-31 Align Technology, Inc. Releasable palatal expanders
USD909586S1 (en) * 2018-05-25 2021-02-02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AU201813153S (en) * 2018-05-25 2019-01-25 An oral appliance
AU201813151S (en) * 2018-05-25 2019-01-24 An oral appliance
WO2020112416A1 (en) 2018-11-26 2020-06-04 Anthony Suriano Unimpeded distalizing jig
USD888249S1 (en) * 2019-01-15 2020-06-23 Ryan Bruss Mouthguard
CA188766S (en) * 2019-01-25 2020-12-21 Farrell Dr Christopher John Oral appliance
CN110025388B (zh) * 2019-05-23 2024-04-19 四川大学 多功能隐形矫治器
US11285035B2 (en) 2019-07-19 2022-03-29 Dental Choice Holdings Llc Single arch dent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0584805B (zh) * 2019-09-20 2022-06-14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颌位性凹面畸形矫治系统及其设计方法
US20210169617A1 (en) * 2019-12-09 2021-06-10 Align Technology, Inc. Occlusal block design for lateral locking
IT202000018034A1 (it) * 2020-07-24 2022-01-24 Biomax Spa Dispositivo ortodontico per adattamenti cranici.
US20220054301A1 (en) * 2020-08-24 2022-02-24 Sleeping Well Llc Oral Appliance
CN112402040A (zh) * 2020-11-18 2021-02-26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隐形磁力上颌前牵装置
US11571327B2 (en) 2021-06-29 2023-02-07 Ortho-Tain, Inc. Wire and ramps in sleep habit corrector
US11369458B1 (en) 2021-08-18 2022-06-28 Ortho-Tain, Inc.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US11723790B2 (en) 2021-11-09 2023-08-15 Vivos Therapeutics, Inc. Vibrational oral appliance with mandibular advancements
CN114271980B (zh) * 2022-01-29 2024-04-30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用于隐形矫治下颌前导口腔扫描的后牙固定测量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742A (en) * 1967-10-23 1969-11-18 Edward H Bohlmann Orthodontic multipurpose repositioner and oral habit conditioner
JPS6485641A (en) * 1987-09-29 1989-03-30 Chugoku Shiken Kk Orthodontic apparatus
WO1993008761A1 (en) * 1990-09-06 1993-05-13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US5592951A (en) * 1995-09-12 1997-01-14 Castagnaro; Vincent Oral appliance
US5624257A (en) * 1991-10-31 1997-04-29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US5682903A (en) * 1992-11-16 1997-11-04 Meade; Thomas 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noring
US20040152032A1 (en) * 2003-01-21 2004-08-05 Bergersen Earl O. Dental appliance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reducing an amount of patient cooperation to treat a malocclusion using the dental appliance
KR20050053676A (ko) * 2002-09-20 2005-06-08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FR2867058A1 (fr) * 2004-03-05 2005-09-09 Guy Delterme Appareil de positionnement lingual
US20060084024A1 (en) * 2004-10-14 2006-04-20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JP2010536511A (ja) * 2007-08-29 2010-12-02 クリストファー ジョン ファレル 歯科矯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A (en) * 1848-05-23 brooman
US3478A (en) * 1844-03-13 Improvement in fruit-gatherers
US5682A (en) * 1848-07-25 Twyek
FR2867E (fr) * 1903-09-08 1904-07-12 Arthur Pedrazzi Appareil destiné au chauffage de l'air, pour les usages domestiques ou industriels
US3939598A (en) * 1975-01-23 1976-02-24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positioner with overbite or open bite correcting or relapse inhibiting capability
CA1125059A (en) 1975-10-28 1982-06-08 Earl O. Bergers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US4898535A (en) * 1988-04-11 1990-02-06 Bergersen Earl Olaf Self-opening preformed activator and positioner
US5057012A (en) * 1990-01-03 1991-10-15 Tp Orthodontics, Inc. Molar tube appliance for a lip bumper or a face bow
CA2122634C (en) * 1991-10-31 2004-08-31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CN1054737C (zh) 1993-07-12 2000-07-26 欧索-泰公司 一种可供多种族使用的预成型正牙治疗用具
JPH07308335A (ja) * 1994-05-13 1995-11-28 Thomas E Meade いびきを抑える装置および方法
US5876199A (en) 1997-08-28 1999-03-02 Ortho-Tain, Inc. Appliance adapted to fit many mouth and tooth sizes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other uses
US8870566B2 (en) 2002-05-28 2014-10-28 Ortho-Tain, Inc. Orthodontic appliance,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traightening teeth
WO2003100574A2 (en) 2002-05-28 2003-12-04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dental appliances
PL373642A1 (en) * 2002-05-30 2005-09-05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having attachable upper and lower halv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7458810B2 (en) 2002-09-20 2008-12-02 Bergersen Earl O Dental appliance having an altered vertical thickness between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with an integrated hinging mechanism to attach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8105079B2 (en) * 2004-10-14 2012-01-31 Christopher John Farrell Orthodontic appliance
US7975701B2 (en) * 2006-04-18 2011-07-12 Ortho-Tain, In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habits of an oral cavity
US7798149B2 (en) * 2007-01-30 2010-09-21 Han Haduong Method and system for swallow control resulting in improved posture
US8297286B2 (en) * 2008-10-20 2012-10-30 Rampup, Llc Physical rehabilitation and training aid: method of using musculoskeletal repositioning device
JP3164673U (ja) * 2010-09-29 2010-12-09 有限会社 オーラルアカデミー 下顎位矯正訓練具
US9517113B2 (en) * 2013-09-17 2016-12-13 Ortho-Tain, Inc. Or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class III problems of mandibular prognathism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742A (en) * 1967-10-23 1969-11-18 Edward H Bohlmann Orthodontic multipurpose repositioner and oral habit conditioner
JPS6485641A (en) * 1987-09-29 1989-03-30 Chugoku Shiken Kk Orthodontic apparatus
WO1993008761A1 (en) * 1990-09-06 1993-05-13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US5624257A (en) * 1991-10-31 1997-04-29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US5682903A (en) * 1992-11-16 1997-11-04 Meade; Thomas 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noring
US5592951A (en) * 1995-09-12 1997-01-14 Castagnaro; Vincent Oral appliance
KR20050053676A (ko) * 2002-09-20 2005-06-08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US20040152032A1 (en) * 2003-01-21 2004-08-05 Bergersen Earl O. Dental appliance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reducing an amount of patient cooperation to treat a malocclusion using the dental appliance
FR2867058A1 (fr) * 2004-03-05 2005-09-09 Guy Delterme Appareil de positionnement lingual
US20060084024A1 (en) * 2004-10-14 2006-04-20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JP2010536511A (ja) * 2007-08-29 2010-12-02 クリストファー ジョン ファレル 歯科矯正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치과교정학회지 38(4):283-298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586B1 (ko) 2020-10-07
JP2015058356A (ja) 2015-03-30
EP2848229B1 (en) 2018-11-21
ES2713628T3 (es) 2019-05-23
US10537407B2 (en) 2020-01-21
IN2014DE02665A (ko) 2015-06-26
EP2848229A1 (en) 2015-03-18
HUE054287T2 (hu) 2021-08-30
TR201902456T4 (tr) 2019-03-21
CA2858583A1 (en) 2015-03-17
CA2858583C (en) 2021-10-19
MX357663B (es) 2018-07-18
EP3494921B1 (en) 2021-02-17
US20170325913A1 (en) 2017-11-16
CN104434323A (zh) 2015-03-25
BR102014020624B1 (pt) 2020-12-08
BR102014020624A2 (pt) 2015-12-15
ES2873085T3 (es) 2021-11-03
US20150079530A1 (en) 2015-03-19
PH12014000257A1 (en) 2016-04-04
MX351976B (es) 2017-11-06
PL3494921T3 (pl) 2021-10-04
EP3494921A1 (en) 2019-06-12
MX2014011068A (es) 2015-03-16
JP6823098B2 (ja) 2021-01-27
CN104434323B (zh) 2019-09-06
JP2019103853A (ja) 2019-06-27
PH12017000244A1 (en) 2019-01-14
US9517113B2 (en) 2016-12-13
US10980615B2 (en) 2021-04-20
PH12014000257B1 (en) 2016-04-04
US20170071701A1 (en) 2017-03-16
PL2848229T3 (pl)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586B1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RU2340325C2 (ru) Соска-пустышка,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ддержки правильных зубочелюстных систем
US7458810B2 (en) Dental appliance having an altered vertical thickness between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with an integrated hinging mechanism to attach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7661955B2 (en) Dental appliance
WO2010087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20180063190A (ko)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US20230058103A1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Singh et al. Habit Breaking Appliance For Tongue Thrusting-A Modification.
RU226096U1 (ru) Односторонний активатор чепик для вертикализации нижней челюсти
Strokon ALF correction of facial and postural asym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